KR20190108256A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Withdrawing Ro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Withdrawing Ro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8256A KR20190108256A KR1020180029548A KR20180029548A KR20190108256A KR 20190108256 A KR20190108256 A KR 20190108256A KR 1020180029548 A KR1020180029548 A KR 1020180029548A KR 20180029548 A KR20180029548 A KR 20180029548A KR 20190108256 A KR20190108256 A KR 201901082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ctor
- rod
- power cable
- bolt
- partic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9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5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316 A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0 cross-linked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03 cross-linked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44 Liquid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79 medium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1 medium-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62 ultra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0126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55 nanop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drawing rod, a method of connecting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drawing rod, and a connection device of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drawing rod to minimize electrical resistance of a contact surface and improve workabi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lead-out rod, a method of connecting the power cable and a conductor lead-out rod, and a connection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lead-out rod, a method of connecting the power cable and a conductor lead-out rod, and a connection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to minimiz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ntact surface and improve workability.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conductor)를 이용하여 지중, 지상 또는 해저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상기 도체를 절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은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 폴리에틸렌) 등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절연지 등을 감아 절연층으로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a power cable is used to supply power to a desired place through the ground, the ground or the sea floor by using a conductor that supplies the power. Such a power cable is very important to insulate the conductor. For this purpose, the insulating layer for insulating the conductor is made of XLPE (cross-linked polyethylene) or the like, or wound with insulating paper to form an insulating layer. I use it.
상기 전력케이블은 수백 미터 또는 수십 킬로미터 간격으로 중간접속함(Joint box)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함(Termination connection box)에 의해 가공선과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power cables are connected by joint boxes at intervals of several hundred meters or tens of kilometers, and the ends of the power cables are connected to overhead lines by termination connections boxes.
상기 중간 접속함은 테이프형 접속함 (TJ), 프리화브형 접속함 (PJ), 프리몰드형 접속함 (PMJ), 이종접속함 등이 있고, 상기 종단접속함에는 케이블의 도출된 도체 단부가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기중 종단접속함(EB-A), 가스중(Gas) 종단접속함(EB-G) 및 유중(Oil) 종단접속함(EB-O) 등이 있다.The intermediate junction box may include a tape junction box (TJ), a prefabricated junction box (PJ), a pre-mold junction box (PMJ), a heterogeneous junction box, and the terminating junction box is connected to a derived conductor end of a cable. There are air termination boxes (EB-A), gas termination boxes (EB-G), and oil termination boxes (EB-O).
상기 기중 종단접속함(EB-A)는 옥외용은 옥외변전소에서 가공선과 지중선을 상호연결 접속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가스중 종단접속함(EB-G)는 주로 옥내변전소에 설치되며 장소가 협소하거나 타 건축물과 이격 거리가 제약을 받을 때 사용되며, 상기 유중 종단접속함(EB-O)는 가스중 종단 접속함과 유사하며 케이블과 변압기를 유중케이스 내에서 접속할 때 사용된다.The air termination box (EB-A) is used for interconnecting overhead lines and underground lines in an outdoor substation for outdoor use, and the gas termination box (EB-G) is mainly installed in an indoor substation and has a narrow or other structure. It is used when the distanc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is restricted, and the oil end junction box (EB-O) is similar to the gas end junction box and is used when connecting the cable and the transformer in the oil case.
상기 종단접속함은 절연유(Oil)이 저장된 애관, 상기 애관에 삽입되는 전력케이블, 일단은 상기 전력케이블 내부에 도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애관의 외부에 노출된 도체 인출봉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end junction box may be provided with a conductor pipe in which the insulating oil (Oil) is stored, the power cable is inserted into the tube, one end is fixed to the conductor portion inside the power cable and the other end is a conductor withdrawing ro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ube. .
이러한 전력 케이블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을 접속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를 맞닿게 한 후 압착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When connecting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 rod of the termination box, conventionally, the insulation layer of each element wire constituting the conductor portion is removed and assembled again to bring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conductor lead rod of the termination box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crimped. Etc. were used.
그러나,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압착의 방법으로 전력 케이블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을 접속하는 방법은 작업시간이 길고, 절연층의 탈피과정에서 도전성 물질의 비산으로 잠재적 품질리스크를 가지며, 상당한 작업 숙련도를 요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removing the insulation layer of each wire constituting the conductor part and reassembling it to connect the conductor cable with the conductor cable of the terminal box by crimping method takes a long time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n the stripping process of the insulation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has a potential quality risk due to the scattering of, and requires considerable work proficiency.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과의 접촉면에 도체입자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for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lead-out rod having a space in which a conductor particle can be accommodated on a contact surface with the power cable.
또한,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부와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사이의 접촉면에 도체입자를 주입함으로써,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jecting the conductive particles in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onductor portion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that can minimize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ntact surface and the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ou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d connect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접촉면에 도체입자를 용이하게 주입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and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that can easily inject the conductor particles into the contact surface. do.
또한, 본 발명은 접촉면에 주입된 도체입자들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접촉면의 전기저항을 최소화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or particles injected into the contact surface,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 rod that can minimize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ntact surfac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 rod, and the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 ou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d connecting metho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과 접속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lead rod connecting a conductor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ment wires of a power cable to a conductor lead rod of a terminal box.
전력케이블의 도체부;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도체 인출봉;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A conductor portion of the power cable; A conductor drawing rod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conductor portion of the power cable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of a lower end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 plurality of conductor particles inserted into an accommodating space above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ar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ductor extracting ro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onductor extracting rod; At least one electrification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ductor part and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by pressing the conductor particles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fixing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to fix the conductor par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hereby provid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drawing rod.
이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ergizing bolt and the fixing bolt may be broken bolts in which the head part is broken and separated when a torqu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applied.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 도체 입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는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ductive bolt is fasten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conductive bolt may be contacted with the conductor particles having a reduced pore by being compressed by the upper end of the conductive portion and the conductive bolt. .
그리고,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일 수 있다.The conductor particles may be made of silver, copper, or an alloy thereof, or may be a metal material plated with silver, copper, or an alloy thereof.
여기서, 상기 도체 입자는 커팅된 구리 재질의 와이어 또는 커팅된 구리재질의 와이어를 은도금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nductor particles may be configured by silver plating a cut copper wire or a cut copper wire.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은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may be made of tin plated copper or tin plated copper alloy.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olt and the energizing bolt may be made of brass or brass alloy material.
그리고, 상기 도체 인출봉은 하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has a body portion providing an accommodation groove into which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is inserted,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A plurality of power supply fastening holes to whic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bolts are fastened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fixing fastening holes to which a plurality of fixing bolts are fastened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under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고정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려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 for electricity and the fastening hole for fixing may be form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져서 형성되는 주입용 체결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bolts are fastened and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ceiving space.
그리고, 상기 주입용 체결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상기 도체 입자가 주입될 수 있다.Then,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injected toward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여기서, 상기 도체 인출봉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를 연결하는 경사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입용 체결홀은 상기 경사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nductor drawing rod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injection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과 접속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도체 인출봉의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 사이의 수용공간으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단계; 상기 도체 인출봉에 고정용 볼트를 체결하여 도체부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 및, 상기 도체 인출봉에 통전용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서 투입된 도체 입자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를 통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 rod connecting the conductor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element wires of the power cable with the conductor lead rod of the terminal box, the conductor lea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 conductor part insertion step of inserting the conductor part of the power cable through the opening of the lower end of the rod; A conductor particle input step of introducing a plurality of conductor particles into th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A conductor portion fixing step of fixing the conductor portion by fastening a fixing bolt to the conductor drawing rod; And a conductor part for fastening a current-carrying bolt to the conductor drawing rod to reduce the voids of the conductor particles introduced in the conductor particle feeding step,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onductor drawing rod through the compressed conductor particles. It can provide a method for connecting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withdrawal rod comprising a conduction step.
이 경우, 상기 도체부 삽입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임시 체결하여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상기 도체부의 삽입 높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의 천장을 이격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ep of inserting the conductor part temporarily tightens at least one current-carrying bolt to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to limit the insertion height of the conductor par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art and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groove. The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b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도체부 삽입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임시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단부에 미리 결정된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서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 인출봉의 하단부가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ng of the conductor part may include temporarily tightening at least one current-carrying bolt to the conductor drawing rod, disposing a spac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an end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power cable. In the case of inserting the conductor portion of the conductor drawing ro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ductor drawing r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eat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spacer to determine the height of the receiving space.
그리고,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져서 형성된 주입용 체결홀을 통해 상기 도체 입자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전력케이블에서 분리하여 상기 도체 인출봉이 자중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도체 인출봉에 임시 체결된 상기 통전용 볼트의 단부가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에 걸려 상기 도체 인출봉이 하강하는 높이가 제한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nductive particle input step, the conductive particle is introduced through an injection fastening hol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ceiving space, and the conductor drawing rod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by separating the spacer from the power cable. At the same time, the end of the current-carrying bolt temporarily fastened to the conductor withdrawal rod is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height at which the conductor withdrawal rod descends is limited, thereby reducing and compressing the voids of the conductor particle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It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져서 형성된 주입용 체결홀을 통해 상기 도체 입자가 투입될 수 있다.Here,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ceiving space in the conductive particle input step.
또한, 상기 도체부 통전단계에서 체결되는 상기 통전용 볼트가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와 도체입자에 함께 접촉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on bolt fastened in the conducting por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may be per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and the conductor particles of the conductor portion.
이 경우,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파단 볼트이며, 상기 도체부 고정단계 및 상기 도체부 통전단계는 상기 도체 인출봉의 외주면으로 고정용 볼트와 통전용 볼트가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용 볼트와 통전용 볼트의 헤드부를 파단시켜 체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bolt and the energizing bolt are broken bolts, and the fixing of the conductor part and the energizing part of the conductor part are performed by fixing bolts and the electricity supply bolts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The head part of the electricity supply bolt can be broken and fastened.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종단 접속함의 도체 인출봉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에 있어서,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을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 상기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상기 고정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의 천장 사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cable conductor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the conductor portion of the power cable to the conductor lead rod of the terminal box, the lower end is opened, the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is inserted inside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fastening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onductor withdrawing rod having fastening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fastening holes. ; At least one electricity supply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for electricity transmission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ductor part to the conductor drawing rod; At least one fixing bolt fastened to the fixing fastening hole to fix the conductor par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ductor drawing rod; And a plurality of conductor particles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eiling of the accommodation groov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Can provide.
그리고,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단되어 분리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파단 볼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nergizing bolt and the fixing bolt may be a breaking bolt including a head part that is broken and separated when a torqu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applied thereto.
여기서,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일 수 있다.Here, the conductor particles may be made of silver, copper, or an alloy material thereof, or may be a metal material plated with silver, copper, or an alloy material thereof.
또한, 상기 도체 인출봉은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may be made of tin plated copper or tin plated copper alloy.
이 경우,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bolt and the energizing bolt may be made of brass or brass alloy.
또한, 상기 도체 인출봉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져서 형성되는 주입용 체결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injection bolts are fastened and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ceiving space.
그리고, 상기 주입용 체결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상기 도체 입자가 주입될 수 있다.Then,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injected toward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부와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사이의 접촉면에 도체입자를 주입함으로써,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이 최소화되고 작업성이 향상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jects the conductive particles in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onductor portion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thereby minimiz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ntact surface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and the power cabl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ion method of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면에 도체입자를 용이하게 주입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electric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which can inject | pour a conductor particle to a contact surface easil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lectric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and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electric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면에 주입된 도체입자들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접촉면의 전기저항을 최소화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or particles injected into the contact surface,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 rod that can minimize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ntact surfac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 rod, and the power c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ion method of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도 1은 본 발명의 종단접속함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rmination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power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ductor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ductor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2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ductor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전력케이블과 도체 접속장치가 구비된 종단접속함(10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기중 종단접속함의 구조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은 가스중 종단접속함(EB-G)을 비롯한 다양한 접속함에 적용될 수 있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도 1의 종단접속함(1000)은 절연유(13)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애관(1), 상기 애관에 고정되는 전력케이블(100) 및 일단은 전력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애관(1)의 외부에 노출된 도체 인출봉(70)을 포함한다.
상기 애관(1)은 절연유(13)를 저장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애관(1)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애관 바디, 상기 애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애관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금구(14), 상기 애관 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애관 바디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금구(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유(13)는 전력케이블(100)과 상기 애관(1) 내주면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하부금구(15)를 관통하여 상기 애관(1)에 고정된다. 즉, 상기 애관(1)은 상기 전력케이블(100)을 절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애관(1)은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絶緣耐力)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애관(1)의 원주면에는 다수개의 주름 또는 돌기부(11)가 구비된다. 상기 주름 또는 돌기부(11)에 의해 절연거리를 증가시키면 절연내력이 향상된다. 상기 애관(1)은 절연내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적당한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질자기 또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하부금구(1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애관(1)에 고정되며, 상기 애관(1) 내부에 위치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상단부는 상기 애관(1) 상부에서 도체로 구비된 도체 인출봉(70)에 연결된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도체부(10),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20), 상기 내부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40),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을 감싸고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한 차폐층(50), 상기 차폐층(50)을 감싸는 외피(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도체부(10)는 구리, 알루미늄,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이루어진 단선 또는 복수의 도선이 연합된 연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도체부(10)의 직경,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11)의 직경 등을 포함하는 규격은 이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100)의 송전압,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설계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가 다수의 소선(11)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소선(11)들이 절연된 상태로 구비되면 표피효과로 인한 도체 저항을 줄임으로써 전력 전송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상기 전력케이블(100)을 구성하는 내부 반도전층(20)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들뜸을 유발하는 공기층을 없애주며, 국부적인 전계 집중을 완화시켜 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internal
한편,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은 상기 절연층(30)에 균등한 전계가 걸리도록 하는 기능, 국부적인 전계집중 완화 및 외부로부터 절연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상기 내부 반도전층(20) 및 외부 반도전층(40)은 베이스 수지에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고,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이 추가로 첨가된 반도전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상기 내부 반도전층(20) 및 외부 반도전층(40)과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접착력을 위해 상기 절연층(30)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와 유사한 계열의 올레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base resin is of a similar type to that of the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for forming the insulating
그리고, 상기 절연층(30)은 예를 들어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절연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고압 케이블의 경우에는 기존의 OF케이블이 가교 폴리에틸렌(XLPE) 절연 케이블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The polyethylene resin may be applied to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U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M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the like, in the case of a high-pressure cable Cables are quickly being replaced by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insulated cables.
그리고 케이블의 최외부에 구비되는 외피(60)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전술한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하부금구(15)를 관통하여 말단부가 상기 애관(1)의 내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애관(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력케이블(100)의 말단부에는 도체부(10)가 노출된다. Referring to FIG. 1 again, the above-described
즉, 상기 애관(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력케이블(100)의 끝단은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상기 외피(60), 차폐층(50), 외부 반도전층(40), 절연층(30) 및 내부 반도전층(20)이 제거되어 상기 도체부(10)의 말단부를 노출시킨다.That is, the end of the
한편,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끝단을 제외하면,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절연층(30) 및 외부 반도전층(40)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애관(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도체부(10), 절연층(30), 및 외부 반도전층(40)이 상기 애관(1) 내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애관(1)에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xcept for the end of the
상기 절연층(30)이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의 일부가 제거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상기 애관(1) 내부에 삽입된 상태라면, 내부 반도전층과의 사이에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외부 반도전층(40)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외부 반도전층(40) 및 절연층(30)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애관(1)의 내부에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전계완화콘(170)을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전계완화콘(170)은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 반도전층(40)과 연결되는 반도전부(173), 상기 반도전부(173)를 감싸는 절연부(1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콘(170)의 외곽에 구비된 상기 절연부(171)는 일 예로서 액상 실리콘 고무(LSR)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전계완화콘(170)의 외곽에 구비되어 절연성능을 담보하게 된다.The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상기 상부금구(1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하단부는 상기 도체부(10)의 말단부에 결합하고, 상단부는 상기 애관(1)의 외부에 노출되는 도전성 부재에 해당한다.The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선 절연 전력 케이블(100)을 접속하는 경우, 소선의 절연을 제거하고 도체 인출봉에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삽입하고 상기 도체 인출봉을 압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체 인출봉(70) 내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삽입하고 그 중심부에 도체 입자(mp)를 주입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Conventionally, when connecting the wi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부(10),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20), 상기 내부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40),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을 감싸고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한 차폐층(50), 상기 차폐층(50)을 감싸는 외피(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10)를 종단접속함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71a)(도 5 참조)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710)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730)을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70)과,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310)와,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수용홈(71a)에 수용된 도체부(10)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330) 및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71a)의 천장 사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수용홈(71a) 중 도체부가 삽입되어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공간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power cable conductor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구조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도체 인출봉(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가 하단부의 개구부(711)(도 4 참조)를 통해 삽입되는 수용홈(71a)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710, 730)이 구비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개구부(711)가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71a)을 제공하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의 상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73)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몸체부(71)는 내부에 수용홈(71a)이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10)가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서 연장된 연장부(73)는 전술한 종단접속함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가공선에 연결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몸체부(71)에 비해 상기 연장부(73)가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부(71)와 상기 연장부(73) 사이에 경사연결부(74)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연장부(73)에서 상기 경사연결부(74)를 통해 상기 몸체부(71)와 연결되며, 상기 경사연결부(74)를 통해 상기 연장부(73)에서 상기 몸체부(71)를 향해 외경이 커지게 된다.That is, the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통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는 복수 개의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a plurality of bolts may be provided in the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fastening holes 710 to which the plurality of
상기 몸체부(7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 중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수용홈(71a)의 천장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기 위한 통전용 체결홀(710)이다.Among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또한, 상기 몸체부(71)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330)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730)이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상기 몸체부(7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 중 상기 몸체부(71)의 하부, 즉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체결홀(730)이다.Among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가 체결되면, 상기 도체부(10)는 체결부위가 소성 변형 또는 관통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길이방향, 또는 도 3에서 수직방향으로 도체부(10)의 움직임이 차단될 수 있다.When the fixing
도 3에 도시된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는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의 도체 입자(mp)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몸체부(71) 상부의 원주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3. The
그리고, 각각의 고정용 체결홀(730) 역시 상기 몸체부(71)의 하부 영역, 즉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의 하부에 영역에 상기 몸체부(7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위치에서 각각의 위치의 원주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fixing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체결홀들은 상기 몸체부(71)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몸체부(71)의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용 볼트(330)의 고정 효과를 도체부(10) 전체에 분산되도록 하고, 통전용 볼트(310)에 의한 도체 입자(mp)의 압축 효과가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adjacent fastening holes may be alternate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공구로 토크가 인가되는 헤드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체결 완료 시 파단되는 영역이고 상기 몸체부는 체결 완료시 상기 몸체부 내부로 진입하여 체결되는 구성이다.The energizing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단되어 분리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며, 나사산을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 아래에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아래에 형성되는 상기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최대 직경 이상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부에서 상기 도체부(10)의 삽입 높이를 제한하여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71a)의 천장 사이에 상기 도체 입자(mp)가 수용될 수 있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의 폭은 상기 하단부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단부의 최대 직경에 의해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의 폭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에 도체 입자(mp)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 사이로 압입되어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width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formed with the thread of the through-
또한, 각각의 볼트 체결홀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전용 볼트(310)와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 깊이에 따른 체결력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힘이 인가되는 경우 헤드부가 파단되는 파단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bolt fastening hole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may be able to adjust the tightening force according to the fastening depth of the bolt for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파단 볼트로 구성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는 종단접속함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고, 접속구조 외측에 절연유 등이 충전되며, 전계집중 방지 등의 이유로 볼트 헤드 등이 전력케이블(100)의 단부에 연결되는 도체 인출봉(7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구조여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이때, 상기 고정용 볼트(330)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이하,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도체 접속구조의 도체 접속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ductor connection method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to 7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ductor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방법은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를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와,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71a) 사이의 수용공간으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단계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 및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서 투입된 도체 입자(mp)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mp)를 통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or connecting method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구조는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삽입된 접속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와 수용홈 사이의 수용공간에 별도의 도체 입자(mp)를 삽입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내측 방향으로 체결하여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줄여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케이블의 도체부를 도체 인출봉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10)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은 도체부(10) 단부의 균일한 면접촉이 쉽지 않아 저항이 증가될 수밖에 없고, 절연 피막을 탈피한 후 압착하는 방법은 훨씬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된다.In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구조는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를 삽입한 후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도체부(10)를 고정하고, 도체부(10) 고정이 완료된 후 상기 도체부(10)의 상부의 수용홈(71a)의 공간에 도체 입자(mp)를 주입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이 최소화되고 도체 입자(mp)들이 접속 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의 전기적 연결을 완료하여 전력케이블(100)의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접속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owever,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 중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체결홀(710)에 통전용 볼트(310)를 임시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절연층(30)의 단부에 미리 결정된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서(78)를 배치시킨 다음, 접속 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몸체부(71) 내부의 수용홈(71a)으로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4, a
여기서, 임시 체결이라 함은 볼트 헤드가 파단되지 않은 약한 체결 상태를 말하며,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을 관통하여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하단부가 상기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한 상태를 임시 체결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임시 체결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해 막힌 상태에 해당하여, 전술한 도체 입자(mp)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을 통해 누설되지 않는 상태로 볼 수 있다.Here, the temporary fastening refers to a weak fastening state in which the bolt head is not broken, and 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고정용 체결홀(730)에 임시 체결할 수 있다. 이는 고정용 볼트(330)의 헤드부가 파단되는 본 체결이 수행되면 고정용 볼트(330)에 의한 도체부(10)의 소성 변형이 발생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도체 소선 들이 유입되어 도체 입자(mp)의 투입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xing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 중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은 도체 입자(mp)의 투입을 위하여 남겨두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은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통전용 볼트(310)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할 수 있으며, 나머지 통전용 볼트(310) 역시 후술하는 도체 입자(mp)의 주입 과정에서 도체 입자(mp)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머지 통전용 체결홀에 임시 체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t least one fastening hole of the plurality of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절연층(30)의 상단부에 스페이서(78)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단부가 상기 스페이서(78)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상기 도체부(10)의 삽입 높이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체 입자(mp)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78)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H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8)가 분리되어 제거된 상태의 수용공간의 높이(H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도록 상기 스페이서(78)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H1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state where the
즉, 상기 스페이서(78)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체적이 상기 스페이서(78)가 분리되어 제거된 상태의 수용공간의 내부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된다.That is, the inner volume of the accommodating space in the state where the
이 경우, 도 5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8)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지 않은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 중에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 도체 입자(mp)는 통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도체 입자(mp)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체 입자(mp)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금속 와이어를 잘게 절단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ductor particles (mp)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conductor particles (mp) may be made of silver, copper, or an alloy thereof, or may be plated with silver, copper, or an alloy thereof. I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 method of finely cutting the metal wire may be used as a method for configuring the conductor particles (mp).
따라서, 상기 도체 입자(mp)는 구리, 은, 구리합금, 은합금, 은도금구리, 은합금도금구리, 은도금구리합금, 은합금도금구리합금, 구리도금은, 구리합금도금은, 구리도금은합금, 구리합금도금은합금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도체 입자(mp)들의 재질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이라면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conductor particles (mp) are copper, silver, copper alloy, silver alloy, silver plated copper, silver alloy plated copper, silver plated copper alloy, silver alloy plated copper alloy, copper plating silver, copper alloy plating silver, copper plating silver alloy, copper Alloy plating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lloys.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lurality of conductor particles (mp) may be composed of copper or an alloy thereof, or may be composed of various combinations as long as it is a metal material plated with silver, copper, or an alloy thereof.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한 후, 상기 도체 입자(mp)의 투입을 위하여 남겨둔 통전용 체결홀(710)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임시 체결할 수 있다.After the conductive particles (mp) are injected, the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8)를 상기 전력케이블(100)에서 제거하게 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 the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78)를 분리하기에 앞서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을 통전용 볼트(310)로 임시 체결하는 이유는 도 6과 같이 상기 스페이서(78)를 제거하여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도체 인출봉(70)이 소정높이만큼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 입자(mp)가 압축되어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을 통해 누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the reason for temporarily tightening the
이때, 상기 도체 인출봉(70)이 하강하는 경우에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하단부가 상기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돌출하게 되므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강이 멈추게 되며,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강 높이가 정해지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lower end of the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8)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체적에 비해 상기 스페이서(78)가 분리되어 제거된 상태의 수용공간의 내부체적이 상대적으로 더 작게 되므로, 상기 스페이서(78)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도체 입자(mp)는 압축되어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도체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페이서를 생략한 상태로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에 삽입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310)를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통전용 체결홀(710)에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임시 체결하여 상기 수용홈(71a)에 삽입되는 상기 도체부(10)의 삽입 높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71a)의 천장을 이격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본 체결과정에서 도체부(10)의 도체를 소성 변형 또는 관통하는 방법으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와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the fixing
즉, 상기 도체 입자(mp)를 상기 수용홈(71a)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체부(10)의 단부 측면과 도체 입자(mp)의 접촉상태를 강화하기 위함이다.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or particle (mp)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71a), before the fastening the
상기 도체 입자(mp)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작은 금속 입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순 주입된 상태에서는 입자들 사이에 공극이 상당 부분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술한 도 3과 같이 통전용 볼트(310)의 체결도 완료되면, 상기 도체 입자(mp) 사이의 공극이 감소 또는 제거되며 상기 도체 입자간 접촉면적 및 상기 도체입자와 상기 도체부(10)의 단부 측면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도체부(10)는 고정용 볼트(33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The conductor particles (mp)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made of small metal particles, and the like, and in a simple injected state, a significant portion of voids may exist between the particles. However, as shown in FIG. 7, when the fastening of the energizing
또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본체결이 되어 상기 도체부(10)의 단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하단부와 헤드부 사이에 형성된 몸체부(나사산이 형성된 부분)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최대 직경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형상을 반구 형태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를 본 체결하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수용공간(S)에 도체 입자(mp)가 충진된 상태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다.When the fixing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에서 투입된 도체 입자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를 통해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상기 도체부(10)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 도체부 통전단계는 체결되는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mp)들에 함께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 energizing step is such that the energizing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체결하게 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진입하며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압착하는 동시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몸체부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볼트와 상기 도체부 및 상기 도체 인출봉이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압축된 도체 입자와 함께 도체 단부(면)이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통전 경로를 다각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의 내측으로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고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71a) 사이의 수용공간으로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경우에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통전용 체결홀(710)을 통해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게 되므로 상기 수용공간의 모든 영역으로 상기 도체 입자(mp)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며, 특히 상기 수용공간의 꼭대기까지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conductor particles (mp) ar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th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not easy to uniformly disperse the conductor particles (mp) in all areas of the accommodation space. It may be difficult to introduce the conductor particles (mp) to the top.
만약, 상기 수용공간의 꼭대기까지 상기 도체 입자(mp)가 투입되지 않는다면, 상기 도체 입자(mp)를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해 가압한다고 하여도 상기 도체 입자(mp)가 상기 수용홈(71a)의 천장, 즉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균일하게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체 입자(mp)를 통한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접촉 면적의 감소를 유발하게 되므로 접촉 저항이 커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If the conductor particles (mp) are not introduced to the top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ductor particles (mp) may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s even if the conductor particles (mp) are pressed by the current-carrying bolt (310). The ceiling of 71a), that is, the
도 8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차이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8 illustrates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drawing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전력케이블(100)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10)를 종단접속함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는 도체 인출봉(70)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져서 형성되는 주입용 체결홀(7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power cable conductor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의 경우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소정각도로 하향경사져서 형성되는 주입용 체결홀(7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아래쪽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을 통해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경우에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서 아래를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을 통해 투입하게 되므로, 상기 수용공간의 전체 영역에 상기 도체 입자(mp)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나아가 상기 수용공간의 꼭대기까지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mp) are introduced through the
또한,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에 체결된 통전용 볼트(310)와 더불어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mp)를 추가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도체 입자(mp) 사이의 공극을 최대한 줄여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astening the current-carrying
이 경우,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71)와 상기 연장부(73)를 연결하는 경사연결부(74)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몸체부(71)에 비해 상기 연장부(73)가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몸체부(71)와 상기 연장부(73) 사이에 경사연결부(7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연결부(74)에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의 접속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nec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상기 도체 접속방법은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를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와,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71a) 사이의 수용공간으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단계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 및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서 투입된 도체 입자(mp)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mp)를 통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or connecting method includes the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 모두에 통전용 볼트(310)를 임시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절연층(30)의 단부에 미리 결정된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서(78)를 배치시킨 다음, 접속 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몸체부(71) 내부의 수용홈(71a)으로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9, 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고정용 체결홀(730)에 임시 체결할 수 있다. 이는 고정용 볼트(330)의 헤드부가 파단되는 본 체결이 수행되면 고정용 볼트(330)에 의한 도체부(10)의 소성 변형이 발생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도체 소선 들이 유입되어 도체 입자(mp)의 투입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xing
그리고, 전술한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달리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의 모두에 통전용 볼트(310)를 임시 체결하고, 이 중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은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통전용 볼트(310)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embodiment of FIGS. 4 to 7 described above, the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용공간의 측부에 형성된 통전용 체결홀(710)을 통해 상기 도체 입자(mp)를 주입해야 하므로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710) 중에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체 입자(mp)의 투입을 위해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지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어야 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conductive particles (mp) must be injec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710 for energizing formed in th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energizing 710 is formed of the conductive particles ( For the input of mp) it should be left open the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주입용 체결홀(740)를 별도로 구비하게 되므로, 상기 도체 입자(mp)의 투입을 위해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 중에 하나를 개방된 상태로 남겨둘 필요가 없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절연층(30)의 상단부에 스페이서(78)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단부가 상기 스페이서(78)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상기 도체부(10)의 삽입 높이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체 입자(mp)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0, the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78)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H3)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8)가 분리되어 제거된 상태의 수용공간의 높이(H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도록 상기 스페이서(78)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H3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state where the
즉, 상기 스페이서(78)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체적이 상기 스페이서(78)가 분리되어 제거된 상태의 수용공간의 내부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된다.That is, the inner volume of the accommodating space in the state where the
이 경우, 도 10과 같이 상기 스페이서(78)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도체 입자(mp)를 주입하게 된다.In this case, in the state where the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서 아래를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을 통해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게 되므로 상기 수용공간의 전체 영역에 상기 도체 입자(mp)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나아가 상기 수용공간의 꼭대기까지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case, the conductor particles (mp) are introduced into the entire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because the conductor particles (mp) are introduced through the
이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8)를 상기 전력케이블(100)에서 제거하게 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1, the
이때, 상기 도체 인출봉(70)이 하강하는 경우에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하단부가 상기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돌출하게 되므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강이 멈추게 되며,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하강 높이가 정해지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lower end of the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8)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체적에 비해 상기 스페이서(78)가 분리되어 제거된 상태의 수용공간의 내부체적이 상대적으로 더 작게 되므로, 상기 스페이서(78)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도체 입자(mp)는 압축되어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도체부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페이서를 생략한 상태로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에 삽입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310)를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통전용 체결홀(710)에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임시 체결하여 상기 수용홈(71a)에 삽입되는 상기 도체부(10)의 삽입 높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71a)의 천장을 이격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체결과정에서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사용하여 도체부(10)의 도체를 소성 변형 또는 관통하는 방법으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와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2, the body portion of the conductor withdrawal rod (70) by the method of plastic deformation or through the conductor of the
즉, 상기 도체 입자(mp)를 상기 수용홈(71a)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체부(10)의 단부 측면과 도체 입자(mp)의 접촉상태를 강화하기 위함이다.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or particle (mp)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71a), before the fastening the
상기 도체 입자(mp)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작은 금속 입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순 주입된 상태에서는 입자들 사이에 공극이 상당 부분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통전용 볼트(310)의 체결도 완료되면, 상기 도체 입자(mp) 사이의 공극이 감소 또는 제거되며 상기 도체 입자간 접촉면적 및 상기 도체입자와 상기 도체부(10)의 단부 측면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도체부(10)는 고정용 볼트(33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The conductor particles (mp)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made of small metal particles, and the like, and in a simple injected state, a significant portion of voids may exist between the particles. However, as shown in FIG. 12, when the fastening of the energizing
또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본체결이 되어 상기 도체부(10)의 단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하단부와 헤드부 사이에 형성된 몸체부(나사산이 형성된 부분)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최대 직경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형상을 반구 형태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를 본 체결하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수용공간(S)에 도체 입자(mp)가 충진된 상태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다.When the fixing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에서 투입된 도체 입자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를 통해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상기 도체부(10)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이 경우, 상기 도체부(10)를 통전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는 단계와 함께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는 단계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tep of energizing the
상기 도체부 통전단계에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에 체결되는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mp)들에 함께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체결하게 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진입하며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압착하는 동시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몸체부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볼트와 상기 도체부 및 상기 도체 인출봉이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압축된 도체 입자와 함께 도체 단부(면)이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통전 경로를 다각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에 통전용 볼트(310)를 더 체결하게 되어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에 체결된 통전용 볼트(310)와 더불어 상기 주입용 체결홀(740)에 체결된 통전용 볼트(31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mp)를 추가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도체 입자(mp) 사이의 공극을 최대한 줄여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bolt for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set forth below. Could be done. Therefore, it should be seen that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도체부
70 : 도체 인출봉
100 : 전력케이블
1000 : 접속함
10: conductor part
70: conductor withdrawal rod
100: power cable
1000: junction box
Claims (27)
전력케이블의 도체부;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도체 인출봉;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부의 수용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 rod connecting the conductor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ment wires of the power cable to the conductor lead rod of the terminal box,
A conductor portion of the power cable;
A conductor drawing rod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conductor portion of the power cable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of a lower end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 plurality of conductor particles inserted into an accommodating space above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ar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ductor extracting ro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onductor extracting rod;
At least one electrification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ductor part and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by pressing the conductor particles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d a fixing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to fix the conductor par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bolt and the fixing bolt are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bolt is broken and separated when a torqu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applied.
상기 수용 공간에 도체 입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는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onductive bolt is fasten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conductive bolt is pressed by the upper end of the conductive portion and the conductive bolt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rticles having reduced voids.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and conductor lead-out rod.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or particles are made of silver, copper, or an alloy material thereof, or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draw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is plated with silver, copper, or an alloy material thereof.
상기 도체 입자는 커팅된 구리 재질의 와이어 또는 커팅된 구리재질의 와이어를 은도금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ductor particle i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silver-plated cut copper wire or cut copper wire.
상기 도체 인출봉은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or drawing rod i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draw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in-plated copper or tin-plated copper alloy material.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bolt and the current-carrying bolt i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ss or brass alloy material.
상기 도체 인출봉은 하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수용홈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has a body portion providing an accommodation groove into which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is inserted,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 connecting structure of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withdraw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bolt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8,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xing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plurality of fixing bolt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고정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려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9,
The fastening hole for the electricity supply and the fastening hole for fix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drawout connecting structure.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져서 형성되는 주입용 체결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9,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drawout r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hole for injec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ceiving space i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electrical bolts.
상기 주입용 체결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상기 도체 입자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injected toward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상기 도체 인출봉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를 연결하는 경사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입용 체결홀은 상기 경사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ductor drawing rod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도체 인출봉의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 사이의 수용공간으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단계;
상기 도체 인출봉에 고정용 볼트를 체결하여 도체부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 및,
상기 도체 인출봉에 통전용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서 투입된 도체 입자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를 통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 rod connecting the conductor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ment wires of the power cable to the conductor lead rod of the terminal box,
A conductor part inserting step of inserting a conductor part of the power cable through an opening of a lower end of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 conductor particle input step of introducing a plurality of conductor particles into th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A conductor portion fixing step of fixing the conductor portion by fastening a fixing bolt to the conductor drawing rod; And,
The conductor part energizing step of fastening the conduction bolt to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to reduce the voids of the conductor particles introduced in the conductor particle injecting step,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through the compressed conductor particles. Connection method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including;
상기 도체부 삽입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임시 체결하여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상기 도체부의 삽입 높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의 천장을 이격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ductor inserting step may temporarily tighten at least one current-carrying bolt to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to limit the insertion height of the conductor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to separate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ortion from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groove. A method of connecting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draw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the receiving space.
상기 도체부 삽입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임시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단부에 미리 결정된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서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 인출봉의 하단부가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ductor part inserting step
Temporarily fastening at least one current carrying bolt to the conductor drawing rod;
Disposing a spac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an end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inserting a lower end of the conductor lead-out rod in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pacer when the conductor portion of the power cabl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ductor lead-out rod, wherein the height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determined. Method of connecting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져서 형성된 주입용 체결홀을 통해 상기 도체 입자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전력케이블에서 분리하여 상기 도체 인출봉이 자중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도체 인출봉에 임시 체결된 상기 통전용 볼트의 단부가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에 걸려 상기 도체 인출봉이 하강하는 높이가 제한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ductor particle input step
Injecting the conductor particles through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pacer is separated from the power cable so that the conductor drawing rod descends due to its own we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end of the current-carrying bolt temporarily fastened to the conductor drawing rod is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ortion, thereby limiting the height at which the conductor drawing rod falls. And compressing by reducing the gap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져서 형성된 주입용 체결홀을 통해 상기 도체 입자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conductor particle input step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withdrawal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introduced through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ceiving space.
상기 도체부 통전단계에서 체결되는 상기 통전용 볼트가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와 도체입자에 함께 접촉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The method of claim 14,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withdrawal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on bolt is fastened in the conduction step of the conductor portion is performed to contact the upper end and the conductor particles of the conductor portion.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파단 볼트이며, 상기 도체부 고정단계 및 상기 도체부 통전단계는 상기 도체 인출봉의 외주면으로 고정용 볼트와 통전용 볼트가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용 볼트와 통전용 볼트의 헤드부를 파단시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The method of claim 14,
The fixing bolt and the energizing bolt are break bolts, and the fixing of the conductor part and the conducting part of the conductor part are performed so that the fixing bolt and the electricity supply bolt are not expos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lead-out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by breaking the head portion.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을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
상기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상기 고정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의 수용홈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의 천장 사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In the power cable conductor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conductor portion of the power cable to the conductor lead rod of the termination box,
A lower end portion is opened to provide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ductor is insert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in advance. A conductor drawing rod having a fixing fasten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least one electricity supply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for electricity transmission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ductor part to the conductor drawing rod;
At least one fixing bolt fastened to the fixing fastening hole to fix the conductor par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nductor drawing rod; And
And a plurality of conductor particles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groov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Device.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단되어 분리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파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The method of claim 21,
The power supply bolt and the fixing bolt are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pullout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roken bolt including a head portion is broken apart when a torqu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applied.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The method of claim 21,
The conductor particles are made of silver, copper or an alloy thereof, or a connection device of a power cable and a conductor draw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is plated with silver, copper or an alloy thereof.
상기 도체 인출봉은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The method of claim 21,
The conductor drawing rod is a connecting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draw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in-plated copper or tin-plated copper alloy material.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The method of claim 21,
The fixing bolt and the current-carrying bolt is a connection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draw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ss or brass alloy material.
상기 도체 인출봉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져서 형성되는 주입용 체결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The method of claim 21,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bolts are fastened to the conductor withdrawing rod and further provided with an injection coupling hol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주입용 체결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상기 도체 입자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The method of claim 26,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power cable and the conductor withdrawal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injected toward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injection fastening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548A KR102547375B1 (en) | 2018-03-14 | 2018-03-14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Withdrawing Ro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548A KR102547375B1 (en) | 2018-03-14 | 2018-03-14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Withdrawing Ro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256A true KR20190108256A (en) | 2019-09-24 |
KR102547375B1 KR102547375B1 (en) | 2023-06-22 |
Family
ID=6806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9548A Active KR102547375B1 (en) | 2018-03-14 | 2018-03-14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Withdrawing Ro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737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0274B1 (en) * | 2020-12-17 | 2022-05-20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Method of bonding different materials using bonding hardware |
CN116374410A (en) * | 2023-04-07 | 2023-07-04 | 苏州市星辰新材料集团有限公司 | Folded plate applied to drawing packaging box and drawing packaging box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2167A (en) * | 2015-10-08 | 2017-04-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Conductor sleeve and cable connector having the same |
WO2018041321A1 (en) * | 2016-09-05 | 2018-03-08 | Relibond Aps |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interface-forming device and use of a cold spraying apparatus for forming a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
-
2018
- 2018-03-14 KR KR1020180029548A patent/KR1025473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2167A (en) * | 2015-10-08 | 2017-04-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Conductor sleeve and cable connector having the same |
WO2018041321A1 (en) * | 2016-09-05 | 2018-03-08 | Relibond Aps |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interface-forming device and use of a cold spraying apparatus for forming a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0274B1 (en) * | 2020-12-17 | 2022-05-20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Method of bonding different materials using bonding hardware |
CN116374410A (en) * | 2023-04-07 | 2023-07-04 | 苏州市星辰新材料集团有限公司 | Folded plate applied to drawing packaging box and drawing packaging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7375B1 (en) | 2023-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15423B2 (en) | Tapered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 |
US1718817A (en) | Cable connecter | |
CN104396089B (en)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 |
KR102350622B1 (en) | Pulling eye for submarine cable, method for installing for the same, and submarine cable having the same | |
US8777679B2 (en) |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to receive various diameter cable | |
KR20190108256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Withdrawing Ro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
KR102776988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 |
US3848955A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tapping a concentric electrical cable | |
US2876190A (en) | Duct anode | |
KR102614999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Withdrawing Rod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
KR102419395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
KR102544900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Withdrawing Rod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
CN214706418U (en) | High-voltage connector for linear motor and linear motor with high-voltage connector | |
KR20140041983A (en) | Termination connection box for high voltage cable | |
KR102547374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
KR102565605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 |
KR102500202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 |
KR102096111B1 (en) | Premolded joint for DC cable | |
CA3219563A1 (en) | Cartridge apparatuses for electrical interconnection | |
CN109802351B (en) | Fully dry cable termination and cable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ssembling or modifying the same | |
KR20100004438U (en) | Divergence Sleeve of Power Line | |
KR102471823B1 (en) | Multi step fracture bolt, power cab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device of power cable's conductor | |
KR102545397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 |
KR102768649B1 (en) | Branch sleeve for connection of electric pole grounding line | |
CN214313739U (en) | Mineral substance insulation fireproof c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