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6988B1 -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6988B1
KR102776988B1 KR1020200036986A KR20200036986A KR102776988B1 KR 102776988 B1 KR102776988 B1 KR 102776988B1 KR 1020200036986 A KR1020200036986 A KR 1020200036986A KR 20200036986 A KR20200036986 A KR 20200036986A KR 102776988 B1 KR102776988 B1 KR 10277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sleeve member
conductor
sleeve
paragrap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0368A (en
Inventor
이덕규
손시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6988B1/en
Publication of KR2021012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698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함에서 코로나 실드를 생략하고, 파단볼트로 도체와 체결되는 슬리브 부재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 슬리브 부재와 전력케이블의 도체 간의 체결력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수축현상(shrink back)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which omits a corona shield in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of a power cable, secures a sufficient thickness of a sleeve member connected to a conductor with a rupture bolt, thereby sufficiently securing a connection force between a sleeve member and a conductor of a power cable, while also preventing shrinkage of an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work of the power cable.

Description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중간접속함{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함에서 코로나 실드를 생략하고, 파단볼트로 도체와 체결되는 슬리브 부재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 슬리브 부재와 전력케이블의 도체 간의 체결력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수축현상(shrink back)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which omits a corona shield in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of a power cable, secures a sufficient thickness of a sleeve member connected to a conductor by a rupture bolt, thereby sufficiently securing a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sleeve member and a conductor of a power cable, while also preventing shrinkage of an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work of the power cable.

전력케이블은 장거리 전력망 구축을 위하여 미리 결정된 길이 간격으로 접속될 수 있고, 종단 접속을 통해 변전 또는 배전 후 전력 수요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Power cables can be connected at predetermined length intervals to build a long-distance power grid, and power can be supplied to power demand points after substation or distribution through terminal connections.

이러한 전력케이블을 중간접속하는 경우, 접속되는 양 전력케이블의 도체는 슬리브 부재를 이용한 압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When connecting these power cables, the conductors of both power cables to be connected can be connected by methods such as crimping or welding using a sleeve material.

전력케이블의 도체는 통상 도체로서 구리(Cu) 도체 또는 알루미늄(Al) 금속 재질로 굴곡 특성 등을 위하여 복수 개의 소선을 연합한 집합 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The conductor of a power cable is usually a copper (Cu) conductor or aluminum (Al) metal material, and a composite conductor made of multiple wires may be used for bending characteristics, etc.

종래 구리(CU) 재질 소선을 집합하여 구성된 집합 도체의 경우, 집합 도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슬리브 부재에 삽입하여 압착의 방법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알루미늄(AL) 소선으로 구성된 집합 도체의 경우, 집합 도체를 구성하는 알루미늄(Al) 재질의 복수의 소선 가닥들을 모두 분리하고 이들 사이의 수밀용 종이테이프 또는 컴파운드를 제거한 후 용접의 방법으로 도체 접속이 수행되었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nductor assembly composed of copper (CU) material wires, the insulation layer of each wire constituting the conductor assembly is removed, they are assembled again, inserted into a sleeve member, and connected using a crimping method. In the case of a conductor assembly composed of aluminum (AL) wires, all of the multiple aluminum (Al) material wire strands constituting the conductor assembly are separated, the watertight paper tape or compound between them is removed, and then the conductor is connected using a welding method.

슬리브 부재를 이용한 압착 또는 용접 등의 도체 접속방법은 모두 도체를 구성하는 소선들의 절연층 제거 과정에서 도전성 물질의 비산으로 잠재적 품질 리스크가 커지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도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All conductor connection methods, such as crimping or welding using sleeves, have the problem that potential quality risks increase due to the scattering of conductive materials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insulation layer of the wires that make up the conductor, and that the work time is long and the cost is high.

최근에는 슬리브 부재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접속하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압착 또는 용접을 하지 않고 슬리브 부재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파단 볼트 등을 사용하여 슬리브 부재와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체결하는 방법이 소개된 바가 있다.Recently, a method has been introduced in which a sleeve member is used to connect a conductor of a power cable, but instead of crimping or welding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sleeve member and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is fastened using a rupture bolt, etc.

파단 볼트가 슬리브 부재와 체결되며 소선으로 구성된 집합 도체를 소성 변형시켜 도체, 파단 볼트 및 슬리브 부재로 구성되는 통전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rupture bolt is connected to the sleeve member, and a conductor assembly composed of a single wire is plastically deformed so that a current-carrying path composed of the conductor, the rupture bolt, and the sleeve member can be formed.

파단 볼트와 슬리브 부재를 이용한 도체 접속의 경우, 압착/용접 공정은 생략되나 도체와 슬리브 부재의 충분한 체결력 확보를 위해서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슬리브 부재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conductor connection using a rupture bolt and sleeve member, the pressing/welding process is omitted, but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fastening force between the conductor and sleeve member,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pipe must be sufficiently secured.

그러나 XLPE 절연층을 구비하는 전력케이블의 접속을 위하여, 슬리브 부재를 적용한 중간접속함은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와 조인트 슬리브(PMJ, pre-molded joint)를 구성하는 고압전극 사이에 도체 접속구조를 감싸는 코로나 실드가 사용되므로, 코로나 실드의 두께 등을 고려하면 그 내부에 수용되는 슬리브 부재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코로나 실드를 생략하는 구조를 고려하여도 절연층 수축 현상(shierink back)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방법이 요구된다.However, in order to connect a power cable having an XLPE insulation layer, an intermediate joint box using a sleeve member uses a corona shield that wraps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leeve member constitu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high-voltage electrode constituting the joint sleeve (PMJ, pre-molded joint).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corona shield, etc.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accommodated therein is not sufficiently secured, and even when a structure omitting the corona shield is considered, a separate method is required to prevent insulation layer shrinkage (shierink back).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함에서 코로나 실드를 생략하고, 파단볼트로 도체와 체결되는 슬리브 부재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 슬리브 부재와 전력케이블의 도체 간의 체결력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수축현상(shrink back)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for a power cable, which omits a corona shield in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of a power cable, secures a sufficient thickness of a sleeve member connected to a conductor with a rupture bolt, thereby sufficiently securing a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sleeve member and a conductor of a power cable, while also preventing shrinkage of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work of the power cab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체, 내부 반도전층, 가교 폴리에틸렌 재질의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있어서, 한 쌍의 전력케이블에서 탈피되어 노출된 도체; 길이방향 양단에 한 쌍의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가 삽입되는 접속부 및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및, 상기 슬리브 부재의 접속부로 각각 삽입된 도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와 상기 절연층의 경계영역을 마감하며 장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for connecting a conductor portion of a power cable hav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made of cross-linked polyethylene material,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a pipe-shaped sleeve member having a pair of conductors stripped off from a pair of power cable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which a pair of conductors of the power cables are inserted; and a fixing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of the sleeve member to fix the conductors each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leeve member; and a cover member mounted to close a boundary area between the sleeve member and the insulating layer.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길이가 내경보다 작은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ver member may be configured in a pipe shape with a length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ver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그리고,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는 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can be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in an assembled state.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의 양단 내주면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슬리브 부재 단부 외주면은 형합되어 걸림고정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that is fitted and fixed.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의 양단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슬리브 부재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may be a projec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and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의 양단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슬리브 부재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은 원주방향으로 연속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and the fixing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can be forme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상기 절연층,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슬리브 부재의 외경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s of the insulating layer, the cover member, and the sleeve member constitu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may be the same.

이 경우, 상기 슬리브 부재의 내측 중심부 영역에 구획벽이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은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artition wall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sleeve member,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into which a plurality of fixing bolts are fastened can be formed distribut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central region.

그리고,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fixing bolt may be a breakable bolt whose head breaks and separates when a torqu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여기서, 상기 슬리브 부재는 구리, 구리 합금,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 합금 재질 재질일 수 있다.Here, the sleeve member may be made of copper, copper alloy, tin-plated copper or tin-plated copper alloy material.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xing bolt may be made of brass or a brass alloy.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구조;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에 접촉되는 고압전극,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에 접촉되는 한 쌍의 차폐전극 및, 상기 고압전극,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차폐전극을 감싸는 슬리브 절연층을 포함하는 조인트 슬리브; 및, 한 쌍의 전력케이블, 상기 조인트 슬리브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for a power cabl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ower cabl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 high-voltage electrode contacting a sleeve member constitu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 pair of shielding electrodes contacting an outer semiconduc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a joint sleeve including a sleeve insulation layer wrapping the high-voltage electrode, an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hielding electrode; and a housing wrapping the pair of power cables and the joint sleeve.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면, 파단 볼트로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슬리브 부재를 체결하므로, 절연된 소선의 절연 제거 공정의 생략이 가능하므로 도체 접속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are connected by a rupture bolt, the insulation removal process of the insulated wire can be omitted, so the workability of the conductor connection work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면,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코로나 실드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슬리브 부재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 고정용 볼트에 의하여 전력케이블과 슬리브 부재를 충분히 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corona shield constitu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is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can be sufficiently fastened by the fixing bol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면,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코로나 실드를 생략하여도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슬리브 부재의 경계 영역을 마감하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슬리브 부재를 걸림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적용하여, 조인트 슬리브의 장착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력케이블의 도체 통전시 발생되는 절연층 수축 현상을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orona shield constitu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is omitte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is finished, and a cover member that hooks and fixes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is applied,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when mounting the joint sleeve and preventing or alleviating the phenomenon of shrinkage of the insulation layer that occurs when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is energized.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구비되는 슬리브 부재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리브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의 측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의 조립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비하는 중간접속함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Figure 1 illustrates a multi-stage stripp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sleeve member provided in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eeve member illustrated in FIG. 2.
Figures 4 and 5 illustrate sid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11 illustrat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having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s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represent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1 illustrates a multi-stage stripp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100)은 도체(11), 내부반도전층(12), 케이블 절연층(14), 외부반도전층(16)을 포함하여, 도체(11)를 따라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만 전력을 전송하고, 케이블 반경 방향으로는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블 코어부(1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power cable (100) includes a conductor (11),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12), a cable insulation layer (14),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16), and has a cable core portion (10) that transmits power only in the cable length direction along the conductor (11) and prevents current from leaking in the cable radius direction.

상기 도체(11)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전율이 우수하고 케이블 제조 및 사용에 적절한 강도와 유연성을 가진 소재,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ductor (11) above acts as a passage through which current flows to transmit power,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pper or aluminum, that has excellent conductivity and strength and flexibility suitable for cable manufacturing and use to minimize power loss.

상기 도체(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소선이 각각 그룹화 연선되어 집합된 집합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집합도체는 1+6 구조의 집합도체를 구성하지만, 상기 도체로서 집합도체를 구성하는 방법은 4분할, 5분할 및 1+N 분할 등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ductor (11) above may be configured as a conductor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each grouped and connected as shown in Fig. 1. The conductor assembly shown in Fig. 1 configures a conductor assembly having a 1+6 structure, but the conductor assembly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combinations such as 4-segmentation, 5-segmentation, and 1+N-segmentation.

상기 도체는 복수 개의 소선이 연선되어 형성되므로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1) 표면과 후술하는 케이블 절연층(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Since the conductor is formed by twisting multiple wires, its surface is not smooth, so the electric field may be uneven, and corona discharge may easily occur partially. In addition, if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conductor (11) surface and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described later, the insulation performance may deteriorat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11) 외부에는 내부반도전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은 절연성 물질에 카본블랙, 카본 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입자가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 internal semiconducting layer (12)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or (11). The internal semiconducting layer (12) may have semiconductivity by adding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carbon nanotubes, carbon nanoplates, and graphite to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은 상기 도체(11)와 후술하는 케이블 절연층(14) 사이에서 급격한 전계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체(11)면의 불균일한 전하분포를 억제함으로써 전계를 균일하게 하고, 도체(11)와 케이블 절연층(1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절연파괴 등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The above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prevents a sudden change in electric field between the conductor (11) and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described below, thereby stabiliz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it suppresses the uneven charge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11), thereby making the electric field uniform, and prevents the formation of a gap between the conductor (11) and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thereby suppressing corona discharge, insulation breakdown, etc.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도체(11)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준다.The above cable insulation layer (14)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12)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nductor (11) from the outside so that it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상기 절연층(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하며, 유전손실이 적고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닌 절연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절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베이스로 하는 수지, 특히 가교 폴리에틸렌(Cross-Linked PolyEthyline(XLPE))이 사용될 수 있다. The above insulating layer (14)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composition that has a high breakdown voltage, an insulating performance that can be stably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 low dielectric loss, and heat resistance, and the insulating composition may be a poly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referably a resin based on polyethylene resin, and in particular,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may be used.

또한, 상기 절연 조성물은 무기 나노 입자 또는 유기 극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 내지 유기 극성물질은 상기 전력케이블이 통전시 상기 도체(11)로부터 상기 절연층(14)으로 주입되거나 상기 절연층(14)의 가교시 발생하는 부산물에 의해 형성된 공간전하(space charge)를 트랩핑(trapping)함으로써, 상기 공간전하에 의해 상기 도체근방의 전계강도가 상승되고 이로써 상기 절연층의 중첩 임펄스 파괴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inorganic nanoparticles or organic polar substances. The inorganic nanoparticles or organic polar substances trap space charges formed by by-products that are injected from the conductor (11) into the insulating layer (14) when the power cable is energized or by cross-linking of the insulating layer (14), thereby increasing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near the conductor due to the space charges, thereby suppressing a decrease in the superimposed impulse breakdown strength of the insulating layer.

뿐만 아니라, 상기 절연 조성물은 상기 무기 나노 입자 이외에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가교 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화학 가교시 디큐밀퍼옥사이드 같은 유기과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절연층의 산화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페놀계, 퀴논계, 아민계 등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코치 억제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가교시 가교 특성의 추가 확보와 장기압출에 따른 스코치(scorch)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additives such as a crosslinking agent, an antioxidant, and a scorch inhibitor in addition to the inorganic nanoparticles. The crosslinking ag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crosslinking method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rganic peroxide such as dicumyl peroxide in the case of chemical crosslinking. The antioxidant performs a function of suppressing deterioration due to oxidation of an insulating layer formed from the insulating composi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antioxidant such as a phenol type, a quinone type, or an amine type. The scorch inhibitor performs a function of further securing crosslinking characteristics during crosslinking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and suppressing scorch due to long-term extrusion.

상기 절연층(14)은 상기 절연 조성물을 압출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반도전층 및 후술하는 외부반도전층(16)과 함께 압출함으로써 상기 절연층과 상기 내부반도전층 내지 외부반도전층(16) 간의 계면에 공극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bove insulating layer (14) can be formed by extruding the insulating composition, and by extruding together with the inner semiconducting layer and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gap or the intrusion of foreign substance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inner or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의 외부에는 외부반도전층(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내부반도전층과 같이 절연성 물질에 도전성 입자, 예를 들면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이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절연층(14)과 후술하는 금속시스(22) 사이의 불균일한 전하 분포를 억제하여 절연 성능을 안정화한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 절연층(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블 절연층(14)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An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16)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16) is formed of a semiconductive material by adding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carbon nanotubes, carbon nanoplates, and graphite, to an insulating material like the internal semiconductive layer, thereby suppressing uneven charge distribution between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and a metal sheath (22) described below, thereby stabilizing insul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16) may perform the function of smoothing the surface of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in the cable, alleviat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preventing corona discharge, and physically protecting the cable insulation layer (14).

상기 케이블 코어부(10)의 외부에는 케이블 보호부(20)가 구비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100)은 케이블 외장부(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 및 케이블 외장부는 케이블의 전력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분침투, 기계적 외상, 부식 등의 다양한 환경요인으로부터 코어부를 보호한다.A cable protection section (2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ble core section (10), and a power cable (100) laid on the seabed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with a cable outer section (30). The cable protection section and cable outer section protect the core section from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oisture penetration, mechanical trauma, and corrosion that may affect the power transmission performance of the cable.

상기 외부반도전층(16) 외측에 구비될 수 있는 수분 흡수부(2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흡수부는 상기 도체(11)의 연선된 소선 사이 및/또는 상기 도체(1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분 흡수부는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A moisture absorbing portion (21) that can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6)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moisture absorbing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stranded wires of the conductor (11) and/or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or (11),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owder, tape, coating layer, or film, etc., includ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SAP) that absorbs moisture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cable at a high speed and has an excellent ability to maintain an absorbed state, and serve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ble. In addition, the moisture absorbing portion may have semiconductivity in order to prevent a rapid electric field change.

상기 케이블 보호부(20)는 수분 흡수부(21) 외측에 금속시스(22)와 고분자 시스(24)를 포함하여, 사고전류, 외력 내지 기타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한다.The above cable protection member (20) includes a metal sheath (22) and a polymer sheath (24) on the outside of the moisture absorption member (21), thereby protecting the cable from fault current, external force, and o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상기 금속시스(22)는 상기 코어부(10)를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해저와 같은 환경에 포설되는 경우,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케이블 코어부(10)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코어부(10)를 실링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코어부(10) 외부에 용융된 금속을 압출하여 이음새가 없는 연속적인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차수성능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납(Lead)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100)의 경우에는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계적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금속 원소를 첨가한 합금 연(Lead alloy)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above metal sheath (22) can be formed to surround the core part (10). In particular, when the power cable (100) is laid in an environment such as the seabed, the cable core part (10) can be formed to seal the cable core part (10)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cable core part (10), and the cable core part (10) can be formed to have a seamless and continuous outer surface by extruding molten metal to provide excellent water-proofing performance. Lead or aluminum is used as the metal, and in the case of a power cable (100) laid in the seabed, it is preferable to use lead that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seawater,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lead alloy to which a metal element is added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또한, 상기 금속시스(22)는 전력케이블(100) 단부에서의 접지되어 지락 또는 단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고, 전계가 케이블 외부로 방전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sheath (22) is grounded at the end of the power cable (100) and acts as a passage for the accident current to flow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a ground fault or short circuit, and can protect the cable from external impact and prevent the electric fiel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le.

또한, 상기 금속시스(22)는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상기 고분자 시스(24)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부식 방지 컴파운드, 예를 들어,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도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sheath (22) may be coated with a corrosion-preventing compound, such as blown asphalt, on the surface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of the cable and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polymer sheath (24).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 시스(22)와 상기 케이블 코어부(10) 사이에는 동선직입 테이프 내지 수분 흡수층(21)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는 동선(Copper wire)과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반도전층(16)과 금속시스(22)간의 전기적 접촉을 원활히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수분흡수층(21)은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와 수분 흡수층(21)은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반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전 및 수분흡수 작용을 모두 할 수 있도록, 수분 흡수층에 동선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pper wire tape or moisture-absorbing layer (2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metal sheath (22) and the cable core portion (10). The copper wire tape is composed of copper wire and a non-woven tape, etc., and functions to facilitat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 and the metal sheath (22), and the moisture-absorbing layer (21) is composed in the form of a powder, tape, coating layer, or film contain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SAP) that absorbs moisture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cable quickly and has an excellent ability to maintain an absorbed state, and function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 the cable length direction. In addition, the copper wire tape and the moisture-absorbing layer (21) preferably have semiconductivity in order to prevent rapid electric field changes, and may be configured by including copper in the moisture-absorbing layer so that both current-conducting and moisture-absorbing functions can be performed.

상기 고분자 시스(24)는 상기 금속시스(22)의 외부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스(24)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100)의 경우에는 차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 polymer sheath (24)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bove metal sheath (22)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of the cable and to protect the cable from mechanical trauma and o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eat and ultraviolet rays. The above polymer sheath (24) can be formed of a resin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polyethylene, etc. In the case of a power cable (100) laid on the seabed,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ethylene resin with excellent water resistance, and in an environment where flame retardancy is required,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vinyl chloride resin.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고분자 시스(24)의 외측에 아연도금 처리된 강철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는 금속강대층(26)을 구비하여, 상기 절연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금속시스(22)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강대층(26)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반도전성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전력케이블(1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는 베딩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내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외부 시스(28)를 더 구비하여 전력케이블(100)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above power cable (100) is provided with a metal sheath layer (26) made of a zinc-plated steel tape, etc., on the outer side of the polymer sheath (24), so as to prevent the metal sheath (22) from expanding due to the expansion of the insulating oil. In addition, a bedding layer (not shown) made of a semiconductive non-woven tape, etc., to buffer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ower cable (1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or lower side of the metal sheath layer (26), and an outer sheath (28) made of a resin, such as polyvinyl chloride or polyethylene, may be further provided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water-proofing properties, etc. of the power cable (100), and to additionally protect the cable from mechanical trauma and o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eat and ultraviolet rays.

또한, 해저에 포설되는 해저용 전력케이블은 선박의 닻 등에 의해 외상을 입기 쉬우며, 해류나 파랑 등에 의한 굽힘력, 해저면과의 마찰력 등에 의해서도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보호부의 외부에 케이블 외장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submarine power cables laid on the seabed are easily damaged by ship anchors, etc., and can also be damaged by bending force due to ocean currents or waves, friction with the seabed, etc., so to prevent this, a cable outer sheath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ble protection section.

이와 같은 전력케이블은 일정 길이 단위로 제조되어 보빈 등에 권취되어 포설 현장에 제공되어 중간접속함을 통해 중간접속이 수행되거나, 종단접속함을 통해 종단접속이 수행되어 전력망을 구축할 수 있다.Power cables of this type are manufactured in units of a certain length, wound on bobbins, etc., and provided to the installation site, where intermediate connections are made through intermediate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connections are made through terminal connection boxes, thereby constructing a power grid.

이하, 중간접속함 및 종단접속함에서의 전력케이블의 도체 속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Below, the conductor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and terminal connection box is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구비되는 슬리브 부재(200)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리브 부재(2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FIG. 2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sleeve member (200) provided in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eeve member (200) illustrated in FIG. 2.

전력케이블의 접속을 위해서는 도체와 절연체가 노출되도록 전력케이블의 단부를 탈피하고, 탈피된 도체가 삽입되어 접속되기 위한 슬리브 부재(200)를 구비한다.In order to connect a power cable, the end of the power cable is stripped so that the conductor and insulator are exposed, and a sleeve member (200) is provided for inserting and connecting the stripped conductor.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접속하는 방법으로 슬리브 부재(200)를 사용하는 방법과 양 도체를 용접하는 방법이 있으나,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슬리브 부재(200)에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10a, 10b)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도체가 장착된 슬리브 부재(200)를 압착하는 방법으로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There are two methods for connecting conductors of a power cable: a method using a sleeve member (200) and a method of welding two conductors. However, considering workability, etc.,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can be formed by inserting and mounting a pair of conductors (10a, 10b) of a power cable into a sleeve member (200) and compressing the sleeve member (200) to which the conductors are mounted.

상기 슬리브 부재(200)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양단에 반대 방향으로 도체 삽입이 가능한 접속부(2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내측 중심부에는 구획벽(250)이 구비되어 도체 삽입 위치 또는 한계를 결정하고, 그 구획벽(250)이 양 도체의 단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충분한 통전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leeve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in a pipe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210) at both ends that allows conductor insertion in opposite directions. In addition, a partition wall (250) may be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sleeve member (200) to determine a conductor insertion position or limit, and the partition wall (250) may be configured to mak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ross sections of both conductors to secure a sufficient current conduction path.

상기 슬리브 부재(200)는 통전성이 좋은 구리, 구리 합금,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sleeve member (200) may be composed of copper, copper alloy, tin-plated copper, or tin-plated material having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200)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을 위한 복수 개의 체결홀(23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eeve member (200) constitu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30) for fastening a plurality of fixing bolts (330).

전술한 상기 구획벽(250)은 슬리브 부재(200)의 내측 중심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상기 고정용 볼트(330)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230)은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200)에 형성된 체결홀(230)은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artition wall (25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sleeve member (20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30) into which a plurality of fixing bolts (330) are fastened may be formed dispersedly in a region other than the central region. 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s (230) formed in the sleeve member (200) may have screw thre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for fastening the fixing bolts (330).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200) 단부 외주면은 후술하는 커버부재(50)가 형합되어 걸림고정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후술하는 커버부재(50)의 양단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상기 슬리브 부재(200) 양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215)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으로서의 고정홈(215)은 원주방향으로 연속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20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to which the cover member (50) described later is fitted and fixed, and the fixing means may be a fixing projec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50) described later and a fixing groove (21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sleeve member (200), and further,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fixing groove (215) as the fix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1)의 측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Figures 4 and 5 illustrate sid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체, 내부 반도전층, 가교 폴리에틸렌(Cross-Linked PolyEthyline(XLPE)) 재질의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1)를 제공하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1)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에서 탈피되어 노출된 도체(10a, 10b); 길이방향 양단에 한 쌍의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10a, 10b)가 삽입되는 접속부(210) 및 복수 개의 체결홀(230)이 구비되는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200);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접속부(210)로 각각 삽입된 도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홀(230)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330); 및, 상기 슬리브 부재(200)와 상기 절연층의 경계영역을 마감하며 장착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of a power cable for connecting a conductor portion of a power cable hav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on layer made of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material,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wherein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of the power cable may include: a pair of conductors (10a, 10b) stripped from a pair of power cables and exposed; a pipe-shaped sleeve member (200)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210) into which a pair of conductors (10a, 10b) of the power cables are inserte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30)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xing bolt (330)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230) of the sleeve member (200) to fix the conductors each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210) of the sleeve member (200); and a cover member (50) mounted to close a boundary area between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insulation layer.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1)는 중간접속함 내에 장착되는 경우 조인트 슬리브와 도체 접속구조(1) 사이에 장착되던 코로나 실드가 생략될 수 있다.When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the corona shield installed between the joint sleeve and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can be omitted.

종래 도체 접속구조에서 코로나 실드는 상기 슬리브 부재(200)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코로나 실드는 상기 슬리브 부재(200)와 금속선재 등으로 연결되어 등전위를 형성하고, 코로나 실드가 조인트 슬리브의 고압전극(430)과 접촉되도록 조인트 슬리브를 도체 접속구조(1)에 장착하였다.In a conventional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 corona shield is mounted to surround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corona shield is connected to the sleeve member (200) by a metal wire or the like to form an equipotential, and the joint sleeve is mounted to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so that the corona shiel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igh-voltage electrode (430) of the joint sleeve.

따라서,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1)의 마감은 코로나 실드로 구성되었으며, 코로나 실드의 외경과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되었다.Accordingly, the finish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of the power cable is configured with a corona shiel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rona shiel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re configured to be the same.

본 발명은 도체와 슬리브 부재(200)를 접속하는 방법으로 압착이 아닌 파단 볼트 형태의 고정용 볼트(330)를 이용하여 도체를 소성 변형시켜 슬리브 부재(200)를 체결하며, 고정용 볼트(330)와 슬리브 부재(200)를 충분한 체결력으로 체결하기 위해서는 슬리브 부재(200)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코로나 실드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절연층의 외경과 같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 코로나 실드의 두께만큼 슬리브 부재(200)의 두께의 감소가 필요하므로, 파단 볼트 등을 사용하여 도체와 체결되는 슬리브 부재(200)의 두께가 부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necting a conductor and a sleeve member (200), in which a fixing bolt (330) in the form of a rupture bolt, rather than a compression bolt, is used to plastically deform the conductor and fasten the sleeve member (200), and in order to fasten the fixing bolt (330) and the sleeve member (200) with sufficient fastening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200) be sufficiently secured. However, in order to mount the corona shield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200) needs to be reduc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ona shield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ulating layer, an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200) fastened to the conductor using a rupture bolt or the like may be insufficient.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사용되던 코로나 실드를 사용하지 않고, 슬리브 부재(200)와 후술하는 조인트 슬리브의 고압 전극이 직접 접촉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코로나 실드의 두께만큼 슬리브 부재(200)의 두께를 보강하여 파단 볼트 형태의 고정 볼트로 슬리브 부재(200)와 도체를 체결하는 경우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conventional corona shield, but applies a structure in which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high-voltage electrode of the joint sleeve described below are in direct contac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200) is reinforc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ona shield, and when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conductor are connected using a fixing bolt in the form of a breakable bolt, sufficient fastening forc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로 구성되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통전 경로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fixing bolt (330) is made of brass or brass alloy material and can be used as a current path in a state where fastening is completed.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1)에서 코로나 실드를 생략하고 후술하는 조인트 슬리브에 슬리브 부재(200)가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1)의 슬리브 부재(200)의 외경과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rona shield is omitted from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of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2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joint sleev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4, the outer diameter of the sleeve member (200)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of the power cabl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can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는 슬리브 부재(200)에 체결되되 그 내부의 도체를 파고들며 도체를 소성 변형시키며, 도체와 슬리브 부재(200)를 단단하게 체결함과 동시에 소선 절연을 제거하지 않아도 도체와 슬리브 부재(200)를 통한 통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ixing bolt (330) is fastened to the sleeve member (200), penetrates the conductor inside it, plastically deforms the conductor, and firmly fastens the conductor and the sleeve member (200), while forming a current path through the conductor and the sleeve member (200) without removing the wire insulation.

따라서, 압착 등의 방법으로 도체와 슬리브 부재를 접속하는 방법보다 도체의 신축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의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체를 파고들어 체결된 고정용 볼트(330)를 통한 전기적 연결 성능도 형상될 수 있고 도체를 구성하는 소선의 절연을 제거하는 작업도 생략되어 도체 접속작업의 작업성도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conductor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onductor and the sleeve member by a method such as compression,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performance through the fixing bolt (330) that is connected by digging into the conductor can also be formed, and the work of removing the insulation of the wires that constitute the conductor can also be improved, so the workability of the conductor connection work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도체와 슬리브 부재(200)의 체결은 고정용 볼트(330)를 통해 수행되지만, 도체의 통전시 발생되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수축(shrink back) 현상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In this way, the fastening of the conductor and sleeve member (200) is performed through a fixing bolt (330), but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shrink back phenomenon of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that occurs when the conductor is energized.

종래 적용되던 코로나 실드의 경우 도체 접속구조의 슬리브 부재 외측에 장착됨과 동시에 절연층의 단부를 클램핑 하여, 절연층 수축 현상을 방지 또는 완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코로나 실드가 생략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커버부재(50)를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에 커버부재(50)를 적용한다.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슬리브 부재(200)와 상기 절연층의 경계영역을 마감하며 슬리브 부재와 절연층을 고정하며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0)는 길이가 내경보다 작은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절연층과 슬리브 부재(200)의 양단 테두리를 함께 체결한다. 상기 커버부재(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In the case of the corona shield applied in the past, the outer side of the sleeve member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was installed and the end of the insulation layer was clamped at the same time, thereby preventing or alleviating the shrinkage phenomenon of the insulation layer. However, since the corona shield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member (50) is applied to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to compensate for this. The cover member (50) closes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insulation layer, and can be installed while fixing the sleeve member and the insulation layer. The cover member (50) is configured in a pipe shape whose length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and fastens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insulation layer and the sleeve member (200) togeth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ver member (50) will be postponed.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의 조립과정을 도시한다.Figures 6 to 11 illustrat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체결홀(230)이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200)의 양단의 접속부(210)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10a, 10b)를 삽입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in order to configure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onductors (10a, 10b) of a power cable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s (210) at both ends of a pipe-shaped sleeve member (2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30).

각각의 전력케이블의 도체(10a, 10b)는 단부가 슬리브 부재(200)의 중심영역에 구비된 구획벽(250)까지 삽입될 수 있다.The conductor (10a, 10b) of each power cable can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wall (250)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sleeve member (200).

각각의 도체(10a, 10b)가 슬리브 부재(200)의 접속부(210)에 삽입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200)에 형성된 모든 체결홀(230)에 고정용 볼트(330)를 장착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의 헤드가 파단되도록 각각의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면 각각의 고정용 볼트(330)의 하부 영역은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파고들며 도체를 소성 변형시키며 도체와 일체화되고, 상부는 슬리브 부재(200)에 체결된다.When each conductor (10a, 10b)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210) of the sleeve member (200), as illustrated in FIG. 8, fixing bolts (330) are installed in all fastening holes (230) formed in the sleeve member (200), and when each fixing bolt (330) is fastened so that the head of the fixing bolt (330) is broken as illustrated in FIG. 9, the lower region of each fixing bolt (330) digs into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plastically deforms the conductor, and becomes integrated with the conductor, and the upper portion is fastened to the sleeve member (200).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mentioned fixing bolt (330) may be a breakable bolt whose head breaks and separates when a torqu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슬리브 부재의 두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고정용 볼트의 하부 영역이 도체를 파고들며 일체화되는 과정에서 상부 영역이 슬리브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지 못하여, 슬리브 부재가 뒤틀리거나 파손될 수 있다.If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is insufficient, the lower area of the fixing bolt may dig into the conductor and become integrated, and the upper area may not be supported by the sleeve member, which may cause the sleeve member to be distorted or damaged.

그러나, 본 발명은 코로나 실드가 생략되므로 상대적으로 슬리브 부재(200)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슬리브 부재(200)와 도체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rona shield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200) can be made relatively thick enough, thereby improv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conductor.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슬리브 부재(200)를 고정용 볼트(330)로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후술하는 조인트 슬리브 등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9, when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200) are completely fastened with the fixing bolt (330),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200) are configured to be the same, which can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joint sleeve, etc. described later.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와 슬리브 부재(200)의 접속이 완료되면, 슬리브 부재(200)와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경계영역은 커버부재(50)로 마감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0,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sleeve member (200) is complete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can be finished with a cover member (50).

상기 커버부재(50)는 단순히 경계영역을 마감하는 것이 아니라 절연층 수축 현상 등을 방지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 cover member (50) can not only simply close the boundary area, but can also provide a function of preventing shrinkage of the insulation layer, etc.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0)는 길이가 내경보다 작은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50)는 도체와 슬리브 부재(200)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착되도록 제1 커버(50a)와 제2 커버(50b)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cover member (50) may be configured in a pipe shape with a length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and the cover member (50)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first cover (50a) and a second cover (50b) so as to be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sleeve member (200) is completed.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버(50a) 및 제2 커버(50b)는 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부재(53)로 체결되어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cover (50a) and the second cover (50b) can be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53) in an assembled state to maintain the assembled state.

그리고,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0)의 양단 내주면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슬리브 부재(200) 단부 외주면은 형합되어 걸림고정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부재(50)의 양단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51)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 및 상기 슬리브 부재(200)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115, 215)이며, 상기 커버부재(50)의 양단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51)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 및 상기 슬리브 부재(200)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115, 215)은 원주방향으로 연속 형성되어 슬리브 부재(200)와 절연층 경계영역을 마감하는 커버부재(50)는 절연층과 슬리브 부재(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절연층 수축 현상을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6 to 10,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50) and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20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that is fitted and fixed, and the fixing means are a fixing projection (5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50) and a fixing groove (115, 21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fixing projection (5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50) and the insulating layer (14a, 14b) of the power cable and the fixing groove (115, 21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200)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ver member (50) that closes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by connecting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sleeve. Since separation of the absence (200) can be prevented, shrinkage of the insulation layer can be prevented or alleviated.

또한, 후술하는 조인트 슬리브를 장착하는 경우, 도체 접속구조 경계영역에서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층(14), 상기 커버부재(50) 및 상기 슬리브 부재(200)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50)가 슬리브 부재(200)와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는 돌출 또는 함몰된 영역이 최소화된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mounting the joint sleeve described later, the outer diameters of the insulating layer (14), the cover member (50), and the sleeve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in order to minimize physical interference at the boundary area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the cover member (50) is mounted between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protruding or sunken area is minimiz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1)를 구비하는 중간접속함(2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Figure 12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200) having a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구조(1);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슬리브 부재(200)에 접촉되는 고압전극(430),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에 접촉되는 한 쌍의 차폐전극(440) 및, 상기 고압전극(430),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 및 상기 차폐전극(440)을 감싸는 슬리브 절연층(430)을 포함하는 조인트 슬리브(400); 및, 한 쌍의 전력케이블, 상기 조인트 슬리브를 감싸는 하우징(200)을 포함하는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함(600)을 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ower cabl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as described above; a high-voltage electrode (430) in contact with a sleeve member (200) constitu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 pair of shielding electrodes (440) in contact with an outer semiconduc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a joint sleeve (400) including a sleeve insulation layer (430) that surrounds the high-voltage electrode (430), an insulation layer (14a, 14b) of the power cable, and the shielding electrode (440); and a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600) including a pair of power cables and a housing (200) that surrounds the joint sleeve.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1)로 접속되는 전력케이블은 절연층이 가교 폴리에틸렌(Cross-Linked PolyEthyline(XLPE))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중간접속함은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감싸는 조인트 슬리브(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1)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have an insulation layer composed of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etc., and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joint sleeve (400) that surrounds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상기 조인트 슬리브(400)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A, 100B)과 전술한 도체 접속구조를 감싸는 상온에서 수축가능한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리몰드 조인트(pre-molded joint)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above joint sleeve (400)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be contracted at room temperature and wraps a pair of power cables (100A, 100B) and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described above,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e-molded joint.

상기 조인트 슬리브(400)는 상기 도체 접속구조 외측에 장착되어, 슬리브 부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압전극(430)과 한 쌍의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에 접촉되는 한 쌍의 차폐전극(440) 그리고 상기 고압전극(430),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차폐전극(440)을 감싸는 슬리브 절연층(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joint sleeve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igh-voltage electrode (430)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leeve member (200), a pair of shielding electrodes (440) in contact with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s of the pair of power cables, and a sleeve insulating layer (430) that surrounds the high-voltage electrode (430),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hielding electrode (440).

상기 조인트 슬리브를 구성하는 상기 고압전극(430) 및 차폐전극(440)은 그 사이에서 전계가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high voltage electrode (430) and shielding electrode (440) constituting the above joint sleeve serve to ensure that the electric field is evenly spread between them rather than being locally concentrated.

그리고, 상기 고압전극(430)은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슬리브 부재(200)를 매개로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폐전극(440)도 마찬가지로 반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며 전력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16a, 16b)과 연결되도록 장착된다.In addition, the high-voltage electrode (430) is made of a semiconducting materi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through a sleeve member (200), and the shielding electrode (440) is also made of a semiconducting material and is mount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 (16a, 16b) of the power cable.

따라서, 전력케이블 중간접속함 내부에서 전계분포는 상기 고압전극(430)과 상기 차폐전극(440) 사이를 따라 분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전극(430),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 및 상기 차폐전극(440)을 감싸는 슬리브 절연층(430)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a, 14b)과 접하게 된다.Accordingly,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side the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is distributed along the area between the high voltage electrode (430) and the shielding electrode (440). In addition, the sleeve insulation layer (430) surrounding the high voltage electrode (430), the insulation layer (14a, 14b) of the power cable, and the shielding electrode (44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sulation layers (14a, 14b) of the pair of power cable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간접속함(600)은 상기 조인트슬리브(400)를 감싸는 소위 '코핀박스(coffin box)' 또는 '금속 케이싱(metal casing)'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조인트슬리브(400) 사이의 공간에는 방수재(미도시) 등이 충진되어 중간접속함을 완성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housing made of a so-called 'coffin box' or 'metal casing' that surrounds the joint sleeve (400), and in this case,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200) and the joint sleeve (400) may be filled with a waterproofing material (not shown) to complet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중간접속함에 의하면, 파단 볼트로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슬리브 부재를 체결하므로, 절연된 소선의 절연 제거 공정의 생략이 가능하므로 도체 접속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코로나 실드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슬리브 부재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 고정용 볼트에 의하여 전력케이블과 슬리브 부재를 충분한 체결력으로 체결할 수 있으며,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를 구성하는 코로나 실드를 생략하여도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슬리브 부재의 경계 영역을 마감하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과 슬리브 부재를 걸림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적용하여, 조인트 슬리브의 장착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력케이블의 도체 통전시 발생되는 절연층 수축 현상을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are connected by a rupture bolt, the insulation removal process of the insulated wire can be omitted, so the workability of the conductor connection work can be improved, and since the corona shield constitu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does not need to be applied, the thickness of the sleeve member can be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can be connected with sufficient fastening force by the fixing bolt, and even if the corona shield constituting the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wer cable is omitte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can be finished, and a cover member that hooks and fixes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leeve member can be applied, so that the workability when installing the joint sleeve can be improv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or alleviating the phenomenon of shrinkage of the insulation layer that occurs when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is energized can be obtained.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is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전력케이블
200 : 슬리브 부재
10 : 도체
14 : 절연체
50 : 커버 부재
100 : Power Cable
200 : Sleeve Absence
10 : Conductor
14 : Insulator
50 : Absence of cover

Claims (13)

한 쌍의 전력케이블에서 탈피되어 노출된 절연층 및 도체;
길이방향 양단에 한 쌍의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가 삽입되는 접속부 및 복수 개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파이프 형태의 슬리브 부재; 및,
상기 슬리브 부재의 접속부로 각각 삽입된 도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 부재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 및,
상기 슬리브 부재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커버부재 중 하나는 상기 슬리브 부재의 일단과 상기 슬리브 부재 일단에 삽입된 전력케이블의 절연체의 경계영역을 마감하고,
상기 두 개의 커버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슬리브 부재의 타단과 상기 슬리브 부재 타단에 삽입된 전력케이블의 절연체의 경계영역을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The insulation and conductors are stripped and exposed from a pair of power cables;
A pipe-shaped sleeve member having a connecting portion into which a pair of conductors of the power cable are inser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A fixing bolt fastened to a fastening hole of the sleeve member to fix each conductor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leeve member; and,
It comprises two cover members each arranged on both ends of the sleeve member,
One of the two cover members closes the boundary area between one end of the sleeve member and the insulation of the power cabl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leeve member,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f the two cover members closes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leeve member and the insulation of the power cabl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sleev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길이가 내경보다 작은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over member is configured in a pipe shape whose length is smaller than its inner dia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over member is divided into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는 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third paragraph,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in an assembl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양단 내주면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슬리브 부재 단부 외주면은 형합되어 걸림고정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are fitted with a fixing means for hooking and fix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의 양단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슬리브 부재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paragraph 5,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fixing means is a fixing projec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and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양단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슬리브 부재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은 원주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Article 6,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and the fixing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end of the sleeve member are forme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슬리브 부재의 외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diameters of the insulating layer, the cover member, and the sleeve member are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의 내측 중심부 영역에 구획벽이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은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artition wall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sleeve member,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into which a plurality of fixing bolts are fastened are formed dispersedly in an area other than the centra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fixing bolt is a breakable bolt whose head breaks and separates when a torqu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는 구리, 구리 합금,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leeve member comprises at least one of copper, a copper alloy, tin-plated copper or a tin-plated copper allo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power c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fixing bolt comprises at least one of brass or a brass allo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에 접촉되는 고압전극, 상기 전력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에 접촉되는 한 쌍의 차폐전극 및, 상기 고압전극,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및 상기 차폐전극을 감싸는 슬리브 절연층을 포함하는 조인트 슬리브; 및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과 상기 조인트 슬리브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 joint sleeve including a high voltage electrode contacting the sleeve member, a pair of shielding electrodes contacting the outer semiconduc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a sleeve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the high voltage electrode,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shielding electrode; and
A power cabl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surrounding the pair of power cables and the joint sleeve.
KR1020200036986A 2020-03-26 2020-03-26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Active KR102776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86A KR102776988B1 (en) 2020-03-26 2020-03-26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86A KR102776988B1 (en) 2020-03-26 2020-03-26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68A KR20210120368A (en) 2021-10-07
KR102776988B1 true KR102776988B1 (en) 2025-03-05

Family

ID=7811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86A Active KR102776988B1 (en) 2020-03-26 2020-03-26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69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0716A1 (en) * 2022-06-10 2023-12-13 NKT HV Cables AB Power cable accessory assembly
CN117995479B (en) * 2023-04-06 2024-11-29 惠州市金龙羽电缆实业发展有限公司 Power cable with good transmission effe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644A (en) * 1999-05-11 2000-11-24 Fujikura Ltd Connection part of power cab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873B1 (en) * 2015-01-15 2022-10-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Joint sleeve and Connection structrue
KR101966786B1 (en) * 2016-11-15 2019-04-08 대한전선 주식회사 Joint conductor connecting sleeve of integral structure for ultra high voltage power cable
KR102547374B1 (en) * 2018-03-09 2023-06-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644A (en) * 1999-05-11 2000-11-24 Fujikura Ltd Connection part of power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68A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622B1 (en) Pulling eye for submarine cable, method for installing for the same, and submarine cable having the same
KR102625952B1 (en) Power Cable including Welding Part Of Different Conductors, Welding Method Of Different Conductors And Connecting Joint Of Power Cable
KR20210081956A (en) Marine cable
US11476595B2 (en)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KR102776988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Connecting Box Of Power Cable Using The Same
KR102386729B1 (en) Installation method of pulling eye for submarine cable and Submarine cable having the pulling eye
KR20160088780A (en) Joint sleeve and Connection structrue
KR102736413B1 (en) Jointing System Of Power Cable
Powers The basics of power cable
KR102676815B1 (en) Pulling eye for submarine cable, method for installing for the same, and submarine cable having the same
KR20200101857A (en)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KR20240081434A (en) Submarine cable
US20240177889A1 (en) Power cable system having different conductor connecting part , and power cable connection method having different conductors
KR20200122500A (en) Mold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KR101839725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KR20200122530A (en) Drying System For Join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KR102736414B1 (en) Jointing Device Of Power Cable
KR101594996B1 (en) Insulated three core cable of extra high voltage
KR102735373B1 (en) Jointing System Of Power Cable
KR20220078323A (en) Connection box of power cable
KR102776987B1 (en) Termination connection box for power cable
CA1197580A (en) Water-proofing joint assembly for power cables
US20240047956A1 (en) Jointing system of power cable
KR1023043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sleeve for cable joint assembly
KR20140115509A (en) Premolded joint for DC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3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