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87879A - 유연한 소재를 이용한 이득증폭기 일체형 표면 근전도 센서 - Google Patents

유연한 소재를 이용한 이득증폭기 일체형 표면 근전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879A
KR20190087879A KR1020180006242A KR20180006242A KR20190087879A KR 20190087879 A KR20190087879 A KR 20190087879A KR 1020180006242 A KR1020180006242 A KR 1020180006242A KR 20180006242 A KR20180006242 A KR 20180006242A KR 20190087879 A KR20190087879 A KR 2019008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sensor
skin
electrodes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
경슬기
정화영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0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7879A/ko
Publication of KR2019008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87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61B5/049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ue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 가능한 근전도 센서에 관한 것으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피부 표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전극부와 상기 감지된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근전도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피부 표면에 밀착되도록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극부, 증폭부 및 필터부를 감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연한 소재를 이용한 이득증폭기 일체형 표면 근전도 센서{GAIN AMPLIFIER INTEGRATED SURFACE EMG SENSOR USING FLEXIBLE MATERIAL}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 가능한 근전도 센서에 관한 것이다.
근전도는 근육의 수축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생리학적 신호로써, 인간-기계 상호작용분야에서 인간의 거동 의도를 추출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생체 신호 중 하나이다.
근전도는 근육 표면에 부착하는 전극을 통해 비침습적으로 쉽게 취득할 수 있어,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EEG)나 신경전도(electroneurography, ENG) 등의 다른 생체 신호에 비해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근전도는 근육의 움직임을 명령하는 신호로, 실제 신체의 움직임이 일어나기 이전에 신호가 관측되므로 사용자의 움직임 의도를 예측할 수 있어, 기계와 상호작용하는 연산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표면 근전도(sEMG) 센서의 전극은 건식 전극(dry electrode)과 습식 전극(wet electrode)으로 구분되는데, 건식 전극은 재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습식 전극에 비해 신호 품질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습식전극은 일반적으로 건식 전극에 비해 가벼워서 피부 부착성이 좋으나, 일회용이며 장시간 사용시 건식 전극에 비해 피부에 대한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면 근전도(sEMG) 센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표면 근전도(sEMG) 센서는 근전도 전극과 증폭기가 별개로 구성되며 이들을 전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건식 근전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전증폭기(pre amplifier)가 내장된 전극을 사용하며, 전증폭기를 거친 신호는 이득 증폭기(gain amplifier)를 통해 원하는 배율로 증폭된 뒤, 데이터 취득 시스템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전증폭기가 포함된 전극과 별도로 이득 증폭기를 함께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크기 및 이동성 면에서 불편함이 있고 착용형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기존의 상용화 되어 있는 표면 근전도(sEMG) 센서는 금속 혹은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피부에 굴곡이 있는 경우 밀착성이 떨어지고, 센서를 피부에 부착하고 움직일 경우, 피부 표면에 균일하게 점착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기존의 표면 근전도 센서는, 피부 표면에서의 근전도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다른 장치와 함께 피부에 부착될 경우 사용자의 착용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전도 측정 시스템을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작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전도 센서의 피부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피부 표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전극부와 상기 감지된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근전도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피부 표면에 밀착되도록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극부, 증폭부 및 필터부를 감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피부 표면에 밀착되도록 형태 변형이 가능한 EcoFlex 00-30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은 서로 간의 간격이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은 근 섬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금 섬유의 수평한 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전증폭기(pre amplifier)와 이득증폭기(gain amplifier)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INA123 계측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극과 증폭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근전도 센서를 구현함으로써, 근전도 측정 시스템을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전도 센서를 감싸는 케이스를 유연한 소재인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케이스가 피험자의 피부 표면의 굴곡에 맞게 변형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하여 피험자의 피부 표면과 근전도 센서의 밀착력을 강화함으로써, 근전도 신호 측정의 정확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근전도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증폭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의 케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이러한 케이스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도 6의 제조 방법으로 생성된 실제 센서 모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시스템에 적용된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 또는 모듈이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증폭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시스템은, 피험자의 피부 표면에 부착(접촉 또는 근접)되어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도록 형성된 근전도 센서(100)와, 피험자의 피부 표면으로부터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보드(200), 상기 데이터 수집 보드(200)에서 수집된 근전도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장치(300)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종래의 근전도 시스템에서는 근전도 센서와 이득 증폭기가 서로 별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는, 이득 증폭기와 근전도 센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는 기판(110), 전극부(120), 증폭부(120) 및 필터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도 4 참조)는 전극부(120), 증폭부(130) 및 필터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0)은 센서의 경도를 낮추어 피부 표면에 대한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부(120)은 피험자의 피부 표면과 접촉하며, 피험자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부(120)은 건식 전극(dry electrodes) 또는 천(textile) 또는 습식 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20)은 근전도 신호의 전달 특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금도금된 316L stainless steel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12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전극들은 서로 이격하여 기판(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들의 비채 간격은, 근전도 센서의 실험 결과 및 시뮬레이션 결과값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은 Surface EMG for non-invasive assessment of muscles(SENIAM) 그룹에 의하여 행하여졌으며, 본 발명에서는 SENIAM 그룹에서 시행된 결과값을 이용한다.
복수의 전극들은 근섬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가 수평한 방향으로의 길이에 비하여 4배 이상 길게 제작될 수 있으며,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를 최소 10mm 이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들은 서로 간의 간격이 20mm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증폭부(130)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폭부(130)는 전증폭기(pre amplifier) 역할과 이득증폭기(gain amplifier)의 역할이 통합되어 있는 계측 증폭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계측 증폭부(130)는 INA123(Texas Instruments, Dalas, Tx, 미국)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100)는 센서 내부에 전극 및 증폭기가 모두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증폭기 없이도 근전도 신호를 충분히 증폭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100)로 구성된 근전도 시스템에서는, 이득 증폭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증폭부(130)는 복수의 증폭기들 및 복수의 저항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극부(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부(120)에서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40)는 증폭부(130)에서 증폭된 근전도 신호의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40)는 DC offset을 포함한 저주파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고역통과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전증폭기와 이득 증폭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계측 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근전도 센서(100)가 포함된 근전도 시스템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의 케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이러한 케이스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도 6의 제조 방법으로 생성된 실제 센서 모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100)는 케이스(150)으로 둘러싸여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5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피부 표면의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케이스(150)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coflex 00-30이 사용될 수 있다. Ecoflex 00-30은 쇼어 경도가 00-30이다. 실리콘 재질로 케이스(150)가 형성되는 경우, 근전도 센서(100)는 피부 표면에 밀착하는 밀착력이 강화될 수 있고, 피부와 센서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와 센서 사이의 간극으로 인한 노이즈를 줄일 수 있어, 근전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케이스(150)를 사용하는 경우, 근전도 센서(100)는 피부 표면에 대한 밀착력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근육 움직임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세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한 움직임은 신호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의 하나이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경우, 근전도 센서(100)의 신호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100)는 케이스(150)를 형성하기 위하여, 우선, 기판(110)에 전극부(120) 등의 구성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를 참조하면, 몰드(mold)에 구성 요소들이 배치된 기판(110)을 삽입하여, PDMS(polydimethylsiloxane)를 부어 굳힐 수 있다. 그 후, 도 6의 (c)와 같이, PDMS가 굳은 후, 몰드를 제거하고, 도 6의 (d)와 같이, 차폐를 위한 전도성 페브릭(conductive fabric mesh)으로 PDMS 외면을 코팅할 수 있다. 그 후, 도 6의 (e)와 같이, 복수의 몰딩으로 외면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6의 (f)와 같이, 전도성 페브릭이 코팅된 근전도 센서(100)가 완성될 수 있다.
도 7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근전도 센서를 나타낸다. 근전도 센서의 케이스(150) 두께는 8mm, 가로 33mm, 세로 19mm로 제작되며, 두 개의 전극 사이의 간격은 20mm로 제작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근전도 센서(100)의 무게는 10g 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에 적용된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에 적용된 회로도이다.
도 8의 (a)의 회로는, 근육의 전기 신호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는 회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는 피부 표면에서 근육의 전기 신호를 측정하기 때문에, mV 단위의 신호가 측정된다. 이에, 도 8의 (a)의 회로에서 상기 근육의 전기 신호로 측정된 mV 단위의 전기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센서는, 이러한 증폭 회로를 구동하기 위하여, 도 8의 (b)의 회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도 8의 (b)의 회로는 근육의 전기 신호의 극성을 변경하는 인버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b)의 회로는, voltage inverter LM266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의 (b)의 회로는, 근육에서 측정된 전기 신호가 양의 전압을 가졌을 때, 음의 전압으로 극성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극성이 변경된 전압을 도 8의 (a)의 회로로 전달하여, -5V ~ +5V 사이의 전압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근육의 전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근전도 센서에서 사용하는 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피부 표면에서 측정된 전기 신호를 이용한 근전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극과 증폭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근전도 센서를 구현함으로써, 근전도 측정 시스템을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전도 센서를 감싸는 케이스를 유연한 소재인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케이스가 피험자의 피부 표면의 굴곡에 맞게 변형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하여 피험자의 피부 표면과 근전도 센서의 밀착력을 강화함으로써, 근전도 신호 측정의 정확도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피부 표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전극부 ;
    상기 감지된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
    상기 증폭된 근전도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피부 표면에 밀착되도록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극부, 증폭부 및 필터부를 감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근전도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피부 표면에 밀착되도록 형태 변형이 가능한 EcoFlex 00-30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은 서로 간의 간격이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은
    근 섬유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금 섬유의 수평한 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전증폭기(pre amplifier)와 이득증폭기(gain amplifier)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INA123 계측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센서.
KR1020180006242A 2018-01-17 2018-01-17 유연한 소재를 이용한 이득증폭기 일체형 표면 근전도 센서 Ceased KR20190087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42A KR20190087879A (ko) 2018-01-17 2018-01-17 유연한 소재를 이용한 이득증폭기 일체형 표면 근전도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42A KR20190087879A (ko) 2018-01-17 2018-01-17 유연한 소재를 이용한 이득증폭기 일체형 표면 근전도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879A true KR20190087879A (ko) 2019-07-25

Family

ID=6746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242A Ceased KR20190087879A (ko) 2018-01-17 2018-01-17 유연한 소재를 이용한 이득증폭기 일체형 표면 근전도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78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1999A (ko) * 2022-12-01 2024-06-10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신체활동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1999A (ko) * 2022-12-01 2024-06-10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신체활동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4256B2 (en) Collecting biologically-relevant information using an earpiece
KR101800706B1 (ko) 잡음이 제거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단위 측정기 및 방법
US88557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CN100548208C (zh) 具有运动伪影校正装置的用于生物电相互作用的可佩带装置
KR101238192B1 (ko) 귀-부착형 센서셋 및 그 동작 방법
EP1364614B1 (en) Voltage measuring device comprising fixing member, electrode and transmitter
KR101218200B1 (ko) 인체 장착형 센서셋 및 그 동작 방법
CN103239221B (zh) 测量生物电势的电极及其制造方法和测量生理信号的系统
Fara et al. Robust, ultra low-cost mmg system with brain-machine-interface applications
Kundu et al. Design of wearable, low power, single supply surface EMG extractor unit for wireless monitoring
Liu et al. Flexible non-contact electrodes for bioelectrical signal monitoring
Ianov et al. Development of a capacitive coupling electrode for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s and assistive device use
KR20190087879A (ko) 유연한 소재를 이용한 이득증폭기 일체형 표면 근전도 센서
Jamal et al. A finely machined toothed silver electrode surface for improved acquisition of EMG signals
CN114302676B (zh) 心力衰竭诊断装置
JP5157708B2 (ja) 生体電気信号検出電極及び生体電気信号測定装置
JP2008295867A (ja) 生体信号計測装置
Stork et al. Non-contact ECG monitoring for driver
CN104138259B (zh) 不受睡眠姿势影响的胸部呼吸信号采集方法及系统
JPH02211122A (ja) 筋電計用センサ本体
EP4501234A1 (en) Device for determining a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ate of a mammal and associated method
Reilly et al. Biosensors
JP2002058653A (ja) 生体信号検出装置
JP7360947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用外乱インジケータ
Argiró et al. Novel Graphene Electrode for Electromyography Using Wearables Based on Smart Tex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