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87318A - 인쇄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318A
KR20190087318A KR1020190004556A KR20190004556A KR20190087318A KR 20190087318 A KR20190087318 A KR 20190087318A KR 1020190004556 A KR1020190004556 A KR 1020190004556A KR 20190004556 A KR20190004556 A KR 20190004556A KR 20190087318 A KR20190087318 A KR 20190087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user
screen
job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211B1 (ko
Inventor
료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2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73Print job history, e.g. logging, accounting,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7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by using pre-stored settings, e.g. job templates, presets, print sty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8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by updating job settings at the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7Imag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복잡한 등록 조작을 행할 필요 없이 동일한 저장 장소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의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용이하게 발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 인쇄 장치는 유저로부터 접수된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인쇄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인쇄 장치는, 작업의 인쇄 설정 및 작업의 실행을 통해 인쇄된 데이터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력으로서 저장한다. 인쇄 장치는 저장된 인쇄 설정을 판독하는 경우에 유저가 저장 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인쇄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PRINTING APPARATUS THAT EXECUTES PRINT JOB,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유저에 의해 발행된 실행 지시에 따라서 인쇄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인 MFP가 알려져 있다. 유저는, MFP에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행할 때에, 인쇄 작업의 실행 조건, 예를 들어 인쇄 대상 문서 파일(이하, "파일"이라 칭함)의 지정, 용지 사이즈, 및 카피 수와 같은 인쇄 설정을 결정한다. MFP의 1개의 폴더에 저장된 파일을 인쇄될 대상으로 지정하기 위해서, 유저는 1개의 폴더를 지정하고, 1개의 폴더에 저장된 모든 파일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지정한다.
일반적으로, MFP는 복수의 유저에 의해 공유된다. 이 때문에, MFP에서는, 다른 유저가 알아차리지 않고 상기 실행 조건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정해진 기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실행 조건이 클리어된다. 이러한 이용 패턴에서, 유저는 동일한 실행 조건에서 인쇄를 행할 때마다 실행 조건을 설정할 필요가 있고, 이는 불편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커스텀 버튼(custom button) 등록 기능이 이용되고 있다. 유저는, 원하는 실행 조건이 관련되어 있는 커스텀 버튼을 MFP에 미리 등록한다. 유저가 MFP의 조작 유닛에 표시된 상기 커스텀 버튼을 선택하면, MFP의 조작 유닛에는 상기 커스텀 버튼과 관련지어진 실행 조건이 설정된 상태의 조작 화면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동일한 실행 조건에서 인쇄를 행할 때에 유저가 용이하게 실행 지시를 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커스텀 버튼 등록 기능이 이용되는 경우, 유저는 복잡한 등록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고, 이는 많은 시간과 수고가 듣다. 따라서, 종래에는 재인쇄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재인쇄 기능에서는, 과거에 실행한 인쇄 작업의 설정 이력에 기초해서 동일한 설정이 이용되며, 더 구체적으로 동일한 파일을 동일한 인쇄 설정으로 인쇄한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Kokai) 제2008-87177호 참조). 이에 의해, 복잡한 등록 조작을 행하지 않고, 과거에 설정한 실행 조건에 기초하여 유저는 실행 지시를 용이하게 발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재인쇄 기능에서는, 과거에 설정한 실행 조건의 일부를 변경한 인쇄 작업, 예를 들어 동일한 폴더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을 인쇄하는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발행하는 경우, 유저는 폴더를 지정하는 것부터 다시 시작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동일한 저장 장소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의 인쇄 작업 실행 지시를 용이하게 발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복잡한 등록 조작을 행할 필요 없이, 동일한 저장 장소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의 인쇄 작업 실행 지시를 용이하게 발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저로부터 접수한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인쇄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로서, 상기 작업의 인쇄 설정과, 상기 작업의 실행을 통해 인쇄된 데이터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력으로서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저장 유닛에 의해 저장된 상기 인쇄 설정을 판독하는 경우에, 유저가 상기 저장 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등록 조작을 행할 필요 없이, 동일한 저장 장소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의 인쇄 작업 실행 지시를 용이하게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인 MFP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작 유닛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도 1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인증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MFP에 의해 관리되는 유저 정보 DB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인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MFP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버튼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카피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MFP에 의해 실행되는 커스텀 버튼 등록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카피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 종별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MFP에 의해 관리되는 커스텀 버튼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의 MFP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 실행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처리에서 사용되는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설정 확인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카피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실행 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의 MFP에 의해 실행되는 레코드 등록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1의 MFP에 의해 관리되는 레코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의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설정 이력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1의 MFP에 의해 실행되는 레코드 표시 제어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1의 MFP에 의해 실행되는 레코드 작업 실행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처리에서 사용되는 설정 이력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a 및 도 30b는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실행 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인 MFP(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FP(100)는 유닛들로서 컨트롤러 유닛(101), 조작 유닛(111), 스캐너(112) 및 프린터(113)를 구비한다. 컨트롤러 유닛(101)은, 조작 유닛(111), 스캐너(112) 및 프린터(113)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 유닛(101)은, CPU(102), 통신 유닛(103), RAM(105), HDD(106), ROM(107), 타이머(108) 및 팩스 유닛(109)을 구비한다. CPU(102), 통신 유닛(103), RAM(105), HDD(106), ROM(107), 타이머(108) 및 팩스 유닛(109)은 시스템 버스(114)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MFP(100)는, 카피 기능, 스캔 기능, 인쇄 기능, 팩스 통신 기능 및 인증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다. MFP(100)는 이들 기능을 이용해서 작업을 실행한다. MFP(100)는, 통신 유닛(103)을 통해 MFP(100)의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인스톨함으로써 그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 유닛(101)은 접속된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102)는 컨트롤러 유닛(101) 전체를 제어한다. 통신 유닛(103)은 LAN(104)을 통해서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LAN(104)은 MFP(100)가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MFP(100)는 LAN(104)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된다. RAM(105)은 CPU(102)의 시스템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HDD(106)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다. HDD(106)는 자기 디스크, 광학 매체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저장 매체이다. HDD(106)는 파일, 설정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HDD(106)가 MFP(100)에 내장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서버나 PC의 스토리지를 통신 유닛(103)을 통해서 HDD(106)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용해도 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ROM(107)은 부트 ROM이며, 시스템 부트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CPU(102)는, HDD(106) 및 ROM(107)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전개하고, 전개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제어를 제공한다. 타이머(108)는 CPU(1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시간의 양의 측정을 개시한다. 타이머(108)가 시간의 양의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미리 지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타이머(108)는 인터럽트 통지를 CPU(102)에 송신한다. 팩스 유닛(109)은, 팩스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와 전화 회선(110)을 통해서 팩스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조작 유닛(111)은, MFP(1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유저로부터의 작업 실행 지시, 설정 변경 지시 등을 접수한다. 조작 유닛(11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0), 스타트 키(201), LED(202), 스톱 키(203), 숫자 키패드(204) 및 홈 키(205)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200)은 액정 표시부이며, 액정의 표면이 터치 패널 시트로 덮여 있다. 터치 패널(200)은 조작 화면 및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표시한다. 유저가 터치 패널(200)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누르면, 조작 유닛(111)은 눌러진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CPU(102)에 송신한다. 스타트 키(201)는, 예를 들어 유저가 원고의 판독 개시 지시를 발행할 때에 사용된다. 스타트 키(201)의 중앙 영역은 2개의 색, 즉 녹색과 빨간색 LED(202)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등하는 색에 의해 스타트 키(201)가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나타난다. 스톱 키(203)는, 예를 들어 유저가 실행 중인 동작을 멈추는 지시를 발행할 때에 사용된다. 숫자 키패드(204)는 숫자 및 문자 버튼으로 구성된다. 숫자 키패드(204)는, 예를 들어 유저가 카피 수를 설정하고 터치 패널(200)의 화면의 전환 지시를 발행할 때에 사용된다. 홈 키(205)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6의 홈 화면(6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타트 키(201), 스톱 키(203), 숫자 키패드(204) 및 홈 키(205) 등의 조작 버튼은 예이며, 조작 유닛(111)에는 상기 조작 버튼 이외의 다른 조작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조작 키는 터치 패널(200)에 소프트웨어 버튼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스캐너(112)는, 배치된 원고를 스캔하고, 상기 원고의 화상을 디지털화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후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RAM(105) 또는 HDD(106)에 저장한다. 프린터(113)는 RAM(105) 및 HDD(106)에 저장된 파일 등을 인쇄한다.
도 3은 도 1의 CPU(102)에 의해 실행되는 인증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의 처리는 CPU(102)가 ROM(107)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3의 처리는, 예를 들어 조작 유닛(111)을 통해 유저에 의해 발행된 인증 요구를 접수한 때에 실행된다. 도 3의 처리는, MFP(100)의 사용을 허가받은 유저에 대한 정보(이하, "사용 허가 유저 정보"라 칭함)가 미리 등록되어 있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MFP(100)에서는, 사용 허가 유저 정보는 HDD(106)에 저장된 도 4의 유저 정보 DB(400)에 의해 관리된다. 유저 정보 DB(400)는, 유저 ID(401), 유저명(402), 도메인명(403), 패스워드(404), 이메일 어드레스(405) 및 관리자 권한(406)을 포함한다. 각각의 등록된 유저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식별자가 유저 ID(401)로서 설정된다. 각각의 등록된 유저의 유저명이 유저명(402)으로서 설정된다. 각각의 등록된 유저의 도메인명이 도메인명(403)으로서 설정된다. 패스워드(404)로서, 각각의 등록된 유저와 관련지어진 패스워드가 설정된다. 각각의 등록된 유저의 이메일 어드레스가 이메일 어드레스(405)로서 설정된다. 관리자 권한(406)으로서, 등록된 유저가 MFP(100)의 관리자 권한을 갖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CPU(102)는, 터치 패널(200)에 도 5의 인증 화면(500)을 표시한다(단계 S301). 인증 화면(500)은, 유저명 입력란(501), 패스워드 입력란(502), 및 OK 버튼(503)을 갖는다. 유저가 유저 정보를 입력란에 입력하고 OK 버튼(503)을 누르면, CPU(102)는 유저 정보를 접수한다(단계 S302). 이어서, CPU(102)는, 상기 유저 정보를 유저 정보 DB(400)와 비교한다(단계 S303). CPU(102)는, 상기 유저 정보와 일치하는 유저명(402) 및 패스워드(404)를 포함하는 사용 허가 유저 정보(이하, "일치 사용 허가 유저 정보"라 칭함)가 유저 정보 DB(400)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04).
단계 S304의 판별 결과, 일치 사용 허가 유저 정보가 유저 정보 DB(4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CPU(102)는 터치 패널(200)에 인증 에러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표시하고(단계 S305), 이어서 처리는 단계 S301로 복귀한다.
단계 S304의 판별 결과, 일치 사용 허가 유저 정보가 유저 정보 DB(400)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CPU(102)는 유저 정보 DB(400)로부터 일치 사용 허가 유저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S306). 이어서, CPU(102)는 로그인 세션을 개시한다(단계 S307). 이에 의해, 유저는 MFP(10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CPU(1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MFP(100)의 HDD(106)에는, 탑재된 기능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카피 어플리케이션 및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카피 어플리케이션은, 스캐너(112)가 원고를 스캔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를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카피 어플리케이션은, 후술하는 도 8의 카피 설정 화면(800)에서 설정된 실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용 데이터를 프린터(113)에 의해 인쇄한다.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은, 후술하는 도 9a의 파일 선택 화면(900) 및 도 9b의 인쇄 설정 화면(907)에서 설정된 실행 조건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지정된 파일을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인쇄용 데이터를 프린터(113)에 의해 인쇄한다. MFP(100)에 로그인한 유저는, 도 6의 홈 화면(600)을 조작해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의 실행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홈 화면(600)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의 실행 조건을 설정하는 화면(이하, "어플리케이션 화면"이라 칭함)을 호출하기 위한 화면이다. 홈 화면(600)은, 메뉴(601), 슬라이드 바(607) 및 유저명 표시 영역(608)을 구비한다. 메뉴(601)에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버튼(602 내지 604) 및 커스텀 버튼(605, 606)이 표시된다. 메뉴(601)는 1개 이상의 화면으로 구성된다. 버튼의 수는 HDD(106)에 저장된 버튼 레이아웃 설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정된다.
어플리케이션 버튼(602 내지 604)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의 이동을 위한 조작 버튼이다. MFP(100)는, 각 어플리케이션 버튼(602 내지 604)과 관련지어진 어플리케이션의 종별을 도 7의 어플리케이션 버튼 정보(700)를 사용하여 관리한다. 어플리케이션 버튼 정보(700)는, HDD(106)에 저장되고, 어플리케이션 버튼 ID(701) 및 어플리케이션 종별(702)을 구비한다. 어플리케이션 버튼 ID(701)로서, 각 어플리케이션 버튼(602 내지 604)에 고유하게 할당된 ID가 설정된다. 어플리케이션 종별(702)로서, 각 어플리케이션 버튼(602 내지 604)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별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홈 화면(600)에서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버튼(602)을 누른 경우, CPU(102)는 어플리케이션 버튼 정보(7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버튼(602)에 대응하는 식별자 "카피"를 판독한다. CPU(102)는, 판독한 식별자 "카피"에 기초하여, 카피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인 도 8의 카피 설정 화면(8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 카피 설정 화면(800)은, 카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작업의 실행 조건인 인쇄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이다. 유저는, 카피 설정 화면(800)을 조작해서 컬러 모드, 용지 사이즈, 배율, 카피 수 및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것이 허용된다.
홈 화면(600)에서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버튼(604)을 누른 경우, CPU(102)는 어플리케이션 버튼 정보(7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버튼(604)에 대응하는 식별자 "보존 파일의 이용"을 판독한다. CPU(102)는, 판독한 식별자 "보존 파일의 이용"에 기초하여,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의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인 도 9a의 파일 선택 화면(9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 파일 선택 화면(900)은,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작업의 실행 조건인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파일 선택 화면(900)은, 폴더 경로(901), 파일 리스트(902), 스크롤 버튼(903), 취소 버튼(904) 및 인쇄 버튼(906)을 구비한다.
폴더 경로(901)로서, 유저에 의해 지정된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폴더 경로가 표시된다. 파일 리스트(902)로서, 폴더 경로(901)가 나타내는 저장 장소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정보(이하, "파일 관련 정보"라 칭함)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파일 관련 정보는 파일명, 파일의 데이터 형식, 파일의 페이지 수 등으로 구성된다. 유저는, 파일 리스트(902)에서 원하는 파일 관련 정보를 누름으로써, 선택할 파일을 전환한다. 선택상태는, 예를 들어 선택된 파일에 대한 파일 관련 정보가 표시된 행의 색을 반전시킴으로써 표현된다. 도 9a의 예에서는, 제2 행의 "회의록.pdf"이 선택되어 있다. 스크롤 버튼(903)은, 파일 관련 정보의 전체 리스트가 하나의 화면 내에 표시될 수 없을 때, 화면을 벗어나 있는 버튼의 표시 지시를 발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취소 버튼(904)은,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작업의 취소 지시를 발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인쇄 버튼(906)은,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의 제2 어플리케이션 화면인 도 9b의 인쇄 설정 화면(907)의 표시 지시를 발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인쇄 설정 화면(907)은,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된 인쇄 작업의 실행 조건인 인쇄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이다. 유저는, 인쇄 설정 화면(907)에서, 컬러 모드, 용지 사이즈, 배율, 카피 수, 및 양면 인쇄를 설정할 수 있다. 취소 버튼(908)은,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작업의 취소 지시를 발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인쇄 개시 버튼(909)은, 파일 선택 화면(900) 및 인쇄 설정 화면(907)의 설정값을 사용한 인쇄 작업의 개시 지시를 발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커스텀 버튼(605, 606)은,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미리 등록된 설정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표시된다. 커스텀 버튼(605, 606)은 마이 버튼(My button) 또는 공유 버튼 중 어느 하나로서 각각 분류된다. 마이 버튼으로서 분류된 커스텀 버튼은, 로그인한 유저만이 참조할 수 있다. 공유 버튼으로서 분류된 커스텀 버튼은, 전체 유저가 참조할 수 있다. MFP(100)에서는, 후술하는 도 10의 커스텀 버튼 등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새로운 커스텀 버튼이 등록된다.
슬라이드 바(607)는 메뉴(601)의 페이지를 전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뉴(601)의 페이지는 항상 이러한 방식으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터치 패널(200)에서 플릭 조작(flick operation)을 검지했을 때에 메뉴(601)의 페이지를 전환해도 된다. CPU(102)는, 조작 유닛(111)으로부터의 페이지 전환 지시의 통지에 따라서, 페이지 전환 후의 페이지에 표시되는 버튼에 대한 정보를 HDD(106) 또는 RAM(105)로부터 판독하고, 메뉴(601)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유저명 표시 영역(608)에는 MFP(100)에 현재 로그인 중인 유저의 명이 표시된다. CPU(102)는, 유저 정보 DB(400)로부터 MFP(100)에 현재 로그인 중인 유저의 명을 판독하고, 그것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 로그인 세션이 유효하지 않을 경우에는, MFP(100)에 아무도 로그인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아이콘 등이 표시되며, 예를 들어 "-------" 같은 고정 기호가 표시된다.
도 10은, 도 1의 MFP(100)에 의해 실행되는 커스텀 버튼 등록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처리는 CPU(102)가 ROM(107)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도 10의 처리는, 예를 들어, 도 11의 카피 설정 화면(1100)에서, 미리정해진 인쇄 설정을 위한 커스텀 버튼의 등록 요구가 유저에 의해 발행되었을 때 실행된다. 이 예에서는, 미리정해진 인쇄 설정은 컬러 모드 "흑백", 용지 사이즈 "B4", 마무리 "펀치", 배율 "144%", 카피 수 "2", 및 "양면 인쇄"로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CPU(102)는, 유저가 카피 설정 화면(1100)에서의 도 11의 설정 버튼(1101)을 눌렀을 때, 카피 설정 화면(1100)에 설정 메뉴(1102)를 표시한다. 유저는 설정 메뉴(1102)에서의 등록 버튼(1103)을 눌러서 커스텀 버튼 등록 요구를 행한다. CPU(102)는, 커스텀 버튼 등록 요구를 접수하면(단계 S1001), 도 12의 설정 화면(12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단계 S1002). 설정 화면(1200)은, 확인 화면 표시 설정(1201), 즉시 실행 설정(1202), 다음 버튼(1203) 및 취소 버튼(1204)을 구비한다. 확인 화면 표시 설정(1201)으로서, 등록된 커스텀 버튼이 눌러진 때에, 유저는 후술하는 도 19의 설정 확인 화면(1900)을 표시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온-오프 정보를 설정한다. 즉시 실행 설정(1202)으로서, 커스텀 버튼이 눌러진 때에, 유저는 등록된 커스텀 버튼과 관련지어진 설정값에 기초하는 작업을 바로 실행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온-오프 정보를 설정한다. 취소 버튼(1204)이 눌러지면, CPU(1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CPU(102)는, 다음 버튼(1203)의 누름을 검지하면(단계 S1003), 도 13의 버튼 종별 설정 화면(13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단계 S1004). 버튼 종별 설정 화면(1300)은 커스텀 버튼의 명칭 및 종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버튼 종별 설정 화면(1300)은, 버튼 명칭(1302), 버튼 종별(1302), OK 버튼(1303) 및 취소 버튼(1304)을 구비한다. 버튼 명칭(1301)으로서, 등록될 커스텀 버튼의 명칭이 유저에 의해 입력된다. 버튼 종별(1302)로서는, 커스텀 버튼의 종별로서 마이 버튼 및 공유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된다. 취소 버튼(1304)이 눌러지면, CPU(1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CPU(102)는, OK 버튼(1303)의 누름을 검지하면(단계 S1005), HDD(106)의 빈 공간의 양이 미리정해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06).
단계 S1006의 판별 결과로서, HDD(106)의 빈 공간의 양이 미리정해진 값 이상이면, CPU(102)는 커스텀 버튼을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CPU(102)는, 카피 설정 화면(1100), 설정 화면(1200) 및 버튼 종별 설정 화면(1300)에 설정된 설정값을 도 14의 커스텀 버튼 정보(1400)로서 등록한다(단계 S1007). 커스텀 버튼 정보(1400)는, HDD(106)에 저장되고, 등록된 커스텀 버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커스텀 버튼 정보(1400)는, 커스텀 버튼 ID(1401), 버튼 종별(1402), 오너 유저 ID(1403), 버튼 명칭(1404), 어플리케이션 종별(1405), 갱신일(1406), 어플리케이션 데이터(1407), 확인 설정(1408) 및 즉시 실행 설정(1409)을 구비한다. 커스텀 버튼 정보(1400)의 구성요소는 일례일뿐이며, 커스텀 버튼 정보(1400)는 상술한 항목뿐만 아니라 다른 항목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커스텀 버튼 ID(1401)로서, 등록된 커스텀 버튼에 고유하게 할당된 ID가 설정된다. 버튼 종별(1402)로서, 버튼 종별(1302)로서 설정된 설정값, 및 더 구체적으로는 공유 버튼 및 마이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버튼 종별(1402)이 마이 버튼인 경우, 상기 커스텀 버튼의 등록 요구를 행한 유저를 특정하기 위한 유저 ID가 오너 유저 ID(1403)로서 설정된다. 버튼 명칭(1404)으로서, 버튼 명칭(1301)으로서 설정된 설정값이 설정된다. 어플리케이션 종별(1405)로서, 등록된 커스텀 버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별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설정된다. 갱신일(1406)로서, 커스텀 버튼의 등록 일시 또는 갱신 일시가 설정된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1407)로서, 카피 설정 화면(1100)에 설정된 설정값이 해시맵(HashMap), 즉 "KEY/VALUE"를 사용하여 설정된다. 확인 설정(1408)으로서, 확인 화면 표시 설정(1201)으로서 설정된 설정값이 설정된다. 즉시 실행 설정(1409)으로서 즉시 실행 설정(1202)으로서 설정된 설정값이 설정된다. 단계 S1007에서는, 도 15의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1501)가 커스텀 버튼 정보(1400)로서 등록된다.
이어서, CPU(102)는 도 16의 홈 화면(16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단계 S1008). 홈 화면(1600)에서는, 커스텀 버튼(605 및 606) 이외에,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1501)에 대응하는 커스텀 버튼(1601)이 표시된다. 커스텀 버튼(1601) 상에는 신규 등록을 나타내는 NEW 아이콘(1602)이 표시된다. NEW 아이콘(1602)은, 로그인, 로그아웃, 오토 클리어, 슬립, 셧다운 또는 커스텀 버튼(1601)의 누름 등의 임의의 타이밍에 숨겨진다. 그 후, CPU(1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006의 판별 결과, HDD(106)의 빈 공간의 양이 미리정해진 값 미만일 때, CPU(102)는 등록 에러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하고(단계 S10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17은 도 1의 MFP(100)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 실행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의 처리는 CPU(102)이 HDD(106)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도 17의 처리는, 홈 화면(1600)에서, 유저가 커스텀 버튼(605, 606, 1601) 중 임의의 것을 누른 때에 실행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CPU(102)는, 눌러진 커스텀 버튼에 대응하는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를 커스텀 버튼 정보(1400)로부터 판독한다(단계 S1701). 예를 들어, 유저가 커스텀 버튼(605)을 누른 경우, CPU(102)는 커스텀 버튼(605)에 대응하는 도 18의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1801)를 커스텀 버튼 정보(1400)로부터 판독한다. 이어서, CPU(102)는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1801)의 확인 설정(1408)의 설정값이 "ON" 및 "OFF"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702).
단계 S1702의 판별 결과, 확인 설정(1408)의 설정값이 "OFF"일 때, CPU(102)는 후술하는 단계 S1704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1702의 판별 결과, 확인 설정(1408)의 설정값이 "ON"일 때, CPU(102)는 도 19의 설정 확인 화면(19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단계 S1703). 설정 확인 화면(1900)은,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1801)를 호출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1901)를 포함한다. 이어서, CPU(102)는,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1801)의 즉시 실행 설정(1409)의 설정값이 "ON" 또는 "OFF"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704).
단계 S1704의 판별 결과, 즉시 실행 설정(1409)의 설정값이 "OFF"일 때, CPU(102)는 도 20의 카피 설정 화면(20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단계 S1705). 카피 설정 화면(2000)의 각 설정란에는, 커스텀 버튼 관련 정보(1801)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1407)의 설정값이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CPU(102)는, 유저에 의한 스타트 키(201)의 누름을 검지하고, 작업 개시 요구를 접수하면(단계 S1706), 카피 설정 화면(2000)에서 구성된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카피 작업을 실행한다(단계 S1707). 카피 작업이 실행 중일 때, 터치 패널(200)에는 도 21의 실행 중 화면(2100)이 표시된다. 그 후, CPU(1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704의 판별 결과, 즉시 실행 설정(1409)의 설정값이 "ON"일 때, CPU(102)는 도 20의 카피 설정 화면(20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하지 않고 단계 S1707 및 이후의 단계의 처리를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MFP(100)는, 커스텀 버튼 등록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유저가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용이하게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유저는 전술한 커스텀 버튼 등록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고, 이는 많은 시간과 수고가 든다. 이러한 시간과 수고를 절약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과거에 실행한 인쇄 작업의 설정 이력에 기초해서 동일한 설정, 더 구체적으로 인쇄 설정을 이용해서 동일한 파일의 인쇄를 행하는 재인쇄 기능이 이용된다. 유저는 전술한 커스텀 버튼 등록 기능을 행하지 않고 과거에 설정된 실행 조건에 기초하여 작업의 실행 지시를 용이하게 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재인쇄 기능에서는, 과거에 설정한 실행 조건의 일부를 변경한 인쇄 작업, 예를 들어 동일한 폴더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을 인쇄하는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발행하는 경우, 유저는 폴더의 지정으로부터 다시 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저는 동일한 저장 장소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의 인쇄 작업 실행 지시를 용이하게 발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행된 인쇄 작업의 실행 조건을 레코드로서 관리한다. 유저가 상기 레코드를 선택하는 경우, 유저가 상기 레코드와 관련지어진 저장 장소에 저장된 모든 파일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파일 선택 화면이 선택된다.
도 22는, 도 1의 MFP(100)에 의해 실행되는 레코드 등록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의 처리는, CPU(102)가 ROM(107)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22의 처리는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발행된 작업 실행 지시를 접수한 때에 실행된다. 도 22의 처리는, 도 9a 및 도 9b의 실행 조건이 설정된 보존 파일 이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접수했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먼저, CPU(102)는 레코드 명칭을 결정한다(단계 S2201). 레코드 명칭은, 유저가 레코드에 포함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문자열 또는 아이콘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파일명이 저장 장소를 특정하는 절대 경로로 표현되며, 인쇄 설정 중 주요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문자열 또는 아이콘으로 표현된다. 주요 설정 항목은, 예를 들어 컬러 모드, 양면 인쇄, 마무리, 및 카피 수와 같은 인쇄 설정 항목을 포함한다. 레코드 명칭은 또한 공장 출하시의 디폴트 값으로부터 유저에 의한 조작을 통해 변경된 설정값일 수 있다.
이어서, CPU(102)는 도 23의 선택 화면(23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 선택 화면(2300)에서는, 상기 실행 조건이 관련지어진 레코드를 유저가 선택할 때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특정하는 정보가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선택 화면(2300)에서는, 유저가 작업 설정 화면 및 파일 선택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작업 설정 화면이 선택되면, 유저가 상기 실행 조건이 관련지어진 레코드를 눌렀을 때에, 인쇄 설정 화면(907) 등의 인쇄 설정을 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터치 패널(200)에 표시된다. 파일 선택 화면이 선택되면, 유저가 상기 실행 조건이 관련지어진 레코드를 눌렀을 때에, 파일 선택 화면(907) 등에서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터치 패널(200)에 표시된다.
CPU(102)는, 유저에 의한 OK 버튼(2301)의 누름을 검지하면, 선택 화면(2300)에서의 설정값에 기초하여 화면 천이 설정을 결정한다(단계 S2202). 선택 화면(2300)에서의 설정값은, 유저에 고유한 설정값 또는 MFP(100)에 공통인 설정값 중 어느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CPU(102)는, 레코드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도 24의 레코드 정보(2400)에 상기 실행 조건과 관련지어진 레코드를 등록하기 위해서, 새로운 레코드 ID를 발행한다. 레코드 정보(2400)는, HDD(106)에 저장되고, 레코드 ID(2401), 레코드 종별(2402), 오너 유저 ID(2403), 레코드 명칭(2404), 어플리케이션 종별(2405), 갱신일(2406), 어플리케이션 데이터(2407) 및 화면 천이 설정(2408)(특정 정보)을 구비한다. 레코드 정보(2400)의 구성요소는 일례일뿐이며, 레코드 정보(2400)는 상술한 항목 이외의 다른 항목, 예를 들어 커스텀 버튼 정보(1400)에서의 확인 설정(1408) 및 즉시 실행 설정(1409)과 유사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레코드 정보(2400)의 항목의 수는 어플리케이션 종별마다 상이할 수 있다.
레코드 ID(2401)로서, 레코드에 고유하게 할당된 ID가 설정된다. 레코드 종별(2402)로서, 공유 레코드 및 마이 레코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레코드 종별(2402)이 마이 레코드인 경우, 오너 유저 ID(2403)로서 레코드에 대해 실행 조건을 설정한 유저를 특정하기 위한 유저 ID가 설정된다. 레코드 명칭(2404)으로서, 단계 S2201의 처리에서 결정된 레코드 명칭이 설정된다. 어플리케이션 종별(2405)로서, 각 레코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별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설정된다. 갱신일(2406)로서, 레코드의 등록 일시가 설정된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2407)로서, 작업 설정값이 해시 맵, 즉 "KEY/VALUE"을 이용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2407)로서, 인쇄 설정 및 인쇄 대상 데이터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폴더 경로가 설정된다. 화면 천이 설정(2408)으로서, 단계 S2202의 처리에서 이루어진 화면 천이 설정이 설정된다.
그 후, CPU(102)는, 발행된 레코드 ID, 단계 S2201의 처리 결과, 상기 실행 조건 및 선택 화면(2300)에서의 설정값에 기초하여 도 25의 설정 이력(2500)을 생성하고(단계 S2203), 레코드 정보(2400)를 판독한다. 이어서, CPU(102)는 설정 이력(2500)과 레코드 정보(2400)를 서로 비교한다. CPU(102)는, 설정 이력(2500)과 일치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2407)를 포함하는 다른 설정 이력이 레코드 정보(2400)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204).
단계 S2204의 판별 결과, 상기 다른 설정 이력이 레코드 정보(24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CPU(102)는 HDD(106)의 빈 공간의 양이 미리정해진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205).
단계 S2205의 판별 결과, HDD(106)의 빈 공간의 양이 미리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CPU(102)는 설정 이력(2500)을 레코드 정보(2400)에 등록하고(단계 S2206),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205의 판별 결과로서, HDD(106)의 빈 공간의 양이 미리정해진 값 미만일 때, CPU(102)는 레코드 등록 에러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하고(단계 S2207),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204의 판별 결과로서, 상기 다른 설정 이력이 레코드 정보(2400)에 등록되어 있을 때, CPU(102)는 설정 이력(2500)을 레코드 정보(2400)에 등록하지 않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MFP(100)에서는, 상술한 커스텀 버튼 등록 조작을 행할 필요 없이, 실행한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가 레코드로서 관리된다.
도 26은, 도 1의 MFP(100)에 의해 실행되는 레코드 표시 제어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의 처리는, CPU(102)이 HDD(106)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26의 처리는 도 3의 인증 처리에 의해 로그인 세션이 개시된 때에 실행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먼저, CPU(102)는, 어플리케이션 버튼 정보(700) 및 커스텀 버튼 정보(1400)에 기초하여 메뉴(601)를 생성한다(단계 S2601). 이어서, CPU(102)는, 레코드 정보(2400)로부터 1개의 설정 이력을 취득하고(단계 S2602), 취득한 1개의 설정 이력에 기초하여 홈 화면(600)에 표시되는 레코드를 생성한다(단계 S2603). 이어서, CPU(102)는 레코드 정보(2400)에 등록된 모든 설정 이력의 레코드가 생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604).
단계 S2604의 판별 결과, 레코드 정보(2400)에 등록된 설정 이력 중 임의의 것에 대한 레코드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2602로 복귀한다.
단계 S2604의 판별 결과, 레코드 정보(2400)에 등록된 모든 설정 이력에 대한 레코드가 생성된 경우, CPU(102)는 생성된 메뉴(601) 및 레코드를 포함하는 도 27의 홈 화면(27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단계 S2605). 홈 화면(2700)의 타임라인(2701)에는, 단계 S2603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레코드(2702, 2703)가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이 실행되면, 상기 작업의 실행 조건이 관련지어진 레코드가 타임라인(2701)의 최상위에 배치된다. 타임라인(2701)에 맞춰지지 않을 정도로 레코드의 수가 증가하면, 타임 라인(2701)에는 스크롤바(도시하지 않음)가 표시된다. 유저는 타임라인(2701)을 벗어나서 연장되는 레코드를 스크롤바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레코드의 수가 미리정해진 수에 도달한 경우, 레코드는 오래된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삭제된다. 그 후, CPU(1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28은 도 1의 MFP(100)에 의해 실행되는 레코드 작업 실행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8의 처리는, CPU(102)가 HDD(106)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28의 처리는, 예를 들어 유저가 홈 화면(2700)에서 레코드(2702, 2703) 중 어느 하나를 눌렀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먼저, CPU(102)는, 눌러진 레코드에 대응하는 설정 이력을 레코드 정보(2400)로부터 판독한다(단계 S2801). 예를 들어, 유저가 레코드(2703)를 누른 경우, CPU(102)는 레코드(2703)에 대응하는 도 29의 설정 이력(2901)을 레코드 정보(2400)로부터 판독한다. 이어서, CPU(102)는, 설정 이력(2901)의 화면 천이 설정(2408)의 설정값을 판별한다(단계 S2802).
단계 S2802에서, 상기 화면 천이 설정(2408)의 설정값이 "작업 설정 화면"일 경우, CPU(102)는 후술하는 단계 S2809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2802에서, 상기 화면 천이 설정(2408)의 설정값이 "파일 선택 화면"일 때, CPU(102)는 설정 이력(2901)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2407)로부터 폴더 경로 및 파일명을 취득한다. 이어서, CPU(102)는, 상기 폴더 경로가 나타내는 지정 폴더에 상기 파일명의 파일(이하, "지정 파일"이라 칭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803).
단계 S2803의 판별 결과, 지정 파일이 지정 폴더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CPU(102)는, 터치 패널(200)에 파일 없음 에러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표시하고(단계 S2804), 단계 S2807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2803의 판별 결과, 지정 폴더에 지정 파일이 존재할 때, CPU(102)는 지정 폴더에 지정 파일 이외의 다른 파일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805).
단계 S2805의 판별 결과, 지정 폴더에 지정 파일 이외의 파일이 존재할 때, CPU(102)는, 지정 파일을 선택 상태로 하는 도 30a의 파일 선택 화면(30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단계 S2806, S2807). 이에 의해, 유저는, 파일 선택 화면(3000)을 조작해서 지정 폴더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CPU(102)는, 파일 선택 화면(3000)에서 유저에 의한 인쇄 버튼(3001)의 누름을 검지하고 작업 설정 요구를 접수한다(단계 S2808). 그 후, CPU(102)는 도 30b의 인쇄 설정 화면(3002)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한다(단계 S2809). 인쇄 설정 화면(3002)은, 설정 이력(2901)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2407)의 설정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표시된다.
이어서, CPU(102)는, 유저에 의한 인쇄 개시 버튼(3003)의 누름을 검지하고, 인쇄 작업 실행 요구를 접수하면(단계 S2810), 인쇄 작업을 실행한다(단계 S2811). 상기 인쇄 작업은, 파일 선택 화면(3000) 및 인쇄 설정 화면(3002)에서의 각 설정값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인쇄 작업이 실행 중인 동안, 터치 패널(200)에는, 도 31의 실행 중 화면(3100)이 표시된다. 그 후, CPU(102)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805의 판별 결과, 지정 폴더에 지정 파일 이외의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지정 폴더에 지정 파일만이 존재하는 경우, CPU(102)는 파일 선택 화면(3000)을 터치 패널(200)에 표시하지 않고 단계 S2809의 처리를 행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행된 인쇄 작업의 실행 조건을 레코드(2702, 2703)로서 관리한다. 또한, 유저가 레코드(2702, 2703) 중 하나, 예를 들어 레코드(2703)가 선택되었을 때에 레코드(2703)와 관련지어진 저장 장소에 저장된 모든 파일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파일 선택 화면(3000)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전술한 커스텀 버튼 등록 조작을 행하지 않고, 과거에 실행된 인쇄 작업의 실행 조건이 용이하게 호출된다. 또한, 과거에 인쇄된 파일과 동일한 폴더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파일이 용이하게 선택된다. 그 결과, 전술한 커스텀 버튼 등록 조작을 행하지 않고, 동일한 저장 장소에 저장된 별도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용이하게 발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레코드(2703)를 선택했을 때에 레코드(2703)와 관련지어진 저장 장소에 지정 파일만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파일 선택 화면(3000)을 표시하지 않고, 인쇄 설정 화면(3002)이 표시된다. 여기서, 레코드(2703)와 관련지어진 상기 저장 장소에 지정 파일만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지정 파일이 인쇄 대상 데이터인 것이 용이하게 상정된다. 이 경우, 작업의 실행 지시를 행할 때의 조작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인쇄 대상 데이터의 설정이 완료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다른 실행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구체적으로는 인쇄 설정을 행하기 위한 인쇄 설정 화면(3002)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레코드를 선택했을 때에 레코드와 관련지어진 저장 장소에 지정 파일만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파일 선택 화면(3000)을 표시하지 않고, 인쇄 설정 화면(3002)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작업의 실행 지시를 행할 때의 조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레코드를 선택했을 때에, 레코드와 관련지어진 화면 천이 설정(2408)의 설정값에 기초하여 파일 선택 화면 또는 인쇄 설정 화면을 표시할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레코드마다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종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화면 천이 설정(2408)은 유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유저의 이용 패턴에 따라 적절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된다.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저가 미리정해진 조작을 행한 레코드(2702 또는 2703)가 커스텀 버튼으로서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타임라인(2701)에서 레코드(2703)를 길게 눌렀을 때에, 레코드(2703)를 커스텀 버튼으로서 등록하는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팝업 메뉴(도시되지 않음)가 터치 패널(200)에 표시된다. CPU(102)는, 상기 팝업 메뉴를 통해 등록 지시를 접수하면, 레코드(2703)의 설정 이력을 호출하기 위한 커스텀 버튼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삭제하고 싶지 않은 설정 이력을 용이하게 남길 수 있고, 따라서 이 설정 이력을 원하는 타이밍에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인증 방법은 도 3의 처리에서 사용되는 인증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MFP(100)는 통신 유닛(103)을 통해서 인증 서버에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인증 결과를 이용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화면 천이 설정(2408)의 설정값이 레코드 정보(2400) 이외의 다른 설정 파일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저는 레코드를 누를 때마다 천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선택하도록 촉구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22의 처리에서의 화면 천이 설정은 항상 선택 화면(2300)을 이용하여 결정되지 않고, 유저의 조작 이력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유저로부터 폴더 또는 파일이 변경되지 않았지만 인쇄 설정이 변경된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접수한 경우, CPU(102)는 화면 천이 설정을 작업 설정 화면으로 구성한다. 동일한 유저로부터 인쇄 설정이 변경되지 않았지만 동일한 폴더에 저장된 다른 파일을 지정한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접수한 경우, CPU(102)는 화면 천이 설정을 파일 선택 화면으로 구성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2804에서, 파일 없음 에러 화면이 아니고, 지정 폴더에 지정 파일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메시지를 표시해도 되고, 또한 레코드(2703)를 타임라인(2701)으로부터 삭제해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2018년 1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004349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문헌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통합된다.

Claims (12)

  1. 유저로부터 접수한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인쇄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이며,
    상기 작업의 인쇄 설정과, 상기 작업의 실행을 통해 인쇄된 데이터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력으로서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 및
    상기 저장 유닛에 의해 저장된 상기 인쇄 설정을 판독하는 경우에, 유저가 상기 저장 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에서 상기 인쇄 대상 데이터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인쇄 대상 데이터의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 설정을 접수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에 의해 저장된 상기 인쇄 설정을 판독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 장소에 상기 작업의 실행을 통해 인쇄된 데이터만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선택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인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선택 화면 및 상기 설정 화면 중 하나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에 의해 저장된 상기 인쇄 설정을 판독하는 경우에, 저장된 상기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화면 및 상기 설정 화면 중에서 표시될 화면을 선택하는,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설정되는, 인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으로서 저장된 상기 인쇄 설정과 상기 특정 정보는 미리정해진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삭제되며,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인쇄 설정과 상기 특정 정보에 대한 미리정해진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인쇄 설정과 상기 특정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커스텀 버튼이 생성되는, 인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에 의해 저장된 상기 작업의 인쇄 설정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표시하며,
    표시된 상기 레코드가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저장 유닛에 의해 저장된 상기 인쇄 설정이 판독되는, 인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소는 상기 표시된 레코드 상에 표시되는, 인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코드가 표시될 수 있는, 인쇄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레코드를, 카피 설정 화면을 호출하기 위한 카피 버튼과 함께 표시하는, 인쇄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인쇄 장치에 로그인 한 유저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홈 화면에 상기 레코드를 표시하는, 인쇄 장치.
  11. 유저로부터 접수한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인쇄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작업의 인쇄 설정과, 상기 작업의 실행을 통해 인쇄된 데이터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력으로서 저장하는 저장 단계; 및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인쇄 설정을 판독하는 경우에, 유저가 상기 저장 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12. 유저로부터 접수한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인쇄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상기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작업의 인쇄 설정과, 상기 작업의 실행을 통해 인쇄된 데이터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력으로서 저장하는 저장 단계; 및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인쇄 설정을 판독하는 경우에, 유저가 상기 저장 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90004556A 2018-01-15 2019-01-14 인쇄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Active KR102569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4349A JP7039297B2 (ja) 2018-01-15 2018-01-15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18-004349 2018-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318A true KR20190087318A (ko) 2019-07-24
KR102569211B1 KR102569211B1 (ko) 2023-08-22

Family

ID=6502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556A Active KR102569211B1 (ko) 2018-01-15 2019-01-14 인쇄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54602B2 (ko)
EP (1) EP3511816A1 (ko)
JP (1) JP7039297B2 (ko)
KR (1) KR102569211B1 (ko)
CN (1) CN1100492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6440B2 (ja) * 2018-04-26 2022-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151490B2 (ja) * 2019-01-04 2022-10-12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操作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502917B2 (ja) * 2020-06-30 2024-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検品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647038B2 (ja) * 2020-09-11 2025-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方法
JP7558753B2 (ja) * 2020-10-29 2024-10-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589064B2 (ja) 2021-02-24 2024-11-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79316A (ja) 2021-11-29 2023-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183238A (ja) * 2022-06-15 2023-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621A (ko) * 2005-06-28 2007-01-03 임진성 식생블럭
KR20100128309A (ko) * 2008-02-27 2010-12-0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웨이스트게이트 덕트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터보차저
KR20120133976A (ko) * 2011-05-31 2012-12-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부품 실장 장치 및 전자 부품 촬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1572B2 (ja) 2006-09-29 2009-08-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05377B2 (ja) 2008-01-31 2012-03-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5341489B2 (ja) * 2008-11-26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30181B2 (ja) * 2009-03-10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84338B2 (ja) * 2010-11-3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28690A (ja) * 2010-12-15 2012-07-0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218876B2 (ja) * 2011-02-28 2013-06-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指示装置及び印刷指示システム
JP5984400B2 (ja) * 2012-01-20 201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憶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17240B2 (ja) 2012-04-03 2016-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83275B2 (ja) 2014-01-29 2015-09-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76244A (ja) 2015-10-14 2017-04-20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画像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621A (ko) * 2005-06-28 2007-01-03 임진성 식생블럭
KR20100128309A (ko) * 2008-02-27 2010-12-0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웨이스트게이트 덕트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터보차저
KR20120133976A (ko) * 2011-05-31 2012-12-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부품 실장 장치 및 전자 부품 촬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211B1 (ko) 2023-08-22
CN110049203A (zh) 2019-07-23
US10754602B2 (en) 2020-08-25
US20190220237A1 (en) 2019-07-18
JP7039297B2 (ja) 2022-03-22
CN110049203B (zh) 2022-03-18
JP2019123127A (ja) 2019-07-25
EP3511816A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211B1 (ko) 인쇄 작업을 실행하는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114450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settings history button,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EP279039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initial screen based on past setting inform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72261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ing a history button to re-perform selected processing based on setting values for a selected document that was performed, control method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US92016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user setting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6260544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10831413B2 (en) Printing apparatus that displays notification screen and that executes print job,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9310739B2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n aggregation result of a number of printed pages
JP202001787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制御方法
JP7098385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240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70344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86866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 setting history for which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quired to execute a job
JP2020113175A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498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detection of virus
CN100462867C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管理方法
US2024020534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103189B2 (ja) 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030887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9766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4645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718822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6081011A (ja) 画像形成装置、処理状況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