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82886A - 랜덤-액세스 절차 - Google Patents

랜덤-액세스 절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886A
KR20190082886A KR1020197016651A KR20197016651A KR20190082886A KR 20190082886 A KR20190082886 A KR 20190082886A KR 1020197016651 A KR1020197016651 A KR 1020197016651A KR 20197016651 A KR20197016651 A KR 20197016651A KR 20190082886 A KR20190082886 A KR 20190082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ion
modulation format
random access
wireless device
me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248B1 (ko
Inventor
헨릭 살린
로버트 발데마이어
스테판 파크발
에릭 달만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9008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04L1/000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applied to payloa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2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identifying th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W72/0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네트워크 노드에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방법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3) 송신을 위한 변조 포맷을 구성하기 위해 변조 포맷의 표시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랜덤-액세스 절차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랜덤-액세스 응답 절차(random-access response procedure)에 관한 것이다.
랜덤-액세스 절차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핵심 기능이다. 도 1은 LTE에서 랜덤-액세스 절차를 도시한다. 유사한 구조가 5G 뉴 라디오(New Radio)(NR)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4G LTE에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자 하는 UE는 업링크에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Access Channel)(PRACH)을 통해 프리앰블(Msg1)(30)을 송신함으로써 랜덤-액세스 절차를 개시한다. 프리앰블을 수신하고 랜덤 액세스 시도를 검출하는 기지국은 다운링크에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을 통해 랜덤 액세스 응답(Msg2)(40)을 송신함으로써 응답할 것이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UE가 단말기 식별을 위해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을 통해 업링크에서 후속 메시지(Msg3)(50)를 송신함으로써 절차를 계속하기 위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반송한다.
LTE 내에서 4G 무선 액세스는 다운링크에서 OFDM을 기초로 하고 업링크에서 DFT-확산 OFDM(DFT-spread OFDM)(DFTS-OFDM, 일명 SC-FDMA)을 기초로 한다[3GPP TS 36.211 참조]. DFT 확산 OFDM의 예시가 도 2에 도시되는데, 도 2에서 정보 비트들은 오류 검출 코드(CRC, Cyclic Redundancy Check)(CRC, 순한 중복 검사)를 계산하는데 사용되고, 채널 코딩되고, 레이트 매칭되고, QPSK, 16 QAM 또는 64 QAM과 같은 복소수 값 심볼들로 변조된다. 그 다음에 여러 제어 엔티티에 대응하는 심볼들 및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심볼들이 다중화되고, DFT(transform precoding)(변환 프리코딩)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할당된 주파수 간격에 매핑되고,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되고,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로 연쇄되고 마지막으로 무선을 통해 송신된다. 일부 프로세싱 블록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는 다중화 이전이 아닌 다중화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DFT, 매핑, IFFT 및 CP 삽입에 의해 구성된 심볼은 [3GPP TS 36.211, 섹션 5.6]에서 SC-FDMA 심볼로서 표시된다. LTE 릴리스 8 내에서, TTI는 14 개의 그러한 SC-FDMA 심볼로 구성된다.
업링크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DFT 확산 OFDM은 OFDM에 비해 피크 대 평균 전력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PAPR)가 현저히 낮다. 낮은 PAPR을 가짐으로써, 송신기는 비용과 배터리 소모량들이 중요한 쟁점들인 사용자 디바이스에 중요한 보다 간단하고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라디오 장비를 갖출 수 있다. 또한, UE는 OFDM에 비해 DFTS-OFDM에 더 높은 송신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미래의 5G 시스템들에서, 낮은 PAPR을 갖는 이러한 단일 캐리어 특성은 업링크에서 전력이 제한된 UE뿐만 아니라 다운링크 및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송신들에 대해서도 중요할 수 있다.
LTE에서, 메시지 3은 DFTS-OFDM에 기초한다. 14 개의 DFTS-OFDM 심볼을 갖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예시가 도 3에 도시되며, 여기서 두 개의 DFTS-OFDM 심볼이 복조 참조 신호들에 사용된다.
통상적인 OFDM의 예시가 도 4에 제시된다. 도 4에서, 도 2의 DFTS-OFDM과 비교하여 매핑 앞의 DFT는 제거된다. 여러 서브 프레임의 예시가 도 5에 제시되고,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참조 신호들을 포함하는 14 개의 OFDM 심볼을 갖는다.
5G NR 내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은 맞추어 조정되어야 한다. 하나의 제안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둘 모두에서 OFDM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업링크에서 OFDM을 사용하는 다른 이유는 다수의 계층이 단일 UE로부터 공간적으로 다중화되는 다계층 전송(multi-layer transmission)(MIMO)이다. OFDM을 사용하면, 기지국 수신기가 더 간단해질 수 있다. OFDM의 사용은 또한 시간 도메인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 도메인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이한 신호들의 다중화 측면에서 더 많은 유연성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NR의 경우 OFDM 및 DFTS-OFDM을 둘 모두 지원하는 데 동의하였다.
OFDM에 기초한 메시지 3 변조 포맷을 사용하면, 일부 UE들은 OFDM으로 더 낮은 송신 전력을 사용할 때 DFTS-OFDM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커버리지 문제들을 경험할 것이다. 또한, PRACH 프리앰블이 낮은 PAPR을 갖도록 구성되면, OFDM 송신은 PRACH 프리앰블에 비해 더 낮은 송신 전력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이것은 DFTS-OFDM으로 송신하는 것에 비해 OFDM 송신을 위해 전력 증폭기에서 더 큰 백 오프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메시지 3 변조 포맷이 항상 DFTS-OFDM에 기초한다면, 모든 기지국은 OFDM 및 DFTS-OFDM 수신기를 둘 다 필요로 한다. 또한 OFDM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더 높은 자원 오버헤드가 DFTS-OFDM에 필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에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송신을 위한 변조 포맷을 구성하기 위해 변조 포맷의 표시를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변조 포맷이 특정 네트워크 조건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최적의 변조 포맷이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표시된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DFTS-OFDM) 또는 OFDM이다.
다른 예에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은 랜덤 액세스 시퀀스 내의 제3 메시지이고, 제1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제2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RAR)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표시된 변조 포맷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향후의 데이터 송신들에 적용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는 방송 채널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는 시스템 정보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 메시지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표시는 변조 포맷의 암시적 표시이다.
다른 양태에서, 방법은 변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선택은: 네트워크 노드의 능력, 무선 디바이스의 링크 예산(link budget),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송신신호들의 오버헤드(overhead), 무선 디바이스의 결정된 전력 레벨 및/또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SNR)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검출 기준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한다.
다른 양태에서, 방법은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수신된 송신신호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에 대한 응답이다.
다른 양태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는 복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더 포함하고, 방법은 복수의 변조 포맷 중 선택된 하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복수의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FTS-OFDM) 및 OFDM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노드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기 위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는 복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포함하고, 방법은 복수의 변조 포맷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변조 포맷의 표시를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송신에 사용될 변조 포맷을 구성하기 위해 변조 포맷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변조 포맷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선택은: 네트워크 노드의 능력, 무선 디바이스의 링크 예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송신신호들의 오버헤드, 무선 디바이스의 결정된 전력 레벨 및/또는 신호 대 잡음비(SNR)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검출 기준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한다.
다른 양태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는 복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더 포함하고, 네트워크 노드는 복수의 변조 포맷 중 선택된 하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하나의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선택된 변조 포맷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수신된 송신신호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에 대한 응답이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에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송신하기 위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수신하고,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FTS-OFDM) 또는 OFDM이다. 일부 예들에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은 랜덤 액세스 시퀀스 내의 제3 메시지이고, 제1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제2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향후의 데이터 송신들에 적용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는 방송 채널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는 시스템 정보 SI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 메시지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표시는 변조 포맷의 암시적 표시이다.
다른 양태에서, 변조 포맷의 표시는 복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포함하고, 무선 디바이스는 변조 포맷을 선택하고 선택된 변조 포맷의 표시를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복수의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FTS-OFDM) 및 OFDM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개시되고,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프로세서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송신에 사용될 변조 포맷을 구성하기 위해 송수신기를 통해, 변조 포맷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가 개시되고,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프로세서는 송수신기를 통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기 위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수신하고;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송수신기를 통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캐리어가 개시되고, 명령어들은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2항의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절차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추가의 예시적인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추가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물리적 유닛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물리적 유닛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30)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에 도입되거나 또는 UE가 OFDM 또는 DFTS-OFDM으로 메시지 3을 송신하도록 구성하는 방송 채널에 도입된다. 장점으로서, 메시지 3에 대한 변조 포맷들 사이의 선택은 기지국 내의 수신기들의 능력, 개개 UE에 대한 링크 예산 및/또는 메시지 3의 적당한 오버 헤드에 기초할 수 있다.
도 6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10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네트워크(100)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무선 디바이스들(110)로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E(들)(110) 및 (상호 교환 가능하게 eNB들 또는 gNB들(115)로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5)를 포함한다. UE들(110)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들(115)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115)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115)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들은 음성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제어 신호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15)와 연관된 무선 신호 커버리지 영역은 셀(125)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들(110)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UE들(110)은 다른 UE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및/또는 신호들을 직접 다른 UE에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들(115)은 하나 이상의 빔을 송신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UE(11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15)로부터 이들 빔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 받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들(115)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는 네트워크 노드들(115)을 제어할 수 있고, 특징 라디오 자원 관리 기능들, 이동성 관리 기능들 및/또는 다른 적합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의 기능들은 네트워크 노드(115)에 포함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12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상호 연결 네트워크(120)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들, 데이터, 메시지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상호 연결 시스템을 말할 수 있다. 상호 연결 네트워크(120)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 공중 또는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도시 영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M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인터넷과 같은 로컬, 지역 또는 전역 통신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기업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통신 링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들의 조합들을 비롯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UE들(110)에 대해 통신 세션들 및 다양한 다른 기능들의 설정을 관리할 수 있다. UE들(110)은 비-액세스 층의 계층(non-access stratum layer)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특정 신호들을 교환할 수 있다. 비-액세스 계층 시그널링에서, UE들(110)과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신호들은 투명하게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들(115)은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와 같은 노드 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10) 및 무선 디바이스들(110)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제한적인 용어 UE가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UE들(110)은 네트워크 노드들(115) 또는 다른 UE와 라디오 신호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110)는 또한 라디오 통신 디바이스, 타겟 디바이스, D2D UE, 머신-타입-통신(machine-type-communication) UE 또는 사물 지능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M2M) 가능 UE, 저비용 및/또는 저복잡성 UE, UE 장비형 센서(sensor equipped with UE), 태블릿, 이동 단말기들, 스마트 폰, 랩톱 내장 장비(laptop embedded equipped)(LEE), 랩톱 장착 장비(laptop mounted equipment)(LME), USB 동글들, 고객 댁내 장비(Customer Premises Equipment)(CPE) 등일 수 있다. UE(110)는 자신의 서빙 셀과 관련하여 정상적인 커버리지 또는 강화된 커버리지 하에서 동작할 수 있다. 강화된 커버리지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확장된 커버리지라고 지칭될 수 있다. UE(110)는 또한 복수의 커버리지 레벨(예를 들어, 정상 커버리지,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3 등)에서 동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UE(110)는 또한 아웃-오브-커버리지(out-of-coverage) 시나리오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인 용어인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간단히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된다. 이것은 기지국(base station)(BS), 라디오 기지국(radio base station)(RBS), 노드 B, 다중 표준 라디오(multi-standard radio)(MSR) BS와 같은 MSR 라디오 노드,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eNB), gNB 네트워크 제어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 중계 노드, 중계 도너 노드 제어 중계기(relay donor node controlling relay), 기지국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라디오 액세스 포인트, 송신 포인트들, 송신 노드들, 원격 라디오 유닛(Remote Radio Unit)(RRU),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RRH),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DAS) 내 노드들, 다중 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MCE),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SC, MME 등), O&M, OSS, SON, 위치 결정 노드(positioning node)(예를 들어, E-SMLC), MDT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와 같은 용어는 비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특히 둘 사이의 특정 계층 관계를 의미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 "eNodeB"는 디바이스 1으로 간주되고 "UE"는 디바이스 2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들 두 디바이스는 일부 라디오 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UE(110), 네트워크 노드(115) 및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예컨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네트워크(100)의 특정 배열을 도시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가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갖는 다양한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0)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UE들(110) 및 네트워크 노드들(115)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UE들 간의 또는 UE와 (유선 전화와 같은) 다른 통신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추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이 5G 네트워크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실시예들은 임의의 적합한 통신 표준들을 지원하고 임의의 적합한 구성요소들을 사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UE가 신호들(예를 들어, 데이터)을 수신 및/또는 송신하는 임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 또는 다중-RAT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는 LTE, LTE-어드밴스드, 5G, NR, UMTS, HSPA, GSM, cdma2000, WCDMA, WiMax, UMB, WiFi, 다른 적절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 또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이 다운링크에서 무선 송신의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가 업링크에서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AR이 OFDM 대 DFTS-OFDM의 사용을 표시한다면, 추가 비트 필드가 RAR에 포함된다. 이러한 필드는 "변조 포맷"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RAR은 UE들의 그룹에 특유하거나 또는 공통적인 UE 특정 PRACH 프리앰블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여러 UE들이 단일 변조 포맷 필드로 지정될 수 있다. 변조 포맷은 또한 암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업링크 승인시 특정 자원 할당에 연결되거나, RAR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DL 자원들에 연결되거나, TC-RNTI로부터 도출되거나, 또는 백-오프 표시기(back-off indicator)에 종속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조 포맷"은 방송 채널에서 표시될 수 있고 비 UE 특정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것의 변형은 업링크 파형을 다운링크 셀 탐색 동안 및 동기화 시퀀스와 같은 동기화 동안 사용되는 어떤 양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한 세트의 동기화 시퀀스들 또는 셀 ID들은 DFTS-OFDM을 의미하고, 다른 세트는 OFDM을 의미한다). 방송 채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전에 UE에 의해 판독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MIB)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SIB)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방송 채널은 마스터 정보 블록(MIB)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조 포맷의 선택은 PRACH 프리앰블 검출에 기초할 수 있다. PRACH 프리앰블이 낮은 전력 또는 낮은 SNR을 갖는 것으로 검출되면, 이것은 UE가 전력 제한되고 메시지 3을 송신할 때 OFDM보다 DFTS-OFDM의 사용이 좋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에 메시지를 도입하고 다른 실시예들은 UE가 메시지 3을 OFDM 또는 DFTS-OFDM으로 송신하도록 구성하는 방송 채널을 사용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은 페이로드를 갖는다:
* PRACH 프리앰블을 확인응답하는 것과 같은 검출된 PRACH 프리앰블 인덱스
* UE를 향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TA) 커맨드
* UE를 향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 임시 식별자(예를 들어, TC-RNTI)
* 필요하다면 추가 동기화 신호들의 구성
* 백 오프 표시기(Back off Indicator)(BI)
도 7은 PRACH 프리앰블 검출 기준을 도시한다. 이러한 기준은 PRACH 프리앰블의 수신된 신호 강도에 대응한다. PRACH 프리앰블 기준이 프리앰블 검출 문턱치를 초과하면 프리앰블이 검출된 것으로 간주되도록 사용되는 프리앰블 검출 문턱치가 또한 포함된다. PRACH 프리앰블 기준이 이러한 문턱치를 초과하면 기지국이 UE에게 메시지 3에 대해 OFDM을 사용하도록 지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DFTS-OFDM을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제2 문턱치가 또한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변조 포맷 필드는 검출된 PRACH 프리앰블에 연결된 RAR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조 포맷"은 OFDM (또는 DFTS-OFDM) 심볼들의 수, 시간 및 주파수에서의 참조 신호 밀도, 계층들의 수 등과 같은 더 많은 양태의 메시지 3 송신신호들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수신된 PRACH 프리앰블로부터 측정된 링크 예산에 따라 메시지 3 포맷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시지 3에 필요한 자원 할당은 UE가 양호한 링크 예산을 가질 때 더 낮아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AR에서 DFTS-OFDM 또는 OFDM 사이의 선택은 향후 데이터 송신을 위해, 즉 RAR 파형 선택을 "지속"시키기 위해 업링크 파형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후속 데이터 송신 동안 UE에게 DFTS-OFDM 또는 OFDM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지를 알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메시지 3 변조 포맷이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SI)에서 표시되면, UE는 단지 DFTS-OFDM 또는 OFDM을 지정할 수 있고, 이 경우 UE는 구성에 따라야 한다. 시스템 정보(SI)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gNB는 또한 OFDM 및 DFTS-OFDM 둘 모두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가능성은 UE가 - 예를 들어 자신의 전력 예산에 기초하여 - 하나의 프리앰블 송신 방식을 선택하고, gNB가 송신 방식을 무비판적으로 검출하는 것일 것이다.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은 메시지 3의 참조 신호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gNB가 두 세트의 PRACH 프리앰블을 지정하는 것이다: UE는 메시지 3에 대해 OFDM을 사용하고자 하면 제1 세트로부터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메시지 3에 대해 DFTS-OFDM을 사용하고자 하면 제2 세트로부터 프리앰블을 선택한다(gNB가 두 프리앰블 세트 모두를 명시하면, 이것은 gNB가 메시지 3에 대한 OFDM 및 DFTS-OFDM 둘 다를 지원한다는 것을 알리는 하나의 가능성이고, 반면에 하나의 세트만이 0이 아닌 원소 개수(cardinality)만을 갖는다면, 대응하는 송신 방식만이 지원된다).
예를 들어, 수신된 PSS, SSS 및 PBCH의 전력에 기초하여, UE는 메시지 3에 대해 OFDM 또는 DFTS-OFDM을 표시하는 것을 통해 제1 또는 제2 프리앰블 세트의 PRACH 프리앰블을 선택한다. 이러한 수신 전력은 gNB와 UE 간의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UE는 PRACH 프리앰블 전력에 기초하여 OFDM와 DFTS-OFDM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러한 PRACH 프리앰블 전력은 계산된 경로 손실 또는 PRACH 전력 램핑(power ramping)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신신호(들)에서, UE는 OFDM을 표시하는 프리앰블을 선택하지만, 자신의 송신 전력을 늘려야 한다면, DFTS-OFDM을 표시하는 프리앰블로 스위칭한다.
PRACH 프리앰블을 수신하고 일치하는 메시지 3 송신을 승인하는 gNB는 메시지 3 송신에 어떤 송신 방식을 바라고 있는지를 알고 있다. 임의로, 이러한 방식은 UE의 메시지 3 송신 방식의 선호도를 잠재적으로 덮어 버리기 위해 여전히 RAR에서 변조 포맷 비트로 보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UE로부터 gNB로 전달되는 암시적인 변조 포맷 비트이라고 볼 수 있는) PRACH 프리앰블 그룹의 선택은 또한 더 많은 양태의 메시지 3을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gNB는 두 개의 상이한 PRACH 프리앰블 그룹을 명시하는데, 하나는 OFDM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는 DFTS-OFDM 메시지 3 송신에 대응한다. PRACH 프리앰블 대신에, 일부 실시예는 OFDM 및 DFTS-OFDM 메시지 3 송신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에서의 상이한 PRACH 포맷들 또는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800)의 블록도이다. 도 8의 예시적인 기지국은 도 1 내지 도 7 또는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의 예시적인 기지국은 서빙되는 UE들과 통신하는 라디오 회로(810), 다른 라디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 및 OAM 시스템 노드들과 통신하는 통신 회로(820), 본 발명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830) 및 프로세싱 유닛(840)을 갖는 것으로 배열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840)은 UE에 제공되는 RAR 메시지를 공식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서빙되는 UE들 및 변조 포맷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라디오 회로(810)는 RAR 메시지를 UE에 전달하여 메시지 3을 OFDM 또는 DFTS-OFDM으로 송신하는 것을 비롯하여, 서빙되는 UE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라디오 회로(820)는 방송 채널에서 및 비 UE 특정 방식으로 송신된 "변조 포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의 변형은 업링크 파형을 다운링크 셀 탐색 동안 및 동기화 시퀀스와 같은 동기화 동안 사용되는 어떤 양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한 세트의 동기화 시퀀스들 또는 셀 ID들은 DFTS-OFDM을 의미하고, 다른 세트는 OFDM을 의미한다). 일부 예들에서, 방송 채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전에 UE에 의해 판독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900)의 블록도이다. 도 9의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는 도 1 내지 도 7 또는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UE들의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의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900)는 서빙 기지국과 통신하는 라디오 회로(910), 본 발명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920) 및 프로세싱 유닛(930)을 갖는 것으로 배열될 수 있다. 라디오 회로(910)는 기지국으로부터 RAR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3을 OFDM 또는 DFTS-OFDM으로 송신하고 그 메시지에 따라 메시지 3으로 응답하는 것을 비롯하여, 서빙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라디오 회로는 방송 채널에서 표시되고 비 UE 특정 방식으로 송신된 "변조 포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의 변형은 업링크 파형을 다운링크 셀 탐색 동안 및 동기화 시퀀스와 같은 동기화 동안 사용되는 어떤 양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한 세트의 동기화 시퀀스들 또는 셀 ID들은 DFTS-OFDM을 의미하고, 다른 세트는 OFDM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방송 채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전에 UE에 의해 판독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gNB는 또한 OFDM 및 DFTS-OFDM 둘 모두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의 예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 예를 들어, UE 전력 예산에 기초하여 - 하나의 프리앰블 송신을 선택하도록, 다시 말해서 변조 포맷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표시된/선택된 변조 포맷에 따라 메시지 3을 공식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는 UE 및 다른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셀룰러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의 예들은 이동 전화, 스마트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휴대용 컴퓨터(예를 들어, 랩톱, 태블릿), 센서, 모뎀, 머신-타입-통신(MTC) 디바이스/사물 지능 통신(M2M) 디바이스, 랩톱 내장 장비(LEE), 랩톱 장착 장비(LME), USB 동글들, D2D 가능 디바이스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UE, 스테이션(station)(STA),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로도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송수신기(1310), 프로세서(1320) 및 메모리(13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1310)는 (예를 들어, 안테나(1340)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네트워크 노드(115)에 송신하고 네트워크 노드(115)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프로세서(1320)는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며, 메모리(1330)는 프로세서(13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320)는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110)의 기능들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현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RAR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3을 OFDM 또는 DFTS-OFDM으로 송신하고 그 메시지에 따라 메시지 3으로 응답하는 것을 비롯하여, 서빙 기지국과 통신한다. 다른 예에서, 방송 채널에서 표시되고 비 UE 특정 방식으로 송신된 "변조 포맷"을 수신한다. 이것의 변형은 업링크 파형을 다운링크 셀 탐색 동안 및 동기화 시퀀스와 같은 동기화 동안 사용되는 어떤 양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한 세트의 동기화 시퀀스들 또는 셀 ID들은 DFTS-OFDM을 의미하고, 다른 세트는 OFDM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방송 채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전에 UE에 의해 판독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gNB는 또한 OFDM 및 DFTS-OFDM 둘 모두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의 예에서, 프로세서는 - 예를 들어 UE 전력 예산에 기초하여 - 하나의 프리앰블 송신을 선택, 다시 말해서 변조 포맷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알고리즘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들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1330)의 예들은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ROM)), 대용량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착탈 가능한 저장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DVD)), 및/또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10)의 다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 (위에서 설명된 해결책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성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10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입력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 출력 디바이스들, 및 프로세서(1320)의 일부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동기화 유닛 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들은 무선 디바이스(110)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메커니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들은 마이크로폰, 입력 요소들,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입력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들은 데이터들을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하드 카피 포맷으로 출력하는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임의의 유형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UE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의 예들은 eNodeB, gNB, 노드 B,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 저전력 노드, 기지국 송수신기 스테이션(BTS), 중계기, 도너 노드 제어 중계기, 송신 포인트들, 송신 노드들, 원격 RF 유닛(RRU), 원격 라디오 헤드(RRH), MSR BS와 같은 다중 표준 라디오(MSR) 라디오 노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내 노드, O&M, OSS, SON, 위치 결정 노드(예를 들어, E-SMLC), MDT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115)은 동종 배치(homogenous deployment), 이종 배치(heterogeneous deployment) 또는 혼합형 배치로서 네트워크(100) 도처에 배치될 수 있다. 동종 배치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또는 유사한)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115) 및/또는 유사한 커버리지와 셀 크기들 및 사이트 간 거리들로 구성된 배치를 말할 수 있다. 이종 배치는 일반적으로 셀 크기들, 송신 전력들, 용량들 및 사이트 간 거리들이 상이한 각종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들(115)을 사용하는 배치를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종 배치는 매크로 셀 레이아웃 도처에 배치된 복수의 저전력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형 배치들은 동종 부분들과 이종 부분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송수신기(1410), 프로세서(1420), 메모리(14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4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1410)는 (예를 들어, 안테나(1450)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프로세서(1420)는 네트워크 노드(115)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메모리(1430)는 프로세서(14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40)는 게이트웨이,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130) 등과 같은 백엔드 네트워크(backend network) 구성요소들에 신호들을 전달한다.
프로세서(1420)는 위의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115)의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현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R 메시지를 UE에 전달하여 메시지 3을 OFDM 또는 DFTS-OFDM으로 송신하는 것을 비롯하여, 서빙되는 UE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방송 채널에서 그리고 비 UE 특정 방식으로 송신된 "변조 포맷"을 수신한다. 이것의 변형은 업링크 파형을 다운링크 셀 탐색 동안 및 동기화 시퀀스와 같은 동기화 동안 사용되는 어떤 양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한 세트의 동기화 시퀀스들 또는 셀 ID들은 DFTS-OFDM을 의미하고, 다른 세트는 OFDM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방송 채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전에 UE에 의해 판독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4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알고리즘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들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1430)의 예들은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착탈 가능한 저장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40)는 프로세서(14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115)로의 입력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노드(115)로부터의 출력을 송신하고, 입력 또는 출력 또는 둘 모두의 적합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고,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40)는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들을 비롯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적절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포트,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의 다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 (위에서 설명된 해결책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하여,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성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11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상이한 유형들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되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성된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구성요소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30)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는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MSC),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SGSN),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MME),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기지국 제어기(BS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30)는 프로세서(1520), 메모리(15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52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메모리(1530)는 프로세서(15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40)는 게이트웨이,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네트워크 노드들(115),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들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130)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노드에 신호들을 전달한다.
프로세서(1520)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30)의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현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5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알고리즘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들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1530)의 예들은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착탈 가능한 저장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40)는 프로세서(15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로의 입력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출력을 송신하고, 입력 또는 출력 또는 둘 모두의 적합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40)는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들을 비롯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적절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포트,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다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 (위에서 설명된 해결책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성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12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결정 모듈(1610), 통신 모듈(1620), 수신 모듈(1630), 입력 모듈(1640), 디스플레이 모듈(1650)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1610), 통신 모듈(1620), 수신 모듈(1630), 입력 모듈(1640), 디스플레이 모듈(165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듈 중 하나 이상은 도 10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서(13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모듈 중 두 개 이상의 모듈의 기능들은 단일 모듈로 조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RAR 기능성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정 모듈(161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610)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변조 포맷을 표시하는 RAR 메시지에 응답하여 메시지 3을 구성할 수 있다. 결정 모듈(1610)은 도 10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서(13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결정 모듈(1610)은 위에서 설명된 결정 모듈(1610) 및/또는 프로세서(1320)의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결정 모듈(1610)의 기능들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통신 모듈(162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송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620)은 기지국으로부터 RAR 메시지에 따라 메시지 3을 전송한다. 통신 모듈(1620)은 송신기 및/또는 도 10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송수신기(1310)와 같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20)은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통신 모듈(1620)은 결정 모듈(1610)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위에서 설명된 통신 모듈(1620)의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신 모듈(163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수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수신 모듈(1630)은 기지국으로부터 RAR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3을 OFDM 또는 DFTS-OFDM으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1630)은 수신기 및/또는 도 10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송수신기(1310)와 같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630)은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1630)은 수신된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결정 모듈(1610)에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수신 모듈(1630)의 기능들은 특정 실시들예에서 하나 이상의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입력 모듈(1640)은 무선 디바이스(110)를 위해 의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은 키 누름들, 버튼 누름들, 터치들, 손가락으로 밀기(swipe)들, 오디오 신호들, 비디오 신호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은 하나 이상의 키, 버튼, 레버, 스위치, 터치스크린, 마이크로폰 및/또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은 수신된 신호들을 결정 모듈(1610)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5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신호들을 나타내 보이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50)은 디스플레이 및/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신호들을 나타내 보이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회로 및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50)은 결정 모듈(1610)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내 보이게 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정 모듈(1610), 통신 모듈(1620), 수신 모듈(1630), 입력 모듈(1640) 및 디스플레이 모듈(1650)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해결책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기능성을 제공하는데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13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115)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15)는 결정 모듈(1710), 통신 모듈(1720), 수신 모듈(1730),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1710), 통신 모듈(1720), 수신 모듈(173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듈 중 하나 이상은 도 11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서(14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모듈 중 두 개 이상의 모듈의 기능들은 단일 모듈로 조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RAR 기능성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정 모듈(1710)은 네트워크 노드(115)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710)은 위에서 설명된 RAR 메시지들을 공식화할 수 있다. 결정 모듈(1710)은 도 11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서(14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결정 모듈(1710)은 위에서 설명된 결정 모듈(1710) 및/또는 프로세서(1420)의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 모듈(1710)의 기능들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통신 모듈(1720)은 네트워크 노드(115)의 송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통신 모듈(1720)은 위에서 설명된 RAR 메시지들을 UE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720)은 무선 디바이스들(11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게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720)은 송신기 및/또는 도 11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송수신기(1410)와 같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720)은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통신 모듈(1720)은 결정 모듈(1710) 또는 임의의 다른 모듈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720)의 기능들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신 모듈(1730)은 네트워크 노드(115)의 수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모듈(1730)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RAR 메시지 3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1730)은 수신기 및/또는 도 11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송수신기(1410)와 같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730)은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1730)은 수신된 메시지들 및/또는 신호들을 결정 모듈(171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수신 모듈(1730)의 기능들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별도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결정 모듈(1710), 통신 모듈(1720), 및 수신 모듈(1730)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15)는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 중 임의의 기능성 및/또는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해결책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추가의 기능성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기능성을 제공하는데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도 14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기지국에서의 예시적인 방법(2000)을 도시하는데, 방법은 기지국에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2010)에서 시작한다. 단계(2020)에서, 방법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송신을 위한 변조 포맷을 구성하기 위해 변조 포맷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송신은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를 향하는 RAR 메시지 내에 있을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다른 예들에서, 그러한 송신은 방송 채널 내에 있고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다. 방법은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2030)를 임의로 포함한다. 방법은 단계(2040)에서 끝난다.
도 16은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에서의 예시적인 방법(2100)을 도시하는데,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단계(2110)에서 시작하고,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기 위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2120)로 진행한다. 위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는 RAR 메시지 내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다른 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방송 채널 내에 있고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표시를 수신한다. 단계(2130)에서,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송신하는 단계로 계속된다. 방법은 단계(2140)에서 끝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장치들에 대한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구성요소들은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동작들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동작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로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각각"은 세트의 각 구성원 또는 세트의 서브 세트의 각 구성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에 대한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들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다른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특정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실시예들의 변경들 및 치환들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위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경들, 대체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앞의 설명에서 사용된 약어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3GPP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P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MM 액티브 모드 이동성(Active Mode Mobility)
BS 기지국(Base Station)
BS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TS 기지국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CDM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IO 셀별 오프셋(Cell Individual Offset)
CPE 고객 구내 장비(Customer Premises Equipment)
CRS 셀 특정 참조 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SI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RS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D2D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to-device)
DAS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CI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FT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L 다운링크(Downlink)
DMRS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eNB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HO 핸드 오버(Handover)
LAN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EE 랩톱 내장 장비(Laptop Embedded Equipment)
LME 랩톱 장착 장비(Laptop Mounted Equipment)
LOS 시선(Line of Sight)
LTE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M2M 사물 지능 통신(Machine-to-Machine)
MAN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CE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MCS 변조 레벨 및 코딩 방식(Modulation level and coding scheme)
MRS 이동성 참조 신호(Mobility Reference Signal)
MSR 다중 표준 라디오(Multi-standard Radio)
NAS 비 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R 뉴 라디오(New Radio)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PDC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RACH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Access Channel)
PSTN 공중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USCH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C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B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S 라디오 기지국(Radio Base Station)
RI 순위 표시기(Rank Indicator)
RNC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RC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H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
RRU 원격 라디오 유닛(Remote Radio Unit)
TDD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FRE 시간 주파수 자원 요소(Time Frequency Resource Element)
TM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R 전송 자원(Transmission Resource)
TTI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Time Interval)
TTT 트리거할 시간(Time to Trigger)
UCI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L 업링크(Uplink)
W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Claims (47)

  1. 네트워크 노드(115)에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110)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2000)으로서,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송신을 위한 변조 포맷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2020)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DFTS-OFDM) 또는 OFDM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은 랜덤 액세스 시퀀스 내의 제3 메시지이고, 제1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30)을 포함하고, 제2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RAR)(40)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변조 포맷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향후의 데이터 송신들에 적용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는 방송 채널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 메시지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변조 포맷의 암시적 표시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력;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링크 예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송신신호의 오버 헤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결정된 전력 레벨 및/또는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SNR);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검출 기준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2030)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송신신호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에 대한 응답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복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더 포함하고,
    방법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변조 포맷 중 선택된 하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FTS-OFDM) 및 OFDM을 포함하는, 방법.
  14. 무선 디바이스(110)에서 네트워크 노드(115)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2100)으로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기 위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2120); 및
    상기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송신하는 단계(2130)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FTS-OFDM) 또는 OFDM인,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은 랜덤 액세스 시퀀스 내의 제3 메시지이고, 제1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30)을 포함하고, 제2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40)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변조 포맷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향후의 데이터 송신들에 적용되는,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방송 채널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 메시지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변조 포맷의 암시적 표시인, 방법.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복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변조 포맷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무선 디바이스(110)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115)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송신에 사용될 상기 변조 포맷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변조 포맷의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FTS-OFDM) 또는 OFDM인, 네트워크 노드.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은 랜덤 액세스 시퀀스 내의 제3 메시지이고, 제1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30)을 포함하고, 제2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40)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변조 포맷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향후의 데이터 송신들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노드.
  27. 제23항 또는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방송 채널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시스템 정보(SI)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9. 제23항 또는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 메시지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변조 포맷의 암시적 표시인, 네트워크 노드.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선택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력;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링크 예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송신신호의 오버 헤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결정된 전력 레벨 및/또는 신호대 잡음비(SNR);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검출 기준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노드.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복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변조 포맷 중 선택된 하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33.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변조 포맷에 따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송신신호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에 대한 응답인, 네트워크 노드.
  35. 네트워크 노드(115)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110)로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기 위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FTS-OFDM) 또는 OFDM인, 무선 디바이스.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은 랜덤 액세스 시퀀스 내의 제3 메시지이고, 제1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30)을 포함하고, 제2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40)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향후의 데이터 송신들에 적용되는, 무선 디바이스.
  39. 제35항 또는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방송 채널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0. 제35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시스템 정보(SI)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1.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 메시지 내에서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2. 제35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변조 포맷의 암시적 표시인, 무선 디바이스.
  43. 제35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의 표시는 복수의 변조 포맷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변조 포맷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조 포맷은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FTS-OFDM) 및 OFDM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5. 송수신기(1410), 프로세서(1420) 및 메모리(143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15)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110)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프로세서(1420)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송신에 사용될 상기 변조 포맷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1410)를 통해, 변조 포맷의 표시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46. 송수신기(1310), 프로세서(1320) 및 메모리(1330)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10)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115)와의 랜덤-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프로세서(1320)는 상기 송수신기(1310)를 통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기 위한 변조 포맷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된 변조 포맷에 따라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을 상기 송수신기(1310)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47.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2항의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캐리어.
KR1020197016651A 2016-11-11 2017-11-08 랜덤-액세스 절차 Active KR102240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1005P 2016-11-11 2016-11-11
US62/421,005 2016-11-11
PCT/EP2017/078563 WO2018087124A1 (en) 2016-11-11 2017-11-08 Random-access proced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886A true KR20190082886A (ko) 2019-07-10
KR102240248B1 KR102240248B1 (ko) 2021-04-14

Family

ID=6047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651A Active KR102240248B1 (ko) 2016-11-11 2017-11-08 랜덤-액세스 절차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3) US11191102B2 (ko)
EP (2) EP3398277B1 (ko)
JP (2) JP6828156B2 (ko)
KR (1) KR102240248B1 (ko)
CN (1) CN110168978B (ko)
AR (1) AR110059A1 (ko)
CA (1) CA3043484C (ko)
CO (1) CO2019004764A2 (ko)
DK (1) DK3398277T3 (ko)
ES (1) ES2830973T3 (ko)
HU (1) HUE052792T2 (ko)
IL (1) IL266457A (ko)
MX (1) MX2019005381A (ko)
PL (1) PL3398277T3 (ko)
RU (1) RU2729051C1 (ko)
WO (1) WO2018087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8156B2 (ja) * 2016-11-11 2021-02-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
CN112714470B (zh) 2017-01-04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其终端设备、网络设备
WO2020062098A1 (zh) 2018-09-28 2020-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及通信装置
US20220255580A1 (en) * 2021-02-05 2022-08-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CN116939612A (zh) * 2022-03-30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及装置
US20230389087A1 (en) * 2022-05-25 2023-11-30 Qualcomm Incorporated Waveform switch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GB2621312A (en) * 2022-07-15 2024-02-1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4152A1 (en) * 2008-08-11 2010-02-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fdma and sc-fdma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40509T1 (de) * 2006-11-01 2012-01-15 Qualcomm Inc Gemeinsame verwendung von mehrträger- und einzelträger-multiplexing-schemata für drahtlose kommunikation
US8169992B2 (en) 2007-08-08 2012-05-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scrambling during random access
KR101500754B1 (ko) * 2008-08-04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rf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949972B1 (ko) 2009-01-02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임의접속 수행 기법
US8917593B2 (en) 2010-03-18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design in a multiple component 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WO2012036601A1 (en) 2010-09-15 2012-03-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for a radio base station and a radio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assisting in or obtaining assistance in the ul reception of signals
US20140112254A1 (en) 2011-06-17 2014-04-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random access
WO2013106280A1 (en) 2012-01-10 2013-07-18 Horus Visio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iming point information
US9560685B2 (en) * 2012-04-20 2017-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2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12905A1 (en) 2013-01-17 2014-07-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random access resource size configuration and selection
KR20240052861A (ko) * 2014-08-15 2024-04-2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감소된 대역폭을 갖는 wtru에 대한 업링크 송신 및 mbms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60094315A1 (en) * 2014-09-29 2016-03-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channel and signal
US10159092B2 (en) 2015-02-26 2018-12-18 Hfi Innovation Inc. Uplink contention based multiple access for cellular IoT
US10631330B2 (en) 2015-04-03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procedures under coverage limitations
US10021695B2 (en) 2015-04-14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ata frames
US10165599B2 (en) * 2015-06-10 2018-12-25 Apple Inc. Random access procedures for link budget constrained wireless devices
EP3320368A4 (en) 2015-07-08 2018-07-25 Conoco Phillips Company Terrestrial imaging using multi-polarization synthetic aperture radar
EP3321087B1 (en) 2015-07-10 2021-01-06 Konica Minolta, Inc. Inkjet recording device and inkjet recording method
US10256955B2 (en) 2015-09-29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signals for narrowband operation
WO2018003463A1 (ja) 2016-06-29 2018-01-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中央処理装置および中央処理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US11140715B2 (en) * 2016-10-26 2021-10-05 Qualcomm Incorporated Waveform-dependent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CN108023709B (zh) * 2016-11-04 2022-03-15 夏普株式会社 上行发送波形的配置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18085701A1 (en) * 2016-11-04 2018-05-11 Intel IP Corporation Message 3 transmission in random access procedure for nr
JP6828156B2 (ja) * 2016-11-11 2021-02-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
US10477592B2 (en) * 2016-11-16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UL waveform during RACH procedure and autonomous UL transmission
KR102409785B1 (ko) * 2017-03-23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980007B2 (en) * 2017-09-29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919885B (zh) 2022-02-12 2023-05-02 福州市建筑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袋物分离智慧垃圾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4152A1 (en) * 2008-08-11 2010-02-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fdma and sc-fdma switching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10114* *
3GPP R1-162779* *
3GPP R2-15677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29051C1 (ru) 2020-08-04
JP7155304B2 (ja) 2022-10-18
US11729815B2 (en) 2023-08-15
ES2830973T3 (es) 2021-06-07
DK3398277T3 (en) 2020-10-26
PL3398277T3 (pl) 2021-05-04
US20230371065A1 (en) 2023-11-16
JP2021078135A (ja) 2021-05-20
KR102240248B1 (ko) 2021-04-14
US11191102B2 (en) 2021-11-30
CA3043484A1 (en) 2018-05-17
MX2019005381A (es) 2019-08-12
CO2019004764A2 (es) 2019-07-31
JP6828156B2 (ja) 2021-02-10
JP2020502887A (ja) 2020-01-23
HUE052792T2 (hu) 2021-05-28
US20220086900A1 (en) 2022-03-17
US12150169B2 (en) 2024-11-19
WO2018087124A1 (en) 2018-05-17
IL266457A (en) 2019-06-30
EP3398277A1 (en) 2018-11-07
EP3398277B1 (en) 2020-09-09
CA3043484C (en) 2021-01-19
AR110059A1 (es) 2019-02-20
EP3832920A1 (en) 2021-06-09
CN110168978B (zh) 2022-04-29
CN110168978A (zh) 2019-08-23
US20190141741A1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6443B2 (ja) スケジューリング要求およびack/nackの優先度付け
US11729815B2 (en) Random-access procedure
JP6800324B2 (ja) Srsキャリアベース切り替えと関連付けられた中断を制御するようにランダムアクセス設定を適応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EP4373013A2 (en) Configuration of cell quality derivation parameters
JP6505019B2 (ja) 端末装置、および端末装置における方法
US12225594B2 (en) Configuring random access channel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425974B2 (en) Configuring random access channel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3665929A1 (en) Measurement and report for cross-link interference management based on signal strength
JP6358662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3566367B1 (en) Methods, device and node for adapting a numerology depending on a position of a wireless device
EP3830998B1 (en) Nr peak rate and transport block size
WO2014021391A1 (ja) 端末、基地局、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4193772B1 (en) Coverage enhancement of msg3 and msga transmissions o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EP3857931B1 (en) Radio network node,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21162626A1 (en) System information message transmission indication
KR20240178782A (ko) Ce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기기, 장치 및 저장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