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045A -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0045A KR20190080045A KR1020170182221A KR20170182221A KR20190080045A KR 20190080045 A KR20190080045 A KR 20190080045A KR 1020170182221 A KR1020170182221 A KR 1020170182221A KR 20170182221 A KR20170182221 A KR 20170182221A KR 20190080045 A KR20190080045 A KR 201900800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l box
- center cover
- seat portion
- working vehicle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업용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공구박스의 배치를 통해 탑승자의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생산 단가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농업용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gricultural working vehicles are used to cultivate the crops needed for human life by using land. For example, Combine, Tractor and so on correspond to agricultural working vehicles. The combine can perform the work of threshing by taking crops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The tractor can perform the work necessary to grow the crop using the pulling force.
이러한 농업용작업차량은 그 탑승자의 농작 활동에 사용되는 각종 공구(tool)들을 보관하기 툴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농업용작업차량은 도 1과 같이 툴박스(1)를 운전시트(2)의 좌우측 펜더 또는 운전석의 근처에 위치한 ROPS(Roll-Over Protective Structure, 3)에 고정시키는 경우가 많다.Such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tool box for storing various tools used for agricultural activities of the occupant. The conventional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often fixes the
하지만, 툴박스를 위와 같이 농업용작업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해선 별도의 고정장치(4) 또는 브라켓이 요구되어, 농업용작업차량에 요구되는 부품이 증가되므로 농업용작업차량의 생산 단가와 생산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fix the tool box to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fixing device (4) or bracket is required, and the parts required for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re increased, so that the production cost and the production tim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re increased .
또한, 농업용작업차량의 툴박스가 외부에 노출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파손되거나 분실될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breakage or loss of the tool box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due to exposure of the tool box to the outside increases over time.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공구를 수납하는 툴박스의 설치에 요구되는 부품을 줄임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생산 단가를 감소시키고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shorten the production time by reducing the parts required for installing the tool box for accommodating the tool for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툴박스를 농업용작업차량의 안쪽에 설치함으로써 툴박스의 외부 노출에 따른 파손이나 분실을 방지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breakage or loss due to external exposure of the tool box by installing the tool box on the insid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농업용작업차량은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100)를 지지하고 하부주행체를 커버하며 일부 영역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홀(201)이 형성된 센터커버(200); 개방된 전면이 상기 센터커버(200)의 홀(201)과 연결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툴박스(300); 상기 툴박스(3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툴박스도어(400);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al use, comprising: a seat portion (100) for a passenger to sit on; A
상기 툴박스(300)는 상기 시트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터커버(2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센터커버(200)는 상기 시트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면(210)과 상기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3)와 연결되는 제2면(220)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커버(200)의 홀(201)은 상기 제2면(2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툴박스도어(400)는 상기 센터커버(200) 및 상기 툴박스(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개폐될 수 있다.The
상기 툴박스도어(400)는 상기 센터커버(200) 및 상기 툴박스(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공구를 수납하는 툴박스의 설치에 요구되는 부품을 줄임으로써 농업용작업차량의 생산 단가를 감소시키고 생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shorten the production time by reducing the parts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tool box for storing the tool for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또한, 본 발명은 툴박스를 농업용작업차량의 안쪽에 설치함으로써 툴박스의 외부 노출에 따른 파손이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breakage or loss due to external exposure of the tool box by installing the tool box on the inside of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에서 사용되는 툴박스(1)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의 시트부(100), 센터커버(200), 툴박스(300) 및 툴박스도어(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시트부(100), 센터커버(200), 툴박스(300) 및 툴박스도어(4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시트부(100), 센터커버(200), 툴박스(300) 및 툴박스도어(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툴박스(300)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method of a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4 is a side view in AA direction of FIG. 3 for illustrating th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m of th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tended only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 of a term includes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the expression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예시한 실시 형태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agricultural workin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작업차량(10)은 시트부(100), 센터커버(200), 툴박스(300) 및 툴박스도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2, an agricultural working
시트부(100)는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110) 및 상기 시트 위치 또는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시트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농업용작업차량(10)의 탑승자는 시트부(100)에 착석하고, 시트부(100)의 근처에 위치한 각종 제어기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농업용작업차량(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시트제어부(120)는 시트(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탑승자는 시트제어부(120)에 연결된 레버 또는 스위치를 통해 시트(110)의 위치 또는 시트가 젖혀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센터커버(200)는 시트부(100)를 지지하고, 농업용작업차량(10)의 하부주행체(도시되지 않음)를 커버하며 일부 영역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주행체는 농업용작업차량(10)의 주행을 위한 것으로서, 엔진(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농업용작업차량(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센터커버(200)는 하부주행체의 바퀴를 커버하기 위한 양측 펜더(202)를 연결하고, 시트부(100)의 하부에서 시트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센터커버(200)는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3)와 연결될 수 있다. 센터커버(200)는 시트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면(210)과 지지대(203)와 연결되는 제2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센터커버(200)의 제1면(210)은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면(220)은 제1면(210)과 수직한 상태로 제1면(210), 펜더(202)들 및 지지대(203)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2면(220)에서 제1면(210)과 가까운 상부 영역에는 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홀(201)의 형태는 하기 툴박스(30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도 2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The
툴박스(300)는 센터커버(200)의 홀(201)을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툴박스(300)는 시트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센터커버(2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센터커버(200)에 결합되는 툴박스(300)는 적어도 일 면이 개방된 장방체 형태일 수 있다. 툴박스(300)의 개방되지 않은 각 면은 사각형 프레임의 철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툴박스(300)의 크기는 제작자의 의도나 농업용작업차량(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예를 들어, 툴박스(300)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툴박스(300)의 각 면 중 전방에 대응되는 전면이 개방된 형태 또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툴박스(300)는 개방된 전면이 상기한 센터커버(200)의 제2면(220)의 홀(20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센터커버(200)의 홀(201)을 통해 툴박스(300)의 내부는 센터커버(200)의 외부와 소통될 수 있다. 센터커버(200)의 홀(201)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시트부(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시트부(1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손쉽게 툴박스(300)에 공구를 적재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The open front of the
툴박스도어(400)는 툴박스(300)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장치일 수 있다. 툴박스도어(400)는 툴박스(3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센터커버(200)의 홀(20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툴박스도어(400)는 상기 센터커버(200) 및 상기 툴박스(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힌지를 축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툴박스도어(400)는 상기 센터커버(200) 및 상기 툴박스(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툴박스도어(400)는 나사 결합의 유무를 통해 툴박스(3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The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시트부(100), 센터커버(200), 툴박스(300) 및 툴박스도어(4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시트부(100), 센터커버(200), 툴박스(300) 및 툴박스도어(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 방향 측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툴박스(300)가 센터커버(200)의 홀(201)을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시트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센터커버(200)의 제1면(210) 및 제2면(220)에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툴박스도어(400)는 툴박스(300)에 적재되거나 수납된 공구들이 탑승자의 의도와 달리 툴박스(30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3 and 4, the
도 5는 도 2의 툴박스(300)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m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툴박스(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면이 개방된 장방체 형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툴박스(300)는 도 5의 (A)와 같이, 상기한 센터커버(200)의 제2면(220)에 대면하는 전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툴박스(300)는 도 5의 (B)와 같이, 상기한 센터커버(200)의 제1면(210)에 대면하는 상면과 제2면(220)에 대면하는 정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The
툴박스(300)의 어떤 면이 개방되는 지는 툴박스(300)와 센터커버(200)의 제작 환경이나 조립 방법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How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농업용작업차량
100: 시트부
200: 센터커버
300: 툴박스
400: 툴박스도어10: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00: seat portion
200: Center cover 300: Toolbox
400: Toolbox door
Claims (5)
상기 시트부(100)를 지지하고 하부주행체를 커버하며 일부 영역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홀(201)이 형성된 센터커버(200);
개방된 전면이 상기 센터커버(200)의 홀(201)과 연결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툴박스(300);
상기 툴박스(3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툴박스도어(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A seat portion (100) for the passenger to sit on;
A center cover 200 that supports the seat portion 100 and covers the lower traveling body and has a hole 201 opened frontward in a partial region;
A tool box 300 having an opened front surface connected to a hole 201 of the center cover 200 to form a storage space;
A tool box door 4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face of the tool box 300; (10). ≪ / RTI >
상기 시트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터커버(2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olbox (300)
(100), and is coupled to the center cover (200).
상기 시트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면(210)과 상기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3)와 연결되는 제2면(220)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커버(200)의 홀(201)은 상기 제2면(2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enter cover (200)
A first surface 210 for supporting the seat portion 100 and a second surface 220 connected to a support 203 for supporting the foot of the occupant,
Wherein the hole (201) of the center cover (200) is formed in a part of the second surface (220).
상기 센터커버(200) 및 상기 툴박스(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oolbox door (4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enter cover (200) and the tool box (300) through a hinge, and is opened / closed around the hinge.
상기 센터커버(200) 및 상기 툴박스(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작업차량(10).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oolbox door (400)
Is coupled with at least one of the center cover (200) and the tool box (300) through a screw.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2221A KR20190080045A (en) | 2017-12-28 | 2017-12-28 |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2221A KR20190080045A (en) | 2017-12-28 | 2017-12-28 |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0045A true KR20190080045A (en) | 2019-07-08 |
Family
ID=6725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2221A Ceased KR20190080045A (en) | 2017-12-28 | 2017-12-28 |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80045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7971Y1 (en) | 2002-12-24 | 2003-03-17 | 이종웅 | a vehicle storage box |
-
2017
- 2017-12-28 KR KR1020170182221A patent/KR20190080045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7971Y1 (en) | 2002-12-24 | 2003-03-17 | 이종웅 | a vehicle storage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38318B2 (en) | Industrial vehicle | |
JP5215215B2 (en) | Work vehicle with cabin | |
US8303029B2 (en) | Utility vehicle | |
US6247746B1 (en) | Door assembly for a cab of an agricultural tractor | |
US9323278B2 (en) | Control lever system | |
US11203253B2 (en) | Work vehicle having a movable lower shield of a windshield | |
JP2012111390A (en) | Back door handle | |
EP3366899A1 (en) | Utility vehicl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movable part of utility vehicle | |
KR20190080045A (en) |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 |
CA3153580A1 (en) | Accessories for off-road vehicles | |
JP2011223891A (en) | Working machine | |
KR102032916B1 (en) | A Hinge assembly for a bonnet open and shut of a agriculture vehicle and Hinge construction of a agriculture vehicle contains the same | |
US20240301655A1 (en) | Agricultural work vehicle | |
KR20220032052A (en) | Device for pivotally connecting an air guiding element to a vehicle | |
KR102363695B1 (en) | Fram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 |
DE60003673D1 (en) | TRACTOR CABIN WITH UNDERBODY ACCESS FLAP | |
JP2019177731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cab and load-carrying platform | |
JP4321975B2 (en) | Working vehicle structure | |
JP2012224278A (en) | Cabin of tractor | |
JP6875327B2 (en) | Work machine | |
CN109278872B (en) | Cover structure and vehicle structure | |
KR102363692B1 (en) | Fram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 |
CN108602536A (en) | Device for being fastened to mud guard on the vehicle body of motor vehicles | |
JP4805869B2 (en) | Working vehicle | |
JP2001262622A (en) | Construction machinery having upper turning bo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6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