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68204A -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204A
KR20190068204A KR1020170168369A KR20170168369A KR20190068204A KR 20190068204 A KR20190068204 A KR 20190068204A KR 1020170168369 A KR1020170168369 A KR 1020170168369A KR 20170168369 A KR20170168369 A KR 20170168369A KR 20190068204 A KR20190068204 A KR 20190068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weight
composition
m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김솔
박상아
Original Assignee
쓰리업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업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쓰리업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8204A/ko
Publication of KR2019006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20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울릉도산 삼나물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oil in water, O/W)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로서,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컨디션, 온도 및 습도 등에 따라 조성물의 최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HYDROGELMASK COMPOSITION}
본 발명은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울릉도산 삼나물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oil in water, O/W)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로서,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컨디션, 온도 및 습도 등에 따라 조성물의 최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의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건의료기술에 의존하기 보다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노화, 스트레스 및 환경오염 등으로 피부 트러블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항산화 효능 및 항염증 효능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울릉도 청정 지역의 약용식물인 삼나물은 혹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하여 여러 가지 방어 물질(파이토카인)을 만들어 내며, 특히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뛰어난 사포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울릉도의 특성상 토양 및 재배환경이 좋아 뿌리부분에 대한 효능이 뛰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팩은 스킨, 로션 및 크림과 같은 일반적인 기초 화장료 제품 유형의 하나로서, 피부에 단시간 적용하여 흡수시키는 다른 제품 유형들과 달리 장시간의 적용을 통해 수분 및 영양분 공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 유형이다. 이러한 팩의 종류로는 부직포에 에센스 액을 충진하거나 하이드로겔 타입으로 제조하여 피부에 부착 후 떼어낼 수 있는 마스크 타입, 또는 피부에 고르게 도포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물 등으로 씻어내거나 고형화된 화장료를 떼어낼 수 있는 크림 타입 등이 시판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통상적으로 피부에 일정시간 적용하여 수분 및 성분 흡수를 극대화한 후 제거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피부 컨디션, 피부의 온도 및 습도 등에 따라 최적의 적용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당 분야에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 및 외부자극으로 인해 예민해진 피부를 개선시켜줄 수 있는 항산화 효능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사용자의 피부 컨디션, 피부의 온도 및 습도 정도 등에 따라 최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당 분야에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KR 10-1243219 B1 KR 10-1243220 B1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자극(스트레스, 환경오염 등)으로 예민해진 피부를 개선시켜줄 수 있는 항산화 효능 및 항염증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를 함유한 사용자의 피부 컨디션, 온도 및 습도 등에 따라 하이드로겔마스크의 최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50.00 중량%의 유상부와 50 내지 99.95 중량%의 수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상부는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이 총 중량대비 1.00 내지 10.00 중량%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는 0.02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초음파 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로 1,3-부틸렌글라이콜을 30 중량%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의 유상부 및 80 내지 95 중량%의 수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상부는 1 내지 10 중량%의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상부 또는 수상부의 굴절률은 각각 1.350 내지 1.5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상부는 보습제, 겔화 고분자 및 정제수,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습제는 다가알코올류, 글리세린류, 당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7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겔화 고분자로는 천연 당류, 친수성 겔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상부는 통상적인 오일 및 계면활성제(유화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왁스류, 천연오일, 실리콘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50.0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지방족 폴리옥시에틸렌 중합계의 비이온계면활성제, 솔비탄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의 비이온계면활성제, 천연유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 비이온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알칼리성 음이온계면활성제, 중성 음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oil in water, O/W)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로서,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50 중량%의 유상부 및 50 내지 99.95 중량%의 수상부를 포함할 수 있고 수상부에 1 내지 10 중량%의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가 0.02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은, i)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온도 및 시간에 따른 ⅱ)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ⅲ) 수상부 및 유상부 내 함유 성분의 함량 조절을 통해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불투명한 유백색에서 투명하게 변화되어 적용 최적 시간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일정 적용시간을 필요로 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제품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oil in water, O/W)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로서,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50.00 중량%의 유상부 및 50 내지 99.95 중량%의 수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부에는 총중량대비 1.00 내지 10.00 중량%의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는 0.02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으로 인해 외부자극으로 예민해진 피부를 개선시키고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온도에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수상부와 유상부간의 굴절률차가 줄어들어 투명하게 변색됨으로써 개인차에 따른 최상의 제품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에는 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가 수상부에 용해된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로서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5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0.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함량이 미비하여 불투명한 유백색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고, 50.0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수중유 형태의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내지 9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중유 형태의 에멀젼 형성이 어렵고, 99.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불투명한 유백색 구현이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은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 간의 굴절률 차가 0.02 내지 0.15으로 불투명한 유백색을 나타내며,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온도에 의해 수분이 증발함으로써 수상부와 유상부 간의 굴절률 차가 줄어들어 투명하게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상부 또는 수상부의 굴절률은 각각 1.250 내지 1.450 범위일 수 있고, 상기 굴절률 차는 0.02 내지 0.15내외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0.08일 수 있다. 이때 굴절률의 차가 0.02 미만인 경우에는 불투명한 유백색 구현이 어렵고, 0.15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굴절률 차가 너무 커져 피부온도에서의 수분 증발 정도로 효과적인 투명 변색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수상부와 유상부 간의 굴절률 차를 이용한 가변적 투명도를 가짐으로써 개인차에 따른 최상의 적용시간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수상부와 유상부 간의 굴절률 차는 화장료 조성물의 필수 성분, 적용 대상, 목적하는 적정 시간 등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의 차를 조절하기 위해, 수상부에 포함되는 보습제나 유상부에 첨가되는 오일 등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굴절률 차를 낮추기 위해서는 수상부에 포함되는 다가알코올류, 글리세린류 또는 당류 등의 함량을 높이거나 유상부에 포함되는 오일 등의 함량을 낮추거나 굴절률이 낮은 오일을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굴절률 차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상부의 다가알코올류, 글리세린류 또는 당류 등의 함량을 낮추거나 유상부 오일의 함량 또는 굴절률을 높이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에서, 상기 수상부는 통상적인 보습제, 겔화 고분자 및 정제수, 울릉도 삼나물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습제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통상적인 화장료 보습제 성분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류; 및 솔비톨 멀티톨, 자당, 전분당, 라쿠치톨 등의 당류 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 중량%일 수 있으며, 이때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상부와 유상부 간의 굴절률 차가 너무 커져 투명도 변화가 일어나기 어려우며, 7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의 차가 너무 낮아져 유백색 구현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겔화 고분자로는 화장료 조성물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형태 구현을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겔화 고분자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플루로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겔란,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천연 당류;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그의 염, 폴리메타크릴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상기 겔화고분자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0.1 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겔의 경화로 인해 유연성이 떨어져 피부에 적용 시 밀착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 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겔의 연화가 심해져 형태 유지가 어렵고 탄력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수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정제수로써, 총 중량 대비 5 내지 90 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이다. 이때 상기 정제수는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겔의 경화로 인해 유연성이 떨어져 피부에 적용 시 밀착성이 떨어질 수 있고, 수상부와 유상부 간의 굴절률 차가 너무 커져 투명도 변화가 일어나기 어려우며, 6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수상부와 유상부의 굴절률의 차가 너무 낮아져 유백색 구현이 어려워지고, 겔의 연화가 심해져 형태 유지가 어렵고 탄력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유상부는 통상적인 오일 및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오일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라우레이트, 에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칸올, 폴리올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시클로도데칸, 이소옥탄, 리퀴드파라핀, 바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시클로옥탄, 시클로펜탄 및 스쿠알렌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마이크로리스탈린왁스, 비즈왁즈, 라놀린왁스, 오조케라이트왁스, 칸데릴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합성왁스 등의 왁스류; 호호바오일, 아보카도오일, 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참기름, 밀배아유, 사플라워오일, 동백기름, 피마자유, 포도씨오일, 녹차씨오일, 마카다미아넛츠오일, 야자유, 로즈힙오일, 경화유, 아르간오일, 산자나무오일,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및 라벤더오일 등의 천연오일;및 사이클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올리브오일, 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리퀴드파라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5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0.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유백색 구현이 어렵고, 50.00 중량%초과의 경우에는 수중유 타입의 에멀젼 형성이 어려워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화장료 조성물의 수중유 형태 구현 및 유지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라우레이트, 솔비탄 팔미테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계의 비이온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리에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옥시에틸렌 중합계의 비이온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헥사올레이트 등의 솔비탄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의 비이온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의 천연유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 비이온계면활성제; 폴록사머 168, 폴록사머 407등의 폴리옥시 프로필렌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소듐스테아레이트, 포타슘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레이트 등의 알칼리성 음이온계면활성제;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등의 중성 음이온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10.00 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겔화 고분자의 겔화 형성을 저해할 수 있어 적절치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도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인 pH조절제, 보존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안정화제 또는 펄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은 통상적인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해당 성분들을 실온 또는 가열 혼합하는 방법을 통해 각각 수상부 혼합물 및 유상부 혼합물을 수득한 후 이들의 굴절률을 측정하고, 수득한 수상부 혼합물과 유상부 혼합물을 가열 혼합 후 냉각시키는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상부의 각 성분들을 혼합 후 80℃로 가열하여 용해하여 유상부 혼합물을 수득하고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실온에서 혼합 용해시켜 수상부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었으며, 각 혼합물의 굴절률을 측정한 후 이들 수상부 및 유상부 혼합물들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70~90℃ 및 3,000~3,500 rpm 조건에서 15~20분간 교반 혼합시키고 감압 탈포 후 35℃로 냉각하는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i)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ii) 수상부 및 유상부 내 함유 성분들의 함량을 조절하여 적합한 적용시간에 투명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적용 화장료가 불투명한 유백색에서 투명하게 변화되어 개인차에 따른 최적의 적용 시간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필수 성분 흡수의 극대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내지 5 -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유상부의 각 성분들을 혼합 후 80℃로 가열하여 용해하였으며,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실온에서 혼합 용해시켰다. 이렇게 혼합된 수상부 및 유상부의 각 굴절률을 Abbe refractometers(A. KRUSS Optronic,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후 각 실시예에 해당하는 수상부 및 유상부를 70~90℃ 및 3,000~3,500 rpm 조건에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15~20분간 교반 혼합하였다. 교반된 수중유 유화물을 감압 탈포 후 35℃로 냉각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구분 조성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유상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8.50 8.80 9.40 0.40 44.20
디메치콘 0.70 0.60 - - 4.00
페녹시에탄올 0.30 0.30 0.30 0.30 0.30
폴리소르베이트 60 0.40 0.30 0.30 - 1.50
합계 10 10 10 0.7 50



수상부


카라기난 1.00 1.00 1.00 1.00 1.00
로커스트빈껌 1.50 1.50 1.50 1.50 1.50
글리세린 25.50 50.50 8.70 33.20 15.20
부틸렌글리콜 1.00 6.00 13.00 7.00 3.00
정제수 51.00 26.50 60.30 54.30 27.30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 10.00 5.00 5.50 2.50 2.00
합계 90 90 90 99.5 50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들의 유상부 및 수상부의 굴절률, 이들의 굴절률 차 및 중량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수상부 굴절률 1.95 1.445 1.350 1.395 1.395
유상부 굴절률 1.475 1.475 1.500 1.475 1.475
O/W 굴절률 차 0.080 0.030 0.160 0.080 0.080
- 비교예 1 내지 4 -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구분 조성물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유상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8.50 - 0.3 53.00
페닐트리메티콘 - 9.30 - -
디메치콘 0.80 - - 5.00
페녹시에탄올 0.30 0.30 0.30 0.30
폴리소르베이트 60 0.40 0.40 - 1.70
합계 10 10 0.6 60



수상부


카라기난 1.00 1.00 1.00 1.00
로커스트빈껌 1.50 1.50 1.50 1.50
글리세린 47.50 2.50 31.90 12.50
부틸렌글리콜 6.00 1.00 7.00 2.5
정제수 24.00 79.00 52.80 20.00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 10.00 5.00 5.50 2.50
합계 90 90 99.7 40
상기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들의 유상부 및 수상부의 굴절률, 이들의 굴절률 차 및 중량비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수상부 굴절률 1.465 1.535 1.395 1.395
유상부 굴절률 1.475 1.335 1.475 1.475
O/W 굴절률 차 0.010 0.2 0.08 0.08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들의 안정성 및 백색에서 투명으로 변화되는 시간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안정성 평가
각 화장료 조성물을 5℃, 실온, 45℃ 조건에서 1주일, 2주일, 1개월, 2개월 또는 3개월 단위로 보관한 후,각 조건에서의 제형의 안정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분리현상 발생 없음
△: 일부 분리현상 발생
×: 분리현상 발생 심함
실시예 온도 1주일 2주일 1개월 2개월 3개월
실시예 1 5℃
실온
45℃
실시예 2 5℃
실온
45℃
실시예 3 5℃
실온
45℃
실시예 4 5℃
실온
45℃
실시예 5 5℃
실온
45℃
실시예 온도 1주일 2주일 1개월 2개월 3개월
비교예 1 5℃
실온
45℃
비교예 2 5℃
실온
45℃
비교예 3 5℃
실온
45℃
비교예 4 5℃ × × × ×
실온 × × × ×
45℃ × × × × ×
그 결과, 상기 표 5 및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3의 조성물은 모두 5℃, 실온, 45℃ 조건에서 유상부와 수상부의 상 분리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수상부와 유상부의 상분리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투명도 변화 평가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을 각각 피부에 도포하여 1, 5, 10, 15, 20, 30, 40, 50 또는 60 분 후에 유백색에서 투명으로 변화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투명도 변화 평가기준(평가값: 1- 불투명, 2 - 약간 불투명, 3 - 보통, 4 - 우수, 5 - 매우 우수)에 따라 평가하게 하였으며, 각 평가 결과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평균값
1분 5분 10분 15분 20분 30분 40분 50분 1시간
실시예 1 1.00 1.3 1.9 2.98 3.43 4.44 5.00 5.00 5.00
실시예 2 2.98 3.45 4.75 5.00 5.00 5.00 5.00 5.00 5.00
실시예 3 1.00 1 1.60 2.12 3.12 3.58 3.98 4.12 4.85
실시예 4 1.00 1.27 2.13 3.22 3.52 4.54 5.00 5.00 5.00
실시예 5 1.00 1.32 2.34 3.32 3.64 4.62 5.00 5.00 5.00
비교예 1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비교예 2 1.00 1.00 1.00 1.23 1.45 1.99 2.21 2.48 2.85
비교예 3 4.8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비교예 4 1.00 1.12 2.08 3.14 3.39 4.48 5.00 5.00 5.00
그 결과, 상기 표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들은 배합 한도에 따라 변화 시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백색 불투명에서 투명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처음부터 투명하거나(비교예 1 및 3), 불투명이어도 투명으로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거나(비교예 2), 일어나더라도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비교예 4).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은 수상부 및 유상부 내 함유 성분의 함량 조절을 통해 적합한 적용시간에 투명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0.05 내지 50.00 중량%의 유상부와
    50 내지 99.95 중량%의 수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상부는 총 중량대비 1.00 내지 10.00 중량%의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는 0.02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2. 5 내지 20.00 중량%의 유상부와
    80 내지 95 중량%의 수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상부는 총 중량대비 1.00 내지 10.00 중량%의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 차는 0.02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의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로 1,3-부틸렌글라이콜을 30 중량%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의 굴절률은 각각 1.350 내지 1.55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보습제와, 겔화 고분자와, 정제수와,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다가알코올류, 글리세린류, 당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총 중량 대비 1 내지 7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고분자로는 천연 당류, 친수성 겔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총 중량 대비 5 내지 9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통상적인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왁스류, 천연오일, 실리콘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50.00 중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다가 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지방족 폴리옥시에틸렌 중합계의 비이온계면활성제, 솔비탄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의 비이온계면활성제, 천연유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 비이온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알칼리성 음이온계면활성제, 중성 음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총 중량 대비 0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12.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각 성분들을 혼합 후 80℃로 가열하여 용해하여 유상부 혼합물을 수득하는 한편, 상기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실온에서 혼합 용해시켜 수상부 혼합물을 수득하고, 각 혼합물의 굴절률을 측정한 후 이들 수상부 및 유상부 혼합물들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70~90℃ 및 3,000~3,500 rpm 조건에서 15~20분간 교반 혼합시키고 감압 탈포 후 35℃로 냉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KR1020170168369A 2017-12-08 2017-12-08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Ceased KR20190068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69A KR20190068204A (ko) 2017-12-08 2017-12-08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69A KR20190068204A (ko) 2017-12-08 2017-12-08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04A true KR20190068204A (ko) 2019-06-18

Family

ID=6710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369A Ceased KR20190068204A (ko) 2017-12-08 2017-12-08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82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8795A (zh) * 2022-07-08 2022-08-30 上海信悉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温敏感凝胶面膜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220B1 (ko) 2010-12-16 2013-03-26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삼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243219B1 (ko) 2010-12-16 2013-03-26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울릉도 특산 나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220B1 (ko) 2010-12-16 2013-03-26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삼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243219B1 (ko) 2010-12-16 2013-03-26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울릉도 특산 나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8795A (zh) * 2022-07-08 2022-08-30 上海信悉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温敏感凝胶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14948795B (zh) * 2022-07-08 2023-09-08 上海信悉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温敏感凝胶面膜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408B1 (ko)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화장료 조성물
CN105395396B (zh) 局部皮肤用组合物及其用途
CN103209677B (zh) 皮肤增湿剂和老化抑制配制剂
KR101868263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9058A (ko)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KR20140142302A (ko)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품 피부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7663B1 (ko)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오크라열매 추출물, 아미노산 및 해수를 혼합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6492B1 (ko) 천연 방수 아이펜슬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통한 천연 방수 아이펜슬 화장품 제조방법
KR102298142B1 (ko)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이중 분산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0837A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102080458B1 (ko) 백탁도가 감소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7589B1 (ko) 모루셀라 추출물 및 께묵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8204A (ko) 울릉도 삼나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하이드로겔마스크 조성물
KR102122720B1 (ko)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6392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0B1 (ko)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3553B1 (ko) 제1제와 제2제 베이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피부 보습 미스트 화장품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1932A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2255B1 (ko)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또는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아줄렌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7608217B2 (ja) 皮膚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