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347A - 해수 내 스트론튬의 고순도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해수 내 스트론튬의 고순도 회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1347A KR20190011347A KR1020170093232A KR20170093232A KR20190011347A KR 20190011347 A KR20190011347 A KR 20190011347A KR 1020170093232 A KR1020170093232 A KR 1020170093232A KR 20170093232 A KR20170093232 A KR 20170093232A KR 20190011347 A KR20190011347 A KR 201900113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water
- strontium
- calcium
- ions
- carbon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18—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18—Carbonates
- C01F11/186—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01F11/187—Strontium carbon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중탄산 이온을 포함하는 해수의 pH가 상승되는 경우에 해수 중에 생성되는 물질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3은 중탄산 이온이 존재하지 않는 해수의 pH가 상승되는 경우에 해수 중에 생성되는 물질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4는 pH에 따라 수중에 존재하는 CO2의 형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물질 | 온도(℃) | ||||||||||
0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100 | |
탄산스트론튬 | 0.0011 | 0.065 | |||||||||
탄산나트륨 | 7 | 12.5 | 21.5 | 39.7 | 49 | 46 | 43.9 | 43.9 | 45.5 | ||
탄산암모늄 | 55.8 | 10 | dec | ||||||||
탄산칼륨 | 105 | 109 | 111 | 114 | 117 | 121.2 | 127 | 140 | 148 | 156 |
Mg(mg/L) | Ca(mg/L) | Sr(mg/L) | |
해수 농축수 | 2438.0 | 822.8 | 14.4 |
중탄산 이온 제거단계 후 | 2430.0 | 839.7 | 14.6 |
마그네슘 이온 제거 단계 후 | 0.87 | 600.0 | 13.2 |
Ca(mg/L) | Sr(mg/L) | |
마그네슘 이온 제거 단계 후 | 600 | 13.2 |
칼슘 이온 제거 단계 후 | 38.0 | 6.40 |
pH 조정 단계 후 | 1.06 | 2.80 |
시간 | 통과유량 | 이온분석결과 | |
Ca | Sr | ||
hr | L | mg/L | mg/L |
0 | 0 | 1.27 | 2.895 |
2 | 0.52 | 0.135 | 0 |
4 | 1.04 | 0.058 | 0.001 |
6 | 1.56 | 0.069 | 0 |
8 | 2.08 | 0.039 | 0 |
10 | 2.6 | 0.028 | 0 |
12 | 3.12 | 0.028 | 0 |
14 | 3.64 | 0.025 | 0 |
16 | 4.16 | 0.022 | 0 |
18 | 4.68 | 0.021 | 0 |
20 | 5.2 | 0.022 | 0 |
시간(분) | 물 량(ml) | 농도(mg/L) | |
Ca | Sr | ||
45 | 293 | 201 | 598 |
Ca(mg/L) | Sr(mg/L) | |
탈착액 | 201 | 598 |
잔존 칼슘 이온 제거 단계 후 | 2.7 | 267.3 |
Sr 대비 Ca 농도(%) | 탄산화율 | 순도 |
39 | 56.4 | 64.0 |
반복회수 | Sr 대비 Ca 농도(%) | 탄산화율 | 순도 | |
실시예 1 | 1 | 39 | 56.4 | 64.0 |
실시예 2 | 2 | 8 | 85.8 | 86.4 |
실시예 3 | 3 | 4 | 91.8 | 90.5 |
실시예 4 | 4 | 3 | 93.9 | 92.8 |
실시예 5 | 5 | 2 | 95.1 | 92.8 |
pH | Sr | Ca | Mg | |||
농도(mg/L) | 제거율(%) | 농도(mg/L) | 제거율(%) | 농도(mg/L) | 제거율(%) | |
8.36 | 10561 | - | 10496 | - | 10635 | - |
9 | 10515 | 0.4 | 10442 | 0.5 | 10542 | 0.9 |
11.66 | 7597 | 28.1 | 7677 | 26.9 | 61.85 | 99.4 |
13.01 | 4956 | 53.1 | 160 | 98.5 | < 0.18 | 100.0 |
구분 | pH | Sr | Ca | Mg | |||
농도 (mg/L) |
제거율 (%) |
농도 (mg/L) |
제거율 (%) |
농도 (mg/L) |
제거율 (%) |
||
해수담수화 농축수 | 7.8 | 17.6 | - | 1000 | - | 3000 | - |
농축수 pH 조정 | 13 | 13.4 | 23.9 | 55.08 | 94.5 | 0.23 | 100.0 |
Claims (18)
- 해수에 알칼리제를 투입하여 마그네슘 이온을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침전시켜 제거하는 마그네슘 이온 제거 단계;
상기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된 해수에 옥살산(H2C2O4)을 투입하여 칼슘 이온을 칼슘옥살레이트로 침전시켜 제거하는 칼슘이온 제거 단계;
상기 칼슘 이온이 제거된 해수에 알칼리제를 투입하여 pH를 5 내지 7로 조정하는 pH 조정 단계;
상기 pH 조정된 해수를 농축하여 스트론튬 농축 해수를 얻는 농축 단계; 및
상기 칼슘이 제거된 용액에 탄산스트론튬에 비하여 용해도가 높은 탄산염을 투입하여 용액 중의 스트론튬 이온을 탄산스트론튬으로 침전하여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이온 제거 단계 전에 해수에 수산화칼슘을 투입하여 수중의 중탄산이온을 탄산칼슘으로 침전시켜 제거하는 중탄산 이온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는 pH가 6.5 내지 8.5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칼슘은 해수의 알칼리도에 대하여 1.0 내지 1.1의 당량으로 투입하는 것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이온 제거 단계에서 사용되는 알칼리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암모늄 및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이온 제거 단계에서 사용되는 알칼리제는 해수 중에 포함된 마그네슘 이온 당량의 1.0 내지 1.2의 비율로 투입하는 것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 이온 제거 단계에서 사용되는 옥살산은 해수 중에 포함된 칼슘이온의 1.5 내지 1.6 당량으로 투입하는 것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단계는 증발농축, 전기투석 또는 이온교환수지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단계는
상기 해수를 이온교환수지로 통과시켜 이온교환에 의해 스트론튬 이온을 이온교환수지에 부착시키는 부착단계; 및
염산을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지에 부착된 스트론튬 이온을 탈착하는 탈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단계는 상기 스트론튬 이온이 부착된 이온교환수지에 1 내지 2N 농도의 염산을 이온교환수지의 부피에 대하여 2 내지 4배 양으로 사용하여 20분 내지 60분 동안 흘려 수행하는 것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스트론튬 농축 해수에 옥살산을 투입하여 잔존 칼슘 이온을 추가로 침전시켜 제거하고, 알칼리제를 투입하여 pH를 조정하는 잔존 칼슘 이온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스트론튬 농축 해소는 100mg/L 이상의 스트론튬 농도를 갖는 것인 고순도 탄산스트론튬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 칼슘 이온 제거 단계에서 사용되는 옥살산은 잔존 칼슘 이온 당량의 1.1 내지 1.2의 비율로 투입하는 것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 칼슘 이온 제거 단계에서 상기 pH는 5-7의 범위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 칼슘 이온 제거 단계에서 사용되는 알칼리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암모늄 및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염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염은 용액 중에 포함된 스트론튬 당량의 1.0 내지 1.5의 비율로 투입하는 것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는 증발법 또는 역삼투막법에 의한 해수담수화 공정 또는 심층수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해수 농축수 또는 해수를 이용한 심층수 제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해수 농축수인 해수로부터 탄산스트론튬을 제조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232A KR101957130B1 (ko) | 2017-07-24 | 2017-07-24 | 해수 내 스트론튬의 고순도 회수 방법 |
PCT/KR2017/015158 WO2019022317A1 (ko) | 2017-07-24 | 2017-12-20 | 해수 내 스트론튬의 고순도 회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232A KR101957130B1 (ko) | 2017-07-24 | 2017-07-24 | 해수 내 스트론튬의 고순도 회수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1347A true KR20190011347A (ko) | 2019-02-07 |
KR101957130B1 KR101957130B1 (ko) | 2019-03-14 |
Family
ID=6503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3232A Active KR101957130B1 (ko) | 2017-07-24 | 2017-07-24 | 해수 내 스트론튬의 고순도 회수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7130B1 (ko) |
WO (1) | WO2019022317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7943A (ko) * | 2019-02-11 | 2020-08-20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 해수를 이용한 칼슘옥살레이트 제조방법 |
KR102383148B1 (ko) * | 2021-08-19 | 2022-04-08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이산화탄소 미세 기포를 이용한 농축 해수로부터의 탄산염 제조 방법 |
CN115215362A (zh) * | 2022-06-24 | 2022-10-21 | 河北纽思泰伦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天青石熟料连续浸取工艺及生产碳酸锶的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0171B1 (ko) * | 2019-05-24 | 2021-07-21 |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 해수에서 칼슘 및 마그네슘의 분리방법 |
CN113461181A (zh) * | 2021-07-14 | 2021-10-01 | 青岛小涧西渗沥液处理有限公司 | 一种缓解填埋场浓缩液蒸发设备结垢的方法和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78631A (en) * | 1994-02-14 | 1995-01-03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 Separation of strontium from fecal matter |
KR20110008227A (ko) * | 2008-04-22 | 2011-01-26 | 케메탈 푸테 코포레이션 | 고순도 수산화리튬 및 염화수소산의 제조 방법 |
JP2013104723A (ja) * | 2011-11-11 | 2013-05-30 | Kurita Water Ind Ltd | Sr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
KR101656475B1 (ko) * | 2015-05-11 | 2016-09-1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해수 내에 포함된 스트론튬 회수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X2011010567A (es) * | 2009-04-10 | 2011-11-18 | Sylvan Source Inc | Metodo y sistema para la reduccion de la formacion de inscrustaciones en la purificacion de soluciones acuosas. |
JP6047957B2 (ja) * | 2012-07-06 | 2016-12-21 | 栗田工業株式会社 | 放射性ストロンチウム含有排水の処理方法 |
CN106115759A (zh) * | 2016-06-17 | 2016-11-16 | 石家庄市正定金石化工有限公司 | 一种生产碳酸锶的连续碳化装置及工艺 |
-
2017
- 2017-07-24 KR KR1020170093232A patent/KR101957130B1/ko active Active
- 2017-12-20 WO PCT/KR2017/015158 patent/WO201902231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78631A (en) * | 1994-02-14 | 1995-01-03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 Separation of strontium from fecal matter |
KR20110008227A (ko) * | 2008-04-22 | 2011-01-26 | 케메탈 푸테 코포레이션 | 고순도 수산화리튬 및 염화수소산의 제조 방법 |
JP2013104723A (ja) * | 2011-11-11 | 2013-05-30 | Kurita Water Ind Ltd | Sr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
KR101656475B1 (ko) * | 2015-05-11 | 2016-09-1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해수 내에 포함된 스트론튬 회수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7943A (ko) * | 2019-02-11 | 2020-08-20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 해수를 이용한 칼슘옥살레이트 제조방법 |
KR102383148B1 (ko) * | 2021-08-19 | 2022-04-08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이산화탄소 미세 기포를 이용한 농축 해수로부터의 탄산염 제조 방법 |
CN115215362A (zh) * | 2022-06-24 | 2022-10-21 | 河北纽思泰伦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天青石熟料连续浸取工艺及生产碳酸锶的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7130B1 (ko) | 2019-03-14 |
WO2019022317A1 (ko) | 2019-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7130B1 (ko) | 해수 내 스트론튬의 고순도 회수 방법 | |
US11958753B2 (en) | Process for selective adsorption and recovery of lithium from natural and synthetic brines | |
US20250162893A1 (en) | Process for recovery of lithium from a geothermal brine | |
EP3793945B1 (en) | Process and system for selective adsorption and recovery of lithium from natural and synthetic brines | |
KR102479262B1 (ko) | 염수로부터 수산화리튬 일수화물을 제조하는 방법 | |
US11396452B2 (en) | Method for preparing lithium concentrate from lithium-bearing natural brines and processing thereof into lithium chloride or lithium carbonate | |
US9255011B2 (en) |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carbonate | |
US8518232B1 (en) | Selective recovery of manganese, lead and zinc | |
US12258280B2 (en) | Method for concentrating and purifying eluate brine for the production of a purified lithium compound | |
JP2019099901A (ja) | リチウム含有水溶液からリチウムを回収する方法 | |
AU2011376865A1 (en) | Process for producing lithium carbonate from concentrated lithium brine | |
EP3325415B1 (en) | Effluent treatment process - ph refinement for sulphate removal | |
KR20220132578A (ko) | 수산화리튬의 제조 방법 | |
US20250122086A1 (en) | Method for lithium sorption extraction from lithium-containing brines | |
CN103820646B (zh) | 一种从粉煤灰中提取镓的方法 | |
CN106544507B (zh) | 一种稀土浸出母液浓缩富集工艺及获得的产品 | |
CN103805794A (zh) | 酸法粉煤灰提取氧化铝粗精液中镓的回收方法 | |
US12268992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magnesium in high salinity salar brines by nanofiltration and forward osmosis | |
KR101843797B1 (ko) |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 |
KR101829759B1 (ko) |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 |
KR101656475B1 (ko) | 해수 내에 포함된 스트론튬 회수 방법 | |
KR101536737B1 (ko) | 해수 내 불순물 정제 장치 | |
KR20230108694A (ko) | 해수 및 기수를 이용한 전기분해식 염소생성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침전물과 황산을 이용하여 마그네슘을 회수하는 방법 | |
CN112194154A (zh) | 一种从含铷高盐卤水中短流程提取氯化铷的方法 | |
US20240360536A1 (en) | Method for recovering magnesium by using sediment and sulfuric acid generated in electrolytic chlorine generation system using seawater and brackish 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