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667A -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 Google Patents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0667A KR20190010667A KR1020187038002A KR20187038002A KR20190010667A KR 20190010667 A KR20190010667 A KR 20190010667A KR 1020187038002 A KR1020187038002 A KR 1020187038002A KR 20187038002 A KR20187038002 A KR 20187038002A KR 20190010667 A KR20190010667 A KR 201900106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lge
- hold
- cargo
- pipe
- part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in pipes o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Sewag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빌지를 빌지웰에 배출시키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로서, 홀드의 용적에 대한 철광석의 적재량이 큰 광석전용선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를 제공한다. 차례로 접속된 제1 부분(20)과 제2 부분(30)과 제3 부분(4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부분은 선창을 복수의 화물창으로 구분하는 격벽(130)을 지지하는 하부스툴(120)내에 설치된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접속되고, 격벽을 따라 연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중공부분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38)을 구비한다. 제3 부분은 제2 부분과 접속되고, 격벽을 지지하는 상부스툴(140)내에 설치되고, 제2 부분과 접속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44)가 상부데크(110b)에 이른다. 여기서 제2 부분이 구비하는 구멍은 제1 부분측부터 적어도 화물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된다.A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for discharging a bilge to a bilge well, the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being suitable for use in an ore exclusive line having a large iron ore load for the volume of the hold. A first portion 20, a second portion 30 and a third portion 40 connected in sequence. The first por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stool 120 which supports the partition 130 separating the hold from the plurality of hold spaces. The seco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and is vertically installed along the partition, and has a plurality of holes (38)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on the side surface. The thir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and is disposed in the upper stool 140 supporting the partition, and the end portion 44 opposite to th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reaches the upper deck 110b. Here, the hole provided in the second portion is formed from the first portion side to at leas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Description
본 발명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화물창에 실린 화물에 포함되는 물을 빌지웰에 배출하는 데 이용되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lge discharge promoting pipe used for discharging water contained in a cargo held in a cargo hold of a ship to a bilge well.
철광석 등을 수송하는 화물선 등의 선박에서는 화물창(이하 홀드라고 칭하기도 함)에 실린 철광석 등의 화물(이하 카고라고 칭하기도 함)에 포함되는 물(이하 빌지라고 칭하기도 함)을 선저 부근에 설치된 빌지웰을 거쳐 선외에 배출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0002] In ships such as cargo ships carrying iron ores and the like, wat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bilge ") contained in cargoes such as iron ore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argo)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여기서 브라질의 PDM(Ponta Da Madeira)항에서 실리는 카라자스파인(Carajas Fine)이라고 불리는 철광석은 빌지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ere, iron ore called Carajas Fine, which is published at Port of PDM (Brazil) PDM (Ponta Da Madeira), is known to contain a lot of bilge.
화물이 카라자스파인인 경우, 빌지웰에의 배출구에 설치된 철망형상의 스트레이너(필터)가 막히고, 이에 의해 빌지가 빌지웰에 배출되지 않고, 카고의 주위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빌지가 잔존하고 있으면 양륙시에 빌지의 배수처리 등을 수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나쁘고, 그 결과 양륙작업에 시간이 걸린다.In the case where the cargo is a carazza spine, a wire mesh-like strainer (filter) installed at an outlet to the bilge well is clogged, whereby the bilge is not discharged to the bilge well but remains around the cargo. If the bilge is left, the drainage of the bilge must be performed at the time of landing, which results in poor working efficiency, and as a result, it takes time for the landing operation.
이 과제를 감안하여 발명된 빌지를 효율적으로 빌지웰에 배출하기 위한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In view of this problem, there is a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for efficiently discharging the invented bilge to the bilge well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여기서 도 4는 홀드의 개략도이다. 도 4의 (A)는 벌크선의 홀드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광석전용선의 홀드를 도시하고 있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hold. Fig. 4 (A) shows the hold of the bulk line, and Fig. 4 (B) shows the hold of the ore-dedicated line.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1)는 일반적인 벌크선에 철광석을 적재하는 경우에는 유효하다. 이는 철광석(201)은 적재량의 제한이나 비중 등으로부터 홀드(101)내에 만재되지 않고, 홀드(101)의 중앙 부근에 중앙부가 높이 솟아오른 형상으로 적재되기 때문이다(도 4의 (A) 참조).The conventional bilge
그러나 이른바 광석전용선에서는 홀드(102)의 용적에 대한 철광석의 적재량이 광석전용선 이외의 화물선에 비해 크다. 이 때문에 광석전용선에서는 상술한 종래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1)가 카고(202)에 의해 파묻혀서(도 4의 (B) 참조) 카라자스파인뿐만 아니라 철광석을 적재한 경우에 빌지의 배출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는다.However, in the so-called ore exclusive line, the amount of iron ore to be loaded on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광석에 포함되는 빌지를 빌지웰에 배출시키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로서, 홀드의 용적에 대한 철광석의 적재량이 큰 광석전용선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for discharging a bilge contained in iron ore to a bilge well and to use the same for an ore- And to provide a suitable bilge drain facilitating pip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는 화물창내에 설치되고, 화물창에 실린 화물인 철광석에 포함되는 빌지를 빌지웰에 배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rgo hold and discharges a bilge contained in iron ore, which is a cargo held in a cargo hold, to a bilge well.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는 차례로 접속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과 제3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comprises a first portion connected in tur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제1 부분은 선창을 복수의 화물창으로 구분하는 격벽을 지지하는 하부스툴내에 설치된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접속되고, 격벽을 따라 연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중공부분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한다. 제3 부분은 제2 부분과 접속되고, 격벽을 지지하는 상부스툴내에 설치되고, 제2 부분과 접속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상부데크에 이른다. 여기서 제2 부분이 구비하는 구멍은 제1 부분측부터 적어도 화물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된다.The first por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stool which supports the partition dividing the hold into a plurality of hold spaces. The seco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and is vertically installed along the partition, and has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on the side surface. The thir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and is disposed in the upper stool supporting the partition, and the end portion opposite to th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reaches the upper deck. Here, the hole provided in the second portion is formed from the first portion side to at leas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본 발명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에 따르면 빌지가 제2 부분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내에 보내지고, 제1 부분을 거쳐 빌지웰에 배출된다. 그 결과, 양륙시에 화물창내의 빌지의 배출작업이 불필요해지거나 또는 경감된다.According to the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lge is sent from the hole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into the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and discharged to the bilge well through the first portion. As a result,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bilge in the cargo hold at the time of landing becomes unnecessary or reduced.
도 1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가 장착되는 개소를 상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3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의 제2 부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홀드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portion where the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is mounted from abov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portion of the bilge drain facilitating pipe.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hol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각 구성요소의 형상, 크기 및 배치관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각 구성요소의 재질 및 수치적 조건 등은 단순한 적합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구성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많은 변경 또는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hapes, sizes, and arrangement relationship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merely schematically illustrated to the ext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In the following, a preferre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the material and the numerical condition of each constituent element are merely a preferable examp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but can make many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can achie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2 및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가 장착되는 개소를 상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3은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의 특히 제2 부분의 모식도이다.The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3.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portion where the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is mounted from above.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articularly second part of the bilge drain facilitating pipe.
일반적으로 화물선에서는 화물창(홀드)의 하측의 선저 부근에 빌지웰이 설치되어 있다. 화물(카고)에 포함되는 물(빌지)은 홀드의 저면에 설치된 배수구를 거쳐 빌지웰에 보내진다. 빌지웰에 보내진 빌지는 상황에 따라 수시로 선외에 배출된다.Generally, in a cargo ship, a bilge well is installed near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hold). The water (bilge) contained in the cargo (cargo) is sent to the bilge well through the drainage hol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hold. Bilge sent to Billy Well is often discharged on boar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광석전용선에서는 선창이 격벽(Bulkhead)(130)에 의해 복수의 화물창(홀드: Hold)(100)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홀드(100)의 하측의 선저 부근에 빌지웰(110)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ore exclusive line, the pi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old (hold) 100 by a
격벽(130)은 홀드(100)의 저면(Tanktop이라고도 칭함)(110a)측에서는 하부스툴(Lower Stool)(12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격벽(130)은 갑판(상부데크라고도 칭함)(100b)측에서는 상부스툴(Upper Stool)(140)에 의해 지지된다. 격벽(130)은 예를 들어 파형의 판으로 형성된다. 이 파형의 판으로 형성된 격벽을 파형격벽(Corrugated Bulkhead)이라고도 칭한다.The
화물(카고)(200)에 포함되는 물(빌지)은 홀드(100)의 저면(110a)에 설치된 배수구(도시를 생략함)를 거쳐 빌지웰(110)에 보내진다. 빌지웰(110)에 보내진 빌지는 상황에 따라 수시로 선외에 배출된다. 여기서 카고(200)가 카라자스파인인 경우, 빌지웰(110)에의 배출구에 설치된 철망형상의 스트레이너(필터)가 막히고, 이에 의해 빌지가 빌지웰(110)에 배출되지 않고, 카고(200)의 주위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The water (bilge) contained in the
또한, 광석전용선의 경우, 카고(200)의 상면(200a)이 홀드(100)의 저면(110a)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이른다. 이 때문에 빌지를 빌지웰(110)에의 배수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벌크선에 비해 어려워지는 경우가 상정된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ore-exclusive line, the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이 이 순서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Thus, in the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임의의 바람직한 재료의 관형상부재(파이프)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또한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소정 형상의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가 형성된다. 여기서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를 제1 부분(20), 제2 부분(30), 제3 부분(40)이 연결된 구조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을 각각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구성해도 되고, 제1 부분(20),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40)을 1개의 파이프로서 일체로 구성해도 된다.The bilge
제1 부분(20)은 주로 하부스툴(120)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부분(20)의 한쪽 단부(제1 단부)(22)는 빌지웰(110)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1 부분(20)의 다른 쪽 단부(제2 단부)(24)는 하부스툴(120)의 상면(120a)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제2 부분(30)은 하부스툴(120)의 상면(120a)으로부터 상부스툴(140)의 하면(140a) 부근까지 격벽(130)을 따라 연직으로 설치된다. 제2 부분(30)의 한쪽 단부(제1 단부)(32)는 제1 부분(20)의 제2 단부(24)와 접속된다. 또한, 제2 부분(30)의 다른 쪽 단부(제2 단부)(34)는 상부스툴(140)의 하면(140a)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또한, 격벽(130)이 파형격벽인 경우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이 파형의 판의 사이부분에 설치된다. 즉,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파형격벽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된다.When the
제2 부분(30)은 측면에 중공부분(36)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3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복수의 구멍(38)은 임의의 바람직한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멍(38)의 직경이 작으면 막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한편, 구멍(38)의 직경이 크면 짐을 싣거나 양륙시에 철광석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내에 다량으로 들어가거나 하는 등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지 않을 우려가 있다.The
그래서 여기서는 구멍(38)의 직경을 10mm로 하였다. 또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면 구멍(38)의 직경을 10mm보다 작게 해도 되고, 10mm보다 크게 해도 된다.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이 구멍(38)은 제2 부분(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된다. 즉, 단면의 중심에 대하여 0도, 90도, 180도, 270도의 위치에 형성된다. 이 4개를 1세트로 하는 구멍(38)은 제2 부분(30)의 길이방향에 100mm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인접하는 세트의 구멍(38)의 위치는 단면의 중심에 대하여 45도 어긋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어느 세트의 구멍(38)의 위치가 단면의 중심에 대하여 0도, 90도, 180도, 270도인 경우, 길이방향에 인접하는 세트의 구멍(38)의 위치는 단면의 중심에 대하여 45도, 135도, 225도, 315도가 된다. 또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면 구멍의 배치, 개수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Four
이들 구멍(38)은 제2 부분(30)의 제1 단부(32)측으로부터 제2 단부(34)측을 향하여 적어도 카고(200)의 상면(200a)보다 높은 위치, 즉 적하위치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된다.These
여기서 적하높이는 카고(200)의 상면(200a)의 격벽(130)에 있어서의 홀드(100)의 저면(110a)으로부터의 높이를 가리킨다. 또한, 정지각은 그 이상의 각도로 쌓으면 무너지는 최대의 각도이고, 철광석의 정지각은 약 36도로 되어 있다.Herein, the drop height refers to the height of the
여기서 홀드(100)에 적재되는 철광석의 중량(단위: MT(metric ton)=1,000kg)과 홀드(100)의 용적(단위: CFT(cubic feet)=1.133cubic meter)에 의해 부여되는 적하계수(SF: Stowage Factor)를 13.5CFT/MT, 정지각을 25도라고 가정하면 적하높이는 예를 들어 11.8m가 된다.Herein, the loading factor given by the weight of the iron ore (MT (metric ton) = 1,000 kg) and the capacity (unit: CFT (cubic feet) = 1.133 cubic meter) SF: Stowage Factor) is 13.5 CFT / MT, and the stop angle is 25 degrees, the dropping height becomes, for example, 11.8 m.
따라서, 적어도 홀드(100)의 저면(110a)으로부터 11.8m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구멍(38)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the
또한, 적하계수(SF)가 커지면 적하높이가 높아진다. 일반적인 철광석의 적하계수(SF)는 13.0 내지 13.5이지만 적하계수(SF)가 15까지 배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드(100)의 저면(110a)으로부터 13.2m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구멍(38)을 형성하고 있다.Further, when the dropping coefficient SF becomes larger, the dropping height becomes hig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ropping factor (SF) of general iron ore is 13.0 to 13.5, but the dropping factor (SF) can be discharged up to 15.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여기서 적하계수(SF)는 홀드의 형상이나 철광석의 산지, 브랜드 등에 따라 정해진다. 또한, 적하높이는 이들에 더하여 카고(200)의 적재량과 정지각에 의해 정해진다.Here, the loading factor (SF)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old, the mountain of iron ore, the brand,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ropping height is determined by the loading amount of the
제3 부분(40)은 주로 상부스툴(140)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3 부분(40)의 한쪽 단부(제1 단부)(42)는 제2 부분(30)의 제2 단부(34)와 접속된다. 제3 부분(40)의 다른 쪽 단부(제2 단부)(44)는 상부스툴(140)의 상면 부근, 즉 상부데크(100b)에 이르는 위치 부근에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제3 부분(40)의 제1 단부(42)가 상부스툴(140)의 하면(140a)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3 부분(40)의 제2 단부(44)가 상부데크(100b)상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제1 단부(42) 및 제2 단부(44)는 상부스툴(140)내에 설치되어도 된다.The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에 의하면 빌지가 제2 부분(30)에 형성된 구멍(38)으로부터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내에 보내지고, 제1 부분(20)을 거쳐 빌지웰(110)에 배출된다. 그 결과, 양륙시에 화물창내의 빌지의 배출작업이 불필요해지거나 또는 경감된다.According to this bilge
또한,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의 제1 부분(20)은 하부스툴(120)내에 설치되고, 제2 부분(30)은 격벽(130)이 파형격벽인 경우는 파형격벽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 때문에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에 의해 양륙작업이 방해받는 일은 없다.The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에서는 제2 부분(3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8)으로부터 철광석이 파이프(10)내에 들어가는 일이 있고, 이에 의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파이프(10)내의 철광석을 제거하는 보수작업 등이 필요해진다.In this bilge
그러나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는 제1 부분(20)이 하부스툴(120)내에 설치되고, 또한 제3 부분(40)이 상부스툴(140)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부분(30)은 10m 이상의 길이이다. 이 때문에 운항중에 분해한 후의 보수점검 등은 용이하지 않다.However, the
그래서 제3 부분(40)의 제2 단부(44)로부터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내에 주수함으로써 파이프내의 철광석을 파이프 밖으로 흘리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10)에서는 제3 부분(40)의 제2 단부(44)가 상부데크(110b) 부근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원이 접근하기 쉽다.Thus, the operation of flowing the iron ore in the pipe out of the pipe is performed by injecting into the bilge
또한, 제3 부분(40)의 제2 단부(44)를 착탈이 자유로운 밀봉수단에 의해 밀봉해 두는 것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파이프내에의 주수 등이 필요한 때에만 제2 단부(44)의 밀봉수단을 떼어내어 작업을 수행하고, 그 이외의 때에는 밀봉해 둠으로써 불필요한 것이 파이프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10: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
20: 제1 부분
22, 32, 42: 제1 단부
24, 34, 44: 제2 단부
30: 제2 부분
36: 중공부분
38: 구멍
40: 제3 부분
100: 홀드
110: 빌지웰
120: 하부스툴
130: 격벽
140: 상부스툴
200: 카고10: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20: First part
22, 32, 42: first end
24, 34, 44: second end
30: Second part
36: hollow portion
38: hole
40: Third part
100: Hold
110: Bill Good
120: Lower stool
130:
140: upper stool
200: Cargo
Claims (2)
차례로 접속된,
선창을 복수의 화물창으로 구분하는 격벽을 지지하는 하부 스툴 내에 설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접속되고, 상기 격벽을 따라 연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중공부분과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과 접속되고, 상기 격벽을 지지하는 상부 스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분과 접속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상부 데크에 이르는 제3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분이 구비하는 구멍은 상기 제1 부분측부터 적어도 상기 화물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A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for discharging a bilge contained in iron ore as a cargo to a bilge well,
In turn,
A first portion provided in a lower stool for supporting a partition for dividing the hold into a plurality of hold spaces,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and vertically installed along the partition, the sid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nd a thir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and provided in an upper stool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and having an end opposite to an end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to reach the upper deck,
And the hole of the second portion is formed from the first portion side to a position higher than at least the upper surface of the cargo.
상기 제3 부분의 단부로서,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착탈이 자유로운 밀봉 수단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배출 촉진 파이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d portion of the third portion opposite to th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is sealed by a detachable seal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231468 | 2016-11-29 | ||
JP2016231468A JP6378293B2 (en) | 2016-11-29 | 2016-11-29 | Bilge emission promotion pipe |
PCT/JP2017/042616 WO2018101259A1 (en) | 2016-11-29 | 2017-11-28 |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0667A true KR20190010667A (en) | 2019-01-30 |
KR102049365B1 KR102049365B1 (en) | 2019-11-28 |
Family
ID=6224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8002A Active KR102049365B1 (en) | 2016-11-29 | 2017-11-28 | Bilge exhaust promotion pip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378293B2 (en) |
KR (1) | KR102049365B1 (en) |
BR (1) | BR112019010860B1 (en) |
WO (1) | WO2018101259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52281B2 (en) * | 2021-07-21 | 2023-04-04 |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 Piping structure inside upper stool of corrugated bulkhead tan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41861A (en) * | 2008-03-31 | 2009-10-22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Marine vessel |
JP2011162072A (en) | 2010-02-10 | 2011-08-25 | Kawasaki Kisen Kaisha Ltd | Bilge discharge promotion pipe |
-
2016
- 2016-11-29 JP JP2016231468A patent/JP6378293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11-28 KR KR1020187038002A patent/KR102049365B1/en active Active
- 2017-11-28 BR BR112019010860-2A patent/BR11201901086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7-11-28 WO PCT/JP2017/042616 patent/WO201810125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41861A (en) * | 2008-03-31 | 2009-10-22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Marine vessel |
JP2011162072A (en) | 2010-02-10 | 2011-08-25 | Kawasaki Kisen Kaisha Ltd | Bilge discharge promotion pi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112019010860A2 (en) | 2019-12-17 |
KR102049365B1 (en) | 2019-11-28 |
WO2018101259A1 (en) | 2018-06-07 |
BR112019010860B1 (en) | 2023-09-26 |
JP6378293B2 (en) | 2018-08-22 |
JP2018086951A (en) | 2018-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10667A (en) |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 |
JP2009241861A (en) | Marine vessel | |
CN103625612B (en) | container ship | |
KR101772807B1 (en) | Vessel Cargo with Void Space | |
US4674430A (en) | Ship without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ull plating | |
KR101174382B1 (en) | Bilge discharge facilitating pipe | |
KR101359246B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column in silo and silo using the same | |
CN102372068A (en) | Anti-silt water ballast tank of large vessel | |
KR101110836B1 (en) | Structure of ballast tank for elimination sediment from ballast tank | |
JP2018030467A (en) | Bulk loading ship | |
JP7088452B2 (en) | Offshore floating structure | |
KR102125104B1 (en) | Hatch structure and drillship including the same | |
KR101854750B1 (en) | Bilge discharge equipment in cargo hold | |
KR20110096879A (en) | Vessel with Anti Healing System | |
KR200465528Y1 (en) | Oil coaming of ship | |
KR20110058317A (en) | Drainage trench of FPSO | |
KR102176545B1 (en) | Hull construction type cyliderical storage tank and install method of the cyliderical storage tank | |
KR20110000590U (en) | Cargo vessels with open type transverse bulkhead | |
KR20160015602A (en) | Double Bottom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tainer Ship | |
KR101380646B1 (en) | Oil discharge system and oil discharge method | |
JP4541116B2 (en) | Structure of water courses on ships | |
KR100650607B1 (en) | Double hull ship with partially horizontal longitudinal and partially longitudinal profiles | |
KR20240034355A (en) | Bollard coupling structure of offshore structure | |
KR101968283B1 (en) | Barge with Bottom drain Structure | |
KR101773919B1 (en) | Drill sh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5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7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