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01853U - Integral Drum Unit - Google Patents

Integral Drum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853U
KR20190001853U KR2020180000176U KR20180000176U KR20190001853U KR 20190001853 U KR20190001853 U KR 20190001853U KR 2020180000176 U KR2020180000176 U KR 2020180000176U KR 20180000176 U KR20180000176 U KR 20180000176U KR 20190001853 U KR20190001853 U KR 201900018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drum
fixed
front bar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광재
김학천
Original Assignee
정광재
김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재, 김학천 filed Critical 정광재
Priority to KR2020180000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853U/en
Publication of KR20190001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53U/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28Mountings or supports for individual drums
    • G10D13/02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프레임에 의해 드럼세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위치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아 초보자가 배우기 쉽고 사용자도 매번 위치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일체형 드럼세트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전면바와 전면바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면바로 구성됨으로써 "

Figure utm00007
"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면에서 이격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리 역할을 하는 지지수단;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바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는 베이스드럼; 상기 베이스드럼에 고정되는 마운티드 탐;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바에 브래킷을 통해 연결되는 심벌즈;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간 지점에 마운팅 브래킷에 의해 연결되는 베이스드럼;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지수단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스네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지수단 타측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플로어 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piece drum set in which the position of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drum set by the main frame is fixed and does not move so that a beginner can easily learn and there is no inconvenience for the user to adjust the position every time. His composition is; The side bars are formed at right angles at both ends of the front bar and the front bar,
Figure utm00007
"A base drum fixed to a central portion of a front bar of the main frame, a base drum fix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front bar of the main frame, A cymbal connected to a side bar of the main frame through a bracket, a base drum connected to the main frame by a mounting bracket, a snare fixedly installed in a cantilevered fashion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a floor ride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ans in the form of a cantilever beam.

Description

일체형 드럼세트{Integral Drum Unit}Integrated drum set {Integral Drum Unit}

본 고안은 일체형 드럼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에 의해 드럼세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위치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아 초보자가 배우기 쉽고 사용자도 매번 위치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일체형 드럼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drum 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drum set in which the position of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drum set is fixed by the main frame, so that it is not easy for a beginner to learn, Drum set.

드럼세트는 팝음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타악기이며 많은 사람들이 배우고 싶어하는 악기의 하나이다. 드럼세트는, 베이스드럼, 탐탐, 심벌즈, 스네어 등 여러 구성요소가 스틱 내지 페달로 두들기기 쉬운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보통 탐탐은 마운티드 탐이라 하여 베이스드럼 위에 브래킷에 의해 고정 설치되지만 다른 구성요소들은 각기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자신의 신체조건이나 연주방법에 맞게끔 드럼세트의 구성요소를 조금씩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Drum sets are percussion instruments that are essential in pop music and are one of the instruments many people want to learn. The drum set is arranged in such a position that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bass drum, tomtam, cymbals, and snare can be easily struck by sticks or pedals. Normally, the tamtam is fixed by brackets on the bass drum, called the mountain tam tam, but the other components are separated. And you need to adjust the components of the drum set in small increments to suit your physical condition or playing style.

그리고 연주를 하다 보면 구성요소가 조금씩 움직이기도 해서 위치를 재조정해야 할 때도 있다. 초보자의 경우 타격하는 강도나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구성요소가 움직이는 현상이 더 많기도 한데, 이때마다 드럼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일은 연습에 방해요소가 된다. And when you play, the components are moving a little bit, so you may have to reposition yourself. Beginners are more likely to move components because their strength or position is not constant, and adjusting the drum position at this time is a hindrance to practice.

이렇듯 종래의 드럼세트는 구성요소의 위치를 매번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Thus, the conventional drum set has an inconvenience that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must be adjusted each time. In this regard, the prior art is as follows.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25591호는 다수의 가지봉을 갖는 복수개의 세로봉이 하단에 구비된 고정부를 이용하여 건물이나 구조물의 바닥면에 고정하고, 여러개의 가지봉을 갖는 베이스 드럼이 세로봉의 중앙으로 가로봉에 의해 고정하고, 다수의 가지봉에 구비되는 드럼과, 세로봉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심벌로 구비된 드럼 세트 악기에 있어서, 연습장의 바닥이나 건물의 바닥 및 공연장의 바닥에 고정수단인 못 또는 나사로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을 갖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된 제 1,2고정구에 의해 하단이 제 1,2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는 제 1,2수직고정부재와, 제1수직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제 1 드럼과 제 1,2수직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제 1,2수평고정부재와, 제 1,2수평고정부재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제 2,3,4드럼과, 제2수평고정부재에 부착되는 제 5드럼과, 제 1수평고정부재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심벌즈 지지빔에 고정된 심벌즈 및 지지브라켓의 중앙에 안치되는 타주부로 구성되어져 다수개의 드럼을 간단 용이하게 이동하고 조립하여 공연장이나 연습장의 바닥에 설치하여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1-0025591 discloses that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having a plurality of branch rods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a building or a structure using a fixing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reof, A drum fixed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bar by a transverse bar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anch bars and a symbol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the drum set musical instrument being fixed to the floor of a driving range,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are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securely fasten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by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ans. A first drum fixed to the first vertical fixing member,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ixing member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ixing members, A fifth drum attached to the second horizontal fixing member, a cymbal fixed to a cymbal support beam provided at one sid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ixing member, A plurality of drums can be easily and easily moved and assembled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performance hall or a driving range so as to be played, and also to prevent the theft.

그러나 본 종래기술은 일반적인 드럼세트의 구성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드럼세트에 적용할 수 없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drum set. Therefore, it can not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drum set.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35221호는 드럼 세트 악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이 일체형 프레임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이들 프레임을 상기 드럼 세트 악기가 놓이는 바닥면에 고정하는 연결요소를 갖는 일체 고정형 드럼세트를 제안하고 있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0-0035221 also discloses that each element constituting a drum set musical instrumen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tegral frame and has a connecting element for fixing these frames to a floor surface on which the drum set musical instrument is placed A fixed type drum set is proposed.

그러나 본 종래기술에 의하면 프레임의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하며 위치를 연주가의 특성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the structure of the frame is not stable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25591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1-002559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35221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0-0035221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연주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드럼세트를 구성하는 요소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드럼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드럼세트를 구성하는 요소의 위치를 세팅하고 그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위치 변화에 따라 매번 드럼세트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이 없도록 하기 위한 일체형 드럼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set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drum set can be fixed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layer. More particul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one-piece drum set for setting a position of an element constituting a drum set according to a player's selection and fixing the position thereof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of adjusting the drum set every time according to positional change .

위와 같은 목적은, 전면바와 전면바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면바로 구성됨으로써 "

Figure utm00001
"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면에서 이격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리 역할을 하는 지지수단;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바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는 베이스드럼; 상기 베이스드럼에 고정되는 마운티드 탐; 상기 메인프레임에 브래킷을 통해 연결되는 심벌즈;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간 지점에 마운팅 브래킷에 의해 연결되는 베이스드럼;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지수단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스네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지수단 타측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플로어 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드럼세트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providing a side bar extending at right angles at both ends of a front bar and a front bar,
Figure utm00001
"A base drum fixed to a central portion of a front bar of the main frame, a base drum fix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front bar of the main frame, A cymbal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hrough a bracket, a base drum connected by a mounting bracket at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main frame, a snare fixedly installed in a cantilever manner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ans of the main frame, And a floor drum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n a cantilevered form.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운티드 탐은 2개로 구성되며; 상기 스네어와 플로어 탐은 "

Figure utm00002
"와 같은 유동방지대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ed tom is composed of two; The snares and floor tours are "
Figure utm00002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flow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은;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means comprises: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쪽 가장자리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포스트; A pair of posts connected to both edges of the main fram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간에 연결되며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base drum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 lower end supported on the ground.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포스트의 한쪽은 상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며, 이 연장된 포스트의 상단에는 왼쪽 페달을 이용하여 연주되는 하이햇 심벌이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posts extends longer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 hi-hat symbol that is played using the left pedal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ended post.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메인프레임을 위시하여 그의 연장방향을 따라 드럼세트를 구성하는 각 요소가 고정 배치됨으로써 설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일체형 드럼세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연주하는 동안 드럼세트의 세팅 위치가 변경되지 않아 매번 재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각 구성요소의 소재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 로 드럼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초보자가 연습하는 경우에도 오류를 줄임으로써 실력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체형 드럼세트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 integral drum set is provided in which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fixed by fixing and arrangi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drum se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tting position of the drum set is not changed during the performance, there is no inconvenience of reconditioning each time and the material of each component can be saved, so that the drum set can be provided at low cost. Even a single drum set is provided to help you improve your skills by reducing error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드럼세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드럼세트의 베이스드럼 연결부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드럼세트의 스네어와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드럼세트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l type drum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another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s drum connecting portion of the integral drum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snare and base of an integral drum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of the integral drum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Fir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통상적으로 드럼세트는 베이스드럼(10)과, 스네어(11)와, 2개의 마운티드(12,13, mounted tom)과, 플로어 탐(14, floor tom, 베이스 탐이라고도 한다. 이하 같다)과, 하이햇 심벌(17, Hi-hat cymbal)과, 크래쉬 심벌(15,crash cymbal)과, 라이드 심벌(16, ride cymbal)을 포함한다. 베이스드럼(10)은 오른쪽 페달(18)을 이용하여 연주하고 하이햇 심벌(17)은 왼쪽 페달(19)을 이용하여 연주하며, 나머지는 드럼채(stick)를 이용하여 연주한다. 마운티드 탐(12,13)은 보통 하이탐(12, H.tom)과 미드탐(13, M.tom)으로 구성되지만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고 그 외의 탐탐이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드럼세트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Typically, the drum set includes a base drum 10, a snare 11, two mounts 12, 13, a floor tom 14, A symbol 17, a Hi-hat cymbal, a crash cymbal 15, and a ride cymbal 16. The bass drum 10 is played using the right pedal 18, the hi-hat symbol 17 is played using the left pedal 19, and the rest is played using a drum stick. Mounted Tom (12,13) is usually composed of HiTam (12, H.tom) and MidTam (13, M.tom), but one may be omitted or other TomTam may be us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tailed components of the drum set.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드럼세트는 기본적으로 메인프레임(20)과 (메인프레임)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20)은 전면바와 전면바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면바로 구성됨으로써 "

Figure utm00003
"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메인프레임(20)은 파이프를 절곡하여 제공될 수 있다. The integral drum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main frame 20 and (main frame) supporting means. The main frame 20 is constituted by side bars extending at right angles at both ends of the front bar and the front bar,
Figure utm00003
The main frame 20 may be provided by bending a pipe.

지지수단은 메인프레임(20)을 지면에서 이격되게 고정하기 위하여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 support means serves as a bridge for securing the main frame 20 away from the ground.

베이스드럼(10)은 메인프레임(20)의 전면바의 중앙부위에 마운팅브래킷(30)을 통해 고정된다. 한쌍의 마운티드 탐(12,13)은 베이스드럼(10)의 상부에 마운트된다. 베이스드럼(10)은 베이스드럼 측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스탠드(31)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면에 놓인다. 이에 따르면 베이스드럼(10)은 메인프레임(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하나로써 이용된다. The bass drum 10 is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bar of the main frame 20 via a mounting bracket 30. A pair of mounted tamams 12, 13 are mounted on top of the bass drum 10. The base drum 10 is placed on the ground so as not to flow left and right by the base stand 31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drum. The base drum 10 is used as one of the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main frame 20.

하이탐(12)과 미드탐(13)은 마운팅브래킷(30)을 통해 베이스드럼(10)의 상부에 장착된다. The high ride 12 and the mid ride 13 are mounted on the top of the base drum 10 via the mounting bracket 30.

도 3에 도시된 마운팅브래킷(30)은 파이프(341)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결합부(34)와, 베이스드럼(10) 상단에 고정되는 베이스결합부(342) 및 2개의 탐으로 구성되는 마운티드 탐(12,13)를 고정하기 위한 탐탐결합부(31,32,33)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드럼(10), 마운디트 탐(12,13) 및 메인프레임(20)은 마운팅브래킷(30)을 통해 하나로 연결된다. 탐탐결합부(31,32,33)는 고정판(31) 및 고정판(31)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게끔 설치되는 것으로서 탐탐(12,1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끔 설치하도록 하는 탐탐 연결구(32,33)를 가진다. The mounting bracket 30 shown in Fig. 3 includes a main frame engaging portion 34 including a pipe 341, a base engaging portion 342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drum 10, And tamtam coupling portions 31, 32, 33 for fixing the tumblers 12, 13. Thus, the bass drum 10, the mount treads 12, 13 and the main frame 20 are connected together via the mounting bracket 30. The tam tam coupling portions 31, 32 and 33 are installed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1 and the fixing plate 31 and are provided with a tam tam connector 32 , 33).

심벌즈(15,16,17)는 메인프레임(20)의 연장방향을 각자의 클램프(152,162,171)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크래쉬 심벌(15)은 연주자의 좌측에, 라이드심벌(16)은 연주자의 우측에 설치된다. 이들은 각각 포스트(151,161,22)와 클램프(152,162,171)에 의해 메인프레임(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좌우방향으로의 위치 및 높낮이는 연주자의 특성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cymbals 15, 16, 17 are fixed by their respective clamps 152, 162, 171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0. The crash symbol 15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layer, and the ride symbol 16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layer. These can be fixed on the main frame 20 by the posts 151, 161, 22 and the clamps 152, 162, 171, respectively. Of course, the position and the hei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er.

특히 하이햇심벌(17)은 하이햇스탠드에 의해 직립된다. 하이햇스탠드는 하이햇 클램프(171)에 의해 메인프레임(20)의 좌측 측면바에 연결된다. 이로써 하이햇심벌(17) 역시 메인프레임(20)과 연결된다. 하이햇스탠드는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더 연장된 중공의 포스트(22)와, 이 포스트(22)의 하단에서 스탠드를 지지하기 위한 삼각지지대(23)를 포함한다. 하이햇스탠드는 메인프레임(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좌측패달(19)은 이 포스트(22)를 통해 하이햇심벌(17)과 연결되어 있다. In particular, the hi-hat symbol 17 is erected by a hi-hat stand. The hi-hat stand is connected to the left side bar of the main frame 20 by a hi- Thus, the hi-hat symbol 17 is also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0. The hi-hat stand includes a hollow post 22 extending upwardly from the main frame 20 and a triangle zone 23 for supporting the stand at the lower end of the post 22. The hi-hat stand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 of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main frame 20. The left pedal 19 is connected to the hi-hat symbol 17 via the post 22.

스네어(11)는 지지수단의 하나인 스네어 클램프(111)에 의해 하이햇 포스트(22)에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다. 설치 높이 및 방향이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nare 11 is fixedly attached to the hi-hat post 22 by a snare clamp 111, which is one of the support mea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and direction can be adjusted.

플로어 탐(14, 또는 베이스 탐) 역시 연주자의 우측에 있는 우측 포스트(21)에 탐클램프(141)에 의해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 연결된다. 우측 포스트(21)의 상단에는 메인프레임(20)과의 연결을 위판 포스트 클램프(25)가 설치된다. The floor trom 14 (or base trom) is also fixedly connected to the right post 21 on the right side of the player by means of a tamp clamp 141. The upper end of the right post 21 is provided with a leg plate post clamp 25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0.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네어(11)와 플로어 탐(14)은 메인프레임(20)의 좌우측에 각각 외팔보 형태로 매달려 있게 되는데 연주 중에 유동이 있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동방지대(24)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nare 11 and the floor drum 14 are suspended in a cantilever shap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frame 20, respectively, Has solved this problem.

유동방지대(24)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원통형 북을 부분적으로 감쌈으로써 서로 상대를 고정할 수 있도록 2개의 원호부(241,242)가 연결부재(243)를 통해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유동방지대(24)는 평면상 "

Figure utm00004
"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스네어(11)와 플로어 탐(14)이 좌우방향으로 내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유동방지대(24)에는 각 드럼요소(11,14)를 밀착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공(245)이 마련되어 있다. 스네어와 플로어 탐(14)의 봉들이 이 연결공(245)을 관통하도록 조립된다. The flow restraining bar 24 is provided with two circular arcs 241 and 242 horizontally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43 so as to partially fix two of the two cylindrical sleeves as shown in Figs. Respectively. The anti-flow bar 24 is a flat-
Figure utm00004
So that the snare 11 and the floor drum 14 can not flow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up-and-down direction. And a connecting hole 245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245. The snares and the rods of the floor pad 14 are assembled to penetrate the connecting hole 245. [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메인프레임(20)을 조립식으로 하여 좌우로 또는 전후로 확장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몇개의 단위 파이프를 나사체결방식 또는 기타 파이프를 선형으로 길게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형태 역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정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rame 20 can be assembled and expanded to the left or right or back and forth. By adopting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necting several unit pipes to a screw fastening type or other pipes in a linear shap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hape of the main fram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구체적은 드럼의 구성요소는 연주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연주하고자 하는 음악적 특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세부적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 없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expressed in the claims. For example,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freely combined and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omponents of the dr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layer or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o be played. Therefore, these detailed components can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is invention.

10 : 베이스드럼 11 : 스네어
12,13 : 마운티드 탐 14 : 플로어 탐
15 : 크래쉬 심벌 16 : 라이드 심벌
17 : 하이햇 심벌 18,19 : 페달
20 : 메인프레임 21 : 우측 포스트
22 : 하이햇 포스트 23 : 삼각지지대
24 : 유동방지대 25 : 포스트 클램프
30 : 마운팅브래킷
10: Bass drum 11: Snare
12,13: Mounted Tom 14: Floor Tom
15: Crash Symbol 16: Ride Symbol
17: Hai Hat Symbols 18 and 19: Pedals
20: main frame 21: right post
22: Hi-hat Post 23: The Triangle Zone
24: anti-flow bar 25: post clamp
30: Mounting bracket

Claims (4)

전면바와 전면바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면바로 구성됨으로써 "
Figure utm00005
"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면에서 이격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리 역할을 하는 지지수단;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바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는 베이스드럼;
상기 베이스드럼에 고정되는 마운티드 탐;
상기 메인프레임에 브래킷을 통해 연결되는 심벌즈;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간 지점에 마운팅 브래킷에 의해 연결되는 베이스드럼;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지수단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스네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지수단 타측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플로어 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드럼세트
The side bars are formed at right angles at both ends of the front bar and the front bar,
Figure utm00005
"≪ / RTI >
Support means serving as a leg for securing the main frame away from the ground; A bass drum fixed to a central portion of a front bar of the main frame;
A mounted drum fixed to the bass drum;
A cymbal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hrough a bracket;
A base drum connected by a mounting bracket to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main frame;
A snare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support means in a cantilever fashion;
And a floor trom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ans of the main frame in a cantilevered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티드 탐은 2개로 구성되며;
상기 스네어와 플로어 탐은 "
Figure utm00006
"와 같은 유동방지대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드럼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ed tom is composed of two;
The snares and floor tours are "
Figure utm00006
≪ / RTI > so as not to flow in the left-righ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쪽 가장자리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한쌍의 포스트;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간에 연결되며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드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드럼세트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ans comprises:
A pair of posts connected to both edges of the main fram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base drum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 bottom supported on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l drum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한쪽은 상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며, 이 연장된 포스트의 상단에는 왼쪽 페달을 이용하여 연주되는 하이햇 심벌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드럼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posts extends longer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hi-hat symbol, which is played using a left pedal,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ended post
KR2020180000176U 2018-01-12 2018-01-12 Integral Drum Unit Ceased KR2019000185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76U KR20190001853U (en) 2018-01-12 2018-01-12 Integral Drum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76U KR20190001853U (en) 2018-01-12 2018-01-12 Integral Drum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53U true KR20190001853U (en) 2019-07-22

Family

ID=6743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76U Ceased KR20190001853U (en) 2018-01-12 2018-01-12 Integral Drum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853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8554A (en) * 2020-06-11 2021-12-17 黄乔仪 Support joints for musical instruments and drum stands contain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8554A (en) * 2020-06-11 2021-12-17 黄乔仪 Support joints for musical instruments and drum stands containing the same
CN113808554B (en) * 2020-06-11 2024-05-03 黄乔仪 Middle drum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9008A (en) Rail and system for supporting drums and othe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US7446247B2 (en) Suspended bracing system for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US20030070533A1 (en) Percussion practice aid
KR200479551Y1 (en) Electric drum
US8609970B2 (en) Suspended drum microphone system
US8063297B2 (en) Marimba suspended microphone system
KR20190001853U (en) Integral Drum Unit
US7094959B2 (en) Alternating cymbals
US2722860A (en) Drum practice pad arrangement
JP3514174B2 (en) Musical instrument stand
KR101309117B1 (en) Support apparatus for 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2007206633A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CA2762576A1 (en) Percussion instrument
KR200415764Y1 (en) Traditional Stringed Stands
US8878038B1 (en) Adjustable percussion mounting
US3466031A (en) Jouncing board
US674604A (en) Musical instrument.
KR101780901B1 (en) A drum provided on a trampoline
US20050156090A1 (en) Musical instrument harness and anchoring system
JPS6367192B2 (en)
KR200226444Y1 (en) Integrated drum set
US20230012611A1 (en) Attaching Hand-Actuated Music Controllers to a Saxophone
KR100609635B1 (en) Xylophone
KR101829882B1 (en) Rubbed string instrument
USRE29056E (en) Mus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01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502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3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U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X06013S01I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97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0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3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3

Appeal identifier: 2018101004970

Request date: 2018121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9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10

Effective date: 20200331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810100497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331

Request date: 201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