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36274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274A
KR20180136274A KR1020170075009A KR20170075009A KR20180136274A KR 20180136274 A KR20180136274 A KR 20180136274A KR 1020170075009 A KR1020170075009 A KR 1020170075009A KR 20170075009 A KR20170075009 A KR 20170075009A KR 20180136274 A KR20180136274 A KR 20180136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yment
server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박지훈
김진성
오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274A/ko
Priority to US16/623,095 priority patent/US11321686B2/en
Priority to CN201880040205.9A priority patent/CN110753945A/zh
Priority to PCT/KR2018/006694 priority patent/WO2018230958A2/ko
Priority to EP18818462.6A priority patent/EP3605430A4/en
Publication of KR2018013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27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7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in that multiple accounts are available, e.g. to the p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외부의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의 서버(server)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구매 내역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개시는 구매 내역에 대한 일괄 결제를 수행하는 제어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유무선 네트워크(예: 블루투스(Bluetooth), 3G(3Generation) 등)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최근 전자 장치에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 결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플라스틱 카드 또는 현금 없이 전자 장치만으로도 물건의 구매, 서비스의 구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복수 회의 구매 행위를 하는 경우, 구매 행위가 발생할 때 마다 매번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외부의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의 서버(server)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구매 내역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구매 내역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매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필요 없이 일정한 시간 또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일괄하여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구매 장소에 대한 결제 카드, 결제 한도 및 결제 기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와 전자 장치의 정보를 공유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서버의 정보 교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구매 내역에 대하여 일괄 결제를 진행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매 목록을 일괄 결제하는 경우에 사용할 카드를 선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구매 현황을 전송 받아서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매 제한 범위를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매 가능 기간을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매 가능 기간을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금 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구매 내역에 대하여 일괄 결재를 수행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금 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운용되는 REE 및 TEE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자기장 신호를 발생하면, 마그네틱 카드가 카드 판독 장치를 헤더의 위치에서 스와이프(swipe)했을 때와 동일한 전류가 카드 판독 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 장치를 카드 판독 장치에 근접 또는 접촉시켜 비용 등을 결제할 수 있다.
자기장 통신 방식으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과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또는 near field magnetic data stripe transmiss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방식은 데이터 비율(bit/sec), 통신 범위(range) 및 주파수가 다를 수 있다. 또한, NFC는 양방향 통신 방식임에 비해 MST는 단방향 통신(예를 들면, 핑 없이 한 쪽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server)와 전자 장치의 정보를 공유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서버에 누적되는 사용자의 행동을 일괄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원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호텔의 서버(미도시)와 전자 장치(100)의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호텔 서버와 정보 공유를 시작하기 위해, 호텔 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출력 장치(10)를 통해서 서버와 정보 공유를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와 입출력 장치(10)는 상호 간에 무선 통신이 수립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입출력 장치(10)에 접촉하거나 인접하면 전자 장치(100)와 입출력 장치(10) 상호간에 통신이 수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텔에 체크 인(check in)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인 소유의 전자 장치(100)를 입출력 장치(10)와 인접시켜 호텔 서버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서버의 정보 교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b의 (a)를 참조하면, 호텔 서버와 통신을 수립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식별 정보(110)를 호텔 서버로 전송하는 것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호텔 서버 등과 정보 교환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식별 정보(110)를 호텔 서버로 전송하는 것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호텔 서버 등과 정보 교환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결제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20)은, 예를 들면, 삼성 페이 어플리케이션(Samsung Pa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20)은, 예를 들면, 결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20)은 윌렛 사용자 인터페이스(wallet UI/UX)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20)은 카드 등록, 지불, 또는 거래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전송하는 전자 장치 식별 정보(11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 대응하는 번호, 전자 장치 ID(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대응하는 번호는 전자 장치(100)에 매칭된 전화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ID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일련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송"객체(130)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식별 정보(110)를 호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b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 전송한 전자 장치 식별 정보(110)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 정보(140)는 호텔의 서버가 수신된 전자 장치 식별 정보(110)에 매칭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의 서버는 사용자가 체크인 하는 방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14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b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식별 정보(110)와 함께 호텔 서버에서 전송된 사용자 식별 정보(140)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호텔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140)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매 활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텔에 포함된 식당에서 식사를 하거나, 호텔에 포함된 가게에서 물건을 사는 경우, 점원은 사용자 식별 번호(140)에 매칭하여 구매 내역을 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원은 사용자의 구매 현황을 호텔의 서버와 네트워크를 수립하고 있는 입력 장치(예: 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하여 구매 내역을 정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결재를 진행할 필요 없이 식사를 하거나,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도 1b의 (c)를 참조하면, 호텔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구매 내역을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로 전송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110)와 함께 사용자의 구매 내역(15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확인"객체(16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구매 내역(150)을 확인할 수 있다. 구매 내역(150)을 확인한 전자 장치(100)는 호텔 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내역(150)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호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구매 내역(150)이 확인되면, 결제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매 내역(150)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외부의 서버가 생성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가 발생하는 매 순간 결제를 진행할 필요 없이,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 거나, 또는 필요 시에 일괄로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210), 디스플레이(220), 프로세서(24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모듈(21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RF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기반하여 서버와 같은 외부의 타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10)은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210)은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 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을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4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4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해 외부의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4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해 서버가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한 구매 내역을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2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20)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한 구매 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도 프로세서, 통신 모듈,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 포함된 통신 모듈은 서버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서버에 포함된 통신 모듈은 서버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서버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수신된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에 포함된 메모리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 포함된 메모리는 수신된 전자 장치 식별 정보, 생성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구매 내역에 대하여 일괄 결제를 진행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호텔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구매 내역(150)을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로 전송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와 함께 사용자의 구매 내역(15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구매 내역(150)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입력되면, 결제 진행을 위한 객체(예: "결제"(31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제"(31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결제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매 내역(150)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도면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20)을 실행하고, 디스플레이(20)에 결제 어플리케이션(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결제를 진행할 결제 카드(122)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NFC 또는 MST 방식을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의 생체 인증(예: 지문 인증, 홍채 인증 등)을 요구하거나, 또는 비밀 번호 입력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절차를 완료한 전자 장치(100)는 NFC 모듈을 통해 POS(point of sales) 장치로 결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POS 장치로부터 NFC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POS 장치에 결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MST 모듈을 이용하여 POS 장치에 결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POS 장치는 마그네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단말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OS 장치는 전자식 금전등록기, 정찰 리더, 신용카드 자동판별 장치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POS 장치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결제 정보를 결제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버는 POS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버는 다른 결제 서버 또는 금융 서버 등에 대하여 결제 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버는 결제 정보에 대한 인증 결과를 POS 장치로 전달 할 수 있다.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POS 장치는 거래 완료 영수증을 출력하거나, 또는 거래 실패의 메시지를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하도록 관련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계산대에서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지 않아도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결제가 진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사용자의 얼굴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가지고 계산대에 서서 결제 의사를 음성으로 표시하면,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를 계산원이 확인하고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의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위치 인식 서비스를 활성화 해야 전자 장치(100)는 결제를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매 목록을 일괄 결제하는 경우에 사용할 카드를 선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호텔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 받는 경우에,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결제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를 구분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카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내역을 결제하는 결제 카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확인"(4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결제가 가능한 카드(420) 또는 계좌 리스트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20)에 하나의 결제 카드(42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20)에 선택 가능한 모든 결제 카드 또는 결제 계좌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0)를 좌우로 터치 앤 드래그 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다른 결제 카드(430) 또는 계좌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는 결제 카드 또는 계좌의 변경에 대응하여 인디케이터(440)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디케이터(440)를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원하는 결제 카드 또는 결제 계좌를 찾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정"(45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는 결제 카드(430)를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구매 목록을 일괄 결제하는 카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에 선택 가능한 모든 결제 카드 또는 계좌를 표시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표시된 카드 또는 계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구매 목록을 일괄 결제하는 카드 또는 계좌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구매 현황을 전송 받아서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서버에 등록 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한 구매 행위가 발생되면, 구매 행위 발생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구매 현황을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와 구매 현황(51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140)와 구매 현황(51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구매 현황에 대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객체(예: 확인(520))을 표시할 수 있고, 동시에 구매 현황에 대하여 재확인을 요청하는 객체(예: 검토요청(53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구매 현황(510)이 사용자가 기억하는 구매 행위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확인"(520)을 선택할 수 있다. 구매 현황(510)을 확인한 전자 장치(100)는 호텔 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현황(510)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에 따른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구매 현황(510)이 사용자가 기억하는 구매 행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검토요청"(530)을 선택할 수 있다. 구매 현황(510)에 대한 재검토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호텔 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현황(510)에 대한 사용자의 검토 요청 내용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서버는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한 구매 행위가 추가적으로 발생되면, 구매 행위 발생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구매 현황을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와 추가적인 구매 행위를 포함하는 갱신된 구매 현황(511)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140)와 갱신된 구매 현황(511)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구매 현황(511)에 대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객체(예: 확인(520))을 표시할 수 있고, 동시에 구매 현황에 대하여 재확인을 요청하는 객체(예: 검토요청(53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확인"(520) 또는 "검토요청"(530)을 선택하여 서버에 대하여 구매를 확인하거나, 구매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매 제한 범위를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호텔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 받는 경우에,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결제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를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일반 결제와는 달리,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구매에 대하여는 제한 범위를 정하고 제한 범위 내에서 구매가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에 대응하여 생성할 수 있는 구매 제한 범위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 구매 제한 범위 입력 실행 객체(6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구매 제한 범위 입력 실행 객체(6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구매 제한 액수를 입력할 수 있는 객체(620), 및 입력된 액수를 확인하는 객체(6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구매 제한 액수를 입력할 수 있는 객체(62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객체(미도시)를 팝업 형식으로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에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숫자를 선택하여 구매 제한 범위를 입력한 후, 입력된 액수를 확인하는 객체(예: 확인(630))를 선택하여 입력한 액수를 확정할 수 있다.
구매 제한 범위 액수를 확인한 전자 장치(100)는 호텔 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제한 액수를 호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는 구매의 제한 범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매 가능 기간을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호텔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 받는 경우에,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결제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를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일반 결제와는 달리,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구매에 대하여는 구매 가능 기간을 정하고 설정된 기간 내에서 구매하고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에 대응하여 생성할 수 있는 구매 가능 기간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 구매 가능 기간 입력 실행 객체(7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구매 가능 기간 입력 실행 객체(7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구매 가능 기간을 입력할 수 있는 객체(720), 및 입력된 기간을 확인하는 객체(7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구매 가능 기간을 입력할 수 있는 객체(72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가상 키패드(미도시)를 팝업 형식으로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에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숫자를 선택하여 구매 가능 기간을 입력한 후, 입력된 기간을 확인하는 객체(예: 확인(730))를 선택하여 입력한 기간을 확정할 수 있다.
구매 가능 기간을 확인한 전자 장치(100)는 호텔 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가능 기간을 호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는 구매가 가능한 기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매 가능 기간을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호텔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 받는 경우에,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결제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를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일반 결제와는 달리,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구매에 대하여는 구매 가능 지역을 정하고 설정된 지역 내에서 구매하고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구매 가능 지역은, 예를 들면, 호텔의 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내역을 관리할 수 있는 지역 또는 매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에 대응하여 생성할 수 있는 구매 가능 지역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식별 정보(140), 구매 가능 지역 입력 실행 객체(8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구매 가능 지역 입력 실행 객체(8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구매 가능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객체(820), 및 입력된 지역을 확인하는 객체(8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구매 가능 지역을 입력할 수 있는 객체(820)에 포함된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지역 또는 매장을 다른 항목들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항목의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밝기 값을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된 항목과 선택되지 않은 항목을 구분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여 구매 가능 지역을 입력한 후, 입력된 기간을 확인하는 객체(예: 확인(830))를 선택하여 입력한 지역을 확정할 수 있다.
구매 가능 지역을 확인한 전자 장치(100)는 호텔 서버와 연동하여 구매 가능 지역을 호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는 구매가 가능한 지역 또는 매장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금 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호텔의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호텔 객실의 도어를 잠금 하거나 잠금 해제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식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객실 앞에서 전자 장치(100)를 도어 장치에 접촉하거나 인접하는 경우, 도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140)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장치가 NFC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NFC 모듈 등을 통해 도어 장치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NFC 태그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장치가 생성하는 NFC 태그 신호와 결제를 위하여 POS 장치가 생성하는 NFC 태그 신호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장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MFC 태그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POS 장치는 결제 정보(예: 토큰, 토큰 크립토그램 등)를 요청하는 NFC 태그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NFC 태그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도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도어 장치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도어 장치가 설치된 방에 매칭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20)에 열쇠와 관련된 객체(910)를 표시하여 현재 도어를 잠금 하거나 잠금 해제 하기 위한 동작이 진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도어 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도어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도어 장치가 설치된 방에 매칭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된 결과가 수신되면, 도어 장치는 도어를 잠금 하거나 또는 잠금 해제 할 수 있다.
반면에, 도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도어 장치가 설치된 방에 매칭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인증된 결과가 수신되면, 도어 장치를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장치가 잠금 해제 된 경우, 도어 장치는 도어 잠금 해제 상태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어 장치로부터 도어 잠금 해제 상태를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열쇠와 관련된 객체(910)를 도어가 잠금 해제 된 것을 알리는 객체(920)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도어 잠금 해제 정보를 수신 받고, 열쇠와 관련된 객체(910)를 도어가 잠금 해제 된 것을 알리는 객체(920)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를 잠금 하거나 잠금 해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구매 내역에 대하여 일괄 결재를 수행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동작 10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서버(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가 호텔의 서버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체크인 하면서 호텔의 서버(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출력 장치 등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정보 공유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 또는 전자 장치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15를 참조하면, 서버(1000)는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 장치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예약한 호텔의 방 번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동작 1020을 참조하면, 서버(1000)는 생성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2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030을 참조하면, 서버(10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구매 현황을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035를 참조하면, 서버(10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구매 현황을 모두 포함하는 구매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040을 참조하면, 서버(1000)는 생성한 구매 내역과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4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버(1000)로부터 전송 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구매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확인된 구매 내역을 서버(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5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구매 내역이 확인되면, 결제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매 내역에 대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05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카드 또는 계좌 정보를 결제 서버(1001)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NFC 모듈 또는 MST 모듈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에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6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버(1001)는 결제 정보에 대한 인증을 다른 금융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065를 참조하면, 결제 서버(1001)는 다른 금융 서버로부터 결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결제 서버(1001)는 자체적으로 결제 정보에 대한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동작 1070을 참조하면, 결제 서버(1001)는 결제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금 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동작 11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서버(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가 호텔의 서버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체크인 하면서 호텔의 서버(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출력 장치 등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정보 공유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 또는 전자 장치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115를 참조하면, 서버(1000)는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 장치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예약한 호텔의 방 번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동작 1120을 참조하면, 서버(1000)는 생성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2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130을 참조하면, 도어 장치(1100)는 전자 장치(100)가 도어 장치(1100)에 인접하거나 접촉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13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어 장치(1100)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40을 참조하면, 도어 장치(11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1000)로 전송하고,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145를 참조하면, 서버(1000)는 도어 장치(1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도어 장치(1100)가 설치된 방에 매칭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50을 참조하면, 서버(10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인증 결과를 도어 장치(1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인증 결과를 도어 장치(1100)와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55를 참조하면, 서버(10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도어 장치(1100)가 설치된 방에 매칭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인증된 결과가 수신되면, 도어 장치(1100)는 도어를 잠금 하거나 또는 잠금 해제 할 수 있다.
반면에, 서버(10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도어 장치(1100)가 설치된 방에 매칭되어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인증된 결과가 수신되면, 도어 장치(1100)는 도어 잠금 하거나 또는 잠금 해제 하는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1160을 참조하면, 도어 장치(1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인증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서버(10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운용되는 REE 및 TEE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200)는 결제 진행 과정에서의 보안 강화를 위해 복수의 보안 레벨을 가진 실행 환경을 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행 환경은, 예를 들면, REE(rich execution environment)(1210) 및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1220)를 포함할 수 있다. REE(1210)는, 예를 들면, 제 1 보안 레벨을 가지는 제 1 실행 환경일 수 있다. TEE(1220)는, 예를 들면, 제 1 보안 레벨과 다른(예: 높은) 제 2 보안 레벨을 가지는 제 2 실행 환경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0)는 제 3 보안 레벨을 가지는 추가적인 다른 실행 환경(예: 제 3 실행 환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EE(1220)는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레벨이 요구되는 데이터를 안전한 환경 내에서 저장하고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EE(1220)는 전자 장치(12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고, 전자 장치(1200)의 제조 과정에서 결정된 신뢰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조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TEE(12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를 일반 영역과 보안 영역으로 구분하여 보안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TEE(1220)는 보안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보안 영역에서만 동작하게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0)는 하드웨어의 물리적 변경 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 변경을 통하여 TEE(1220)를 운용할 수 있다.
TEE(1220)는 REE(1210)와 하드웨어적인 제약을 통하여 서로 분리될 수 있고, 동일한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할 수 있다. REE(1210)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client application)(예: 결제, 컨택트, 이메일, 또는 브라우저 등)은 TEE(1220)에 접근이 허용된 API(예: TEE functional API 또는 TEE client API)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API를 이용하여 REE(1210)의 통신 에이전트(REE communication agent)에서 TEE(1220)의 통신 에이전트)(TEE communication agent)로 메시지(messages)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하드웨어적으로 TEE(1220)에만 전달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EE(1210)는 운영체제(예: Rich OS Components)를 포함하고, 주변 장치(public peripherals)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public device drivers)를 운용할 수 있다.
TEE(1220)의 통신 에이전트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보안 어플리케이션(trusted application(TA))(예: DRM, 보안 결제 모듈, 또는 보안 생체 정보 모듈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보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메시지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작에 대한 결과를 TEE(1220)의 통신 에이전트를 통하여 REE(1210)의 통신 에이전트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REE(1210)의 통신 에이전트는 REE(1210)에서 운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TEE(1220)는 내부 API(TEE internal API)를 기반으로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보안 운영 체제(Trusted OS Component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운영 체제는 보안 주변 장치(Trusted peripherals) 제어를 위한 보안 커널(Trusted kernel) 및 보안 프레임 워크(Trusted core framework) 및 보안 함수(Trusted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1300)을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결제 시스템(1300)은, 전자 장치(1310) 및/또는 서버(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결제 서버(1320), 토큰 서버(token server, token service provider)(1330), 또는 금융 서버(issuer)(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310)는,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payment application, wallet application)(1312) 및/또는 결제 매니저(1314)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1320)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 서버(1322) 및/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token requester, token requester server)(13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은, 예컨대, 삼성 페이 어플리케이션(Samsung PayTM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은, 예를 들면, 결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UI(user interface) 또는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월렛 사용자 인터페이스(wallet UI/UX)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은, 카드 등록(card registration), 지불(payment), 또는 거래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은, 예를 들면, 문자 판독기(예: OCR(optical character reader/recognition)) 또는 외부 입력(예: 사용자 입력)을 통한 카드 등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은, 예를 들면, 신원 확인(ID&V,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을 통한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은 결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은, Simple Pay, Quick Pay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사용자에게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Quick Pay는 Simple Pay 와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을 이용하여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결제 기능과 연관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매니저(1314)는, 카드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매니저(1314)는, 카드사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버(1320)는, 전자 결제 또는 모바일 결제를 위한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132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310)로부터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해서 외부로 송신하거나 상기 결제 서버(1320)에서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버(1320)는, 결제 서비스 서버(1322) 및/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1324)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310)와 토큰 서버(133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서버(1322)는, 예를 들면, 서비스 계정(예: Samsung account) 또는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카드 정보를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비스 서버(1322)는,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과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비스 서버(1322)는, 예를 들면, 계정 관리 모듈(예: account integration 또는 Samsung account integr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 요구자 서버(1324)는,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큰 요구자 서버(1324)는, 결제와 관련된 정보(예: 토큰(token))의 발급, 삭제, 또는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결제 매니저(1314)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310)에 포함된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과 결제 서버(1320)에 포함된 결제 서비스 서버(1322)는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은 결제 서버(1320)로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310)에 포함된 결제 매니저(1314)와 결제 서버(1320)에 포함된 토큰 요구자 서버(1324)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매니저(1314)는 토큰 요구자 서버(1324)로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 서버(1330)는, 결제와 관련된 정보(예: 토큰)를 발급하거나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큰 서버(1330)는, 토큰의 동작 주기(like cycle)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주기는 생성, 수정, 또는 삭제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큰 서버(1330)는, 예를 들면, 토큰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토큰 설정(token provisioning), 신원 확인(ID&V,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갱신(replenishment), 또는 Life Cycle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토큰 서버(1330)는 금융 서버(1340)와 관련된 정보의 통합(integ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버(1320) 및/또는 토큰 서버(1330)는 동일 또는 유사한 영역에 위치하거나 서로 분리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서버(1320)는 제 1 서버에, 토큰 서버(1330)는 제 2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결제 서버(1320) 및/또는 토큰 서버(1330)가 하나의 서버(예: 제 1 서버 또는 제 2 서버)에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금융 서버(1340)는 카드 발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융 서버(1340)는, 카드 발급 은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 서버(134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금융 서버(1340)에서 생성된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결제 어플리케이션(1312)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3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금융 서버(1340)는 토큰 서버(133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7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결제 시스템(1400)은 전자 장치(1410), 결제 서버(1420),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token service provider(TSP))(1430)(예: 토큰 서버(1330)) 및 POS(point of sales)(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10)은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13의 전자 장치(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시스템(1400)은 하나 이상의 추가 전자 장치(1450 또는 14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1410)와 기능적으로(예: 통신) 연결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1450)(예: 스마트 시계) 또는 액세서리(1460)(예: LoopPayTM사의 fob 형태 장치, USB 형태의 액세서리, 커버 형태의 액세서리, 또는 카드 형태의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oopPayTM 사의 fob 형태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전자 장치(1410)와 연결된 외부 결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10)는 결제 기능을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10)는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카드(예: 마스터카드 또는 비자 등의 신용 카드)를 전자 장치(1410) 또는 결제 서버(1420)에 등록할 수 있다. 결제 서버(1420)는 전자 장치(1410)를 통해서 등록된 카드 외에도, 전자 장치(141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50, 1460))를 통해서 등록된 카드 또는 다른 사용자의 전자 장치를 통해서 등록된 다른 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등록된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버(1420)는 등록된 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토큰 정보를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1430)로부터 획득하여 전자 장치(1410)에 전달할 수 있다. 결제 서버(1420)는, 예를 들면, 결제 서비스 서버(예: 도 13의 결제 서비스 서버(1322)) 또는 토큰 요구자 서버(예: 도 13의 토큰 요구자 서버(1324))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서버(예: 도 13의 결제 서비스 서버(1322))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서버(예: 도 13의 결제 서비스 서버(1322))는 계정을 기반으로 결제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요구자 서버(예: 도 13의 토큰 요구자 서버(1324))는 결제 동작에 필요한 토큰 정보를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1430)에게 요청하여 토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1430)는 결제 과정에서 사용되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은 카드의 정보인 primary account number(PAN)을 대체하는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은 bank identification number(BIN)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토큰은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1430)에 의해서 암호화되거나,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결제 서버(1420)로 전송된 후, 결제 서버(1420)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암호화된 토큰 정보는 결제 서버(1420)를 통해 전자 장치(1410)로 전달된 후, 전자 장치(1410)에서 복호화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큰은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1430)에서 생성 및 암호화되고, 결제 서버(1420)를 거치지 않고 전자 장치(141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버(1420)는 토큰 생성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 결제 시스템에는 별도의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1430)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 장치(1410)는,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또는 WiFi)에 기반하여 기능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들(1450 또는 1460)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전자 장치(1450)는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시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장치(1410)는 토큰 서비스 프로바이더(1430)로부터 전달된 토큰을 웨어러블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전자 장치(1460)는 액세서리(예: LoopPayTM사의 fob 형태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전자 장치(14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액세서리(예: LoopPayTM사의 fob 형태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1500)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0)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1501), 가속도 센서(1503), 자이로 센서(1505), 생체 센서(1507), MST 모듈(1510), NFC 모듈(1520), MST 제어 모듈(1530), NFC 제어 모듈(1540), 프로세서(1550), 및 메모리(1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0)는 도 1의 전자 장치(!00), 도 12의 전자 장치(1200), 도 13의 전자 장치(1300) 및 도 14의 전자 장치(14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0)은 도 2의 프로세서(24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60)는 도 2의 메모리(23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1)은 결제에 필요한 카드를 촬영하여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1)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능을 통해 카드에 표기되어 있는 카드 정보(예: 카드 회사, 카드 넘버, 카드 유효 날짜, 또는 카드 소유주 등)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500)에 포함된 입력 장치(예: 터치 패널, 펜 센서, 키, 초음파 입력 장치, 또는 마이크 입력 장치 등)를 이용하여 필요한 카드 정보를 전자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1503) 또는 자이로 센서(1505)는 결제 시 전자 장치(1500)의 위치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전자 장치(1500)의 위치 정보는 프로세서(1550)에 전달되고, 프로세서(1550)는 획득된 전자 장치(1500)의 위치 상태에 기반하여 MST 모듈(1510)에서 POS로 송출되는 자기장의 세기(전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550)는 코일 안테나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되는 코일 안테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MST 제어 모듈(1530)은 데이터 수신 모듈(1531) 및 출력 변환 모듈(1533)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 모듈(1531)은 프로세서(1550) 또는 보안 모듈(예: eSE)이 전송하는 결제 정보를 포함한 logical low/high 형태의 펄스 시그널(pulse signal)을 전달받을 수 있다.
출력 변환 모듈(1533)은 데이터 수신 모듈(1531)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MST 모듈(1510)로 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형태로 변환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는 MST 모듈(1510)의 양단에 공급되는 전압의 방향을 제어하는 H-Bridge를 포함할 수 있다. H-Bridge는 4개의 스위치 구조를 이용해서 H 모양으로 연결한 회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1501) 또는 입력 장치(예를 들면, 터치 패널, 펜 센서 등)를 통해 입력된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500)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카드 회사/은행 서버로부터 마그네틱 카드의 magnetic stripe에 포함되어 있는 결제 정보(예: track 1/2/3 또는 token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0)는 수신된 결제 정보를 메모리(1560) 또는 별도의 보안 모듈(예: eSE)에 필요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자 장치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전자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전자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제 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 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전자 장치 또는 제 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 3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전자 장치 및 제 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전자 장치 및 제 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 3 장치와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 3 장치는 전자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구매 내역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 3 장치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 3 장치는 프리로드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외부의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의 서버(server)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구매 내역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구매 내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을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결제 카드 또는 결제 계좌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결제 카드들 또는 복수 개의 결제 계좌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결제 카드들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결제 계좌들 중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을 결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카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계좌를 선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상기 구매 내역의 구매 제한 범위를 입력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이 제 1 결제 정보를 송신 가능한 제 1 통신 모듈 및 제 2 결제 정보를 송신 가능한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 2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듈에 대응하는 결제 정보가 외부 장치로 송신되도록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 1 통신 모듈을 근거리 통신 모듈, 제 2 통신 모듈은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듈인 전자 장치.
  9. 서버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서버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는 구매 행위에 대응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구매 내역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서버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구매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행위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구매 행위에 대응하는 구매 현황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11.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구매 내역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구매 내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구매 내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을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결제 카드 또는 결제 계좌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결제 카드들 또는 복수 개의 결제 계좌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결제 카드들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결제 계좌들 중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을 결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카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계좌를 선택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상기 구매 내역의 구매 제한 범위를 입력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서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는 구매 행위에 대응하여 구매 내역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구매 내역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구매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행위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구매 행위에 대응하는 구매 현황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전자 장치 식별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구매 내역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구매 내역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 내역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70075009A 2017-06-14 2017-06-1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eased KR20180136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09A KR20180136274A (ko) 2017-06-14 2017-06-1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6/623,095 US11321686B2 (en) 2017-06-14 2018-06-14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N201880040205.9A CN110753945A (zh) 2017-06-14 2018-06-14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PCT/KR2018/006694 WO2018230958A2 (ko) 2017-06-14 2018-06-1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EP18818462.6A EP3605430A4 (en) 2017-06-14 2018-06-14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09A KR20180136274A (ko) 2017-06-14 2017-06-1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274A true KR20180136274A (ko) 2018-12-24

Family

ID=6466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009A Ceased KR20180136274A (ko) 2017-06-14 2017-06-14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21686B2 (ko)
EP (1) EP3605430A4 (ko)
KR (1) KR20180136274A (ko)
CN (1) CN110753945A (ko)
WO (1) WO20182309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6365B (zh) * 2019-12-16 2023-05-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人脸图像传输方法、数值转移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14530B1 (no) 2000-02-25 2003-03-31 Ericsson Telefon Ab L M Trådlös reservering, innsjekking, tilgangskontroll, utsjekking og betaling
KR20070063897A (ko) 2005-12-15 2007-06-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샘플 샵 쇼핑 시스템 및 방법
US8352323B2 (en) * 2007-11-30 2013-01-08 Blaze Mobile, Inc. Conducting an online payment transaction using an NFC enabl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477995B2 (en) 2012-03-04 2016-10-25 Quick Check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of electronic payment
KR20130138878A (ko) 2012-06-11 2013-12-20 김영문 객실 사용 자동화 시스템
US9607486B2 (en) * 2013-01-29 2017-03-28 Wal-Mart Stores, Inc. Shopping process including monitored shopping cart basket weight
CN104166909B (zh) * 2013-05-17 2019-12-2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自动支付系统和方法
WO2015023713A2 (en) * 2013-08-13 2015-02-19 Dash Software, LLC Mobile application check-in and payment systems and methods of their operation
KR20150019437A (ko) 2013-08-14 2015-02-25 이민오 개선형 주문 결제 시스템
KR20160056749A (ko) 2014-11-12 2016-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60459B1 (ko) 2015-02-27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이용한 카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10193700B2 (en) 2015-02-27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ust-zone-based end-to-end security
US9721406B2 (en) 2015-04-08 2017-08-01 Thomas M. Isaacson System and method for door unlocking using a payment account
KR101780186B1 (ko) 2015-11-10 2017-09-20 (주)한국유비텍 모바일 결제 인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6296148A (zh) * 2016-08-05 2017-01-04 深圳市淘淘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5430A4 (en) 2020-05-06
WO2018230958A2 (ko) 2018-12-20
EP3605430A2 (en) 2020-02-05
US11321686B2 (en) 2022-05-03
US20200219071A1 (en) 2020-07-09
WO2018230958A3 (ko) 2019-02-07
CN110753945A (zh)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042B1 (ko)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892357B2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reprogrammable payment card
EP3262582B1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electronic payment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93434B1 (ko) 전자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408254B (zh) 提供电子支付功能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CN107408251B (zh) 提供电子支付功能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60253669A1 (en)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136309A1 (en) Pay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CN113630380B (zh) 用于支付服务的卡片注册方法和实施该方法的移动电子设备
US2016025365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ay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70103382A1 (en) Method of providing payment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KR102458145B1 (ko)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70083882A1 (en) Secure pay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KR101775668B1 (ko) 전자 장치, 인증 대행 서버 및 결제 시스템
KR102632841B1 (ko) 복수의 결제들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EP3262586B1 (en) Payment mean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101765140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US1132168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239990B1 (ko) 결제 서비스를 위한 카드 등록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전자 장치
KR20170026060A (ko) 전자 장치에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15002A (ko) 카드 결제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6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6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92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103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