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288A - Polishing device - Google Patents
Polish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4288A KR20180134288A KR1020180062695A KR20180062695A KR20180134288A KR 20180134288 A KR20180134288 A KR 20180134288A KR 1020180062695 A KR1020180062695 A KR 1020180062695A KR 20180062695 A KR20180062695 A KR 20180062695A KR 20180134288 A KR20180134288 A KR 201801342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path
- polishing
- water supply
- concentric circle
- supply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8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17 Centrarch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74 Inva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17 pol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94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0 sapph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1 silicon carb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24B55/03—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designed as a complete equipment for feeding or clarifying cool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24B37/26—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apping pad surface, e.g. groov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4—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34—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마면의 배측(背側)에 온도조절용 유체(流體)가 흐르는 온도조절구조가 형성된 연마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ish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in which a fluid for temperature control flows on the rear side of a polishing surface.
종래로부터, 실리콘 웨이퍼 등의 워크를 연마하는 정반(定盤)의 냉각 등의 온도조절을 진행하기 위해, 워크에 접촉하는 연마면의 배측에 온도조절용의 유체가 흐르는 온도조절구조가 마련된 연마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이 연마장치에 있어서의 온도조절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정반의 내주변부(內周邊部) 근방에 마련된 급수구(給水口)로부터, 외주변부(外周邊部) 근방에 형성된 배수구(排水口)를 향해 소용돌이모양으로 연장하는 온도조절용 유체유로(流體流路)를 가지는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또는 정반의 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유로를 가지고, 각 유로를 흐르는 온도조절용 유체의 온도 등을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한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2, 3 참조)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polish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in which a fluid for temperature control flows on the rear side of a polishing surface in contact with a work, in order to proceed with temperature control such as cooling of a base plate for polishing a work such as a silicon wafer It is known. As a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in this polishing apparatus, for example,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outlet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uter peripheral portion) from a wate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a bas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or a plurality of flow paths extending in the main direction of the surface plate and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luid flow path extending in a spiral shape toward the flow path (See, for example,
그러나, 소용돌이모양으로 연장한 유체유로를 가진 온도조절구조에서는, 연마면의 온도조절효율이 정반 중심부로부터 외주변부를 향해 점차 저하되어 간다. 그 때문에, 워크 연마중에 워크와의 접촉비율이 높은 영역 등의 주요 온도조절대상으로 간주되는 영역을 우선적 및 효율적으로 온도조절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워크 연마에 수반하여 생기는 연마열의 영향에 인해, 연마면이 부분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거나, 또는, 그것에 관련되어 연마조건이 부분적으로 일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in the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having the fluid flow path extended in the spiral shape, the temperature control efficiency of the polishing surfac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surface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preferentially and efficient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region, which is regarded as a main temperature control target, such as a region having a high contact ratio with the work during polishing of the work. Therefor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olished surface partially ris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olishing heat caused by the polishing of the work, or the polished condition partially deviates from the temperature.
한편, 복수개의 유로를 흐르는 온도조절용 유체의 온도 등을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한 온도조절구조에서는, 유체의 급배수(給排水)경로를 복수개의 계통으로 할 필요가 있어, 장치가 대형화되거나, 제어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capable of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controlling fluid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luid supply / drainage path a plurality of systems,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착안해 이루어진 것이며, 구조를 복잡화하는 것 없이 연마면의 주요 온도조절대상으로 간주되는 영역을 우선적 및 효율적으로 온도조절하고, 워크의 연마에 수반하여 연마면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그것에 관련되어 연마조건이 부분적으로 일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ishing apparatus and a polishing apparatus which are capable of preferentially and efficiently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a polishing surface, , Or a polishing apparatus capable of inhibiting the polishing conditions from being partly deviated from the polishing conditions in relation there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워크를 연마하는 연마면의 배측에, 온도조절용 유체가 흐르는 온도조절구조가 형성된 정반을 구비하는 연마장치이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ishing apparatus comprising a bas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formed on a rear side of a polishing surface for polishing a work, through which a temperature controlling fluid flows.
상기 온도조절구조는, 상기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구와, 상기 온도조절용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구와, 상기 급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정반의 지름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동심원을 따라 연장하는 유로와, 상기 정반의 지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동심원을 칸막이하는 칸막이벽을 가지고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may include a water supply port for supplying the temperature control fluid, a drain port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fluid is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drain port. And a partition wall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se and partitioning the concentric circles.
그리고, 상기 급수구로부터 공급된 온도조절용 유체는, 제1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 내를 제1 방향으로 흐른 다음, 상기 칸막이벽을 따라 유턴하여 제2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에 흘러 들고, 상기 제2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 내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흘러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출된다.The temperature regulating fluid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flows in the flow path along the first concentric circ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flows in the flow path along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by the U-turn along the partition wall, Flow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in the flow path along the concentric circle of the outlet, and is discharged from the drain port.
이 결과, 구조를 복잡화하는 것 없이 연마면의 주요 온도조절대상으로 간주되는 영역을 우선적 및 효율적으로 온도조절하고, 워크의 연마에 수반하는 연마면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그것에 관련되어 연마조건이 부분적으로 일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ferentially and efficiently adjust the temperature of a region regarded as a main object of temperature control of the polishing surface without complicating the struc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polishing surface accompanying the polishing of the work part is partially changed or rel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lishing conditions from being partly deviated.
도 1은, 실시예 1의 연마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연마장치의 냉각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정반의 연마면을 구분했을 때의 영역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비교예의 연마장치의 냉각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비교예의 냉각구조에 의한 연마면의 냉각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냉각구조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흐름방향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냉각구조에 의한 연마면의 냉각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냉각구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냉각구조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po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polish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area when the polishing surface of the surface plate is divided.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polishing apparatus of the comparative example.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oling state of the polishing surface by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comparative example. Fig.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ooling state of the polishing surface by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8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9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연마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 1에 근거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구조를 냉각구조로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oli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실시예 1) (Example 1)
우선,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연마장치(1)는, 반도체 웨이퍼, 수정 웨이퍼, 사파이어 웨이퍼, 유리 웨이퍼 또는 세라믹 웨이퍼 등의 박판 모양(薄板狀)의 워크(W)의 표리(表裏) 양면을 연마가공하는 양면 연마장치이다. 이하,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의 구성을, 「전체구성」, 「정반의 상세구성」, 「냉각구조의 상세구성」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The
[전체구성][Overall configuration]
도 1은 실시예 1의 연마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에 근거해 실시예 1의 연마장치의 전체구성을 설명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polish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실시예 1의 연마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L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으로 배치된 하정반(2) 및 상정반(3)과, 하정반(2) 및 상정반(3)의 중심부에 회전자유로 배치된 선기어(sun gear, 4)와, 하정반(2) 및 상정반(3)의 외주측에 배치된 인터널기어(internal gear, 5)와, 하정반(2) 및 상정반(3) 사이에 배치되며 워크 유지구멍(미도시(未圖示))이 형성된 캐리어 플레이트(6)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정반(2)의 상표면에는 연마패드(2a)가 부착되어 있고, 상정반(3)의 하표면에는 연마패드(3a)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각 연마패드(2a, 3a)의 표면이 워크(W)를 연마하는 연마면으로 된다.As shown in Fig. 1, the
하정반(2), 선기어(4) 및 인터널기어(5)는, 각각 구동축(7a, 7b, 7c)을 통해 미도시의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된다.The
또한, 캐리어 플레이트(6)는, 선기어(4)와 인터널기어(5)에 맞물린다. 그리고, 이 캐리어 플레이트(6)는, 선기어(4)와 인터널기어(5)의 회전에 의해 자전하면서 축선(L1) 주위로 공전한다. 이 캐리어 플레이트(6)의 자전 및 공전과, 하정반(2) 및 상정반(3)의 회전에 의해, 워크 유지구멍에 배치된 워크(W)의 양면이 연마패드(2a, 3a)에 의해 연마된다.Further, the
상정반(3)은, 상정반(3)의 상표면에 장착된 정반매달기(8a)를 통해 승강용 액츄에이터(8)의 로드(8b)에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로드(8b)의 선단부(先端部)에는, 조심(調芯)베어링(8c)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인해, 상정반(3)은, 승강용 액츄에이터(8)에 의해 요동가능 및 회전가능으로 매달려 지지된다.The assumed
한편, 선기어(4)가 고정된 구동축(7b)에는, 미도시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구용 구동축(9)이 관통삽입되어 있고, 이 구동기구용 구동축(9)의 상단부(9a)가 구동축(7b)의 상단 개구(開口, 7d)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상단부(9a)에는 구동기구(10)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기구(10)는 구동기구용 구동축(9)과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또한, 구동기구(10)의 외주면에는, 상정반(3)에 마련된 훅(hook, 3b)이 계합(係合)되는 홈부(溝部,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8b)가 신장(伸長)하여 상정반(3)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훅(3b)이 구동기구(10)의 홈부에 계합되는 것으로, 구동기구(10)의 회전에 상정반(3)이 일체로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즉, 상정반(3)은, 로드(8b)의 신축동작에 의해 상하이동하고, 구동기구용 구동축(9)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상정반(3)에는 연마 슬러리(slurry)를 공급하는 공급구멍(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That is, the
[정반의 상세구성][Detailed Configuration of Plate]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의 하정반(2)은, 워크(W)의 연마가공 때에 생기는 마찰열에 의한 연마면(연마패드(2a)의 표면)의 부분적인 온도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연마면의 배측에 냉각구조(40)(온도조절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정반(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평판부재(21)와, 하측 재킷(jacket)부재(22)와, 하측 정반받이부재(23)를 가지고 있다.The
하측 평판부재(21)는, 연마패드(2a)가 부착되는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판부재(板部材)이며, 하정반(2)의 최상면에 위치한다. 이 하측 평판부재(21)는, 선팽창계수가 작아서 열변형하기 어려운 저열팽창 재료(열팽창이 작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하측 재킷부재(22)는, 하측 평판부재(21)의 배측(하표면)에 고정되는 판부재이며, 하측 평판부재(21)에 대향하는 면에 냉각구조(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냉각구조(40)의 유로(流路, 43)를 구획(區劃)하는 구획벽(46)(도 2 참조)의 선단이 하측 평판부재(2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측 재킷부재(22)는, 하측 평판부재(21) 및 하측 정반받이부재(23)보다 선팽창계수가 크고 강성이 높은 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하측 정반받이부재(23)는, 하측 재킷부재(22)의 배측(하표면)에 고정됨과 함께 구동축(7a)이 고정된 판부재이다.The lower side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의 상정반(3)은, 워크(W)의 연마가공 때에 생기는 마찰열에 의한 연마면(연마패드(3a)의 표면)의 부분적인 온도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연마면의 배측에 냉각구조(40)(온도조절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정반(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평판부재(31)와, 상측 재킷부재(32)를 가지고 있다.In order to suppress the partial temperature change of the polishing surface (the surface of the
상측 평판부재(31)는, 연마패드(3a)가 부착되는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판부재이며, 상정반(3)의 최하면에 위치한다. 이 상측 평판부재(31)는, 선팽창계수가 작아서 열변형하기 어려운 저열팽창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상측 재킷부재(32)는, 상측 평판부재(31)의 배측(상표면)에 고정됨과 함께, 정반매달기(8a)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는 판부재이다. 이 상측 재킷부재(32)는, 상측 평판부재(31)에 대향하는 면에 냉각구조(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냉각구조(40)의 유로(43)를 구획하는 구획벽(46)의 선단이 상측 평판부재(3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측 재킷부재(32)는, 상측 평판부재(31)보다 선팽창계수가 크고 강성이 높은 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냉각구조의 상세구성][Detailed configuration of cooling structure]
도 2는 실시예 1의 연마장치의 냉각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2에 근거해 실시예 1의 냉각구조의 상세구성을 설명한다.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polish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실시예 1의 하측 재킷부재(22) 및 상측 재킷부재(32)에는, 모두 냉각구조(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냉각구조(40)는, 미도시의 냉각수 순환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온도조절용 유체)를 유통(流通)시켜, 이 냉각수와 하측 평판부재(21) 또는 상측 평판부재(31) 사이에서 열교환을 진행하는 것으로 하측 평판부재(21)나 상측 평판부재(31)를 냉각하는 것이다. 또한, 하측 재킷부재(22)에 형성된 냉각구조(40)와, 상측 재킷부재(32)에 형성된 냉각구조(40)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하측 재킷부재(22)에 형성된 냉각구조(40)에 관해 설명한다.The
실시예 1의 냉각구조(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구(41)와,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수구(42)와, 급수구(41)와 배수구(42)를 연통하는 유로(43)와, 하정반(2)의 지름방향을 따라 연장한 칸막이벽(44)을 가지고 있다. 2, the cooling
급수구(41)는, 하측 재킷부재(22)를 축선(L1)방향으로 관통한 세로구멍(縱孔)의 개구부이며, 미도시의 냉각수 순환장치의 토수구(吐水口)에 접속한 급수로(미도시)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급수로는, 구동축(7a)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구멍과, 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구멍(橫孔)을 가지고 있다.The
배수구(42)는, 하측 재킷부재(22)를 축선(L1)방향으로 관통한 세로구멍의 개구부이며, 냉각수 순환장치의 흡수구(吸水口)에 접속한 배수로(미도시)에 연통하고 있다. 이 배수구(42)의 개구 면적은, 급수구(41)와 동등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배수로는, 구동축(7a)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구멍과, 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구멍을 가지고 있다.The
유로(43)는, 급수구(41)로부터 배수구(42)를 향해 냉각수가 흐르는 도랑이다. 이 유로(43)는, 하측 재킷부재(22)에 형성된 구획벽(46)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하정반(2)의 지름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동심원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의 유로(43)는, 하정반(2)의 내주변부(α)로부터 외주변부(β)를 향해 순차 배열된 복수개의 동심원 (여기서는 다섯 개의 동심원, 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을 각각 따른 제1 유로(43a), 제2 유로(43b), 제3 유로(43c), 제4 유로(43d), 제5 유로(43e)를 가지고 있다.The
또한, 최내주(最內周)에 위치하는 제1 동심원(R1)을 따르며 내주변부(α)에 제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1 유로(43a)의 내부에는, 이 제1 유로(43a)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여기서는 두 개)의 배수구(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최내주부터 두번째에 위치하는 제2 동심원(R2)을 따르며 제1 유로(43a)에 인접하는 제2 유로(43b)의 내부에는, 이 제2 유로(43b)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여기서는 두 개)의 급수구(4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 1에서는, 배수구(42)가 급수구(41)보다 하정반(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이 유로(43)는, 복수개의 동심원(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을 따라 하정반(2)의 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칸막이벽(44)을 따라 되돌고 있다(유턴(U-turn)하고 있다).The
즉, 유로(43) 중, 제2 유로(43b)와 제3 유로(43c)는 제1 유턴부(45a)에서 연통하고, 제3 유로(43c)와 제4 유로(43d)는 제2 유턴부(45b)에서 연통하고, 제4 유로(43d)와 제5 유로(43e)는 제3 유턴부(45c)에서 연통하고, 제5 유로(43e)와 제1 유로(43a)는 제4 유턴부(45d)에서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1∼제5 유로(43a∼43e)는, 하정반(2)의 주방향을 따른 도중위치(途中位置)가 유턴하는 것으로, 전체로서 연결된 한 가닥의 냉각수 루트(route)를 형성하고 있다.That is, among the
칸막이벽(44)은, 하정반(2)의 지름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면(壁面)이다. 이 칸막이벽(44)에 의해 유로(43)가 따르는 복수개의 동심원(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의 도중위치가 칸막이된다. 또한, 실시예 1의 칸막이벽(44)은, 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의 전부를 칸막이하는 제1 칸막이벽(44a)과, 제2, 제3, 제4 동심원(R2, R3, R4)을 칸막이하는 제2 칸막이벽(44b)을 가지고 있다.The
즉, 제1 칸막이벽(44a)을 따라 제1 유턴부(45a) 및 제3 유턴부(45c)가 형성되고, 제2 칸막이벽(44b)을 따라 제2 유턴부(45b)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1 칸막이벽(44a)과 제2 칸막이벽(44b) 사이에, 제5 유로(43e)와 제1 유로(43a)를 연통하는 제4 유턴부(45d)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다음으로,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비교예의 냉각구조를 가지는 정반의 구성과 과제를 설명하고, 계속해, 실시예 1의 연마장치의 작용을 「연마가공중의 정반 냉각작용」, 「서로 다른 재료의 조합작용」, 「급수구 및 배수구의 형성위치에 의한 특징적작용」, 「기타 특징적작용」으로 나누어 설명한다.First, the structure and the problem of the surface plate having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action of the polish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 And the characteristic positional action of the position of the drain port ", and" other characteristic action ".
[비교예의 냉각구조를 가지는 정반의 구성과 과제][Configuration and Tasks of Plate with Cooling Structure of Comparative Example]
도 3은 정반의 연마면을 구분한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비교예의 연마장치의 냉각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비교예의 냉각구조에 의한 연마면의 표면온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 3∼도 5에 근거해 비교예의 냉각구조를 가지는 정반의 구성과 과제를 설명한다.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cooling structure of the polishing apparatus of the comparative example,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ishing surface by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comparative example, Fig.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problems of the surface plate having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일반적으로, 실리콘 웨이퍼 등의 워크를 연마하는 연마장치에서는, 하정반과 상정반 사이에 캐리어 플레이트를 끼우고, 이 캐리어 플레이트에 형성된 워크 유지구멍의 내측에 워크를 배치한다. 그 때문에, 워크의 이동 범위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의해 제한된다. 한편, 캐리어 플레이트는, 선기어와 인터널기어에 맞물려져 있다. 그 때문에, 워크 유지구멍은, 캐리어 플레이트의 내주변이나 외주변에 대해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할 필요가 있다.Generally, in a polishing apparatus for polishing a work such as a silicon wafer, a carrier plate is sandwiched between a lower stage and an upper stage, and a work is disposed inside a work holding hole formed in the carrier plate. Therefore, the movement range of the work is limited by the carrier plate. On the other hand, the carrier plate is engaged with the sun gear and the internal gear. Therefore, the workpiece holding hole needs to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rrier plate and the outer periphery thereof.
이에 인해, 정반의 연마면(K)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반 중심부에 위치하는 중앙영역(A)과, 정반의 외주변부를 따른 외주영역(C)과, 중앙영역(A)과 외주영역(C)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영역(B)으로 나눈 경우, 워크의 연마에 수반하여 워크와 접촉할 비율이 제일 높은 중간영역(B)이, 워크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열(이하, 「가공열」이라고 함)에 의해 중앙영역(A)이나 외주영역(C)보다 고온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3, the polishing surface K of the table is divided into a central region A loca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table, an outer peripheral region C alo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table, The intermediate region B having the highest ratio of contact with the workpiece due to the polishing of the workpiece is divided into an intermediate region B loca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regions C, Quot; process heat "), the temperature becomes higher than the central area A and the outer peripheral area C.
이에 대해, 비교예의 냉각구조(100)(온도조절구조)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름방향으로 연장하는 분할벽면(101)에 의해 정반 전체를 방사모양으로 15등분하고, 각 분할영역 내에 각각 급수구(102) 및 배수구(103)와, 내주변부(α)로부터 외주변부(β)를 향해 연장하는 유로 형성벽(10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급수구(102)와 배수구(103)는, 유로 형성벽(104)을 끼운 위치이며, 모두 정반의 내주변부(α)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On the contrary, in the cooling structure 100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entirety of the table is divided into 15 parts by the
이와 같은 비교예의 냉각구조(100)에서는, 급수구(102)로부터 흘러 나온 냉각수(온도조절용 유체)는, 도 4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 형성벽(104)을 따라 정반의 외주변부(β)를 향해 흐른다. 그리고, 이 냉각수는, 유로 형성벽(104)과 외주변부(β)를 따라 형성된 외주벽(105) 사이의 틈새(106)를 통과한 후, 유로 형성벽(104)을 따라 정반의 내주변부(α)를 향해 흘러 배수구(103)에 흘러 든다.In the
즉, 이 비교예의 냉각구조(100)에서는, 냉각수가 방사모양으로 15등분된 분할영역 내를 각각 지름방향으로 흐르고, 외주변부(β)를 따라 유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냉각구조(100)를 가지는 정반(X)의 연마면은 전면이 거의 균등으로 냉각된다. 이에 인해, 이 정반(X)의 연마면은, 워크 연마중에 발생하는 가공열의 영향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와 접촉하는 확률이 높은 중간영역(B)이 약 23℃∼24℃ 정도로 되고, 23℃ 이하로 억제되는 중앙영역(A)이나 외주영역(C)보다 고온으로 되어버린다. 즉, 이 비교예의 냉각구조(100)를 가지는 정반(X)에서는, 워크의 연마에 수반하여 연마면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상승해버려, 연마면의 일부분이 열변형하여 일그러지거나, 유지(維持) 또는 일정한 비율 내의 변화가 바람직한 미세한 연마조건이 국부적으로 일탈해버린다. 또한, 국부적으로 연마패드의 표면의 변질을 촉진해버릴 우려가 있다. 이 현상 가운데 하나 또는 복합의 작용에 의해, 워크의 표면을 균일로 연마할 수 없어져 연마 정밀도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도 상정된다.That is, in the
또한, 비교예의 냉각구조(100)에서는, 정반의 지름방향을 따른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분할벽면(101) 및 유로 형성벽(104)이 정반의 지름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정반(X)을 반송시에 매달았을 때, 굴곡 모멘트력(bending moment force)은 분할벽면(101) 및 유로 형성벽(104)에 부여된다. 여기서, 분할벽면(101)이나 유로 형성벽(104)이 동심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굴곡 모멘트력은 동심원으로 흘러 작용하기 때문에 힘을 분산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의 냉각구조(100)의 경우에서는, 굴곡 모멘트력에 대한 항력(抗力)은, 분할벽면(101) 및 유로 형성벽(104)의 강성에 의존한다. 그 때문에, 분할벽면(101) 및 유로 형성벽(104)의 강성을 크게 하지 않는 한, 정반의 굴곡변형을 생기게 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In the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정반의 애벌가공 때의 고정방법에 공을 들이는 것이 요구되는 것, 정반 제조중의 반송시간(매다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는 것, 기계가공후에 소정의 경화(硬化)시간이 요구되는 것 등이 필요한 외에, 정반(X)의 품질에 불균일한 영향이 생기거나, 납기지연이 발생하는 등 문제가 있다.For this reason, for example, it is required to insert a ball into a fixing method at the time of a rough machining of a base, to shorten a conveyance time (hang time) during the production of a base, to achieve a predetermined hardening ) Time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base X is affected unevenly, or the delivery time delay occurs.
게다가, 이 비교예의 냉각구조(100)에서는, 분할벽면(101) 및 유로 형성벽(104)이 정반의 지름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분할벽면(101)이나 유로 형성벽(104)의 선단을 절삭가공했을 때에, 절삭가공면이 정반(X)의 지름방향으로 연속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 절삭가공에 의해 발생한 잔류응력의 영향에 의한 정반(X)의 지름방향의 굴곡이 커지는 등 문제도 생긴다.In addition, in the
[연마가공중의 정반 냉각작용][Polishing operation of cooling the surface of the air]
도 6은 실시예 1의 냉각구조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흐름방향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7은 실시예 1의 냉각구조에 의한 연마면의 표면온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에 근거해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에 있어서의 연마가공중의 정반 냉각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하정반(2)에 있어서의 냉각구조(40)와, 상정반(3)에 있어서의 냉각구조(40)에서는, 동일한 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아래에서는, 하정반(2)에 형성된 냉각구조(4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flow direction of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ishing surface by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the polishing of the
실시예 1의 연마장치(1)가 가지는 하정반(2)의 냉각구조(40)에서는, 미도시의 냉각수 순환장치로부터 냉각수가 공급되면, 이 냉각수는 하측 재킷부재(22) 및 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내부에 형성된 급수로(미도시)를 통과해 급수구(41)로부터 흘러 나온다. 이 때, 급수구(41)는, 제2 유로(43b)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두 개) 마련되어 있지만, 전부의 급수구(41)로부터 거의 동시에 동량(同量)의 냉각수가 흘러 나온다.In the
급수구(41)로부터 흘러 나온 냉각수는, 우선 이 급수구(41)가 형성된 유로(43)의 제2 유로(43b) 내에 가득 차고, 그 후, 도 6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턴부(45a)를 통해 제3 유로(43c)에 흘러 든다. 제3 유로(43c)에 흘러 든 냉각수는, 제3 유로(43c) 내를 도 6에 도시한 반시침방향으로 흘러 제2 유턴부(45b)를 통해 제4 유로(43d)에 흘러 든다. 그리고, 제4 유로(43d)에 흘러 든 냉각수는, 제4 유로(43d) 내를 도 6에 도시한 시침방향으로 흘러 제3 유턴부(45c)를 통해 제5 유로(43e)에 흘러 든다. 게다가, 제5 유로(43e)에 흘러 든 냉각수는, 제5 유로(43e) 내를 도 6에 도시한 반시침방향으로 흘러 제4 유턴부(45d)를 통해 제1 유로(43a)에 흘러 든다.The cooling water flowing from the
그리고, 제1 유로(43a)에 흘러 든 냉각수는, 이 제1 유로(43a) 내에 형성된 배수구(42)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 때, 배수구(42)는 제1 유로(43a)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두 개) 마련되어 있지만, 전부의 배수구(42)로부터 동량의 냉각수가 배출된다.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그리고, 이와 같이 유로(43)를 흐르는 냉각수와, 연마패드(2a)가 마련된 하측 평판부재(21) 사이에서 열교환이 진행되어 연마패드(2a)의 표면(연마면)이 냉각된다.Heat exchange between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여기서, 실시예 1의 냉각구조(40)에서는, 냉각수는, 급수구(41)→제2 유로(43b)→제3 유로(43c)→제4 유로(43d)→제5 유로(43e)→제1 유로(43a)→배수구(42)로 흐른다. 그 때문에, 유로(43)는, 연마면의 전면을 한 가닥의 냉각 루트로 냉각하게 된다. 이에 인해, 급배수 경로를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어, 구조가 복잡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in the
또한, 유로(43)가 한 가닥의 루트이기 때문에, 이 유로(43)를 흐르는 냉각수의 유속(流速)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냉각수에 의한 열전달율이 높아져 온도조절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게다가, 제3 유로(43c)는, 최내주로부터 세번째에 위치하는 제3 동심원(R3)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 유로(43d)는, 최내주로부터 네번째에 위치하는 제4 동심원(R4)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제3 유로(43c) 및 제4 유로(43d)는, 워크 연마중에 워크(W)와 접촉하는 비율이 제일 높은 중간영역(B)(도 3참조)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유로이다.In addition, the
한편, 이 냉각구조(40)에서는, 급수구(41)가 형성된 제2 유로(43b)로부터 흘러 나온 냉각수는, 제3 유로(43c)에 흘러 든 다음, 계속해 제4 유로(43d)에로 순차적으로 흐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의 냉각구조(40)에서는, 비교적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워크 연마 때에 비교적 고온으로 되는 중간영역(B)에 대향하는 유로(제3 유로(43c) 및 제4 유로(43d))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즉, 온도조절효율이 높아지는 제3 유로(43c) 및 제4 유로(43d)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싶은 요구가 있는 연마면의 중간영역(B)에 대향시킬 수 있어, 냉각요구가 높은 영역을 우선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또한, 급수구(41)가 형성된 제2 유로(43b)에서는, 냉각수 온도는 제일 낮아지지만, 제2 유로(43b)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급수구(41)로부터 동시에 냉각수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3 유로(43c)나 제4 유로(43d)와 비교해 유속이 낮아진다. 즉, 제2 유로(43b)의 정반 온도조절효율은, 제3 유로(43c)나 제4 유로(43d)보다 낮다. 하지만, 온도조절효율이 낮은 제2 유로(43b)는, 하정반(2)의 중앙영역(A)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연마면의 냉각상태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is the lowest in the
또한, 이 실시예 1의 냉각구조(40)에서는, 복수개의 동심원(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을 칸막이하는 칸막이벽(44)에 의해 유로(43)가 유턴하고 있어, 냉각수는 이 칸막이벽(44)을 따라 유턴하여 흘러 간다. 즉, 냉각수의 흐름방향은, 정반의 주방향으로 한 바퀴 흐를 적마다 반전(反轉)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유로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경우와는 달리, 주방향의 임의의 영역의 냉각수온도의 분포를 균등으로 할 수 있다.In the
이에 인해,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의 하정반(2)에서는, 연마면 중에서도 냉각요구가 높은 영역(중간영역(B))을 효율 좋게 우선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 연마중에 가공열이 생겨도, 연마패드(2a)의 전면을 거의 23℃ 이하의 균등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연마패드(2a)의 표면(연마면)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변화하는 것(여기서는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하정반(2)의 열변형을 억제하고, 및/또는, 연마장치에 있어서의 연마패드(2a)의 표면(연마면) 전면에서의 미세한 연마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인해, 연마 정밀도의 저하 등의 연마중의 워크(W)에 대한 악영향(惡影響)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서로 다른 재료의 조합작용][Combination of different materials]
일반적으로, 하정반이나 상정반과 같은 연마장치의 정반은, 년(年)을 단위으로 하는 긴 시간을 경과하면 시간경과에 의한 변화를 초래하고, 연마면에 일그러짐이 생기는 것이 있다. 이 경우에는, 하정반을 회전시키는 구동축이나, 상정반을 매달아 지지하는 로드로부터 하정반이나 상정반을 떼내고, 연마면의 래핑가공(lapping) 등을 다시 진행하여 형상을 수정 할 필요가 있다.Generally, the surface of a polishing apparatus such as a lower surface polishing plate or an upper surface polishing plate causes a change with time after a long time in units of years (years), and there is a case where the polishing surface is distorte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lower half and the upper half from the drive shaft for rotating the lower half and the rod supporting the upper half, and to perform lapping and the like of the polishing surface again to correct the shape.
이에 대해,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의 하정반(2)은, 하측 평판부재(21)와, 하측 재킷부재(22)와, 하측 정반받이부재(2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하측 평판부재(21) 및 하측 정반받이부재(23)는, 하측 재킷부재(22)보다 선팽창계수가 작은 저열팽창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하측 재킷부재(22)는, 이것들보다 선팽창계수가 크고 강성이 높은 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이 하정반(2)에서는, 워크(W)에 접촉하여 가공열이 직접 전달되는 하측 평판부재(21)와, 이 하측 평판부재(21)의 배측에 고정됨과 함께 냉각구조(40)가 형성된 하측 재킷부재(22)는,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그 때문에, 하정반(2)의 전체가, 열팽창율이 다른 두 장의 금속판을 한데 붙인 바이메탈(bimetal)과 같은 구조로 된다. 이에 인해, 냉각구조(40)를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하정반(2)의 굴곡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the entire
또한,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의 상정반(3)은, 상측 평판부재(31)와, 상측 재킷부재(32)를 가지고, 상측 평판부재(31)는, 상측 재킷부재(32)보다 선팽창계수가 작은 저열팽창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측 재킷부재(32)는, 이것보다 선팽창계수가 크고 강성이 높은 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즉, 이 상정반(3)에서는, 워크(W)에 접촉하여 가공열이 직접 전달되는 상측 평판부재(31)와, 이 상측 평판부재(31)의 배측에 고정됨과 함께 냉각구조(40)가 형성된 상측 재킷부재(32)는,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그 때문에, 상정반(3)의 전체도, 열팽창율이 다른 두 장의 금속판을 한데 붙인 바이메탈과 같은 구조로 된다. 이에 인해, 냉각구조(40)를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정반(3)의 굴곡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the entirety of the imaginary
그리고, 하정반(2) 및 상정반(3)에 있어서, 모두 냉각수의 온도조절을 진행하는 것으로 정반의 굴곡량의 제어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경과에 의한 변화에 수반하는 연마면의 일그러짐이 생긴 경우여도,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면, 일그러짐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연마면의 래핑가공 등에 의한 수정을 불필요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Since the control of the amount of bending of the base can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 both of the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하측 평판부재(21)가 하측 재킷부재(22)보다 선팽창계수가 작고, 상측 평판부재(31)가 상측 재킷부재(32)보다 선팽창계수가 작다. 즉, 워크(W)에 접촉하여 마찰열이 직접 전달되는 하측 평판부재(21)나 상측 평판부재(31)가, 열변형하기 어려운 선팽창계수가 작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워크 연마 때에 발생하는 가공열에 의해 하측 평판부재(21)나 상측 평판부재(31)가 열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정반(2) 및 상정반(3)의 변형을 억제하는 한편, 정반 굴곡의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of the lower
게다가,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는 저열팽창재료와 비교해 염가인 재료이다. 그 때문에, 정반 전체를 저열팽창재료에 의해 형성한 경우와 비교해,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와 같이, 하측 재킷부재(22)나 상측 재킷부재(32)를 스테인리스로 대체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제조비용 절감(cost down)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stainless steels are generally inexpensive compared to low thermal expansion materials. Therefore, as in the case of the
또한, 실시예 1의 상정반(3)에서는, 워크 연마중의 가공열이 직접 전달되는 상측 평판부재(31)를, 선팽창계수가 작아 열변형하기 어려운 저열팽창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상측 재킷부재(32)를 염가인 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인해, 상정반(3)에 있어서, 상측 평판부재(31)의 열변형을 억제하는 한편, 제조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in the
게다가, 하측 재킷부재(22)나 상측 재킷부재(32)를 형성하는 스테인리스는, 비교적 강성이 높은 재질이다. 이 때문에, 이 하측 재킷부재(22)나 상측 재킷부재(32)를 저열팽창재료에 의해 형성한 경우와 비교해, 하정반(2)이나 상정반(3)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인해, 예를 들면 하정반(2)이나 상정반(3)을 제조 도중에 매다는 것이 있어도, 굴곡을 억제하여 제조의 용이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inless steel forming the
[급수구 및 배수구의 형성위치에 의한 특징적작용][Characteristic action by formation position of water supply port and drainage port]
실시예 1에 있어서, 미도시의 냉각수 순환장치에 접속한 급수로는, 구동축(7a)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세로구멍과, 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가로구멍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수로에 관해서도 급수로와 같은 구성이며, 구동축(7a)의 내부에 수직방향에 형성된 세로구멍과, 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가로구멍을 가지고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water channel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unit (not shown) includes a vertical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이에 대해, 이 실시예 1의 냉각구조(40)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구(42)가, 하정반(2)의 내주변부(α)에 제일 가까운 위치, 즉 하정반(2)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제1 동심원(R1)을 따른 제1 유로(43a)에 형성되고, 급수구(41)가, 최내주로부터 두번째에 위치하는 제2 동심원(R2)을 따르며 제1 유로(43a)에 인접하는 제2 유로(43b)에 형성되어 있다. 즉, 급수구(41) 및 배수구(42)는, 모두 구동축(7a)의 근방위치에 형성되어 있다.2, the
이에 인해, 급수구(41)나 배수구(42)를 하정반(2)의 외주변부(β) 근방에 형성한 경우와 비교해, 급수로나 배수로 중, 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구멍 부분의 길이를 단축화할 수 있다. 즉, 냉각구조(40)가 복잡화하는 것을 더 한층 억제할 수 있으며, 정반의 제조 용이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특히, 지름치수가 2미터를 초과하는 것과 같은 대형의 하정반(2)에 있어서, 급수구(41)나 배수구(42)를 하정반(2)의 외주변부(β) 근방에 형성해버리면, 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가로구멍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긴 가로구멍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실현할 수 있더라도 가공비용의 앙등(昻騰)을 면치 못한다. 하지만,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에서는, 급수구(41) 및 배수구(42)를 내주변부(α)의 근방위치에 형성하는 것으로, 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가로구멍이 필요 없어 가공비용의 앙등을 억제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게다가, 이 실시예 1에서는, 급수구(41) 및 배수구(42)가 각각 복수개(두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부의 급수구(41)로부터 거의 동시에 동량의 냉각수가 흘러 나오고, 전부의 배수구(42)로부터 거의 동시에 동량의 냉각수가 배출된다. 이것은, 정반 급수구까지의 당해 기계내부의 수로설계(水路設計)나, 배수구로부터의 기계내부의 수로설계의 제약에 따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반드시 이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급수구(41)나 배수구(42)의 개수는, 소망의 유량(流量)이나 유속을 허용내압(許容耐壓) 내에서 얻기 위한 설계인 것이 요체(要諦)로 된다.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two)
또한, 이 실시예 1에서는, 복수개의 급수구(41)가, 이 급수구(41)가 형성된 제2 유로(43b)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개의 급수구(41)로부터 흘러 나온 냉각수의 간섭을 억제하여 냉각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가 원활하게 흐르는 것으로, 유속을 확보하여 정반 온도조절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게다가, 복수개의 배수구(42)에 관해서도, 이 배수구(42)가 형성된 제1 유로(43a)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냉각수의 흐름을 혼란시키는 것 없이 신속히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냉각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없어, 냉각수의 유속을 확보하여 정반 온도조절효율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42 are also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기타 특징적작용][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실시예 1의 냉각구조(40)에서는, 유로(43)가 하정반(2)의 지름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동심원(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유로(43a)∼제5 유로(43e)를 각각 구획하는 구획벽(46)이 하정반(2)의 주방향으로 연장한다.In the
그리고, 구획벽(46)이 하정반(2)의 주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으로, 하정반(2)을 반송시에 매달 때의 매달기위치와, 하정반(2)의 내주변부(α)와, 외주변부(β)가 연속하는 것이 없다. 이에 인해, 하정반(2)을 반송할 때의 정반의 지름방향의 굴곡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제조중의 하정반(2)의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 하정반(2)의 제조시간의 단축화나, 제조의 용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게다가, 실시예 1의 냉각구조(40)에서는, 유로(43)가 하정반(2)의 지름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동심원(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제1 유로(43a)∼제5 유로(43e)를 각각 구획하는 구획벽(46)의 선단은, 정반의 지름방향으로 불연속적이다. 그 때문에, 이 구획벽(46)의 선단에 절삭가공을 했을 때에 생기는 잔류응력의 영향을 작게하여 하정반(2)의 지름방향의 굴곡을 더 한층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다음으로, 효과를 설명한다.Next, the effect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의 연마장치(1)에 있어서는, 아래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1) 워크(W)를 연마하는 연마면(연마패드(2a, 3a)의 표면)의 배측에,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구조(40)가 형성된 정반(하정반(2), 상정반(3))을 구비한 연마장치(1)에 있어서,(1) A polishing table (2) having a cooling structure (40)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olishing surface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pads (2a, 3a) ),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ishing apparatus (1)
상기 냉각구조(40)는,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구(41)와,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수구(42)와, 상기 급수구(41)와 상기 배수구(42)를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정반(하정반(2), 상정반(3))의 지름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동심원(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을 따라 연장하는 유로(43)와, 상기 정반(하정반(2), 상정반(3))의 지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동심원(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을 칸막이하는 칸막이벽(44)을 가지고,The cooling
상기 급수구(41)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는, 제1의 동심원(제3 동심원(R3))을 따른 유로(제3 유로(43c)) 내를 제1 방향(반시침방향)으로 흐른 다음 상기 칸막이벽(44)을 따라 유턴하여 제2의 동심원(제4 동심원(R4))을 따른 유로(제4 유로(43d))에 흘러 들고, 상기 제2의 동심원(제4 동심원(R4))을 따른 유로(제4 유로(43d)) 내를 상기 제1 방향(반시침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시침방향)으로 흘러 상기 배수구(42)로부터 배출되는 구성으로 하였다.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이에 인해, 구조가 복잡화하는 것 없이 연마면의 주요 온도조절대상으로 간주되는 영역(중간영역(B))을 우선적 및 효율적으로 온도조절하고, 워크의 연마에 수반하는 연마면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변화되거나, 또는 그것에 관련되어 연마 조건이 부분적으로 일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eferentially and efficiently control the temperature (middle region B), which is regarded as the main temperature control object of the polishing surface, without complicating the struc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polishing surface, Or to inhibit the polishing conditions from being partially deviated in relation thereto.
(2) 상기 급수구(41)는, 상기 정반(하정반(2), 상정반(3))의 최내주로부터 두번째에 위치하는 동심원(제2 동심원(R2))을 따른 제2 유로(43b)에 형성되고,(2) The
상기 배수구(42)는, 상기 급수구(41)가 상기 제2 유로(43b)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정반(하정반(2), 상정반(3))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동심원(제1 동심원(R1))을 따른 제1 유로(43a)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When the
이에 인해, (1)의 효과에 더해, 정반 내부에 형성되는 수평방향의 급수로 및 배수로의 길이를 단축화하여, 냉각구조(40)의 복잡화를 더 한층 억제할 수 있다.Thus, in addition to the effect (1),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cooling
(3) 상기 급수구(41)는, 소정의 동심원(제2 동심원(R2))을 따른 유로(제2 유로(43b))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3) The
이에 인해, (1) 또는 (2)의 효과에 더해, 냉각수의 압력에 의한 부하를 경감함과 함께, 냉각수를 원활하게 흐르게할 수 있다.Therefore, in addition to the effects (1) and (2), the load caused by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can be reduced and the cooling water can flow smoothly.
(4) 상기 배수구(42)는, 소정의 동심원(제1 동심원(R1))에 따른 유로(제1 유로(43a))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4) The drain holes 42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s (the
이에 인해, (1)∼(3)의 임의의 효과에 더해, 냉각수의 압력에 의한 부하를 더 한층 경감하고, 냉각수의 흐름을 더 한층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in addition to any of the effects (1) to (3), the load caused by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flow of the cooling water can be further smoothly performed.
(5) 상기 정반(하정반(2), 상정반(3))은, 상기 연마면이 형성된 평판부재(하측 평판부재(21), 상측 평판부재(31))와, 상기 평판부재(하측 평판부재(21), 상측 평판부재(31))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냉각구조(40)가 형성된 재킷부재(하측 재킷부재(22), 상측 재킷부재(32))를 가지고,(The lower
상기 평판부재(하측 평판부재(21), 상측 평판부재(31))와 상기 재킷부재(하측 재킷부재(22), 상측 재킷부재(32))는,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The flat plate members (the lower
이에 인해, (1)∼(4)의 임의의 효과에 더해, 냉각구조(40)에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정반의 굴곡량의 제어를 진행할 수 있어, 경년변화(經年變化)에 의한 정반의 일그러짐을 해소할 수 있다.Thus, in addition to any of the effects (1) to (4),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6) 상기 평판부재(하측 평판부재(21), 상측 평판부재(31))는, 상기 재킷부재(하측 재킷부재(22), 상측 재킷부재(32))보다 선팽창계수가 작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6) The flat plate members (the lower
이에 인해, (5)의 효과에 더해, 워크(W)에 접촉하여 마찰열이 직접 전달되는 평판부재의 열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정반의 변형을 더 한층 방지할 수 있다.Thu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5),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flat plate member in contact with the work W and to directly transfer the frictional heat, thereby further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platen.
(7) 상기 정반(하정반(2))은, 상기 재킷부재(하측 재킷부재(22))를 가지고, 게다가 그것들을 지지하는 정반받이부재(하측 정반받이부재(23))를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7) The surface plate (lower surface plate 2) is designed so as to have the above-described jacket member (lower jacket member 22) and a surface-receiving member (lower surface-receiving member 23) It is also possible.
그 경우, 상기 정반받이부재(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선팽창계수의 설계에 따라서는, 변화제어의 단위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인해, (5)의 효과에 더해, 정반의 열변형의 억제정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of the plate receiving member (lower plate receiving member 23), the unit amount of the change control may be arbitrarily set. Thu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5),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degree of suppression of thermal deformation of the surface plate.
이상, 본 발명의 연마장치를 실시예 1에 근거해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에 따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설계의 변경이나 추가 등은 허용된다.The po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hanges or additions to the design are permitted.
실시예 1에서는, 정반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제1 유로(43a)에 배수구(42)가 형성되고, 이 제1 유로(43a)에 인접하는 제2 유로(43b)에 급수구(41)가 형성된 예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제1 유로(43a)에 급수구(41)를 형성하고, 제2 유로(43b)에 배수구(42)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서는, 제1 유로(43a)에 가득 찬 냉각수가, 제5 유로(43e)→제4 유로(43d)→제3 유로(43c)에로 순차적으로 흐르고, 최후에 제2 유로(43b)에 흘러 들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구조(40)를 변경하는 것 없이 급수구(41)와 배출구(42)를 역(逆)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우선적으로 온도조절을 진행하고 싶은 영역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first embodiment, a
하지만, 이 때에도, 급수구(41) 및 배수구(42)는 구동축(7a)의 근방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되고, 하측 정반받이부재(23)의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구멍의 길이를 단축화하여, 냉각구조(40)가 복잡화하는 것을 더 한층 억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실시예 1의 냉각구조(40)에서는, 냉각수가, 급수구(41)→제2 유로(43b)(냉각수 가득 참)→제3 유로(43c)(반시침방향)→제4 유로(43d)(시침방향)→제5 유로(43e)(반시침방향)→제1 유로(43a)(냉각수 배출)→배수구(42)로 흐르는 예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6의 냉각구조를 좌우 반전시킨 냉각구조로 하여, 냉각수의 흐름이, 각각 반대로(급수구(41)→제2 유로(43b)(냉각수 가득 참)→제3 유로(43c)(시침방향)→제4 유로(43d)(반시침방향)→제5 유로(43e)(시침방향)→제1 유로(43a)(냉각수 배출)→배수구(42)) 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에 인해, 급배수 경로를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어, 구조가 복잡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로(43)가 한 가닥의 루트이기 때문에, 이 유로(43)를 흐르는 냉각수의 유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냉각수에 의한 열전달율이 높아져 온도조절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조를 변경하는 것 없이 유로의 방향을 반전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온도조절을 진행하고 싶은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또한, 급수구(41)나 배수구(42)는, 정반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제5 유로(43e)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급수구(41) 또는 배수구(42)를 정반의 최외주 위치에 형성한 경우 등에서는, 하측 정반받이부재(23) 등에 급배수용의 가로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정반 외부에 배설된 튜브 등을 이용하여 냉각수를 급배수하도록 하여도 된다.The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급수구(41) 및 배수구(42)를 각각 두 개씩 형성한 예를 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수구(41) 및 배수구(42)는, 하나여도 되고, 두 개 이상의 임의의 개수만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급수구(41)의 개수와 배수구(42)의 개수가 달라도 된다. 게다가, 급수구(41)의 개구 면적과 배수구(42)의 개구 면적을 다르게 하여도 되고, 복수개의 급수구(41)의 개구 면적을 서로 다르게 하거나, 복수개의 배수구(42)의 개구 면적을 서로 다르게 하여도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wo
또한, 유로(43)는, 정반(하정반(2), 상정반(3))의 지름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동심원(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을 따라 연장함과 함께, 이 복수개의 동심원(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이 칸막이벽(44)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으면 된다. 그 때문에, 유로의 형상은 실시예 1에 제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제1 변형예의 냉각구조(40A)나, 도 9에 도시한 제2 변형예의 냉각구조(40B)와 같은 것이여도 된다.The
즉, 제1 변형예인 냉각구조(40A)에서는, 정반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제1 유로(43a) 내에 급수구(41) 및 배수구(42)를 형성한다. 또한, 칸막이벽(47)으로서, 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의 전부를 칸막이하는 제1 칸막이벽(47a)과, 제1 동심원(R1)∼제4 동심원(R4)을 칸막이하는 제2 칸막이벽(47b)과, 제2, 제3 동심원(R2, R3)을 칸막이하는 제3 칸막이벽(47c)과, 제1, 제2 동심원(R1, R2)을 칸막이하는 제4 칸막이벽(47d)을 형성한다.That is, in the
그리고, 제1 칸막이벽(47a)과 제4 칸막이벽(47d) 사이에, 제1 유로(43a)와 제3 유로(43c)를 연통하는 제1 유턴부(48a)를 형성하고, 제3 칸막이벽(47c)을 따라 제2 유로(43b)와 제3 유로(43c)를 연통하는 제2 유턴부(48b)를 형성하고, 제4 칸막이벽(47d)을 따라 제1 유로(43a)와 제2 유로(43b)를 연통하는 제3 유턴부(48c)를 형성하고, 제2 칸막이벽(47b)과 제3 칸막이벽(47c) 사이에, 제1 유로(43a)와 제4 유로(43d)를 연통하는 제4 유턴부(48d)를 형성하고, 제1 칸막이벽(47a)을 따라 제4 유로(43d)와 제5 유로(43e)를 연통하는 제5 유턴부(48e)를 형성하고, 제1 칸막이벽(47a)과 제2 칸막이벽(47b) 사이에, 제1 유로(43a)와 제5 유로(43e)를 연통하는 제6 유턴부(48f)를 형성한다. 이 때, 급수구(41)를 제1 유턴부(48a) 내에 형성하고, 배수구(42)를 제6 유턴부(48f) 내에 형성한다.A
이에 인해, 이 제1 변형예의 냉각구조(40A)에서는, 급수구(41)로부터 흘러 나온 냉각수는, 급수구(41)→제1 유턴부(48a)→제3 유로(43c)→제2 유턴부(48b)→제2 유로(43b)→제3 유턴부(48c)→제1 유로(43a)→제4 유턴부(48d)→제4 유로(43d)→제5 유턴부(48e)→제5 유로(43e)→제6 유턴부(48f)→배수구(42)에로 흘러 간다.Therefore, in the
또한, 제2 변형예인 냉각구조(40B)에서는, 정반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제1 유로(43a) 내에 급수구(41)를 형성하고, 정반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제5 유로(43e) 내에 배수구(42)를 형성한다. 또한, 칸막이벽(49)은, 제1 동심원(R1)∼제5 동심원(R5)의 전부를 칸막이하는 것뿐이다.In the
그리고, 칸막이벽(49)을 끼우고 교체적으로 제1 유턴부(50a)와, 제2 유턴부(50b)와, 제3 유턴부(50c)와, 제4 유턴부(50d)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유턴부(50a)를 통해 제1, 제2 유로(43a, 43b)를 연통하고, 제2 유턴부(50b)를 통해 제2, 제3 유로(43b, 43c)를 연통하고, 제3 유턴부(50c)를 통해 제3, 제4 유로(43c, 43d)를 연통하고, 제4 유턴부(50d)를 통해 제4, 제5 유로(43d, 43e)를 연통한다.The
이에 인해, 이 제2 변형예의 냉각구조(40B)에서는, 급수구(41)로부터 흘러 나온 냉각수는, 급수구(41)→제1 유로(43a)→제1 유턴부(50a)→제2 유로(43b)→제2 유턴부(50b)→제3 유로(43c)→제3 유턴부(50c)→ 제4 유로(43d)→제4 유턴부(50d)→ 제5 유로(43e)→배수구(42)에로 흘러 간다.Therefore, in the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하정반(2)의 하측 평판부재(21)를 선팽창계수가 작은 저열팽창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하측 재킷부재(22)를 선팽창계수가 큰 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하는 예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측 평판부재(21), 하측 재킷부재(22) 등을, 예를 들면, 선팽창계수가 큰 재료로 선택하는 경우는, 주철(鑄鐵)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에서 임의로 선택하면 된다. 또한, 선팽창계수가 작은 재료로 선택하는 경우는, 세라믹, 그라나이트(granite), 탄소섬유강화재료, 탄화규소섬유강화재료, 인바(invar)합금재료 등에서 임의로 선택하면 된다. 게다가, 그 조합에 따라서, 하측 평판부재(21)와 하측 재킷부재(22)의 선팽창계수의 차이에 응해, 냉각수의 온도의 조절 정밀도에 응한 단위 일그러짐량을 설정,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변형제어특성이나 기기(機器)의 구성상에 바람직한 강성 등을 고려해 선택하여 조합시키면 된다. 또한, 상정반(3)에 관해서도 동일하다.In Example 1, the lower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시한 예와 같이, 하측 재킷부재(22)의 밑에, 게다가 하측 정반받이부재(23)를 마련하고, 그 재질을, 하측 재킷부재(22)와 다르게 하는 것으로 변형특성을 적절히 조정할 수도 있다.The lower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온도조절구조로서 냉각구조를 예시하였지만, 연마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 유체가 흐르는 가열구조이여도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cooling structure is exemplified as the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heating fluid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polishing surface flows.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하정반(2)과 상정반(3)을 가지고, 워크(W)의 양쪽 면을 동시에 연마가능한 양면 연마장치를 제시하였지만, 워크(W)의 한쪽 면만을 연마하는 단면(單面) 연마장치여도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 double-side polishing apparatus capable of grinding both surfaces of the work W simultaneously with the lower and
게다가, 실시예 1에서는, 유로(43)가 따르는 동심원의 개수를 다섯 개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개수의 동심원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number of concentric circles along the
1: 연마장치
2: 하정반
2a: 연마패드
3: 상정반
3a: 연마패드
3b: 훅
4: 선기어
5: 인터널기어
6: 캐리어 플레이트
21: 하측 평판부재
22: 하측 재킷부재
23: 하측 정반받이부재
31: 상측 평판부재
32: 상측 재킷부재
40: 냉각구조(온도조절구조)
41: 급수구
42: 배수구
43: 유로
43a: 제1 유로
43b: 제2 유로
43c: 제3 유로
43d: 제4 유로
43e: 제5 유로
44: 칸막이벽
45a: 제1 유턴부
45b: 제2 유턴부
45c: 제3 유턴부
45d: 제4 유턴부1: Polishing apparatus
2: Lower half
2a: Polishing pad
3: Introductory class
3a: Polishing pad
3b: Hook
4: Sunfish
5: Internal gear
6: carrier plate
21: Lower flat plate member
22: Lower jacket member
23: Lower side plate receiving member
31: upper flat plate member
32: Upper jacket member
40: cooling structure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41: Water supply
42: Sewer
43: Euro
43a:
43b:
43c: Third Euro
43d: the fourth channel
43e: the fifth euro
44: partition wall
45a: first U-
45b: the second U-
45c: the third U-
45d: the fourth U-
Claims (10)
상기 온도조절구조는, 상기 온도조절용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구와, 상기 온도조절용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구와, 상기 급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정반의 지름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동심원을 따라 연장하는 유로와, 상기 정반의 지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동심원을 칸막이하는 칸막이벽을 가지고,
상기 급수구로부터 공급된 온도조절용 유체는, 제1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 내를 제1 방향으로 흐른 다음, 상기 칸막이벽을 따라 유턴하여 제2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에 흘러 들고, 상기 제2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 내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흘러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1. A polishing apparatus comprising a polishing table having a temperature adjusting structure in which a temperature controlling fluid is formed on a rear side of a polishing surface for polishing a work,
The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may include a water supply port for supplying the temperature control fluid, a drain port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fluid is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drain port. And a partition wall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se and partitioning the concentric circles,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ling fluid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flows in the flow path along the first concentric circ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flows in the flow path along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after turning on the partition wall, And flows out in the flow path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is discharged from the drain port.
상기 급수구는, 상기 정반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동심원을 따른 제1 유로, 또는, 상기 정반의 최내주로부터 두번째에 위치하는 동심원을 따른 제2 유로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급수구가 상기 제1 유로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유로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가 상기 제2 유로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 is formed in a first flow path along a concentric circle located at the innermost circumference of the plate or a second flow path along a concentric circle located second from the innermost circumference of the plate,
Wherein the drain port is formed in the second flow path when the water supply port is formed in the first flow path and is formed in the first flow path when the water supply port is formed in the second flow path. .
상기 급수구는, 소정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water supply ports are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 along a predetermined concentric circle.
상기 급수구는, 소정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the water supply ports are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 along a predetermined concentric circle.
상기 배수구는, 소정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drain holes are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 along a predetermined concentric circle.
상기 배수구는, 소정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the drain holes are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 along a predetermined concentric circle.
상기 배수구는, 소정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the drain holes are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 along a predetermined concentric circle.
상기 배수구는, 소정의 동심원을 따른 유로의 연장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the drain holes are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 along a predetermined concentric circle.
상기 정반은, 상기 연마면이 형성된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온도조절구조가 형성된 재킷부재를 가지고,
상기 평판부재와 상기 재킷부재는,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9. A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surface plate has a flat plate member on which the polishing surface is formed, a jacket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flat plate member and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is formed,
Wherein the flat plate member and the jacket member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different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상기 평판부재는, 상기 재킷부재보다 선팽창계수가 작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lat plate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smaller than that of the jacket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13551 | 2017-06-08 | ||
JP2017113551A JP6893023B2 (en) | 2017-06-08 | 2017-06-08 | Polish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4288A true KR20180134288A (en) | 2018-12-18 |
KR102474472B1 KR102474472B1 (en) | 2022-12-05 |
Family
ID=6461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2695A Active KR102474472B1 (en) | 2017-06-08 | 2018-05-31 | Polishing devic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893023B2 (en) |
KR (1) | KR102474472B1 (en) |
CN (1) | CN109015343B (en) |
TW (1) | TWI770167B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3490A (en) * | 2019-05-31 | 2022-02-04 |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olishing device |
KR20220058261A (en) * | 2020-10-30 | 2022-05-09 | 박인수 | Top plate for lapping device for ring type parts, and lapping device having the same |
WO2024005411A1 (en) * | 2022-06-29 | 2024-01-0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Wafer chuc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42314B2 (en) * | 2019-12-24 | 2024-03-04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CN111516216B (en) * | 2020-06-03 | 2025-05-16 | 山东嘉洁塑业有限公司 | A uniform cooling device for injection mold |
CN111843832B (en) * | 2020-07-30 | 2021-09-07 | 广东汉岂工业技术研发有限公司 | Water-cooled grinding head for chemical mechanical grinding |
KR102242741B1 (en) * | 2020-10-12 | 2021-04-21 | 주식회사 피엠피 | Top plate for lapping device, and lapping device having the same |
JP7632256B2 (en) * | 2021-12-14 | 2025-02-19 | 株式会社Sumco | Double-sided polishing machine |
CN114603468A (en) * | 2022-05-11 | 2022-06-10 | 徐州福凯欣智能科技有限公司 | Polishing machine tool for excavator rocker arm bracket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51655A (en) | 1983-02-16 | 1984-08-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in vehicle |
JPH01159171A (en) * | 1987-12-15 | 1989-06-22 | Toshiba Corp | Polishing surface plate |
US4974370A (en) * | 1988-12-07 | 1990-12-04 | General Signal Corp. | Lapping and polishing machine |
JPH10296619A (en) * | 1997-05-02 | 1998-11-10 | Fujikoshi Mach Corp | Polishing surface plate |
JP2001018169A (en) * | 1999-07-07 | 2001-01-23 | Ebara Corp | Polishing device |
JP2002233948A (en) | 2001-02-02 | 2002-08-20 | Fujikoshi Mach Corp | Polishing equipment |
JP2002373875A (en) | 2001-06-13 | 2002-12-26 | Hitachi Ltd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
KR20040041006A (en) * | 2002-11-07 | 2004-05-13 |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 Mold and method for molding disk substrate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36630A (en) * | 1990-04-13 | 1991-08-0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Radial uniformity control of semiconductor wafer polishing |
JPH05177531A (en) * | 1992-01-09 | 1993-07-20 | Sony Corp | Manufacture of magnetic head device |
JPH07290354A (en) * | 1994-04-25 | 1995-11-07 | Nippon Steel Corp | Polishing equipment |
JPH11170162A (en) * | 1997-12-12 | 1999-06-29 | Speedfam Co Ltd | Surface polishing surface plate |
DE102007063232B4 (en) * | 2007-12-31 | 2023-06-22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Process for polishing a substrate |
CN101407040A (en) * | 2008-11-11 | 2009-04-15 | 广东工业大学 | Face lapping mill with abrasive disk cooling mechanism |
CN202726714U (en) * | 2012-07-06 | 2013-02-13 | 元亮科技有限公司 | Grinding polishing disk with circulation water cooling device |
CN203831226U (en) * | 2014-04-04 | 2014-09-17 | 江苏普利赛司研磨科技有限公司 | Plane grinding cooling pan |
-
2017
- 2017-06-08 JP JP2017113551A patent/JP6893023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4-30 TW TW107114659A patent/TWI770167B/en active
- 2018-05-16 CN CN201810467127.2A patent/CN109015343B/en active Active
- 2018-05-31 KR KR1020180062695A patent/KR10247447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51655A (en) | 1983-02-16 | 1984-08-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in vehicle |
JPH01159171A (en) * | 1987-12-15 | 1989-06-22 | Toshiba Corp | Polishing surface plate |
US4974370A (en) * | 1988-12-07 | 1990-12-04 | General Signal Corp. | Lapping and polishing machine |
JPH10296619A (en) * | 1997-05-02 | 1998-11-10 | Fujikoshi Mach Corp | Polishing surface plate |
JP2001018169A (en) * | 1999-07-07 | 2001-01-23 | Ebara Corp | Polishing device |
JP2002233948A (en) | 2001-02-02 | 2002-08-20 | Fujikoshi Mach Corp | Polishing equipment |
JP2002373875A (en) | 2001-06-13 | 2002-12-26 | Hitachi Ltd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
KR20040041006A (en) * | 2002-11-07 | 2004-05-13 |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 Mold and method for molding disk substrat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3490A (en) * | 2019-05-31 | 2022-02-04 |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olishing device |
KR20220058261A (en) * | 2020-10-30 | 2022-05-09 | 박인수 | Top plate for lapping device for ring type parts, and lapping device having the same |
WO2024005411A1 (en) * | 2022-06-29 | 2024-01-0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Wafer chuck |
KR20240002409A (en) * | 2022-06-29 | 2024-01-05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Wafer chu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903879A (en) | 2019-01-16 |
CN109015343A (en) | 2018-12-18 |
JP2018202580A (en) | 2018-12-27 |
TWI770167B (en) | 2022-07-11 |
CN109015343B (en) | 2021-09-10 |
KR102474472B1 (en) | 2022-12-05 |
JP6893023B2 (en) | 2021-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34288A (en) | Polishing device | |
EP1918069B1 (en) | Double side polishing method for wafer | |
CN107042432B (en) | Double-sided or single-sided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ouble-sided or single-sided processing device | |
JP535842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bstrate surface temperature in process chamber | |
CN103079767B (en) | The polishing pad of polishing system | |
CN110603344B (en) | Susceptor for CVD reactor, use thereof and substrate support device | |
EP1894675B1 (en) | Double face polishing apparatus | |
JP6153931B2 (en) | Susceptor | |
CN102179757A (en) | Substrate polishing apparatus, substrat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emperature of polishing surface of polishing pad used in polishing apparatus | |
JPWO2011007477A1 (en) | Web levitation transpor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68989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lat workpiece on both sides | |
TWI757199B (en) | Method for cutting a multiplicity of slices by means of a wire saw from workpieces during a sequence of cut-off operations | |
US20060128276A1 (en) | Carrier for double side polishing | |
JP2002233948A (en) | Polishing equipment | |
WO2020208967A1 (en) | Two-side polishing method | |
JP3235970B2 (en) | Rotary platen temperature holding structure | |
JP7632256B2 (en) | Double-sided polishing machine | |
JP2008221355A (en) | Double-sided processing equipment | |
KR20110062352A (en) | Polishing base with improved cooling member and wafer poli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11051027A (en) | Connecting flange | |
JP6593318B2 (en) | Carrier plate thickness adjustment method | |
JPH11170162A (en) | Surface polishing surface plate | |
TW202318498A (en) | Work carrier with abrasive holding holes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direction of the abrasive | |
JP2006344758A (en) | Vapor phase epitaxial growth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ing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