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29039A -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039A
KR20180129039A KR1020170064442A KR20170064442A KR20180129039A KR 20180129039 A KR20180129039 A KR 20180129039A KR 1020170064442 A KR1020170064442 A KR 1020170064442A KR 20170064442 A KR20170064442 A KR 20170064442A KR 20180129039 A KR20180129039 A KR 20180129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forming
film
deposition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개식
Original Assignee
(주)코반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반케미칼 filed Critical (주)코반케미칼
Priority to KR102017006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9039A/ko
Publication of KR2018012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03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은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제1 패턴을 갖는 제1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UV 패턴층에 제1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증착층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패턴필름부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베이스필름의 타면에 제2 패턴을 갖는 제2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UV 패턴층에 제2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증착층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GLASS DECORATION FIL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글라스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글라스를 통해 구현해 낼 수 있는 다양한 외관 미감 형성 등의 효과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글라스 장식필름(이를 '데코 필름'이라 지칭하기도 함)에 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 장식필름을 이용하면, 전자기기의 외관을 통해 금속 질감 또는 입체감 등을 부여할 수 있는데, 비교적 저렴한 비용과 간소한 공정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종래의 경우, 점착제가 코팅된 필름에 UV 패턴층을 형성하고, 멀티 증착 후 컬러 잉크층을 형성하여 글라스 장식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공법은 비교적 단순하여 생산성이 좋은 반면에,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에 한계가 있었다. 즉, 단일의 UV 패턴층을 형성하여 깊이감 있는 입체 패턴 구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다양하고 복잡한 패턴을 통해 차별화된 디자인을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474호(2013.02.04.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유리부착용 장식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중 패턴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며, 특히 입체 패턴 구현이 가능한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차별화된 디자인 및 입체 패턴 구현이 가능한 구조의 글라스 장식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은, (a)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제1 패턴을 갖는 제1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UV 패턴층에 제1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증착층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패턴필름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d) 상기 베이스필름의 타면에 제2 패턴을 갖는 제2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2 UV 패턴층에 제2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 증착층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f) 단계 이후에, 상기 잉크층이 형성된 글라스 장식필름을 글라스 형상에 따라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아크릴(Acryl), PC (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UV 패턴층은, 일면을 통해 설정된 패턴 형상을 갖는 UV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증착층은, 투명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갖도록 멀티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제1 증착층의 상부로 OCA 점착재를 코팅하거나 OCA 부재를 합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 UV 패턴층의 제2 패턴 형상은 상기 제1 UV 패턴층의 제1 패턴 형상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2 증착층은 투명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갖도록 멀티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잉크층은, 블랙 색상 또는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도록 인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은,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제1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제1 UV 패턴층; 상기 제1 UV 패턴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증착층; 상기 제1 증착층의 상부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베이스필름의 타면에 제2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제2 UV 패턴층; 상기 제2 UV 패턴층에 형성되는 제2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에 형성된 잉크층;을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팅된 후 상기 점착층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에 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중 패턴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이중 패턴에 의한 깊이감이 느껴지는 입체 패턴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종전 단일의 패턴만을 갖는 글라스 장식필름에 비해 다양하고 어려운 디자인 패턴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각 패턴층의 패턴 유형에 따라 아주 다양한 유형의 디자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2개의 UV 패턴층과 다양한 증착층의 조합을 통해 보다 다양한 외관 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의 단계별 공정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을 글라스에 합지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글라스 장식필름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글라스에 적용 가능한 필름 소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란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말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글라스 소재가 포함되는 전자기기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글라스(200)는 스마트 폰의 후면에 형성되는 글라스 부재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의 단계별 공정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은, 제1 UV 패턴층 형성단계(S100), 제1 증착층 형성단계(S200), 패턴필름부재 마련단계(S300), 제2 UV패턴층 형성단계(S400), 제2 증착층 형성단계(S500), 잉크층 형성단계(S600) 및 커팅단계(S700)를 포함한다.
제1 UV 패턴층 형성단계(S100)
본 단계는 제1 UV 패턴층 형성단계로서,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제1 패턴을 갖는 제1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필름(120)의 일면을 통해 제1 UV 패턴층(130)을 형성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베이스필름(12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베이스필름(120)은 PET 소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Acryl) 또는 PC(Polycarbonate) 중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필름(120)의 두께는 12~188㎛ 범위 내에서 선택 가능한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난 두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제1 UV 패턴층(130)은 일면을 통해 설정된 패턴 형상, 즉 제1 패턴(P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UV 금형(미도시)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1 패턴(P1) 형상은 하나의 예시적 형상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패턴(P1)은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마이크로 렌즈, 렌티큘라, 프리즘, 홀로그램 패턴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증착층 형성단계(S200)
본 발명은 제1 증착층 형성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제1 UV 패턴층의 위로 제1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베이스필름(120)의 일면에 제1 UV 패턴층(130)이 설정된 제1 패턴(P1)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본 단계에서는 제1 UV 패턴층(130)의 상부로 소정의 제1 증착층(140)을 형성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증착층(140)은 투명하거나 또는 설정된 컬러를 갖도록 멀티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증착층(140)이 제1 UV 패턴층(130)의 위로 형성됨에 따라 제1 패턴(P1)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패턴(P1)의 반사감과 메탈감을 잘 살릴 수 있다.
패턴필름부재 마련단계(S300)
본 단계는 패턴필름부재 마련단계로서, 제1 증착층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패턴필름부재를 마련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필름(120)의 일면을 통해 제1 패턴(P1)을 갖는 제1 UV 패턴층(130)이 형성되고, 그 상부로 투명하거나 또는 설정된 컬러를 갖도록 멀티 증착된 제1 증착층(140)이 형성되며, 본 단계에서는 제1 증착층(140)의 상부로 점착층(150)이 형성된다.
본 단계에서, 점착층(150)은 제1 증착층(140)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코팅하거나 OCA(Optical Clear Adhesive) 부재(즉, 필름)를 합지하는 방식으로 점착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150) 형성 방법에는 이외에도 관용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방식이 이용 가능한데, 특정 방식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패턴필름부재(11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필름부재(110)는 패턴 비산필름 등의 명칭을 사용하여 지칭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패턴필름부재(110)를 미리 준비하여 공정을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제2 UV패턴층 형성단계(S400)
본 단계는 제2 UV패턴층 형성단계로서, 패턴필름부재의 타면에 제2 패턴을 갖는 제2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패턴필름부재(110)(즉, 비산필름)의 타면,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필름(120)의 타면을 통해 제2 패턴(P2)을 갖는 제2 UV 패턴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UV 패턴층(160)의 제2 패턴(P2)는 도 3에 도시된 형상과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제2 패턴(P2) 형상은 하나의 예시적 형상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핀(spin), 렌티큘라(lenticular), 헤어라인(hairline), 격자 형상 중 하나 이상으로 제2 패턴(P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턴(P2)은 제1 UV 패턴층(130)의 제1 패턴(P1)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제1, 2 UV 패턴층(130, 160) 및 다양한 증착층의 조합에 의해 기존 대비 다양한 외관 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증착층 형성단계(S500)
본 단계는 제2 증착층 형성단계로서, 제2 UV 패턴층에 제2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패턴필름부재(110)에 제2 패턴(P2)을 갖는 제2 UV 패턴층(160)이 형성되고, 제2 패턴(P2) 위에 제2 증착층(170)이 형성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2 증착층(170)은 투명하거나 또는 설정된 컬러를 갖도록 멀티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증착층(170)이 제2 UV 패턴층(160)의 위로 형성됨에 따라 제2 패턴(P2)의 형상 유지가 가능하며, 나아가 제2 패턴(P2)의 반사감과 메탈감을 잘 살릴 수 있다. 이러한 제2 증착층(170)은 전술한 제1 증착층(140)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층 형성단계(S600)
본 단계는 잉크층 형성단계로서, 제2 증착층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증착층(170)의 위로 잉크층(180)이 형성된다.
잉크층(180)은 적어도 1도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잉크층(180)의 개수 및 컬러 종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특정 컬러 및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잉크층(180)은 블랙 또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잉크를 이용하여 바탕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팅단계 (S700)
본 단계는 커팅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잉크층이 형성되어 완성된 글라스 장식필름을 글라스의 형상 및 크기에 맞게 커팅하는 단계를 말한다.
커팅단계(S700)는 이전 단계에서의 잉크층 형성단계(S600)가 완료된 다음, 장식 대상물, 즉 글라스(20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글라스 장식필름(100)을 커팅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커팅된 글라스 장식 필름(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200)의 일면, 즉 하부 면을 통해 점착층(150)을 이용하여 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이중 패턴, 즉 제1, 2 패턴(P1, P2)을 이용하여 기존 대비 차별화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보다 깊이감이 느껴지는 입체 패턴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은, 베이스필름(120), 제1 UV 패턴층(130), 제1 증착층(140), 점착층(150)을 포함하는 패턴필름부재(110)와, 패턴필름부재(110)의 타면을 통해 제2 UV 패턴층(160), 제2 증착층(170), 잉크층(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UV 패턴층(130)은 제1 패턴(P1)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UV 패턴층(160)은 제2 패턴(P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패턴(P1, P2)의 종류 및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기존 대비 차별화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보다 깊이감이 느껴지는 입체 패턴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장식필름을 글라스에 합지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글라스 장식필름(100)은 글라스(20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커팅된 후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라스(200)에 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이중 패턴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중 패턴에 의한 깊이감이 느껴지는 입체 패턴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종전 단일의 패턴만을 갖는 글라스 장식필름에 비해 다양하고 어려운 디자인 패턴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데, 예컨대 각 패턴층의 패턴 유형에 따라 아주 다양한 유형의 디자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제1, 2 UV 패턴층 및 제1, 2 증착층의 조합을 통해 기존에 비해 매우 다양한 외관 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P1: 제1 패턴
P2: 제2 패턴
S100: 제1 UV 패턴층 형성단계
S200: 제1 증착층 형성단계
S300: 패턴필름부재 마련단계
S400: 제2 UV패턴층 형성단계
S500: 제2 증착층 형성단계
S600: 잉크층 형성단계
S700: 커팅단계
100: 글라스장식필름
110: 패턴필름부재
120: 베이스필름
130: 제1 UV 패턴층
140: 제1 증착층
150: 점착층
160: 제2 UV 패턴층
170: 제2 증착층
180: 잉크층
200: 글라스

Claims (10)

  1. (a)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제1 패턴을 갖는 제1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UV 패턴층에 제1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증착층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패턴필름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d) 상기 베이스필름의 타면에 제2 패턴을 갖는 제2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2 UV 패턴층에 제2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 증착층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상기 잉크층이 형성된 글라스 장식필름을 글라스 형상에 따라 커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아크릴(Acryl), PC (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UV 패턴층은,
    일면을 통해 설정된 패턴 형상을 갖는 UV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증착층은,
    투명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갖도록 멀티 증착하여 형성되는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제1 증착층의 상부로 OCA 점착재를 코팅하거나 OCA 부재를 합지하여 형성되는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 UV 패턴층의 제2 패턴 형상은
    상기 제1 UV 패턴층의 제1 패턴 형상과 다르게 형성되는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2 증착층은
    투명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를 갖도록 멀티 증착하여 형성되는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잉크층은,
    블랙 색상 또는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도록 인쇄 형성되는
    글라스 장식필름 제조방법.
  10.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제1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제1 UV 패턴층;
    상기 제1 UV 패턴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증착층;
    상기 제1 증착층의 상부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베이스필름의 타면에 제2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제2 UV 패턴층;
    상기 제2 UV 패턴층에 형성되는 제2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에 형성된 잉크층;을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팅된 후 상기 점착층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에 합지되는 글라스 장식필름.
KR1020170064442A 2017-05-25 2017-05-25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Ceased KR20180129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442A KR20180129039A (ko) 2017-05-25 2017-05-25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442A KR20180129039A (ko) 2017-05-25 2017-05-25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39A true KR20180129039A (ko) 2018-12-05

Family

ID=6474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442A Ceased KR20180129039A (ko) 2017-05-25 2017-05-25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90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7985A (zh) * 2020-09-08 2022-03-08 世灵科技株式会社 应用uv图案化方式的微透镜阵列的手机装饰膜的制造方法
KR20220143302A (ko) * 2021-04-16 2022-10-25 (주)세경하이테크 입체 히든 효과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방법
KR20220161661A (ko) * 2021-05-31 2022-12-07 (주)세경하이테크 복합 컬러층을 포함하는 입체 히든 효과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방법
KR20230023216A (ko) * 2021-08-10 2023-02-17 (주) 제이피이 나노패턴을 이용한 색변환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7985A (zh) * 2020-09-08 2022-03-08 世灵科技株式会社 应用uv图案化方式的微透镜阵列的手机装饰膜的制造方法
KR20220143302A (ko) * 2021-04-16 2022-10-25 (주)세경하이테크 입체 히든 효과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방법
KR20220161661A (ko) * 2021-05-31 2022-12-07 (주)세경하이테크 복합 컬러층을 포함하는 입체 히든 효과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방법
KR20230023216A (ko) * 2021-08-10 2023-02-17 (주) 제이피이 나노패턴을 이용한 색변환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537B1 (ko) 입체패턴을 갖는 데코필름 제조방법, 그 데코필름을 이용한 글라스 구조체 형성방법 및 복합시트 구조체 형성방법
KR102028718B1 (ko) 합지 공정을 이용한 멀티 색상 구현 장식필름 제조방법
EP1782948B1 (en) Curved casing formed from thermoplastic resin and film having a polarizing effec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casing
CN202026544U (zh) 壳体及具有该壳体的便携式终端
JP2011131597A (ja) 立体感形成外装材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2223771B (zh) 电子装置壳体及其制作方法
CN101683807B (zh) 外壳、具有所述外壳的移动通信终端及其制造方法
KR101714309B1 (ko) 외장재
TWI386298B (zh) 加飾成型物及其製造方法
CN110868819A (zh) 壳体的制备方法、壳体和电子设备
KR20180059152A (ko)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960818B1 (ko) 전주금형 및 유브이 패턴증식을 이용한 아이엠엘 시트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아이엠엘 시트
KR102117321B1 (ko) 코팅 공정을 이용한 멀티 색상 구현 장식필름 제조방법
CN102448260B (zh) 具多层次立体感的壳板
CN101930861A (zh) 按键面板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按键面板
KR101395673B1 (ko) 장식무늬 인쇄방법
KR101001866B1 (ko) 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입체 표면 장식부재 및 그제조방법
KR101936885B1 (ko) 열전사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 방법 및 그 열전사 데코레이션 필름
CN107718990A (zh) 一种夜光工艺品及其制作方法
CN207388727U (zh) 一种夜光工艺品
JP2013215998A (ja) 加飾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10833B1 (ko)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CN218998567U (zh) 具有立体隆起效果的铝片及含有其的电器
JP6135928B2 (ja) 装飾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0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7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1022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9101003265

Request date: 201909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26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930

Effective date: 202007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7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0930

Decision date: 20200730

Appeal identifier: 2019101003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