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27496A - 납땜 인두용 납땜 선단부 - Google Patents

납땜 인두용 납땜 선단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496A
KR20180127496A KR1020187032264A KR20187032264A KR20180127496A KR 20180127496 A KR20180127496 A KR 20180127496A KR 1020187032264 A KR1020187032264 A KR 1020187032264A KR 20187032264 A KR20187032264 A KR 20187032264A KR 20180127496 A KR20180127496 A KR 2018012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ing
tip
connecting element
soldering iron
s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075B1 (ko
Inventor
브루노 파겔
카트야 베르너
로타 레스마이스터
파리 카바다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12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0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5Bits or tips
    • B23K3/026Removable soldering b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4Coated articles, e.g. plated or painted; Surface treat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연결 요소(12)를 기재(10) 상의 전기 전도성 구조물(11)에 납땜하기 위한 납땜 인두(5)용, 특히 핸드헬드 납땜 인두용 납땜 선단부(1)에 관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단부 부분(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납땜 선단부에 의해서, 전기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윈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납땜 인두용 납땜 선단부
본 발명은 납땜 인두용 납땜 선단부 및 전기 연결 요소를 갖는 페인의 제조에서의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윈도 페인(window pane), 특히 차량용 페인은 전기 전도성 구조물을 빈번하게 구비한다. 그러한 전도성 구조물의 예로서 인쇄된 가열 도체 또는 안테나가 있다. 필요 전압원 또는 송신 또는 수신 유닛에 대한 연결을 위해서, 전기 연결 요소가, 전기 연결 케이블이거나 그에 연결될 수 있는, 전도성 구조물의 영역에 전형적으로 납땜된다.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연결 요소가 알려져 있다. US 6249966 B1, US 2007/0224842 A1, 및 WO2013/182394 A1은 스냅(snap)으로서 구현된 연결 요소를 개시한다. 이러한 연결 요소는 연결 케이블에 대한 편리하고 가역적인 연결의 장점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수형 스냅이 페인 상에 납땜되고, 암형 스냅이 연결 케이블을 구비한다. 수형 및 암형 스냅이 의도된 바에 따라 서로 단순히 연결되어 전기 접촉을 구축할 수 있다.
WO 2014/040773 A1는 연결 케이블 주위에 크림핑된(crimped) 연결 요소를 개시하고, 크림프는 전도성 구조물 상에 직접 납땜된다.
연결 요소의 납땜이 납땜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연결 요소가 또한 손으로 납땜될 수 있고, 이는 특히 저임금 국가에서 그리고 비교적 적은 수량에서 경제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손에 의한 납땜에서, 전형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납땜 선단부를 구비한, 제어 가능한 또는 제어될 수 없는 납땜 인두가 이용된다. 납땜 선단부는 연결 요소와 접촉되고, 이때 선단부는 납땜 인두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연결 요소를 통해서 납땜 화합물에 전달하고, 그에 의해서 납땜 화합물이 용융된다. 이를 위해서, 납땜 선단부는 큰 열전도도를 가져야 하고, 전형적으로 구리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납땜 선단부는, 연결 요소와의 접촉을 위해서 세장형이고 뾰족한 단부 부분을 갖는 끌(chisel)과 유사하게 성형된다. 또한, 연결 요소와의 접촉을 위한 편평한 단부 부분을 갖는 막대 전극이 납땜 선단부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손으로 하는 납땜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입력을 보장하기 위해서 납땜 선단부가 가능한 한 광범위한 연결 요소와의 양호한 접촉을 가지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는 기술자의 주의 깊은 작업을 상당히 요구한다. 또한, 손으로 하는 납땜 중에, 연결 요소의 안정적 배치를 보장하기 위해서, 연결 요소를 제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그 이유는, 통상적인 납땜 선단부를 이용할 때 국소적으로 매우 제한된 에너지 도입은 전체 땜납의 용융을 위해서 매우 큰 에너지 입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납땜 화합물은 강력하게 가열되어야 하고, 결과적으로, 매우 느리게만 응고되며, 그에 따라, 말하자면, 연결 요소가 납땜 화합물 상에 부유되고 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납땜 인두, 특히 핸드헬드(hand-held) 납땜 인두를 위한 개선된 납땜 선단부, 및 전기 연결 요소를 갖춘 페인을 제조하기 위해서 그러한 납땜 선단부와 함께 실행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납땜 선단부는, 특히, 균질한 에너지 입력을 보장하여야 하고, 보다 편리한 납땜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납땜 동작 중에 연결 요소의 별도의 고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목적은 독립항인 제1항에 따른 납땜 선단부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납땜 인두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는 전기 연결 요소를 기재 상의, 특히 유리로 제조된 윈도 페인 상의 전기 전도성 구조물에 납땜하기 위한 것이다. 납땜 선단부는, 납땜 동작 중에 납땜되는 물품, 특히 연결 요소와 접촉되도록 의도된, 납땜 인두로부터 먼 쪽으로 대면되는 납땜 선단부의 단부 상에서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그러한 단부 부분은 실질적으로 반구형이다. 이는, 적절한 연결 요소, 특히 중앙 함몰부를 가지는 연결 요소의 효율적이고 단순화된 수작업 납땜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 요소의 광범위한 지역 즉, 함몰부를 둘러싸는 지역이 납땜 선단부와 재현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반구체 형상의 단부 부분이 함몰부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균질한 에너지 입력이 달성되며, 이는 납땜 화합물의 균일한 용융을 초래한다. 납땜 선단부의 단부 부분의 반구형 형상은 납땜을 또한 단순화하는데, 이는 납땜 인두의 배치와 관련하여 주의를 덜 기울여도 되기 때문이다. 납땜 인두는 기재에 수직으로 또는 심지어 비스듬하게 유지될 수 있다 - 반구형 형상은 납땜 선단부와 연결 요소 사이의 재현 가능한 접촉 지역을 보장한다.
납땜 인두는 납땜 선단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구비한다. 납땜 선단부로부터 납땜 화합물로 온도가 전달되고, 그에 의해서 납땜 화합물이 용융된다. 이러한 유형의 납땜 인두는 기술적 용어로서 "핫 아이언(hot iron)"으로 지칭된다.
납땜 인두는 유리하게 핸드헬드 납땜 인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는 특히 수작업 납땜에서 그 장점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납땜 인두의 정확한 배치가 완전히 재현될 수 없고, 이는 작업 각도와 독립적으로 연결 요소의 납땜 선단부와의 사이의 접촉 지역에 의해서 보상된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납땜 선단부는, 접촉 지역과의 완전한 접촉을 위해서 연결 요소에 대한 매우 정확한 국소적인 배치를 필요로 한다. 연결 요소의 배치와 관련된 공차는 수작업 납땜 중에 용이하게 보상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납땜 선단부는 요구되는 정확도로 연결 요소에 대해서 매우 단순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자동화된 납땜의 경우에, 납땜 선단부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변경될 수 없고, 그에 따라 제조 공차 내의, 연결 요소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요구되는 적응(adaptation)이 덜 단순하다.
납땜 선단부는 바람직하게 납땜 인두를 위한 상호 교환 가능한 납땜 선단부이다. 그러한 납땜 인두는 개념적으로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 납땜하고자 하는 물품과 접촉되는 단부 부분,
- 납땜 선단부를 납땜 인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분,
- 단부 부분과 연결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부분.
납땜 선단부와 함께 이용되고 결과적으로 호환 가능하여야 하는 납땜 인두의 유형에 의해서, 연결 부분의 설계가 실질적으로 규정된다. 원칙적으로, 많은 연결 시스템이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의 예로서, 플러그-인 연결이 있고, 여기에서 단부 부분은 납땜 인두 내의 홀 내로 삽입되고, 예를 들어 자석에 의해서, 그곳에 고정된다. 부착 나사가 통과하여 안내될 수 있는 홀 또는 나사산을 단부 부분이 구비하는, 베이요넷(bayonet) 연결 및 나사 연결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이 중간 부분에 비해서 확장되고, 그에 따라 납땜 선단부가 유니언 너트(union nut)에 의해서 납땜 인두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유니언 너트는 납땜 인두 상으로 나사체결되고 확장된 연결 부분을 납땜 인두에 대해서 가압하고, 그에 의해서 납땜 선단부가 확실하게 고정되며, 물론, 납땜 인두는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산을 구비하여야 한다. 연결 부분은 바람직하게 중간 부분으로부터 먼 쪽으로 대면되는 측면 상에서 편평한 연결 표면을 가지며, 이는 납땜 인두의 상응하는 편평한 연결 표면과 접촉된다. 납땜 선단부의 그리고 납땜 인두의 연결 부분의 연결 표면들이 바람직하게 부합되고(congruent) 부합 가능하게 배열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적절한 유니언 너트의 이용으로, 납땜 인두의 접촉 표면보다 작은 납땜 선단부의 접촉 표면을 또한 설계할 수 있다. 납땜 인두에 대한 적절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서, 중간 부분에 대비한 연결 부분의 확장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1 mm, 특히 바람직하게 2 mm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납땜 선단부의 단부 부분은 납땜 인두 내의 삽입(플러그 인)에 적합하다. 납땜 선단부는, 예를 들어, 측방향으로 삽입되는 나사로, 납땜 인두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부 부분은 중간 부분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중간 부분은 바람직하게 직원 원통체(right circular cylinder)의 형상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이러한 형상이, 한가지 이유로서, 납땜 선단부에서 일반적이고 그리고, 다른 이유로서, 중간 부분의 횡단면이 반구형 단부 부분의 횡단면에 상응하기 때문이고, 그 결과로서, 특히 원형 원통체가 반구형 단부 부분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경우에, 그러한 형상들이 최적으로 정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중간 부분의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횡단면도 또한 생각될 수 있다.
중간 부분은 직선형일 수 있거나 또는 각도형(angled)일 수 있다.
납땜 선단부는 큰 열전도도를 가져야 한다. 납땜 선단부는 바람직하게 구리를 포함하고, 특히 바람직하게 구리 또는, 황동 또는 청동 합금과 같은, 구리-함유 합금, 예를 들어 니켈 은 또는 콘스탄탄(constantan)으로 제조된다. 구리는 큰 열전도도를 가지고, 비교적 경제적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금속 또는 합금이 또한 납땜 선단부를 위한 재료로서 적합하다.
납땜 선단부는 그 성질 최적화를 위해서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납땜되는 물품과 접촉되는 것은 납땜 선단부의 코어 재료, 바람직하게 구리가 아니고; 그 대신에, 결과적으로 접촉 층 또는 습윤 층(wetting layer)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코팅이다. 접촉 층은 납땜 선단부의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납땜 선단부가 니켈 도금되고, 즉 바람직하게 니켈로 제조된, 니켈을 기초로 하는 접촉 층을 갖는다. 니켈 접촉 코팅은 납땜 선단부로부터 피납땜 물품까지의 열 전달이 느려지게 한다. 따라서, 특히 구리의 이용에서 발생될 수 있는 납땜 선단부의 스케일링(scaling)이 방지될 수 있다. 니켈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5 ㎛ 내지 30 ㎛, 특히 바람직하게 10 ㎛ 내지 15 ㎛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납땜 선단부는 경질 크롬 도금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경질 크롬 도금"이라는 용어는 두께가 적어도 1 ㎛인, 바람직하게 크롬으로 제조된, 크롬 기반의 접촉 층을 지칭한다. 크롬 접촉 층은 바람직하게 10 ㎛ 내지 80 ㎛, 특히 바람직하게 20 ㎛ 내지 50 ㎛의 층 두께를 갖는다. 다른 층, 예를 들어 두께가 5 ㎛ 내지 15 ㎛인 니켈 층이 크롬 접촉 층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경질 크롬 도금은 표면 경도 그리고, 특히, 납땜 선단부의 표면 장력을 높이고, 그에 따라 제어되지 않고 유출되는 납땜 화합물로 납땜 선단부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습윤되는 것이 방지된다.
납땜 선단부의 기하형태적 치수는 특히 이용되는 납땜 인두의 설계 및 희망하는 납땜 선단부 온도에 따라 달라지고, 의도된 용도의 요건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납땜 선단부의 전체적인 길이는, 예를 들어, 10 mm 내지 120 mm, 바람직하게 15 mm 내지 90 mm, 특히 15 내지 60 mm이다. 그러한 납땜 선단부는 취급이 용이하고, 심지어 단부 부분에서도 적절히 신속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가열된다.
(단부 부분의 길이 및 폭에 또한 상응하는) 반구형 단부 부분의 반경은, 예를 들어, 1 mm 내지 20 mm, 바람직하게 3 mm 내지 15 mm, 특히 바람직하게 4 mm 내지 10 mm이다. 중간 부분의 폭이 바람직하게 동일한 범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 단부 부분의 반경과 동일하다. 중간 부분의 길이는, 원칙적으로, 납땜 선단부 재료의 취급 특성(handling property) 및 열전도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이는 예를 들어 1 mm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 5 mm 내지 80 mm이다. 연결 부분의 폭은 이용되는 납땜 인두에 따라서 달라지고, 예를 들어, 1 mm 내지 30 mm, 바람직하게 4 mm 내지 20 mm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의 폭은 납땜 인두의 연결 표면의 폭에 상응한다. 연결 부분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확장된 연결 부분을 갖는 플랜지-유사 연결 변형예에서, 1 mm 내지 10 mm, 특히 1 mm 내지 5 mm이다. 연결 부분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플러그-인 연결 부분을 갖는 연결 변형예에서, 10 mm 내지 100 mm, 특히 20 mm 내지 80 mm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를 구비하고 전압원에 연결될 수 있는 납땜 인두, 특히 핸드헬드 납땜 인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납땜 스테이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 및 케이블을 통해서 그에 연결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납땜 인두를 포함하고, 그러한 제어 유닛은 전압원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연결 요소를 구비한 페인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더 포함하고, 그러한 방법은
(a)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전기 전도성 구조물을 기재의 영역 상에 배치하는 단계,
(c) 납땜 화합물을 전기 전도성 구조물의 영역 상에 그리고 전기 연결 요소를 납땜 화합물 상에 배열하는 단계,
(d)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를 가지는 납땜 인두로 연결 요소를 납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납땜 인두는, 특히, 핸드헬드 납땜 인두이고, 이를 이용하여 연결 요소가 수작업으로 납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의 주요 장점은 매우 균질한 에너지 입력으로 구성되고, 이는 함몰부를 둘러싸는 연결 요소의 지역의 신뢰 가능한 접촉에 의해서 보장된다. 이는, 전체 납땜 화합물을 용융시키는게 있어서, 전체적으로, 적은 에너지 입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초래한다. 그에 따라, 납땜 화합물은 낮은 온도를 가지고 응고 온도까지 더 신속하게 냉각된다. 액체 납땜 화합물 상에서의 연결 요소의 이동이 그에 따라 방지되고, 그러한 이유로, 통상적인 납땜 방법에서 필수적인, 예를 들어, 클램핑 또는 접착과 같은, 연결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을 취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러한 부가적인 고정 수단은 필요치 않고, 그리고 납땜 선단부의 접촉 압력 이외의, 추가적인 수단이 연결 요소의 고정을 위해서 필요치 않다. 그에 따라, 납땜 프로세스가 상당히 단순화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 경제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재료들 사이에 적절한 결합이 없는 소위 "저온 땜납 스폿"이 방지될 수 있다.
제조된 페인은 바람직하게 유리 페인, 특히 바람직하게 윈도 페인, 구체적으로 차량용 페인이다.
연결 요소는 또한 연결 케이블에 연결되어야 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이전에, 도중에, 또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케이블이 제공되어 전기 전도성 구조물을 외부 기능 요소, 예를 들어 전압 공급부 또는 수신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서, 연결 케이블은, 바람직하게 페인의 측면 연부 위에서 연결 요소로부터 시작하여, 페인으로부터 멀리 경로화된다(routed). 연결 케이블은, 원칙적으로, 전기 전도성 구조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연결 케이블일 수 있다. 연결 케이블은, 전기 전도성 코어(내부 도체)에 더하여, 바람직하게 중합체의, 절연 외피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요소와 내부 도체 사이의 전기 전도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연결 케이블의 단부 영역 내에서 절연 외피가 바람직하게 제거된다.
기재는 바람직하게 유리, 특히 바람직하게, 윈도 페인에서 일반적인, 소다 라임 유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기재는, 원칙적으로, 다른 유형의 유리, 예를 들어, 석영 유리 또는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또는 중합체, 특히 투명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케타크릴레이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바람직하게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기재는 바람직하게 0.5 mm 내지 25 mm, 특히 바람직하게 1 mm 내지 10 mm 그리고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 1.5 mm 내지 5 mm의 두께를 갖는다.
전기 전도성 구조물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성된 인쇄 페이스트(fired printing paste)로서 구현된다. 인쇄 페이스트는 바람직하게 금속 입자, 특히 은 입자 및 유리 프릿(frit)을 포함한다. 인쇄 페이스트는, 다양한 인쇄 방법, 바람직하게 스크린 인쇄에 의해서 희망 형상으로 기재 상에 도포될 수 있고, 그 곳에서 소성될 수 있다. 인쇄된 전도성 구조물은, 예를 들어, 가열 도체 또는 안테나 또는 버스바로서, 차량 글레이징(glazing) 분야에서 일반적이다. 버스바는 다른 전도성 구조물, 예를 들어 투명 가열 코팅, 가열 도체, 또는 박막 표면 전극과 접촉되고, 그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 또는 그로부터 전류를 방출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인쇄된 구조물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 5 ㎛ 내지 40 ㎛이다.
전기 전도성 구조물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성 호일로서, 바람직하게 구리 호일 또는 구리-함유 호일로서 구현된다. 호일 스트립 형태의 전도성 구조물은 차량 및 건축물 글레이징의 분야에서, 그러나 또한 광발전(photovoltaic)의 분야에서, 특히 버스바로서, 또는 심지어 소위 호일 도체 또는 평면형 도체로서 일반적이다. 전형적으로, 가열 와이어, 투명 가열 코팅, 또는 박막 표면 전극이 호일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호일은 코팅을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은 도금되거나 주석 도금될 수 있다. 호일은 바람직하게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 3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는 특히 특정 연결 요소의 납땜에서 그 장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결 요소에 공통적인 것은, 그들이 중앙 함몰부를 갖는다는 사실이다. 이는, 위에서부터 볼 때 대략적으로 중앙에 배열되는, 기재로부터 먼 쪽으로 대면되는 연결 요소의 측면 상의 함몰부를 의미한다. 함몰부는 중앙으로부터 연결 요소의 측면 연부까지, 예를 들어, 2개의 대향되는 측면 연부들까지 균일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함몰부는, 대조적으로 그에 대해서 상승되고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만 함몰부를 포위하는, 연결 요소의 영역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예를 들어, 상승된 부분은 함몰부의 2개의 대향 측면에 인접한다. 각각의 경우에, 연결 요소의 상승된 부분 또는 섹션 또는 영역이 중앙 함몰부에 인접한다. 반구형 단부 부분이 함몰부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단부 부분의 영역이 함몰부 내로 삽입되는 반면, 단부 부분의 나머지 영역은 함몰부의 외측에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납땜 선단부는 함몰부를 둘러싸는 연결 요소의 상승된 부분과 접촉된다. 이를 위해서, 납땜 선단부의 폭은, 물론, 주위 부분과의 접촉을 위해 함몰부의 측방향 치수보다 커야 한다. 또한, 단부 부분이 함몰부 내로 적절히 삽입될 수 있도록 그리고, 연결 요소의 상승된 지역이 접촉되기 전에 함몰부의 하단부를 타격하지 않도록, 함몰부는 최소 깊이를 가져야 한다. 최소 깊이는 납땜 선단부의 단부 부분의 반경에 따라 달라진다. 필요 최소 깊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단순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납땜되는 연결 요소에 따라 납땜 선단부를 선택할 수 있거나, 역으로, 납땜 선단부에 따라 연결 요소를 설계할 수 있다.
납땜 선단부의 단부 부분을 반구체로서 설계하는 것의 결과로서, 함몰부를 둘러싸는 연결 요소의 부분은, 납땜 인두가 기재에 대해서 유지되는 각도와 관계없이, 항상 신뢰 가능하게 접촉된다. 이는, 당연히, 이러한 각도와 관련하여 상당한 공차가 존재하는, 수작업 납땜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수형 스냅으로서 구현된다. 그러한 수형 스냅은, 상승된 지역에 의해서, 전형적으로 완전히, 주변에서 둘러싸이는, 중앙 함몰부를 갖는다. 함몰부 및 주위 영역은, 위에서부터 볼 때, 전형적으로 둥글지만; 원칙적으로, 다른 형상도 생각될 수 있다. 또한, 주위의 상승된 영역이 불연속적일 수 있다.
연결 요소의 스냅으로서의 구현은, 사용 시점에서의 전도성 구조물의 전기에 대한 편리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필요 연결 케이블이 상보적인 암형 스냅에 연결될 수 있고, 이어서 연결 케이블이 단순한 방식으로 사용 시점에 수형 스냅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연결 케이블 주위의 B 크림프로서 구현된다. 연결 요소는 전형적으로, 연결 케이블 주위에 크림핑되는 금속 스트립 또는 판이다. 크림프 연결은 단순하고, 경제적이고, 제조가 빠르며, 용이하게 자동화될 수 있다. 복잡한 부가적인 프로세스 단계, 예를 들어, 연결 케이블에 대한 연결 요소의 납땜 또는 용접을 회피할 수 있다. 동시에, 연결 요소와 연결 케이블 사이의 매우 안정적인 연결이 제공된다.
연결 요소의 크림핑된 영역(소위 "크림프" 즉, 크림핑 동작에 의해서 재성형되는 영역)이 전기 전도성 구조물에 직접 납땜된다. 따라서, 연결 요소는, 크림핑에 의해서 연결 케이블에 또한 연결되는 것과 상이하나, 크림프 부근에서, 납땜을 위해서 특별히 제공된, 그에 연결된 다른 섹션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크림프로서의 연결 요소의 설계의 결과로서, 연결 요소가 유리하게 작은 치수로 설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기 접촉을 위한 공간적 요건을 경감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연결 케이블의 전기 전도성 코어 주위에서 그 전체 길이에 결쳐 크림핑된다. 이어서, 연결 요소는 전체적으로 크림프로서 구현되고 크림핑된 영역만으로 구성되며, 이는 재료 절감과 관련하여 유리하다. 그러나, 연결 요소는, 전기 전도성 코어 주위에 크림핑된 섹션(소위 "와이어 크림프")에 더하여, 하나의 또는 복수의 부가적인 섹션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부가적인 섹션은, 예를 들어, 연결 케이블의 절연 외피 주위에 크림핑될 수 있고(절연 크림프), 그러한 수단에 의해서, 연결 케이블 내의 연결 요소 사이의 보다 안정적인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연결 요소는 또한, 예를 들어, 크림핑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 짧은 단부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요소의 크림핑된 영역은 납땜 화합물을 통해서 전기 전도성 구조물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이는, 납땜 화합물을 통한, 연결 요소의 크림핑된 영역과 전기 전도성 구조물 사이의 직접적이고 기계적인 연결을 의미한다. 이는, 납땜 화합물이 크림프와 전기 전도성 구조물 사이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크림프가 전기 전도성 구조물 상에서 내구적 및 안정적으로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납땜 화합물은 연결 케이블의 전기 전도성 코어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크림프 연결은 일반적으로, 연결 케이블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그 횡단면을 기준으로 특성화된다. 크림핑의 형상은 크림핑 도구의 선택에 의해서 결정된다. 크림핑 도구의 작용 지점 중 하나가 특징적인 크림핑된 구조물을 생성할 수 있고, 크림핑된 구조물은 전형적으로 소위 크림프 기부에 대향 배열된다. 크림핑의 형상은 특징적인 크림핑된 구조물에 따라 명명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바람직한 크림프 형상은 소위 B 크림프이다. 주위로 굽혀진 2개의 측면 연부가, 말하자면, 연결 케이블 내로 플러그되어, 바람직하게 편평한 크림프 기부에 대향되는 2개의 궁형부의 형상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명칭이 반영된 문자 B의 형상이 얻어진다.
크림프의 기하형태적 치수(크림프 높이, 크림프 폭, 크림프 길이)가 현재의 표준(current standard)뿐만 아니라 연결 케이블의 직경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특징적인 크림핑된 구조물이 기재 및 납땜 화합물로부터 먼 쪽으로 향하도록, 연결 요소가 크림프 기부를 통해서 전기 전도성 구조물 상에 납땜된다. 납땜 선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필요한 중앙 함몰부는 연결 케이블 내로 플러그된 연결 요소의 측면 연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B 형상의 궁형부들은, 납땜 선단부와 접촉되는 주위의 상승된 지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중앙 함몰부는 연결 요소의 2개의 대향 측면 연부 사이에서 전체 크림프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반면, 함몰부는 인접한 상승된 지역들에 의해서 양 측면에서 둘러싸인다.
본 발명은 연결 요소의 특정 재료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연결 요소는 구리로 제조되어, 큰 전기 전도도를 보장한다. 그러나, 연결 요소는 또한, 열 팽창 계수와 관련하여 기재에 보다 잘 적응되는 다른 재료, 예를 들어, 기재가 유리로 제조될 때, 티타늄 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납땜 중에 열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재 및 연결 요소의 열 팽창 계수들 사이의 차이가 5 x 10-6/℃ 미만이다.
연결 요소의 전형적인 재료 두께는 0.1 mm 내지 4 mm, 바람직하게 0.3 mm 및 1 mm이다. 연결 요소의 길이 및 폭은, 예를 들어, 5 mm 내지 30 mm이다.
본 발명은 특정 납땜 화합물의 이용으로 제한되지 않고, 모든 납땜 화합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납-함유 납땜 화합물뿐만 아니라,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무납 납땜 화합물에도 적합하다. 납땜 화합물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 0.6 mm 이하이다.
납땜 화합물은 전도성 구조물 상에, 그리고, 후속하여, 납땜 화합물 상에 배열된 연결 요소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먼저 납땜 화합물을 구비하고 납땜 화합물과 함께 전도성 구조물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것은 프로세스 기술적 장점을 가지는데, 이는 연결 요소가 분할된 납땜 화합물로 다량으로 미리 준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납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정해진 층 두께, 부피, 및 형상을 가지는 작은 판으로서 또는 편평한 방울(drop)로서 연결 요소에 도포된다. 납땜 화합물의 작은 판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 0.6 mm 이하이다. 납땜 화합물의 작은 판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연결 요소의 접촉 표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연결 요소를 기재 상의, 바람직하게 윈도 페인 상의, 특히 가열 또는 안테나 기능을 갖는 차량용 페인 상의 전기 전도성 구조물 상에 납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페인을, 건물에서 또는 육상, 공중, 또는 수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운송 수단에서, 특히 기차 차량 또는 모터 차량에서, 바람직하게, 윈드실드, 뒤쪽 윈도, 측면 윈도, 및/또는 지붕 패널로서, 특히 가열 가능 페인으로서 또는 안테나 기능을 가지는 페인으로서 이용하는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첨부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면은 순전히 개략적인 표상이고 반드시 실제 축적은 아니다. 도면은 본 발명을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납땜 선단부를 통한 횡단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통한 횡단면이다.
도 4는 도 1의 납땜 선단부를 이용하는 납땜 스테이션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로 납땜하기 위한 바람직한 연결 요소를 통한 횡단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중에 도 5의 연결 요소를 갖는 페인을 통한 횡단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중에 다른 바람직한 연결 요소를 갖는 페인을 통한 횡단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납땜 인두, 특히 핸드헬드 납땜 인두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1)의 실시예의 상세부분을 각각 도시한다. 납땜 선단부는 하나의 단편으로 구현되나, 3개의 부분: 단부 부분(2), 중간 부분(3) 및 연결 부분(4)으로 개념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단부 부분(2)은 납땜 중에 피납땜 물품과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단부 부분(2)은, 본 발명에 따라, 반구형 형상으로 구현된다.
중간 부분(3)이 단부 부분(2)에 후속된다. 중간 부분(3)은 단부 부분(2)의 반구형 형상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직원 원통체의 형상으로 구현된다.
연결 부분(4)이 중간 부분(3)에 후속된다. 연결 부분(4)은, 마찬가지로, 직원 원통체 형상이다. 그러나, 연결 부분(4)은 중간 부분(3)에 비해서 확장되고, 그에 따라 더 큰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연결 부분(4)은 일종의 러그(lug)를 형성한다. 단부 부분(4)은 납땜 선단부(1)를 의도된 납땜 인두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중간 부분(3)으로부터 먼 쪽으로 대면된 연결 부분(4)의 표면이 편평하고 원형이며, 그리고 납땜 인두의 상응하는 연결 표면에 플랜지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납땜 인두의 연결 표면은 바람직하게,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연결 부분(4)의 표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그에 따라 실질적으로 부합된다. 연결은 바람직하게, 단부 부분(4)을 납땜 인두에 대해서 가압하고 나사산에 의해서 그 곳에서 고정되는, 유니언 너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러그를 통해서 안내되는 나사를 이용하여 단부 부분(4)을 납땜 인두 상에 또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간 부분(3)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5 mm 내지 80 mm, 특히 10 mm 내지 50 mm이다. 연결 부분(4)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1 mm 내지 10 mm, 특히 1 mm 내지 5 mm이다.
단부 부분(2)의 반구형 형상은, 예를 들어, 중간 부분(3)의 원통형 형상과 마찬가지로, 4 mm의 반경을 갖는다. 중간 부분(3)은, 예를 들어, 43 mm의 길이를 갖는다. 연결 부분(4)은, 예를 들어, 3 mm의 길이 및, 예를 들어, 6 mm의 반경의 연결 부분(4)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이는 50 mm의 납땜 선단부(1)의 전체 길이를 제공한다.
납땜 선단부(1)는 구리로 제조되고, 그에 따라 양호한 열전도도를 보장한다. 납땜 선단부(1)는 경질 크롬 도금되고 - 이는 두께가 약 30 ㎛인 단일 크롬 층으로 코팅된다. 따라서, 표면 경도가 증가되고 마모가 감소된다. 또한, 비-경질-크롬-도금된 구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지 못한 바와 같이, 납땜 화합물이 납땜 선단부(1)에 부착될 수는 없다. 그에 따라, 납땜 후에 납땜 선단부(1)를 제거할 때 부착된 납땜 화합물이 땜납 조인트에 손상을 가할 위험이 감소된다.
대안적으로, 납땜 선단부(1)가 또한 니켈 도금되거나 다른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접착 특성이 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도 3은, 플러그 연결에 의해서 납땜 인두에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서, 연결 부분(4)은 납땜 인두의 상응하는 수용부 내로 플러그되고, 예를 들어, 측방향으로 도입된 나사에 의해서 고정된다. 연결 부분(4) 및 중간 부분(3)이 동일한 치수 및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다. 그에 따라, 중간 부분(3) 및 연결 부분(4)은 반구형 단부 부분(2)의 연속적인 원통형 연장부를 형성하고, 그러한 연장부는,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 부분이 납땜 인두 내로 삽입되고 중간 부분이 납땜 인두로부터 돌출된다는 점에서 단지 개념적으로 중간 부분(3) 및 연결 부분(4)으로 세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간 부분(3)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1 mm 내지 50 mm, 특히 3 mm 내지 20 mm이다. 연결 부분(4)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10 mm 내지 100 mm, 특히 20 mm 내지 80 mm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1)를 이용하는 납땜 스테이션을 도시한다. 납땜 선단부(1)는 통상적인 핸드헬드 납땜 인두(5) 상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연결 부분(4)은 납땜 인두(5)의 부합되는 연결 표면 상에 배열된다. 납땜 선단부(1)는, 납땜 인두(5)의 나사산 상으로 나사체결되는 유니언 너트(6)에 의해서 고정된다. 납땜 인두(5)는 납땜 선단부(1)를 납땜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가열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납땜 인두(4)는 전기 케이블(8)을 통해서 제어 유닛(7)에 연결되고, 제어 유닛에 의해서 가열 기능이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고 가열 전력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유닛(7)은, 그 부분을 위해서, 케이블(미도시)에 의해서 전압원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1)는, 원칙적으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납땜 인두(5)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납땜 선단부(1)의 연결 영역(4)은, 납땜 선단부(1)가 납땜 인두(5)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각각의 납땜 인두(5)에 맞춰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
도시된 제어 가능한 납땜 스테이션 대신에, 가열 전력이 사용자에 의해서 조정될 수 없는, 비-제어형 납땜 인두 상에서 납땜 선단부(1)를 또한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1)로 납땜하고자 하는 전기 연결 요소를 통한 횡단면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연결 요소는 수형 스냅으로 구현된다. 스냅은 실질적으로 중공형 원통체로서 설계되고, 그에 따라, 위에서부터 볼 때, 둥근 상승된 지역에 의해서 주변이 둘러싸인 중앙 함몰부를 갖는다.
연결 요소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다. 연결 요소는 코팅, 예를 들어, 전기 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한 은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재료 두께는 예를 들어 약 0.3 mm이다. 연결 요소의 하부측 상의 둥근 납땜 표면은, 예를 들어, 약 8 mm의 직경을 갖는다. 실제 스냅을 형성하는 중공형 원통체는, 예를 들어, 약 3 mm의 내경, 약 5.7 mm의 외경, 및 약 3.5 mm의 높이를 갖는다.
연결 요소가 제공되고, 암형 스냅(미도시) 내로 플러그되는 것에 의해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연결 케이블은 암형 스냅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 요소와 외부 전압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사용 시점에 단순하고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 동작 중에 도 5의 전기 연결 요소(12)를 갖는 페인을 통한 횡단면을 도시한다. 페인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뒤쪽 윈도이고, 소다 라임 유리로 제조된 3-mm-두께의 열적으로 예비응력화된(prestressed) 단일-페인 안전 유리인, 기재(1)를 포함한다. 가열된 도체 구조물 형태의 전기 전도성 구조물(11)이 기재(10) 상에 인쇄된다. 전도 전도성 구조물(11)은 은 입자 및 유리 프릿을 포함한다. 페인의 연부 영역 내에서, 전기 전도성 구조물(11)이 약 10 mm의 폭까지 확장되고 전기 연결 요소(12)를 위한 접촉 표면을 형성한다. 연결 요소(12)는 연결 케이블(미도시)을 통해서 전기 전도성 구조물(11)을 외부 전압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기 전도성 구조물(11)과 기재(10) 사이의 마스킹 스크린 인쇄에 의해서, 전기 접촉부는 자동차 외부의 관찰자에게 은폐된다.
연결 요소(12)는 납땜 화합물(13)을 통해서 전기 전도성 구조물(11)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납땜 화합물(13)은 전도성 구조물(11)과 연결 요소(12) 사이에 배열되고 납땜 선단부(1)를 이용하여 용융된다. 이를 위해서, 납땜 선단부(1)가 연결 요소(12)와 접촉되고, 이를 통해서 필요 열 에너지가 납땜 화합물(13) 내로 도입된다. 납땜 선단부(1)의 단부 부분(2)은 연결 요소(12)의 중앙 함몰부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납땜 선단부(1)가 함몰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납땜 선단부(1)는 함몰부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다. 그 대신, 납땜 선단부(1)의 단부 부분(2)의 연부 영역이 함몰부를 둘러싸는 연결 요소의 지역과, 다시 말해서, 이 경우에, 스냅을 형성하는 중공형 원통체의 상부 연부와 접촉된다. 물론, 납땜 선단부(1)와 연결부(12) 사이의 희망 접촉을 구축하기 위해서 납땜 선단부가 충분히 낮아질 수 있도록, 함몰부는 납땜 선단부(1)의 단부 부분의 반경에 따라 달라지는 최소 깊이를 가져야 한다.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1)의 장점이 즉각적으로 명료해진다. 단부 부분(2)의 반구형 형상으로 인해서, 도시된 납땜 선단부(1)와 연결 요소(12) 사이의 접촉은, 기재(10)에 대한 납땜 선단부(1)의 작업 각도와 관계없이, 항상 달성된다. 수작업 납땜 중에, 그에 따라 기술자는 정확한 작업 각도를 유지하는 것에, 예를 들어, 납땜 인두를 기재(10)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항상 유지하는 것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 이는 수작업 납땜에 상당히 도움을 준다. 또한, 에너지는 납땜 화합물의 융용을 위해서 원형 접촉 표면을 통해서 납땜 화합물(13) 내로 매우 균질하게 도입되며, 결과적으로, 점-방식의 탈중앙형 에너지 입력보다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그에 따라, 납땜 화합물(13)은 전체적으로 덜 강력하게 가열되고 에너지 인가 종료 후에 더 신속하게 응고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인 고정 수단이 없이도, 여전히 액체인 납땜 화합물(13) 상의 연결 요소(12)의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재(10) 상의 연결 요소(12)의 정확한 배치가 증가될 수 있고; 제조 공차가 감소될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 동작 중에 전기 연결 요소(12)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갖는 페인을 통한 횡단면을 도시한다. 연결 요소(12)는 소위 B 크림프로서 구현되고 - 이는, 연결 케이블(14)의 하나의 단부 부분 주위로 굽혀진 그리고 크림핑에 의해서 연결 케이블(14)에 내구적 및 안정적으로 연결된, 예를 들어, 재료 두께가 0.4 mm인 작은 금속 판, 예를 들어 구리 판 또는 스테인리스 강 판으로 구성된다. "B 크림프"라는 명칭은, 연결 요소(12)의 주위로-굽혀진 측면 연부를 연결 케이블(14) 내로 플러그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 연결 요소(12)의 특징적인 형상으로부터 초래된 것이다. 특징적인 크림프 형상은, 프로파일에서, 문자 "B"와 유사한 2개의 둥근 구조물(궁형부)을 보여준다. 연결 케이블(14)은, 개별적인 스트랜드가 접촉 내측부의 2개의 측면으로 균일하게 전환되어 크림프 접촉의 유리한 안정성 및 기밀성을 초래하는, 꼬임형 와이어 도체로서 구현된다. 크림프 기부는 납땜 화합물(13)을 위한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반면; 이중 궁형 형상의 특징적인 크림프 구조물은 기재(10)로부터 먼 쪽을 향한다. 특징적인 크림프 구조물은 중앙 함몰부를 형성하고, 그 함몰부 내로 납땜 선단부(1)의 단부 부분(2)이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그에 따라, 납땜 선단부(1)는 함몰부를 둘러싸는 2개의 궁형부 상의 지역과 접촉된다.
연결 요소(12)의 함몰부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접 영역들에 의해서 그 주변이 둘러싸이지 않고, 그 대신에, 연결 요소(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함몰부는 상승된 궁형부에 의해서 2개의 측면에서 경계 지어진다.
연결 요소(12)의 길이는, 예를 들어, 4.5 mm(크림프 길이)이고, 폭(크림프 폭)은 약 2.5 mm이며, 높이는 약 1.5 mm(크림프 높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1)를 이용하여 전기 연결 요소(12)를 갖는 페인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나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를 이용하여, 그리고 다른 경우에 통상적인 납땜 끌(chisel)을 이용하여, 스냅 형태의 연결 요소(도 5 및 도 6)를 핸드헬드 납땜 인두로 유리 페인 상의 은 인쇄부에 납땜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납땜된 연결 요소는 100% 비율의 안정적인 땜납 조인트를 가진 반면; 통상적으로 납땜된 연결 요소는 은 인쇄부 상에서 유지되지 않았다(0% 안정적 땜납 조인트). 그 이유는, 통상적인 끌 형태와 스냅 사이에 작은 접촉 면적 때문이고, 결과적으로, 적은 에너지 입력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 납땜 선단부는 효율적인 에너지 입력을 달성하였고, 결과적으로 납땜 화합물이 효과적으로 용융되었고 연결 요소가 안정적으로 납땜되었다.
또한, 하나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를 이용하여, 그리고 다른 경우에 통상적인 납땜 끌을 이용하여, B 크림프 형태의 연결 요소(도 7)를 핸드헬드 납땜 인두로 유리 페인 상의 은 인쇄부에 납땜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납땜된 연결 요소는 100% 비율의 깨끗한 땜납 조인트를 가졌다. 대조적으로, 통상적으로 납땜된 연결 요소에서, 약 50% 경우에서, 납땜 화합물의 제어되지 않은 유출이 관찰되었고, 결과적으로 납땜 화합물이 종종 크림프 내측의 연결 케이블의 전도성 코어와 바람직하지 못하게 접촉되었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선단부에 의한 상당히 더 균질한 에너지 입력 때문이고, 그에 의해서 납땜 화합물이 보다 제어된 방식으로 용융되기 때문이다.
(1) 납땜 선단부
(2) 납땜 선단부(1)의 단부 부분
(3) 납땜 선단부(1)의 중간 부분
(4) 납땜 선단부(1)의 연결 부분
(5) 핸드헬드 납땜 인두
(6) 유니언 너트
(7) 제어 유닛
(8) 핸드헬드 납땜 인두(5)와 제어 유닛(6) 사이의 케이블
(10) 기재
(11) 전기 전도성 구조물
(12) 전기 연결 요소
(13) 납땜 화합물
(14) 연결 요소(12)의 연결 케이블

Claims (15)

  1. 전기 연결 요소(12)를 기재(10) 상의 전기 전도성 구조물(11) 상에 납땜하기 위한 납땜 인두(5)용 납땜 선단부(1)이며,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단부 부분(2)을 포함하는, 납땜 선단부.
  2. 제1항에 있어서,
    납땜 인두(5)가 핸드헬드 납땜 인두인, 납땜 선단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부 부분(2), 연결 부분(4),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중간 부분(3)을 포함하고, 연결 부분(4)은, 유니언 너트(6)에 의한 납땜 인두(5) 상의 고정을 위해서, 중간 부분(3)에 비해서 확장되는, 납땜 선단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부 부분(2), 연결 부분(4),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중간 부분(3)을 포함하고, 연결 부분(4)은 납땜 인두(5) 내의 고정을 위해서 삽입되기에 적합한, 납땜 선단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리를 포함하는, 납땜 선단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니켈 도금되는, 납땜 선단부.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질 크롬 도금되는, 납땜 선단부.
  8. 전기 연결 요소를 갖춘 페인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a) 기재(10)를 제공하는 단계,
    (b) 전기 전도성 구조물(11)을 기재(10)의 영역 상에 배치하는 단계,
    (c) 납땜 화합물(13)을 전기 전도성 구조물(11)의 영역 상에 그리고 전기 연결 요소(12)를 납땜 화합물(13) 상에 배열하는 단계,
    (d)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납땜 선단부(1)를 가지는 납땜 인두(5)로 연결 요소(12)를 납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납땜 인두(5)가 핸드헬드 납땜 인두이고, 이를 이용하여 연결 요소(12)가 수작업으로 납땜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기재(10)는 유리, 바람직하게 소다 라임 유리를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구조물(11)은, 은 입자를 포함하는 소성된 인쇄 페이스트로서 또는 전기 전도성 호일로서 구현되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2)가 중앙 함몰부를 가지며, 납땜 선단부(1)를 함몰부를 둘러싸는 연결 요소(12)의 지역과 접촉시키기 위해서 납땜 선단부(1)의 단부 부분(2)이 중앙 함몰부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2)는 수형 스냅으로서 구현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2)는 연결 케이블(14) 주위의 B 크림프로서 구현되는,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납땜 선단부(1)의 접촉 압력 이외에, 연결 요소(12)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을 가지지 않는, 방법.
  15. 전기 연결 요소(12)를 기재 상(10)의, 바람직하게 윈도 페인 상의, 특히 가열 또는 안테나 기능을 갖는 차량용 페인 상의 전기 전도성 구조물(11) 상에 납땜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납땜 선단부(1)의 용도.
KR1020187032264A 2016-05-10 2017-04-12 납땜 인두용 납땜 선단부 Expired - Fee Related KR102087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8832 2016-05-10
EP16168832.0 2016-05-10
PCT/EP2017/058799 WO2017194261A1 (de) 2016-05-10 2017-04-12 Lötspitze für einen lötkolb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496A true KR20180127496A (ko) 2018-11-28
KR102087075B1 KR102087075B1 (ko) 2020-03-11

Family

ID=5596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26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7075B1 (ko) 2016-05-10 2017-04-12 납땜 인두용 납땜 선단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835979B2 (ko)
EP (1) EP3455020B1 (ko)
JP (1) JP6717981B6 (ko)
KR (1) KR102087075B1 (ko)
CN (1) CN107592830B (ko)
BR (1) BR112018013138A2 (ko)
CA (1) CA3014303A1 (ko)
ES (1) ES2884350T3 (ko)
HU (1) HUE055806T2 (ko)
MA (1) MA44962B1 (ko)
MX (1) MX2018013709A (ko)
PL (1) PL3455020T3 (ko)
RU (1) RU2701912C1 (ko)
WO (1) WO2017194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2792B3 (de) 2018-02-08 2019-05-09 Ersa Gmbh Elektrisches Lötgerät, insbesondere Lötkolben
GB201804622D0 (en) * 2018-03-22 2018-05-09 Central Glass Co Ltd Method of producing a vehicle glass assembly
MA53152A (fr) * 2018-07-20 2021-05-26 Saint Gobain Dispositif et procédé de brasage d'éléments de contact avec une chaleur d'induction
US10751822B2 (en) * 2018-09-25 2020-08-25 Ok International, Inc. Smart soldering iron tip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same
DE102020130464B4 (de) 2020-11-18 2024-02-01 Ersa Gmbh Lötspitzenbaugruppe für ein elektrisches Lötgerät, insbesondere für einen Lötkolben, Lötgerät und Lötsystem
DE102020130467A1 (de) 2020-11-18 2022-05-19 Ersa Gmbh Ablageständer sowie Lötsystem mit Ablageständer und Lötgerät
DE102020130468A1 (de) 2020-11-18 2022-05-19 Ersa Gmbh Lötsystem mit einem Lötgerät, insbesondere einem Lötkolben, mit Codierung und Lesegerät
DE202020106614U1 (de) 2020-11-18 2022-03-07 Ersa Gmbh Lötsystem mit einem Lötgerät, insbesondere einem Lötkolben und mit einer Nutzerschnittstelle
US12269127B2 (en) * 2022-04-22 2025-04-08 Magna Exteriors, Inc. Vehicular window assembly process with temperature control of the solder joint that attaches an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4262U (ja) * 1982-03-02 1983-09-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田ごて
JP2001001138A (ja) * 1999-06-17 2001-01-09 Senju Metal Ind Co Ltd はんだ鏝
JP2015527278A (ja) * 2012-06-06 2015-09-17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電気的な接続エレメントを備えた窓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8227A (en) * 1920-10-16 1922-09-05 Western Electric Co Electric soldering iron
US2748245A (en) * 1952-06-16 1956-05-29 Pearce Herbert Soldering tools
US2724042A (en) * 1953-08-25 1955-11-15 Adamson Robert Alfred Electrically heated soldering irons
US2845518A (en) * 1955-03-17 1958-07-29 Teicheire Rene Jean Antoine Electric soldering irons
DE1555053B1 (de) * 1964-04-23 1970-04-30 Saint Goba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eizbaren Autoscheibe
US3813519A (en) * 1964-11-09 1974-05-28 Saint Gobain Electrically heated glass window
FR2094356A5 (en) * 1970-06-18 1972-02-04 Saint Gobain Welding connections to heated glass-esp for motor car - rear windows
DE7739300U1 (de) * 1977-12-23 1978-04-20 Herbert Grimm Elektro-Mechanische Werkstaette, 6451 Mainhausen Lötspitze fur Lötpistolen
JPS5844914Y2 (ja) * 1981-04-22 1983-10-12 株式会社 石崎電機製作所 電気半田ごて
JPS5911386B2 (ja) * 1981-11-09 1984-03-15 株式会社中島銅工所 半田用チツプの製造方法
US4785793A (en) * 1983-03-02 1988-11-22 Oglesby & Butler Technology Limited A soldering tool
JPH01309780A (ja) * 1988-02-22 1989-12-1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半田コテ先
US5246157A (en) * 1991-06-05 1993-09-21 Pace, Incorporated Tool for use with tweezer handpiece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electronic components with respect to a substrate
US5446261A (en) * 1993-10-26 1995-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lder application system using helix to control solder meniscus
RU2155117C2 (ru) * 1998-11-10 2000-08-27 Казаков Владимир Михайлович Способ пайки деталей ультразвуковым паяльником
US6039616A (en) 1998-11-25 2000-03-21 Antaya Technologies Corporation Circular electrical connector
US6253988B1 (en) * 1999-03-29 2001-07-03 Antaya Technologies Corporation Low temperature solder
US6793114B2 (en) * 2002-04-05 2004-09-21 Pace, Incorporated Soldering heater cartridge with replaceable tips and soldering iron for use therewith
US7030339B2 (en) * 2002-11-26 2006-04-18 Hakko Corporation Soldering iron tip with metal particle sintered member connected to heat conducting core
US7134590B2 (en) * 2004-03-16 2006-11-14 Moon Gul Choi Desoldering sheath
WO2005098083A2 (en) * 2004-04-07 2005-10-20 Michigan State University Miniature microwave plasma torch applic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70224842A1 (en) 2004-11-12 2007-09-27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 Window Pane Of A Vehicle
CA2679648C (en) * 2007-04-07 2015-02-03 Inficon Gmbh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diaphragm vacuum measuring cell
DE102007029031A1 (de) * 2007-06-23 2008-12-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dauerhaften Verbinden zweier Komponenten durch Löten mit Glas- oder Metalllot
JP2009136920A (ja) * 2007-11-12 2009-06-25 Hitachi Metals Ltd 加熱用コテのコテ先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熱用コテ
FR2952314B1 (fr) * 2009-11-12 2012-02-10 Sagem Defense Securite Procede de brasage, gyroscope et piece brasee
CN102079619B (zh) * 2009-11-27 2012-02-15 洛阳兰迪玻璃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板复合封接方法
FR2953677B1 (fr) * 2009-12-04 2020-11-06 Saint Gobain Vitrage a fils conducteurs integres par ultrasons
WO2012150452A1 (en) * 2011-05-03 2012-11-08 Pilkington Group Limited Glazing with a soldered connector
US9484651B2 (en) * 2012-08-24 2016-11-01 Saint-Gobain Glass France Pane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AU2013314646B2 (en) 2012-09-14 2016-12-22 Saint-Gobain Glass France Pane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CN103128969A (zh) * 2013-03-04 2013-06-05 宁波恒升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配电箱的电烙铁
CN206066590U (zh) * 2016-07-01 2017-04-05 广西壮族自治区水牛研究所 一种用于胚胎培养用微穴制作的打孔器
DE102016115364A1 (de) * 2016-08-18 2018-02-22 Few Fahrzeugelektrik Werk Gmbh & Co. Kg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r stoffschlüssigen Fügeverbindung
JP6681372B2 (ja) * 2016-10-07 2020-04-15 アプティブ・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抵抗はんだ付け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4262U (ja) * 1982-03-02 1983-09-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田ごて
JP2001001138A (ja) * 1999-06-17 2001-01-09 Senju Metal Ind Co Ltd はんだ鏝
JP2015527278A (ja) * 2012-06-06 2015-09-17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電気的な接続エレメントを備えた窓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5918A1 (en) 2019-01-17
CA3014303A1 (en) 2017-11-16
EP3455020B1 (de) 2021-07-28
MA44962A (fr) 2019-03-20
MX2018013709A (es) 2019-05-02
PL3455020T3 (pl) 2021-12-20
EP3455020A1 (de) 2019-03-20
KR102087075B1 (ko) 2020-03-11
US10835979B2 (en) 2020-11-17
CN107592830A (zh) 2018-01-16
ES2884350T3 (es) 2021-12-10
WO2017194261A1 (de) 2017-11-16
JP2019514697A (ja) 2019-06-06
BR112018013138A2 (pt) 2018-12-11
JP6717981B6 (ja) 2020-08-05
HUE055806T2 (hu) 2021-12-28
MA44962B1 (fr) 2021-09-30
JP6717981B2 (ja) 2020-07-08
RU2701912C1 (ru) 2019-10-02
CN107592830B (zh)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075B1 (ko) 납땜 인두용 납땜 선단부
JP6440756B2 (ja) 電気的接続部材及び補償プレートを備えた板ガラス、板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板ガラスの使用
JP6646010B2 (ja) 電気的な接続要素を備えるパネ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JP6483241B2 (ja) 基板上の導電性構造を接続するための電気接続エレメントを有するウィンドウ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使用
KR20150054959A (ko) 전기 접속 요소를 갖는 판유리
JP6576467B2 (ja) 電気接続エレメントおよびこれに取り付けら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備えたガラス板
CN108621754A (zh) 具有通过无铅焊料焊接的电连接器的车辆用窗玻璃
EP3342253B1 (en) Electrical connector
EP3315236B1 (en) Resistance solde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3721681B1 (en) Electrical crimp connector with a shield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