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947A - 기기 대 기기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기기 대 기기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5947A KR20180125947A KR1020187022263A KR20187022263A KR20180125947A KR 20180125947 A KR20180125947 A KR 20180125947A KR 1020187022263 A KR1020187022263 A KR 1020187022263A KR 20187022263 A KR20187022263 A KR 20187022263A KR 20180125947 A KR20180125947 A KR 201801259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resource
- terminal
- terminal device
- resource set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 H04W72/049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2D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을 가짐 - ; 및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기기 대 기기(D2D)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프로토콜에서 기기 대 기기(Device to Device, D2D)통신은 이미 표준화되었다. 여기서 D2D통신의 리소스 할당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첫번째 방식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할당하는데 이 방식은 셀룰러 네트워크가 커버리지된 상황에 적용되고, 두번째 방식에서 단말기기는 전송 리소스를 자주적으로 선택, 예하면 단말기기는 미리 규정된 다수의 리소스 할당 패턴에서 하나의 리소스 할당 패턴을 랜덤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리소스 할당 패턴에 근거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때에 사용할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데 이 방식은 셀룰러 네트워크가 커버리지되지 않은 상황에 주요하게 적용된다.
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기술과 차량 대 기기(Vehicle to X, V2X)기술은 연구 이슈로 되었다. 여기서 V2X에서 X는 일반적으로 무선 수신과 발송 능력을 가지는 기기를 가리키는 바, 예하면 느리게 이동하는 무선장치, 빠르게 이동하는 차량 기기 또는 무선 발송과 수신 능력을 가지는 네트워크 제어 노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 기기의 빠르게 이동하는 특성은 선행기술에서의 상기 리소스 할당 방식으로 하여금 V2V기술 및 V2X기술에 적용되지 않도록 하여 현재 V2V/V2X기술에서 어떻게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할 것인가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D2D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을 가짐 - ; 및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방법은, 전송 리소스 집합을 위해 거리 임계값을 정의하고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전송 리소스 집합에 현재 대응되는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절대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것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다른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함으로써 제1 단말기기의 위치 변화가 비교적 빠른 시나리오(예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빠르게 통행하는 차량 또는 차량 기기임)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한 빈번한 변경을 피할 수 있으며 D2D 통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 외에 선행기술에서 제1 단말기기가 자주적으로 그가 사용한 전송 리소스 집합을 선택하면 지리적 위치 또는 지리적 영역과 전송 리소스 집합 사이의 대응관계를 미리 알고 저장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다른 단말기기와의 거리에 근거하여 전송 리소스 집합을 선택하므로 지리적 위치 또는 거리와 전송 리소스 및 그 사이의 대응관계를 미리 저장할 필요가 없어 단말기기의 메모리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을 결정하면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거리 통계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하면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1 양태의 첫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상대적 운동속도(movement speed) 임계값을 더 가지고;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할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함으로써 전송 리소스 집합의 선택에 대한 단말기기의 빈번한 트리거링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어 D2D 통신 품질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두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는 현재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이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며,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네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대응되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제일 작은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며,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임 - 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다섯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여섯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단말기기이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일곱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단말기기에서 제4 단말기기를 제외한 다른 모든 단말기기이며 여기서 상기 제4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여덟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D2D방송 메시지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아홉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에 의해 점용된 전송 리소스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열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셀룰러 통신 링크를 통해 발송한 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상태보고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열한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열두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와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에 근거하여 재선택 트리거 시각(reselection triggering moment)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에 사용 가능한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과 현재 시각 사이의 간격은 상기 최대거리와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의 몫(quotient) 일 수 있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열세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 및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에 근거하여 재선택 트리거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에 사용 가능한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과 현재 시각 사이의 간격은 상기 거리 임계값과 상기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의 몫(quotient) 일 수 있다.
제2 양태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첫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 -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2 양태의 두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2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2 양태의 네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2 양태의 다섯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측정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측정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제3 양태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첫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상태보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3 양태의 두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메시지가 D2D방송 메시지이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가짐 - 를 포함한다.
상기 가능한 실시방식과 결부하여 제3 양태의 세번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4 양태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양태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6 양태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7 양태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할 경우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8 양태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할 경우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9 양태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가 저장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수행할 경우 상기 수행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0 양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제11 양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또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제12 양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또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응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응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분명한 것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얻게 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항상 서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및/또는"은 단지 관련 상대의 특수관계를 설명할 뿐이며,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이 세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명세서에서의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의 관련 상대가 "또는"의 관계임을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응용한 무선통신시스템(100)의 개략도로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단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이다. 각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된 지리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기기(예하면 UE)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GSM시스템 또는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일 수 있고 또 WCDMA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 일 수도 있으며 LTE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 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타량 탑재 기기, 착용형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긱 또는 미래 진화의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일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기기(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기(120)는 이동하거나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기(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통신기기, 사용자 대리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프로세싱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착용형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기기 등 일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와 6개의 단말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은 다수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고 각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수량의 단말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 외에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기(120)는 셀룰러 통신모드 또는 D2D통신모드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 중의 셀룰러 통신모드에서 단말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다른 단말기기와 통신하고 D2D통신모드에서 두개의 단말기기는 D2D링크를 통해 직접적으로 통신한다.
단말기기가 D2D통신(예하면 V2V통신 또는 V2X통신)을 진행할 경우 주도적으로 전송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를 위해 D2D통신을 하기 위한 전송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요하게 V2X통신 시나리오에 응용되거나 임의의 다른 D2D통신 시나리오에 응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방법(2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방법(200)은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에 응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200)은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예하면V2V통신 또는 V2X통신) 시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바,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선택적으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는 제1 단말기기 일 수 있는 바, 즉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 시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기기 일 수 있는바, 즉 네트워크 기기가, 제1 단말기기의 D2D통신 시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S210에 있어서,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 가능한 전송 리소스를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 근거하여 상이한 전송 리소스 집합(전송 리소스 풀이라고도 할 수 있음)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하면 시간에 따라 사용 가능한 전송 리소스를 구획하여 상이한 전송 리소스 집합이 상이한 시간대에 대응되도록 하거나; 또는 주파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전송 리소스에 대해 구획하여 상이한 전송 리소스 집합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도록 하거나; 또는 시간과 주파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전송 리소스에 대해 구획하여 상이한 전송 리소스 집합이 상이한 시간대 및/또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전송 리소스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전송 리소스 집합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량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에 상이한 전송 리소스 집합이 포함하는 전송 리소스 블록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송 리소스에 대한 구획방식 및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이 포함하는 전송 리소스는 미리 정의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거리 임계값은, 전송 리소스 집합이,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단말기기 사이에 대한 거리요구를 표시할 수 있다. 예하면 거리 임계값은 전송 리소스 집합이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에 대한 한정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거리 임계값은 하나의 구체적인 수치 일 수 있고 하나의 수치범위 또는 다른 형식 일 수도 있다. 이 외에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거리 임계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선택적으로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거리 임계값은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에 포함되는 전송 리소스 수량에 의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가 제1 단말기기이면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에 포함되는 전송 리소스 및/또는 각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거리 임계값은 제1 단말기기에 미리 설치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기기에 알릴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S220에 있어서,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다.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는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가 제1 단말기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글로벌 포지션 시스템(Global Position System, GPS) 등 포지션 시스템을 통해 자신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기기이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상태보고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상태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기는 능동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보고를 발송할 수 있으며, 예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주기적으로 제1 상태보고를 발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는 D2D 전송을 위한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해야 할 경우(예하면 처음 선택하거나 재선택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보고를 발송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발송한, 상기 제1 단말기기로 하여금 위치정보를 리포트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지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상태보고를 발송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어느 한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는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되, 여기서 전송 리소스 집합과 단말기기 사이의 대응관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을 나타낼 수 있고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또는 일부 단말기기 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S22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없다고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그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찾을 때까지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다른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예로서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은 구체적으로 거리 임계값이며 이때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한다고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 후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D2D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전송 리소스를 선택하는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방법은 전송 리소스 집합을 위해 거리 임계값을 정의하고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전송 리소스 집합에 현재 대응되는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절대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것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다른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함으로써 제1 단말기기의 위치 변화가 비교적 빠른 시나리오(예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빠르게 통행하는 차량 또는 차량 기기임)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한 빈번한 변경을 피할 수 있으며 D2D 통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 외에 선행기술에서 제1 단말기기가 자주적으로 그가 사용한 전송 리소스 집합을 선택하면 지리적 위치 또는 지리적 영역과 전송 리소스 집합 사이의 대응관계를 미리 알고 저장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다른 단말기기와의 거리에 근거하여 전송 리소스 집합을 선택하므로 지리적 위치 또는 거리와 전송 리소스 및 그 사이의 대응관계를 미리 저장할 필요가 없어 단말기기의 메모리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더 가질 수 있는데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은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에 대한 요구를 나타낼 수 있다. 예하면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은, 전송 리소스 집합이,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에 대한 한계를 나타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은 하나의 구체적인 수치 일 수 있고 하나의 수치범위 또는 다른 형식 일 수도 있다. 이 외에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선택적으로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은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에 포함되는 전송 리소스 수량에 의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가 제1 단말기기이면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은 제1 단말기기에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기기에 알릴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20에 있어서,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2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와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는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여기서 운동속도 정보는 운동속도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가 제1 단말기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자신의 제1 시각과 현재 시각에서의 위치정보를 획득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현재 시각보다 빠르고, 상기 제1 시각과 현재 시각 사이의 시간간격 및 제1 시각과 현재 시각에서의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자신의 최근 다수의 시간간격 내의 운동속도를 획득할 수도 있고 상기 다수의 시간간격 내의 운동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를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기기이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2 상태보고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2 상태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상태보고와 상기 제2 상태보고를 동일한 메시지 또는 상이한 메시지에 포함시켜 발송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는 능동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상태보고를 발송할 수 있으며, 예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주기적으로 제2 상태보고를 발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는 D2D 전송을 위한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해야 할 경우(예하면 처음 선택하거나 재선택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상태보고를 발송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발송한, 상기 제1 단말기기로 하여금 운동속도 정보를 리포트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지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상태보고를 발송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S221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에 의해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위치 임계값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에 의해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도 만족한다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 또는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는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거나 및/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운동속도벡터는 =(a1, a2)이고,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벡터는 =(b1, b2)이고, 여기서 a1, a2와 b1, b2는 각각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제2 단말기기가 두개의 수직방향에서의 이동속도 구성요소(component)이면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는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예로서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은 구체적으로 상대운동 임계값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S221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위치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동시에 또는 임의의 선후순서로 각각 결정할 수 있고 상기 두 동작의 수행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S221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먼저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면 또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없음을 직접 결정할 수 있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며, 예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지만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은 수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할 경우에야만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각 단말기기는 D2D방송 메시지에서 자신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가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D2D방송 메시지로부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 및/또는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 단말기기는 D2D방송 메시지에 자신이 현재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지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말기기의 현재에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D2D방송 메시지에 상기 지시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D2D방송 메시지에 의해 점용된 전송 리소스에 근거하여 상기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말기기의 현재에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기기이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상태보고를 수신할 수 있고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상태보고는 상기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 및/또는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단말기기는 주기적으로 상태보고를 발송할 수도 있고 또 네트워크 기기가 발송한, 상기 제2 단말기기로 하여금 위치정보 및/또는 운동속도 정보를 리포트하도록 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지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태보고를 발송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그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하면,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나머지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제1 단말기기가 현재 그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의 개수가 하나이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의 개수가 다수개, 즉 상기 제1 단말기기가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적어도 두개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면,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 각각 대응되는 거리 통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거리 통계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하면 상기 거리 통계정보가 최대거리를 포함하면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전송 리소스 집합중에서 대응되는 최대거리가 제일 작은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 현재 상기 제1 단말기기에 의해 D2D통신을 진행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각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거리 통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예하면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거리 통계정보는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수량이 다수개이면 상기 다수의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랜덤으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하거나 또는 다수의 제2 전송 리소스 집합 중 각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예하면 상기 다수의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중에서 대응되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제일 작은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때 이런 특수한 단말기기를 제외시킬 수 있다. 예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단말기기 중 제4 단말기기를 제외한 다른 모든 단말기기 일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4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 바, 예하면 상기 제4 단말기기와 상기 다른 모든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클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기는 D2D방송 메시지에 자신이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지시정보는 하나 또는 다수의 비트를 점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단말기기는 상기 D2D방송 메시지에 근거하여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선택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를 고려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기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또한 상기 제1 단말기기에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 또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발송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지시정보에 근거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하면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여전히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여전히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여전히 상기 현재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계속하여 상기 현재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만족하지 않으면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을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하게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을 발송할 수도 있으며, 예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의 D2D 통신 품질이 어느 한 임계값보다 낮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전송 리소스 집합을 재선택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을 발송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발송한 재선택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기를 위해 전송 리소스 집합을 재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200)은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함에 있어서 처음으로 전송 리소스 집합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에 사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S220 전에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단말기기에 대응되는 제3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S220을 수행한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한다고 결정할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3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S220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 후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을 트리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와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에 근거하여 또는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에 근거하여 재선택 트리거 시각을 결정할 수 있으며, 예하면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과 현재 시각 시간의 시간간격은 D/C인데 여기서 D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5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이고 C는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5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이거나; 또는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과 현재 시각 시간의 시간간격은 D0/C인데 여기서 D0는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이다. 그 다음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에 사용 가능한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재선택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단말기기 일 수 있거나 또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을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일부 단말기기 일 수 있는데, 여기서 선택적으로 상기 일부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상기 모든 단말기기에서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기기를 제외한 다른 단말기기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을 위해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정의하고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및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할 때에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함으로써 D2D통신의 리소스 할당 효율과 D2D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300)을 도시하는 바, 상기 방법(300)은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300)은 여전히 상기 제1 단말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310에 있어서,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되,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 - 여기서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기기이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측정보고를 수신하되, 상기 측정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측정보고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상태보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상태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상태보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상태보고를 더 수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포함하면,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측정보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단말기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S320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한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S32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S32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 및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와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이고;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위치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도 만족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 또는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위해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정의하고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의 거리 통계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D2D통신의 리소스 할당 효율과 D2D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한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측정보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 또는 다른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할 때에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메시지가 D2D방송 메시지이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D2D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기기는 상기 D2D방송 메시지에 의해 점용되는 전송 리소스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의 응용 시나리오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해당 시나리오에 있어서, 횡단보도에서의 행인이 휴대한 단말기기는 다른 단말기기와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동시에, 차도에서 통행하는 차량용 단말기기는 다른 단말기기와 V2X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T1시각에 행인(1), 행인(2), 차량(A)와 차량(B)의 위치는 비슷하고 행인(3), 행인(4)와 차량(C)의 위치는 비슷하며 행인(5)와 행인(6)의 위치는 비슷하다. 이때 단말기기와 다른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면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단말기기는 동일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 집합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단말기기가 서로 발견할 수 있는 확률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원근효과(near-far effect)를 방지, 즉 거리가 비교적 먼 다수의 단말기기를 동일한 전송 리소스 집합에 할당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단말기기와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다른 단말기기가 발송한 신호가, 단말기기와 거리가 비교적 먼 다른 단말기기가 발송한 신호에 묻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통행속도가 행인의 통행속도보다 훨씬 빠르므로 시각(T1)과의 간격이 비교적 짧은 시각(T2)에서 각 차량과 행인 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비교적 큰 변화가 발생하였고 이때 각 단말기기에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다시 조절함으로써 상기 원근효과로 인해 단말기기에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을 빈번히 결정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때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할 때에 동시에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즉 단말기기와 다른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및 상대적 운동속도를 고려하여 다수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차량용 단말기기로 하여금 동일한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되도록 하고 다수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휴대용 단말기기로 하여금 동일한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각 과정의 순번의 크기는 수행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바, 각 과정의 수행순서는 응당 그의 기능과 내적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과정에 대해 그 어떤 한정도 하지 말아야 한다.
상기 내용에서는 도1 내지 도 5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6 내지 도 11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장치(400)는,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제1 결정유닛(410)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을 가짐 - ;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제1 결정유닛(410)가 결정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제2 결정유닛(4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더 가진다. 이때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현재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며,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대응되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제일 작은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며,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임 -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단말기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단말기기에서 제4 단말기기를 제외한 다른 모든 단말기기이고, 여기서 상기 제4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4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유닛(430) - 상기 D2D방송 메시지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함 - 을 더 포함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유닛(430)이 수신한 상기 D2D방송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에 의해 점용된 전송 리소스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4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셀룰러 통신 링크를 통해 상태보고를 수신하는 수신유닛(430)- 상기 상태보고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함 - 을 더 포함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유닛(430)이 수신한 상기 상태보고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또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기 전에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 -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 - 하고;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유닛(420)은 또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 후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와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에 근거하여 재선택 트리거 시각을 결정하고;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에 사용 가능한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을 트리거한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예에서 장치(4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장치, 예하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1 단말기기 일 수 있고 상기 장치(400)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5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장치(500)는,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획득유닛(51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함 - ;
상기 획득유닛(510)이 획득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유닛(5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 -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유닛(5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유닛(5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유닛(5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측정보고를 수신 - 상기 측정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포함함 - 한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예에서 장치(5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장치, 예하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1 단말기기 일 수 있고 상기 장치(500)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6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장치(600)는,
상기 장치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유닛(610); 및
상기 획득유닛(610)이 획득한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발송하는 발송유닛(6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발송유닛(620)은 구체적으로,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상태보고 메시지를 발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가 D2D방송 메시지이면 상기 발송유닛(620)은 구체적으로,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 -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가짐 -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장치가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예에서 장치(6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의 제1 단말기기 일 수 있고 상기 장치(600)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장치(400), 장치(500)와 장치(600)는 모두 기능유닛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여기에서의 용어“유닛”은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전자회로, 하나 또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예하면 공유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또는 그룹 프로세서 등)와 메모리, 병합 논리 회로 및/또는 설명한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를 가리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7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장치(700)는 프로세서(710)와 메모리(72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메모리(720)는 명령을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프로세서(710)는 상기 메모리(72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710)는,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고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을 가짐 - ;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7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7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D2D방송 메시지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프로세서(7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730)가 수신한 상기 D2D방송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7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셀룰러 통신 링크를 통해 발송한 상태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7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보고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프로세서(7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730)가 수신한 상기 상태보고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결정한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예에서 장치(7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장치, 예하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1 단말기기 일 수 있고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모리(720)는 읽기 전용 메모리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72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하면 메모리(72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710)가 메모리(72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710)는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 및/또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8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데 상기 장치(800)는 메모리(810)와 프로세서(82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메모리(810)는 명령을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프로세서(820)는 상기 메모리(81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20)는,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800)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측정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정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측정보고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한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예에서 장치(8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장치, 예하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1 단말기기 일 수 있고 상기 장치(800)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예에서 장치(8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장치, 예하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1 단말기기 일 수 있고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모리(810)는 읽기 전용 메모리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81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하면 메모리(81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메모리(81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820)가 메모리(81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820)는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 및/또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2D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9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데 상기 장치(900)는,
상기 장치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서(910); 및
상기 프로스세(910)가 획득한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송신기(920)를 포함한다.
하나의 선택 가능한 예에서 장치(9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는 장치, 예하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1 단말기기 일 수 있고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장치(9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하면 메모리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 및/또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분리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분리 하드웨어 컴포넌트 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재래식 프로세서 등 일 수도 있다.
실현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시그널링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부하여 개시하는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성되는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완성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기억 장치,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 장치 또는 이이피롬, 레지스터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읽으며 그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설명의 간결함을 위하여 본 명세서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각 실시예 사이의 상이한 부분을 강조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들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예와 결부하여 설명하는 각 방법 단계와 유닛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호환 가능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에서는 이미 기능의 일반성에 따라 각 실시예의 단계 및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 것인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된 응용과 디자인 제한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적인 기술인원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의 편리와 간결함을 위하여 상기 설명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잘 알고 있는 바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한 몇개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다시피 제시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하나의 논리기능의 구분일 뿐 실제적인 실현에서는 별도의 구분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다른 한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되거나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토론되는 서로 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연결일 수 있으며, 이는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방식의 연결일 수 있다.
상기 분리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닐 수 있는데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다. 즉 한 곳에 위치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요구에 근거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기능유닛의 방식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방식으로 실현됨과 아울러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저장매체는 USB, 이동식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인 바,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밝히는 기술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 낼 수 있고 이러한 변화 또는 대체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46)
- 기기 대 기기(D2D)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을 가짐 - ;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더 가지고;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는 현재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며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대응되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제일 작은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며,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단말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단말기기에서 제4 단말기기를 제외한 다른 모든 단말기기인 - 상기 제4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음 -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D2D방송 메시지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에 의해 점용된 전송 리소스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셀룰러 통신 링크를 통해 발송한 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상태보고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와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에 근거하여 재선택 트리거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에 사용 가능한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기기 대 기기(D2D)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 -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측정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측정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기기 대 기기(D2D)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기는 상기 제1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상태보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D2D방송 메시지이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가짐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기기 대 기기(D2D)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제1 결정유닛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을 가짐 - ;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제1 결정유닛이 결정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제2 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더 가지고;
상기 제2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는 현재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며,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을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및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함을 결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대응되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제일 작은 전송 리소스 집합을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으로 결정하는 -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며,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현재 상기 각 후보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임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면,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현재의 운동속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의 운동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모든 단말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는 구체적으로,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는 단말기기에서 제4 단말기기를 제외한 다른 모든 단말기기인 - 상기 제4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음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 상기 D2D방송 메시지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유닛이 수신한 상기 D2D방송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유닛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D2D방송 메시지에 의해 점용된 전송 리소스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가 셀룰러 통신 링크를 통해 발송한 상태보고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 상기 상태보고는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유닛이 수신한 상기 상태보고에 근거하여 상기 각 제2 단말기기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4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유닛은 또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D2D통신을 진행하는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기 전에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는고 - 상기 제1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함 - ;
상기 제2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2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4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유닛은 또한,
상기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을 결정한 후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와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에 근거하여 재선택 트리거 시각을 결정하고;
상기 재선택 트리거 시각에 사용 가능한 다수의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 상기 제1 단말기기의 타겟 전송 리소스 집합의 재선택을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기기 대 기기(D2D)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획득유닛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는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하고,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리소스 블록을 포함함 - ;
상기 획득유닛이 획득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 통계정보 - 상기 거리 통계정보는 최대거리, 평균거리 및 거리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37 또는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와 상대적 운동속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 - 상기 상대적 운동속도 통계정보는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상대적 운동속도 및 상대적 운동속도 평균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에서의 각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상대적 운동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39 또는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거리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거리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최대 상대적 운동속도가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단말기기가 현재 상기 제1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D2D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37 내지 청구항 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획득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측정보고를 수신하는 - 상기 측정보고는 상기 제1 단말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포함함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기기 대 기기(D2D)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의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유닛; 및
상기 획득유닛이 획득한, 위치정보와 운동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발송하는 발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발송유닛은 구체적으로,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상태보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43 또는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D2D방송 메시지이면 상기 발송유닛은 구체적으로,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에서의 전송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D2D방송 메시지를 발송하는 - 상기 전송 리소스 집합은 대응되는 거리 임계값과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가짐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43 내지 청구항 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장치가 현재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 집합의 상대적 운동속도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6/077723 WO2017166073A1 (zh) | 2016-03-29 | 2016-03-29 | 用于确定设备到设备通信的传输资源的方法和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947A true KR20180125947A (ko) | 2018-11-26 |
Family
ID=5996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2263A Withdrawn KR20180125947A (ko) | 2016-03-29 | 2016-03-29 | 기기 대 기기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2) | US10764897B2 (ko) |
EP (1) | EP3396992B1 (ko) |
JP (1) | JP6860581B2 (ko) |
KR (1) | KR20180125947A (ko) |
CN (1) | CN108605219B (ko) |
HK (1) | HK1254609A1 (ko) |
MX (1) | MX391601B (ko) |
TW (1) | TWI719181B (ko) |
WO (1) | WO201716607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2352A (ko) * | 2019-08-20 | 2021-03-03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무선망 최적화를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그 기지국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95315B2 (en) * | 2016-07-19 | 2020-03-17 | Qualcomm Incorporated | Enabling multi-cluster transmissions |
WO2018038663A1 (en) * | 2016-08-24 | 2018-03-01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s for efficient signaling in v2x communications |
EP3854147A4 (en) * | 2018-09-21 | 2022-06-15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DEVICE FOR MOBILITY OPTIMIZATION |
CN111490998B (zh) * | 2019-01-25 | 2022-02-25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US11012816B2 (en) | 2019-05-08 | 2021-05-18 | Apple Inc. | Location selection for transmitting emergency beacons |
CN110488988B (zh) * | 2019-07-01 | 2023-08-0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
WO2021087820A1 (zh) * | 2019-11-06 | 2021-05-14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反馈序列的传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
WO2021146502A1 (en) * | 2020-01-16 | 2021-07-22 | Kyocera Corporation | Drx cycle reconfiguration to improve detection of d2d transmissions |
JP7375593B2 (ja) * | 2020-02-12 | 2023-11-08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CN113438625B (zh) * | 2020-03-20 | 2023-07-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消息传输方法及装置 |
CN112885095B (zh) * | 2021-01-29 | 2022-09-23 | 北京梧桐车联科技有限责任公司 | 路面信息检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US20230034336A1 (en) * | 2021-07-26 | 2023-02-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positio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15734354A (zh) * | 2021-08-30 | 2023-03-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资源分配方法及装置 |
WO2023028926A1 (zh) * | 2021-09-01 | 2023-03-0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基于辅助信息进行资源选择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61698B2 (en) | 2007-07-10 | 2011-06-14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to broadcast signaling in a peer to peer network |
US8301177B2 (en) | 2009-03-03 | 2012-10-30 | Intel Corporation | Efficient paging operation for femtocell deployment |
US8914054B2 (en) * | 2012-03-21 | 2014-12-16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Dynamic resource selection to reduce interference resulting from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
CN103428712B (zh) | 2012-05-16 | 2016-08-1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侦听方法和节点 |
CN104350796B (zh) * | 2012-05-31 | 2018-04-10 | 富士通株式会社 | 无线通信系统、无线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无线资源的分配方法 |
JP2014013278A (ja) | 2012-07-03 | 2014-01-23 | Yamaha Corp | 画像処理装置 |
US20150208301A1 (en) | 2012-08-30 | 2015-07-23 | Nec Corporation | Mobility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CN103916968A (zh) * | 2013-01-04 | 2014-07-09 |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 资源分配方法及基站 |
JP6040037B2 (ja) * | 2013-01-30 | 2016-12-07 | シャープ株式会社 | 無線通信システム |
CN109462838A (zh) * | 2013-02-06 | 2019-03-12 | 索尼公司 | 无线通信方法、基站以及无线通信设备 |
CN104066069A (zh) | 2013-03-19 | 2014-09-24 | 株式会社Ntt都科摩 | 一种设备发现方法及装置 |
CN104066112A (zh) | 2013-03-21 | 2014-09-24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终端间直接通信的方法及系统 |
WO2014156120A1 (ja) * | 2013-03-26 | 2014-10-0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 |
US9210562B2 (en) * | 2013-04-04 | 2015-12-08 | Blackberry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discovery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CN109905838A (zh) * | 2013-06-09 | 2019-06-18 | 索尼公司 |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
CN104254144B (zh) * | 2013-06-27 | 2019-07-16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模式切换方法及装置 |
CN103533529B (zh) * | 2013-10-15 | 2016-06-01 | 北京邮电大学 | 一种提高d2d系统能效的资源复用的方法和系统 |
US9264968B2 (en) * | 2013-12-03 | 2016-02-16 | Apple Inc. |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with carrier aggregation |
MY193658A (en) | 2014-08-06 | 2022-10-23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Device-to-device (d2d) pre-emption and access control |
US10057752B2 (en) * | 2014-08-08 | 2018-08-21 | Koninklijke Kpn N.V. | Interference avoidance in D2D communications |
WO2016034198A1 (en) * | 2014-09-01 | 2016-03-10 | Huawei Technologies Duesseldorf Gmbh | Method and base station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CN106211332B (zh) * | 2015-05-05 | 2021-08-17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
-
2016
- 2016-03-29 JP JP2018538709A patent/JP686058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3-29 EP EP16895854.4A patent/EP3396992B1/en active Active
- 2016-03-29 US US16/071,442 patent/US10764897B2/en active Active
- 2016-03-29 MX MX2018010656A patent/MX391601B/es unknown
- 2016-03-29 WO PCT/CN2016/077723 patent/WO2017166073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3-29 CN CN201680080253.1A patent/CN108605219B/zh active Active
- 2016-03-29 KR KR1020187022263A patent/KR2018012594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7
- 2017-03-29 TW TW106110411A patent/TWI71918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8
- 2018-10-23 HK HK18113575.6A patent/HK1254609A1/zh unknown
-
2020
- 2020-07-28 US US16/941,459 patent/US11160085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2352A (ko) * | 2019-08-20 | 2021-03-03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무선망 최적화를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그 기지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764897B2 (en) | 2020-09-01 |
EP3396992A1 (en) | 2018-10-31 |
CN108605219A (zh) | 2018-09-28 |
US20200359370A1 (en) | 2020-11-12 |
US11160085B2 (en) | 2021-10-26 |
EP3396992A4 (en) | 2019-02-27 |
JP6860581B2 (ja) | 2021-04-14 |
TWI719181B (zh) | 2021-02-21 |
WO2017166073A1 (zh) | 2017-10-05 |
CN108605219B (zh) | 2022-05-24 |
TW201735713A (zh) | 2017-10-01 |
JP2019512905A (ja) | 2019-05-16 |
HK1254609A1 (zh) | 2019-07-26 |
MX2018010656A (es) | 2019-01-21 |
US20200059917A1 (en) | 2020-02-20 |
MX391601B (es) | 2025-03-21 |
EP3396992B1 (en) | 2022-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25947A (ko) | 기기 대 기기 통신의 전송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
CN109923890B (zh) | 测量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08683474B (zh) | 传输公共信号的方法及其装置 | |
CN115914986A (zh) | 感知数据传输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 |
JP2021503727A (ja) | サイドリンク通信におけるキャリア集約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KR20200077578A (ko) | D2d 통신에서 리소스를 선택하는 방법 및 단말기기 | |
JP2020533921A (ja) | キャリア選択方法及び通信装置 | |
CN105393622A (zh) | 用户设备的调度方法及设备 | |
CN111510906A (zh) | 一种能力交互方法及相关设备 | |
EP3220691B1 (en) | Network node selection and ac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 |
CN108260082A (zh) | 一种在v2x资源池中选择资源的方法和装置 | |
CN109565765B (zh) | 设备对设备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 |
CN111758280B (zh) | 网络接入节点及其方法 | |
US11057805B2 (en) | Mobility management method, network side device, internet-of-vehicles terminal, and system | |
JP2020518180A (ja) | 信号処理の方法及び装置 | |
CN115150937B (zh) | 一种通信方法和装置 | |
US1074329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 |
US20200413376A1 (en) | Method for carrier selection in vehicle to everyth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 |
CN115707061A (zh) | 中继选择方法和装置 | |
KR20150073103A (ko) | 유휴 모드 및 접속 모드와 관련된 사용자 장비 이동성 정보의 세부사항 시그널링 | |
CN114731544A (zh) | 一种基于网络切片的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 |
CN119521317A (zh) | 一种通信方法和通信设备 | |
CN115380571A (zh) | 小区搜索方法及装置 | |
KR20250048122A (ko) | 무선 통신 방법, 단말기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8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20128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