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18772A -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772A
KR20180118772A KR1020187028738A KR20187028738A KR20180118772A KR 20180118772 A KR20180118772 A KR 20180118772A KR 1020187028738 A KR1020187028738 A KR 1020187028738A KR 20187028738 A KR20187028738 A KR 20187028738A KR 20180118772 A KR20180118772 A KR 2018011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uide
cable
lock
strok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076B1 (ko
Inventor
톨스텐 벤델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11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0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1)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자동차(1) 외측에서 잡을 수 있는 핸들(4),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6) 및 핸들(4)을 이용하여 잠금 메커니즘(6)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8)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 수단(8)은 핸들(4)과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6)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8)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자동차 외측에서 잡을 수 있는 핸들 및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잠금 메커니즘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이 핸들과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 사이에 배열된다.
자동차들이 점차 더 많은 편의 기능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드 도어, 닫힘 보조 및/또는 전자식 잠금부가 있다. 전자식 잠금부, 이른바 e-lock은 잠금부가 전자식으로 작동하여 열리도록 할 수 있는 전자식 장치를 구비하는 잠금부 또는 잠금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잠금 시스템의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 예컨대 캐치와 폴을 포함하는 잠금 메커니즘이 전자식으로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잠금 시스템 또는 잠금 메커니즘을 열기 위해, 외부 도어 핸들과 같은 핸들과 잠금 시스템 사이에 기계적 연결부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핸들은 잠금 시스템으로 전송될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식 트랜스듀서를 가지며, 이로써 전자식 구동부가 활성화되어 잠금 시스템을 연다. 따라서 도어, 플랩, 슬라이드 도어 또는 후드가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열린다.
자동차에서 전력 강하가 일어난다면, 비상 열림을 위한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수단들이 있어야 한다. 그 열림 장치는 자동차를 위한 비상 열림 장치로 불릴 수도 있다. 전력 강하의 경우, 예컨대 자동차에서 이동하도록 배열된 자동차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열 수 있기 위해, 예컨대 서로 다른 기계적 수단들이 알려져 있는데, 이에 의해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잠금부가 비상시에 열릴 수 있다.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도어 잠금부를 열기 위한 핸들 구성요소가 예컨대 DE 196 42 698 C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 방안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핸들 구역이 자동차 섀시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핸들 구역은 도어 잠금부를 열 수 있는 압력 스위치를 갖는다. 관용적인 작동으로, 핸들 구성요소는 자동차의 바깥쪽 면에 이웃하여 견고하게 부착된다.
만약 사고 시 예컨대 전력 강하가 일어나면, 전자석이 작동하여 회전 레버가 해제되도록 잠금 볼트를 움직인다. 이는 보덴 케이블과 연결된 기어휠이 해제되도록 한다. 기어휠에 연결된 보덴 케이블은 기어휠이 움직이는 동안, 잡아당기는 동작이 보덴 케이블상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도어 잠금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기어휠은 핸들 요소에 부착된 랙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 기어휠의 해제에 의해, 핸들 구성요소가 회전하여 자동차의 바깥쪽 면 밖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랙은 기어휠과 동작하여 보덴 케이블을 잡아당긴다. 따라서 비상시 잠금부의 기계적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식 잠금부를 열기 위한 다른 핸들 장치가 DE 10 2006 027 774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일측이 이동할 수 있는 핸들 요소는 고정적인 핸들 구성요소에 배열된다. 센서는 핸들 요소 내에 배치되어, 핸들 요소를 잡는 동안 열림 명령이 전자식 잠금부로 전송되도록, 잠금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식 잠금부를 작동하기 위해 핸들 요소가 반드시 이동할 필요는 없다. 다만 전력 강하 시, 잠금부의 기계적 작동이 제공된다.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핸들 요소는 잠금부에 대한 기계적 연결 요소를 활성화하기 위해 극복해야 될 포스 잠금 유닛과 상호 작용한다. 파워 잠금 유닛은 예컨대 가압 스프링이나 래칫 연결부일 수 있다.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가 미공개 DE 10 2015 115 221.5로부터 알려지는데, 여기서 핸들 구성요소는 섀시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핸들 구성요소는 일측이 장착되어, 수용부의 타측이 약간 스트로크하여 이동할 수 있다. 스트로크는 제한적인데, 핸들 구성요소에 전자식으로 작동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거나, 핸들 구성요소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 제한 수단이 사용된다. 정상 작동 동안, 핸들 구성요소의 약간의 스트로크는 열림 신호가 잠금부로 전송될 수 있도록, 센서 요소를 작동할 수 있다. 전력 강하로 인해 잠금부의 전자식 열림이 불가능할 경우, 구동 유닛은 핸들 구성요소의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경로 제한 수단을 움직여, 비상시 전자식 잠금부를 기계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핸들 구성요소의 큰 스트로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위 방안들의 단점은 핸들 구성요소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핸들과 잠금부 사이에 정해진 기계적 연결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예컨대 기계적 및 구조적 구성과 보덴 케이블의 연결부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은 구조적 수단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전력 강하나 중단 시 전자식 잠금부가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위한 열림 장치, 특히 비상 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식 잠금부의 작동을 위한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비용 효율적인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독립항인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설계들은 하위 청구항에서 특정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그 대신 발명의 설명과 하위 청구항에서 설명된 특징들의 임의의 변경이 가능하다.
제1항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동차 외측에서 잡을 수 있는 핸들 및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잠금 메커니즘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이 핸들에 의해 핸들과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 사이에 배열되고, 구동 수단은 케이블인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해결된다. 케이블의 형태인 구동 수단의 형태에 의해, 최소의 구조적 수단으로 핸들과 잠금부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케이블은 핸들 구성요서에 부착되기 위해 구조적 수단에 연결되지 않으며, 케이블은 예컨대 시스와 같은 별도의 가이드를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
나아가 케이블은 매우 비용 효율적이며, 예컨대 측 방향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가 전자식 잠금부와 핸들 구성요소 사이에서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이 전력 강하 시 전자식 잠금부를 위한 구동 수단으로 이용되면 다양한 이점을 낳는다. 한편으로는 핸들 구성요소과 잠금부에 대한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며, 두 번째로는 케이블의 설치가 구조적 보조부 없이 가능하고, 세 번째로 케이블의 이용은 비용 효율적인 연결 옵션이다.
열림 장치는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그 용도는 도어 또는 플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전방 플랩 및/또는 카브리오 루프와 같은 커버 및/또는 중앙 암레스트에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본 장치는 자동차에서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잠금 시스템이 사용되는 모든 곳에 이용될 수 있다. 핸들은 핸들 구성요소의 형태로 자동차에 회전 가능하게 주로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한편으로는 핸들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잠금부를 활성화하는 옵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핸들 구성요소로 예컨대 측 방향 도어를 수동으로 열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다만 핸들이 예컨대 테일게이트에 이용될 경우, 핸들은 커버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단 핸들은 자동차에서 전력 강하 시, 사용자에 의해 자동차 외측에서 잡힐 수 있도록 자동차에 배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으로서 잠금 메커니즘 및/또는 잠금부는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즉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 잠금 메커니즘이 잠금 해제되고 잠금부가 예컨대 잠금 홀더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잠금 장치의 전자식 작동 이후, 도어 또는 플랩은 수동으로 및/또는 전자식으로 및/또는 관련 구동부에 의해 열릴 수 있게 된다.
핸들은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핸들은 바람직하게는 커버, 플랩 및/또는 후드가 용이하게 열릴 수 있도록, 사용자가 핸들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영역에 배열된다. 핸들은 2-3mm 정도의 약간의 스트로크를 실행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섀시에 통합된다. 핸들 스트로크에 의해 센서가 작동하여, 열림 메커니즘을 개시하기 위해 전자식 잠금부로, 특히 잠금 메커니즘의 열림을 발동하기 위해 전자식 모터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잠금 메커니즘은 예컨대 스프링 보조 방식으로 및/또는 압력 밀봉 플랩에 의해 완전히 열리게 된다. 전력 강하 시, 센서 또는 전자식 잠금부에 대해 에너지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전력 강하 시, 잠금부는 자동으로 볼트 해제되어, 기계적 잠금 해제 체인이 닫히도록 하며, 잠금부가 예컨대 외부 구동 레버나 내부 구동 레버의 잠금부의 기계적 작동에 의해 기계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서, 케이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플라스틱 케이블은 한편으로는 연성으로 가볍고, 시스와 같은 가이드 요소 없이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은 구조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에 걸쳐, 핸들과 잠금부 사이에 의도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전자식 열림이 불가능할 때에만 사용되는 비상 작동을 포함함으로써, 핸들과 잠금부 사이에 케이블의 구조적으로 정교한 가이드가 생략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의 다른 이점은 잠금부를 작동하기에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갖는 비용 효율적인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꼬인 및/또는 대향하는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은 인장력이 전달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케이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성의 와이어 또는 와이어 케이블로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설계 형태를 낳는다. 연성의 와이어 케이블은 비용 효율적이며, 큰 구조적 대가 없이 핸들 구성요소나 핸들 및 잠금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중단 및/또는 사고 시 핸들에 의해 잠금부로 강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케이블에 가장 강력한 힘이 전달될 수 있다. 가장 강한 힘은 와이어 케이블이 둘 이상, 특히 서로 감싸거나 꼬인 다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경우,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구동 수단이 연성의 와이어 케이블이라면, 와이어 케이블이 핸들 운동에 의해 작동할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와이어 케이블을 위해 구조적으로 정교한 가이드가 필요 없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핸들은 자동차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핸들의 회전 가능한 배열은 사용자에게 핸들이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자동차의 z 방향으로 핸들의 이동성은 수용부의 형태인 고정 수단에 의해, 한편으로는 핸들에 대한 품질 특성이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동 수단이 핸들의 정확한 가이드에 의해 정교하게 정해진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도록 품질 규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이 일측에서 장착되고 그 장착부의 타측에서 가이드되도록 수용되면 이점을 낳는다. 동시에 핸들 가이드는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으로는 핸들이 높은 품질 규격에서부터 가장 높은 품질 규격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핸들의 가이드는 정해진 경로에 걸쳐 구동 수단을 가이드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따라서 핸들 가이드는 구동 수단의 매우 정확한 이동과 동시에, 사용자에 대한 촉각적 피드백의 옵션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의 래칫 윤곽부는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이는 예컨대 그 구조에 따라 핸들이 가이드에서 가볍거나 무겁게 또는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가 핸들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멈춤부를 둘러싸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가이드에 몇몇 기능들이 부여된다. 한편으로는 가이드가 품질 특성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가이드에 의해 촉각적 피드백에 설정될 수 있고, 나아가 가이드에 의해 핸들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옵션이 생긴다. 가이드는 핸들에 배열된 홈 및/또는 상승부가 가이드의 상승부 및/또는 홈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내의 핸들의 형상 끼워맞춤식 수용에 의해, 한편으로는 핸들의 가이드가 품질 규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스트로크와 촉각적 피드백이 충격으로 정해질 수 있다. 멈춤부는 바람직하게는 핸들이나 핸들 구성요소가 정상 작동 시 장착부의 타측에서 2-3mm의 스트로크를 완료하여, 전자식 잠금부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들 구성요소의 2-3mm의 스트로크 이후, 핸들 구성요소는 스트로크가 제한될 수 있도록, 가이드의 영역에서 멈춤부를 압박한다. 이처럼 제한된 스트로크에 의해, 구동 수단으로 이동이 시작된다. 다만 이러한 스트로크는 구동 레버, 바람직하게는 잠금부의 외부 구동 레버를 작동하여 기계적 체인이 발동되거나 작동하여 잠금 메커니즘을 열도록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유리하게는 멈춤부는 핸들과 가이드 사이에서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식으로 형성된다. 핸들과 가이드 사이의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식 연결에 의해, 구동 수단이 정확하고 정해진 방식으로 가이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은 사용자를 위한 촉각적 피드백을 정의하며, 말하자면 핸들 구성요소를 위한 가이드 수단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구동 수단을 절곡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다. 스트로크를 제한하고 핸들을 가이드하는 것에 더하여, 가이드는 다른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즉 구동 수단은 적어도 핸들 영역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는 케이블을 위한 리세스로 형성되거나, 의도된 방식으로 케이블을 절곡할 수 있다. 케이블의 가이드 및/또는 절곡은 전자식 잠금부에 대한 케이블의 최적화된 정렬이 형성될 수 있도록 케이블이 가이드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케이블이 예컨대 브리지에 걸쳐 가이드되거나, 잠금부의 구동 레버의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가이드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는 예컨대 케이블이 관통하여 가이드될 수 있는 보링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는 케이블이 잠금부의 구동 레버로 가이드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잠금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핸들이 가이드 밖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낳는다. 즉 전력 강하가 일어나면, 핸들이 가이드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는 핸들이 더 강한 힘에 의해 가이드 밖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핸들은 핸들의 첫 번째의 약간의 작동 동안 멈춤부와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가 촉각적 피드백을 느끼도록 하며, 핸들 구성요소의 관용적인 또는 정상 구동 경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력 중단 시, 자동차 사용자에게 전술한 옵션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는 가이드로부터 멈춤부를 거쳐 핸들 구성요소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실제 멈춤부 너머로 핸들 구성요소를 회전시키는 것은 케이블을 작동하여 잠금부의 비상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매우 큰 경로 또는 스트로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은 관용적인 비상 작동 동안, 20mm의 핸들 구성요소의 비상 작동 경로 또는 스트로크가 적용된다면, 가이드 밖으로 핸들 구성요소로 움직임으로써 케이블 작동을 위한 훨씬 더 큰 스트로크 또는 구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으로 이는 잠금부의 구동 레버를 작동하기 위해, 예컨대 정해진 케이블 가이드 및 15 내지 20mm의 스트로크에 관한 정확한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로써 가이드 밖으로 핸들을 움직여 훨씬 더 큰 스트로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핸들에서 스트로크가 20mm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30mm보다 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및 50mm인 핸들의 스트로크 또는 경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성의 케이블 또는 와이어의 정해진 설치가 생략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핸들과 잠금부 사이의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다. 비상 작동 이후, 핸들은 다시 가이드에 단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써 가이드는 다시 정상 작동을 위한 멈춤부의 형태로 제한을 가한다. 즉 비상 작동은 가역적이다.
핸들이 과도한 힘에 의해 가이드 밖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낳는다. 유리한 방식으로, 핸들은 과도한 힘에 의해 가이드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밖으로 이동하는 것은 핸들이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식 가이드 밖으로 멈춤부 너머 이동 가능함으로써 일어난다. 핸들 구성요소가 언제든 밖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 및/또는 플랩도 언제든 비상 작동 및 수동 열림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구동 체인이 외부 작동을 위한 잠금부에서 방해되는 본 발명에 대한 이점이 된다. 이는 예컨대 잠금부의 볼트 체결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식 잠금부는 볼트 체결된 형태에서 유리하게 나타난다. 전력 강하 시, 볼트 체결은 승강될 필요가 있으며, 잠금부는 볼트 해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은 핸들은 멈춤부에 의한 핸들의 해제 이후에 가이드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 강한 힘에 의해 가이드 밖으로 핸들 구성요소를 움직이는 것에 더하여, 핸들 영역 밖으로 멈춤부를 움직일 수도 있다. 이는 예컨대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다만 파지부 또는 핸들이 가이드 밖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멈춤부가 핸들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수동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아무튼 핸들의 큰 경로에 의해, 케이블이 전자식 잠금부를 위한 구동 수단으로 이용되어, 전자식 잠금부의 비용 효율적이고 구조적으로 단순한 비상 구동 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반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본 발명이 더 설명된다. 다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유리한 실시예를 구성할 뿐이다. 서술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발명의 설명과 청구항의 다른 특징들 각각 또는 그 조합과 함께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측면도로, 핸들을 갖는 측 방향 도어의 영역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의한 단면도로, 핸들의 영역으로서 비작동 위치이다.
도 3은 도 1의 Ⅱ-Ⅱ 선에 의한 단면도로, 핸들의 영역으로서 핸들이 정상 작동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 4는 도 1의 Ⅱ-Ⅱ 선에 의한 단면도로, 핸들이 가이드 밖으로 이동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의 측면도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측 방향 도어는 측 방향 도어 패널(3)과 핸들(4)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 측 방향 도어(2)는 닫힌 상태로 나타나 있는데, 자동차의 측 방향 벽체(5)에 나란하게 위치한다. 측 방향 도어(2)는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닫힌 위치에서 고정된다.
핸들(4)의 영역에서, 자동차 측 방향 도어(2)는 사용자가 핸들(4)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자동차 측 방향 도어(2)에 홈의 형태인 리세스(7)를 갖는다. 구동 수단(8)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구동 수단(8)은 일측이 핸들(4)에 연결되고,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6)의 영역에서 구동 레버(9)와 연결된다. 자동차 잠금부(6)는 잠금 메커니즘(미도시)에 의해, 측 방향 벽체(5)에 장착된 잠금 홀더와 관용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도 1의 Ⅱ-Ⅱ 선에 의한 단면도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핸들(4), 자동차 측 방향 도어(2) 및 연장부(10)에 연결된 구동 수단(8)이 도시되어 있다. 핸들의 연장부(10)는 가이드(11)에 수용되어 장착된다. 핸들은 지지점(12)에 장착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자동차 측 방향 도어(2)의 장착부(13)에 수용된다.
가이드(11)는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11)에서 홈의 일부분으로 형성된 멈춤부(14)를 갖는다. 핸들(4)의 연장부(10)는 적어도 y 축의 방향으로, 핸들(4)이 자동차(1)에 대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홈(15)에 대응되는 상승부(16)를 갖는다. 실시예 및 핸들(4)의 가이드의 품질에 따라 한 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홈(15)과 그에 대응되는 상승부(16)가 가이드(11)에 배열될 수 있다. 홈(15)과 상승부(16)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11)의 둘레에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대칭적인 배열은 핸들(4)이 가이드(11)에서 매우 정교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라 상승부(16)가 가이드(11)에 형성되고, 홈(15)이 핸들(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가이드(11)나 핸들(4)에서 홈(15)과 상승부(16)의 조합된 구성도 가능하다.
도 1의 Ⅱ-Ⅱ 선에 의한 단면도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핸들(4)의 위치가 작동 위치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핸들(4)은 스트로크(H1)를 완료하며, 이에 의해 예컨대 센서가 작동할 수 있고, 이로써 센서가 잠금 메커니즘이나 자동차 잠금부(6)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자동차(6)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한다. 스트로크(H1)는 예컨대 2-3mm의 스트로크일 수 있다. 스트로크(H1)는 인장력(F1)으로서 작은 힘(F1)에 의해 핸들(4)에서 이루어진다. 스트로크(H1) 이후, 연장부(10), 특히 연장부(10)의 상승부(16)가 가이드(11)의 멈춤부(14)에 도달한다. 이에 핸들(4)을 잡아당김으로써 제공된 스트로크(H1)가 가이드(11)와 핸들(4)의 연장부(10)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제한될 수 있다.
도 3은 멈춤부(14)가 핸들(4)과 형상 끼워맞춤(form-fittingly)식으로 형성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핸들의 적은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핸들(4)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경로 제한의 구조적으로 유리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도 4에서, 도 1의 Ⅱ-Ⅱ 선에 의한 도면이 나타나 있다. 비상 열림 시 핸들(4)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핸들은 가이드(11)의 맞물림 영역 밖으로 잡아당겨져 있다. 연장부(10)의 상승부(16)는 가이드 및 자동차 측 방향 도어(2)와 분리되도록, 멈춤부(14) 너머로 당겨진다. 그 힘(F2)은 전술한 힘(F1)보다 매우 더 크다. 당연히 가이드(11) 밖으로 핸들(4)을 잡아당김으로써 핸들(4)에서 매우 큰 스트로크(H2)가 이루어질 수 있다. 스트로크(H2)는 스트로크(H1)보다 상당히 더 크며, 예컨대 30mm일 수 있다.
자동차 측 방향 도어 밖으로 핸들 또는 핸들 구성요소(4)를 움직임으로써, 매우 큰 스트로크가 제공되어 구동 수단(8)을 작동할 수 있다. 구동 수단(8)은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이다. 핸들 가이드의 기능에 더하여, 가이드(11)는 예컨대 케이블(8)이 잠금부(6)의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절곡될 수 있도록, 절곡부(17)의 형태인 가이드 윤곽부(17)를 갖는다.
30mm보다 클 수 있는, 특히 예컨대 50mm일 수도 있는 큰 스트로크(H2)에 의해, 케이블(8)의 설치 동안 작용이 오프셋될 수 있으며, 잠금부(6)에서 구동 레버(9)의 안전한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
1: 자동차
2: 자동차 측 방향 도어
3: 측 방향 도어 디스크
4: 핸들
5: 측 방향 벽체
6: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 잠금부
7: 리세스
8: 구동 수단
9: 구동 레버
10: 연장부
11: 가이드
12: 지지점
13: 장착부
14: 멈춤부
15: 홈
16: 상승부
17: 절곡부, 가이드 윤곽부
H1, H2: 스트로크
F1, F2: 힘
X: 자동차에 대한 x축의 방향
Y: 자동차에 대한 y 축의 방향
Z: 자동차에 대한 z 축의 방향

Claims (11)

  1. 자동차(1)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가 자동차(1) 외측에서 잡을 수 있는 핸들(4) 및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6)을 포함하여,
    잠금 메커니즘(6)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8)이 핸들(4)에 의해, 핸들(4)과 자동차 잠금 메커니즘(6) 사이에 배열되되,
    구동 수단(8)은 케이블(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성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핸들(4)은 자동차(1)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핸들(4)은 일측에서 장착되며, 타측에서 가이드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가이드(11)는 핸들(4)의 이동(H1, H2)이 제한될 수 있도록, 멈춤부(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7.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멈춤부(14)는 핸들(4)과 가이드(11) 사이에서 형상 끼워맞춤(form-fitting)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force-fitting)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이드(11)는 구동 수단(8)을 절곡하기 위한 장치(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핸들(4)은 가이드(11) 밖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핸들(4)은 강한 힘(F2)에 의해 가이드(11) 밖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핸들(4)은 멈춤부(14)에 의한 핸들(4)의 해제 이후에 가이드(11) 밖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장치.
KR1020187028738A 2016-03-04 2017-03-01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Active KR102342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3926.8A DE102016103926A1 (de) 2016-03-04 2016-03-04 Vorrichtung zum Öffnen einer Tür oder Klappe an einem Kraftfahrzeug
DE102016103926.8 2016-03-04
PCT/DE2017/100161 WO2017148475A1 (de) 2016-03-04 2017-03-01 Vorrichtung zum öffnen einer tür oder klappe an einem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772A true KR20180118772A (ko) 2018-10-31
KR102342076B1 KR102342076B1 (ko) 2021-12-23

Family

ID=5854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738A Active KR102342076B1 (ko) 2016-03-04 2017-03-01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86170B2 (ko)
EP (1) EP3423655B1 (ko)
JP (1) JP6926380B2 (ko)
KR (1) KR102342076B1 (ko)
CN (1) CN109072642B (ko)
DE (1) DE102016103926A1 (ko)
WO (1) WO2017148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4773B4 (de) * 2016-12-10 2024-03-28 Audi Ag Ent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klappe
DE102017102898A1 (de) 2017-02-14 2018-08-16 Kiekert Ag Kraftfahrzeug
DE102018107503A1 (de) * 2018-03-28 2019-10-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für eine Tür oder eine Klappe
CN110284780A (zh) * 2019-06-11 2019-09-27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门开启装置和汽车
EP3832057B1 (en) * 2019-12-04 2023-01-25 U-Shin Italia S.p.A. Door leaf handle for a motor vehicle
CN111206834A (zh) * 2020-01-10 2020-05-2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隐藏式门把手及汽车
JP7330140B2 (ja) * 2020-06-23 2023-08-21 ミネベアアクセス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20220009211A (ko) * 2020-07-15 2022-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용 유격조정장치
DE102022127594A1 (de) * 2022-10-19 2024-04-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lügelelement, insbesondere Fahrzeugtür,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DE102022127595A1 (de) * 2022-10-19 2024-04-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tür für einen Kraftwagen, insbesondere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sowie Kraftwagen
DE102022131291A1 (de) * 2022-11-25 2024-05-29 H+E Molding Solutions GmbH Öffnungsmechanismus für eine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r Notentriegelung eines Öffnungsmechanismus
DE102023131323A1 (de) * 2023-11-10 2025-05-15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ür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253A (ja) * 1995-07-07 1997-01-21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US6447030B1 (en) * 2000-08-25 2002-09-10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with detented closed position
KR20030093222A (ko) * 2001-03-01 2003-12-06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US20070170727A1 (en) * 2006-01-10 2007-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atch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2009203604A (ja) * 2008-02-26 2009-09-10 Takigen Mfg Co Ltd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JP2010024802A (ja) * 2008-07-24 2010-02-0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及び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2565U (ja) * 1983-06-08 1984-12-20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と操作装置との連結装置
US5531489A (en) * 1994-09-23 1996-07-02 Atoma International Inc. Anti-kink cable for automotive door handles
JP3379333B2 (ja) * 1996-05-13 2003-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
DE19642698C2 (de) 1996-10-16 2000-11-09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Türgriff für ein Kraftfahrzeug
EP1197620A3 (en) * 2000-10-10 2004-01-02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latch
US6964439B2 (en) * 2001-01-11 2005-11-1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handle device
EP1549814A2 (fr) * 2002-10-11 2005-07-06 Mecaplast Sam Dispositif de commande d ouverture d ouvrants de vehicu le automobile
US20070138802A1 (en) * 2005-12-07 2007-06-21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DE102006029774A1 (de) 2006-06-27 2008-01-0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DE102007057866B4 (de) * 2007-08-01 2014-07-03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Türmodul für Fahrzeugtür und Montageverfahren
DE202008003845U1 (de) 2008-03-19 2009-08-13 Kiekert Ag Türverschlus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US8469411B2 (en) * 2008-09-24 2013-06-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handle and latch assembly
FR2953782B1 (fr) * 2009-12-15 2012-01-13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d'activation de systeme mains-libres
JP5732795B2 (ja) * 2010-09-22 2015-06-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DE202011002154U1 (de) * 2011-01-31 2012-05-0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US8317237B1 (en) * 2011-08-26 2012-1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lease handle for vehicle closure lid latch
DE102013109912A1 (de) * 2013-09-10 2015-03-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anordnung
US10072448B2 (en) * 2014-05-29 2018-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DE102014018095A1 (de) * 2014-12-09 2016-06-0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griffanordnung mit Führung des Handgriffs
DE102015004985A1 (de) * 2015-04-18 2015-12-17 Daimler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CN204728848U (zh) * 2015-04-21 2015-10-2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外开把手限位结构
CN204691470U (zh) * 2015-06-24 2015-10-07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辆门把手的惯性锁机构
DE102015115221A1 (de) * 2015-09-10 2017-03-16 Kiekert Ag Handhabe eines Kraftfahrzeugtürgriff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253A (ja) * 1995-07-07 1997-01-21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US6447030B1 (en) * 2000-08-25 2002-09-10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with detented closed position
KR20030093222A (ko) * 2001-03-01 2003-12-06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US20070170727A1 (en) * 2006-01-10 2007-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atch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2009203604A (ja) * 2008-02-26 2009-09-10 Takigen Mfg Co Ltd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JP2010024802A (ja) * 2008-07-24 2010-02-0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及び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8475A1 (de) 2017-09-08
DE102016103926A1 (de) 2017-09-07
JP6926380B2 (ja) 2021-08-25
EP3423655A1 (de) 2019-01-09
US20200291694A1 (en) 2020-09-17
CN109072642A (zh) 2018-12-21
JP2019508611A (ja) 2019-03-28
CN109072642B (zh) 2020-10-30
US11486170B2 (en) 2022-11-01
KR102342076B1 (ko) 2021-12-23
EP3423655B1 (de)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8772A (ko)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CN106489015B (zh) 机动车锁装置
JP6989208B2 (ja)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
US6519986B2 (en) Locking device
US9322191B2 (en) Grip device, in particular for a vehicle
US9631404B2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CN111356817A (zh) 用于机动车门的开启设备
KR102554688B1 (ko) 차량용 록
US9410345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US20070216170A1 (en) Clo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cover of a motor vehicle
CN107152207B (zh) 改进的门锁致动器,尤其是内门锁致动器
CN107849876B (zh) 用于前罩的具有电驱动装置的安全设备
CN113574241B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US9638299B2 (en) Actuating device
CN113195858B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EP1950366B1 (en) Handle group with safety device for motor vehicle door
US2020011593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opening mechanism
US20180252007A1 (en) Safety device for bonnets comprising an electric drive and lockable actuator
CN115552088A (zh) 用于机动车的车门开启器
EP2195500B1 (en) Door latch with fast unlock
CN114086840A (zh) 用于车辆锁闩中的窗板按钮界面的整体杆结构
CN116648550A (zh) 机动车锁
EP3702560B1 (en) Automobile key operation mechanism
CN118541529A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US12024937B2 (en) Partial-opening device for a motor-vehicle door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