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539A - 전기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3539A KR20180113539A KR1020187024162A KR20187024162A KR20180113539A KR 20180113539 A KR20180113539 A KR 20180113539A KR 1020187024162 A KR1020187024162 A KR 1020187024162A KR 20187024162 A KR20187024162 A KR 20187024162A KR 20180113539 A KR20180113539 A KR 201801135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connector
- contact
- contact sleeve
- casing wall
- electr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원통형 하우징(10)과, 케이싱 벽(14)을 가지는 중공 원통 형태의 접촉 슬리이브(12)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인데, 접촉 슬리이브가 하우징(10)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고, 탄성적으로 휠 수 있고 자유단(20)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스프링 텅(16)이 접촉 슬리이브(12)의 케이싱 벽(14) 상에 배치되어 자유단(20)이 접촉 슬리이브(12)의 케이싱 벽(14)의 면외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와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하는 접촉면(2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슬리이브의 케이싱 벽(14)의 외주 상에 케이싱 벽(14) 면외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세개의 리브(24)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공(hollow) 원통형 하우징과 케이싱 벽(casing wall)을 가지는 중공 원통 형태의 접촉 슬리이브(contact sleeve)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라 접촉 슬리이브는 하우징의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대응(counterpart) 커넥터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탄성적으로 휠(deflect) 수 있고 자유단(free end)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프링 텅(contact spring tongue)이 접촉 슬리이브의 케이싱 벽 상에 배치되어 자유단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접촉 슬리이브의 케이싱 벽 면외로(beyond) 돌출하여 대응 커넥터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동축(coaxial) 플러그 커넥터 등의 플러그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들의 분리 가능한 연결에 사용된다. 동축 플러그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과 같이 동축으로 설계되어 동축 케이블의 이점, 즉 낮은 전자기(electromagnetic) 영향(influencing) 및 방출(emission)을 나타낼 뿐 아니라 양호한 전기적 차폐(shielding)와, 동축 플러그 커넥터와 동축 케이블 간의 전이점(transition point)에서의 반향(reflection)을 방지(avoid)하기 위한 값에 해당하는 양호한 임피던스(impedance) 역시 나타낸다. 약어로 coax cable로도 지칭되는 동축 케이블은 중공 원통형의 외부 도체(outer conductor)에 일정한 거리로 둘러싸인 (코어(core)로도 지칭되는) 내부 도체(inner conductor)를 가지는 동심(concentric) 구조의 2극(two-pole) 케이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외부 도체는 내부 도체를 전자기 간섭 방사(radiation)에 대해 차폐한다.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 사이의 공간에는 절연체(insulator) 또는 유전체(dielectric)가 배치된다.
동축 플러그 커넥터는 RF 신호들의 반향 없는(reflection-free) 전송을 위해 미리 설정된 대로 예를 들어 50 Ω의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동축 플러그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는 특히 외부 도체의 내경(inner diameter)과 내부 도체의 직경 간의 비에 좌우된다. 그러므로 동축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동축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은 동축 케이블의 내경과 외경(outer diameter)에 맞춰진 동축 플러그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외력(external force)의 작용에 기인하는 손상에 대한 저항력 측면에서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개선하는 문제에 기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문제는 청구항 1을 특징짓는 특징들을 가지는 전술한 방식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들은 추가적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방식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접촉 슬리이브의 케이싱 벽의 외주(outer periphery)에 케이싱 벽 면외의(beyond)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세개의 리브(rib)들이 형성된다.
이는 대응(counterpart) 플러그 커넥터가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플러그 결합될(plugged) 때, 경사진(oblique) 인장력(tensile force)이 대응 플러그 커넥터에 인가되면 접촉 슬리이브가 리브들로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됨으로써 접촉 슬리이브 또는 탄성 접촉 스프링 텅(contact spring tongue)들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각 접촉 스프링 텅이 접촉 슬리이브의 케이싱 벽의 U-형 절개부(cut-out)에 의해 형성되므로 특히 제조가 간단한 플러그 커넥터가 이뤄진다.
리브들이 접촉 슬리이브의 케이싱 벽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등거리로 이격되어 접촉 슬리이브의 하우징 내부 상의 등거리(equidistant)의 안정된 지지가 이뤄진다.
리브들의 영역에서 접촉 슬리이브의 외경이 하우징의 내경보다 크므로 리브들의 영역에서 접촉 슬리이브의 탄성 변형에 기인하는 복원력에 의해 접촉 슬리이브가 하우징 내에 특히 견고하게 지지(hold)될 수 있다.
접촉 슬리이브가 스탬핑 절곡(stamped-bent) 부품으로 제조되므로 제조가 간단히 이뤄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인 바,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 플러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슬리이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 플러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슬리이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중공 원통(hollow cylinder) 형태이고 그 내부에 접촉 슬리이브(contact sleeve; 12)를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 1)을 가진다. 접촉 슬리이브(12) 역시 중공 원통형으로 도 2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보이듯,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축방향으로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와 플러그 결합(plugged)되어 전기 플러그 커넥터와 대응 플러그 커넥터 간에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이 생성되도록 설계된다. 이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는 플러그 결합된 상태(plugged-together state)에서 접촉 슬레이브(12)의 내측에 대향(face)하는 외면(outer surface; 110)을 가진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 접촉 슬리이브(12)는 케이싱 벽(casing wall; 14)과, 케이싱 벽914) 상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휠(deflect) 수 있는 세 접촉 스프링 텅(contact spring tongue; 16)들을 가진다. 각 접촉 스프링 텅(16)들은 케이싱 벽(14)의 U-형 절개부(cut-out)(18)에 의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케이싱 벽(14)의 일측에 형상 체결(form-locking) 방식으로 연결된다. 달리 말해, 각 접촉 스프링 텅(16)은 케이싱 벽(14)의 일부지만 이에 대해 변형된다. 이에 따라 각 접촉 스프링 텅(16)은 전기적 접촉 면(electrical contact surface; 22)을 형성하는 자유단(free end; 20)을 가진다.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가 플러그 결합될 때, 이 전기적 접촉 면(22)은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의 외면(110)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하게 된다. 전체 접촉 슬리이브(12)는 바람직하기로 탄성 및 도전성 재질로 구성된다.
접촉 스프링 텅(16)은 비부하 상태(unloaded state)에서, 그 자유단(20)이 케이싱 벽(14)의 접촉 슬리이브(12) 면외의(beyond)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설계된다.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가 밀려들어오면, 접촉 스프링 텅(16)은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의 외면(110)에 기계적으로 접촉하여 접촉 슬리이브(1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휨으로써, 전기적 접촉 면(22)과의 접촉력으로서의 탄성 복원력이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의 외면(110)과의 전기적 접촉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슬리이브(12)의 케이싱 벽(14)의 외부 상에 반경 방향으로 리브(rib; 24)들이 형성되는데, 이들은 예를 들어 스탬핑(stamping)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 리브(24)들은 접촉 슬리이브(12)의 케이싱 벽(14) 면외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그 결과 하우징(10)의 내벽(26) 상에 놓이게 된다(도 1).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촉 슬리이브(12)의 축방향으로 접촉 슬리이브(12)의 소정의 축방향 부분에 걸쳐 연장된 세개의 리브(24)들이 구비된다. 이 리브(24)들은 접촉 슬리이브(12)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등거리로 이격(space apart), 즉 접촉 슬리이브(12)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리브(24)들이 서로 원주 방향으로 120°의 각도로 이격(offset)된다. 세개의 리브(24)들의 이러한 등거리 배치는 접촉 슬리이브(12)가 하우징(10) 내부의 규정된 위치에 자리하도록 하여 접촉 슬리이브(12)가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우징 상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oblique) 인장력(tensile force)(28)이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에 인가되고 경사진 인장력(28)이 접촉 슬리이브(12)의 종축(30)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다면, 접촉 슬리이브는 리브(23)들에 의해 하우징(10) 내에 지지됨으로써 손상되지 않는다. 경사진 인장력(28)의 인가될 때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의 휨(deflection)이 방지됨에 따라 접촉 스프링 텅(16)의 과도한 연장(overstretched)이나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세개의 리브(24)들의 등거리 배치는 경사진 인장력(28)이 작용하는 반경 방향에 무관하게 지지의 기능을 보장한다. 달리 말해, 하우징(10)과, 접촉 슬리이브(12) 및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의 동축 배치가 경사진 인장력(28)의 작용 하에서도 거의 유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들이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와 플러그 결합되었을 때 플러그 커넥터 상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유지된다.
Claims (5)
-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케이싱 벽(14)을 가지는 중공 원통 형태의 접촉 슬리이브(12)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로, 접촉 슬리이브(12)가 하우징(10)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고, 탄성적으로 휠 수 있고 자유단(20)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스프링 텅(16)이 접촉 슬리이브(12)의 케이싱 벽(14) 상에 배치되어 자유단(20)이 접촉 슬리이브(12)의 케이싱 벽(14)의 면외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대응 플러그 커넥터(100)와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하는 접촉면(22)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서,
접촉 슬리이브의 케이싱 벽(14)의 외주에 케이싱 벽(14) 면외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세개의 리브(24)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 청구항 1에서,
각 접촉 스프링 텅(16)이 접촉 슬리이브(12)의 케이싱 벽(14)의 U-형 절개부(1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 청구항 1 또는 2에서,
리브(24)들이 접촉 슬리이브(12)의 케이싱 벽(14)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등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 선행하는 항들 중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리브(24)들의 영역에서 접촉 슬리이브(12)의 외경이 하우징(10)의 내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 선행하는 항들 중의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슬리이브(12)가 스탬핑 절곡 부품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EP2016/000339 WO2017144072A1 (de) | 2016-02-26 | 2016-02-26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3539A true KR20180113539A (ko) | 2018-10-16 |
Family
ID=5544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4162A Withdrawn KR20180113539A (ko) | 2016-02-26 | 2016-02-26 | 전기 플러그 커넥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553977B2 (ko) |
EP (1) | EP3420612B1 (ko) |
JP (1) | JP7005507B2 (ko) |
KR (1) | KR20180113539A (ko) |
CN (1) | CN108701930A (ko) |
TW (1) | TW201731170A (ko) |
WO (1) | WO201714407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111293A1 (de) * | 2017-05-23 | 2018-11-29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Kontaktstift |
GB2569837B (en) * | 2018-07-31 | 2020-01-01 | Castree Projects Ltd | Zipline rail coupling |
US10992087B2 (en) | 2018-12-13 | 2021-04-27 | Amphenol Corporation |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 |
DE102019114646A1 (de) | 2019-05-31 | 2020-12-03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Steckverbindersystem |
US11075488B2 (en) | 2019-11-25 | 2021-07-27 |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 Impedance control connector with dielectric seperator rib |
DE102019131791B8 (de) * | 2019-11-25 | 2022-10-13 | Hanon Systems | Anordnungen zum Verbinden elektrischer Anschlüsse für eine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sowie Verfahren zum Montieren der Anordnungen und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sowie Verwendung der Vorrichtung |
US11146010B2 (en) | 2019-12-09 | 2021-10-12 |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 Overmolded contact assembly |
US11011875B1 (en) | 2019-12-10 | 2021-05-18 |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 Electrical cable braid positioning clip |
US10978832B1 (en) | 2020-02-07 | 2021-04-13 |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 Protection member to protect resilient arms of a contact assembly from stubbing |
US11296464B2 (en) | 2020-02-14 | 2022-04-05 |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 Impedance control connector |
DE202021100405U1 (de) * | 2021-01-28 | 2021-02-09 | Md Elektronik Gmbh | Steckverbindung und Steckverbindungsanordnung |
DE102022104151A1 (de) * | 2022-02-22 | 2023-08-24 | Md Elektronik Gmbh |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system |
CN118281598B (zh) * | 2024-05-31 | 2024-09-17 | 苏州元脑智能科技有限公司 | 供电组件和抽拉式用电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93055A (en) | 1957-08-21 | 1962-04-04 | Plessey Co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tacts |
GB956290A (en) | 1961-01-27 | 1964-04-22 | Sealectro Corp | Improvements in electric socket contacts |
US4296993A (en) | 1978-08-24 | 1981-10-27 | Augat Inc. | Electrical contact with improved means for solder wicking and degassing |
US4370014A (en) * | 1980-11-07 | 1983-01-25 | The Bendix Corporation | Insulated wire termination device |
DE3342742C2 (de) * | 1983-11-25 | 1985-10-24 | Otto Dunkel GmbH Fabrik für elektrotechnische Geräte, 8260 Mühldorf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taktfederbuchsen |
DE69115407T2 (de) * | 1990-09-07 | 1996-07-25 | Itt | Zusammensetzung einer Steckdosekontakt mit enger Zugang |
US5118663A (en) | 1990-09-21 | 1992-06-02 | General Atomics | Fabrication of silver coated high temperature ceramic superconductor fiber with metal substrate |
US5147227A (en) * | 1991-10-17 | 1992-09-15 | Amp Incorporated | Terminal retention device |
JP4255676B2 (ja) | 2002-10-31 | 2009-04-15 | シャープ株式会社 | 基板運搬装置 |
JP4924247B2 (ja) | 2007-07-04 | 2012-04-25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CH704749B1 (fr) | 2007-09-05 | 2012-10-15 | Preci Dip Sa | Clip de contact. |
JP4950017B2 (ja) | 2007-12-18 | 2012-06-13 |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の回路基板搭載ケース |
DE202009004242U1 (de) | 2009-03-26 | 2009-06-04 | Spinner Gmbh | Koaxiale HF-Durchführung |
CN201608321U (zh) | 2009-11-20 | 2010-10-1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组件 |
JP5865228B2 (ja) * | 2012-10-02 | 2016-02-17 | 日本発條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 |
JP6181946B2 (ja) * | 2013-03-01 | 2017-08-16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雌端子 |
CN113422226A (zh) * | 2016-02-26 | 2021-09-21 | 罗森伯格高频技术有限及两合公司 | 用于电插头连接器的接触套筒 |
-
2016
- 2016-02-26 JP JP2018544890A patent/JP7005507B2/ja active Active
- 2016-02-26 WO PCT/EP2016/000339 patent/WO2017144072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2-26 KR KR1020187024162A patent/KR20180113539A/ko not_active Withdrawn
- 2016-02-26 CN CN201680082404.7A patent/CN108701930A/zh active Pending
- 2016-02-26 EP EP16706536.6A patent/EP3420612B1/de active Active
- 2016-02-26 US US16/078,808 patent/US10553977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01-26 TW TW106103159A patent/TW201731170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701930A (zh) | 2018-10-23 |
EP3420612A1 (de) | 2019-01-02 |
EP3420612B1 (de) | 2020-07-15 |
JP7005507B2 (ja) | 2022-01-21 |
TW201731170A (zh) | 2017-09-01 |
US20190067862A1 (en) | 2019-02-28 |
WO2017144072A1 (de) | 2017-08-31 |
JP2019506723A (ja) | 2019-03-07 |
US10553977B2 (en) | 2020-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13539A (ko) | 전기 플러그 커넥터 | |
EP3671968B1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10224659B2 (en) | Contact sleeve for an electric plug connector | |
JP5722440B2 (ja) | 回転自在のプラグ型コネクタ | |
US10148047B2 (en) | Guided coaxial connector | |
US7607929B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 |
US10141688B2 (en) | Plug connector with resilient engagement element and seal | |
US10992087B2 (en) |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 | |
JP6290391B2 (ja) | プラグインコネクタ | |
KR101601819B1 (ko) | 스타 쿼드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 |
JP7302315B2 (ja) | コネクタ | |
CA2800754C (en) | Plug-in connector | |
US10454195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210367385A1 (en) | Cable arrangement | |
US9017107B2 (en) | Insertion-type connector having a contact-making member | |
JP2018160393A (ja) | 電気コネクタ | |
KR101709293B1 (ko) | 동축 커넥터 | |
EP2779318A1 (en) |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