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12144A - 플랩 고정용 버클 - Google Patents

플랩 고정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144A
KR20180112144A KR1020170040696A KR20170040696A KR20180112144A KR 20180112144 A KR20180112144 A KR 20180112144A KR 1020170040696 A KR1020170040696 A KR 1020170040696A KR 20170040696 A KR20170040696 A KR 20170040696A KR 20180112144 A KR20180112144 A KR 2018011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rotrusion
groove
flap
mag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705B1 (ko
Inventor
백지숙
백난희
백지혜
손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170040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705B1/ko
Priority to US15/896,528 priority patent/US10758019B2/en
Priority to EP18158513.4A priority patent/EP3381315A1/en
Priority to CN201810188367.9A priority patent/CN108685283B/zh
Publication of KR2018011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1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overlapping each other and fastened by an action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랩 고정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고리형의 프레임 중간에 크로스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크로스바에 자석이 매입된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부재와; 윗면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의 내측에는 자석이 매입 설치되어 있으며, 윗면의 주변으로 날개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소켓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가방 등에 설치 시에 단순화된 구성으로서의 미려한 외관 형성이 가능하고, 안정적이면서 편리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플랩 고정용 버클{Buckle For Fixing The Flap}
본 발명은 플랩 고정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방, 백팩, 배낭 등의 입구를 커버하는 플랩의 고정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단순하게 정리된 외관의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랩 고정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 배낭, 백팩, 핸드백, 휴대폰케이스, 수첩케이스 등 다양한 형태의 가방이나 케이스(이하 '가방'이라 함)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고 외부와 통하는 입구 및 입구를 개폐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그 중에서 입구를 커버하는 플랩이 설치된 형태의 가방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플랩의 자유단에 체결수단을 설치하여 가방몸체와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랩을 고정 또는 분리하여 가방의 입구를 단속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플랩의 자유단과 가방몸체의 대응면에 자석을 설치하여 자석의 결합으로 플랩이 가방몸체에 부착되도록 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와 같이 플랩과 가방몸체가 자석에 의해 부착되도록 한 것은 가방 뿐만 아니라 수첩이나 휴대폰케이스 등 다양한 수납구조물에 적용 사용되었다.
그러나 핸드백이나 휴대폰케이스와 같은 소규모의 가방은 고정된 사이즈로 사용되지만, 좀 더 큰 백팩이나 배낭 등의 가방에 있어서는 내부에 수납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길이가 긴 고정수단이 필요하였고, 이를 위해 스트랩을 플랩에 설치하여 이 스트랩에 자석을 설치하여 체결토록 하였고, 나아가 스트랩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버클을 설치하여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플랩이 구비된 가방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B)의 상단부에는 가방(B)의 입구를 개폐하는 플랩(F)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플랩(F)에는 스트랩(S1)이 플랩(F)의 외부로 더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스트랩(S1)의 자유단에 버클(1)이 설치되어 가방몸체(B)와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S1)에는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걸고리를 갖는 버클(1)과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기 걸고리와 구멍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위치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플랩(F)이 커버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버클의 체결 및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버클에 자석을 부착한 체결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이렇게 스트랩과 걸고리를 갖는 버클의 조합은 자체적으로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면서 실질적으로 자석의 착탈에 의한 간편한 조작을 꾀한 것이었다.
도 2는 자석을 이용하여 플랩의 스트랩을 체결하도록 된 종래 가방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의 스트랩과 버클이 가방몸체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측면도로서 이를 살펴보면, 가방몸체(B)에 제1자석(11)이 매입 설치되어 있고, 플랩(F)으로부터 인출되는 스트랩(S)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버클(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클(1)에는 다시 보조스트랩(S-1)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이 보조스트랩(S-1)의 단부에 제2자석(21)이 설치되어 가방몸체(B)에 설치된 제1자석(11)과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자석(11) 또는 제2자석(21)의 어느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가방의 플랩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1. 버클(1)과 체결하기 위한 스트랩(S)과, 버클(1)로부터 연결되어 가방몸체(B)와 착탈되기 위한 보조스트랩(S-1)의 이중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매우 복잡하여 가방의 외관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2. 돌출된 복잡한 스트랩들과 버클에 의해 외부의 물체와 쉽게 부딪치게 되고, 이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3. 부자재의 요소가 많음으로 인해 단가가 비싸고, 제작이 어려우며,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4. 플랩의 해체를 위해 스트랩의 하측에 위치하는 보조스트랩을 반드시 분리하여야 하는 조작이 필요하다. 즉, 스트랩(S)을 들어올리고, 다시 보조스트랩(S-1)의 자석 부분을 쥐고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하다.
5. 부착되는 자석이 노출되어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자칫 자석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6. 가방의 부피에 따라 조절이 어렵고, 부착된 자석은 사용함에 따라 쉽게 분리 및 분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정리된 외관과 더불어 보다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플랩 고정용 버클이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01-0000532호(2001.01.05.) 2.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16902호(2001.01.04.)
본 발명은 복잡하지 않은 외관을 가지면서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플랩 고정용 버클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접촉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버클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도 자석이 파손되지 않도록 된 플랩 고정용 버클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한 제작의 용이성과 원가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플랩 고정용 버클의 제공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랩 고정용 버클은, 고리형의 프레임 중간에 크로스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크로스바에 제1자석이 매입된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부재; 윗면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의 내측에는 제2자석이 매입 설치되어 있는 소켓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결합돌부의 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의 주연부에는 마주하여 돌출부가 돌출되어 이 돌출부의 마주하는 측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가 결합홈에 끼워졌을 때 상기 걸림홈에 걸림돌기가 결합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고리형의 프레임 중간에 크로스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크로스바에 제1자석이 매입된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부재; 및 윗면에 다수의 안내돌부가 돌출됨으로써 이 안내돌부 사이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의 내측에는 제2자석이 매입 설치되어 있는 소켓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안내돌부는 4개가 마주 형성되어 각 안내돌부의 사이로 "+"형의 홈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돌부의 내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결합돌부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가방의 플랩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크로스바의 중간에는 걸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의 구멍에 끼움으로써 스트랩과 플러그부재가 결합되도록 되고, 상기 소켓부재는 가방의 몸체 일단에서 상기 결합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입된 상태로 부착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재와 소켓부재가 자력에 의해 착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은 마주하는 중간의 하단이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이 돌출된 부분에 상기 크로스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소켓부재는 가방의 몸체 일단에서 상기 결합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입된 상태로 부착 설치된다.
상기 소켓부재는 가방몸체의 일단에서 봉제(縫製) 결합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소켓부재의 주연부가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날개부를 형성함으로써 가방몸체와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결합홈의 중간에 걸고리홈이 교차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의 결합 시 상기 걸고리가 수납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가방몸체; 상기 가방 몸체의 입구를 여닫는 것으로서 선단부에 스트랩이 설치되어 있는 플랩; 고리형의 프레임 중간에 크로스바가 가로질러 구성되어 상기 스트랩이 끼워져서 걸고리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되며, 상기 크로스바에 제1자석이 매입된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부재; 및 윗면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의 내측에는 제2자석이 매입 설치되어 있으며, 윗면의 주변으로 날개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 날개부가 상기 가방몸체의 일단에 부착 고정되도록 된 소켓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랩 고정용 버클은 크로스바에 결합돌부가 형성되는 플러그부재와, 가방몸체에 매입 고정되어 상기 결합돌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소켓부재의 단순화된 구성에 의해 복잡하지 않은 미려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랩 고정용 버클은 자석이 외부에 노출됨이 없이 안전하게 매입 설치되어, 외부의 접촉이나 충격에 대해서 쉽게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랩 고정용 버클은 간단한 구성에 의한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효과적인 생산성을 제공한다.
도 1은 플랩과 스트랩을 갖는 일반적인 가방의 일실시예도.
도 2는 종래 가방의 플랩에 설치되는 스트랩의 일례를 보여주는 부분사진.
도 3은 상기 도 2에서의 스트랩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플러그부재 및 소켓부재의 대응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저면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부재의 저면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4의 A-A선 단면에서의 결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이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의 버클의 사시도.
도 12는 제2실시예의 소켓부재의 저면사시도.
도 13은 제2실시예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14는 제2실시예의 버클이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15는 제2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16은 상기 도 15의 결합 상태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플러그부재 및 소켓부재의 대응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저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부재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4의 A-A선 단면에서의 결합상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클(100)은 기본적으로 플러그부재(110)와 소켓부재(120)로 대별된다.
플러그부재(110)는 고리 형태의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111)의 하측 중간을 가로지르는 크로스바(112) 및 크로스바(112)의 중간에 결합되는 걸고리(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1)은 도면에서 사각형의 고리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선택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프레임(111)과 크로스바(112)의 사이로 스트랩이 끼워지게 되는데, 도 8에서와 같이 스트랩(S1)은 프레임(111)의 하측으로부터 진입하여 크로스바(112)의 상측으로 넘어가서 반대편의 프레임 하측으로 인출되도록 되며, 이러한 끼워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레임(111)의 측면 중앙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그 하단에 크로스바(112)가 형성됨으로써 크로스바(112)가 프레임(111)의 주연부에 비하여 하측으로 돌출하여 위치된다.
크로스바(112)의 양측에는 결합돌부(1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돌부(115)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밑면에는 제1자석(116)이 매입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부(115)가 양측으로 형성됨에 따라 크로스바(112)의 중간에는 요부가 형성되는데 여기에 상기 걸고리(113)가 설치된다.
걸고리(113)는 크로스바(112)에 감기도록 끼워져서 크로스바(112)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고, 선단부가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선단부가 스트랩(S1)에 형성되는 구멍(130)에 끼워짐으로써 스트랩(S1)과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걸고리(113)의 중간에는 걸림턱(1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트랩(S1)의 구멍(130)에 끼워졌을 때 걸고리(113)의 선단부가 스트랩(S1)을 통과하여 지나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켓부재(120)는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윗면에 상기 결합돌부(115)가 삽입되는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121)의 바닥면 내측으로 제2자석(123)이 매입되어 있다.
플러그부재(110)와 소켓부재(120)는 도 7에서와 같이 플러그부재(110)의 결합돌부(115)가 소켓부재(120)의 결합홈(121)에 삽입되면서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소켓부재(120)는 가방몸체(B1)의 일단에서 매입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윗면 주연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날개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날개부(122)가 가방몸체(B1)를 형성하는 외피에 부착된다.
상기 소켓부재(120)는 도 8에서와 같이 결합홈(121)이 드러난 상태에서 날개부(122)가 가방몸체(B1)의 외피와 봉제 결합되며, 다르게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40'은 봉제선을 나타낸다.
결합홈(121)의 중간에는 양측으로 확장된 걸고리홈(124)이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돌부(115)가 삽입되었을 때 측방으로 돌출되는 걸고리(113)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 걸고리홈(124)은 결합돌부(115)와 걸고리(113)가 결합되었을 때 결합돌부(115)보다 측방으로 더 돌출된 걸고리(113)가 함께 결합되면서 결합돌부(115)의 유동됨을 방지하게 되고, 보다 많은 접촉 면을 확보하여 더욱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즉, 외부의 접촉과 같은 비의도적인 버클의 분리작용이 발생할 때, 결합홈(121)의 단순한 결합 상태에 더하여 교차적인 걸고리홈(124)의 결합 상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플러그부재(110)의 비정상적 이탈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가방몸체(B1)의 일단에 소켓부재(120)가 매입 설치되고, 플랩(F1)으로부터 연결된 스트랩(S1)은 플러그부재(110)의 프레임(111)에 끼워져서 걸고리(113)가 구멍(130)에 끼워짐으로써 연결된다.
스트랩(S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130)이 형성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걸고리(113)와 구멍(130)의 결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플러그부재(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 (a)는 플러그부재(110)와 소켓부재(120)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b)는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결합은 스트랩(S1)에 설치되는 플러그부재(110)가 직접 소켓부재(120)와 결합되는 것이며, 플러그부재(110)의 결합돌부(115)가 소켓부재(120)의 결합홈(121)에 삽입되면서 제1자석(116)과 제2자석(123)의 자력에 의해 강하게 부착되어 결합된다.
제1자석(116)과 제2자석(123)의 강한 자력에 의해 플러그부재(110)가 소켓부재(120)의 근처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플러그부재(110)의 결합돌부(115)가 결합홈(121)에 이끌려 들어가게 된다.
플러그부재(110)와 소켓부재(120)를 분리할 경우에는 약간의 힘 즉, 제1자석(116)과 제2자석(123)의 부착력보다 큰 힘을 주어 스트랩(S1)의 자유단을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결합돌부(115)가 결합홈(121)으로부터 이탈되어 버클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랩(S1)의 선단을 이용하여 플러그부재(110)를 소켓부재(120)에 대하여 직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간단히 버클의 분리가 이루어지지만, 비 정상적인 방향 즉, 외부의 접촉에 의한 측 방향에서의 압력이 전해지는 경우에는 결합돌부(115)가 결합홈(121)에 삽입되어 있어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더욱이 걸고리홈(124)이 결합홈(121)의 중간에서 교차 형성되어 있고, 이 걸고리홈(124)에 걸고리(113)가 함께 결합되어 다면 접속을 이루게 되므로 직 상방 이외의 방향으로는 플러그부재와 소켓부재의 분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그 결합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플러그부재(110)의 결합돌부(115) 측면에 걸림홈(117)이 형성되어 있고, 소켓부재(120)의 결합홈(121) 양측으로 마주하는 돌출부(125)가 형성되어 이 돌출부(125)의 내측으로 걸림돌기(126)가 마주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부(115)가 결합홈(121)에 끼워지게 되면, 자석의 자력에 의해 강하게 삽입되면서 결합돌부(115)의 걸림홈(117)에 걸림돌기(126)가 걸리게 되어, 자석의 자력과 더불어 플러그부재(110)와 소켓부재(120)의 결합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부(115)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각 걸림돌기(126)의 윗면에는 경사면(1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117)의 상ㆍ하단에도 걸림돌기(126)의 원활한 접속을 위해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부(115)는 상기 경사면(127)에 안내되면서 자력에 의해 쉽게 결합홈(121)에 끼워질 수 있으며, 분리 시에는 약간의 힘을 가하여 플러그부재(110)를 소켓부재(120)와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126)는 결합홈(12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플러그부재(110)와 소켓부재(120)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면서, 의도적인 분리는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1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의 버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소켓부재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4는 버클이 설치된 사용상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버클(200)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러그부재(210)와 소켓부재(220)로 대별된다.
플러그부재(210)는 제1실시예의 플러그부재(11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고리 형태의 프레임(211)과 상기 프레임(211)의 하측 중간을 가로지르는 크로스바(212) 및 크로스바(212)의 중간에 결합되는 걸고리(213)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11)과 크로스바(212)의 사이로 스트랩이 끼워지게 되는데, 도 14에서와 같이 스트랩(S2)은 프레임(211)의 하측으로부터 진입하여 크로스바(212)의 상측으로 넘어가서 반대편의 프레임 하측으로 인출되도록 되며, 이러한 끼워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레임(211)의 측면 중앙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그 하단에 크로스바(212)가 형성됨으로써 크로스바(212)가 프레임(211)의 주연부에 비하여 하측으로 돌출하여 위치된다.
크로스바(212)의 양측에는 결합돌부(2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돌부(215)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밑면에는 제1자석(216)이 매입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부(215)가 양측으로 형성됨에 따라 크로스바(212)의 중간에는 요부가 형성되는데 여기에 상기 걸고리(213)가 설치된다.
걸고리(213)는 크로스바(212)에 감기도록 끼워져서 크로스바(212)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고, 선단부가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선단부가 스트랩(S2)에 형성되는 구멍(230)에 끼워짐으로써 스트랩(S2)과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걸고리(213)의 중간에는 걸림턱(2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트랩(S2)의 구멍(230)에 끼워졌을 때 걸고리(213)의 선단부가 스트랩(S2)을 통과하여 지나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켓부재(220)는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윗면에는 4개의 안내돌부(225)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각 안내돌부(225)의 사이에 결합홈(221)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221)의 중간에는 직각으로 교차하는 걸고리홈(224)이 함께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형태의 홈이 마련된다.
즉, 소켓부재(220)의 표면이 돌출됨으로써 결합홈(2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홈(221)에는 플러그부재(210)의 결합돌부(215)가 삽입되며, 결합홈(221)의 바닥면 내측에는 제2자석(223)이 매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홈(224)에는 플러그부재(210)의 결합돌부(215)가 삽입되었을 때 측방으로 돌출되는 걸고리(213)가 수납된다.
소켓부재(220)의 저면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2자석(223)이 매입 설치된 부위가 돌출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플러그부재(210)와 소켓부재(220)는 도 13에서와 같이 플러그부재(210)의 결합돌부(215)가 소켓부재(220)의 결합홈(221)에 삽입되면서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소켓부재(220)는 가방몸체(B2)의 일단에서 매입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윗면 주연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확장된 날개부(222)를 형성하며, 이 날개부(222)가 가방몸체(B2)를 형성하는 외피에 부착된다.
상기 소켓부재(220)는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돌부(225)들과 결합홈(221)이 드러난 상태에서 날개부(222)가 가방몸체(B2)의 외피와 봉제 결합되며, 다르게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40'은 봉제선을 나타낸다.
상기 걸고리홈(224)은 결합돌부(215)와 걸고리(213)가 결합되었을 때 결합돌부(215)보다 측방으로 더 돌출된 걸고리(213)가 함께 결합되면서 결합돌부(215)의 유동됨을 방지하게 되고, 측면이 개방된 결합홈(221)으로부터 결합돌부(215)가 자칫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즉, 외부의 접촉과 같은 비의도적인 버클의 분리작용이 발생할 때, 결합홈(221)의 중간에 교차적으로 확장되어 있는 걸고리(213)와 걸고리홈(224)의 결합에 의해 측면이 개방된 결합홈(221)의 단점을 보완하여 플러그부재(210)의 비정상적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가방몸체(B2)의 일단에 소켓부재(220)가 매입 설치되고, 플랩(F2)으로부터 연결된 스트랩(S2)은 플러그부재(210)의 프레임(211)에 끼워져서 걸고리(213)가 구멍(230)에 끼워짐으로써 연결된다.
스트랩(S2)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230)이 형성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걸고리(213)와 구멍(230)의 결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플러그부재(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결합은 스트랩(S2)에 설치되는 플러그부재(210)가 직접 소켓부재(220)와 결합되는 것이며, 플러그부재(210)의 결합돌부(215)가 소켓부재(220)의 결합홈(221)에 삽입되면서 제1자석(216)과 제2자석(223)의 자력에 의해 강하게 부착되어 결합된다.
제1자석(216)과 제2자석(223)의 강한 자력에 의해 플러그부재(210)가 소켓부재(220)의 근처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플러그부재(210)의 결합돌부(215)가 결합홈(221)에 이끌려 들어가서 부착된다.
여기서 결합돌부(215)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 각 안내돌부(225)의 상단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부재(210)와 소켓부재(220)를 분리할 경우에는 약간의 힘 즉, 제1자석(216)과 제2자석(223)의 부착력보다 큰 힘을 주어 스트랩(S2)의 자유단을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결합돌부(215)가 결합홈(221)으로부터 이탈되어 버클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랩(S2)의 선단을 이용하여 플러그부재(210)를 소켓부재(220)에 대하여 직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간단히 버클의 분리가 이루어지지만, 비 정상적인 방향 즉, 외부의 접촉에 의한 측 방향에서의 압력이 전해지는 경우에는 결합돌부(215)와 걸고리(213)가 안내돌부(225)에 의해 사방으로 접촉되어 있어서 직 상방 이외의 방향으로는 플러그부재와 소켓부재의 분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그 결합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플러그부재(210)의 결합돌부(215) 측면에 걸림홈(217)이 형성되어 있고, 소켓부재(220)의 마주하는 각 안내돌부(225)의 내측으로 걸림돌기(226)가 마주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부(215)가 결합홈(221)에 끼워지게 되면, 자석의 자력에 의해 강하게 삽입되면서 결합돌부(215)의 걸림홈(217)에 걸림돌기(226)가 걸리게 되어 자석의 자력과 더불어 플러그부재(210)와 소켓부재(220)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부(215)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각 걸림돌기(226)의 윗면에는 경사면(2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217)의 상ㆍ하단에도 걸림돌기(226)의 원활한 접속을 위해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부(215)는 상기 경사면(227)에 안내되면서 자력에 의해 쉽게 결합홈(221)에 끼워질 수 있으며, 분리 시에는 약간의 힘을 가하여 플러그부재(210)를 소켓부재(220)와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플러그부재(210)와 소켓부재(220)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면서, 의도적인 분리는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거나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부와 결합홈의 형상과 안내돌부의 갯수나 형상 등은 필요에 따라 임의적인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
B, B1, B2 : 가방몸체 F, F1, F2 : 플랩
S, S₁,S₂: 스트랩 1, 100, 200 : 버클
110, 210 : 플러그부재 111, 211 : 프레임
112, 212 : 크로스바 113, 213 : 걸고리
114, 214 : 걸림턱 115, 215 : 결합돌부
116, 216 : 제1자석 117, 217 : 걸림홈
120, 220 : 소켓부재 121, 221 : 결합홈
122, 222 : 날개부 123, 223 : 제2자석
124, 224 : 걸고리홈 125 : 돌출부
126, 226 : 걸림돌기 127, 227 : 경사면
130, 230 : 구멍 140, 240 : 봉제선
225 : 안내돌부

Claims (13)

  1. 고리형의 프레임 중간에 크로스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크로스바에 제1자석이 매입된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부재; 및
    윗면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의 내측에는 제2자석이 매입 설치되어 있는 소켓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의 주연부에는 마주하여 돌출부가 돌출되어 이 돌출부의 마주하는 측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가 결합홈에 끼워졌을 때 상기 걸림홈에 걸림돌기가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3. 고리형의 프레임 중간에 크로스바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크로스바에 제1자석이 매입된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부재; 및
    윗면에 다수의 안내돌부가 돌출됨으로써 이 안내돌부 사이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의 내측에는 제2자석이 매입 설치되어 있는 소켓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부는 4개가 마주 형성되어 각 안내돌부의 사이로 "+"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안내돌부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마주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가 결합홈에 끼워졌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상기 걸림돌기의 윗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가방의 플랩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이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크로스바의 중간에는 걸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의 구멍에 끼움으로써 스트랩과 플러그부재가 결합되도록 되고,
    상기 소켓부재는 가방의 몸체 일단에서 상기 결합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입된 상태로 부착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부재와 소켓부재가 자력에 의해 착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는 주연부가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날개부를 형성함으로써 가방몸체와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는 가방몸체의 일단에서 봉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마주하는 중간의 하단이 하측으로 돌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이 돌출된 부분에 상기 크로스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중간에는 걸고리홈이 교차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의 결합 시 상기 걸고리가 수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12. 가방몸체;
    상기 가방몸체의 입구를 여닫는 것으로서 선단부에 스트랩이 설치되어 있는 플랩;
    고리형의 프레임 중간에 크로스바가 가로질러 구성되어 상기 스트랩이 끼워져서 걸고리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되며, 상기 크로스바에 제1자석이 매입된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부재; 및
    윗면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의 내측에는 제2자석이 매입 설치되어 있으며, 윗면의 주변으로 날개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 날개부가 상기 가방몸체의 일단에 부착 고정되도록 된 소켓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의 주연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마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고정용 버클.
KR1020170040696A 2017-03-30 2017-03-30 플랩 고정용 버클 Active KR10193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96A KR101936705B1 (ko) 2017-03-30 2017-03-30 플랩 고정용 버클
US15/896,528 US10758019B2 (en) 2017-03-30 2018-02-14 Flap fixing buckle
EP18158513.4A EP3381315A1 (en) 2017-03-30 2018-02-26 Flap fixing buckle
CN201810188367.9A CN108685283B (zh) 2017-03-30 2018-03-07 袋盖固定用带扣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96A KR101936705B1 (ko) 2017-03-30 2017-03-30 플랩 고정용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144A true KR20180112144A (ko) 2018-10-12
KR101936705B1 KR101936705B1 (ko) 2019-01-11

Family

ID=6128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696A Active KR101936705B1 (ko) 2017-03-30 2017-03-30 플랩 고정용 버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58019B2 (ko)
EP (1) EP3381315A1 (ko)
KR (1) KR101936705B1 (ko)
CN (1) CN10868528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559A (ko) 2022-03-22 2023-10-05 김진혁 폭포수로 수차 발전
KR20250016782A (ko) 2023-07-26 2025-02-04 김진혁 폭포수로 수차식 수력 발전
KR20250026450A (ko) 2023-08-17 2025-02-25 김진혁 수차식 양수발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01673A1 (en) 2017-12-07 2019-06-07 Wonderland Switzerland Ag Magnetic buckling assembly comprising a male buckling component and a female buckling component
CN209573440U (zh) 2018-09-20 2019-11-05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预防意外释锁的扣具
CN117016926A (zh) 2019-07-17 2023-11-1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
CN112237315B (zh) 2019-07-17 2023-09-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
KR102177493B1 (ko) * 2019-11-26 2020-11-11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버클
US11284700B2 (en) * 2019-12-02 2022-03-29 Tsi Manufacturing, Llc Bite valve retainer
CN110916303A (zh) * 2019-12-31 2020-03-2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腕戴设备及其表带组件
US11006699B1 (en) * 2020-02-02 2021-05-18 Peter Goodwin Magnetic buckle
US10869518B1 (en) * 2020-05-05 2020-12-22 Lionhead Helmet Intellectual Properties, Lp Chin strap assembly for a protective helmet
CN114027582B (zh) * 2021-04-18 2023-09-15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磁性扣具
DE102023105098B3 (de) * 2023-03-01 2024-02-15 Fidlock Gmbh Verbindungsvorrichtung mit einem nähbaren Verbindungsteil
DE102023109584B3 (de) * 2023-04-17 2024-06-13 Fidlock Gmbh Verbindungsvorrichtung mit einem Brückenabschnitt für einen zweiten Grundkörper eines zweiten Verbindungsteil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2847A (en) * 1957-02-01 1958-02-11 Jr Anthony Cesaroni Combined brief case and portable lectern
DE8704754U1 (de) * 1987-03-31 1987-06-19 Walter Hebel Gmbh & Co, 5242 Kirchen Verpackung
FR2646063B1 (fr) * 1989-04-21 1991-08-16 Henon Gerard Boucle de decoration pour article de maroquinerie
KR20010000532U (ko) 1999-06-12 2001-01-05 정순동 가방용 자석훅크
KR200208923Y1 (ko) * 2000-06-21 2001-01-15 주식회사쓰리쎄븐상사 가방 뚜껑의 고정장치
JP3997465B2 (ja) * 2001-12-28 2007-10-24 株式会社エムアンドケイ・ヨコヤ 鞄の係止金具
WO2010113247A1 (ja) * 2009-03-31 2010-10-07 Ykk株式会社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ITRM20120103U1 (it) * 2012-06-19 2012-09-18 Sandro Iannace Cintura a sgancio rapido della fibbia per capi di abbigliamento
WO2016025348A1 (en) * 2014-08-11 2016-02-18 Apple Inc. Magnetic buckle
US9743734B2 (en) * 2014-08-29 2017-08-29 Incipio, Llc Protective case with multi-mode rotatable magnetic positioning and closure system
US9307808B1 (en) * 2015-01-19 2016-04-12 Duraflex Hong Kong Limited Magnetic buckle assembly
JP3198187U (ja) * 2015-04-08 2015-06-18 川村通商株式会社 靴ベルト用バックル
KR200480220Y1 (ko) * 2015-12-29 2016-04-26 박현수 신발의 체결밴드 결속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559A (ko) 2022-03-22 2023-10-05 김진혁 폭포수로 수차 발전
KR20250016782A (ko) 2023-07-26 2025-02-04 김진혁 폭포수로 수차식 수력 발전
KR20250026450A (ko) 2023-08-17 2025-02-25 김진혁 수차식 양수발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85283A (zh) 2018-10-23
EP3381315A1 (en) 2018-10-03
KR101936705B1 (ko) 2019-01-11
CN108685283B (zh) 2021-10-15
US10758019B2 (en) 2020-09-01
US20180279736A1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705B1 (ko) 플랩 고정용 버클
KR102209939B1 (ko) 버클
KR101747187B1 (ko) 버클
US20230157421A1 (en) Magnetic buckle
EP3641582B1 (en) Magnet hook
US20160120295A1 (en) Assembly for Storing and Deploying for Use a Handheld Digital Device
US8365364B2 (en) Buckle attachment device
US6260680B1 (en) Structural frame of luggage
JPH08252348A (ja) ゴルフバッグカバー
US7047602B2 (en) Tab mechanism
US8713762B2 (en) Magnetic tie clip
KR101940540B1 (ko) 플랩 고정용 버클
CN211211695U (zh) 一种拉链固定座及单手拉链
KR20230166476A (ko) 버클
CN109878892B (zh) 一种磁吸锁扣
US6393672B1 (en) D-ring assembly
JP4968725B2 (ja) ストラップ補助具
CN210696243U (zh) 一种便捷式安全磁扣
CN210213378U (zh) 一种磁吸锁扣
JPH11155451A (ja) 釣り用収納ケース
JP3037704U (ja) バックル
JPH1033341A (ja) 布団カバー
KR200179881Y1 (ko) 슬라이드 파스너
KR200369874Y1 (ko) 휴대폰 케이스
FI20225593A1 (en) Modular brac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