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11072A -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072A
KR20180111072A KR1020170041473A KR20170041473A KR20180111072A KR 20180111072 A KR20180111072 A KR 20180111072A KR 1020170041473 A KR1020170041473 A KR 1020170041473A KR 20170041473 A KR20170041473 A KR 20170041473A KR 20180111072 A KR20180111072 A KR 20180111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emergency
story building
ventilation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규 김
Original Assignee
동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규 김 filed Critical 동 규 김
Priority to KR102017004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1072A/ko
Priority to PCT/KR2018/003785 priority patent/WO2018182362A1/ko
Publication of KR2018011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07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0HVAC for high buildings, e.g. thermal or pressure dif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계단의 상부에서 공기공급장치를 이용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켜 상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화재와 같은 비상시 다층 건물의 실내구역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연기가 비상계단으로 침입됨을 방지하여 대피자들이 호흡에 어려움이 없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비상계단과 밀폐장치 및 공기공급장치와 감지경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비상계단을 하나의 덕트로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 흐름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using emergency stairs of multi-story building}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계단의 상부에서 공기공급장치를 이용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켜 상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화재와 같은 비상시 다층 건물의 실내구역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연기가 비상계단으로 침입됨을 방지하여 대피자들이 호흡에 어려움이 없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층 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불길을 진압하도록 소방설비가 갖춰져 있다.
이는 건물 화재를 진압하는 목적으로 설비된 것으로, 건물 내의 대피자들은 화염이 없는 건물의 옥상이나 하부층의 안전지대로 신속히 이동하기 위해서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다양한 매스컴에서는 화재시에는 고열과 화염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엘리베이터는 사용하지 말고 비상계단을 이용하라고 각인시키고 있다.
따라서 화재시에는 건물의 대피자들은 신속하게 비상구를 통해 비상계단을 이용하여야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고층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화재시에 대형의 인명피해가 유발되는 것은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가 주된 요인이 된다.
이러한 연기는 화염상태 및 연소 직후 발생되는 유독가스 보다는 상대적으로 인명피해의 직접적인 위험도는 적지만 화재시에 연기가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주된 요인이 되는 것은 건물내의 공조기기 등의 덕트를 통해 건물의 실내구역은 물론이거니와 피난구역까지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화재시 비상계단 등의 피난구역을 통해 신속한 대피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종래의 비상계단은 자연환기 방식으로 맨 꼭대기에 환기창을 형성하고 자연스럽게 비상계단의 공기는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자연스럽게 공기의 흐름에 따라 비상계단으로 뜨거운 불과 연기가 유입되어 상부로 퍼지게 되고, 만약 화재가 6층에서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면 6층 이하의 대피자들은 비상계단을 통한 탈출이 어느 정도 가능하나 7층 이상의 대피자들은 유입되는 연기와 불로 인해 비상계단으로의 탈출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7-0001065호에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라는 명칭으로 공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옥상 또는 지상에 급기용 외기취입구(61)를 가지며, 건물내측에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를 가지며 고층건물의 각층에는 부속실(32)이 마련되고 제연구역경계(부속실출입문 내측 상단)에는 수평급기덕트(12-1)와 접속된 에어커튼기기(41)를 설치하여 화재시 에어커튼기기(41)가 작동하면 외기취입구(61)에서 취입된 옥외의 신선한 공기가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를 통하여 에어커튼기기 토출구로 토출되며 이때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커튼(공기막)으로 화재층의 거실또는 복도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부속실(32)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직접차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및 업무용건물등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각층 제연구역 중 제연구역 경계부(부속실 출입문내측 상단)에 외기취입구(61),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와 연결된 에어커튼기기(41)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장치로 공개된 것으로, 건물 실내에 발생된 유독가스가 부속실이나 비상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을 설치한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화재발생시 전원의 차단으로 각층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커튼기기의 전원공급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화재시 발생가능한 폭발로 인해 에어커튼기기에 화재가 발생되면 해당 층의 비상계단은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 한다.
또한, 많은 대피자가 부속실이나 비상계단으로 몰려 문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비좁지 않고 넓게 설치시켜야 하는 데, 그에 따라 발생되는 막대한 운용비가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에어커튼기기에서 나오는 강한 바람은 화염을 가중시켜 불길이 커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 층별 별도의 환기를 위한 장치가 연결되게 설치되지 않아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고, 평소에도 공기의 흐름을 다층 건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어지도록 구성하여 비상계단을 이용한 대피가 용이하고 환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7-0001065호(2007.10.0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층 건물의 화재시 비상계단으로 화염이나 연기가 침입되지 않도록 상부에서 지속적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비상계단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재 발생시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공기의 흐름이 다층 건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실내구역으로 높은 위치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고 안정적인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필요에 따라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비상계단으로 유입되는 양을 자동으로 제어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인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비상계단을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및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기존 건물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은, 다층 건물의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연통된 유로구역과, 유로구역과 각 층별 실내구역을 구분시키는 차단문을 가지는 비상계단과; 비상계단의 유로구역에서 최상부층을 통한 자연적인 공기 흐름 발생 및 유출을 방지하도록 최상부층에 설치된 밀폐장치와; 비상계단의 최상부층에 구비되어 유로구역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켜 최하부층까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을 만드는 공기공급장치와; 각 층별 건물의 실내구역에서의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알리고 공기공급장치의 공기공급량을 제어하는 감지경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 공기공급장치는, 팬모터 케이스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구를 형성하고 팬모터 케이스 내부에 구동모터와 급기팬을 포함하여 다층 건물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팬모터부와; 팬모터부의 하부로 연통되고 필터 케이스 내부에 강제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필터부와 배출케이스로 연통되고, 통과된 공기를 하부 배출그릴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판재 형상으로 상부가 힌지회동 가능하게 필터 케이스 또는 배출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고 하부가 배출그릴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져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공기공급장치는,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감지경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 개수가 작동되어 비상계단의 유로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공기공급장치의 흡입구는 다층 건물의 외벽을 관통해 연장된 공기흡입배관과 연통되게 구성되는데, 이때 공기흡입배관은 외부에 위치된 단부가 하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단부 외주면을 따라 철망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밀폐장치는, 다층 건물의 최상부층과 옥상을 선택적 차단하는 방화문과, 방화문과 간격을 두고 옥상과 연결되는 회전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감지경보장치는 각 층별 실내구역에 각각 설치되되, 실내구역 내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 신호를 감지하여 경보기와 공기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는, 화재 발생 신호를 보내는 감지센서가 설치된 층별 위치에 따라 공기공급장치의 공기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상기 차단문은, 상부에 환기용 창문을 구비한 방화문 또는 현관문일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차단문은, 환기용 창문에 유로구역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실내구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급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은, 첫째, 화재 발생시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공기의 흐름이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실내구역으로 높은 위치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고 안정적인 환기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비상계단을 하나의 덕트로 이용하여 비상계단내 별도의 덕트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 및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기존 건물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다층 건물의 화재시 비상계단으로 화염이나 연기가 침입되지 않도록 상부에서 지속적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비상계단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루어져 대피자가 안정적으로 호흡하면서 화재발생구역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필요에 따라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비상계단으로 유입되는 양을 자동으로 제어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인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계단에 구현되는 환기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기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지경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와 상방은 다층 건물의 최상부층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하부와 하방은 이에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기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지경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은, 비상계단(100) 자체를 다층 건물(10)을 관통하는 하나의 단일 덕트로 이용하여 비상계단(100) 내 별도의 덕트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최상부층에서 공기공급장치(300)를 이용하여 다층 건물(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에도 대피자들이 비상계단(100)을 통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은, 크게 덕트 통로 역할을 비상계단(100)과, 다층 건물(10)의 최상부층을 차단하는 밀폐장치(200)와, 다층 건물(10) 옥상의 신선한 공기를 강제로 비상계단(100)으로 유입시키는 공기공급장치(300) 및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는 감지경보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비상계단(100)은 다층 건물(10)의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연통되어 연기 또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는 유로구역(110)을 가지며, 유로구역(110)은 각 층별 실내구역(A)과 차단문(120)을 통해 구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문(120)은, 통상의 방화문일 수 있으며 다층 건물(10)의 형태에 따라 실내구역(A)과 바로 연결되는 현관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문(120)은 필요에 따라 상부에 실내구역(A)과 연결된 환기용 창문(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상기 환기용 창문에는 비상계단(100)의 유로구역(110)으로 흐르는 신선한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재차 실내구역(A)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급기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공기공급장치(300)를 통해 다층 건물(10)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는 신선한 공기의 흐름이 비상계단(100)에서 발생된다.
또한, 선택적 구조에 따라 비상계단(100) 내 유로구역(110) 상의 신선한 공기는 차단문(120)을 통해 실내구역(A)으로 유입되고 각층별 실내구역(A)으로 다층 건물(10)의 옥상에서 전달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환기되도록 한다.
한편,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문(120)의 급기팬(미도시.)은 별도의 차단구조에 의해 차단되어 비상계단(100)과 실내구역(A)이 연통되지 않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밀폐장치(200)는, 비상계단(100)의 유로구역(110)에서 최상부층을 통한 자연적인 공기 흐름 발생 및 공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최상부층에 설치된다.
즉, 통상적인 건물의 환기 구조에 따라 비상계단(100)의 하부에서 상부로의 공기 흐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최상부층 옥상과 연통된 구역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방화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방화문과 간격을 두고 옥상과 연결되는 회전문(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문(210)은 방화문이 열리고 닫힐 때 순간적인 공기 흐름이 발생됨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장치(300)은, 비상계단(100)의 최상부층에 구비되어 유로구역(110)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켜 최하부층까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을 만든다.
도 3과 도 4를 재차 도 2와 참조하여, 공기공급장치(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공급장치(300)는, 크게 팬모터부(310)와 필터부(320) 및 배출부(330)가 케이스가 연결되어 하나의 단일 장치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감지경보장치(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 층수가 확인되고 선택적으로 개수가 작동되어 비상계단(100)의 유로구역(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공급장치(300)의 팬모터부(310)는, 팬모터 케이스(311)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구(311a)를 형성하고 케이스(311) 내부에 구동모터(312)와 급기팬(3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층 건물(10) 최상부층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한다.
그리고, 필터부(320)는 상기 팬모터부(310)의 하부로 연통되고 필터 케이스(321) 내부에 강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필터(32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케이스(321)는 필터(322)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필터(322)는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도록 통상의 필터나 흡착제가 포함되며, 다양한 필터가 가능한 바 구체적인 구조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322)는 팬모터 케이스(311)의 하부로 연장된 소켓(311b)에 연통되어 완전히 밀폐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330)는, 상기 필터부(320)와 배출 케이스(331)로 연통되고 통과된 공기를 하부 배출그릴(332)을 통해 외부 즉, 비상계단(100)의 최상부층 유로구역(110)으로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공급장치(300)는, 평소에도 선택적 개수가 작동되며 다층 건물(10)의 옥상을 통해 신선한 공기를 다층 건물(10) 하부방향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층 건물의 화재발생구역(F)에서 화재 발생시 감지경보장치(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 개수가 작동되어 유입되는 공기량이 많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모터부(310)와 필터부(320) 및 배출부(330)는 각각의 팬모터 케이스(311), 필터케이스(321) 그리고 배출케이스(331)가 연결되게 구성되며, 일체형으로 설치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설치브래킷(340)을 이용해 다층 건물(10)의 최상부층 옥상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브래킷(340)은 상기 팬모터부(310)와 필터부(320) 및 배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내부에 벽면 거치를 위한 앙카홀(342)과 케이스가 설치될 수 있는 가이드(341)가 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브래킷(340)의 형상과 구조는 설치위치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 상기 팬모터 케이스(311)와 필터 케이스(321) 및 배출 케이스(331) 및 설치브래킷(340)은 공기공급장치(300)를 구성하면서 설치 및 작동이 용이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공급장치(300)는, 배출그릴(332)을 통해 공기가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역지변(3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300)는 감지경보장치(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별도의 타이머장치 등을 이용한 자체 동작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공급장치(300)의 동작이 잠시 멈추거나 수리, 보수를 위해 작동이 멈추었을 경우, 상기 배출그릴(332)을 통해 비상계단(100)의 공기가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역지변(3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역지변(333)은, 판재 형상으로 상기 필터 케이스(321) 또는 배출 케이스(331)의 일측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가 배출그릴(332)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역지변(333) 구조에 의해 공기공급장치(300)의 동작시 신선한 외부 공기는 배출그릴(332)을 통해 비상계단(100)으로 유입되지만, 반대로 공기가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됨은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지변(333)의 구조는 일 실시예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공급장치(300)는 다층 건물(10)의 외부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비상계단(100)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 비상계단(100)의 최상부층에 설치되는데 일부는 건물 외부에 구비되고 배출그릴(332)을 포함한 배출부(330)만 건물내에 위치토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흡입구(311a)와 별도 연통되는 공기흡입배관(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 공기공급장치(300)의 흡입구(311a)는 다층 건물(10)의 외부에서 외벽을 관통해 내부로 연장된 상기 공기흡입배관(500)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흡입배관(500)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층 건물(10)의 외부에 위치된 단부가 하방향으로 위치토록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공기흡입용 철망(510)을 더 포함하여 참새 또는 벌 그리고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7을 재차 도 2와 함께 참조하여, 감지경보장치(400)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감지경보장치(400)는, 각 층별 건물의 실내구역(A)에서의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알리고 공기공급장치(300)의 공기공급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감지경보장치(400)는, 각 층별 실내구역(A)에 각각 설치되되, 실내구역(A) 내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감지센서(410)와, 상기 감지센서(410) 신호를 감지하여 경보기(420)와 상기 공기공급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감지센서(410)는 상세 도시되진 않았지만 실내구역(A) 내 통상의 주방, 방, 거실, 보일러실, 거실 등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이다.
그리고, 경보기(420)는, 경비실에 설치된 경보기이거나 거실에 설치된 경보기일 수 있으며, 사이렌 소리 또는 발광하는 불빛 등을 통해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린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430은 전원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440)는 별도의 단일 시스템으로 층별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층 건물의 전체 관리실(미도시.) 내의 중앙제어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 지시를 받거나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은, 비상계단(100) 전체를 하나의 덕트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덕트 배관은 내부 청소가 용이하지 않으나, 비상계단(100) 자체가 덕트로 사용되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통상 유해물질은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지면에 깔려서 이동된다.
그러나, 비상계단(100)의 상부에서 공기공급장치(300)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끌어들여 주입시키기 때문에 실내구역(A)의 창문을 통해 공기를 외부배출할 수 있으며, 태양열과 조명등 및 복사기에서 발생되는 열, 사무용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밀어내기 용이하고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감지경보장치(400)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공기공급장치(3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어, 안전하게 비상계단(100)을 통해 대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다층 건물 100 : 비상계단
110 : 유로구역 120 : 차단문
200 : 밀폐장치 300 : 공기공급장치
310 : 팬모터부 320 : 필터부
330 : 배출부 340 : 설치브래킷
400 : 감지경보장치 500 : 공기흡입배관
510 : 철망

Claims (10)

  1. 다층 건물(10)의 최하부층에서 최상부층까지 수직으로 연통된 유로구역(110)과, 상기 유로구역(110)과 각 층별 실내구역(A)을 구분시키는 차단문(120)을 가지는 비상계단(100)과;
    상기 비상계단(100)의 유로구역(110)에서 최상부층을 통한 자연적인 공기 흐름 발생 및 유출을 방지하도록 최상부층에 설치된 밀폐장치(200)와;
    상기 비상계단(100)의 최상부층에 구비되어 유로구역(110)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켜 최하부층까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을 만드는 공기공급장치(300)와;
    각 층별 건물의 실내구역(A)에서의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알리고 상기 공기공급장치(300)의 공기공급량을 제어하는 감지경보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300)는,
    팬모터 케이스(311)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구(311a)를 형성하고 상기 팬모터 케이스(311) 내부에 구동모터(312)와 급기팬(313)을 포함하여 다층 건물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팬모터부(310)와;
    상기 팬모터부(310)의 하부로 연통되고 필터 케이스(321) 내부에 강제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322)를 포함하는 필터부(320)와;
    상기 필터부(320)와 배출 케이스(331)로 연통되고, 통과된 공기를 하부 배출그릴(33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300)는,
    판재 형상으로 상부가 힌지회동 가능하게 상기 필터 케이스(321) 또는 배출 케이스(331)의 일측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배출그릴(332)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져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변(3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300)는,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감지경보장치(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 개수가 작동되어 비상계단(100)의 유로구역(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300)의 흡입구(311a)는, 다층 건물(10)의 외벽을 관통해 연장된 공기흡입배관(500)과 연통되게 구성되되,
    상기 공기흡입배관(500)은,
    상기 다층 건물(10)의 외부에 위치된 단부가 하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공기흡입용 철망(5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장치(200)는, 다층 건물(10)의 최상부층과 옥상을 선택적 차단하는 방화문과, 상기 방화문과 간격을 두고 상기 옥상과 연결되는 회전문(2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경보장치(400)는 각 층별 실내구역(A)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실내구역(A) 내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감지센서(410)와, 상기 감지센서(410) 신호를 감지하여 경보기(420)와 상기 공기공급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40)는, 화재 발생 신호를 보내는 감지센서(410)가 설치된 층별 위치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장치(300)의 공기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문(120)은,
    상부에 환기용 창문을 구비한 방화문 또는 현관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문(120)은,
    환기용 창문에 유로구역(110)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실내구역(A)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급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KR1020170041473A 2017-03-31 2017-03-31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Ceased KR20180111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473A KR20180111072A (ko) 2017-03-31 2017-03-31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PCT/KR2018/003785 WO2018182362A1 (ko) 2017-03-31 2018-03-30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473A KR20180111072A (ko) 2017-03-31 2017-03-31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072A true KR20180111072A (ko) 2018-10-11

Family

ID=6367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473A Ceased KR20180111072A (ko) 2017-03-31 2017-03-31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11072A (ko)
WO (1) WO20181823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374A (zh) * 2019-05-30 2019-09-24 何云飞 一种具有密封锁定功能的实验室用通风管安防盖
KR102066180B1 (ko) * 2019-08-01 2020-02-11 이성민 화재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7973B1 (ko) * 1999-05-17 2001-09-22 문병수 고층 주거건물의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200391761Y1 (ko) * 2005-05-24 2005-08-08 영신산기 주식회사 고층 건물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배기장치
KR100807273B1 (ko) * 2006-10-02 2008-02-28 조병남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KR100785399B1 (ko) * 2006-12-08 2007-12-13 조병남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0902635B1 (ko) * 2007-08-24 2009-06-15 조병남 계단실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를 이용한 다층 건물 통풍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374A (zh) * 2019-05-30 2019-09-24 何云飞 一种具有密封锁定功能的实验室用通风管安防盖
CN110274374B (zh) * 2019-05-30 2020-11-20 惠特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密封锁定功能的实验室用通风管安防盖
KR102066180B1 (ko) * 2019-08-01 2020-02-11 이성민 화재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2362A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080B1 (ko) 화재 대피실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0995220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US4944216A (en) Building emergency exhaust fan system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101361449B1 (ko)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된 배기팬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102035835B1 (ko) 다층 건물의 환기 및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100823958B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168543A1 (en)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KR102263178B1 (ko)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100932628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101578929B1 (ko) 지하실용 화재 대피실
KR102359472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제연장치
KR20180111072A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KR20110077895A (ko) 화재 발생시의 강제 배기장치
KR101624547B1 (ko) 공동주택의 제연시스템
KR20200145982A (ko) 화재 대피실
KR200432485Y1 (ko) 건축물 제연구역의 풍량 과압조절 장치.
KR200433050Y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1766362B1 (ko)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KR102117090B1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4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