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362B1 -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 Google Patents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6362B1 KR101766362B1 KR1020170049289A KR20170049289A KR101766362B1 KR 101766362 B1 KR101766362 B1 KR 101766362B1 KR 1020170049289 A KR1020170049289 A KR 1020170049289A KR 20170049289 A KR20170049289 A KR 20170049289A KR 101766362 B1 KR101766362 B1 KR 1017663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oke
- air
- water
- water supply
- fi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 F24F11/008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24F3/1603—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F24F2003/161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
- F24F2011/0095—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서 제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서 정화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서 연결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서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25 : 송풍모터 30 : 외부센서
40 : 관제부 50 : 전원부재
60 : 옥내 62 : 도어
64 : 복도구역 65 : 계단구역
70 : 흡입그릴 84 : 통풍구
90 : 스위치부재 100 : 정화부
110 : 필터 111 : 망체
112 : 부직포 113 : 결합링
120 : 연결수단 121 : 지지프레임
122 : 중공 122a : 끼움홈
123 : 걸림고리 130 : 물분사수단
131 : 분사관 132 : 분사노즐
133 : 급수관 134 : 개폐밸브
135 : 연결부재 140 : 포집부
141 : 포집함 142 : 그릴
Claims (1)
- 제연구역을 포함한 지역에서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제연구역과 접한 도어(62)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에서 입력된 화재신호로 작동되어 상기 제연구역의 경계에서 공기를 토출함으로 에어막을 형성하여 연기가 상기 제연구역으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제연기(20); 및
상기 제연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재(22)를 포함하며,
상기 제연기(20)는,
전면에 흡입그릴(70)이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하측에 통풍구(84)가 구비되어 공기가 토출되면서 상기 에어막을 형성하는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방재장치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제연기(20)로 흡입되는 공기가 정화되며 상기 통풍구(84)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연구역을 정화하는 한편, 상기 제연기(20)의 오염을 방지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제연기(20)의 늦은 동작에 따른 연기의 유입에 의해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화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화부(100)는,
필터(110);
상기 필터(110)를 상기 제연기(20)의 외측에서 상기 흡입그릴(7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20);
상기 에어막으로 물을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함수되며 낙하되도록 하는 한편,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와 함께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물분사수단(130); 및
상기 제연기(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분사수단(130)에서 분사되는 물을 포집하는 포집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110)는,
망체(111); 및
상기 망체(111)를 감싸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는 부직포(11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20)은,
양측이 상기 흡입그릴(7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후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필터(110)가 결합되는 중공(12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양측 상,하부에 상기 흡입그릴(70)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23)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상기 필터(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122)을 이루는 둘레에 외측으로 함몰되는 끼움홈(122a)이 형성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흡입그릴(70)의 표면에 밀착되며, 상기 걸림고리(123)의 내측으로 금속재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110)는,
상기 끼움홈(122a)으로 결합되는 결합링(113)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분사수단(130)은,
상기 제연기(2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연기(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사관(131);
상기 분사관(131)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사노즐(132);
타단부가 상기 제연기(20)의 내측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연기(20)를 통과하여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분사관(131)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132)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관(133);
상기 급수관(133)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노즐(132)로의 물공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134); 및
상기 제연기(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133)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한편, 외부의 다른 물공급관과 연결되면서 외부로부터 물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물공급관과의 분리, 결합에 따라 상기 제연기(20)가 교체, 설치되도록 하는 연결부재(135)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132)은,
수평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재(135)는,
외부의 다른 물공급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연기(20)는,
상기 연결부재(135)가 상기 물공급관과 연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제연구역과 접한 도어(62)의 상측에 설치되거나 설치해제되고,
상기 개폐밸브(134)는,
상기 제연기(20)의 작동에 따라 함께 개방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32)을 통해 상기 에어막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포집부(14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물이 수용되고, 상기 제연구역을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포집함(141);
개방된 상기 포집함(141)의 상부를 차단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142a)이 형성되는 그릴(142)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함(141)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에어막의 하부가 유입되며 소멸될 수 있도록 하여 에어막이 상기 제연구역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물질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그릴(142)은,
상부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9289A KR101766362B1 (ko) | 2017-04-17 | 2017-04-17 |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9289A KR101766362B1 (ko) | 2017-04-17 | 2017-04-17 |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6362B1 true KR101766362B1 (ko) | 2017-08-08 |
Family
ID=5965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9289A Active KR101766362B1 (ko) | 2017-04-17 | 2017-04-17 |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636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6187A (ko) * | 2018-12-19 | 2020-06-29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출입문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쿨러 |
JP7561982B2 (ja) | 2020-10-26 | 2024-10-04 | エスピーアンドイ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吸気型除煙設備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7629A (ja) * | 2004-03-31 | 2005-10-20 | Nohmi Bosai Ltd | 防災設備 |
KR100823958B1 (ko) * | 2006-09-22 | 2008-04-22 | 차흥식 |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17
- 2017-04-17 KR KR1020170049289A patent/KR10176636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7629A (ja) * | 2004-03-31 | 2005-10-20 | Nohmi Bosai Ltd | 防災設備 |
KR100823958B1 (ko) * | 2006-09-22 | 2008-04-22 | 차흥식 |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6187A (ko) * | 2018-12-19 | 2020-06-29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출입문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쿨러 |
KR102146228B1 (ko) * | 2018-12-19 | 2020-08-20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출입문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쿨러 |
JP7561982B2 (ja) | 2020-10-26 | 2024-10-04 | エスピーアンドイ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吸気型除煙設備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11002B2 (ja) | ベンチュリ式除煙スプリンクラー並びに煙及び有毒ガス除去装置 | |
KR101968080B1 (ko) | 화재 대피실 | |
KR101863516B1 (ko) |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 |
KR101887029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
KR100995220B1 (ko) |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 |
KR100823958B1 (ko) |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168831B1 (ko) | 화재 스프링클러 기능을 가진 연기 및 유독가스 제거 장치 | |
KR102438654B1 (ko) | 에어튜브를 이용한 도로 터널 화재 진압용 차폐기구 | |
KR101753116B1 (ko) |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 |
KR101766362B1 (ko) |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 |
CN106075763A (zh) | 智能化火灾预防及应对系统 | |
CN212619103U (zh) | 一种消防工程用的防排烟装置 | |
KR102050539B1 (ko) |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 |
KR102359472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제연장치 | |
KR102073356B1 (ko) |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 |
KR200433050Y1 (ko) |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 |
CN111735162B (zh) | 一种住宅卫生间多用途调风、火灾避难装置 | |
CN210342770U (zh) | 一种具有火灾报警功能的建筑 | |
CN211024933U (zh) | 家用智能防火防烟预警器 | |
KR20180111072A (ko) |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 |
KR102353316B1 (ko) |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정화 흡연 부스 | |
KR20190038050A (ko) |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 |
KR20200003989A (ko) |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 |
KR102106749B1 (ko) | 포소화설비가 내장된 열교환 환기장치 | |
KR101888943B1 (ko) | 산소 발생기와 에어컨이 구비된 승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4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