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00059A -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 Google Patents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059A
KR20180100059A KR1020187021626A KR20187021626A KR20180100059A KR 20180100059 A KR20180100059 A KR 20180100059A KR 1020187021626 A KR1020187021626 A KR 1020187021626A KR 20187021626 A KR20187021626 A KR 20187021626A KR 20180100059 A KR20180100059 A KR 2018010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morphous
amorphous screen
glazing
thickn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햐엘 라브로트
폴크마 오퍼만
베른하르트 로일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10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05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35/223Flexib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2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6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5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relation to the windshield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816Fastening of displays or 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replacing a rear-view mirror syste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4Supplementary details with combiner of laminated type, for optical or mechanical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Multimedia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적층형 글레이징에 관한 것으로서, 적층형 글레이징 내에서, 아몰레드 화면 및 아몰레드 화면을 연결하기 위한 전기 연결 요소(4)를 포함하고, 전기 연결 요소(4)는, 면(F4) 상에 위치되고 특히 아몰레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인터페이스 하우징에 연결되고,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또한 전력-공급 와이어 시스템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본 발명은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및 보다 특히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더욱 많은 수의 지능형 윈드실드가 존재하고 있다.
문헌 WO2015041106은 특히 2개의 글레이징의 내부 면들 사이에 아몰레드(능동형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화면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제안하고, 화면은 면(F2) 상에서 즉, 최외측 글레이징의 내부 면 상에서 주변에 배열되고 에나멜 처리된(enameled) 경계 내에서 마스킹된다. 수평으로 배치된 아몰레드 화면은 - 통상적으로 거울 형태인 - 차량의 후방을 보기 위한 내부 후사경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고 바람직하게 윈드실드의 상단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서 중앙 부분 내에 위치된다. 이는 차량의 후방부에 위치되는 카메라에 커플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이러한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특히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차량 특히 도로 차량의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특히 윈드실드 또는 측방향 글레이징으로서:
- 차량의 외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1으로 지칭되는 제1 주 면 및 F2로 지칭되는 제2 대향 주 면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휘어진, 바람직하게 광물 유리의, 바람직하게 특히 회색 또는 녹색으로 착색된, 제1 글레이징으로서, 글레이징의 두께(E1)가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2.5 mm 이하, 심지어 2 mm 이하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1.3 mm 이하 또는 1 mm 이하인, 제1 글레이징,
- 특히 제2 글레이징의 립(lip)으로부터 (5mm 이하 만큼 또는 심지어 2mm 이하 만큼 또는 1mm 이하 만큼) 후퇴된, 예를 들어 몇 개의 플라이(ply), 예를 들어 3개의 플라이로 이루어진,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2.2mm 이하, 보다 양호하게 2mm 이하, 1.5mm 이하 또는 심지어 0.76mm 이하의 (전체) 두께(E2)의, 면(F2) 상의, 중합체 물질(투명, 매우 투명),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물질의 적층 중간층(lamination interlayer),
- 두께(E'1)가 바람직하게 E1 미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심지어 2.2mm 이하 - 특히 1.9mm, 1.8mm, 1.6mm 및 1.4mm - 또는 심지어 1.3mm 이하 또는 1mm 이하인, 적층 중간층 측면 상의 F3로 지칭되는 제3 주 면 및 특히 차량의 내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4로 지칭되는 제4 대향 주 면을 가지는, 선택적으로 착색되는(또는 투명하거나 심지어 면(F3 또는 심지어 F4) 상에서 전기전도 층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제1 글레이징과 마찬가지로) 휘어진, 바람직하게 광물 유리의 제2 글레이징으로서, 글레이징의 전체 두께(E1+E'1)는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엄격하게 4.4mm 미만, 심지어 3.7mm 미만이고, 제1 및 제2 글레이징 중 적어도 하나 - 그리고 더 양호하게 둘 모두 - 가 유리로 제조되고, 다른 하나는 선택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유기, 중합체 물질로 제조되는, 제2 글레이징,
- 면(F2)과 면(F3) 사이의,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3)으로 지칭되는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으로서, 제1 아몰레드 화면은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의 (중앙) 구역을 포함하고 - 아몰레드 화면은 2개의 전극 사이에서 유기 발광 시스템(들)을 지지하는 제1 가요성 지지부(유리 중합체 물질, 또는 사실상 심지어 금속)를 포함하고 - 아몰레드 화면의 두께(E3)는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고 심지어 0.5mm 이하이고, 아몰레드 화면은 F3를 향해서 배향된 전방 주 면 및 F2를 향해서 배향된 후방 주 면을 가지고, - 아몰레드 화면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 그에 따라, 후방 면과 F2 사이의 적층 중간층의 영이 아닌 두께(E21) 및/또는 전방 면과 F3 사이의 영이 아닌 두께(E22)를 가지고, E2는 아몰레드 화면의 측면 상의 두께에 상응하며(특히 E2 > E21+E22이고, 실질적으로 E3와 같고),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주변에 배열되는,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
- (디스플레이 구역까지 멀리 연장되지 않고, 심지어 인터페이스 하우징을 위한 공간을 남기는) 면(F4) 상에 대항하는 그리고 (특히 감압형 양면 접착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서) 그에 고정된 소위 단자 부분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두께(E2) 미만의 두께(E4)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인, 소위 면(F2)과 면(F3) 사이의 연결 부분을 가지고,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을 가지는 아몰레드 화면의 전기 연결 요소(4)로서, 연결 부분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심지어 바람직하게 연결 부분은 후방 면과 면(F2) 사이의 적층 중간층의 영이 아닌 두께(E41) 및 전방 면과 면(F3) 사이의 (바람직하게 두께(E3)와 동일한) 영이 아닌 두께(E42)를 갖는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 내에 있는, 전기 연결 요소(4)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은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바람직하게 영구적인 연계) 아몰레드 화면을 (직접적으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는, 곡선형이고(가요성) 소위 단자 부분인, (제2 글레이징의 립을 넘어서는 E4 미만의 두께(E'4)의) 외부 부분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연결 요소는 특히 전력 공급 그리고 (바람직하게)/또는 (동시적 또는 순차적)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고, 특히 전기 연결 요소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트랙(또는 "공급 라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랙(또는 "데이터 라인"), 및 (선택적으로 특히 연결 부분 내의)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은, 면(F4) 상에서,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및/또는 아몰레드 화면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예를 들어 PCB 유형의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를 봉입하는, (접착에 의해서 접착되는) 전기 연결 요소의 단자 부분에 (숫놈형-암놈형 연결 시스템에 의해서, 플러그 인에 의해서, 클립핑에 의해서, 스냅-체결 또는 임의의 바람직하게 제거 가능한 링크에 의해서) 연결된 인터페이스 하우징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특히, 바람직하게 특히 글레이징 외측의 그리고 (립을 따라) 글레이징의 면(F4) 외측으로 연신되는, 숫놈형-암놈형 연결 시스템에 의해서, 플러그 인에 의해서, 클립핑에 의해서, 스냅-체결 또는 임의의 바람직하게 제거 가능한 링크에 의해서, (적어도) 와이어형(와이어 또는 케이블 등) 전력 공급 시스템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은, 면(F4) 상에서, 전기 연결 요소의 단자 부분에 연결되고 특히 아몰레드 화면의 제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를 봉입하는 인터페이스 하우징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선택적으로 유일하게), 특히 인터페이스 하우징의 하나의 동일한 연부 상에서 또는 구분된 연부 상에서, 와이어형 전력 공급 시스템과 더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장착 해체 및 아몰레드 화면과 근거리 네트워크, 전화,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돕기 위한 더 적은 수의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연결 기술과 아몰레드 화면의 제어를 위한 전자 인터페이스를 분리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와이어형 전력 공급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단자 부분 상에 직접적으로 공급하지 않는다.
하우징은 수분-밀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아몰레드 화면을 위해서, 특히 글레이징 외측의 그리고 (립을 따라) 글레이징의 면(F4) 외측으로 연신되는, 특히 숫놈형-암놈형 연결 시스템에 의해서, 플러그 인에 의해서, 클립핑에 의해서, 스냅-체결 또는 임의의 바람직하게 제거 가능한 링크에 의해서, ("버스드라이버"로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와이어형 시스템(케이블 등)에 더 연결될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데이터 신호 전달을 위한 와이어형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하우징의 하나의 동일한 연부 상에 또는 와이어형 전력 공급 시스템과 관련하여 구분된 연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평행6면체일 수 있고 및/또는:
- 와이어형 전력 공급 시스템의 연결부에 연결된 제2 글레이징의 립을 향해서 배향된 길이방향 연부를 가지고
- 단자 부분의 연결부에 연결된 측방향 연부를 가지며
- 그리고 심지어 데이터를 위한 와이어형 시스템의 연결부에 연결된 다른 측방향 연부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평행6면체일 수 있고 및/또는 와이어형 전력 공급 시스템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단자 부분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또는 사실상 심지어 데이터를 위한 와이어형 시스템의 연결부에 연결된 제2 글레이징의 립을 향해서 배향된 길이방향 연부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평행6면체일 수 있고 및/또는:
- 선택적으로 와이어형 데이터 시스템의 연결부에 연결된 제2 글레이징의 립을 향해서 배향된 길이방향 연부를 가지고
- 단자 부분의 연결부에 연결된 측방향 연부를 가지며
- 그리고 심지어 와이어형 전력 공급 시스템의 연결부에 연결된 다른 측방향 연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인쇄 회로 기판을 수반하거나 인쇄 회로 기판인 후면부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글레이징의 외측으로 (바람직하게 주변으로(그리고 트림,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된 장착부 아래에서)) 연신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데이터 신호 전달을 위한 와이어형 시스템에 더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은 안테나 신호의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신호(무선주파수, 마이크로파 주파수, HF, UHF)는 예를 들어 원격-톨-지불을 위한 것이고, 또는 특히 아몰레드 화면 제어를 위해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BLUETOOTH, WIFI, WLAN과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발생된다.
하우징은 단자 부분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단자 부분에 인접하고 단자 부분의 단부에 연결되고 면(F4)에 대항하거나 (양면 접착, 감압형과 같은 접착에 의해서) 그에 고정된다.
하우징의 후방부는 단자 부분의 표면의 구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특히 신호 수신을 위한 통신 윈도우를 가지는 여분의 및/또는 금속의 전자기 차폐를 가지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몇 cm 이하의, 예를 들어 5 cm 미만의 제2 글레이징의 립으로부터의 거리(d)에서, 특히 차량의 트림 뒤쪽에서 마스킹된다.
본 발명은:
- 아몰레드 화면이 투명 창 영역 내에 있을 때 그리고 연결 부분이 (특히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주변에 있거나 존재하지 않을 때(연결 요소가 적층에 존재하지 않고, "무선"일 수 있다)
- 아몰레드 화면 및 연결 부분이 (특히 불투명하거나 약간 투명한) 주변에 있을 때, 마찬 가지로 양호하게 적용된다.
(선택적인 연결 요소와 마찬가지로)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보다 양호한 기계적 신뢰성을 위해서 적층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적층 중간층은 이어서 (선택적인 연결 요소와 마찬가지로) 아몰레드 화면의 전방 및 후방에 존재하고, 이는, (선택적인 연결 요소와 마찬가지로) 아몰레드 화면이 면(F2) 또는 면(F3)에 부가되는(대항하는(against) 또는 양면 접착 또는 접착제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촉에 의해서 고정되는) 반대 대칭적(dissymmetric) 해결책과 관련하여 유리하다.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경우에, 글레이징은 바람직하게 심지어 2 방향으로 휘어지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2개의 광물 유리 글레이징 및 심지어 PVB 적층 중간층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은 선택적인 연결 부분(및 가요성 막 상의 제1 센서)과 유사한 곡률에 맞춰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적층형 글레이징은 휘어진 제1 및 제2 광물 유리 글레이징 그리고 심지어 PVB 적층 중간층 및 (연결 부분과 마찬가지인) 적층 내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자동차, 트럭과 같은 도로 차량의 윈드실드를 형성한다.
연결 요소가 "무선"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편평한)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전력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하나 이상의 유도-기반 또는 용량형 등의 무선 연결부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E2와 같은 미크론 이하의 두께(E4)의 그리고 제2 글레이징의 립을 넘어서는 E4 미만의 두께(E'4)의 전기 연결 요소가 바람직하게 곡선형이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역만큼 멀리 연신되지 않고, 면(F4)에 대해서 위치되거나 더 양호하게 접착에 의해서 면(F4)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는 유리하게, 적절한 경우에, 임의 재료로 부분적으로 커버되거나 덮이고, 그에 따라 그 두께를 아몰레드 화면의 두께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값까지 증가시킨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가요성 인쇄 회로("fpc")이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많은 수의 화소에 어드레스할 수 있다.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특히 연결 부분)의 폭은 아몰레드 화면의 폭 미만이거나 실질적으로 그와 동일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150 mm 초과의 아몰레드 폭(수평 치수)의 경우에 50 mm의 폭이다. 큰 (넓은) 화면은,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의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연부 상에서 몇 개의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연결 요소의 종료부와 제2 글레이징의 립 사이의 거리는, 장착 또는 해체 중에 이러한 종료부에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제2 글레이징 주위로 접히고 면(F4) 상에 고정되도록 연결 요소의 (접히지 않은) 전체 길이가 조정된다. 내부 유리의 출구로부터, 20 내지 150 mm의 거리가 바람직하게 예상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연결 요소(특히 연결 부분)는:
- 제1 전방 면 및 제1 후방 면, 와이어 또는 바람직하게 전방 또는 후방 측면 상의 전도 트랙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중합체의, 투명한 또는 다른(예를 들어, PET 등) 가요성 지지부,
- 선택적으로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 구성요소,
수지 또는 바니시(액체 침착 등)의 층 또는 예를 들어 접착-코팅된 투명 또는 불투명 보호 막(PET,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전기 절연 물질에 의해서 커버된 와이어 또는 트랙(및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은 임의 공지된 수단: 클립핑, 플러그-인에 의해서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분 및 아몰레드 화면은 하나 이상의 영구적인 (고체) 연계부에 의해서 연계된다. 연결 부분과 아몰레드 화면 사이의 연계는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 상에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아크릴레이트가 가요성 중합체 막으로서 선택된다:
- 아몰레드 화면(기재, 후방 또는 전방 보호 막: 정면 막(facade film) 등),
- 전기 연결 요소, 특히 연결 부분(기재, 후방 또는 전방 보호 막).
일 실시예에서, 적층형 글레이징은, 특히 하나의 길이방향 또는 측방향 연부의 주변에서, 복수의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고, 그 각각은 지정된 인터페이스 하우징 또는 공통 인터페이스 하우징을 갖는다.
아몰레드 화면은 불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다. (주변 구역 또는 기타 내의 투명 창 영역 내의) 투명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70%의,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의 구역의 루미너스 투과(luminous transmission)(LT)에 의해서 규정된다.
(항상 주변이 되도록 의도된) 덜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20% 미만 또는 심지어 10% 미만의,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의 구역의 루미너스 투과(LT)에 의해서 규정된다.
불투명 아몰레드 화면은 (예를 들어, 아몰레드 시스템의 캐리어 기판의 후방에서 - 금속 … - 층 또는 페인트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서) 영의 LT를 가지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특히 윈드실드(특히 도로 차량)의 경우에, 이러한 아몰레드 화면은 주변에 그리고 바람직하게, 특히 외부 마스킹 층의 폭이 운전자의 측면 및/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그 폭(L0)보다 넓은 폭(L1)인 구역 내에서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더 높은 높이(H3)(수직을 따른 치수)를 가지는 더 큰 크기의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을 배열할 수 있게 한다. 아몰레드 화면은 또한 보다 더 중심(경계에 가능한 한 근접한 연부)을 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은 에나멜로 제조되고 아몰레드 화면 뒤쪽의 면(F2) 그리고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 상에 위치된다.
오프 상태에서, 아몰레드 화면 구역은 후방부에 더하여 마스킹 구역과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 마스킹 층(특히, 면(F2) 상의 에나멜)의 컬러의 적응(adapt)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투명하고 투명 창 영역 내에 있거나 그 내부에서 (투명 또는 불투명) 아몰레드 화면이 아몰레드 화면의 후방 면과 면(F2) 사이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및/또는 전기 연결 요소가 특히 후방 면과 면(F2) 사이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마스킹되고,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뿐만 아니라 연결 요소가 면(F3 또는 F4) 상에서 소위 내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내부로부터 마스킹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연부까지, 그리고 더 정확하게 이하까지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운전자(또는, 보조 운전자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에 의해서 보일 수 있는 전체 주변 구역 이하를 커버한다:
- 아몰레드 화면이 운전자의 (또는 탑승자의) 측면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운전자의 측면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 있는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서 수평 방식으로 상단에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연부까지,
- 아몰레드 화면이 운전자의 (또는 탑승자의) 측면 하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운전자의 측면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 있는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서 수평 방식으로 하단에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하부 연부까지,
- 아몰레드 화면이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식으로 상단에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연부까지,
- 아몰레드 화면이, 바람직하게 더 넓어지도록 하단 부분 (측방향 연부의 하부 절반) 내에서, 좌측 측방향 연부를 따라 좌측의 바람직하게 운전자의 측면 (각각 우측의 바람직하게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 수직 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좌측 (각각 우측) 연부까지.
바람직하게 면(F2) 상에서,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불투명하게 또는 약간 투명하게 마스킹된 경우에 -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하부, 측방향(좌측 및 우측) 연부(또는 한계)는 특히 규제 표준에 의해서 규정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경우에, 이는 유럽 표준 UN-ECE R43 첨부 18, 특히 133 쪽 및 § 2.4에 따라 규정된 제한된 구역(B)을 포함한다.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한계는 바람직하게 수평선과 기준 지점으로부터 7° 사이의 각도를 기초로 규정된다(운전자의 눈, 키가 큰 운전자의 경우에 Z= 665mm 또는 키가 작은 운전자의 경우에 Z=589 mm인 차량의 좌석과 관련된 높이(Z)의 눈).
적층형 글레이징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와 관련된 연부로부터, 이하의 거리가 규정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mm 및 심지어 적어도 50 또는 90mm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h1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40mm 및 심지어 적어도 100 또는 200mm의, 하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하부 한계 사이의 h'1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mm 및 심지어 적어도 20 또는 40mm의, 측방향(좌측 또는 우측)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측방향 한계 사이의 h4 거리.
아몰레드 화면의(및/또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의) 구역으로부터 멀리,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바와 같이 2 cm 이하 만큼 (미리 결정된) 시야 구역을 넘어서 돌출하면서, 립으로부터 h1, h'1, h4까지, 에나멜과 같은 (면(F2) 상의) 외부 주변 마스킹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아몰레드 화면(그리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을 마스킹하기 위해서 외부 마스킹 층의 폭을 어느 정도 그리고 최대로 중앙 투명 구역의 한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 마스킹은 제한된 시야 구역(B)의 한계로부터 (제1) 글레이징의 연부까지 존재할 수 있다.
적층형 글레이징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와 관련된 연부의 함수로서, 이하의 거리가 규정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50 mm 초과 또는 200 mm 또는 220 mm의, 상부 연부와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투명한 중앙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50 mm 초과 또는 300 mm의, 하부 연부와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중앙 투명한 구역의 하부 한계 사이의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80 mm 및 심지어 적어도 250 mm 또는 300 mm의, 상부 연부와 (중앙 위치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중앙 부분 내의 중앙의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Ha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초과 또는 150 mm의, 측방향(좌측 또는 우측) 연부와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중앙의 투명 구역의 측방향 한계 사이의 h5 거리.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과 가장 중앙의 구역(A) 사이의) 상단 위치 내의 제한된 구역(B)의 높이(h6)는 60 mm 내지 90 mm일 수 있다. 이는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 내로 상승될 수 있는) (상당히)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은 아몰레드 화면보다 높다.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과 가장-중앙의 구역(A) 사이의) 하단 위치 내의 제한된 구역(B)의 높이(h'6)는 60 mm 내지 90 mm일 수 있다. 이는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 내로 하강될 수 있는) (상당히)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은 아몰레드 화면보다 낮다.
외부 마스킹 층 구역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아몰레드 화면의 표면 만큼 크고, 바람직하게 이하보다 약간 더 크다:
- 예를 들어 아몰레드 화면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적어도 5 mm 만큼,
- 및/또는 가장 중앙의 연부(아몰레드 화면의 상단의 위치인 경우에 하단 연부, 아몰레드 화면의 하단의 위치인 경우에 하단 연부) 아래에서 적어도 5 mm 만큼.
외부 마스킹 층은, 적층형 글레이징(윈드실드)의 중심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그라데이션(gradation)의 패턴(기하형태적 패턴, 둥근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형상 등)의 네트워크 형태로 불연속적인 구역에 의해서 연장되는 중실형 구역(solid zone)(편평한 패치)일 수 있다. 그라데이션은 폭이 15 mm 이하 및 심지어 10 mm 이하 및 적어도 3 또는 5 mm일 수 있다. 그라데이션은, 폭의 하부 길이방향 연부의 구역 내에서, 30 mm 이하의 그리고 심지어 25 mm 이하 그리고 적어도 10 또는 15 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이 그라데이션 뒤에 위치되지 않고 중실형 구역 뒤에 위치된다. 한계에서만, 그라데이션이 아몰레드 화면을 넘어서 돌출될 수 있다.
각각의 아몰레드 화면에 대해서 지정된 기준 연부 또는 구분된 연부들을 따라 확장된 몇몇 마스킹 구역 및 그에 따라 심지어 확장된 마스킹 구역이 있을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적층형 글레이징 특히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는:
- 적어도 1200 mm 및 1850 mm 이하 및 바람직하게 1350 내지 1550 mm의 폭(수평 치수)(Lp),
- 적어도 800 mm 및 1400 mm 이하 및 바람직하게 950 내지 1050 mm의 높이(수직 치수)(Hp)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적어도 80 mm x 120 mm이다.
바람직하게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및 W3)는 강제되는 표준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폭(W3)은 적어도 10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200 mm 초과, 350 mm 초과, 그리고 심지어 500 mm 이상, 특히 또는 제1 가시적 측방향 연부 및 상단 중앙 구역(그리고 심지어 상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운전자의 측면에 걸쳐 또는 제2 가시적 측방향 연부와 상단 중앙 구역(그리고 심지어 상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보조 운전자의 측면 구역이다.
바람직하게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는 적어도 8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이다.
바람직하게, 하단 위치(하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폭(W3)은, 특히, 적어도 10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200 mm 초과, 350 mm 초과, 그리고 심지어 500 mm 이상, 특히 또는 가시적 측방향 연부 및 중간 구역(그리고 심지어 하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운전자의 측면 구역 또는 제2 가시적 측방향 연부와 하단 중앙 구역(그리고 심지어 하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보조 운전자의 측면 구역 초과이다.
바람직하게 하단 위치(하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는 적어도 8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이다.
바람직하게 중앙 구역 내의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직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폭(W3)은 적어도 10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20 mm 내지 280 mm 또는 심지어 300 mm이다.
바람직하게 중앙 구역 내의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직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은 적어도 8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50 mm 내지 200 mm이다.
제2 글레이징은 바람직하게 국소적인 노치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연결 요소의 폭 그리고 바람직하게 기껏해야 아몰레드 화면의 폭과 같은 폭(피팅의 반경은 포함하지 않음)의 노치를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을 빠져 나온다.
그에 따라 노치의 치수는 이하로 구성된다:
- 연결 요소의 폭 이상인 노치의 폭;
- 연부가 눈에 보이는 경우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연결 요소의 두께 이상인 노치의 깊이.
실질적으로, 노치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1.5 mm 내지 3 또는 심지어 2 mm이다.
노치 구역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적층 중간층을 가지지 않는다.
중합체 물질의 적층 중간층은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 -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폴리우레탄 또는 수지로부터, 단독적으로 또는 그 중 하나의 몇몇 변형물 및/또는 그 중 몇몇의 혼합물로, 선택되고; "변형물"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가소제의, 분지(branching)/선형성의 양, 분자의 평균 분자량의 변형을 지칭한다.
양호한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는, 사실상 심지어 편평한 연결부 유형의 전기 연결 요소의 아몰레드 화면(테두리 그리고 전방 및 후방 면)을 둘러싸고 그와 접촉된다.
적층 중간층 자체는, 예를 들어 두께가 0.2 mm 내지 1.1 mm인, 하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된, 폴리비닐부티랄(PVB), 폴리우레탄(PU),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로 제조될 수 있다.
적층 중간층의 표면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표면보다 작을 수 있고, 예를 들어 홈(프레임-유사 또는 배너(banner)-유사)을 남길 수 있고, 이는 자유롭고 그에 따라 적층되지 않는다.
제2 글레이징과 같은 제1 글레이징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주 면 또는 시트 또는 심지어 임의의 다른 형상(둥근형, 타원형, 다각형)을 가지는, 평행6면체형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은 (미적 결과, 또는 희망하는 광학적 효과에 따라) 투명 유리(4mm 두께에서 90% 이상의 루미너스 투과(LT)의), 예를 들어 Saint-Gobain Glass사로부터의 Planilux®과 같은 소다-석회 표준 조성 유리, 또는 엑스트라-투명 유리(4 mm 두께에서 91.5% 이상의 LT), 예를 들어 Saint-Gobain Glass로부터의 Diamant® 유리와 같이 0.05% 미만의 Fe III 또는 Fe2O3 를 가지는 소다-석회-실리카 유리, 또는 Pilkington로부터의 Optiwhite® 유리, 또는 Schott로부터의 B270®, 또는 문헌 WO04/025334에서 설명된 다른 조성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의 유리는 중성(채색 없음)일 수 있거나, 또는 Saint-Gobain Glass로부터의 TSA 유리와 같이, 특히 회색 또는 녹색으로, (약간) 착색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의 유리에 (특히 더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얻기 위해서) 강화, 어닐링 유형 또는 템퍼링 처리와 같은 화학적 또는 열적 처리를 가할 수 있거나 반-템퍼링할 수 있다.
루미너스 투과(LT)는 루미넌트 D65를 이용하여 ISO 표준 9050:2003에 따라 측정될 수 있고, 직접적인 투과 및 가능한 확산 투과 모두를 고려한, (특히 가시광선 영역 내에 통합되고 인간 눈의 감도 곡선에 의해서 가중된) 총 투과이며, 그러한 측정은, 예를 들어, 적분구를 구비한 분광 광도계의 도움으로 이루어지고, 주어진 두께에서의 측정은 그 후에, 적절한 경우에, ISO 표준 9050:2003에 따라 4 mm의 기준 두께로 변환되었다.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특히 윈드실드 또는 측방향 글레이징의 경우에, LT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0% 그리고 심지어 적어도 75% 또는 8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글레이징은 광물 유리로 제조되고, 제2 글레이징은 유기 유리(예를 들어, (면(F4) 상에서)) 코팅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보호된 PC, PMMA, 환형-올레핀 공중합체(COC) 또는 다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다.
외부 글레이징은 그 면(F1 및 F2)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 기능적인 얇은 층을 포함할 수 있고: 면(F1) 상의 광촉매 자가-세정 또는 소수성 층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층형 글레이징은 휘어진 제1 및 제2 글레이징 그리고 심지어 PVB 적층 중간층을 가지는 자동차, 트럭과 같은 도로 차량의 윈드실드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글레이징(윈드실드)의 휘어짐은 예를 들어 문헌 WO201013670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0.8 mm 이하, 바람직하게 0.7 mm 이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0.6 mm 이하 및 심지어 적어도 0.1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유기 발광 시스템의 소위 하부 전극(종종 양극) 및 상부 전극을 지지하는 가요성 지지부(중합체, 유리, 또는 사실상 금속)를 포함하는 한편,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다른 기능적 요소 또는 층은 특히:
- 지지부와 하부 전극 사이의 그리고 침착물 또는 막의 형태의: (산소, 수분 등에 대한) 장벽 층,
- 상부 전극 및 침착물 또는 막의 형태: (산소, 수분 등에 대한) 보호 층, 예를 들어 침착물(바니시, 외장, 수지 등) 및/또는 전방 막(투명 중합체 막: PET 등)일 수 있다.
더 정확하게, 화소는 바람직하게 이하의 시스템 중 둘 또는 셋을 나란히 포함한다:
- "R"로 지칭되는 적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 "G"로 지칭되는 녹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 "B"로 지칭되는 청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 "W"로 지칭되는 백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특히 RGB,RWB,WBG,RWB,W,BG.
화소의 수는 적어도 64x128이다. 방출은 상단 방출 유형(기재로부터 먼 쪽의 방출)이다. 전방 면은 관찰 면을 의미한다.
적어도 2개의 구성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의 전력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휘도가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400 Cd/m2가 되도록 아몰레드 화면의 전력이 조정되는 야간 시야를 위한 구성 및 휘도가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500 Cd/m2가 되도록 아몰레드 화면의 전력이 조정되는 주간 시야를 위한 구성. 주간 시야에서, 외부 조명의 함수로서 아몰레드 화면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모든 정보가 아몰레드 화면(특히 윈드실드)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외부 및 내부 대기 조건, 후방 환경의 시야, (이미 표시한 바와 같은) 좌측 및 우측 측방향 환경의 시야, 운전 조건에 관한 정보, 및 이정표, 운송 차량에 관한 기술적 정보.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통합될 수 있는) 이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 후방부의 중앙 시야,
- 운전 보조 정보, 특히 경고, 장애물 검출의 디스플레이,
- 특히 (요청되는 정지와 함께) 경고의 경우에, 차량의 특성(엔진, 바퀴, 브레이크, 헤드라이트 등)에 관한 정보(레벨, 동작 상태, 마모 상태 등)의 디스플레이,
- 외부 환경에 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 기후, 주유소까지(전기 충전소 까지 등), 도시까지, 고속도로 출구 까지의 거리,
- 연결성: 네트워크(소셜 네트워크, 인터넷 등) 에 대한 접속에 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 전화 모드의 동작: 스피커의, 비상 및/또는 사고 또는 위험 상황의 경우에 사람(경찰, 의료 시설)의 디스플레이.
아몰레드 화면 및/또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또한 보조 운전자측 TV로서, 또는 전화 모드 동작으로서: 스피커의, 비상 및/또는 사고 또는 위험 상황의 경우에 사람(경찰, 의료 시설)의 디스플레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텔레비전에서와 같이 이하의 몇몇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 주 화상(후방의 중앙 시야 등),
- 인레이드(inlaid) 이미지(들)(차량의 측방향 시야 등).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다.
전방 면 측면 상에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로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밴드(디스플레이를 위한, 활성 구역으로부터 구분되는 구역)가, 면(F3 또는 F4) 상의, 바람직하게 에나멜의, 소위 내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또는 전방 면 상의 마스킹 요소(불투명 층, 막)에 의해서 마스킹될 수 있다. 및/또는 연결 요소(연결 부분)의 전방 표면은, 면(F3 또는 F4) 상의, 바람직하게 에나멜의, (동일한) 소위 내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또는 전방 표면 상의 마스킹 요소(불투명한 막)에 의해서 마스킹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역을 보여주는 그리고 외부 마스킹 층의 폭 이하인 폭의 개구부를 가지는 편평한 패치이다.
내부 마스킹 층은:
-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연결 부분의 마스킹뿐만 아니라,
- 또한, 글레이징 특히 윈드실드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을 형성할 수 있고,
- 심지어, 불규칙부 또는 결함을 포함할 수 있는, 적층 중간층 및 아몰레드 화면 사이의 접합부의, (그리고 심지어 적층 중간층과 연결 부분 사이의 접합부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을 넘어서 돌출되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마스킹 요소는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연결 부분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지지 막 및/또는 보호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저장의 관점에서 미리 장착되자 마자,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연결 부분의 전체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이러한 미리 장착된 조립체에 부착된 막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윈드실드의 조립 전에 미리 절단된 바람직하지 못한 부분이 그러한 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마스킹 요소(불투명한 막 등)는:
-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연결 부분의 마스킹뿐만 아니라,
- 또한, 윈드실드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을 형성할 수 있고,
- 심지어, 불규칙부 또는 결함을 포함할 수 있는, 적층 중간층 및 아몰레드 화면 사이의 접합부의, (그리고 심지어 적층 중간층과 연결 부분 사이의 접합부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을 넘어서 돌출되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또한 아몰레드 화면을 커버하는 투명 중합체 재료의 불투명화된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연결 부분을 커버하는 중합체 재료의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 또는 마스킹 요소(불투명한 막)는 적어도 0.1 mm 및 심지어 5 mm 이하 또는 2 mm만큼 기술적 연부를 넘어서 돌출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마스킹 요소를 가지는 2개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요소(연결 부분)의 마스킹, 또는 양 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또는 연결 요소의 이중 마스킹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마스킹의 기능은, 장치의 유용한 부분이 내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유지하도록, 장치의 유용하지 않고 흉한 부분을 은폐하는 것이고;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재의 성질에 적합한 임의의 방법: 면(F2) 상에서의 에나멜과 같은, 잉크 젯, 실크-인쇄가 이용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은 그 자체를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 및 (연결 부분의) 전기 연결 요소의 부분 (적어도 가시적인 부분)의 마스킹으로 한정할 수 있거나, 심지어 선택적으로 1 내지 2 cm 이하만큼 작게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은, 외부 마스킹이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의 투과에 의해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역 내에서, 외부 마스킹의 폭 이하인 폭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및/또는 외부 마스킹 층은 어두운(흑색) 에나멜 층일 수 있으나, 보다 넓게 불투명한 페인트 또는 잉크의 층, 또는 인쇄된 중합체 층(예를 들어, 인쇄된 PVB),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일 수 있다.
면(F2) 상의 외부 마스킹 층 및 면(F3 또는 F4) 상의 내부 마스킹 층이 바람직하게 동일한 재료로 그리고 심지어 에나멜로 구성된다. 적어도 면(F2) 상에서 그리고 심지어 면(F4) 상에서 에나멜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고 이하의 도면에 의해서 도시된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의 예로부터, 본 발명이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상세 내용 및 유리한 특성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도 1', 도 1a 및 도 8은 각각,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1bis, 도 1'bis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정면 및 상세 개략도이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명료성을 위해서, 제시된 대상의 여러 요소가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재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분명하다. 간결함을 위해서, 글레이징은, 글레이징의 이러한 곡률 또는 이러한 곡률들(2차원적)에 적응하면서 곡선화된 것으로 제시된 적층에서, 휘어진 것으로 제시되지 않았고 가요성 요소도 아니다.
도 1은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의 내부로부터 본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윈드실드(100)는 투명 관찰 중앙 구역(내부 글레이징(1')의 중앙 부분 그에 따라 면(F4) 측면(14)) 및 외부 마스킹 주변 프레임(5), 하단 길이방향 연부(15a) 및 상단 길이방향 연부(15b), 좌측 측방향 길이방향 연부(15c) 및 우측 측방향 길이방향 연부(15d), 여기에서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투명 창 영역 내에 위치될 정도로 투명하지 않은) 아몰레드 화면(3)의 후방부를 마스킹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면(F2) 상의, 외부 마스킹 층(5)은 차량의 외부의 관찰로부터 아몰레드 화면(3)(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층 내의,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그 연결부)을 은폐한다. 에나멜(5)의 기능은 첫 번째로, 면(F1)으로부터 볼 때, 최종 적층형 글레이징을 바디워크 베이(bodywork bay)에 체결하는 접착 비드를 은폐하는 것이다.
아몰레드 화면은 수평 방식으로 상단 길이방향 연부(15b)의 중앙 위치 내에 배열되고 직사각형이다. 이는 (전부 또는 부분이), 통상적인 그리고 심지어 보조 운전자 측면 마스킹을 위한 역할을 하는, 에나멜의 폭(수직 치수)(L1)이 (예를 들어 좌측의) 인접 폭(L0)보다 넓은, 소위 확장된 구역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치수 또는 폭(W3)은 적어도 120 mm 그리고 심지어 250 mm 까지이다. 수직 치수 또는 높이(H3)는 적어도 75 mm이다.
여기에서 아몰레드 화면(3)은 확장된 주변 구역의 최하단 아래이다. 그 하단 연부(34)는 예를 들어 폭이 15 mm 이하인 에나멜 패턴을 가지는 선택적인 구역의 경계가 아니라 에나멜 편평 패치(51)(중실형 구역)의 경계 상에 있거나 그에 근접한다. 그 상단 연부(34')는 (캐빈 내의 시야 구역의 한계까지), 전형적으로 적어도 15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70 mm만큼 높을 수 있다. 이는 윈드실드의 설계(크기, 경사, 제조자가 요구하는 투명 장면)에 따라 달라진다.
확장된 에나멜 구역(50)의 연부(53, 53')는 예를 들어 2 cm 이하 또는 심지어 1 또는 0.5 cm(중실형 구역의 한계)만큼 측방향 연부(33 및 33')를 넘어서 돌출될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어둡고 심지어 (측면 위로 돌출되는) 에나멜 배경(5)과 거의 구분될 수 없거나 전혀 구분될 수 없다. 그에 따라 에나멜 컬러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나멜은 불투명하고 어둡다.
아몰레드 화면은 여기에서 구역(A ZA)로 지칭되는 투명 중앙 구역(가장 중앙 및 2 부분, 사변형-유사) 또는 제한된 구역(B Zb)(점선)과 구분되는 주변 구역 내에 위치된다.
아몰레드 화면(3)의 조명시에, 차량의 후방의 중앙 시야 그리고 바람직하게 차량의 측방향 시야를 볼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 시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화 모드, 텔레비전 모드, 환경 데이터 또는 도로 또는 차량에 관한 데이터(지도, GPS 등)의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 화면의 방식의) 하나 이상의 화면 구역 상의 동시적인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운전자 측면 상단 길이방향 연부 상에 위치된다. 이는 더 높지만 중앙 구역 내에서보다 더 넓을 수 있고 (돌출 에나멜 구역으로부터 멀리) 중앙 구역 내로 돌출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시야 구역 내의 운전자 측면 하단 길이방향 연부 상에 위치된다. 이는 중앙 구역에서 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운전자 측면 하단 측방향 연부에 있고 시야 구역 내에서 가능한 한 낮게 아래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인터페이스 하우징(주변)은 제공되지 않는다.
도 1'는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의 내부로부터 본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아몰레드 화면이 수직 방식(더 높은 H3 및 더 좁은 W3)으로 배열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100')는 도 1의 윈드실드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H3는 150 mm 내지 300 mm이고 W3은 60 mm 내지 120 mm이다.
인터페이스 하우징(주변)은 제공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로서,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의 이러한 중앙 구역 내에 배치된다:
- 예를 들어 또한 수직 방식으로 배열되고
- 예를 들어 수평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1a는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a)의 내부로부터 본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아몰레드 화면이, 예를 들어 상단 연부(34')가 중실형 구역(51)의 한계에 있는 상태로, (요구되는) 투명 구역 내에 배열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100a)는 도 1의 윈드실드와 상이하다. 인터페이스 하우징(주변)은 제공되지 않는다.
도 1bis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bis)의 정면적 및 구체적 개략도이다.
단순함을 위해서, 외부 마스킹 층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는 (주변에 있고, 불투명하거나 약간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의 구역을 커버한다. 중실형-라인 요소는 투명성에 의해서 내부 글레이징(1')을 통해서 보여진다.
도 1에서와 같이, 아몰레드 화면(3)은 상단 길이방향 연부(15b)의 중앙 구역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다. 윈드실드(100bis)는, 상부 연부(15b)가 노치(11')를 나타내는, 외부 광물 유리 시트(1) 및 내부 광물 유리 시트(1')를 포함한다.
아몰레드 화면(3)은 외부 유리 시트(1)와 내부 유리 시트(1') 사이에 개재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폭이 적어도 0.5 mm인 좁은 측방향 주변부(33 및 33'), 하단(34), 상단(34') 밴드 내의 하나 이상의 기술적 연부(여기에서 4개)에 의해서 측면 가공된(flanked) 디스플레이 구역(32')을 나타낸다. 이는 아몰레드 화면(3)의 전기 연결 요소(4)를 통해서 공급을 받으며, 전기 연결 요소는:
-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 아몰레드 화면을 제2 글레이징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적층 중간층의 E2보다 얇은 두께(E4)의,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을 가지는 적층 중간층 내의 면(F2)과 면(F3) 사이의 가요성의 소위 연결 부분(40)을 포함하고,
- 가요성의 소위 외부 부분(45)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곡선형이고, 장착/해체의 시간에 접근할 수 있는 구역 내의 그 연결부(8)에 의해서 종료되는 소위 단자 부분(47)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구역(32')까지 멀리 연신되지 않고, 접착에 의해서 면(F4) 상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4)는 2560 x 1600 화소(아몰레드 화면)의 구성에 적합한 가요성 인쇄 회로(FPC)이다. FPC(4)는 또한 유리하게 아몰레드 화면(3)과 동일한 폭일 수 있고, 그에 따라 2개의 요소를 바람직하게 폴리비닐부티랄(글레이징 연부에 대해서 약간 후퇴된 PVB)의 적층 중간층 내로 삽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내부 유리(1')는 노치(11')를 포함한다. 노치(11')의 치수가 FPC(4)에 맞춰 구성된다:
- 노치(11')의 폭은 FPC(4)의 폭보다 크거나 그와 같고;
- 연부가 눈에 보이는 경우에 FPC(4)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노치(11')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FPC(4)의 두께 이상이다.
실제적으로, 노치(11')의 깊이는 1.5 mm 내지 2 mm이다. 노치(11')의 구역은 적층 중간층을 실질적으로 가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평행6면체인, 인터페이스 하우징(70)은 여기에서 측방향 연부 상에서 연결부(8)에 연결되고 다른 연부(여기에서 길이방향) 상에서 전력 공급 케이블(72)의 연결부(71)에 연결된다. d는 예를 들어 몇 cm이다.
도 1'bis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bis)의 정면적 및 구체적 개략도이다. 단순함을 위해서, 외부 마스킹 층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는 아몰레드 화면(주변적, 불투명 약간 투명)의 구역을 커버한다. 중실형-라인 요소는 투명성에 의해서 내부 글레이징(1')을 통해서 보여진다.
이는 그 수직 배열에서 윈드실드(100bis)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평행6면체인, 인터페이스 하우징(70)은 단자 부분(47) 상에 장착되고 연부(여기에서 측방향) 상에서 전력 공급 케이블(72)의 연결부(71)에 연결된다. d는 예를 들어 몇 cm이다.
도 2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2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윈드실드(200)는:
- 차량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F1으로 지칭되는 제1 주 면(11) 및 F2로 지칭되는 제2의 대향 주 면(12)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두께(E1)가 2.5 mm 이하이고, 출원인의 회사로부터의 TSA 유리와 같은 2.1 mm 두께의 유리를 가지는, 특히 바람직하게 착색된 소다-석회-실리카 플로트 유리 시트인, 제1 글레이징(1)
- 폴리비닐부티랄(PVB)과 같은, 바람직하게 두께(E2)가 적어도 0.76 mm인, 면(F2) 측면 상의, 중합체 물질의 적층 중간층(2)
- 차량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적층 중간층(2) 측면 상의 F3로 지칭되는 제3 주 면(13) 및 F4로 지칭되는 제4의 대향 주 면(14)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두께(E'1)가 2.2 mm 이하이고, 출원인의 회사로부터의 TSA 유리와 같은, 예를 들어 착색된, 1.6 mm 두께의 유리를 가지는, 특히 소다-석회-실리카 플로트 유리 시트인, 제2 글레이징(1')
-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3)으로 지칭되는,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면(F2)과 면(F3) 사이의 그리고 적층 중간층 내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으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E2 미만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의 두께(E3)의,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32')의 구역을 포함하고, 아몰레드 화면은 면(F3)을 향해서 배향된 전방 주 면(32) 및 면(F2)을 향해서 배향된 후방 면(31)을 가지며, 아몰레드 화면이 주변에 배열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
- 적층 중간층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전기 연결 요소(4)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아몰레드 화면(3)은 외부 유리 시트(1)와 내부 유리 시트(1') 사이에 개재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폭이 적어도 0.5 mm인(그리고 바람직하게 1 cm 미만인) 좁은 주변 밴드(34, 34') 내의 하나 이상의 기술적 연부(1, 2, 3, 또는 4개)에 의해서 측면 가공된 디스플레이 구역(32')을 나타낸다. 아몰레드 화면(3)은 가요성을 가지고, 연계되고 적층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요소(4)에 의해서, 글레이징의 연부를 향해서 직접적으로 연장된다.
이는 아몰레드 화면(3)의 전기 연결 요소(4)를 통해서 공급을 받으며, 전기 연결 요소는:
-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 아몰레드 화면을 제2 글레이징(1')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적층 중간층의 E2보다 얇은 두께(E4)의,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42)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41)을 가지는 적층 중간층 내의 면(F2)과 면(F3) 사이의 가요성의 소위 연결 부분(40)을 포함하고,
- 소위 외부 부분(45)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곡선형이고, 장착/해체의 시간에 접근할 수 있는 구역 내의 그 연결부(8)에 의해서 종료되는 단자 부분(47)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구역(32')까지 멀리 연신되지 않고, 접착에 의해서 면(F4) 상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4)는 2560 x 1600 화소(아몰레드 화면)의 구성에 적합한 가요성 인쇄 회로(FPC)이다. FPC(4)는 유리하게 아몰레드 화면(3)과 동일한 폭일 수 있고, 그에 따라 2개의 요소를 (글레이징 연부에 대해서 약간 후퇴되게) 적층 중간층 내로 삽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내부 유리(1')는 노치(11')를 포함한다. 노치(11')의 치수가 FPC(4)에 맞춰 구성된다:
- 노치(11')의 폭은 FPC(4)의 폭보다 크거나 그와 같고;
- 연부가 눈에 보이는 경우에 FPC(4)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노치(11')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FPC(4)의 두께 이상이다.
실제적으로, 노치(11')의 깊이는 1.5 mm 내지 2 mm이다. 노치(11')의 구역은 적층 중간층을 실질적으로 가지지 않는다.
접착제(7a)(감압형 등)에 의해서 면(F4)(14) 상에 접착된 인터페이스 하우징(70)은 예를 들어 평행6면체이고 여기에서 길이방향 연부 상에서 연결부(8)에 연결되고 다른 연부(여기에서 측방향) 상에서 전력 공급 케이블(미도시)의 연결부(71)에 연결된다. d는 예를 들어 몇 cm이다.
아몰레드 화면(3)은 예를 들어 두께(E3)를 갖는다. 연결 부분(40)이 얇은 두께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두께(E4)를 E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까지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것이 임의의 재료로 선택적으로 커버되거나 덮인다. 만약 E4가 0.4 mm와 같다면, E3는 0.38 내지 0.40 mm이다. 0.38 mm의 중앙 플라이(22)가 예를 들어 적층을 위해서 이용되고, 아몰레드 화면 및 연결 부분 및 0.17 mm 또는 0.38 mm의 2개의 외부 플라이(22, 23)를 수용하기 위한 예약부(reserve)를 갖는다. 외부 플라이 중 하나가 예를 들어 0.76 mm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3개 초과의 플라이(PET 등과 같은 중합체 막의 삽입의 경우) 또는 추가적인 기계적 보호를 가질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이 0.15 mm 이하 또는 심지어 0.2 mm 이하의 두께일 때, 조립 중에 중앙 플라이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 글레이징(외부)(1)은, 바람직하게 흑색 에나멜의, 불투명한 외부 마스킹 층(5)을 면(F2) 상에 포함하고, 그러한 마스킹 층은,
- 윈드실드의 중심을 향한 연부(51)
- 및 예를 들어 립(15)으로부터 3 mm 이하 또는 1 mm의 거리에서 글레이징의 립 측면(15) 상의 연부(52)를 갖는다.
이는 트림(7")의 접착제 비드(7')뿐만 아니라 아몰레드 화면(불투명 또는 약간 투명), 연결 부분(40) 및 FPC의 오프-글레이징 부분(45) 및 부분(47) 그리고 그 연결부(8)를 은폐한다.
외부 마스킹 층(5)은 바람직하게, 패턴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중실형 구역(편평한 패치)이다. 연부(51)를 넘어서, 이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된) 패턴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15 mm 이하 및 심지어 5 mm 그리고 립(15)이 하부 길이방향 연부인 경우에 그보다 더 넓은 폭에 걸쳐, 예를 들어 그라데이션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글레이징(1')(내부)은, 바람직하게 흑색 에나멜의, 불투명한, 면(F4)(또는 변형예로서 F3) 상에서 내부 마스킹 층(6)을 면(F4) 상에 포함하고, 이는
- 윈드실드의 중심을 향한 연부(61)
- 노치 측면 상의 연부(65)를 갖는다.
이러한 내부 마스킹 층(6)은, 특히 (트림 또는 선택적인 케이싱을 가지는 구역으로부터 멀리) 시야 구역 내에 있는 연결 부분(40)의 전체 표면을 내부로부터 마스킹한다. 이는 연결 부분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마스킹 층은 또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34, 34')를 내부로부터 마스킹한다. 이는, 적층 결함을 마스킹하기 위해서, 기술적 연부의 둘레 위에서 적층 중간층에 대향되어 예를 들어 10 mm 이하만큼 돌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내부 마스킹 층(6)이 아몰레드 화면(3)의 둘레 상에 위치될 때, 그에 따라 개구부(63)가 형성되어(마스킹 또는 층의 사후 제조) 디스플레이 구역(32')을 노출시킨다.
그 폭이 아몰레드 화면의(및/또는 연결 부분의) 양 측면 상에서 외부 마스킹 층(5)의 폭이 되도록(거의 같도록), 이는 또한 기술적 연부를 넘어서 더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6)은 바람직하게, 패턴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중실형 구역(편평한 패치)이다. 연부(61)를 넘어서, 이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된) 패턴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15 mm 이하 및 심지어 5 mm 그리고 노치(11')의 립이 하부 길이방향 연부인 경우에 그보다 더 넓은 폭에 걸쳐, 예를 들어 그라데이션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3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첫 번째로, 내부 마스킹 층이 면(F4) 대신에 면(F3) 상에 있다는 점에서, 윈드실드(300)는 윈드실드(200)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평행6면체인, 인터페이스 하우징(70)은 접착제(7a)(접착, 감압형 등)에 의해서 단자 부분(47) 상에 장착되고 연부(여기에서 측방향) 상에서 전력 공급 케이블(미도시)의 연결부(71)에 연결된다. d는 예를 들어 몇 cm이다.
접착제(7)의 폭이 증가될 수 있다.
도 4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4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이는, 내부 마스킹 층(6)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불투명한(불투명화된) 막(6')으로 대체될 수 있고, 그러한 불투명한 막은, 저장의 관점에서 미리 장착되자 마자, 아몰레드 화면(3)의 그리고 FPC(4)의 전체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이러한 미리 장착된 조립체에 부착된 막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윈드실드의 조립 전에 미리 절단된 바람직하지 못한 부분이 그러한 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윈드실드(200)와 상이하다.
불투명한 막(6')은:
- 불투명하거나 약간 투명한, 그리고 PVB(22)(중앙 부분)과 아몰레드 화면(3) 사이의 접합부의, 불규칙부 및 결함을 포함할 수 있는, FPC(40)의 마스킹,
- 또한, 윈드실드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아몰레드 화면(3)의 기술적 연부(34)의 마스킹(61', 62')을 구성한다.
불투명한 막(6')은 또한 아몰레드 화면을 커버하는 투명 중합체 재료의 불투명화된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불투명한 막(6')은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FPC를 커버하는 중합체 재료의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면(F3)은 전기 전도 층(9) 그리고 선택적으로 전기 전도 층에 대한 전류 공급부(9')를 구비하고; 이러한 층은 태양 복사선을 반사하는, 은 또는 기타의, 스택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그 전류 공급부(9')를 구비하는 가열 코팅/스택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으로 직접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도 5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5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이는, 미적인 이유로, 전기 전도 층이, 적어도, 디스플레이 구역(32')에 대향되는 구역(91) 내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전의 윈드실드(400)와 상이하다.
도 6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6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이는, 아몰레드 화면(3)이, 뒤쪽에 외부 마스킹 층(6)을 가지지 않는, 그 투명 시야 구역 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200)와 상이하다.
그러나, 외부 에나멜 층(5, 51)에 의한 기술적 연부(34, 34')의 (그리고 심지어 PVB(22)의) 외부의 마스킹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나멜 층(5)은 아몰레드 화면 구역에 대면되는 개구부(53)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에나멜 층(6, 61)에 의한 기술적 연부(34, 34')의 (그리고 심지어 PVB(22)의) 내부의 마스킹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나멜 층(6)은 아몰레드 화면 구역에 대면되는 개구부(63)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7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이는, 아몰레드 화면 상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투명한 막(6') 및 전방 측면 상의 FPC(40)가 내부 마스킹 층(6)을 대체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600)와 상이하다. 연부(51)의 에나멜에 더하여 또는 그 대체로서, 아몰레드 화면 상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투명한 막(6") 및 후방 측면 상의 FPC(40)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Claims (12)

  1.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100 내지 800) 바람직하게 도로 차량 윈드실드로서:
    - 특히 차량의 외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1으로 지칭되는 제1 주 면(11), 및 F2로 지칭되는 제2 대향 주 면(12)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2.5mm 이하의 두께(E1)의, 제1 글레이징(1),
    - 바람직하게 두께(E2)가 2.2 mm 이하인, 면(F2) 측면 상의, 중합체 물질의 적층 중간층(2),
    - 적층 중간층(2) 측면 상의 F3로 지칭되는 제3 주 면(13) 및, 특히 차량의 내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4로 지칭되는 제4 대향 주 면(14)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2.2mm 이하의 두께(E'1)의, 제2 글레이징(1')으로서, 제1 및 제2 글레이징 중 적어도 하나가 광물 유리로 제조되는, 제2 글레이징(1'),
    - 아몰레드 화면(3)으로 지칭되는,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면(F2)과 면(F3) 사이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으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32')의 구역을 포함하고, 두께(E3)까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며, 아몰레드 화면은 면(F3)을 향해서 배향된 전방 주 면(32) 및 면(F2)을 향해서 배향된 후방 면(31)을 가지고, 아몰레드 화면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주변에 배열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
    -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42)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41)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면(F2)과 면(F3) 사이의 가요성의 소위 연결 부분(40)을 가지는, 아몰레드 화면의 전기 연결 요소(4)로서, 가요성 연결 부분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두께(E4)가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며,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 아몰레드 화면을 제2 글레이징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는 이어서 소위 외부 부분(45)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기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이 가요성을 가지고 전기 연결 요소(4)는, 면(F4) 상에 대항하고 바람직하게 그에 고정되는, 소위 단자 부분(47)을 포함하고,
    글레이징은, 면(F4) 상에서, 전기 연결 요소의 단자 부분(47)에 연결되고 특히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를 봉입하는 인터페이스 하우징(70)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특히 인터페이스 하우징의 하나의 동일한 연부 상에서 또는 구분된 연부 상에서, 와이어형 전력 공급 시스템(72)과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100 내지 800).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연결 요소(4)가 가요성을 가지고,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42)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41)을 가지는, 면(F2)과 면(F3) 사이의 가요성의 소위 연결 부분(40)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된, 두께(E4)가 E2 미만인,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제2 글레이징의 립의 방향으로 아몰레드 화면을 연장하며, 전기 연결 요소는, 곡선형이고 소위 단자 부분인 소위 외부 부분(45)에 의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와이어형 데이터 신호 전달 시스템, 인터페이스 하우징의 하나의 동일한 연부 또는 와이어형 전력 공급 시스템과 관련하여 구분된 연부 상의 와이어형 시스템에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하우징(70)은, 특히 아몰레드 화면의 제어를 위해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WLAN, WIFI, BLUETOOTH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하우징은 단자 부분(47) 상에 장착되거나 단자 부분(47)에 인접하고 단자 부분의 단부에 연결되고 면(F4)에 대항하거나 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하우징(47)은, 특히 신호 수신을 위한 통신 윈도우를 가지는 여분의 및/또는 금속의 전자기 차폐를 가지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분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E2와 같은 미크론 이하의 두께(E4)이고, 단자 부분은 E4 미만의 두께(E'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 화면이 투명하고 투명 창 영역 내에 위치되고,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아몰레드 화면의 후방 면과 면(F2) 사이에서 소위 외부 마스킹 층(5)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및/또는 전기 연결 요소가 후방 표면과 면(F2) 사이에서 소위 외부 마스킹 층(5)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마스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글레이징은, 면(F3 또는 F4) 상에서,
    - 구분된 길이방향 연부 상에 위치되거나 그에 인접하고 적층 중간층과 아몰레드 화면 또는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사이의 접합 구역을 심지어 마스킹하기 위한, 아몰레드 화면 및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
    - 및/또는 구분된 길이방향 연부 상에 위치되거나 그에 인접되는, 아몰레드 화면 및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전기 연결 요소 또는 요소들을, 내부로부터 마스킹할 수 있는 소위 내부 마스킹 층(6)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이, 특히 유전체 보호 층 아래의 또는 유전체 보호 층, 특히 수지의 불투명한 구역인, 아몰레드 화면 상의 소위 내부 마스킹 요소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 및/또는 전기 연결 요소 또는 요소들은, 특히 유전체 보호 층 아래의 또는 유전체 보호 층, 특히 수지의 불투명한 구역인, 내부 마스킹 요소 또는 다른 인접한 것에 의해서 마스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3) 및/또는 연결 부분이 0.8 mm 이하, 바람직하게 0.7 mm 이하, 및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0.6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휘어진 제1 및 제2 글레이징 그리고 심지어 PVB 적층 중간층을 가지는 자동차, 트럭과 같은 도로 차량의 윈드실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KR1020187021626A 2015-12-31 2016-12-22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Withdrawn KR20180100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63487 2015-12-31
FR1563487A FR3046379B1 (fr) 2015-12-31 2015-12-31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PCT/FR2016/053643 WO2017115043A1 (fr) 2015-12-31 2016-12-22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059A true KR20180100059A (ko) 2018-09-06

Family

ID=5632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626A Withdrawn KR20180100059A (ko) 2015-12-31 2016-12-22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71897B2 (ko)
EP (1) EP3408091B1 (ko)
KR (1) KR20180100059A (ko)
CN (1) CN107148347B (ko)
FR (1) FR3046379B1 (ko)
WO (1) WO2017115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4972B1 (fr) * 2015-12-14 2017-12-22 Saint Gobain Pare-brise feuillete de vehicule avec signaletique lumineuse interne.
FR3046376B1 (fr) * 2015-12-30 2018-01-19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FR3077219B1 (fr) 2018-01-31 2020-06-26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a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et fabrication
FR3077229A1 (fr) 2018-01-31 2019-08-02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a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et fabrication
CN111169285A (zh) * 2018-11-13 2020-05-19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外显示装置
EP3898307B1 (en) * 2018-12-18 2024-04-03 Stoneridge Electronics AB Vehicle display carrier with heat sink
NL1043222B1 (nl) * 2019-04-05 2020-10-08 Autoglas D&K B V Autoruit met cameravenst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den daarvan
US11618323B1 (en) * 2022-05-25 2023-04-04 Cooley Enterprises, LLC Smart display sheets
US12103470B2 (en) 2022-05-25 2024-10-01 Cooley Enterprises, LLC Smart display sheets
AU2023372078A1 (en) * 2022-11-03 2025-05-22 Pedestrian Safety Solutions, Llc Visual front alert system
CN115709683A (zh) * 2022-11-15 2023-02-24 芜湖汽车前瞻技术研究院有限公司 车用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4364B1 (fr) 2002-09-11 2004-12-17 Saint Gobain Substrat diffusant
GB0705120D0 (en) * 2007-03-16 2007-04-25 Pilkington Group Ltd Vehicle glazing
DE102008004049A1 (de) * 2008-01-11 2009-07-16 Audi Ag Verbundglaseinheit
FR2933505B1 (fr) * 2008-07-04 2010-08-13 Saint Gobain Methode de controle electrique d'alimentation(s) electrique(s) en tension ou courant alternatif de system(s) electrocommandable(s), alimentation electrique et dispositif pour ledit controle electrique
FR2945985B1 (fr) 2009-05-27 2011-05-20 Saint Gobain Vitrage a faible niveau de double image.
CN202150459U (zh) * 2011-08-16 2012-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AT13179U1 (de) * 2011-09-22 2013-08-15 Inova Lisec Technologiezentrum Photovoltaik-Modul
CN202503691U (zh) 2012-01-20 2012-10-24 法国圣戈班玻璃厂 发光玻璃及具有该玻璃的车辆和建筑
CN203093951U (zh) * 2013-01-25 2013-07-31 陈勇君 多点触控智能电脑车窗
FR3002677A1 (fr) * 2013-02-25 2014-08-29 Yves Loisel Structure complexe transparente autoalimentee en energie solaire, capable de produire des images animees
JP6473973B2 (ja) * 2013-09-18 2019-02-27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
ES2586254T3 (es) 2014-06-13 2020-04-14 Isoclima Spa Cristal de ventana
CN104163134B (zh) * 2014-07-22 2016-08-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汽车前风挡实现实景模拟的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5043A1 (fr) 2017-07-06
US20190001888A1 (en) 2019-01-03
EP3408091A1 (fr) 2018-12-05
FR3046379B1 (fr) 2018-01-19
EP3408091B1 (fr) 2020-04-15
US10471897B2 (en) 2019-11-12
CN107148347A (zh) 2017-09-08
CN107148347B (zh) 2019-08-13
FR3046379A1 (fr)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2551C2 (ru)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amoled-дисплеем
KR20180100059A (ko)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KR20180100054A (ko)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CN107405882B (zh) 具有amoled屏幕的层压车窗玻璃
CN107148346B (zh) 具有amoled屏幕的层压车窗玻璃
CN107148343B (zh) 具有amoled屏幕的层压车窗玻璃
US11931989B2 (en) Composite pane with a cutout in the inner pane
US10647092B2 (en) Vehicle luminous glazing, vehicle incorporating it
JP6894931B2 (ja) 容量性タッチ感知装置及び発光ダイオードによる発光積層グレージング並びにその製造
ES2800062T3 (es) Parabrisas laminado de vehículo con señalización luminosa interna
JP2019510666A (ja) 内部発光サインを有する積層型乗物風防
KR102663943B1 (ko) 가열 가능한 인레이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복합 판유리
US20220152987A1 (en) Composite pane comprising a functional inlay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