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99911A -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911A
KR20180099911A KR1020187024551A KR20187024551A KR20180099911A KR 20180099911 A KR20180099911 A KR 20180099911A KR 1020187024551 A KR1020187024551 A KR 1020187024551A KR 20187024551 A KR20187024551 A KR 20187024551A KR 20180099911 A KR20180099911 A KR 20180099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extracted
water
ethyl alcoh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758B1 (ko
Inventor
시아오 커
시아오펭 하오
바오후아 멍
Original Assignee
쓰촨 지쉔탕 파마슈티칼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촨 지쉔탕 파마슈티칼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쓰촨 지쉔탕 파마슈티칼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9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7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9Berberidaceae (Barberry family), e.g. barberry, cohosh or mayapple
    • A61K36/296Epi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4Anemarrh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의약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음양곽 20~50 중량부, 복령 15~55 중량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음양곽 20~50 중량부, 복령 15~55 중량부, 가시오갈피 10~55 중량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음양곽 20~50 중량부, 복령 15~ 50 중량부, 가시오갈피 15~50 중량부, 지모 6~15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ENILE DEMENT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약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의 고령화 사회를 향한 발걸음이 끊임없이 빨라짐에 따라, 신경 퇴행성 노인병, 예를 들면,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노인성 치매 등 질환들이 인류의 노후 건강을 위협하고, 노인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위험 요소로 되고 있으며, 사회와 가정에 막대한 경제적 부담과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져다 준다. 노인성 치매는 알츠하이머병(AD)과 혈관성 치매 및 양자가 공존하는 혼재성 치매로 나눌 수 있으며, 노년기와 초로기에 발생하는 원발성 퇴행성 뇌질환으로서 지속적인 고차원 신경 기능 활동 장애이고, 임상적으로는, 인지와 기억 능력이 끊임없이 악화되고, 일상 생활 능력이 점진적으로 감퇴하며, 각종 신경정신과적 증상과 행위 장애 등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발현하고 있다. 노인성 치매는 발병율이 비교적 높은 질환으로서,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 세계에는 노인성 치매에 걸린 노인이 약 2000만명에 달하고, 2020년에는 세계의 노인성 치매 환자가 3000만명을 초과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이리하여, 인지 기능 장애를 개선하고 노인성 치매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물을 개발하는 것은 세계 각국의 의료진에게 있어서 연구의 초점으로 되고 있으며, 중국과 서양 의료계의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노인성 치매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물에는 주요하게 아세틸콜린분해효소(AchE) 억제제, 면역 억제제 및 항염제, 칼슘 이온 길항제, 항산화제 등 의약물, 예를 들면 도네페질, 갈란타민, 니모디핀, 염산메만틴 등과 같은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시판 승인을 받은 의약물이 있고, 이러한 의약물은 환자의 인지 기능 감퇴를 잠시 완화시킬 수 있지만 질환의 진행을 막을 수 없으며, 상기 일부 의약물은 간독성 및 신독성 등 부작용이 있고, 일부 의약물은 가격이 너무 비싸 환자와 그의 가족들이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치료 효과가 양호하고, 독성과 부작용이 작으며, 가격이 합리한 신약 개발이 필요하다. 근래에, 국내외 전문가와 학자들은 한약(中藥)과 천연 약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노인성 치매의 치료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현대 중의학에서는, 노인성 치매는 본허표실(本虛標實)의 특징을 갖춘 노인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으로서, 그 본허(本虛)는 주요로 신정허(腎精虛), 수해(髓海) 부족, 청양불승(淸陽不升)에 있으며; 신허(腎虛)는 노인성 치매의 발병 근본이고, 오장기 부족(五臟氣不足)은 노인성 치매의 발병과 관계가 밀접하기 때문에, 보신익정법(補腎益精法)을 자주 이용하여 치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초약대전(中草藥大全)>>에는 복령(Poria)은 이수삼습(利水渗濕), 건비녕심(健脾寧心)의 효능이 있고, 수종뇨소(水腫尿少), 담음현계(痰飮眩悸), 비허식소(脾虛食少), 변당설사(便??泄瀉), 심신불안(心神不安), 경계실면(驚悸失眠)에 사용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가시오갈피(刺五加,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seu Caulis)는, 익기건비(益氣健脾), 보신안신(補腎安神)의 효능이 있고, 비신양허(脾腎陽虛), 체허핍력(體虛乏力), 식욕불진(食慾不振), 요슬산통(腰膝酸痛), 실면다몽(失眠多夢)에 사용된다. 음양곽(淫羊藿, Epimedii Folium)은, 보신장양(補腎壯陽), 거풍제습(祛風除濕), 강근건골(强筋健骨)의 효능이 있고, 주요로 양위유정(陽??遺精), 허냉으로 인한 불임 증상, 소변이 잦거나 실금(失禁) 증상, 신허천수(腎虛喘嗽), 요슬산연(腰膝酸軟), 풍습비통(風濕痺痛), 반신불수, 사지불인(四肢不仁)에 사용된다. 지모(知母, Anemarrhenae Rhizoma)는, 청열사화(淸熱瀉火), 자음윤조(滋陰潤燥), 지갈제번(止渴除煩)의 효능이 있고, 온열병(溫熱病), 고열번갈(高熱煩渴), 해수기천(咳嗽氣喘), 조해(燥咳), 변비, 골증조열(骨蒸潮熱), 허번불면(虛煩不眠), 소갈(消渴)임탁(淋濁)에 사용된다.
현재 이미 공개된 수많은 노인성 치매의 한약(中藥)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中藥材)의 한 가지 또는 두 가지를 포함하는 배합 처방을 가끔 볼 수 있지만, 이러한 배합 처방 중의 약재의 종류는 흔히 열가지 또는 수십가지에 달하고, 처방 후의 치료 효과가 확실하지 않으며, 의약물 품질 표준을 제어하기 어려운 등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치료 효과가 확실한 노인성 치매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기술적 해결 수단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노인성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의약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음양곽 20~50 중량부, 복령 1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 의약품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노인성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의약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음양곽 20~50 중량부, 복령 15~55 중량부, 가시오갈피 1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 의약품에 의하여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음양곽 20~30 중량부, 복령 20~45 중량부, 가시오갈피 2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에 의하여 제조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양곽 30 중량부, 복령 30 중량부, 가시오갈피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노인성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의약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음양곽 20~50 중량부, 복령 15~50 중량부, 가시오갈피 15~50 중량부, 지모 6~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 의약품에 의하여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음양곽 20~30 중량부, 복령 20~30 중량부, 가시오갈피 25~50 중량부, 지모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에 의하여 제조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양곽 30 중량부, 복령 30 중량부, 가시오갈피 25 중량부, 지모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술한 한약 조성물 중의 복령은 복신(茯神, Poria cum Radix Pini) 또는 저령(猪??, Polyporus)에 의해 교체될 수 있고, 가시오갈피는 오갈피(五加皮, Acanthopanax gracilistylus W.W.Smith) 또는 가시오갈피 잎(Acanthopanacis Senticosi Folium, Acanthopanax senticosus (Rupr.et Maxim.) Harms)에 의해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와 같이 상기 의약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령의 가공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중량부의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물로 2~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복령 중량의 6~10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는 각각 복령 중량의 4~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dry extract)로 감압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령의 가공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중량부의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복령 중량의 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복령 중량의 6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복령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상기 음양곽의 가공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30~70% 에틸 알코올로 2~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16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는 각각 음양곽 중량의 4~12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양곽의 가공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9배 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 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세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5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음양곽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한다.
상기 가시오갈피의 가공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를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물로 2~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가시오갈피 중량의 6~10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는 각각 가시오갈피 중량의 4~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시오갈피의 가공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를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가시오갈피 중량의 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가시오갈피 중량의 6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가시오갈피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상기 지모의 가공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고, 지모 중량의 6~10배되는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4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고,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며,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모의 가공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고, 지모 중량의 6배 되는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고,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며,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지모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복령 드라이 엑기스와 음양곽 드라이 엑기스를 각각 고르게 혼합하여 음양곽과 복령이 함유된 의약 조성물을 얻으며, 복령 드라이 엑기스, 음양곽 드라이 엑기스와 가시오갈피 드라이 엑기스를 각각 고르게 혼합하여 음양곽, 복령 및 가시오갈피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얻고, 복령 드라이 엑기스, 음양곽 드라이 엑기스, 가시오갈피 드라이 엑기스 및 지모 드라이 엑기스를 각각 고르게 혼합하여, 음양곽, 복령, 가시오갈피 및 지모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얻는다.
본 발명은 또한 음양곽, 복령 및 가시오갈피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각각 물로 2~3회 추출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2~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6~10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는 각각 4~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복령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30~70% 에틸 알코올로 2~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16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는 각각 음양곽 중량의 4~12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9배 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 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5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며,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음양곽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상기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음양곽, 복령, 가시오갈피 및 지모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각각 물로 2~3회 추출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2~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6~10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는 각각 4~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30~70% 에틸 알코올로 2~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16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4~12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 되는 중량의 50%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7배 되는 중량의 50%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5배 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며,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고, 6~10배 되는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4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고, 6배되는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상기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수단은 종래의 기술에 비교하여 그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치료 효과가 적절하다.
실시예1 의약 조성물의 제조
A, 음양곽 추출물(A그룹의 의약 조성물)
음양곽 3kg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9배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5배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며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한다.
B, 복령 추출물(B그룹의 의약 조성물)
복령 3kg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복령 중량의 8배되는 물로 추출하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복령 중량의 6배되는 물로 추출하고, 여과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C, 가시오갈피 추출물(C그룹의 의약 조성물)
가시오갈피 3kg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가시오갈피 중량의 8배되는 물로 추출하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가시오갈피 중량의 6배되는 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0.12kg의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D, 지모 추출물(D그룹의 의약 조성물)
지모 3kg을 취하고, 지모 중량의 6배되는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E 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20부, 복령 50부
복령 5kg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복령 중량의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복령 중량의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음양곽 2kg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세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5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F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40부, 복령 55부
복령 1.1kg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복령 중량의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복령 중량의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음양곽 0.8kg을 취하고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5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며,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F'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40부, 복령 55부
복령 1.1kg을 취하여, 매 회 3시간씩 물로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복령 중량의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복령 중량의 4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음양곽 1kg을 취하고 매 회 1시간씩 70% 에틸 알코올로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되는 중량의 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4배되는 중량의 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한다. 상기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G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50부, 복령 15부
복령 0.3kg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복령 중량의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복령 중량의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음양곽 1kg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5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며,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G'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50부, 복령 15부
복령 0.3kg을 취하여, 매 회 3시간씩 물로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복령 중량의 10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복령 중량의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음양곽 1kg을 취하여, 매 회 3시간씩 30% 에틸 알코올로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16배되는 중량의 3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12배되는 중량의 3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며,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한다. 상기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H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50부, 복령 15부, 가시오갈피 10부
가시오갈피 1kg, 음양곽 5kg, 복령 1.5kg을 취한다. 매 회 1시간씩 물로 가시오갈피를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물로 복령을 3회 추출하며,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의 중량이 되는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음양곽을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고, 첫 번째는 9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7배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H'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50부, 복령 15부, 가시오갈피 10부
가시오갈피 1kg, 음양곽 5kg, 복령 1.5kg을 취한다. 매 회 1시간씩 물로 가시오갈피를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4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3시간씩 물로 복령을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복령 중량의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복령 중량의 4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음양곽을 취하고, 매 회 1시간씩 70% 에틸 알코올로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의 중량이 되는 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4배 중량이 되는 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I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25부, 복령 45부, 가시오갈피 25부
가시오갈피 5kg, 음양곽 5kg, 복령 9kg을 취한다.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7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J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30부, 복령 30부, 가시오갈피 35부
가시오갈피 3.5kg, 음양곽 3kg, 복령 3kg을 취한다.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7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K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20부, 복령 40부, 가시오갈피 55부
가시오갈피 1.1kg, 음양곽 0.4kg, 복령 0.8kg을 취한다.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7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L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20부, 복령 55부, 가시오갈피 20부
가시오갈피 0.4kg, 음양곽 0.4kg, 복령 1.1kg을 취한다.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7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두 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L'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20부, 복령 55부, 가시오갈피 20부
가시오갈피 0.4kg, 음양곽 0.4kg, 복령 1.1kg 을 취한다.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3시간씩 물로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10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매 회 3시간씩 3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16배되는 중량의 3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는 각각 음양곽 중량의 12배 중량이 되는 3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상기 두 가지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M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50부, 복령 15부, 가시오갈피 15부, 지모 15부
가시오갈피 3kg, 음양곽 10kg, 복령 3kg, 지모 3kg을 취한다.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7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지모는 6배의 중량이 되는 물을 사용하고,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M'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50부, 복령 15부, 가시오갈피 15부, 지모 15부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4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3시간씩 3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16배되는 중량의 3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12배의 중량이 되는 3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고, 6배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물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N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25부, 복령 30부, 가시오갈피 30부, 지모 10부
*가시오갈피 6kg, 음양곽 5kg, 복령 6kg, 지모 2kg 을 취한다.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7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지모는 6배의 중량이 되는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O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30부, 복령 30부, 가시오갈피 25부, 지모 15부
가시오갈피 5kg, 음양곽 6kg, 복령 6kg, 지모 3kg을 취한다.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7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지모는 6배의 중량이 되는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고,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며,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P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20부, 복령 20부, 가시오갈피 50부, 지모 12부
가시오갈피 5kg, 음양곽 2kg, 복령 2kg, 지모 1.2kg 을 취한다.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7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지모는 6배의 중량이 되는 물을 사용하고,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Q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20부, 복령 50부, 가시오갈피 24부, 지모 6부
가시오갈피 2.4kg, 음양곽 2.0kg, 복령 5kg, 지모 0.6kg 을 취한다.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8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6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음양곽을 3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9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7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 번째는 5배의 중량이 되는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지모는 6배의 중량이 되는 물을 사용하고,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여 예비용으로 한다.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Q'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중량: 음양곽 20부, 복령 50부, 가시오갈피 24부, 지모 6부
가시오갈피 2.4kg, 음양곽 2.0kg, 복령 5kg, 지모 0.6kg 을 취한다.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각각 매 회 3시간씩 물로 각각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10배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 번째는 8배의 중량이 되는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70% 에틸 알코올로 2회 추출하되, 첫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되는 중량의 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두 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4배의 중량이 되는 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한다.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고, 10배의 중량이 되는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4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엑기스로 감압 농축한다. 상기 세가지 예비용 엑기스를 고르게 혼합한다.
R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복신으로 복령을 대체한 것으로서, J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참조된다.
S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저령으로 복령을 대체한 것으로서, J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참조된다.
T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오갈피로 가시오갈피를 대체한 것으로서, J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참조된다.
U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가시오갈피 잎으로 가시오갈피를 대체한 것으로서, J그룹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참조된다.
실시예 2 스코폴라민 래트 모델의 학습 기억에 대한 영향
1. 재료
재료
Morris 수중 미로 장치, 청두타이멍과학기술유한공사(成都泰盟科技有限公司);
DT-200 점핑장치(DT-200 跳台儀), 청두타이멍과학기술유한공사(成都泰盟科技有限公司);
브롬화수소산 스코폴라민 주사액(Scop), 무한화이다의약과학기술유한공사(武漢華怡達醫藥科技有限公司);
염산도네페질,워이차이(중국)약업유한공사(衛材(中國)藥業有限公司), 규격: 5mg, 로트 번호: 120829A.
동물
SD 수컷 래트, 청두달석생물과학기술유한공사(成都達碩生物科技有限公司).
2. 방법
동물의 그룹핑 및 의약물 투여
래트를 무작위로 정상적인 컨트롤(control) 군, Scop 모델 군, 양성 컨트롤 군(도네페질, 1.17 mg·kg-1), 테스트 대상 의약물 군(실시예1에서의 제조를 참조, 생약재 양: 11.08 g/kg에 상당)으로 나누며, 실험 전에 위관을 통해 연속으로 2주간 의약물을 투여하고, 정상적인 컨트롤 군 및 모델 군에게 각각 같은 체적의 증류수를 투여하며, 제9일에 Morris 훈련을 2회/일 실시한다. 제14일에 Morris 수중 미로와 점핑 테스트를 실시한다.
모델링 방법 및 학습 기억 테스트
실험 당일에, 래트에게 위관을 통해 30min 의약물을 투여한 후, 브롬화수소산 스코폴라민(2mg·kg-1을 연속 2일간 주사한 후 제3일에 1mg·kg-1으로 변경)을 복강내에 주사한 후, 20min 후에 Morris 수중 미로 테스트를 실시하고, 정상적인 컨트롤군에게 같은 양의 생리식염수를 복강내 주사한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래트의 수영 성적을 추적하고, 컴퓨터를 통해 자동으로 90s 내 래트의 이동 거리, 시간 및 운동 속도를 기록하며, 플랫트홈을 찾는 탈출 잠복기와 수영 거리를 계산한다. 점핑 테스트에 있어서, 제1일에 학습 훈련을 실시하고, 제2일에 반복 테스트를 진행하며, 테스트 20min 전에 래트에게 일차적으로 브롬화수소산 스코폴라민(5mg·kg-1)을 복강내 주사하고, 래트가 처음으로 플랫폼을 뛰어내리는 잠복기(SDL), 전기 쇼크에서 탈출하는 잠복기(EL)를 기록한다.
3. 결과
1) 스코폴라민에 의한 기억 장애 래트 모델의 Morris 수중 미로 실험에 대한 영향
[표 1]
Figure pat00001
표1의 결과에 따르면, Morris 수중 미로 실험에서, A, B, C, D 의약물 군은 Scop에 의한 기억 장애 래트 모델을 개선하였지만 현저하지 않다(P>0.05). 기타 의약물군은 모두 부동한 정도의 개선 작용이 있었으며, 그 중, J군과 O군의 개선이 가장 현저하고, 그 차이는 아주 현저한 통계학적 의미를 갖는다(P<0.01).
2) 스코폴라민에 의한 기억 장애의 래트 모델의 점핑 실험에 대한 영향
[표 2]
Figure pat00002
표2의 결과에 따르면, 래트 점핑 테스트에서, A, B, C, D 의약물 군은 Scop에 의한 기억 장애 래트 모델을 크게 개선하었지만 현저하지 않다(P>0.05). 기타 의약물 군은 모두 부동한 정도의 개선 작용을 발휘하였으며, 그 중 J군과 O군의 개선이 가장 현저하고, 그 차이는 아주 현저한 통계학적 의미를 갖는다(P<0.01).
실시예3 APPswe 유전자 전이 마우스의 학습 기억에 대한 영향
1. 재료
재료
Morris 수중 미로 장치, 청두타이멍과학기술유한공사;
물체 인식 장치는 자사 제조 장치;
염산도네페질,워이차이(중국)약업유한공사(衛材(中國)藥業有限公司), 규격: 5mg, 로트 번호: 120829A.
동물
생후 5개월된 APPswe 유전자 전이 마우스, 난징동물모델연구소(南京動物模式硏究所).
2. 방법
동물의 그룹핑 및 의약물 투여
암컷과 수컷 APPswe 유전자 전이 마우스를 각각 절반씩 취하고, 무작위로 모델 컨트롤 군, 양성 컨트롤 군(도네페질, 1.67 mg·kg-1), 테스트 대상 의약물 군(실시예1에서의 조성물 제조를 참조, 생약재 양: 15.83 g/kg에 상당)으로 나누되, 같은 배경 같은 월령(月齡)의 APPswe 유전자 전이 마우스(난징동물모델연구소에 의해 제공된 것으로, 상기 마우스에는 인간 프레세닐린(presenilin)과 인간과 마우스의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았으며, 노인성 치매가 초래되지 않았다)는 정상적인 컨트롤 군이다. 각 그룹은 모두 위관을 통해 상응한 의약물을 투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정상적인 군과 모델 군에 같은 체적의 증류수를 하루에 1회씩 연속 30일간 투여하였다.
Morris 수중 미로 테스트
각 그룹의 마우스에 의약물을 투여하여 제25일~제29일에 수중 미로 훈련을 2회/일 실시하였다. 마지막 의약물 투여 1시간 후, 플랫트홈의 위치를 변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자동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마우스가 플랫트홈을 찾는 탈출 잠복기와 수영 경로를 기록하였으며 120s를 최대 잠복 시간으로 설정하고, 120s 후 자동으로 기록을 정지한다.
물체 인식 테스트
동물의 희신염구(喜新厭舊) 습성에 근거하여, 자체제조 물체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동물의 학습 기억 능력을 검출하였는 바, 제1일의 적응기에서, 마우스를 채광이 아주 좋은 종이함에 넣고 자기 적응 활동을 10min정도 실시한다. 제2일의 익숙기에서, 네모 상자에 동일한 놀이감을 2개 넣고 마우스를 상자 안에 넣어 10min 머물게 하며, 각 물체에 대한 탐구 시간을 기록한다. 제3일의 인식기에서, 다른 한 물체를 네모 상자에 넣어 그 중의 하나의 놀이감을 교체하고, 마우스가 각 물체를 탐구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제3일에 있어서, 각 그룹의 마우스의 새로운 놀이감에 대한 분별 지수(공식: 분별 지수 = (신 물체 시간- 구 물체 시간)/(신 물체 시간+구 물체 시간))를 통계한다.
3. 결과
1) APPswe 마우스 수중 미로 실험에 대한 영향
[표 3]
Figure pat00003
표3의 결과에 따르면, Morris 수중 미로 실험에 있어서, A, B, C, D 의약물 군은 APPswe 마우스를 개선하였지만 현저하지 않다(P>0.05). 기타 의약물 군은 모두 부동한 정도 개선되었고, 모델 컨트롤 군에 비교하여, 그 차이는 현저한 통계학적 의미를 갖는다(P<0.01~0.05).
2) APPswe 마우스 물체 인식 실험에 대한 영향
[표 4]
Figure pat00004
표4의 결과에 따르면, A, B, C, D 의약물 군은 APPswe 마우스의 새로운 물체 탐구 시간을 개선하지만 현저하지 않다(P>0.05). 기타 의약 조성물은 모두 APPswe 마우스의 새로운 물체 탐구 시간에 대하여 부동한 정도로 개선 작용을 발휘하였으며, 모델 컨트롤 군과 비교하여 그 차이는 현저한 통계학적 의미를 갖는다(P<0.01~0.05).
실시예4 스코폴라민 모델 마우스의 학습 기억에 대한 영향
1. 재료
재료
Morris 수중 미로 장치, 청두타이멍과학기술유한공사;
DT-200 점핑장치, 청두타이멍과학기술유한공사(成都泰盟科技有限公司);
*브롬화수소산 스코폴라민 주사액(Scop), 무한화이다의약과학기술유한공사(武漢華怡達醫藥科技有限公司);
염산도네페질, 워이차이(중국)약업유한공사(衛材(中國)藥業有限公司), 규격: 5mg, 로트 번호: 120829A.
동물
KM 마우스, 청두달석생물과학기술유한공사(成都達碩生物科技有限公司).
2. 방법
동물의 그룹핑 및 의약물 투여
마우스를 무작위로 정상적인 컨트롤 군, Scop 모델군, 양성 컨트롤 군(도네페질, 1.67 mg·kg-1), 테스트 대상 의약물 군(실시예1에서의 조성물 제조를 참조, A, B, C 의약물 군 투여량은 생약재 31.66 g/kg에 상당하고, J의약물 군의 높은 투여량 그룹은 생약재 31.66 g/kg에 상당하며, 중간 투여량 그룹은 생약재 15.83 g/kg에 상당하며, 낮은 투여량 그룹은 생약재 7.92 g/kg에 상당)으로 나누며, 실험 전에 위관을 통해 연속으로 2주간 의약물을 투여하고, 정상적인 컨트롤 군 및 모델 군에게 각각 같은 체적의 증류수를 공급하며, 제9일에 Morris 훈련을 2회/일 실시한다. 제14일부터 모델링을 시작하고 Morris 수중 미로를 실시한다.
모델링 방법 및 학습 기억 테스트
실험 당일에, 마우스에게 위관을 통해 30min 의약물을 투여한 후, Scop(3 mg·kg-1)를 복강 내 주사한 20min 후에 Morris 수중 미로 테스트를 실시하고, 정상적인 컨트롤 군에게 같은 양의 생리식염수를 복강내 주사한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수영 성적을 추적하고, 컴퓨터를 통해 자동으로 300s 내 마우스의 이동 거리, 시간 및 운동 속도를 기록하며, 300s를 최대 잠복기로 설정하고 300s 후에 기록을 정지한다. 플랫트홈을 찾는 탈출 잠복기와 수영 거리를 계산한다.
3. 결과
[표 5]
Figure pat00005
표5의 결과에 따르면, Morris 수 미로 실험에 있어서, 각 의약물 군의 Scop에 의한 기억 장애 모델 마우스에 대하여 모두 부동한 정도로 개선 작용이 있고, 그 중, J의약물의 고, 중, 저 투여량 군의 개선이 가장 현저하며, 그 차이는 현저한 통계학적 의미를 가진다(P<0.01~0.05).
실시예 5 임상 테스트 연구
1. 실례 선택
1.1 진단 기준
NINCDS-ADRDA-R기준을 사용하고, 기존의 조건에 근거하여 핵심 진단 기준(A)를 선택한 기초 위에, (B)서포트 특징과 배제 증거를 추가한다. 자세한 내용은 표6이 참조된다.
[표 6]
Figure pat00006
1.2 선정 기준:
(1) 연령≥60세, 성별 제한이 없음.
(2) AD의 진단 기준에 부합되고, 또한 TCM 증후군 기준에 부합됨.
(3) 초등학교 이상 문화 수준.
(4) 중풍 병력이 없음.
(5) Hachiski의 허혈 점수(HIS)가 4점보다 낮은 경우.
(6) 두개골 MR가 명확(뇌 위축이 있으나, 기타 두개골 질환이 없음).
(7) MMSE 채점: 중학교 이상 9~24점; 초등학교 9~20점; CDR 채점: 1점, 2점의 경중도 환자.
(8) 1주일 이상 그 어떠한 치매 치료 의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
1.3 배제 기준:
(1) 심각한 뇌심혈관 질환, 심각한 간 및 신질환, 폐 감염증 환자.
(2) 치료에 협동할 수 없는 환자 또는 의약물 알레르기 환자.
(3) 심각한 우울증이 병발되어 있는 환자(우울증 진단표에 의한 검사로 증명).
(4) 혈관성 치매(VD), 파킨슨병 치매(PDD), 루이체 치매(DLB), 전두측두엽 치매(FTD) 등.
(5) AD 중증 환자 또는 심각한 신경기능 손상이 병발하여 검사를 할 수 없는 환자.
(6) 아리셉트, 메탄민, 후페리진, 니모디핀, 인삼, 은행잎, 샤프론 등 의약물을 복용 중이거나 1주일 내에 복용한 적이 있는 환자.
1.4 거절 또는 탈락 기준:
(1) 복약(服藥) 순응도가 차하고, 복약 기간이 1개월 이상을 초과하지 않는 환자.
(2) 복약 기간에 심각한 질환이 병발하여 입원 치료가 필요한 환자.
(3) 선정 기준에 부합되지 않으나 착오로 인해 선정된 환자 및 선정 기준에 부합되나 규정에 따라 의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
1.5종료 기준:
(1) 테스트 과정에서 심각한 기타 질환이 나타난 환자.
(2) 테스트 과정에서 심각한 불량 사건이 발생한 환자, 의사의 판단으로 임상 테스트를 정지해야 하는 환자.
(3) 치료적 효과가 아닌 원인으로 치료를 견지할 수 없어 자발적으로 포기한 환자.
2. 테스트 의약물 조제법 및 용법과 용량
가시오갈피 350g, 음양곽 300kg, 복령 300kg을 취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추출하되, 가시오갈피와 복령을 혼합하여 추출하여 드라이 엑기스 26 kg을 조제하며, 음양곽 드라이 엑기스 54 kg을 조제한다. 드라이 엑기스를 가루로 조제한 후, 적당한 중량의 전분, 풀을 첨가하여 과립으로 정제하고, 멸균하여 8g/봉투로 나누어 포장한다. 아침 저녁으로 각각 1회씩, 2회/일 복용하며, 일회에 1봉투 복용한다. 성인의 일 복용량은 음양곽이 30g, 가시오갈피가 35g, 복령이 30g이다. 치료 주기는 6개월이다.
3. 관찰 항목
그룹에 들어가기 전에 의약물 치료를 6개월 진행한 후, 아래와 같이 관찰하였다.
(1) ADAS-cog 양 리스트.
(2) MMSE 양 리스트.
(3) 일상 생활 활동 능력 리스트(ADL).
(4) 임상 치매 평가 척도 리스트(CDR).
(5) 신경정신과적 증상의 평가 리스트(NPI).
4. 치료 효과 평가 기준
주요 평가 지표
(1) 인지 기능 평가: MMSE, ADAS-cog, CDR 평가법을 사용하여 기준선 수준과 비교.
(2) 전체 상황: CDR에 의해 총괄적으로 평가.
차요 평가 지표
(1) 일상 생활 활동 능력 평가: ADL 점수에 의해 복약 전후의 변화 비교.
(2) 정신 행위 평가: 신경정신과적 증상의 평가 리스트(NPI) 점수의 복약 전후의 변화 비교 분석.
5, 연구 결과
[표 7]
Figure pat00007
표 7의 임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계한 결과, 다음과 같다.
[표 8-1]
Figure pat00008
[표 8-2]
Figure pat00009
표8-1의 결과에 따르면, 환자는 복약 치료 6개월 후 MMSE, ADAS-cog, CDR에 대한 개선 작용이 뚜렷하고, 복약 전 기준선 점수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아주 현저한 통계학적 의미를 가지는 바(P <0.01), 상기 의약물은 AD환자의 인지 기능을 현저하게 개선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표8-2의 결과로부터 알다시피, CDR평가 채점에 근거하면, 7예의 중도 AD환자에 대하여 복약 치료 6개월 실시한 결과, 5예가 경도로 전환되었기에, 개선율은 71.4%이며, 9예의 경도 AD환자 중, 6예가 치매 의심군으로 전환되었기에, 개선율은 66.7%이다.
[표 9]
Figure pat00010
표9의 결과로부터 알다시피, 환자는 의약물 치료 6개월 후, NPI, ADL 개선 작용이 뚜렷하고, 복약 전 기준선 점수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현저한 통계학적 의미를 가지며(P<0.01~0.05), 당해 의약물은 AD환자의 신경정신적 증상과 일상 생활 능력을 뚜렷하게 개선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Claims (14)

  1. 활성 성분이, 음양곽 30 중량부, 복령 30 중량부, 가시오갈피 35중량부로 구성된 원료 의약품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2. 활성 성분이, 음양곽 30 중량부, 복령 30 중량부, 가시오갈피 25 중량부, 지모 15중량부로 구성된 원료 의약품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령의 가공 방법은, 상기 중량부의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물로 2~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복령 중량의 6~10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번째 또는 세번째는 각각 복령 중량의 4~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령의 가공 방법은,
    상기 중량부의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복령 중량의 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번째와 세번째는 각각 복령 중량의 6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양곽의 가공 방법은,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30~70% 에틸 알코올로 2~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16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번째 또는 세번째는 각각 음양곽 중량의 4~12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양곽의 가공 방법은,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9배 되는 중량의 50%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 되는 중량의 50%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5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오갈피의 가공 방법은,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를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물로 2~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가시오갈피 중량의 6~10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번째 또는 세번째는 각각 가시오갈피 중량의 4~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오갈피의 가공 방법은,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를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가시오갈피 중량의 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번째와 세번째는 각각 가시오갈피 중량의 6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의 가공 방법은,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고,
    지모 중량의 6~10배되는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4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의 가공 방법은,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여,
    지모 중량의 6배 되는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지모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11. 제1항의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각각 물로 2~3회 추출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2~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6~10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번째 또는 세번째는 각각 4~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30~70% 에틸 알코올로 2~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16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번째 또는 세번째는 각각 음양곽 중량의 4~12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는 단계; 및
    상술한 두가지 엑기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의약 조성물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의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각각 3회 또는 혼합하여 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번째와 세번째는 각각 6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9배 되는 중량의 50%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 되는 중량의 50%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5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음양곽 엑기스로 농축하는 단계; 및
    상술한 두가지 엑기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의약 조성물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2항의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각각 물로 2~3회 추출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2~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6~10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번째 또는 세번째는 각각 4~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3시간씩 30~70% 에틸 알코올로 2~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16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번째 또는 세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4~12배 되는 중량의 30%~7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는 단계;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고, 6~10배되는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4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상술한 세가지 엑기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의약 조성물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2항의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중량부의 가시오갈피, 복령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물로 각각 3회 또는 혼합하여 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8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고, 두번째와 세번째는 각각 6배 되는 중량의 물로 추출하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중량부의 음양곽을 취하여, 매 회 1시간씩 50% 에틸 알코올로 3회 추출하되, 첫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9배 되는 중량의 50% 알코올로 추출하고, 두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7배 되는 중량의 50% 알코올로 추출하며, 세번째는 음양곽 중량의 5배되는 중량의 50% 에틸 알코올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에틸 알코올을 감압 회수한 후, 드라이 엑기스로 농축하는 단계;
    상기 중량부의 지모를 취하고, 6배 되는 중량의 물을 사용하며, 끓을 때까지 가열한 후, 2시간 달이어 상청액을 취하며, 남은 찌꺼기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1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2회 여과한 후, 드라이 지모 엑기스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상술한 세가지 엑기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의약 조성물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24551A 2014-06-20 2015-06-19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1990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80231.2 2014-06-20
CN201410280231 2014-06-20
PCT/CN2015/081950 WO2015192804A1 (zh) 2014-06-20 2015-06-19 一种预防和治疗老年痴呆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567A Division KR20170003700A (ko) 2014-06-20 2015-06-19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911A true KR20180099911A (ko) 2018-09-05
KR101990758B1 KR101990758B1 (ko) 2019-06-18

Family

ID=5493489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909A Ceased KR20180088532A (ko) 2014-06-20 2015-06-19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87024551A Active KR101990758B1 (ko) 2014-06-20 2015-06-19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67035567A Ceased KR20170003700A (ko) 2014-06-20 2015-06-19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909A Ceased KR20180088532A (ko) 2014-06-20 2015-06-19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567A Ceased KR20170003700A (ko) 2014-06-20 2015-06-19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10646536B2 (ko)
EP (1) EP3159004B1 (ko)
JP (1) JP6461320B2 (ko)
KR (3) KR20180088532A (ko)
CN (1) CN105311083B (ko)
AU (1) AU2015276657B2 (ko)
CA (1) CA2950638C (ko)
ES (1) ES2774046T3 (ko)
HK (1) HK1221158A1 (ko)
MX (1) MX376573B (ko)
MY (1) MY187573A (ko)
PE (1) PE20170199A1 (ko)
PH (1) PH12016502302B1 (ko)
RU (1) RU2671566C2 (ko)
SG (1) SG11201609701UA (ko)
WO (1) WO2015192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2804A1 (zh) * 2014-06-20 2015-12-23 四川济生堂药业有限公司 一种预防和治疗老年痴呆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120497B (zh) * 2021-05-14 2024-10-25 上海阶平医院管理有限公司 一种缓解老年痴呆用冷敷凝胶的制备装置及其制备方法
CN113491251B (zh) * 2021-07-02 2022-12-20 山西中医药大学 肾阳虚型帕金森病大鼠模型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57666A (zh) * 2006-03-14 2006-11-08 王信锁 一种治疗老年期痴呆的中药制剂
CN101229293A (zh) * 2008-01-14 2008-07-30 北京中科雍和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治疗老年期痴呆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732660A (zh) * 2009-12-25 2010-06-16 卢速江 一种治疗前列腺疾病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8336A (zh) 1997-05-06 1998-11-11 赵寿堂 一种健脑中成药
KR20050021026A (ko) 2001-06-15 2005-03-07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계의 이상으로부터발생하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FI112962B (fi) * 2002-07-30 2004-02-13 Tamfelt Oyj Abp Paperikonekudos
CN101543576A (zh) * 2008-03-28 2009-09-30 天科仁祥技术(北京)有限责任公司 一种预防及治疗老年性痴呆的药物组合及其制备方法
CN101417048A (zh) * 2008-11-25 2009-04-29 山西省长治精神病院 一种治疗老年期精神病的中药
CN101780215B (zh) * 2009-01-19 2013-03-27 河北以岭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含有人参的中药组合物水提液的精制方法
CN101574499A (zh) * 2009-06-05 2009-11-11 李振爽 安神宁心胶囊
CN101940703A (zh) 2010-08-11 2011-01-12 徐建 一种具有治疗和调整保健作用的酊剂
JP2012126716A (ja) 2010-11-26 2012-07-05 Kracie Seiyaku Kk 認知症の予防・治療に有効な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漢方・生薬製剤
CN103099833A (zh) 2011-11-14 2013-05-15 甘肃创兴生物工程有限责任公司 有助于缓解运动疲劳和延缓衰老的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02698172B (zh) 2012-05-16 2014-05-14 江苏苏南药业实业有限公司 治疗老年痴呆症的药物组合物
WO2015192804A1 (zh) 2014-06-20 2015-12-23 四川济生堂药业有限公司 一种预防和治疗老年痴呆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57666A (zh) * 2006-03-14 2006-11-08 王信锁 一种治疗老年期痴呆的中药制剂
CN101229293A (zh) * 2008-01-14 2008-07-30 北京中科雍和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治疗老年期痴呆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732660A (zh) * 2009-12-25 2010-06-16 卢速江 一种治疗前列腺疾病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376573B (es) 2025-03-07
KR20180088532A (ko) 2018-08-03
AU2015276657A1 (en) 2016-12-01
CA2950638A1 (en) 2015-12-23
WO2015192804A1 (zh) 2015-12-23
KR101990758B1 (ko) 2019-06-18
AU2015276657B2 (en) 2017-12-14
JP2017515916A (ja) 2017-06-15
US11278584B2 (en) 2022-03-22
PE20170199A1 (es) 2017-04-08
KR20170003700A (ko) 2017-01-09
EP3159004A4 (en) 2018-02-21
CN105311083B (zh) 2019-06-11
RU2016146370A (ru) 2018-07-20
SG11201609701UA (en) 2016-12-29
PH12016502302A1 (en) 2017-02-13
MX2016016021A (es) 2017-02-02
HK1221158A1 (zh) 2017-05-26
MY187573A (en) 2021-09-30
US10646536B2 (en) 2020-05-12
CN105311083A (zh) 2016-02-10
CA2950638C (en) 2019-12-31
US20200222491A1 (en) 2020-07-16
PH12016502302B1 (en) 2022-03-23
ES2774046T3 (es) 2020-07-16
EP3159004A1 (en) 2017-04-26
EP3159004B1 (en) 2020-01-29
RU2671566C2 (ru) 2018-11-02
JP6461320B2 (ja) 2019-01-30
RU2016146370A3 (ko) 2018-07-20
US20170136083A1 (en)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i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phrodisiac activity of Asparagus racemosus
CN101766801B (zh) 逍遥散抗抑郁症有效部位及其提取方法
US2010031068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depression and anxiety
CN105920476B (zh) 防治阿尔茨海默病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8522988A (ja) 高脂血症を治療及び/又は予防する医薬組成物、その製法及びその使用
KR101990758B1 (ko)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1797307B (zh) 一种含苯乙醇苷的枇杷叶紫珠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02671007B (zh) 一种治疗老年痴呆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372174B (zh) 一种用于治疗抑郁症的复方中药
CN107998269B (zh) 一种具有降血压降血脂防治心脑血管疾病的中药组合物
CN103768171A (zh) 抗抑郁、杀菌消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272949B (zh) 一种中药组合物在制备治疗痴呆的药物中的应用
KR101509056B1 (ko) 인삼 복합 생약 추출물, 진세노사이드 Rg2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4739949A (zh) 用于帕金森氏病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478715A (zh) 一种中药组合物在制备治疗小儿多动症药物中的应用
CN108379279A (zh) 一种治疗帕金森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743958A (zh) 一种用于改善认知障碍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aware et al. Formul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Leaf Extract of Ficus benghalensis for Antidiabetic Activity.
RU2599482C1 (ru) Сбор лекар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для леч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расстройства желчного пузыря при гипотонически-гипокинетическом типе дискинезии
CN115887562A (zh) 一种治疗阿尔兹海默症的中药复方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03285188B (zh) 一种益气补肾活血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614329A (zh) 一种治疗阿尔茨海默氏病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11437333A (zh) 一种中药组合物在治疗精神障碍中的用途
CN109953995A (zh) 一种药物组合物及其在制备催眠类药物中的用途
CN108245646A (zh) 一种治疗肝郁肾虚型郁病的中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8082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7035567

Filing date: 2016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