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773A -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 및 전자기 차폐를 가지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 Google Patents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 및 전자기 차폐를 가지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9773A KR20180099773A KR1020187021479A KR20187021479A KR20180099773A KR 20180099773 A KR20180099773 A KR 20180099773A KR 1020187021479 A KR1020187021479 A KR 1020187021479A KR 20187021479 A KR20187021479 A KR 20187021479A KR 20180099773 A KR20180099773 A KR 201800997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amorphous
- face
- amorphous screen
- dist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6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8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JCLFHZLOKITRCE-UHFFFAOYSA-N 4-pentoxyphenol Chemical compound CCCCCOC1=CC=C(O)C=C1 JCLFHZLOKITRC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2037 poly(vinyl buty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346 layers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092 metal group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13 Cyclic olefin co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29 flo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510 noble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66 varni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QXBYHZEEUGOBF-UHFFFAOYSA-N but-3-enoic acid;ethene Chemical compound C=C.OC(=O)CC=C DQXBYHZEEUGO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2 carb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365 direct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7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8 laser ab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297 night 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2 os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YQBFIAQOQZEGI-UHFFFAOYSA-N osmium atom Chemical compound [Os] SYQBFIAQOQZEG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94 photoredox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ANVFVBYPNXRLD-UHFFFAOYSA-M propyromazine bromide Chemical compound [Br-].C12=CC=CC=C2SC2=CC=CC=C2N1C(=O)C(C)[N+]1(C)CCCC1 OANVFVBYPNXRL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2 r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UAPFZMCVAUBPE-UHFFFAOYSA-N rhenium atom Chemical compound [Re] WUAPFZMCVAUBP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61 soda-lim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UAUNKAZQWMVFY-UHFFFAOYSA-M sodium;oxocalcium;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Ca]=O HUAUNKAZQWMVFY-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6 temp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9 therm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5 thermop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21—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liquid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32B17/10348—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comprising an obscuration ba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2—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에 관한 것으로서, 적층 내측에, 후방 전자기 차폐(70)를 가지는 아몰레드 화면(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및 보다 특히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더욱 많은 수의 지능형 윈드실드가 존재하고 있다.
문헌 WO2015041106은 특히 2개의 글레이징의 내부 면들 사이에 아몰레드(능동형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화면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제안하고, 화면은 면(F2) 상에서 즉, 최외측 글레이징의 내부 면 상에서 주변에 배열되고 에나멜 처리된(enameled) 경계 내에서 마스킹된다. 수평으로 배치된 아몰레드 화면은 - 통상적으로 거울 형태인 - 차량의 후방을 보기 위한 내부 후사경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고 바람직하게 윈드실드의 상단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서 중앙 부분 내에 위치된다. 이는 차량의 후방부에 위치되는 카메라에 커플링된다.
수직으로 배치된 제2 아몰레드 화면은 차량의 좌측 측면 상의 차를 보기 위한 좌측 측방향 후사경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고, 윈드실드의 좌측 측방향 연부를 따라 하단 부분 내에 위치되고, 에나멜로 만들어진, 외부 글레이징의 내부 면 상의 층에 의해서 마스킹된다.
제3 아몰레드 화면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우측 측방향 후사경을 대체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윈드실드의 우측 측방향 연부를 따라 하단 부분 내에 위치되고, 에나멜로 만들어진, 외부 글레이징의 내부 면 상의 층에 의해서 마스킹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이러한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특히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차량 특히 도로 차량의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특히 윈드실드 또는 측방향 글레이징으로서:
- 차량의 외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1으로 지칭되는 제1 주 면 및 F2로 지칭되는 제2 대향 주 면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휘어진, 바람직하게 광물 유리의, 바람직하게 특히 회색 또는 녹색으로 착색된, 제1 글레이징으로서, 글레이징의 두께(E1)가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2.5 mm 이하, 심지어 2 mm 이하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1.3 mm 이하 또는 1 mm 이하인, 제1 글레이징,
- 특히 제2 글레이징의 립(lip)으로부터 (5 mm 이하 만큼 또는 심지어 2 mm 이하 만큼 또는 1 mm 이하 만큼) 후퇴된, 예를 들어 몇 개의 플라이(ply), 예를 들어 3개의 플라이로 이루어진,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2.2 mm 이하, 보다 양호하게 2 mm 이하, 1.5 mm 이하 또는 심지어 0.76 mm 이하의 (전체) 두께(E2)의, 면(F2) 측면 상의, 중합체 물질(투명, 매우 투명),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물질의 적층 중간층(lamination interlayer),
- 두께(E'1)가 바람직하게 E1 미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심지어 2.2 mm 이하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1.3 mm 이하 또는 1 mm 이하인, 적층 중간층 측면 상의 F3로 지칭되는 제3 주 면 및 특히 차량의 내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4로 지칭되는 제4 대향 주 면을 가지는, 선택적으로 착색되는(또는 투명하거나 심지어 면(F3 또는 심지어 F4) 상에서 전기전도 층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제1 글레이징과 마찬가지로) 휘어진, 바람직하게 광물 유리의 제2 글레이징으로서, 글레이징의 전체 두께(E1+E'1)는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엄격하게 4.4 mm 미만, 심지어 3.7 mm 미만이고, 제1 및 제2 글레이징 중 적어도 하나 - 그리고 더 양호하게 둘 모두 - 가 유리로 제조되고, 다른 하나는 선택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유기, 중합체 물질로 제조되는, 제2 글레이징,
- 면(F2)과 면(F3) 사이의,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3)으로 지칭되는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으로서, 제1 아몰레드 화면은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의 (중앙) 구역을 포함하고 - 아몰레드 화면은 2개의 전극 사이에서 유기 발광 시스템(들)을 지지하는 제1 가요성 지지부(유리 중합체 물질, 또는 사실상 심지어 금속)를 포함하고 - 아몰레드 화면의 두께(E3)는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고 심지어 0.5 mm 이하이고, 아몰레드 화면은 F3를 향해서 배향된 전방 주 면 및 F2를 향해서 배향된 후방 주 면을 가지고, - 아몰레드 화면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 그에 따라, 후방 면과 F2 사이의 적층 중간층의 영이 아닌 두께(E21) 및/또는 전방 면과 F3 사이의 영이 아닌 두께(E22)를 가지고, E2는 아몰레드 화면의 측면 상의 두께에 상응하며(특히 E2 > E21+E22이고, 실질적으로 E3와 같고),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주변에 배열되는,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
-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을 가지는, E2 미만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의 두께(E4)의, 면(F2)과 면(F3) 사이의 소위 연결 부분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의 전기 연결 요소(4)로서, 연결 부분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심지어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과 마찬가지로) 적층 중간층 내의 연결 부분은 후방 면과 면(F2) 사이의 적층 중간층의 영이 아닌 두께(E41) 및 전방 면과 면(F3) 사이의 (바람직하게 두께(E3)와 동일한) 영이 아닌 두께(E42)를 갖는, 전기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은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바람직하게 영구적인 연계) 아몰레드 화면을 (직접적으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는 (소위 외측부 부분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연결 요소는 특히 전력 공급 그리고 (바람직하게)/또는 (동시적 또는 순차적)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고, 특히 전기 연결 요소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트랙(또는 "공급 라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랙(또는 "데이터 라인"), 및 (선택적으로 특히 연결 부분 내의)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층형 글레이징은 면(F2)과 후방면 사이에서 및/또는 면(F2)과 후방 표면 사이에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를 더 포함한다.
특히 아몰레드 화면은 투명 창 영역 내에 있거나, 아몰레드 화면의 면(F2)과 후방 면 사이에서 소위 외부 주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연결 부분은 또한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마스킹된다.
전자기 차폐는 아몰레드 화면을 보호하고, 적층체 내의 그 위치가 보다 신뢰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경우에 투명하거나 투명하지 않은)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용이하게 마스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은 에나멜로 제조되고 아몰레드 화면 뒤쪽의 면(F2) 그리고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 상에 위치된다.
오프 상태에서, 아몰레드 화면 구역은 후방부에 더하여 마스킹 구역과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 마스킹 층(특히, 면(F2) 상의 에나멜)의 컬러의 적응(adapt)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불투명하거나 10% 미만 및 심지어 5% 미만의 루미너스 투과(LT)를 가지고 투명하고,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는 아몰레드 화면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및/또는 연결 부분은 불투명하거나 10% 미만 및 심지어 5% 미만의 루미너스 투과(LT)를 가지고 투명하고,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는 연결 부분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또는 제1 전자기 차폐 및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구역 내에서, 적층형 글레이징의 루미너스 투과는 적어도 70%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는 전기 전도 와이어를 포함하거나, 전기 전도 요소, 특히 바람직하게 미크론 이하의 두께의 (중합체) 가요성 막 상의 (중단 없는 또는 그리드-유사한) 전기 전도 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특히 투명한(또는 내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가, 바람직하게 적어도 0.5 mm 만큼 그리고 3 또는 5 cm 이하 만큼, 아몰레드 화면 및/또는 연결 부분의 연부를 넘어서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는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또는 면(F2) 상에서, 특히 면(F2) 상의 에나멜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또는, 액체 경로에 의해서, 잉크로서 인쇄된 임의 층) 상의 전도 에나멜 층(또는, 액체 경로에 의해서, 잉크로서 인쇄된 임의 층) 상에 적층되고, 아몰레드 화면 및/또는 연결 부분을 마스킹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는 아몰레드 화면 상에 있거나 심지어 그 내부에 통합되고 및/또는 연결 부분 상에 있거나 심지어 그 내부에 통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투명하고 투명 창 영역 내에 있거나 그 내부에서 (투명 또는 불투명) 아몰레드 화면이 아몰레드 화면의 후방 면과 면(F2) 사이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그리고 또한 선택적으로 제1의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전자기 차폐 요소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및/또는 전기 연결 요소가 특히 후방 면과 면(F2) 사이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마스킹되고,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뿐만 아니라 연결 요소가 면(F3 또는 F4) 상에서 소위 내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내부로부터 마스킹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층형 글레이징은, 특히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길이방향 또는 측방향 연부의 주변에서, 복수의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고, 그 각각은 제1의 지정된 전자기 차폐 요소 또는 제1 공통 전자기 차폐 요소(전체를 커버한다)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적층형 글레이징은, 아몰레드 화면의 전방 면과 면(F3) 또는 심지어 면(F4) 사이에서 투명한 또는 연결 부분의 전방 표면과 면(F3) 또는 심지어 면(F4) 사이에서 특히 투명한, 제2 전자기 차폐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투명 중앙 시야 지역의 연부까지, 그리고 더 정확하게 이하까지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운전자(또는, 보조 운전자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에 의해서 보일 수 있는 전체 주변 구역 이하를 커버한다:
- 아몰레드 화면이 운전자의 (또는 탑승자의) 측면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운전자의 측면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 있는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서 수평 방식으로 상단에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연부까지,
- 아몰레드 화면이 운전자의 (또는 탑승자의) 측면 하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운전자의 측면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 있는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서 수평 방식으로 하단에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하부 연부까지,
- 아몰레드 화면이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식으로 상단에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연부까지,
- 아몰레드 화면이, 바람직하게 더 넓어지도록 하단 부분 (측방향 연부의 하부 절반) 내에서, 좌측 측방향 연부를 따라 좌측의 바람직하게 운전자의 측면 (각각 우측의 바람직하게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 수직 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좌측 (각각 우측) 연부까지.
바람직하게 면(F2) 상에서,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불투명하게 또는 약간 투명하게 마스킹된 경우에 -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하부, 측방향(좌측 및 우측) 연부(또는 한계)는 특히 규제 표준에 의해서 규정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경우에, 이는 유럽 표준 UN-ECE R43 첨부 18, 특히 133 쪽 및 § 2.4에 따라 규정된 제한된 구역(B)을 포함한다.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한계는 바람직하게 수평선과 기준 지점으로부터 7° 사이의 각도를 기초로 규정된다(운전자의 눈, 키가 큰 운전자의 경우에 Z= 665 mm 또는 키가 작은 운전자의 경우에 Z=589 mm인 차량의 좌석과 관련된 높이(Z)의 눈).
적층형 글레이징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와 관련된 연부로부터, 이하의 거리가 규정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 및 심지어 적어도 50 또는 90 mm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h1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4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00 또는 200 mm의, 하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하부 한계 사이의 h'1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 및 심지어 적어도 20 또는 40 mm의, 측방향(좌측 또는 우측)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측방향 한계 사이의 h4 거리.
아몰레드 화면의(및/또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의) 구역으로부터 멀리,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바와 같이 2 cm 이하 만큼 (미리 결정된) 시야 구역을 넘어서 돌출하면서, 립으로부터 h1, h'1, h4까지, 에나멜과 같은 (면(F2) 상의) 외부 주변 마스킹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아몰레드 화면(그리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을 마스킹하기 위해서 외부 마스킹 층의 폭을 어느 정도 그리고 최대로 중앙 투명 구역의 한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 마스킹은 제한된 시야 구역(B)의 한계로부터 (제1) 글레이징의 연부까지 존재할 수 있다.
적층형 글레이징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와 관련된 연부의 함수로서, 이하의 거리가 규정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50 mm 초과 또는 200 mm 또는 220 mm의, 상부 연부와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투명한 중앙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상한선 심지어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위에 있는,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50 mm 초과 또는 300 mm 또는 220 mm의, 하부 연부와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한 구역의 하부 한계 사이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하한선 및 바람직하게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아래에 있는,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80 mm 및 심지어 적어도 250 mm 또는 300 mm의, 상부 연부와 (중앙 위치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중앙 부분 내의 중앙의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Ha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연부와 상한선 및 바람직하게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사이에 있는, Ha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초과 또는 150 mm의, 측방향 (좌측 또는 우측) 연부와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측방향 한계 사이의 h5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측방향 연부와 측방향 한계 및 바람직하게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사이에 있는, h5 거리.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과 가장 중앙의 구역(A) 사이의) 상단 위치 내의 제한된 구역(B)의 높이(h6)는 60 mm 내지 90 mm일 수 있다. 이는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 내로 상승될 수 있는) (상당히)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은 아몰레드 화면보다 높다.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과 가장-중앙의 구역(A) 사이의) 하단 위치 내의 제한된 구역(B)의 높이(h'6)는 60 mm 내지 90 mm일 수 있다. 이는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 내로 하강될 수 있는) (상당히)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은 아몰레드 화면보다 낮다.
외부 마스킹 층 구역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아몰레드 화면의 표면 만큼 크고, 바람직하게 이하보다 약간 더 크다:
- 예를 들어 아몰레드 화면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적어도 5 mm 만큼,
- 및/또는 가장 중앙의 연부(아몰레드 화면의 상단의 위치인 경우에 하단 연부, 아몰레드 화면의 하단의 위치인 경우에 하단 연부) 아래에서 적어도 5 mm 만큼.
외부 마스킹 층은, 적층형 글레이징(윈드실드)의 중심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그라데이션(gradation)의 패턴(기하형태적 패턴, 둥근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형상 등)의 네트워크 형태로 불연속적인 구역에 의해서 연장되는 중실형 구역(solid zone)(편평한 패치)일 수 있다. 그라데이션은 폭이 15 mm 이하 및 심지어 10 mm 이하 및 적어도 3 또는 5 mm일 수 있다. 그라데이션은, 폭의 하부 길이방향 연부의 구역 내에서, 30 mm 이하의 그리고 심지어 25 mm 이하 그리고 적어도 10 또는 15 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이 그라데이션 뒤에 위치되지 않고 중실형 구역 뒤에 위치된다. 한계에서만, 그라데이션이 아몰레드 화면을 넘어서 돌출될 수 있다.
각각의 아몰레드 화면에 대해서 지정된 기준 연부 또는 구분된 연부들을 따라 확장된 몇몇 마스킹 구역 및 그에 따라 심지어 확장된 마스킹 구역이 있을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적층형 글레이징 특히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는:
- 적어도 1200 mm 및 1850 mm 이하 및 바람직하게 1350 내지 1550 mm의 폭(수평 치수)(Lp),
- 적어도 800 mm 및 1400 mm 이하 및 바람직하게 950 내지 1050 mm의 높이(수직 치수)(Hp)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적어도 80 mm x 120 mm이다.
바람직하게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및 W3)는 강제되는 표준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폭(W3)은 적어도 10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200 mm 초과, 350 mm 초과, 그리고 심지어 500 mm 이상, 특히 또는 제1 가시적 측방향 연부 및 상단 중앙 구역(그리고 심지어 상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운전자의 측면에 걸쳐 또는 제2 가시적 측방향 연부와 상단 중앙 구역(그리고 심지어 상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보조 운전자의 측면 구역이다.
바람직하게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는 적어도 8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이다.
바람직하게, 하단 위치(하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폭(W3)은, 특히, 적어도 10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200 mm 초과, 350 mm 초과, 그리고 심지어 500 mm 이상, 특히 또는 가시적 측방향 연부 및 중간 구역(그리고 심지어 하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운전자의 측면 구역 또는 제2 가시적 측방향 연부와 하단 중앙 구역(그리고 심지어 하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보조 운전자의 측면 구역 초과이다.
바람직하게 하단 위치(하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는 적어도 8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이다.
바람직하게 중앙 구역 내의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직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폭(W3)은 적어도 10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20 mm 내지 280 mm 또는 심지어 300 mm이다.
바람직하게 중앙 구역 내의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직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은 적어도 8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50 mm 내지 200 mm이다.
연결 요소가 "무선"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편평한)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전력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하나 이상의 유도-기반 또는 용량형 등의 무선 연결부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E2와 같은 미크론 이하의 두께(E4)의 그리고 제2 글레이징의 립을 넘어서는 E4 미만의 두께(E'4)의 전기 연결 요소가 바람직하게 곡선형이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역만큼 멀리 연신되지 않고, 면(F4)에 대해서 위치되거나 더 양호하게 접착에 의해서 면(F4)에 고정된다. 외부 부분은 바람직하게 곡선형이고 면(F4) 측면을 따라 연신되고, 디스플레이 구역만큼 멀리 연신되지 않고, 면(F4)에 대해서 위치되거나 더 양호하게 접착에 의해서 면(F4)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는 유리하게, 적절한 경우에, 임의 재료로 부분적으로 커버되거나 덮이고, 그에 따라 그 두께를 아몰레드 화면의 두께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값까지, 특히 적층형 글레이징의 연부까지 증가시킨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가요성 인쇄 회로("fpc")이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많은 수의 화소에 어드레스할 수 있다.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특히 연결 부분)의 폭은 아몰레드 화면의 폭 미만이거나 실질적으로 그와 동일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150 mm 초과의 아몰레드 폭(수평 치수)의 경우에 50 mm의 폭이다. 큰 (넓은) 화면은,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의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연부 상에서 몇 개의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연결 요소의 종료부와 제2 글레이징의 립 사이의 거리는, 장착 또는 해체 중에 이러한 종료부에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제2 글레이징 주위로 접히고 면(F4) 상에 고정되도록 연결 요소의 (접히지 않은) 전체 길이가 조정된다. 내부 유리의 출구로부터, 20 내지 150 mm의 거리가 바람직하게 예상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연결 요소(특히 연결 부분)는:
- 제1 전방 면 및 제1 후방 면, 와이어 또는 바람직하게 전방 또는 후방 측면 상의 전도 트랙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중합체의, 투명한 또는 다른(예를 들어, PET 등) 가요성 지지부,
- 선택적으로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 구성요소,
수지 또는 바니시(varnish)(액체 침착 등)의 층 또는 예를 들어 접착-코팅된 투명 또는 불투명 보호 막(PET,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전기 절연 물질에 의해서 커버된 와이어 또는 트랙(및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은 임의 공지된 수단: 클립핑, 플러그-인에 의해서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분 및 아몰레드 화면은 하나 이상의 영구적인 (고체) 연계부에 의해서 연계된다. 연결 부분과 아몰레드 화면 사이의 연계는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 상에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아크릴레이트가 가요성 중합체 막으로서 선택된다:
- 아몰레드 화면(기재, 후방 또는 전방 보호 막: 정면 막(facade film) 등),
- 전기 연결 요소, 특히 연결 부분(기재, 후방 또는 전방 보호 막).
제2 글레이징은 바람직하게 국소적인 노치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연결 요소의 폭 그리고 바람직하게 기껏해야 아몰레드 화면의 폭과 같은 폭(피팅의 반경은 포함하지 않음)의 노치를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을 빠져 나온다.
그에 따라 노치의 치수는 이하로 구성된다:
- 연결 요소의 폭 이상인 노치의 폭;
- 연부가 눈에 보이는 경우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연결 요소의 두께 이상인 노치의 깊이.
실질적으로, 노치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1.5 mm 내지 3 또는 심지어 2 mm이다.
노치 구역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적층 중간층을 가지지 않는다.
중합체 물질의 적층 중간층은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 -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폴리우레탄 또는 수지로부터, 단독적으로 또는 그 중 하나의 몇몇 변형물 및/또는 그 중 몇몇의 혼합물로, 선택되고; "변형물"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가소제의, 분지(branching)/선형성의 양, 분자의 평균 분자량의 변형을 지칭한다.
양호한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는, 사실상 심지어 편평한 연결부 유형의 전기 연결 요소의 아몰레드 화면(테두리 그리고 전방 및 후방 면)을 둘러싸고 그와 접촉된다.
적층 중간층 자체는, 예를 들어 두께가 0.2 mm 내지 1.1 mm인, 하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된, 폴리비닐부티랄(PVB), 폴리우레탄(PU),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로 제조될 수 있다.
적층 중간층의 표면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표면보다 작을 수 있고, 예를 들어 홈(프레임-유사 또는 배너(banner)-유사)을 남길 수 있고, 이는 자유롭고 그에 따라 적층되지 않는다.
제2 글레이징과 같은 제1 글레이징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주 면 또는 시트 또는 심지어 임의의 다른 형상(둥근형, 타원형, 다각형)을 가지는, 평행6면체형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은 (미적 결과, 또는 희망하는 광학적 효과에 따라) 투명 유리(4 mm 두께에서 90% 이상의 루미너스 투과(LT)의), 예를 들어 Saint-Gobain Glass사로부터의 Planilux®과 같은 소다-석회 표준 조성 유리, 또는 엑스트라-투명 유리(4 mm 두께에서 91.5% 이상의 LT), 예를 들어 Saint-Gobain Glass로부터의 Diamant® 유리와 같이 0.05% 미만의 Fe III 또는 Fe2O3 를 가지는 소다-석회-실리카 유리, 또는 Pilkington로부터의 Optiwhite® 유리, 또는 Schott로부터의 B270®, 또는 문헌 WO04/025334에서 설명된 다른 조성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의 유리는 중성(채색 없음)일 수 있거나, 또는 Saint-Gobain Glass로부터의 TSA 유리와 같이, 특히 회색 또는 녹색으로, (약간) 착색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의 유리에 (특히 더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얻기 위해서) 강화, 어닐링 유형 또는 템퍼링 처리와 같은 화학적 또는 열적 처리를 가할 수 있거나 반-템퍼링할 수 있다.
루미너스 투과(LT)는 루미넌트 D65를 이용하여 ISO 표준 9050:2003에 따라 측정될 수 있고, 직접적인 투과 및 가능한 확산 투과 모두를 고려한, (특히 가시광선 영역 내에 통합되고 인간 눈의 감도 곡선에 의해서 가중된) 총 투과이며, 그러한 측정은, 예를 들어, 적분구를 구비한 분광 광도계의 도움으로 이루어지고, 주어진 두께에서의 측정은 그 후에, 적절한 경우에, ISO 표준 9050:2003에 따라 4 mm의 기준 두께로 변환되었다.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특히 윈드실드 또는 측방향 글레이징의 경우에, LT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0% 그리고 심지어 적어도 75% 또는 8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글레이징은 광물 유리로 제조되고, 제2 글레이징은 유기 유리(예를 들어, (면(F4) 상에서)) 코팅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보호된 PC, PMMA, 환형-올레핀 공중합체(COC) 또는 다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다.
외부 글레이징은 그 면(F1 및 F2)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 기능적인 얇은 층을 포함할 수 있고: 면(F1) 상의 광촉매 자가-세정 또는 소수성 층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층형 글레이징은 휘어진 제1 및 제2 글레이징 그리고 심지어 PVB 적층 중간층을 가지는 자동차, 트럭과 같은 도로 차량의 윈드실드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글레이징(윈드실드)의 휘어짐은 예를 들어 문헌 WO201013670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0.8 mm 이하, 바람직하게 0.7 mm 이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0.6 mm 이하 및 심지어 적어도 0.1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유기 발광 시스템의 소위 하부 전극(종종 양극) 및 상부 전극을 지지하는 가요성 지지부(중합체, 유리, 또는 사실상 금속)를 포함하는 한편,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다른 기능적 요소 또는 층은 특히:
- 지지부와 하부 전극 사이의 그리고 침착물 또는 막의 형태의: (산소, 수분 등에 대한) 장벽 층,
- 상부 전극 및 침착물 또는 막의 형태: (산소, 수분 등에 대한) 보호 층, 예를 들어 침착물(바니시, 외장, 수지 등) 및/또는 전방 막(투명 중합체 막: PET 등)일 수 있다.
더 정확하게, 화소는 바람직하게 이하의 시스템 중 둘 또는 셋을 나란히 포함한다:
- "R"로 지칭되는 적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 "G"로 지칭되는 녹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 "B"로 지칭되는 청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 "W"로 지칭되는 백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특히 RGB,RWB,WBG,RWB,W,BG.
화소의 수는 적어도 64x128이다. 방출은 상단 방출 유형(기재로부터 먼 쪽의 방출)이다. 전방 면은 관찰 면을 의미한다.
적어도 2개의 구성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의 전력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휘도가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400 Cd/m2가 되도록 아몰레드 화면의 전력이 조정되는 야간 시야를 위한 구성 및 휘도가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500 Cd/m2가 되도록 아몰레드 화면의 전력이 조정되는 주간 시야를 위한 구성. 주간 시야에서, 외부 조명의 함수로서 아몰레드 화면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모든 정보가 아몰레드 화면(특히 윈드실드)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외부 및 내부 대기 조건, 후방 환경의 시야, (이미 표시한 바와 같은) 좌측 및 우측 측방향 환경의 시야, 운전 조건에 관한 정보, 및 이정표, 운송 차량에 관한 기술적 정보.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통합될 수 있는) 이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 후방부의 중앙 시야,
- 운전 보조 정보, 특히 경고, 장애물 검출의 디스플레이,
- 특히 (요청되는 정지와 함께) 경고의 경우에, 차량의 특성(엔진, 바퀴, 브레이크, 헤드라이트 등)에 관한 정보(레벨, 동작 상태, 마모 상태 등)의 디스플레이,
- 외부 환경: 기후, 주유소까지(전기 충전소 까지 등), 도시 까지, 고속도로 출구 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 연결성: 네트워크(소셜 네트워크, 인터넷 등) 에 대한 접속에 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 전화 모드의 동작: 스피커의, 비상 및/또는 사고 또는 위험 상황의 경우에 사람(경찰, 의료 시설)의 디스플레이.
아몰레드 화면 및/또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또한 보조 운전자측 TV로서, 또는 전화 모드 동작으로서: 스피커의, 비상 및/또는 사고 또는 위험 상황의 경우에 사람(경찰, 의료 시설)의 디스플레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텔레비전에서와 같이 이하의 몇몇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 주 화상(후방부의 중앙 시야 등),
- 인레이드(inlaid) 이미지(들)(차량의 측방향 시야 등).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다.
전방 면 측면 상에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로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밴드(디스플레이를 위한, 활성 구역으로부터 구분되는 구역)가, 면(F3 또는 F4) 상의, 바람직하게 에나멜의, 소위 내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또는 전방 면 상의 마스킹 요소(불투명 층, 막)에 의해서 마스킹될 수 있다. 및/또는 연결 요소(연결 부분)의 전방 표면은, 면(F3 또는 F4) 상의, 바람직하게 에나멜의, (동일한) 소위 내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또는 전방 표면 상의 마스킹 요소(불투명 막)에 의해서 마스킹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역을 보여주는 그리고 외부 마스킹 층의 폭 이하인 폭의 개구부를 가지는 편평한 패치이다.
내부 마스킹 층은:
-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연결 부분의 마스킹뿐만 아니라,
- 또한, 글레이징 특히 윈드실드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을 형성할 수 있고,
- 심지어, 불규칙부 또는 결함을 포함할 수 있는, 적층 중간층 및 아몰레드 화면 사이의 접합부의, (그리고 심지어 적층 중간층과 연결 부분 사이의 접합부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을 넘어서 돌출되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마스킹 요소는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연결 부분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지지 막 및/또는 보호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저장의 관점에서 미리 장착되자 마자,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연결 부분의 전체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이러한 미리 장착된 조립체에 부착된 막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윈드실드의 조립 전에 미리 절단된 바람직하지 못한 부분이 그러한 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마스킹 요소(불투명한 막 등)는:
-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연결 부분의 마스킹뿐만 아니라,
- 또한, 윈드실드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을 형성할 수 있고,
- 심지어, 불규칙부 또는 결함을 포함할 수 있는, 적층 중간층 및 아몰레드 화면 사이의 접합부의, (그리고 심지어 적층 중간층과 연결 부분 사이의 접합부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을 넘어서 돌출되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또한 아몰레드 화면을 커버하는 투명 중합체 재료의 불투명화된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연결 부분을 커버하는 중합체 재료의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 또는 마스킹 요소(불투명 막)는 적어도 0.1 mm 및 심지어 5 mm 이하 또는 2 mm만큼 기술적 연부를 넘어서 돌출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마스킹 요소를 가지는 2개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요소(연결 부분)의 마스킹, 또는 양 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또는 연결 요소의 이중 마스킹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마스킹의 기능은, 장치의 유용한 부분이 내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유지하도록, 장치의 유용하지 않고 흉한 부분을 은폐하는 것이고;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재의 성질에 적합한 임의의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면(F2) 상에서의 잉크 젯, 실크-스크린, 에나멜과 같은 인쇄.
내부 마스킹 층은 그 자체를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 및 (연결 부분의) 전기 연결 요소의 부분 (적어도 가시적인 부분)의 마스킹으로 한정할 수 있거나, 심지어 선택적으로 1 내지 2 cm 이하만큼 작게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은, 외부 마스킹이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의 투과에 의해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역 내에서, 외부 마스킹의 폭 이하인 폭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및/또는 외부 마스킹 층은 어두운(흑색) 에나멜 층일 수 있으나, 보다 넓게 불투명한 페인트 또는 잉크의 층, 또는 착색된 또는 인쇄된 중합체 층(예를 들어, 인쇄된 PVB),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일 수 있다.
면(F2) 상의 외부 마스킹 층 및 면(F3 또는 F4) 상의 내부 마스킹 층이 바람직하게 동일한 재료로 그리고 심지어 에나멜로 구성된다. 적어도 면(F2) 상에서 그리고 심지어 면(F4) 상에서 에나멜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빈 내의 가열을 제한하기 위해서 또는 공조의 이용을 제한하기 위해서, 글레이징의 적어도 하나(바람직하게 적어도 제1 글레이징)이 바람직하게 착색된다.
적층형 글레이징은, 태양 제어 층으로 지칭되는 태양 복사선을 반사 또는 흡수하는 층을, 바람직하게 (바람직하게 투명한) 제2 글레이징의 면(F3) 상에 또는 사실상 면(F2) 상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전도 층은 투명한데, 이는 그러한 층이 투명한 창 영역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태양 제어 층은 또한 주변에서 공급되는 전류로 가열 층으로서 역할 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 버스 바에 연결된 가열 구역은,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가 그 사이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전압 공급원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바의 폭은 바람직하게 2 mm 내지 30 mm,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4 mm 내지 20 mm 및 특히 10 mm 내지 20 mm이다.
인쇄된 버스바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금속, 금속 합금, 금속 및/또는 탄소 화합물, 특히 바람직하게 귀금속 및, 특히, 은을 포함한다. 인쇄 페이스트는 바람직하게 금속 입자, 금속 및/또는 탄소 입자 그리고 특히 은 입자와 같은 귀금속 입자를 포함한다. 인쇄된 버스바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5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8 ㎛ 내지 20 ㎛ 그리고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 8 ㎛ 내지 12 ㎛일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로서, 버스바가 또한 전기 전도 시트의 스트립의 형태일 수 있다. 이어서, 버스바는, 예를 들어, 적어도 알루미늄, 구리, 주석 도금 구리, 금, 은,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한다.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30 ㎛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다.
태양 제어 및/또는 가열 층은 (F2 또는 바람직하게 F3 상의) 은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의 스택(stack)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또는 각각의 기능성 층(은)이 유전체 층들 사이에 배치된다.
기능성 층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금속, 예를 들어, 은, 금, 구리, 니켈, 및는 크롬,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90 중량%의 금속,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금속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은 금속 합금을 위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은 또는 은을 함유하는 합금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은 등)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5 nm 내지 50 nm, 더 바람직하게 8 nm 내지 25 nm이다. 유전체 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질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전체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층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전체 층은 또한 복수의 개별적인 층, 예를 들어, 차단 층, 및/또는 반사방지 층에 상응하는, 유전체 재료의 개별적인 층, 층, 평활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nm 내지 200 nm이다. 이러한 층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지지되는, 자기 음극 스퍼터링과 같은 진공 방법에 의해서 실시되는 연속적인 침착 작업을 통해서 얻어진다.
전기 전도 층은 바람직하게 2 ㎛ 이하의,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1 ㎛ 이하의 전체 두께의 층(단일층 또는 다중층 및 그에 따른 스택)이다.
전기 전도 층은, 전형적으로 12 V 내지 48 V의 온보드 전압 또는, 전기 차량의 경우에, 전형적으로 500 V까지의 온보드 전압으로, 시트의 0.4 ohms/square 내지 10 ohms/square의 저항 그리고 심지어 0.5 ohms/square 내지 1 ohm/square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전기 전도 층(은 등의)을 면(F2 및/또는 F3) 상에 모을 수 있다. 면(F3) 상의 전기 전도 층은 예를 들어 Climacoat라는 명칭으로 출원인 회사가 판매하는 스택이다. 예를 들어, 이는 (구체적으로 전술한) 아몰레드 화면의 하나 이상의 기술적 연부의 및/또는 연결 부분의 마스킹으로 직접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버스바를 특히 가지는) 태양 제어, 선택적으로 가열, 층이 되도록, (바람직하게 접착되지 않고 중간층에 의해서 적층된) 면(F2)과 면(F3) 사이에서, 바람직하게 가요성 투명 중합체(PET로 지칭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인, 지지부 상의 전기 전도 층을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글레이징 (바람직하게,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은 면(F2)과 면(F4) 사이에서, 특히 면(F3) 상에서 또는 면(F4) 상에서, 바람직하게 투명한 전기 전도 층 또는 바람직하게 투명하거나 보이지 않는 전기 전도 와이어(바람직하게 금속)의 세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역에 대향하여, 특히 디스플레이 구역 이상의 그리고 심지어 아몰레드 화면보다 큰 크기의 개구부에 의해서 전기 전도 층이 존재하지 않고(레이저 삭마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 등에 의해서 제거되고), 또는 특히 디스플레이 구역 이상의 크기의 개구부(제거)에 의해서 전도 와이어의 세트가 존재하지 않는다(제거된다).
전기 전도 와이어는 유리하게 매우 얇게, 특히 0.1 mm 이하,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0.02 mm 내지 0.04 mm, 그리고 특히 0.024 mm 내지 0.029 mm의 두께로 구현되고, 그에 따라 이들은 투명도에 단지 약간만 유해하거나 결코 유해하지 않다. 금속 와이어는 바람직하게 구리, 텅스텐, 금, 은, 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러한 금속 중 적어도 2개의 합금을 포함한다. 합금은 또한 몰리브덴, 레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또는 백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전도 층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주 면의 적어도 50% 그리고 심지어 적어도 70% 또는 80% 또는 적어도 90%를 커버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개구부를 가지는 전기 전도 층은 (아몰레드 화면보다 면(F3)에 더 근접하여,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서) 면(F3) 상에 또는 면(F3) 측면 상의 가요성의 투명 중합체 막 상에 있을 수 있고, 심지어 특히 면(F3)의 적어도 50% 및 심지어 적어도 70% 또는 80% 또는 적어도 90%를 커버하는 태양 제어 및/또는 가열 층일 수 있다.
개구부(전기 전도 층 또는 전기 전도 와이어의 부재)는, 전기 전도 층의 반사로 인한 채색(coloration)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또한 이러한 구역 내에서 루미너스 투과(LT)를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 (태양 제어 및/또는 심지어 가열을 위한, 선택적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전기 전도 층을 가지는 제2 글레이징 클래드(clad)는, 출원인 회사의 Planiclear와 같이 투명하거나 매우 투명한 유리이다(그리고 제1 글레이징은 착색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고 이하의 도면에 의해서 도시된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의 예로부터, 본 발명이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상세 내용 및 유리한 특성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도 1', 도 1a 및 도 8은 각각,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1bis, 도 1'bis, 도 2a 및 도 2b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정면 및 상세 개략도이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도 1bis, 도 1'bis, 도 2a 및 도 2b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정면 및 상세 개략도이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명료성을 위해서, 제시된 대상의 여러 요소가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재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분명하다. 간결함을 위해서, 글레이징은, 글레이징의 이러한 곡률 또는 이러한 곡률들(2차원적)에 적응하면서 곡선화된 것으로 제시된 적층에서, 휘어진 것으로 제시되지 않았고 가요성 요소도 아니다.
도 1은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의 내부로부터 본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윈드실드(100)는 투명 관찰 중앙 구역(내부 글레이징(1')의 중앙 부분 그에 따라 면(F4) 측면(14)) 및 외부 마스킹 주변 프레임(5), 하단 길이방향 연부(15a) 및 상단 길이방향 연부(15b), 좌측 측방향 길이방향 연부(15c) 및 우측 측방향 길이방향 연부(15d), 여기에서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투명 창 영역 내에 위치될 정도로 투명하지 않은) 아몰레드 화면(3)의 후방부를 마스킹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면(F2) 상의, 외부 마스킹 층(5)은 차량의 외부의 관찰로부터 아몰레드 화면(3)(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층 내의,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그 연결부)을 은폐한다. 에나멜(5)의 기능은 첫 번째로, 면(F1)으로부터 볼 때, 최종 적층형 글레이징을 바디워크 베이(bodywork bay)에 체결하는 접착 비드를 은폐하는 것이다.
아몰레드 화면은 수평 방식으로 상단 길이방향 연부(15b)의 중앙 위치 내에 배열되고 직사각형이다. 이는 (전부 또는 부분이), 통상적인 그리고 심지어 보조 운전자 측면 마스킹을 위한 역할을 하는, 에나멜의 폭(수직 치수)(L1)이 (예를 들어 좌측의) 인접 폭(L0)보다 넓은, 소위 확장된 구역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치수 또는 폭(W3)은 적어도 120 mm 그리고 심지어 250 mm 까지이다. 수직 치수 또는 높이(H3)는 적어도 75 mm이다.
여기에서 아몰레드 화면(3)은 확장된 주변 구역의 최하단 아래이다. 그 하단 연부(34)는 예를 들어 폭이 15 mm 이하인 에나멜 패턴을 가지는 선택적인 구역의 경계가 아니라 에나멜 편평 패치(51)(중실 구역)의 경계 상에 있거나 그에 근접한다. 그 상단 연부(34')는 (캐빈 내의 시야 구역의 한계까지), 전형적으로 적어도 15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70 mm만큼 높을 수 있다. 이는 윈드실드의 설계(크기, 경사, 제조자가 요구하는 투명 장면)에 따라 달라진다.
확장된 에나멜 구역(50)의 연부(53, 53')는 예를 들어 2 cm 이하 또는 심지어 1 또는 0.5 cm(중실형 구역의 한계)만큼 측방향 연부(33 및 33')를 넘어서 돌출될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어둡고 심지어 (측면 위로 돌출되는) 에나멜 배경(5)과 거의 구분될 수 없거나 전혀 구분될 수 없다. 그에 따라 에나멜 컬러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나멜은 불투명하고 어둡다.
아몰레드 화면은 여기에서 구역(A ZA)로 지칭되는 투명 중앙 구역(가장 중앙 및 2 부분, 사변형-유사) 또는 제한된 구역(B Zb)(점선)과 구분되는 주변 구역 내에 위치된다.
아몰레드 화면(3)의 조명시에, 차량의 후방의 중앙 시야 그리고 바람직하게 차량의 측방향 시야를 볼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 시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화 모드, 텔레비전 모드, 환경 데이터 또는 도로 또는 차량에 관한 데이터(지도, GPS 등)의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 화면의 방식의) 하나 이상의 화면 구역 상의 동시적인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운전자 측면 상단 길이방향 연부 상에 위치된다. 이는 더 높지만 중앙 구역 내에서보다 더 넓을 수 있고 (돌출 에나멜 구역으로부터 멀리) 중앙 구역 내로 돌출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시야 구역 내의 운전자 측면 하단 길이방향 연부 상에 위치된다. 이는 중앙 구역에서 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운전자 측면 하단 측방향 연부에 있고 시야 구역 내에서 가능한 한 낮게 아래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도 1'는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의 내부로부터 본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아몰레드 화면이 수직 방식(더 높은 H3 및 더 좁은 W3)으로 배열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100')는 도 1의 윈드실드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H3는 150 mm 내지 300 mm이고 W3은 60 mm 내지 120 mm이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로서,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의 이러한 중앙 구역 내에 배치된다:
- 예를 들어 또한 수직 방식으로 배열되고
- 예를 들어 수평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1a는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a)의 내부로부터 본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아몰레드 화면이, 예를 들어 상단 연부(34')가 중실형 구역(51)의 한계에 있는 상태로, (요구되는) 투명 구역 내에 배열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100a)는 도 1의 윈드실드와 상이하다.
도 1bis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bis)의 정면적 및 구체적 개략도이다.
단순함을 위해서, 외부 마스킹 층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는 (주변에 있고, 불투명하거나 약간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의 구역을 커버한다. 중실형-라인 요소는 투명성에 의해서 내부 글레이징(1')을 통해서 보여진다.
도 1에서와 같이, 아몰레드 화면(3)은 상단 길이방향 연부(15b)의 중앙 구역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다. 윈드실드(100bis)는, 상부 연부(15b)가 노치(11')를 나타내는, 외부 광물 유리 시트(1) 및 내부 광물 유리 시트(1')를 포함한다.
아몰레드 화면(3)은 외부 유리 시트(1)와 내부 유리 시트(1') 사이에 개재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폭이 적어도 0.5 mm인 좁은 측방향 주변부(33 및 33'), 하단(34), 상단(34') 밴드 내의 하나 이상의 기술적 연부(여기에서 4개)에 의해서 측면 가공된(flanked) 디스플레이 구역(32')을 나타낸다. 이는 아몰레드 화면(3)의 전기 연결 요소(4)를 통해서 공급을 받으며, 전기 연결 요소는:
-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 아몰레드 화면을 제2 글레이징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적층 중간층의 E2보다 얇은 두께(E4)의,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을 가지는 적층 중간층 내의 면(F2)과 면(F3) 사이의 가요성의 소위 연결 부분(40)을 포함하고,
- 가요성의 소위 외부 부분(45)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곡선형이고, 장착/해체의 시간에 접근할 수 있는 구역 내의 그 연결부(8)에 의해서 종료되는 부분(47)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구역(32')까지 멀리 연신되지 않고, 접착에 의해서 면(F4) 상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4)는 2560 x 1600 화소(아몰레드 화면)의 구성에 적합한 가요성 인쇄 회로(FPC)이다. FPC(4)는 또한 유리하게 아몰레드 화면(3)과 동일한 폭일 수 있고, 그에 따라 2개의 요소를 바람직하게 폴리비닐부티랄(글레이징 연부에 대해서 약간 후퇴된 PVB)의 적층 중간층 내로 삽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내부 유리(1')는 노치(11')를 포함한다. 노치(11')의 치수가 FPC(4)에 맞춰 구성된다:
- 노치(11')의 폭은 FPC(4)의 폭보다 크거나 그와 같고;
- 연부가 눈에 보이는 경우에 FPC(4)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노치(11')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FPC(4)의 두께 이상이다.
실제적으로, 노치(11')의 깊이는 1.5 mm 내지 2 mm이다. 노치(11')의 구역은 적층 중간층을 실질적으로 가지지 않는다.
윈드실드는 전자기 차폐 요소(70)를 더 포함하고:
- 전기 전도 금속 요소 또는 전도 투명 산화물, 전도 잉크, 전도 에나멜로 제조된 것, 면(F2) 상의 또는 중합체 가요성 막 상의 중단되지 않은 층 또는 그리드 또는 심지어 라인을 갖는다.
이는 화면(3)(및 FPC(4))보다 더 길고 더 넓으며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의 두께이다.
도 1'bis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100'bis)의 정면적 및 구체적 개략도이다. 단순함을 위해서, 외부 마스킹 층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는 아몰레드 화면(주변적, 불투명 약간 투명)의 구역을 커버한다. 중실형-라인 요소는 투명성에 의해서 내부 글레이징(1')을 통해서 보여진다.
이는 그 수직 배열에서 윈드실드(100bis)와 상이하다.
도 2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2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윈드실드(200)는:
- 차량의 외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1으로 지칭되는 제1 주 면(11) 및 F2로 지칭되는 제2의 대향 주 면(12)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두께(E1)가 2.5 mm 이하이고, 출원인의 회사로부터의 TSA 유리와 같은 2.1 mm 두께의 유리를 가지는, 특히 바람직하게 착색된 소다-석회-실리카 플로트 유리 시트인, 제1 글레이징(1)
- 폴리비닐부티랄(PVB)과 같은, 바람직하게 두께(E2)가 적어도 0.76 mm인, 면(F2) 측면 상의, 중합체 물질의 적층 중간층(2)
- 차량의 내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적층 중간층(2) 측면 상의 F3로 지칭되는 제3 주 면(13) 및 F4로 지칭되는 제4의 대향 주 면(14)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두께(E'1)가 2.2 mm 이하이고, 출원인의 회사로부터의 TSA 유리와 같은, 예를 들어 착색된, 1.6 mm 두께의 유리를 가지는, 특히 소다-석회-실리카 플로트 유리 시트인, 제2 글레이징(1')
-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3)으로 지칭되는,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면(F2)과 면(F3) 사이의 그리고 적층 중간층 내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으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E2 미만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의 두께(E3)의,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32')의 구역을 포함하고, 아몰레드 화면은 면(F3)을 향해서 배향된 전방 주 면(32) 및 면(F2)을 향해서 배향된 후방 면(31)을 가지며, 아몰레드 화면이 주변에 배열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
- 적층 중간층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전기 연결 요소(4)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OLED 화면(3)은 외부 유리 시트(1)와 내부 유리 시트(1') 사이에 개재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폭이 적어도 0.5 mm인(그리고 바람직하게 1 cm 미만인) 좁은 주변 밴드(34, 34') 내의 하나 이상의 기술적 연부(1, 2, 3, 또는 4개)에 의해서 측면 가공된(flanked) 디스플레이 구역(32')을 나타낸다. 아몰레드 화면(3)은 가요성을 가지고, 연계되고 적층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요소(4)에 의해서, 글레이징의 연부를 향해서 직접적으로 연장된다.
이는 아몰레드 화면(3)의 전기 연결 요소(4)를 통해서 공급을 받으며, 전기 연결 요소는:
-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 아몰레드 화면을 제2 글레이징(1')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적층 중간층의 E2보다 얇은 두께(E4)의,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42)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41)을 가지는 적층 중간층 내의 면(F2)과 면(F3) 사이의 가요성의 소위 연결 부분(40)을 포함하고,
- 소위 외부 부분(45)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곡선형이고, 장착/해체의 시간에 접근할 수 있는 구역 내의 그 연결부(8)에 의해서 종료되는 부분(47)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구역(32')까지 멀리 연신되지 않고, 접착에 의해서 면(F4) 상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4)는 2560 x 1600 화소(아몰레드 화면)의 구성에 적합한 가요성 인쇄 회로(FPC)이다. FPC(4)는 유리하게 아몰레드 화면(3)과 동일한 폭일 수 있고, 그에 따라 2개의 요소를 (글레이징 연부에 대해서 약간 후퇴되게) 적층 중간층 내로 삽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내부 유리(1')는 노치(11')를 포함한다. 노치(11')의 치수가 FPC(4)에 맞춰 구성된다:
- 노치(11')의 폭은 FPC(4)의 폭보다 크거나 그와 같고;
- 연부가 눈에 보이는 경우에 FPC(4)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노치(11')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FPC(4)의 두께 이상이다.
실제적으로, 노치(11')의 깊이는 1.5 mm 내지 2 mm이다. 노치(11')의 구역은 적층 중간층을 실질적으로 가지지 않는다.
아몰레드 화면(3)은 예를 들어 두께(E3)를 갖는다. 연결 부분(40)이 얇은 두께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두께(E4)를 E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까지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것이 임의의 재료로 선택적으로 커버되거나 덮인다. 만약 E4가 0.4 mm와 같다면, E3는 0.38 내지 0.40 mm이다. 0.38 mm의 중앙 플라이(22)가 예를 들어 적층을 위해서 이용되고, 아몰레드 화면 및 연결 부분 및 0.17 mm 또는 0.38 mm의 2개의 외부 플라이(22, 23)를 수용하기 위한 예약부(reserve)를 갖는다. 외부 플라이 중 하나가 예를 들어 0.76 mm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3개 초과의 플라이(PET 등과 같은 중합체 막의 삽입의 경우) 또는 추가적인 기계적 보호를 가질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이 0.15 mm 이하 또는 심지어 0.2 mm 이하의 두께일 때, 조립 중에 중앙 플라이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 글레이징(외부)(1)은, 바람직하게 흑색 에나멜의, 불투명한 외부 마스킹 층(5)을 면(F2) 상에 포함하고, 그러한 마스킹 층은,
- 윈드실드의 중심을 향한 연부(51)
- 및 예를 들어 립(15)으로부터 3 mm 이하 또는 1 mm의 거리에서 글레이징의 립 측면(15) 상의 연부(52)를 갖는다.
이는 트림(7")의 접착제 비드(7')뿐만 아니라 아몰레드 화면(3)(불투명 또는 약간 투명), 연결 부분(40) 및 FPC의 오프-글레이징 부분(45) 및 부분(47) 그리고 그 연결부(8)를 은폐한다.
외부 마스킹 층(5)은 바람직하게, 패턴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중실형 구역(편평한 패치)이다. 연부(51)를 넘어서, 이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된) 패턴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15 mm 이하 및 심지어 5 mm 그리고 립(15)이 하부 길이방향 연부인 경우에 심지어 더 넓은 폭에 걸쳐, 예를 들어 그라데이션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글레이징(1')(내부)은, 바람직하게 흑색 에나멜의, 불투명한, 면(F4)(또는 변형예로서 F3) 상에서 내부 마스킹 층(6)을 면(F4) 상에 포함하고, 이는
- 윈드실드의 중심을 향한 연부(61)
- 노치 측면 상의 연부(65)를 갖는다.
이러한 내부 마스킹 층(6)은, 특히 (트림 또는 선택적인 케이싱을 가지는 구역으로부터 멀리) 시야 구역 내에 있는 연결 부분(40)의 전체 표면을 내부로부터 마스킹한다. 이는 연결 부분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마스킹 층은 또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34, 34')를 내부로부터 마스킹한다. 이는, 적층 결함을 마스킹하기 위해서, 기술적 연부의 둘레 위에서 적층 중간층에 대향되어 예를 들어 10 mm 이하만큼 돌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내부 마스킹 층(6)이 아몰레드 화면(3)의 둘레 상에 위치될 때, 그에 따라 개구부(63)가 형성되어(마스킹 또는 층의 사후 제조) 디스플레이 구역(32')을 노출시킨다.
그 폭이 아몰레드 화면의(및/또는 연결 부분의) 양 측면 상에서 외부 마스킹 층(5)의 폭이 되도록(거의 같도록), 이는 또한 기술적 연부를 넘어서 더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6)은 바람직하게, 패턴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중실형 구역(편평한 패치)이다. 연부(61)를 넘어서, 이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된) 패턴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15 mm 이하 및 심지어 5 mm 그리고 노치(11')의 립이 하부 길이방향 연부인 경우에 심지어 더 넓은 폭에 걸쳐, 예를 들어 그라데이션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윈드실드는 후방에서 전자기 차폐 요소(70)를 더 포함하고:
- 전기 전도 금속 요소 또는 전도 투명 산화물, 전도 잉크, 전도 에나멜로 제조된 것, 또는 PET와 같은 중합체 가요성 막 상의 중단되지 않은 층 또는 그리드 또는 심지어 라인을 갖는다.
이러한 요소(70)는 화면(3)(연부(71)를 통해서 돌출된다) 및 FPC(4) 보다 더 길고 더 넓으며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의 두께이다.
이는 PVB 중간층(2) 내부에 있다.
도 2a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정면적 및 구체적 개략도이다.
이는, 여기에서, 중앙 또는 비-중앙 위치에서,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수평으로 배열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33, 33', 34, 34')의 양 측면 상의 내부 마스킹 층(6)의 가능한 범위를 도시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3 mm만큼 돌출된 측방향 연부(64, 및 64') 및
- 바람직하게 적어도 3 mm 만큼 돌출되는 하단 연부(61).
(화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전자기 차폐 요소(70)가 또한 여기에서 마스킹된다.
내부 마스킹 층(6)은, 대안적으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주어진 폭의 스트립이고,
- 상부 또는 하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른 스트립, 수평으로 배열된 아몰레드 화면은 운전자의 측면 및/또는 보조 운전자 측면 상에 위치되고
- 좌측 또는 우측 측방향 연부를 따른 스트립, 운전자의 측면 및/또는 보조 운전자 측면 상의 수직으로 배열된 아몰레드 화면.
도 2b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200b)의 정면적 및 구체적 개략도이다.
이는 그 수직 배열에서 윈드실드(200a)와 상이하다. 차폐(70)의 크기가 적응된다.
도 3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3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첫 번째로, 내부 마스킹 층이 면(F4) 대신에 면(F3) 상에 있다는 점에서, 윈드실드(300)는 윈드실드(200)와 상이하다.
전방(70')에서 전자기 차폐 요소(7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이는 윈드실드(200)와 상이하고:
- 전기 전도 금속 요소 또는 전도 투명 산화물, 전도 잉크, 전도 에나멜로 제조된 것, PET와 같은 중합체 가요성 막 상의 중단되지 않은 층 또는 그리드 또는 라인을 갖는다.
이러한 요소(70)는 화면(3)(연부(71)를 통해서 돌출된다) 및 FPC(4))보다 더 길고 더 넓으며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의 두께이다.
이는 PVB 중간층(2) 내부에 있다.
도 4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4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이는, 내부 마스킹 층(6)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불투명한(불투명화된) 막(6')으로 대체될 수 있고, 그러한 불투명한 막은, 저장의 관점에서 미리 장착되자 마자, 아몰레드 화면(3)의 그리고 FPC(4)의 전체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이러한 미리 장착된 조립체에 부착된 막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윈드실드의 조립 전에 미리 절단된 바람직하지 못한 부분이 그러한 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윈드실드(200)와 상이하다.
불투명한 막(6')은:
- 불투명하거나 약간 투명한, 그리고 PVB(22)(중앙 부분)과 아몰레드 화면(3) 사이의 접합부의, 불규칙부 및 결함을 포함할 수 있는, FPC(40)의 마스킹,
- 또한, 윈드실드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아몰레드 화면(3)의 기술적 연부(34)의 마스킹(61', 62')을 구성한다.
불투명한 막(6')은 또한 아몰레드 화면을 커버하는 투명 중합체 재료의 불투명화된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불투명한 막(6')은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FPC를 커버하는 중합체 재료의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면(F3)은 전기 전도 층(9) 그리고 선택적으로 전기 전도 층에 대한 전류 공급부(9')를 구비하고; 이러한 층은 태양 복사선을 반사하는, 은 또는 기타의, 스택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그 전류 공급부(9')를 구비하는 가열 코팅/스택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으로 직접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도 5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5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미적인 이유로, 전기 전도 층이, 적어도, 디스플레이 구역(32')에 대향되는 구역(91) 내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전의 윈드실드(400)와 상이하다.
또한, 전자기 차폐 요소(70)는 에나멜(5) 상의 전도 에나멜이다.
도 6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6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이는, 아몰레드 화면(3)이, 뒤쪽에 외부 마스킹 층(6)을 가지지 않는, 그 투명 시야 구역 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200)와 상이하다.
그러나, 외부 에나멜 층(5, 51)에 의한 기술적 연부(34, 34')의 (그리고 심지어 PVB(22)의) 외부의 마스킹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나멜 층(5)은 아몰레드 화면 구역에 대면되는 개구부(53)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에나멜 층(6, 61)에 의한 기술적 연부(34, 34')의 (그리고 심지어 PVB(22)의) 내부의 마스킹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나멜 층(6)은 아몰레드 화면 구역에 대면되는 개구부(63)를 가질 수 있다.
전자기 차폐 요소(70)는 여기에서 FPC(4)와 (그리고 심지어 아몰레드 화면과) 통합된다.
도 7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700)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이는, 아몰레드 화면 상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투명 막(6') 및 전방 측면 상의 FPC(40)가 내부 마스킹 층(6)을 대체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600)와 상이하다.
연부(51)의 에나멜에 더하여 또는 그 대체로서, 아몰레드 화면 상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투명 막(6") 및 후방 측면 상의 FPC(40)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전자기 차폐 요소(70)는 여기에서 투명하다(ITO의 전도 요소, 은 처리된 층, 등).
도 8은,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또는 심지어 매우 투명한 (후방 마스킹이 없는) 아몰레드 화면(3)을 위한 가능한 주변 구역을 도시하고 매우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3)에 대한 중앙 투명 구역을 도시하는,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정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은 운전자(또는 보조 운전자)의 그리고 구역(A ZA)의 또는 제한된 구역(B ZB)의 시야 구역의 한계를 규정하는 거리를 보여준다.
이하의 거리의 쌍이 규정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F)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20 mm의, 상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F') 사이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3')은 전술한 한계들(F 및 F') 사이에 위치될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역 내의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40 mm의, 윈드실드의 하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하부 한계(F1)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20 mm의, 하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하부 한계(F'1) 사이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3a)은 전술한 한계들(F1 및 F'1)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역 내의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측방향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측방향 한계(F2) 사이의 h4 거리, 및 적어도 80 mm의, 측방향 연부와 운전자의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측방향 한계(F'2) 사이의 h5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3b)은 전술한 한계들(F2 및 F'2)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역 내의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4 거리 및 h5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F3)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80 mm의, 상부 연부와 중앙 부분 내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F'3) 사이의 Ha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전술한 한계들(F3 및 F'3)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역 내의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a 거리.
에나멜 한계(L1, L1a, L1b)는 각각 h2, h'2, h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매우 투명한 경우에, 후방부(덜 넓은 에나멜 스트립)으로부터 마스킹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단 중앙 구역의 폭(wa)은 280 mm 이하이고, 중앙 구역의 폭(w'a)은 (h2의 레벨에서) 300 mm이다.
직사각형 형상의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는:
- 1350 내지 1550 mm의 폭(수평 치수)(Lp)
- 950 내지 1050 mm의 높이(수직 치수)(Hp)이다.
예로서, h1= 70 mm; h2=195 mm; Ha=270 mm; wa=280 mm; w'a=300 mm; h6=75 mm; h'6=75 mm, h'=85 mm; h=125 mm를 갖는다.
Claims (20)
-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100 내지 900a) 바람직하게 도로 차량 윈드실드로서:
- 특히 차량의 외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1으로 지칭되는 제1 주 면(11), 및 F2로 지칭되는 제2 대향 주 면(12)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2.5 mm 이하의 두께(E1)의, 제1 글레이징(1),
- 바람직하게 두께(E2)가 2.2 mm 이하인, 면(F2) 측면 상의, 중합체 물질의 적층 중간층(2),
- 적층 중간층(2) 측면 상의 F3로 지칭되는 제3 주 면(13) 및, 특히 차량의 내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4로 지칭되는 제4 대향 주 면(14)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2.2 mm 이하의 두께(E'1)의, 제2 글레이징(1')으로서, 제1 및 제2 글레이징 중 적어도 하나가 광물 유리로 제조되는, 제2 글레이징(1'),
- 아몰레드 화면(3)으로 지칭되는,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면(F2)과 면(F3) 사이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으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32')의 구역을 포함하고, 두께(E3)가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며, 아몰레드 화면은 면(F3)을 향해서 배향된 전방 주 면(32) 및 면(F2)을 향해서 배향된 후방 면(31)을 가지고, 아몰레드 화면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주변에 배열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
-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42)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41)을 가지는, 면(F2)과 면(F3) 사이의 가요성의 소위 연결 부분(40)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의 전기 연결 요소(4)로서, 가요성 연결 부분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두께(E4)가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며,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 아몰레드 화면을 제2 글레이징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는 소위 외부 부분(45)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기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은 가요성을 가지고, 적층형 글레이징이 면(F2)과 후방면 사이에서 및/또는 면(F2)과 후방 표면 사이에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100 내지 900a). - 제1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은 불투명하거나 10% 미만 및 심지어 5% 미만의 루미너스 투과(LT)를 가지고 투명하고,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는 아몰레드 화면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및/또는 연결 부분은 불투명하거나 10% 미만 및 심지어 5% 미만의 루미너스 투과(LT)를 가지고 투명하고,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는 연결 부분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또는 제1 전자기 차폐 요소 및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구역 내에서, 적층형 글레이징의 루미너스 투과는 적어도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이, 면(F2)과 아몰레드 화면의 후방 면 사이에서, 소위 외부 주변 마스킹 층(5)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연결 부분은 또한 선택적으로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또는 아몰레드 화면은 투명 창 영역 내에 있고, 연결 부분이 면(F2)과 연결 부분 사이에서, 특히 면(F2) 상에서,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마스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는 전기 전도 와이어를 포함하거나, 전기 전도 요소, 특히 바람직하게 미크론 이하의 두께의 가요성 막 상의 전기 전도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투명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가 아몰레드 화면 및/또는 연결 부분의 연부를 넘어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가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또는 면(F2) 상에서, 특히 면(F2) 상의 에나멜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 상의 전도 에나멜 층 상에 적층되고, 아몰레드 화면 및/또는 연결 부분을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전자기 차폐 요소는 아몰레드 화면 상에 있거나 심지어 그 내부에 통합되고 및/또는 연결 부분 상에 있거나 심지어 그 내부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이 투명하고 투명 창 영역 내에 위치되고,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아몰레드 화면의 후방 면과 면(F2) 사이에서 소위 외부 마스킹 층(5)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및/또는 전기 연결 요소가 후방 면과 면(F2) 사이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5)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마스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길이방향 또는 측방향 연부의 주변에서, 복수의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고, 그 각각은 제1의 지정된 전자기 차폐 요소 또는 제1 공통 전자기 차폐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의 전방 면과 면(F3) 또는 심지어 면(F4) 사이에서 투명한 또는 연결 부분의 전방 표면과 면(F3) 또는 심지어 면(F4) 사이에서 특히 투명한, 제2 전자기 차폐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은, 투명 중앙 시야 구역 특히 표준에 의해서 규정된 제한된 구역(B)으로 지칭되는 구역의 연부까지,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에서 운전자에 의해서 보여질 수 있는 전체 주변 구역 이하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로 차량 윈드실드를 형성하고, 이하의 거리 또는 거리들:
-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상부 한계 및 심지어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위에 있는, h2 거리
- 및/또는 윈드실드의 하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하부 한계 사이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하부 한계 및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아래에 있는, h'2 거리
- 및/또는 윈드실드의 측방향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측방향 한계 사이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mm의, h5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측방향 연부와 측방향 한계 및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사이에 있는, h5 거리,
- 및/또는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중앙 부분 내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180 mm의, Ha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연부와 상부 한계 및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사이에 있는, Ha 거리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로 차량 윈드실드를 형성하고, 이하의 거리의 쌍: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F)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20 mm의, 상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F') 사이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한계들(F 및 F')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2 거리
- 및/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40 mm의, 윈드실드의 하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하부 한계(F1)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20 mm의, 하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하부 한계(F'1) 사이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한계들(F1 및 F'1)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2 거리
- 및/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측방향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측방향 한계(F2) 사이의 h4 거리, 및 적어도 80 mm의, 측방향 연부와 운전자의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측방향 한계(F'2) 사이의 h5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한계들(F2 및 F'2)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4 거리 및 h5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F3)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80 mm의, 상부 연부와 중앙 부분 내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F'3) 사이의 Ha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한계들(F3 및 F'3)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a 거리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F2)과 면(F4) 사이에, 특히 면(F3) 상에 또는 면(F4) 상에, 바람직하게 투명한 전기 전도 층 또는 바람직하게 투명한 또는 보이지 않는 전기 전도 와이어의 세트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역(32')에 대향하여, 전기 전도 층 또는 전기 전도 와이어의 세트가, 특히 디스플레이 구역 이상 그리고 심지어 아몰레드 화면 초과의 크기의 개구부에 의해서,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4항에 있어서,
특히 개구부를 가지는 전기 전도 층이 면(F3) 상에 위치되고, 또는 면(F3) 측면 상의 가요성 투명 중합체 막 상에 위치되고, 태양 제어 및/또는 가열 층이고, 그리고 면(F3)의 적어도 50% 및 심지어 적어도 70%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E2와 같은 미크론 이하의 두께(E4)의 그리고 제2 글레이징의 립을 넘어선 E4 미만의 두께(E'4)의, 전기 연결 요소가 곡선형이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역까지 연신되지 않고, 면(F4) 상에 대항하여 위치되거나 접착에 의해서 그에 고정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연결 요소(4)의 폭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연부까지 아몰레드 화면의 폭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글레이징은, 면(F3 또는 F4) 상에서,
- 구분된 길이방향 연부 상에 위치되거나 그에 인접하고 적층 중간층과 아몰레드 화면(또는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 사이의 접합 구역을 심지어 마스킹하기 위한, 아몰레드 화면 및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
- 및/또는 구분된 길이방향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인접되는, 아몰레드 화면 및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전기 연결 요소 또는 요소들을, 내부로부터 마스킹할 수 있는 소위 내부 마스킹 층(6)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이, 특히 유전체 보호 층 아래의 또는 유전체 보호 층, 특히 수지의 불투명 구역인, 아몰레드 화면 상의 소위 내부 마스킹 요소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 및/또는 전기 연결 요소 또는 요소들은, 특히 유전체 보호 층 아래의 또는 유전체 보호 층, 특히 수지의 불투명 영역인, 내부 마스킹 요소 또는 다른 인접한 것에 의해서 마스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3) 및/또는 연결 부분이 0.8 mm 이하, 바람직하게 0.7 mm 이하, 및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0.6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휘어진 제1 및 제2 글레이징 그리고 심지어 PVB 적층 중간층을 가지는 자동차, 트럭과 같은 도로 차량의 윈드실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563480 | 2015-12-30 | ||
FR1563480A FR3046376B1 (fr) | 2015-12-30 | 2015-12-30 |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
PCT/FR2016/053637 WO2017115040A1 (fr) | 2015-12-30 | 2016-12-22 |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fexible et blindage electromagnetiqu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9773A true KR20180099773A (ko) | 2018-09-05 |
Family
ID=5632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1479A Withdrawn KR20180099773A (ko) | 2015-12-30 | 2016-12-22 |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 및 전자기 차폐를 가지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486395B2 (ko) |
EP (1) | EP3397482B1 (ko) |
KR (1) | KR20180099773A (ko) |
CN (1) | CN107405882B (ko) |
BR (1) | BR112018013326A2 (ko) |
FR (1) | FR3046376B1 (ko) |
MX (1) | MX2018008039A (ko) |
WO (1) | WO201711504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46376B1 (fr) * | 2015-12-30 | 2018-01-19 | Saint-Gobain Glass France |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
FR3077219B1 (fr) * | 2018-01-31 | 2020-06-26 | Saint-Gobain Glass France | Vitrage feuillete a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et fabrication |
FR3077229A1 (fr) * | 2018-01-31 | 2019-08-02 | Saint-Gobain Glass France | Vitrage feuillete a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et fabrication |
CN109862639B (zh) * | 2019-03-26 | 2021-12-07 |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 一种具有电加热和屏蔽功能的玻璃 |
JP2022123158A (ja) * | 2019-07-01 | 2022-08-24 | Agc株式会社 | ガラス |
US11634066B2 (en) * | 2019-08-30 | 2023-04-25 | Pittsburgh Glass Works, Llc | Protective housing for automotive glazings and other applications |
CN111605495B (zh) * | 2020-05-20 | 2025-03-21 | 江苏铁锚玻璃股份有限公司 | 基于显示功能侧窗玻璃上集成便于维护的转接盒结构 |
CN114144242B (zh) * | 2020-06-16 | 2023-10-03 | 法国圣戈班玻璃厂 | 复合板 |
US11394429B2 (en) | 2020-12-02 | 2022-07-19 | Dupont Electronics, Inc. | Panel having integrated antennas for enhancing range of telecommunication signal transmissions inside buildings |
IT202100020357A1 (it) * | 2021-07-29 | 2023-01-29 | Emanuele Grosso | Apparato auto-riscaldante per il condizionamento termico, igrostatico e luminoso di un ambiente circoscritto.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32431C2 (de) * | 1995-09-02 | 1998-07-02 | Flachglas Automotive Gmbh | Antennenscheibe in zumindest einer Fensteröffnung einer metallischen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insbesondere Personenkraftfahrzeugs |
EP0997266A1 (en) * | 1998-10-30 | 2000-05-03 | SOCIETA' ITALIANA VETRO - SIV - S.p.A. | Glazing panels |
US6559419B1 (en) * | 2001-08-03 | 2003-05-06 |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 Multi-zone arrangement for heatable vehicle window |
FR2844364B1 (fr) | 2002-09-11 | 2004-12-17 | Saint Gobain | Substrat diffusant |
DE602005003757T2 (de) * | 2004-11-01 | 2008-12-11 | Asahi Glass Co., Ltd. | Laminiertes Glas mit eingebetteter Antenn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JP2006240945A (ja) * | 2005-03-04 | 2006-09-14 | Nippon Sheet Glass Co Ltd | パネル |
US7847745B2 (en) * | 2007-11-20 | 2010-12-07 |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 Windshield antenna and/or vehicle incorporating the same |
FR2945985B1 (fr) | 2009-05-27 | 2011-05-20 | Saint Gobain | Vitrage a faible niveau de double image. |
US8469281B2 (en) * | 2010-09-07 | 2013-06-25 | Identive Group, Inc. | RFID label with shielding element |
JP2012144217A (ja) * | 2011-01-14 | 2012-08-02 | Asahi Glass Co Ltd | 自動車用窓ガラス |
CN202150459U (zh) * | 2011-08-16 | 2012-02-2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
CN202503691U (zh) | 2012-01-20 | 2012-10-24 | 法国圣戈班玻璃厂 | 发光玻璃及具有该玻璃的车辆和建筑 |
CN203093951U (zh) * | 2013-01-25 | 2013-07-31 | 陈勇君 | 多点触控智能电脑车窗 |
EP3047989B2 (en) * | 2013-09-18 | 2023-12-27 | AGC Inc. | Laminated glass and vehicular display device |
ES2586254T3 (es) * | 2014-06-13 | 2020-04-14 | Isoclima Spa | Cristal de ventana |
CN104163134B (zh) * | 2014-07-22 | 2016-08-2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应用汽车前风挡实现实景模拟的系统 |
FR3046382A1 (fr) * | 2015-12-30 | 2017-07-07 | Saint Gobain | Procede de fabrication d'un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dans lequel est incorpore un ecran oled |
FR3046374B1 (fr) * | 2015-12-30 | 2018-01-19 | Saint-Gobain Glass France |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
FR3046375A1 (fr) * | 2015-12-30 | 2017-07-07 | Saint Gobain |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
FR3046376B1 (fr) * | 2015-12-30 | 2018-01-19 | Saint-Gobain Glass France |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
FR3046377B1 (fr) * | 2015-12-31 | 2021-09-03 | Saint Gobain |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
FR3046379B1 (fr) * | 2015-12-31 | 2018-01-19 | Saint-Gobain Glass France |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
FR3046378B1 (fr) * | 2015-12-31 | 2018-01-19 | Saint-Gobain Glass France |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
-
2015
- 2015-12-30 FR FR1563480A patent/FR3046376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12-22 WO PCT/FR2016/053637 patent/WO2017115040A1/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2-22 BR BR112018013326-4A patent/BR112018013326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6-12-22 EP EP16831824.4A patent/EP3397482B1/fr active Active
- 2016-12-22 MX MX2018008039A patent/MX2018008039A/es unknown
- 2016-12-22 US US16/067,378 patent/US10486395B2/en active Active
- 2016-12-22 CN CN201680004792.7A patent/CN107405882B/zh active Active
- 2016-12-22 KR KR1020187021479A patent/KR20180099773A/ko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009503A1 (en) | 2019-01-10 |
MX2018008039A (es) | 2018-11-12 |
US10486395B2 (en) | 2019-11-26 |
EP3397482B1 (fr) | 2020-07-01 |
FR3046376B1 (fr) | 2018-01-19 |
WO2017115040A1 (fr) | 2017-07-06 |
EP3397482A1 (fr) | 2018-11-07 |
CN107405882B (zh) | 2020-07-07 |
CN107405882A (zh) | 2017-11-28 |
FR3046376A1 (fr) | 2017-07-07 |
BR112018013326A2 (pt) | 2018-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00054A (ko) |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 |
RU2722551C2 (ru) |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amoled-дисплеем | |
CN107148346B (zh) | 具有amoled屏幕的层压车窗玻璃 | |
KR20180099773A (ko) |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 및 전자기 차폐를 가지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 |
KR20180100059A (ko) |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 |
KR20180100053A (ko) |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 |
US10647092B2 (en) | Vehicle luminous glazing, vehicle incorporating it | |
KR102744744B1 (ko) | 내부 루미너스 사인을 가지는 차량의 적층형 방풍창 | |
US11027528B2 (en) | Laminated vehicle windshield with internal luminous sign(s) | |
JP6948324B2 (ja) | 内部発光サインを有する積層型乗物風防 | |
JP6948323B2 (ja) | 内部発光サインを有する積層型乗物風防 | |
US20220152988A1 (en) | Vehicle composite pane comprising a heatable inlay element | |
JP2022505853A (ja) | セグメントにおいて切り換えることができ、かつ電気的に制御可能な光学特性を有する機能素子を有する、複合ペイ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