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62A - Sunroof switch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unroof switch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6162A KR20180096162A KR1020170022479A KR20170022479A KR20180096162A KR 20180096162 A KR20180096162 A KR 20180096162A KR 1020170022479 A KR1020170022479 A KR 1020170022479A KR 20170022479 A KR20170022479 A KR 20170022479A KR 20180096162 A KR20180096162 A KR 201800961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block
- block
- moving
- tact switch
- plun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차량용 선루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에 있어서, 차량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접점부가 마련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눌림 동작으로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선루프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택트 스위치부와, 하우징 내부에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블록과, 선루프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무빙 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 접접부의 복수의 고정 접점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무빙 블록에 결합되는 컨텍터와, 일측이 노브와 연결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플런저는, 무빙 블록과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무빙 블록과 결합되되, 택트 스위치부에 가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무빙 블록에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A sunroof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nroof switch unit for a vehicle installed in a vehicle for operating a sunroof for a vehicle. The unit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the vehicle, A circuit board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nd provided with an operation signal for moving the sunroof panel of the vehicle sunroof in a pressing operation; A moving block provided horizontally movably in parallel with a virtu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tact switch portion inside the housing; and a moving block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so as to generate an operating signal for moving the sunroof panel,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 part of the plurality of fixed contacts of the fixed contact portion And a plung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knob. The plunger is coupled with the moving block so as to move horizontally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and is supported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ct switch portion to the moving block so as to apply a pressing force to the tact switch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수를 줄여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roof switch uni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nroof switch unit for a vehicle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일반적으로 차량의 선루프는 흡연 또는 장거리 여행 시 차량 실내의 환기성을 제공함은 물론, 차량내 공간의 협소함을 덜어주며, 차량 실내의 개방감을 확보해주는 용도로 최근 차량에 많이 장착되고 있다.Generally, the sunroof of a vehicle is widely installed in vehicles in recent years to provide ventilation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hen smoking or traveling for a long distance, to reduce the space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o secure the open feeling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이러한 선루프는 차량의 루프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루프 패널에 가동형으로 설치되는 선루프 패널을 포함한다. 선루프는 선루프 패널을 틸트 작동시키거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루프 패널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The sunroof includes a sunroof panel movably mounted on the roof panel to open and close an opening formed in the roof panel of the vehicle. The sunroof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opening of the roof panel in such a manner that the sunroof panel is tilted or linear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선루프는 그 개폐 방식에 따라 슬라이드 형(Slide Type)과 틸트업 형(Tilt up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슬라이드 형은 선루프의 선루프 패널이 루프 패널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루프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형태이다. 그리고 틸트업 형은 선루프 패널의 후단이 승강하여 루프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형태이다. 이 밖에, 선루프 패널이 틸팅 및 슬라이딩 가능한 것도 출시되고 있다.The sunroof can be classified into a slide type and a tilt up typ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reof. In the slide type, the sunroof panel of the sunroof is slid along the roof panel to open and close the roof opening. In the tilt-up type, the rear end of the sunroof panel is raised and lowered to open and close the loop opening. In addition, a sun roof panel capable of being tilted and slid is being released.
이러한 선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선루프 스위치는 선루프 패널과 인접한 위치의 루프 패널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에 의한 선루프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선루프 패널은 열림, 닫힘, 틸트 업, 틸트 다운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sunroof switch for operating the sunroof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roof panel adjacent to the sunroof pan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unroof switch by the user, the sunroof panel performs operations such as opening, closing, tilting up, and tilting down.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conventional sunroof switch for a vehicle.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선루프 스위치는, 루프 패널에 장착되고 중앙에 홈이 형성된 하우징(12)과, 하우징(12)에 가동형으로 설치되는 노브(14)와, 노브(14)의 조작에 따라 선루프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PCB기판(16)을 포함한다. 노브(14)는 회전축(1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우징(12)에 설치된다. 노브(14) 그 조작에 따라 PCB기판(16)에 구비되는 접점들 간의 연결 상태가 변하여 그에 따른 전기 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PCB기판(16)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선루프 패널이 열림, 닫힘, 틸트 업, 틸트 다운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1, the conventional sunroof switch includes a
그런데 종래의 선루프 스위치는 시소 타입의 레버와 다중 접점으로 구성되는 복잡한 매커니즘으로 인해 조립 작업성 및 성능이 떨어지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unroof switch has a complicated mechanism composed of a lever of a seesaw type and multiple contact points,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ering assembling workability and performance and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 부품의 수를 줄이고 사용자 조작을 위한 레버의 운동을 단순화시켜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simplifying the movement of a lever for user operation to improve assembling workability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차량용 선루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하우징;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접점부가 마련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눌림 동작으로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선루프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택트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블록; 상기 선루프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무빙 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접부의 복수의 고정 접점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결합되는 컨텍터; 및 일측이 상기 노브와 연결되고, 상기 무빙 블록과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과 결합되되, 상기 택트 스위치부에 가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installed in a vehicle for operating a sunroof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coupled to the vehicle; A knob movably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so as to be operable by a user; A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fixed contac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ixed contacts; A tact switch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nd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moving the sunroof panel of the vehicle sunroof by a pressing operation; A moving block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horizontally movable in parallel with a virtu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tact switch portion; A contactor coupled to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 part of a plurality of fixed contacts of the stationary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for moving the sunroof panel; And a movable block coupled to the moving block so that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knob and horizontally moved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so that the moving block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moving block in a pressing operation direction of the tact switch portion And a plunger supported to be rotatable.
상기 택트 스위치부는, 상기 플런저의 가압력을 받아 움직이는 푸시 버튼과, 상기 회로기판에 마련되는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과, 상기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 버튼에 구비되는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이 상기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푸시 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지지 러버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지지 러버를 지지하는 푸시 버튼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tact switch unit includes a push button for moving by receiving a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a tact switch fixed contact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 tact switch movable contact provided on the push button to be connected to the tact switch fixed contact, And a button supporting rub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button so that the tact switch movable contact is spaced apart from the tact switch fixed contact. The vehicle sunroof switch unit includes: And a push button support body for supporting the push button support.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푸시 버튼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는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홀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푸시 버튼 지지체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홀에 삽입되는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A push button support fixing hole is formed in on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push button support member and a push button support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other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push button support member, A support fix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상기 플런저에 의해 밀려 상기 택트 스위치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와 상기 택트 스위치부 사이에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push block disposed between the plunger and the tact switch unit so as to be movable in a pressing operation direction of the tact switch unit so that the tact switch unit can be pushed by the plunger to press the tact switch unit; .
상기 푸시 블록은 상기 택트 스위치부와 접촉하는 가압면의 넓이가 상기 플런저와 접촉하는 피가압면의 넓이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push block preferably has a width of a pressing surface contacting the tact switch portion wider than a width of a pressed surface contacting the plung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상기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 블록을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며, 상기 플런저의 끝단이 통과할 수 있는 플런저 통과홀을 갖는 푸시 블록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unroof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sh block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to support the push block movably in a direction of a push operation of the tact switch portion, the pushrod having a plunger passage hole through which an end of the plunger can pass, And a block case.
상기 플런저 통과홀은, 상기 무빙 블록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종 슬롯과, 상기 종 슬롯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횡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종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택트 스위치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종 가압리브와, 상기 횡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택트 스위치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종 가압리브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횡 가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lunger passage hole includes a longitudinal slot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lock and a transverse slot perpendicularly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slot, A vertical pressing rib which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tact switch portion and a vertical pressing rib which vertically crosses the longitudinal pressing rib to be in contact with the tact switch portion through the transverse slot, Ribs.
상기 횡 슬롯의 너비(Whs)와 상기 횡 가압리브의 너비(Whr)의 비(Rh=Whs/Whr)는 상기 종 슬롯의 너비(Wls)와 상기 종 가압리브의 너비(Wlr)의 비(Rl=Wls/Wlr) 이상인 것(Rh≥Rl)이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transverse slot Whs to the width of the transverse pressing rib Rh is equal to the ratio of the width Wls of the longitudinal slot to the width Wlr of the longitudinal compression rib Rl = Wls / Wlr) (Rh? Rl) is preferab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수평 이동한 상기 무빙 블록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무빙 블록 복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 복귀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푸시 블록 케이스의 플런저 통과홀과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무비 블록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vehicle sunroof switch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block returning unit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block so that the moving block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moved back,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ie block so as to stop at a position facing the plunger passage hole of the case.
상기 무빙 블록 복귀부는, 상기 무빙 블록의 외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무빙 블록에 결합되는 슬립부재와, 상기 무빙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슬립부재에 대해 상기 무빙 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무빙 블록의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구비되는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는, 원위치에서 제 1 이동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 상기 무빙 블록을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립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슬립부재를 상기 무빙 블록이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립되도록 가이드하는 제 1 경사 가이드면과, 원위치에서 제 2 이동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 상기 무빙 블록을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립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슬립부재를 상기 무빙 블록이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립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경사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경사 가이드면의 중간에는 기울기가 변하는 제 1 변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경사 가이드면의 중간에는 기울기가 변하는 제 2 변곡부가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moving block returning portion includes a slip member coupled to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movable block coupled to the moving block, And a moving block return guide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wherein the moving block return guide portion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first moving direction A first inclined guide surface contacting the slip member for guiding the slip member to slip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block is retracted to move the horizontally moved moving block in a retracting direction, Moving the horizontally moved moving block And a second inclined guide surface contacting the slip member to guide the slip member to slip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block comes back in order to move the slip member in the first sloped guide surface, And a second bent portion whose slope is changed may b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inclined guide surface.
상기 하우징과 상기 푸시 블록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케이스 고정 후크가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푸시 블록 케이스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고정 후크가 삽입되는 케이스 고정 후크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케이스 고정 후크가 통과할 수 있는 후크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One of the housing and the push block case is provided with a case fixing hook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case fixing hook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case fixing hook is inserted so that the housing and the push block case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a hook hole through which the case fixing hook can pass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board.
상기 택트 스위치부는, 상기 플런저의 가압력을 받아 움직이는 푸시 버튼과, 상기 회로기판에 마련되는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과, 상기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 버튼에 구비되는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이 상기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푸시 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지지 러버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상기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 블록을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플런저의 끝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면에 형성되는 플런저 통과홀과, 상기 무빙 블록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케이스 바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스 결합돌기를 갖는 푸시 블록 케이스; 및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지지 러버를 지지하는 지지체 바디와, 상기 푸시 블록 케이스의 케이스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 바디에 마련되는 케이스 결합돌기 삽입홈을 구비하는 푸시 버튼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tact switch unit includes a push button for moving by receiving a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a tact switch fixed contact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 tact switch movable contact provided on the push button to be connected to the tact switch fixed contact, And a button support rub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button so that the tact switch movable contact is spaced apart from the tact switch fixed contact. The vehicle sunroof switch unit includes a push block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A plunger passage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so as to allow an end of the plunger to pass therethrough, and a plunger passage hole formed in the case body so as to be parallel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lock, Coupling the cas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dy A push block case having a projection; And a push button support body having a support body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and supporting the button supporting rubber, and a cas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so that the case coupling protrusion of the push block case can be inserted; .
상기 무빙 블록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블록 바디와, 상기 블록 바디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측의 노브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는 플런저 가이드홀을 구비하여 상기 플런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록 넥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하여 슬립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 접촉 슬립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block includes a block body slid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and a plunger guide hole protruding from the block body toward the knob outside the housing to insert the plunger so that the plunger is slidably supported A block neck, and a housing contact slip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lock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무빙 블록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무빙 블록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블록 바디에는 상기 무빙 블록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여 슬립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 접촉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moving block guide rail extendi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lock, and the block body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ail contact portion which can be slipped in contact with the moving block guide rai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종래의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가 복수의 택트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반해, 하나의 택트 스위치부를 통한 단순한 구성으로 다양한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various operating signal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rough one tact switch unit, while the conventional vehicle sunroof switch includes a plurality of tact switch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종래와 같이 틸트 운동형 노브 구조를 채택하지 않고 수직 이동형 노브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노브의 운동이 단순하고 사용자 조작이 편리하다.Further, the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dopts the vertically moving knob structure without adopting the tilt motion type knob structure as in the conventional ar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knob is simple and the user's operation is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은 구성 부품의 구조가 단순하고, 각 구성 부품 간의 조립 구조 또한 단순하여, 조립이 쉬우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Further, the structure of the sunroof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structure, and the assembling structur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s also simple, so that the assembly is easy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에서 하우징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구성에서 무빙 블록 등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구성에서 푸시 블록과 푸시 블록 케이스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의 회로기판 상에 택스 스위치부와 고정 접점부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푸시 블록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conventional sunroof switch for a vehicl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nroof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below.
Fig. 5 shows a housing separated from the vehicle sunroof switch unit shown in Fig. 2. Fig.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stituent elements such as the moving block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Fig. 7 shows the push block and the push block case separately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8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of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ax switch unit and a fixed contact unit are disposed on a circuit board of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hows a modification of the moving block return guide.
14 shows a modification of the push block cas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100)은 하우징(110)과, 사용자 조작을 위해 하우징(110)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128)와,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130)과, 회로기판(130) 상에 설치되어 눌림 작동되는 택트 스위치부(140)와, 하우징(110)의 내측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블록(152)과, 무빙 블록(152)에 결합되어 무빙 블록(152)과 함께 수평 이동하는 컨텍터(167)와, 택트 스위치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무빙 블록(152)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174)와, 택트 스위치부(140)와 플런저(174) 사이에 배치되는 푸시 블록(180)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100)은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차량용 선루프의 선루프 패널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100)은 통상의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와 같이 선루프 패널과 인접한 위치의 루프 패널 등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2 to 4, a vehicle
하우징(110)은 차량의 루프 패널 등에 고정되는 하우징 바디(111)와, 하우징 바디(111)의 상측을 덮도록 하우징 바디(111)와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114)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111)에는 하우징 고정 후크(112)가 구비되고 하우징 커버(114)에는 하우징 고정 후크 삽입홈(115)이 마련되어, 하우징 바디(111)와 하우징 커버(114)는 하우징 고정 후크(112)가 하우징 고정 후크 삽입홈(11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1)의 중간에는 후술할 푸시 블록 케이스(184)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케이스 고정 후크 삽입홈(116)이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114)의 상면에는 무빙 블록(152)의 블록 넥(159)이 삽입되는 연결홀(117)이 마련된다.The
하우징 커버(114)의 내면에는 무빙 블록(152)의 수평 이동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무빙 블록 가이드 레일(119)이 각각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무빙 블록 가이드 레일(119)은 무빙 블록(152)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우징 커버(114)의 내면에는 한 쌍의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120)가 각각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120)는 수평 이동한 무빙 블록(152)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무빙 블록 복귀부(165)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 1 경사 가이드면(121)과 제 2 경사 가이드면(122)을 포함한다. 제 1 경사 가이드면(121)과 제 2 경사 가이드면(122)은 각각의 끝단부에서 상호 연결되도록 택트 스위치부(140)의 눌림 작동 방향 및 무빙 블록(152)의 수평 이동 방향과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상의 선분에 대해 거울 대칭 구조로 배치된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하우징(110)에는 커넥터(125)가 결합된다. 커넥터(125)는 하우징 바디(111)에 결합되어 회로기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nector (125) is coupled to the housing (110). The
하우징(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 바디(111)와 하우징 커버(114)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구조 이외에, 차량에 결합되어 회로기판(130), 무빙 블록(152), 플런저(174) 등의 구성 요소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회로기판(130)은 하우징 바디(111)에 결합되어 커넥터(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130)에는 고정 접점부(131)가 마련되고, 회로기판(130) 상에 택트 스위치부(140)가 설치된다. 고정 접점부(131)는 컨텍터(167)와 작용하여 선루프 패널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고정 접점(132)(133)(134)(135)(136)을 포함한다. 즉, 고정 접점부(131)는 공통 고정 접점(132)과, 좌측 1단 고정 접점(133)과, 좌측 2단 고정 접점(134)과, 우측 1단 고정 접점(135)과, 우측 2단 고정 접점(136)을 포함한다. 도 12를 기준으로, 좌측 1단 고정 접점(133)과 좌측 2단 고정 접점(134)은 공통 고정 접점(132)의 좌측에, 우측 1단 고정 접점(135)과 우측 2단 고정 접점(136)은 공통 고정 접점(132)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들 고정 접점(132)(133)(134)(135)(136)과 컨텍터(167)가 다양한 조합으로 연결됨으로써 선루프 패널 작동을 위한 다양한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회로기판(130)에는 후크 통과홀(137)과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홀(138)이 마련된다. 후크 통과홀(137)은 푸시 블록(180)을 지지하는 푸시 블록 케이스(184)의 결합을 위한 것이고,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홀(138)은 택트 스위치부(140)의 푸시 버튼(141)을 지지하는 푸시 버튼 지지체(146)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회로기판(130)은 푸시 블록 케이스(184)가 하우징 바디(111)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 바디(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밖에, 회로기판(130)은 다양한 결합 구조를 통해 하우징(110) 내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도 8과 도 11을 참조하면, 택트 스위치부(140)는 선루프 패널의 작동을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130) 상에 설치된다. 택트 스위치부(140)는 눌림 동작되는 푸시 버튼(141)과, 회로기판(130)에 마련되는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142)과,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142)과 접속될 수 있도록 푸시 버튼(141)에 구비되는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143)과,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143)이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14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푸시 버튼(14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지지 러버(144)를 구비한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142)은 고정 접점부(131)의 복수의 고정 접점(132)(133)(134)(135)(136)과 이격되도록 회로기판(130)의 중간에 배치된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143)은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142)과 마주하도록 푸시 버튼(141)의 하단에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8 and 11, the
이러한 택트 스위치부(140)는 푸시 버튼(141)의 눌림 동작으로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143)이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142)에 접속함으로써 선루프 패널의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부(140)는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142)과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143)의 접속으로 선루프 패널의 틸트 업 또는 틸트 다운 동작을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이 경우, 선루프 패널이 원위치된 상태에서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142)과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143)이 접속될 때, 택트 스위치부(140)의 작동 신호가 선루프 패널을 틸트 업시키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선루프 패널의 틸트 업 상태에서 다시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142)과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143)이 접속되면 택트 스위치부(140)의 작동 신호가 선루프 패널을 틸트 다운시키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밖에, 택트 스위치부(140)의 작동 신호는 선루프 패널의 다양한 움직임을 제어하는 신호로 활용될 수 있고, 택트 스위치부(140)의 작동 신호에 따른 선루프 패널의 움직임은 차량의 제어 유닛에 의해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act
택트 스위치부(140)의 푸시 버튼(141)은 푸시 버튼 지지체(146)에 의해 지지된다. 푸시 버튼 지지체(146)는 회로기판(130)에 결합되어 버튼 지지 러버(144)를 지지하는 지지체 바디(147)와, 지지체 바디(147)의 양측단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는 고정 리브(148)를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 리브(148)는 후술할 푸시 블록 케이스(184)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지지체 바디(147) 양측단의 한 쌍의 고정 리브(148) 사이에는 케이스 결합돌기 삽입홈(149)이 마련된다. 지지체 바디(147)의 하면에는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돌기(150)가 구비된다.The
이러한 푸시 버튼 지지체(146)는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돌기(150)가 회로기판(130)의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홀(138)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로기판(130)에 고정됨으로써 택트 스위치부(140)의 푸시 버튼(141)을 회로기판(130) 상에서 지지한다. 또한 푸시 버튼 지지체(146)는 회로기판(130)과 후술할 푸시 블록 케이스(184) 사이에서 푸시 블록 케이스(184)가 회로기판(13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푸시 블록 케이스(184)를 떠받친다.The push
푸시 버튼 지지체(146)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푸시 버튼(141)을 회로기판(130) 상에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푸시 버튼 지지체(146)와 회로기판(130)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무빙 블록(152)은 푸시 버튼(141)의 눌림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지지된다. 무빙 블록(152)은, 하우징(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블록 바디(153)와, 블록 바디(153)로부터 하우징(110)의 연결홀(117)을 통해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블록 넥(159)을 포함한다.The moving
블록 바디(153)의 외측면에는 하우징(110)의 무빙 블록 가이드 레일(119)에 접촉하여 슬립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 접촉부(154)와, 하우징(110)의 내면에 접촉하여 슬립될 수 있도록 블록 바디(153)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 접촉 슬립돌기(155)가 구비된다. 블록 바디(153)는 수평 이동 방향으로 외력을 받을 때 가이드 레일 접촉부(154)가 무빙 블록 가이드 레일(119)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하고, 복수의 하우징 접촉 슬립돌기(155)가 하우징(110)의 내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우징 접촉 슬립돌기(155)가 블록 바디(153)의 상하부 및 양측부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우징 접촉 슬립돌기(155)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바디(153)의 양측부에는 슬립부재 삽입홈(156)이 형성되고, 블록 바디(153)의 하단부 일측에는 컨텍터(167)의 결합을 위한 컨텍터 결합부(157)가 마련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블록 넥(159)에는 플런저 가이드홀(160)이 마련된다. 블록 넥(159)은 플런저 가이드홀(160)에 플런저(174)가 삽입됨으로써 플런저(174)를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할 수 있다.A
무빙 블록(152)에는 슬립부재(162)와, 슬립부재(16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63)가 설치된다. 슬립부재(162)와 탄성부재(163)는 하우징(110)의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120)와 함께 수평 이동한 무빙 블록(152)을 원위치시키는 무빙 블록 복귀부(165)를 구성한다. 슬립부재(162)는 무빙 블록(152)의 외측면에서 하우징(110)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블록 바디(153)의 슬립부재 삽입홈(156)에 삽입된다. 탄성부재(163)는 슬립부재 삽입홈(156)에 배치되어 슬립부재(162)에 대해 하우징(110)의 내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무빙 블록 복귀부(165)는 슬립부재(162)가 제 1 경사 가이드면(121) 또는 제 2 경사 가이드면(122)을 따라 슬립됨으로써 수평 이동한 무빙 블록(152)을 원위치시킬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moving
사용자가 노브(128)를 이용하여 무빙 블록(152)을 제 1 이동 방향(도 12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킬 때, 슬립부재(162)가 제 1 경사 가이드면(121)에 접촉한 상태로 제 1 경사 가이드면(1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무빙 블록(152)에 대한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슬립부재(162)가 탄성부재(163)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경사 가이드면(121)에 접촉한 상태로 제 1 경사 가이드면(121)을 따라 무빙 블록(152)이 원위치되는 방향(우측 방향)으로 슬립된다. 따라서 무빙 블록(152)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When the user horizontally moves the moving
또한 사용자가 노브(128)를 이용하여 무빙 블록(152)을 제 2 이동 방향(도 12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킬 때, 슬립부재(162)가 제 2 경사 가이드면(122)에 접촉한 상태로 제 2 경사 가이드면(1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무빙 블록(152)에 대한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슬립부재(162)가 탄성부재(163)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경사 가이드면(122)에 접촉한 상태로 제 2 경사 가이드면(122)을 따라 무빙 블록(152)이 원위치되는 방향(좌측 방향)으로 슬립된다. 따라서 무빙 블록(152)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When the user horizontally moves the moving
도 3, 도 4, 도 6 내지 도 8,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컨텍터(167)는 무빙 블록(152)의 컨텍터 결합부(157)에 결합되어 무빙 블록(152)과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컨텍터(167)는 무빙 블록(152)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 접점부(131)의 복수의 고정 접점(132)(133)(134)(135)(136)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선루프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4, 6 to 8, 10 and 12, the
컨텍터(167)는 무빙 블록(152)의 컨텍터 결합부(157)에 고정되는 컨텍터 바디(168)와, 컨텍터 바디(168)의 일측에 무빙 블록(152)의 제 1 이동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좌측 1단 가동 접점(169) 및 좌측 2단 가동 접점(170)과, 컨텍터 바디(168)의 다른 일측에 무빙 블록(152)의 제 2 이동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우측 1단 가동 접점(171) 및 우측 2단 가동 접점(172)을 포함한다. 좌측 1단 가동 접점(169)과 좌측 2단 가동 접점(170)은 컨텍터 바디(168)의 일측에 평행하되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우측 1단 가동 접점(171)과 우측 2단 가동 접점(172)은 컨텍터 바디(168)의 다른 일측에 평행하되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The
무빙 블록(152)이 제 1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움직일 때, 좌측 1단 가동 접점(169)이 고정 접점부(131)의 좌측 1단 고정 접점(133)에 접속됨으로써 선루프 패널의 작동을 위한 하나의 작동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무빙 블록(152)이 제 1 이동 방향으로 더욱 움직이면 좌측 2단 가동 접점(170)이 좌측 2단 고정 접점(134)에 접속됨으로써 또 다른 작동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빙 블록(152)이 제 2 이동 방향으로 일정 간격 움직일 때, 우측 1단 가동 접점(171)이 우측 1단 고정 접점(135)에 접속됨으로써 또 다른 작동 신호가 발생할 수 있고, 무빙 블록(152)이 제 2 이동 방향으로 더욱 움직이면 우측 2단 가동 접점(172)이 우측 2단 고정 접점(136)에 접속됨으로써 또 다른 작동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The left first
예를 들어, 좌측 1단 가동 접점(169)과 좌측 1단 고정 접점(133)이 접속될 때 발생하는 작동 신호는 선루프 패널을 부분 열림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고, 좌측 2단 가동 접점(170)과 좌측 2단 고정 접점(134)이 접속될 때 발생하는 작동 신호는 선루프 패널을 완전 열림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1단 가동 접점(171)과 우측 1단 고정 접점(135)이 접속될 때 발생하는 작동 신호는 선루프 패널을 부분 닫힘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고, 우측 2단 가동 접점(172)과 우측 2단 고정 접점(136)이 접속될 때 발생하는 작동 신호는 선루프 패널을 완전 닫힘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when the left first stage
이 밖에, 컨텍터(167)에 의한 작동 신호는 선루프 패널의 다양한 움직임을 제어하는 신호로 활용될 수 있고, 컨텍터(167)의 작동 신호에 따른 선루프 패널의 움직임은 차량의 제어 유닛에 의해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by the
플런저(174)는 무빙 블록(152)의 블록 넥(159)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무빙 블록(152)과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고, 푸시 버튼(141)의 눌림 방향으로 무빙 블록(152)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174)의 일단은 노브(128)와 결합되고, 플런저(174)의 타단은 푸시 버튼(141)을 향한다. 플런저(174)의 타단에는 가압부(175)가 마련된다. 가압부(175)는 무빙 블록(15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종 가압리브(176)와, 종 가압리브(176)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횡 가압리브(177)를 포함한다. 플런저(174)는 가압부(175)로 푸시 블록(180)을 통해 푸시 버튼(141)에 가압력을 작용할 수 있다.The
푸시 블록(180)은 플런저(174)에 의해 밀려 푸시 버튼(141)을 가압할 수 있도록 플런저(174)와 푸시 버튼(141) 사이에 푸시 버튼(141)의 눌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푸시 블록(180)은 푸시 버튼(141)과 접촉하는 평평한 가압면(181)과, 플런저(174)의 가압부(175)와 접촉하는 평평한 피가압면(182)을 갖는다. 푸시 블록(180)의 가압면(181) 넓이는 피가압면(182)의 넓이보다 넓다. 이러한 푸시 블록(180)을 이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을 갖는 플런저(174)의 가압부(175)로 푸시 버튼(141)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플런저(174)의 가압력이 푸시 블록(180)을 통해 푸시 버튼(141)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The
푸시 블록(180)은 푸시 블록 케이스(184)에 의해 지지된다. 푸시 블록 케이스(184)는 회로기판(130) 위에 배치되어 푸시 블록(180)을 푸시 버튼(141)의 눌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푸시 블록 케이스(184)는 회로기판(130) 위에 배치되어 푸시 블록(180)을 푸시 버튼(141)의 눌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케이스 바디(185)와, 무빙 블록(15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케이스 바디(185)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케이스 결합돌기(186)와, 케이스 바디(185)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케이스 고정 후크(187)를 포함한다.The
이러한 푸시 블록 케이스(184)는 케이스 고정 후크(187)가 회로기판(130)의 후크 통과홀(137)을 통과하여 하우징 바디(111)의 케이스 고정 후크 삽입홈(116)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푸시 블록 케이스(184)가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로기판(130)도 하우징(110)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The
케이스 바디(185)의 상면에는 플런저(174)의 가압부(175)가 통과할 수 있는 플런저 통과홀(188)이 마련된다. 플런저 통과홀(188)은 무빙 블록(15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종 슬롯(189)과, 종 슬롯(189)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횡 슬롯(190)을 포함한다. 플런저(174)의 가압부(175)는 그 종 가압리브(176)가 종 슬롯(189)을 통과하고 그 횡 가압리브(177)가 횡 슬롯(190)을 통과함으로써, 푸시 블록 케이스(184) 내측의 푸시 블록(180)을 푸시 버튼(14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A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100)은 종래의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가 복수의 택트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반해, 하나의 택트 스위치부(140)를 구비하여 다양한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틸트 운동형 노브 구조를 채택하지 않고 수직 이동형 노브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노브(128)의 운동이 단순하여 사용자 조작이 편리하다. 또한 구성 부품의 구조가 단순하고, 각 구성 부품 간의 조립 구조 또한 단순하여, 조립이 쉬우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예를 들어, 수평 이동한 무빙 블록(152)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무빙 블록 복귀부는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210)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를 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ing block return unit for moving the horizontally moved moving
도 13에 나타낸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210)는 제 1 이동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 무빙 블록(152)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제 1 경사 가이드면(211)과, 제 2 이동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 무빙 블록(152)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제 2 경사 가이드면(213)을 갖는다. 제 1 경사 가이드면(211)과 제 2 경사 가이드면(213)은 슬립부재(162)와 접촉하여 슬립부재(162)를 무빙 블록(152)이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립되도록 가이드한다.The moving block
제 1 경사 가이드면(121)의 중간에는 기울기가 변하는 제 1 변곡부(212)가 마련되고, 제 2 경사 가이드면(122)의 중간에는 기울기가 변하는 제 2 변곡부(214)가 마련된다. 무빙 블록(152)의 수평 이동으로 슬립부재(162)가 제 1 경사 가이드면(211) 또는 제 2 경사 가이드면(213)에 접촉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하다가 제 1 변곡부(212) 또는 제 2 변곡부(214)를 통과할 때, 슬립부재(162)의 움직임 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슬립부재(162)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으로 노브(128)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제 1 경사 가이드면(211)의 제 1 변곡부(212)는 무빙 블록(152)이 제 1 이동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컨텍터(167)의 좌측 1단 가동 접점(169)이 좌측 1단 고정 접점(133)에 접속되는 시점이나, 좌측 2단 가동 접점(170)이 좌측 2단 고정 접점(134)에 접속되는 시점 등에서 슬립부재(162)가 통과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게, 제 2 경사 가이드면(213)의 제 2 변곡부(214)는 무빙 블록(152)이 제 2 이동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컨텍터(167)의 우측 1단 가동 접점(171)이 우측 1단 고정 접점(135)에 접속되는 시점이나, 우측 2단 가동 접점(172)이 우측 2단 고정 접점(136)에 접속되는 시점 등에서 슬립부재(162)가 통과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 제 1 경사 가이드면(211) 또는 제 2 경사 가이드면(213)에 구비되는 변곡부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한편, 도 14는 푸시 블록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 14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push block case.
도 14에 나타낸 푸시 블록 케이스(220)는 케이스 바디(221)의 상면에 플런저(174)의 가압부(175)가 통과할 수 있는 플런저 통과홀(222)이 형성된 것이다. 플런저 통과홀(222)은 무빙 블록(15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종 슬롯(223)과, 종 슬롯(223)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횡 슬롯(224)을 포함한다. 플런저(174)의 가압부(175)는 그 종 가압리브(176)가 종 슬롯(223)을 통과하고 그 횡 가압리브(177)가 횡 슬롯(224)을 통과함으로써 푸시 블록 케이스(220) 내측의 푸시 블록(180)을 가압할 수 있다.The
플런저 통과홀(222)은 플런저(174)의 가압부(175)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를 위해 횡 슬롯(224)의 너비(Whs)는 횡 가압리브(177)의 너비(Whr)보다 커야 한다. 이러한 푸시 블록 케이스(220)의 플런저 통과홀(222)은 횡 슬롯(224)의 너비(Whs)와 횡 가압리브(177)의 너비(Whr)의 비(Rh=Whs/Whr)를 종 슬롯(223)의 너비(Wls)와 종 가압리브(176)의 너비(Wlr)의 비(Rl=Wls/Wlr) 이상(Rh≥Rl)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조건으로 플런저 통과홀(222)을 설계하면, 플런저(174)의 가압부(175)가 플런저 통과홀(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런저(174)가 무빙 블록(152)과 함께 수평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의 상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을 더욱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When th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110 : 하우징
111 : 하우징 바디
112 : 하우징 고정 후크
114 : 하우징 커버
119 : 무빙 블록 가이드 레일
120, 210 :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
121, 211 : 제 1 경사 가이드면
122, 213 : 제 2 경사 가이드면
125 : 커넥터
128 : 노브
130 : 회로기판
131 : 고정 접점부
132 : 공통 고정 접점
133 : 좌측 1단 고정 접점
134 : 좌측 2단 고정 접점
135 : 우측 1단 고정 접점
136 : 우측 2단 고정 접점
140 : 택트 스위치부
141 : 푸시 버튼
142 :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
143 :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
144 : 버튼 지지 러버
146 : 푸시 버튼 지지체
147 : 지지체 바디
148 : 고정리브
150 :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돌기
152 : 무빙 블록
153 : 블록 바디
154 : 가이드 레일 접촉부
155 : 하우징 접촉 슬립돌기
157 : 컨텍터 결합부
159 : 블록 넥
160 : 플런저 가이드홀
162 : 슬립부재
163 : 탄성부재
165 : 무빙 블록 복귀부
167 : 컨텍터
168 : 컨텍터 바디
169 : 좌측 1단 가동 접점
170 : 좌측 2단 가동 접점
171 : 우측 1단 가동 접점
172 : 우측 2단 가동 접점
174 : 플런저
175 : 가압부
176 : 종 가압리브
177 : 횡 가압리브
180 : 푸시 블록
181 : 가압면
182 : 피가압면
184, 220 : 푸시 블록 케이스
185, 221 : 케이스 바디
186, 222 : 케이스 결합돌기
187 : 케이스 고정 후크
188 : 플런저 통과홀
189, 223 : 종 슬롯
190, 224 : 횡 슬롯
212, 214 : 제 1, 2 변곡부100: vehicle sunroof switch unit 110: housing
111: housing body 112: housing fixing hook
114: housing cover 119: moving block guide rail
120, 210: Moving block
122, 213: second inclined guide surface 125: connector
128: knob 130: circuit board
131: fixed contact portion 132: common fixed contact
133: Left one-stage fixed contact 134: Two left-hand fixed contacts
135: Fixed contact on the right side 1: Fixed contact on the right side 136: Fixed contact on the right side
140: tact switch part 141: push button
142: Tact switch fixed contact point 143: Tact switch movable contact point
144: button support rubber 146: push button support
147: support body 148: fixed rib
150: Push button support fixture protrusion 152: Moving block
153: block body 154: guide rail contact
155: Housing contact slip projection 157:
159: Block neck 160: Plunger guide hole
162: slip member 163: elastic member
165: Moving block return section 167: Contactor
168: Contactor body 169: 1st left movable contact
170: Left two-stage movable contact point 171: Right-side one-stage movable contact point
172: right two-stage movable contact point 174: plunger
175: pressing portion 176: longitudinal pressing rib
177: lateral pressure rib 180: push block
181: pressure face 182: pressure face
184, 220: push
186, 222: case coupling projection 187: case fixing hook
188: plunger passage holes 189, 223: longitudinal slot
190, 224:
Claims (14)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하우징;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접점부가 마련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눌림 동작으로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선루프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택트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과 수직인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블록;
상기 선루프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무빙 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접부의 복수의 고정 접점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결합되는 컨텍터; 및
일측이 상기 노브와 연결되고, 상기 무빙 블록과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과 결합되되, 상기 택트 스위치부에 가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CLAIMS 1. A vehicle sunroof switch unit installed in a vehicle for operating a vehicle sunroof,
A housing coupled to the vehicle;
A knob movably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so as to be operable by a user;
A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fixed contac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ixed contacts;
A tact switch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nd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moving the sunroof panel of the vehicle sunroof by a pressing operation;
A moving block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horizontally movable in parallel with a virtu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tact switch portion;
A contactor coupled to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 part of a plurality of fixed contacts of the stationary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for moving the sunroof panel; And
The tact switch being coupled to the moving block so that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nd horizontally moved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so that the moving block can be relatively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act switch portion is pressed, And a plunger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상기 택트 스위치부는, 상기 플런저의 가압력을 받아 움직이는 푸시 버튼과, 상기 회로기판에 마련되는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과, 상기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 버튼에 구비되는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이 상기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푸시 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지지 러버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지지 러버를 지지하는 푸시 버튼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ct switch unit includes a push button for moving by receiving a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a tact switch fixed contact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 tact switch movable contact provided on the push button to be connected to the tact switch fixed contact, And a button supporting rub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button so that the tact switch movable contact is spaced apart from the tact switch contact,
And a push button support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to support the button support rubber.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푸시 버튼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는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홀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푸시 버튼 지지체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홀에 삽입되는 푸시 버튼 지지체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A push button support fixing hole is formed in on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push button support member and a push button support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other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push button support member, And a support fixture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상기 플런저에 의해 밀려 상기 택트 스위치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와 상기 택트 스위치부 사이에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sh block disposed between the plunger and the tact switch portion so as to be movable in a pressing operation direction of the tact switch portion so as to be pushed by the plunger to press the tact switch portion, unit.
상기 푸시 블록은 상기 택트 스위치부와 접촉하는 가압면의 넓이가 상기 플런저와 접촉하는 피가압면의 넓이보다 넓은 것은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ush block has an area of a pressur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act switch part is wider than an area of a pressur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lunger.
상기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 블록을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며, 상기 플런저의 끝단이 통과할 수 있는 플런저 통과홀을 갖는 푸시 블록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ush block case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and supporting the push block movably in a direction of the push operation of the tact switch portion and having a plunger passage hole through which an end of the plunger can pass, Automotive sunroof switch unit.
상기 플런저 통과홀은, 상기 무빙 블록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종 슬롯과, 상기 종 슬롯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횡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종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택트 스위치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종 가압리브와, 상기 횡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택트 스위치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종 가압리브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횡 가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nger passage hole includes a longitudinal slot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lock and a transverse slot perpendicularly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slot,
Wherein the plunger includes a longitudinally extending pressure rib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tact switch portion through the longitudinal slot and And a transverse pressurizing rib crossing vertically with the longitudinally-pressurizing ribs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횡 슬롯의 너비(Whs)와 상기 횡 가압리브의 너비(Whr)의 비(Rh=Whs/Whr)는 상기 종 슬롯의 너비(Wls)와 상기 종 가압리브의 너비(Wlr)의 비(Rl=Wls/Wlr) 이상인 것(Rh≥Rl)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transverse slot Whs to the width of the transverse pressing rib Rh is equal to the ratio of the width Wls of the longitudinal slot to the width Wlr of the longitudinal compression rib Rl = Wls / Wlr) (Rh? Rl).
수평 이동한 상기 무빙 블록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무빙 블록 복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 복귀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푸시 블록 케이스의 플런저 통과홀과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무비 블록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moving block returning unit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block so that the moving block horizontally moved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rein the moving block returning portion elastically supports the movie block so that the plunger stops at a position where the plunger faces the plunger through hole of the push block case.
상기 무빙 블록 복귀부는,
상기 무빙 블록의 외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무빙 블록에 결합되는 슬립부재와,
상기 무빙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슬립부재에 대해 상기 무빙 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무빙 블록의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구비되는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 복귀 가이드부는,
원위치에서 제 1 이동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 상기 무빙 블록을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립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슬립부재를 상기 무빙 블록이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립되도록 가이드하는 제 1 경사 가이드면과,
원위치에서 제 2 이동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 상기 무빙 블록을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립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슬립부재를 상기 무빙 블록이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립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경사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경사 가이드면의 중간에는 기울기가 변하는 제 1 변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경사 가이드면의 중간에는 기울기가 변하는 제 2 변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ving block returning unit comprises:
A slip member coupled to the moving block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toward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moving block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lip member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moving block;
And a moving block return guid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face an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The moving block return guide portion
A first inclined guide surface contacting the slip member to guide the slip member to slip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block is retracted to move the moving block horizontally 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in a first moving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slip member to slip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block comes back in contact with the slip member so as to move the moving block horizontally moved from the home position to the second moving direction In addition,
A first bent portion whose slope is changed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inclined guide surface,
And a second bent portion in which a slope is changed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second inclined guide surface.
상기 하우징과 상기 푸시 블록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케이스 고정 후크가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푸시 블록 케이스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고정 후크가 삽입되는 케이스 고정 후크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케이스 고정 후크가 통과할 수 있는 후크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e of the housing and the push block case is provided with a case fixing hook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case fixing hook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case fixing hook is inserted so that the housing and the push block case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a hook hole through which the case fixing hook can pass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상기 택트 스위치부는, 상기 플런저의 가압력을 받아 움직이는 푸시 버튼과, 상기 회로기판에 마련되는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과, 상기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 버튼에 구비되는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택트 스위치 가동 접점이 상기 택트 스위치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푸시 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지지 러버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 블록을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눌림 동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플런저의 끝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면에 형성되는 플런저 통과홀과, 상기 무빙 블록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케이스 바디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스 결합돌기를 갖는 푸시 블록 케이스; 및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지지 러버를 지지하는 지지체 바디와, 상기 푸시 블록 케이스의 케이스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 바디에 마련되는 케이스 결합돌기 삽입홈을 구비하는 푸시 버튼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act switch unit includes a push button for moving by receiving a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a tact switch fixed contact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 tact switch movable contact provided on the push button to be connected to the tact switch fixed contact, And a button supporting rub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button so that the tact switch movable contact is spaced apart from the tact switch contact,
A case body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and supporting the push block so as to be movable in a pressing operation direction of the tact switch portion; a plunger passage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body so that an end of the plunger can pass therethrough; A push block case having a case engaging protrusion protruded outward from the case body in parallel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lock; And
And a push button support body having a support body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to support the button supporting rubber and a cas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so that the case coupling protrusion of the push block case can be inserted Wherein the vehicle is a vehicle.
상기 무빙 블록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블록 바디와,
상기 블록 바디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측의 노브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는 플런저 가이드홀을 구비하여 상기 플런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록 넥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하여 슬립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 접촉 슬립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block includes:
A block body slidably supported on the housing,
A block neck protruding from the block body toward the knob out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lunger guide hole into which the plunger is inserted so as to slidably support the plunger;
And a housing contact slip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lock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무빙 블록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무빙 블록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블록 바디에는 상기 무빙 블록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여 슬립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 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14. The method of claim 13,
A moving block guide rail extending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lock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block body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contact portion capable of slipping in contact with the moving block guide rai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2479A KR102814425B1 (en) | 2017-02-20 | 2017-02-20 | Sunroof switch unit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2479A KR102814425B1 (en) | 2017-02-20 | 2017-02-20 | Sunroof switch unit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6162A true KR20180096162A (en) | 2018-08-29 |
KR102814425B1 KR102814425B1 (en) | 2025-05-29 |
Family
ID=6343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2479A Active KR102814425B1 (en) | 2017-02-20 | 2017-02-20 | Sunroof switch unit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81442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6944B1 (en) * | 2023-09-27 | 2025-02-11 | 유철상 | Sunroof switch for vehi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0934B1 (en) | 2004-12-22 | 2006-08-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1 button 6 way sunroof switch |
KR100693508B1 (en) * | 2005-12-14 | 2007-03-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1-button 7-way sunroof switch |
KR20070107924A (en) * | 2006-05-04 | 2007-11-08 | 박재우 | Car IP Switch |
KR20100134239A (en) * | 2009-06-15 | 2010-12-23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Switch device |
-
2017
- 2017-02-20 KR KR1020170022479A patent/KR1028144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0934B1 (en) | 2004-12-22 | 2006-08-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1 button 6 way sunroof switch |
KR100693508B1 (en) * | 2005-12-14 | 2007-03-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1-button 7-way sunroof switch |
KR20070107924A (en) * | 2006-05-04 | 2007-11-08 | 박재우 | Car IP Switch |
KR20100134239A (en) * | 2009-06-15 | 2010-12-23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Switch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6944B1 (en) * | 2023-09-27 | 2025-02-11 | 유철상 | Sunroof switch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814425B1 (en) | 2025-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54344B2 (en) | Seesaw switch | |
US5721405A (en) | Tactile feedback mechanism for a multidirectional switch | |
CN102460625B (en) | Roof switch assembly | |
KR20180096162A (en) | Sunroof switch unit for vehicle | |
JP2016001557A (en) | Two-stage switch device | |
US3721779A (en) | Sliding action electrical switch with ramp portions between contacts and insulating strips | |
CN108885955B (en) | Mechanism for console assembly | |
KR100896416B1 (en) | Car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 |
KR102726879B1 (en) | Switch for Vehicle | |
KR102726889B1 (en) | Mirror Switch for Vehicle | |
KR102788756B1 (en) | Power window switch module for vehicle | |
US6559400B2 (en) | Switch structure for car electrical part | |
KR20170091200A (en) | Mirror Switch for Vehicle | |
KR101070028B1 (en) | Sliding button switch unit for a vehicle | |
KR101126484B1 (en) |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 |
KR101244117B1 (en) | Mirror Switch for Vehicle | |
JPH06260059A (en) | Selector switch | |
KR20110004836U (en) | Paddle switch unit | |
KR200461776Y1 (en) | Switching device for seat warmer unit of a vehicle | |
KR102675893B1 (en) | Push switch device and a switching unit with the same | |
KR101077442B1 (en) |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side view mirrors of a vehicle | |
KR100999675B1 (en) | Multifunction switch | |
KR200488668Y1 (en) | Side mirror controller of Vehicles | |
KR101271313B1 (en) | Lever switching unit for a vehicle | |
KR20160138350A (en) | Switch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