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91200A - Mirror Switch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irror Switch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200A
KR20170091200A KR1020160011295A KR20160011295A KR20170091200A KR 20170091200 A KR20170091200 A KR 20170091200A KR 1020160011295 A KR1020160011295 A KR 1020160011295A KR 20160011295 A KR20160011295 A KR 20160011295A KR 20170091200 A KR20170091200 A KR 20170091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switch
mirror
contact
window 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효식
박운택
이인범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1200A/en
Priority to KR1020160132609A priority patent/KR102726879B1/en
Priority to CN201621195665.3U priority patent/CN207134279U/en
Publication of KR2017009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200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3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more than one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condition in one or both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2Application rear view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스위치가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직 가압 가압 조작되도록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가동하도록 배치되는 스위치 플런저;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 상기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며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은 상기 기판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U자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witch device in which a vehicle switch is mounted on a switch housing, the vehicle switch comprising: a switch knob mounted on the switch housing such that the switch is vertically pressed and pressed by a user; A switch plunger arranged to vertically move in the switch housing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A switch fixing contact disposed on the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switch housing; And a switch movable contact which is pressed by the switch plunger and is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switch fixing contact, wherein the switch movable contact takes a U-shaped structur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Lt; / RTI >

Description

차량용 스위치 장치{Mirror Switch for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의 접점 방식을 푸시 동작으로 구현되는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전체 크기가 소형화되고 조작감이 향상되며 내부 구조가 단순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동작 가능한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witch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device for a vehicle,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a switch contact method is implemented by a push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size, improving the operation feeling, and simplifying the internal structure.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BACKGROUND ART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has a function as a variety of convenience means for enabl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runn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According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은 경우에는,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되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에는 다수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된다.When the oper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requir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of the vehicle, a seesaw switch device or a sliding switch device or the like for allow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indow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 rotary switch device capable of selecting a plurality of modes is used in order to select each operation mode.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최근 차량의 고급화 경향에 따라 그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으로 요구되고 있다.The demand for these switch devices has recent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toward higher quality of vehicles. Especially, since various switch devi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re installed around the driver's seat, such switch devices are required to be compact, Prevention is required as a necessity of the design.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장치로서, 예를 들어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가동하기 위한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사이드 미러의 방향을 선택하고 배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미러 조절 스위치 등이 복잡하게 모듈화된 방식으로 하나의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As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or example, a vehicular switch device for operating a side mirror of a vehicle includes a mirror switch for selecting a direction of a side mirror and adjusting an arrangement angle, etc., And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housing.

또한, 종래의 윈도우 록 스위치는 푸시 동작의 모듈화를 위하여 부품이 집적되는 하우징 구조를 통하여 조립이 난해하였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indow lock switch is difficult to assemble through a housing structure in which parts are integrated for modularization of a push operation.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푸시 가동 방식의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그 스위치 구조상 전체 크기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성이 복잡하여 차량용 스위치 장치들의 컴팩트화를 위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The conventional push switch type vehicle swit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switch structure is increased and the internal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thereby failing to meet the conditions for compacting the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스위치 장치, 예를 들어 미러 조절 스위치 또는 윈도우 록 스위치의 접점 방식을 푸시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복잡한 모듈화 구조를 배제하고 전체 크기가 소형화되고 조작감이 향상되며 내부 구조가 단순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동작 가능한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witch device, such as a mirror control switch or a window lock switch, And to provide a vehicle switch device in which the overall size is reduced, the operation feeling is improved, and the internal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stably opera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 노브, 예를 들어 미러 조절 노브 및 윈도우 록 노브에 대한 탄성 동작시 간단한 U자형 구조의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을 사용하여 푸시 동작 및 원위치 복귀 동작도 간단하면서도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작 배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모듈화된 복잡한 푸시 접점 방식에 비해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며 더욱 안정적이고 조작감이 향상된 스위치, 예를 들어 미러 조절 스위치 또는 윈도우 락 스위치를 갖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and U-shaped mirror-controlled movable contact for a switch knob, for example, a mirror control knob and a window lock kno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switch, for example, a mirror control switch or a window lock switch, which can be used more smoothly than a conventional modular complicated push contact method by forming a layout structure and is more stable and improved in operational feeling.

본 발명은, 차량 스위치가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직 가압 가압 조작되도록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가동하도록 배치되는 스위치 플런저;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 상기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며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은 상기 기판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U자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witch device in which a vehicle switch is mounted on a switch housing, the vehicle switch comprising: a switch knob mounted on the switch housing such that the switch is vertically pressed and pressed by a user; A switch plunger arranged to vertically move in the switch housing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A switch fixing contact disposed on the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switch housing; And a switch movable contact which is pressed by the switch plunger and is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switch fixing contact, wherein the switch movable contact takes a U-shaped structur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Lt; / RTI >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스위치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미러 조절 스위치이고, 상기 미러 조절 스위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의 대응 위치에서 수직 가압 가압 조작되도록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미러 조절 노브(110); 상기 미러 조절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가동하도록 배치되는 미러 조절 플런저(120);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미러 조절 고정 접점(140); 상기 미러 조절 플런저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며 상기 미러 조절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을 구비하고, 상기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은 상기 기판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U자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In the vehicle switch device, the vehicle switch is a mirror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and the mirror control switch (100) is vertically pressed and pressed by the use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A mirror adjustment knob 110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A mirror control plunger (120) arranged to vertically move within the mirror switch housing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mirror control knob; A mirror adjustment fixed contact (140) disposed on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mirror switch housing; And a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130 which is pressed by the mirror control plunger and is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mirror control fixed contact, Structure.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에는 상기 미러 조절 노브가 가압 조작된 상태에서 기준 배치 상태로 원상 복구되도록 상기 미러 조절 노브에 탄성력을 가하는 미러 조절 러버 패드이 장착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switch device, a mirror adjusting rubber pad may be mounted on the mirror switch housing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mirror adjusting knob so that the mirror adjusting knob is restored to the reference position when the mirror adjusting knob is pressed.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은: 상기 기판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는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적어도 일부가 가동되어 상기 미러 조절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 가능한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와, 상기 기판에 투영시 상기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의 적어도 일부는 교차 투영 면적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동 접점 장착부(131) 및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를 연결하는 가동 접점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130 may include: a movable contact mount 131 mounted on the substrate to be fixedly mounted on the subs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mount 131 may be movable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re formed so as to form an intersecting projection area when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are projected on the substrate,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ion portion 133 for connecting the contact free end portion 135. [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는 상기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는: 상기 미러 조절 고정 접점과 직접적으로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과,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의 외측으로 상기 기판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와 접촉 가능한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switch device, a mirror adjustment compliant 170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to limit the movable range of the mirror adjustable movable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is provided with: A movable contact free contact end 135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irror control compliant and is form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substrate outside the movable contact free contact end 1353, 1351 < / RTI >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switch device, a plurality of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ends 1351 may be disposed.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는 양단부가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ㄷ자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switch device, the mirror adjusting compliant may have a U-shape in which both ends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는: 상기 기판에 삽입 장착되는 컴플라이언트 바디(173)와, 양단이 상기 컴플라이언트 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과 접촉하여 상기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의 가동을 제한하는 컴플라이언트 스톱퍼(171)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irror control compliant 170 includes: a compliant body 173 inserted into the substrate; a flexible body 173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compliant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ree contact compliant step, And a compliant stopper 171 for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플라이언트 바디는 중앙에 바디 관통구를 구비하고 가압시 변형 가능한 컴플라이언트 핀 구조일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switch device, the compliant body may have a compliant pin structure having a body through-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being deformable when pressed.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플런저(120)는 T자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switch device, the mirror control plunger 120 may have a T shape.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플런저(120)는: 일단측이 상기 미러 조절 노브의 하단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런저 샤프트(121)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타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121)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기 미러 조절 가동접점과 접촉 가능한 플런저 바디(1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irror control plunger 120 may include a plunger shaft 121 having one e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mirror control knob 121 and a plunger shaft 121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lunger shaft, And a plunger body 123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shaft 121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mirror-adjustable movable cont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에는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수직 가동을 허용 안내하는 플런저 홀더(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switch device, the mirror switch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plunger holder 150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lunger shaft.

상기 차량 스위치는 윈도우 스위치일 수도 있다. The vehicle switch may be a window switch.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수직 가압 가압 조작되도록 상기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윈도우 록 노브(110); 상기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록 고정 접점(140); 상기 윈도우 록 노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노브 돌기(115)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며 상기 윈도우 록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을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은 상기 기판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U자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switch device, the window lock switch (100) includes: a window lock knob (110) mounted on the window switch housing so as to be vertically pressed and pressed by a user; A window lock stationary contact (140) disposed on a substrate disposed within the window switch housing; And a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which is pressed by the knob protrusion 115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indow lock knob and is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window lock fixed contact, May take a U-shaped structur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에는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의 일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윈도우 록 러버 패드가 장착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switch device, the window switch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window lock rubber pad which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disposed in the window switch housing.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은: 상기 기판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는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적어도 일부가 가동되어 상기 윈도우 록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 가능한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와, 상기 기판에 투영시 상기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의 적어도 일부는 교차 투영 면적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동 접점 장착부(131) 및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를 연결하는 가동 접점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ovable contact point 130 may include: a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that is fixedly mounted on the substrate; a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that is at least partially movable to contact or disengage from the window lock fixed contact;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re formed so as to form an intersecting projection area when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are projected on the substrate,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ion portion 133 for connecting the contact free end portion 135. [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는 상기 윈도우 록 가동 접점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170)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는: 상기 윈도우 록 고정 접점과 직접적으로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과,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의 외측으로 상기 기판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와 접촉 가능한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switch device, a window lock compliant 170 for limiting the movable range of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is provided with: A movable contact free contact end 135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indow lock compliant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strate outside the movable contact free contact end 1353, 1351 < / RTI >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과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switch device,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terminal 135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contact terminal 1353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는 양단부가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ㄷ자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switch device, the window lock compliant may have a U-shaped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mounted on the board.

상기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는: 상기 윈도우 록 노브의 위치를 탄성 지지하는 윈도우 록 노브 스프링(180)과, 상기 윈도우 록 노브의 위치를 사전 설정된 위치로 유지시키는 윈도우 록 캠부(6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window lock switch includes: a window lock knob spring 180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window lock knob; a window lock cam portion 600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window lock knob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본 발명에 의하면, 푸시 동작을 이루는 스위치에 있어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조작감을 향상시키며 내부 구조를 단순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overall size of a switch that constitutes a push operation, improve the operation feeling, and produce an internal structure in a simple form.

또한, 이러한 스위치는 미러 조절 스위치 또는 윈도우 록 스위치 등 차량의 수직 가압 동작을 이루는 스위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고 구성요소의 범용성으로 원가 절감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In addition, such a switch can be applied to both a mirror control switch or a window lock switch, such as a switch for vertically depressing the vehicle, and the cost-saving structure can be achieved by the universal use of the components.

또한, 기판의 전면에 러버 패드가 배치되는 구성을 통하여 이물로 인한 손상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 내지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damages due to foreign matter can be essentially blocked or minimized throug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ubber pads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스위치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로서의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투영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utline of a vehicular switch device implemented as a mirro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ula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operational states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switch device as a vehicle window switch device having a window lock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5 are schematic partial projected perspective views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가동되는 다양한 스위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조절하는 미러 조절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와 차량 윈도우의 승하강 조절을 록 또는 언록시키는 윈도우 록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switch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and operated by a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switch device including a mirror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a side mirror of a vehicle, A vehicle switch device including a window lock switch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upward / downward adjustment of the vehicle window will be mainly described.

먼저, 차량용 스위치 장치가 차량용 미러 스위치 장치인 경우, 본 발명의 차량 스위치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미러 조절 스위치로 구현된다. First, when the vehicle switch device is a vehicle mirror switch device, the vehicl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ith a mirror control switch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line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operational states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조절 스위치(100)와, 미러 선택 스위치(200)와, 미러 폴딩 스위치(300)가 하나의 미러 스위치 하우징(400)에 장착되어 차량 실내에 배치된다. 미러 조절 스위치(100)는 사이드 미러의 방향을 선택하고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 a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rror control switch 100, a mirror select switch 200, a mirror folding switch 300, and a mirror switch housing 400, And is disposed in the vehicle interior. The mirror control switch 100 is configured to select the direction of the side mirror and adjust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미러 선택 스위치(200)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을 어느 사이드 미러에 적용할 것인지 조절 대상 사이드 미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미러 폴딩 스위치(300)는 운전 종료시 또는 특별히 필요한 경우 사이드 미러를 접거나 또는 다시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The mirror selection switch 200 is configured to select the side mirror to which the angle adjustment of the side mirror is to be applied or the side mirror to be adjusted. The mirror folding switch 300 is configured to switch the side mirror when the operation is finished,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이러한 스위치들이 장착되는 미러 스위치 하우징(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미러 스위치 하우징 바디(410)와 미러 스위치 하우징 베이스(420)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미러 스위치 하우징 바디(410)에는 각각의 스위치(100,200,300)들이 장착되도록 미러 조절 스위치 장착부(411), 미러 선택 스위치 장착부(412) 및 미러 폴딩 스위치 장착부(301)가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되며, 미러 스위치 하우징 베이스(420)에는 각 스위치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외부 전자 기기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넥터부(421)가 형성된다.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to which the switches are mounted may be separated into a mirror switch housing body 410 and a mirror switch housing base 420 such that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mirror switch housing 411, the mirror selection switch mounting portion 412 and the mirror folding switch mounting portion 301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so that the respective switches 100, 200 and 300 are mounted on the mirror switch housing body 410, The housing base 420 is formed with a separate connector portion 421 for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generated from the switches to and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s.

또한, 미러 스위치 하우징(400) 내부에는 별도의 PCB 기판(500)이 장착되어 커넥터부(421)를 통해 외부 전자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PCB 기판(500)은 미러 스위치 하우징 베이스(420)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미러 스위치 하우징 베이스(4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미러 스위치 하우징 베이스(420)에는 별도의 연결핀이 형성되어 PCB 기판(500)을 지지함과 동시에 PCB 기판(500)과 커넥터부(42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A separate PCB substrate 500 is mounted in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s via the connector unit 421. The PCB substrate 500 is mounted on the mirror switch housing base 400, The mirror switch housing base 42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rror switch housing base 420, bu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irror switch housing base 4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irror switch housing base 420 may have a separate connection pin to support the PCB substrate 500 an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CB substrate 500 and the connector unit 4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스위치(100,200,30)는 가동 접점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 가능하나 본 실시에에서의 미러 조절 스위치(100)는 푸시 동작을 이루어 고정 접점, 특히 미러 조절 고정 접점(140)과 접촉 및 접촉 해제하도록 구성되는데, 가동 접점, 특히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수직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미러 조절 고정 접점은 미러 스위치 하우징(400) 내부에서 기판(500) 상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의 이동에 따라 접촉 및 접촉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미러 조절 고정 접점은 별도의 PCB 기판(500)에 형성되거나 또는 미러 스위치 하우징(400)의 내측면에 노출되도록 미러 스위치 하우징(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 접점은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미러 스위치 하우징(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Each of the switches 100, 200, and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using movable contacts, but the mirror control switc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a push operation to make a fixed contact, The movable contact, particularly the mirror adjustable movable contact 130, is configured to move vertically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nd the mirror adjustable fixed contact is disposed inside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500)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movement of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The mirror control stationary contact may be formed on a separate PCB substrate 50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In this case,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through the molding process, but the present embodiment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is formed on the substrate.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중심으로 도 6 및 도 7의 작동 상태를 참조하여 미러 조절 스위치(100)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witch device including the mirror control switch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ng states of FIG. 6 and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미러 조절 스위치에 대한 동작 상태 및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미러 조절 스위치(100)와 관련된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하였고, 미러 선택 스위치(200) 및 미러 폴딩 스위치(300)와 관련된 구성은 미러 조절 스위치(100)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위해 최대한 생략한 상태로 도시하였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and an internal structure of a mirror control switch of a vehicle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mirror control switch 100 and the configuration relating to the mirror select switch 200 and the mirror folding switch 300 ar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for clarity of the mirror control switch 100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조절 스위치(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을 수직 가동시켜 미러 조절 고정 접점(140)과의 접촉 및 접촉 해제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미러 조절 노브(110)와, 미러 조절 노브(110)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미러 조절 플런저(120)와, 미러 조절 플런저(120)에 의하여 가동되어 미러 조절 고정 접점과 단속되는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4, the mirror control switc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ertically moves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130 to contact and release the mirror control fixed contact 140 A mirror control plunger 120 that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irror control knob 110 and a mirror control plunger 120 that is operated by the mirror control plunger 120 to generate a signal And a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130 interlocked with the mirror control fixed contact.

미러 조절 노브(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사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mirror control knob 110 may be formed to have a rounded top surface as shown in the figure, but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or other polygon.

미러 조절 노브(110)는 사용자에 의해 가장자리가 전후좌우 방향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가압 조작되도록 미러 조절 노브(11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미러 조절 노브 하우징 장착부(113)가 미러 스위치 하우징(400)의 미러 조절 노브 장착부(411)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별도의 작동 로드(111)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mirror adjusting knob 110 is mounted on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so that the mirror adjusting knob housing mounting portion 113 protrudes outward from the mirror adjusting knob 110 so that the edge of the mirror adjusting knob 110 is pressed by the us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a separate operation rod 111 is formed to be downwardly protru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미러 조절 노브(110)가 미러 스위치 하우징(4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장자리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압 조작되기 위해서는 미러 조절 노브(110)의 가장자리 하단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미러 조절 러버 패드(16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러 조절 러버 패드(160)은 패드 베이스(161) 상에 탄성 돌기(163,165)가 구비된다. 미러 조절 노브(110)가 가압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탄성 돌기(163)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미러 조절 노브(110)는 이러한 미러 조절 러버 패드(160)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가압 조작된 후 기준 상태로 원상 복구된다. 즉, 미러 조절 러버 패드(160)의 탄성 돌기(163,165)가 미러 조절 노브(110)에 상향 탄성력을 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미러 조절 노브(110)의 일측을 하향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미러 조절 노브(110)는 탄성 돌기(163,165)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며 다시 기준 상태로 원상 복구되도록, 탄성 돌기는 탄성 돌기 지지부(163)와 탄성 돌기 접촉부(165)를 포함한다. In order that the edge of the mirror adjustment knob 110 is smoothly press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the mirror adjustment knob 110 being seated in the mirror switch housing 400, Preferably, a separate mirror control rubber pad 160 is mounted. The mirror control rubber pad 160 is provided with elastic protrusions 163 and 165 on the pad base 161. The mirror control knob 110 is configured to be pressed against the mirror control knob 110 in one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irror control rubber pad 160 And then restored to the reference state. That is, since the elastic protrusions 163 and 165 of the mirror control rubber pad 160 exert upward elastic force on the mirror control knob 110, when the user presses down one side of the mirror control knob 110 and releases the pressurized state The mirror control knob 110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rotrusions 163 and 165 and restored to the reference state again. The elastic protrusion includes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163 and the elastic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 165.

미러 조절 플런저(120)는 미러 조절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미러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가동하도록 배치된다. 미러 조절 플런저(120)는 T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미러 조절 플런저(120)는 플런저 샤프트(121)와, The mirror control plunger 120 is arranged to move vertically within the mirror switch housing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mirror control knob. The mirror control plunger 120 may include a plunger shaft 121,

일단측이 상기 미러 조절 노브의 하단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런저 샤프트(121)와 플런저 바디(123)를 포함한다. 플런저 샤프트(121)는 플런저 샤프트의 타단측에 배치되고, 플런저 바디(123)는 플런저 샤프트(121)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미러 조절 가동접점과 접촉 가능하다. 미러 스위치 하우징에는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수직 가동을 허용 안내하는 플런저 홀더(150)가 구비되고 플런저 홀더(150)에는 플런저 샤프트(121)가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안정적인 가동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And includes a plunger shaft 121 and a plunger body 123, one end of which is longitudinally dispos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mirror control knob. The plunger shaft 121 is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lunger shaft and the plunger body 123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lunger shaft 121 and is contactable with the mirror controllable movable cont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irror switch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plunger holder 150 for allowing vertical movement of the plunger shaft and a plunger shaft 121 may be vertically movably disposed in the plunger holder 150 for stable operation.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은 미러 조절 플런저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는고, 미러 조절 고정 접점(140)은 미러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데,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은 미러 조절 플런저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어 미러 조절 고정 접점(140)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된다. The mirror adjustable movable contact 13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mirror switch housing. The mirror adjustable movable contact 130 is pressurized and operated by the mirror adjusting plunger. And is pressed and operated by the plunger to come into contact with or release the contact with the mirror adjustment fixed contact 140.

본 실시예에서의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은 기판(200)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U자 구조를 취한다.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은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와 가동 접점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The mirror-adjustable movable contact 130 in this embodiment has a U-shaped structur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200. The mirror adjusting movable contact 130 includes a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ing portion 133.

가동 접점 장착부(131)는 기판(500)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고,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는 적어도 일부가 가동되어 미러 조절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가동 접점 장착부(131)의 외측에는 가동 접점 장착 돌기(132)가 구비되어 기판(500)에 대한 위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is fixedly mounted on the substrate 500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is at least partially movable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contacting or releasing the contact with the mirror adjusting fixed contact. A movable contact mounting protrusion 13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fixture to the substrate 500.

가동 접점 연결부(133)는 가동 접점 장착부(131) 및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를 연결하는데, 가동 접점 연결부(133)는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를 기판에 투영하는 경우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 상에 교차 투영되어 교차되는 교차 투영 면적을 형성하도록 U자 구조를 취한다. The movable contact connection part 133 connects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art 131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The movable contact connection part 133 connects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art 13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are cross-projected onto the substrate to form an intersecting projected area.

또한,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는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과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을 포함하는데,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은 미러 조절 고정 접점과 직접적으로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은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의 외측으로 기판(500)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와 접촉 가능하다.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includes a movable contact free end 1353 and a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end 1351.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3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mirror adjusting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stage 1351 is formed outside the movable contact free contact stage 1353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strate 5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irror adjustment compliant 170.

이러한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은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가 구비되어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와의 복수 지점에서의 접촉을 통하여 안정적인 접촉 지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uch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ends 1351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o form a stable contact supporting state through contact at a plurality of points with the mirror adjusting compliant 170.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는 기판(500) 상에 배치되어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데,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는 양단부가 기판에 장착되는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The mirror adjustment compliant 17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500 to limi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mirror adjustable movable contact 170. The mirror adjustment compliant 170 may have a U-shape in which both ends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보다 구체적으로,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는 기판에 삽입 장착되는 컴플라이언트 바디(173)와, 양단이 상기 컴플라이언트 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과 접촉하여 상기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의 가동을 제한하는 컴플라이언트 스톱퍼(171)를 포함할 수 있다. 컴플라이언트 스톱퍼(171)는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과 접촉 가능하고 일정한 위치를 점하여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의 과도한 위치 변동을 제한한다. More specifically, the mirror adjustment compliant 170 includes a compliant body 173 that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and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compliant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step, And a compliant stopper 171 that restricts movement of the stopper. The compliant stopper 171 is contactable with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end 1351 and points to a fixed position to limit excessive positional fluctuation of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130. [

컴플라이언트 바디(173)는 중앙에 바디 관통구를 갖고 기판으로의 삽입시 변형되는 바디 관통구 주변이 아치 타입의 부분을 형성하는 컴플라이언트 핀 구조를 취하여 삽입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The compliant body 173 may have a compliant pin structure having a body through-hole in the center and forming a portion of the arch-type around the body through-hole that is deformed upon insertion into the substrate,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insert.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미러 스위치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작동 과정이 도시된다. Figs. 6 and 7 illustrate operation of the vehicle switch device implemented by the vehicle mirror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도 6의 상태에서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의 가동 접점 자유 단부의 가동 접점 컴플라이언트단은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위치 유지되어 배치된다. 도 6의 상태로부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미러 조절 노브(110)의 우측 방향에 대응하는 지점이 가압되는 경우 미러 조절 노브(110)의 우측 하단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미러 조절 플런저(120)를 가압하게 된다. In the state of Fig. 6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movable contact compliant end of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of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is positioned and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mirror control compliant 170. 7, when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right direction of the mirror adjustment knob 110 is pressed by the user, the protrusion disposed at the lower right end of the mirror adjustment knob 11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mirror adjustment So that the plunger 120 is pressed.

이때 미러 조절 플런저(120)와 미러 조절 노브 사이에는 미러 조절 러버 패드가 배치되어 소정의 완충 및 미러 조절 노브의 원위치 복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mirror adjusting rubber pad is disposed between the mirror adjusting plunger 120 and the mirror adjusting knob, so that a predetermined buffering and mirror adjusting knob can be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이때, 미러 조절 플런저(120)의 플런저 바디(123)는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의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를 가압하고, 기판 하방으로 형성되는 가동 접점 자유 단부의 자유 접촉단은 미러 조절 고정 접점(140)과 접촉 상태를 형성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소통을 이루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plunger body 123 of the mirror control plunger 120 presses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of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and the free contact end of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formed below the substrate contacts the mirror control fixed contact 140 so that a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can be communicated.

이러한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U자 형상의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은 가동 접점 연결부에 축적된 소정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 접점 자유 단부는 원위치 복귀되어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와의 위치 제한 접촉 상태를 다시 형성하게 된다.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of the U-shaped mirror adjusting movable contac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accumulated in the movable contact connecting portion, thereby regenerating the position limiting contact state with the mirror adjusting compliant .

또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차량 스위치가 미러 조절 스위치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 스위치가 차량 윈도우의 승하강을 록 또는 언록시키는 윈도우 록 스위치인 경우의 차량용 스위치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switch is a window lock switch that locks or unlocks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vehicle window, May be implemented.

앞서 기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작동 상의 동일점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도록 하였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ereby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same points in operation.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중심으로 도 12 내지 도 15의 상태를 참조하여 윈도우 록 스위치(100)를 구비하는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로서의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vehicular switch device as a vehicle window switch device having a window lock switch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100)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을 수직 가동시켜 윈도우 록 고정 접점(140)과의 접촉 및 접촉 해제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윈도우 록 노브(110)와, 윈도우 록 노브(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노브 가동부(115)에 의하여 가동되어 윈도우 록 고정 접점과 단속되는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indow lock switc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vertically move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to contact and release the window lock fixed contact 140 as shown in FIGS. Lock knob 110 that is operated by a user and a knob movable part 115 that is disposed below the window lock knob 110 and that is operated by the window lock contact And a lock movable contact 130.

윈도우 록 노브(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원형 또는 다른 다각형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window lock knob 110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top surface as shown in the figure, but may also be formed in a circular or other polygonal shape.

윈도우 록 노브(11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수직 가동된다. 외측에는 가이드 등이 배치되어 원활한 수직 가동을 이루도록 안내될 수도 있다. The window lock knob 110 is pressed and vertically operated by the user. A guide or the like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ide to guide smooth vertical movement.

가장자리가 전후좌우 방향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가압 조작되도록 윈도우 록 노브(11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윈도우 록 노브 하우징 장착부(113)가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400)의 윈도우 록 노브 장착부(411)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별도의 작동 로드(111)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window lock knob housing mounting portion 113 protruding outside the window lock knob 110 is pressed to the window lock knob mounting portion 411 of the window switch housing 400 so that the edge is pres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a separate operation rod 111 is form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또한 경우에 따라 윈도우 록 노브의 하부에는 윈도우 록 노브 스프링(180)이 배치되어 윈도우 록 노브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In some cases, a window lock knob spring 180 is disposed under the window lock knob to elastically support the window lock knob.

윈도우 록 노브 스프링(180)은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400)에 형성되는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 노브 탄성 수용부(415)에 수용 배치되어 윈도우 록 노브(110)를 탄성 지지한다. The window lock knob spring 180 is accommodated in the window switch housing knob elastic receiving portion 415 formed in the window switch housing 400 to elastically support the window lock knob 110.

이 경우, 윈도우 록 노브의 록/언록 동작을 위하여 가압 위치를 유지시키는 윈도우 록 캠부(6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window lock cam unit 600 may be further provided to hold the pressing position for the lock / unlock operation of the window lock knob.

윈도우 록 캠부(600)는 윈도우 록 캠 스프링(610)과 윈도우 록 그립(620)과 윈도우 록 캠(630)을 포함하는데, 윈도우 록 캠 스프링(610, 도 14 및 도 15 참조)은 일단이 윈도우 록 노브(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공간에 고정 장착되고, 윈도우 록 캠(630)은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4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가압 위치에 따른 캠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 The window lock cam portion 600 includes a window lock cam spring 610 and a window lock grip 620 and a window lock cam 630. The window lock cam spring 610 (see Figs. 14 and 15) And the window lock cam 63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switch housing 400 to enable the cam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sing position.

경우에 따라 하기되는 기판 상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도록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400)의 내부로 기판(500)의 상부에는 기판(500)의 일면을 전면 덮는 윈도우 록 러버 패드(16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윈도우 록 러버 패드(160)은 패드 베이스(161) 상에 탄성 돌기(163,165)가 구비되어 다른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 window lock rubber pad 16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500 inside the window switch housing 400 so as to protect the components on the substrate, . The window lock rubber pad 160 may be provided with elastic protrusions 163 and 165 on the pad base 161 to enable switching operation of other switches.

또한, 윈도우 러버 패드(160)는 러버 패드 수용 돌출부(165)를 구비하는데, 러버 패드 수용 돌출부(165)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기판 상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이물로부터 기판 상의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가동부(115)는 러버 패드 수용 돌출부(165) 중 하기되는 윈도우 록 가동 접점의 대응되는 위치를 가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dow rubber pad 160 has a rubber pad receiving protrusion 165, and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rubber pad receiving protrusion 165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on the substrate, The device can be protected. In this embodiment, the knob movable portion 115 can press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which is one of the rubber pad receiving projections 165,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은 노브 가동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고, 윈도우 록 고정 접점(140)은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데,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은 노브 가동부에 의하여 가압 가동되어 윈도우 록 고정 접점(140)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된다.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is pressed and operated by the movable portion of the knob, and the window lock fixed contact 14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window switch housing.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is moved by the movable portion of the knob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window lock stationary contact 140.

본 실시예에서의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은 기판(200)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U자 구조를 취한다.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은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와 가동 접점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in this embodiment has a U-shaped structur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200.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includes a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ing portion 133.

가동 접점 장착부(131)는 기판(500)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고,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는 적어도 일부가 가동되어 윈도우 록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가동 접점 장착부(131)의 외측에는 가동 접점 장착 돌기(132)가 구비되어 기판(500)에 대한 위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is fixedly mounted on the substrate 500,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is at least partially movable so as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contacting or releasing the contact with the window lock fixed contact. A movable contact mounting protrusion 13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fixture to the substrate 500.

가동 접점 연결부(133)는 가동 접점 장착부(131) 및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를 연결하는데, 가동 접점 연결부(133)는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를 기판에 투영하는 경우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 상에 교차 투영되어 교차되는 교차 투영 면적을 형성하도록 U자 구조를 취한다. The movable contact connection part 133 connects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art 131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The movable contact connection part 133 connects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art 13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are cross-projected onto the substrate to form an intersecting projected area.

또한,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는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과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을 포함하는데,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은 윈도우 록 고정 접점과 직접적으로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은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의 외측으로 기판(500)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170)와 접촉 가능하다.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includes a movable contact free end 1353 and a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end 1351.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3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indow lock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stage 1351 is formed outside the movable contact free contact stage 1353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strate 500 and is contactable with the window lock compliant 170. [

이러한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은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170)와의 복수 지점에서의 접촉을 통하여 안정적인 접촉 지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stages 1351 can be provided to establish a stable contact support state through contact at a plurality of points with the window lock compliant 170.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170)는 기판(500) 상에 배치되어 윈도우 록 가동 접점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데,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170)는 양단부가 기판에 장착되는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The window lock compliant 17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500 to limi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70. The window lock compliant 170 may have a U-shaped configuration with both ends mounted on the substrate.

보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170)는 기판에 삽입 장착되는 컴플라이언트 바디(173)와, 양단이 상기 컴플라이언트 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과 접촉하여 상기 윈도우 록 가동 접점의 가동을 제한하는 컴플라이언트 스톱퍼(171)를 포함할 수 있다. 컴플라이언트 스톱퍼(171)는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과 접촉 가능하고 일정한 위치를 점하여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의 과도한 위치 변동을 제한한다. More specifically, the window lock compliant 170 includes a compliant body 173 that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and has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compliant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stage to permit movement of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And a compliant stopper 171 that restricts movement of the stopper. The compliant stopper 171 is contactable with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terminal 1351 and points to a fixed position to limit the excessive positional fluctuation of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

컴플라이언트 바디(173)는 중앙에 바디 관통구를 갖고 기판으로의 삽입시 변형되는 바디 관통구 주변이 아치 타입의 부분을 형성하는 컴플라이언트 핀 구조를 취하여 삽입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The compliant body 173 may have a compliant pin structure having a body through-hole in the center and forming a portion of the arch-type around the body through-hole that is deformed upon insertion into the substrate,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inser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량 스위치 110: 차량 스위치 노브
400: 차량 스위치 하우징
100: Vehicle switch 110: Vehicle switch knob
400: Vehicle switch housing

Claims (20)

차량 스위치가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직 가압 가압 조작되도록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가동하도록 배치되는 스위치 플런저;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
상기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며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은 상기 기판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U자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A vehicle switch device in which a vehicle switch is mounted on a switch housing,
The vehicle switch comprising:
A switch knob mounted on the switch housing so as to be vertically pressurized and operated by a user;
A switch plunger arranged to vertically move in the switch housing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A switch fixing contact disposed on the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switch housing;
And a switch movable contact which is pressurized by the switch plunger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switch fixed contact,
Wherein the switch movable contact has a U-shaped structur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스위치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미러 조절 스위치이고,
상기 미러 조절 스위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의 대응 위치에서 수직 가압 가압 조작되도록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미러 조절 노브(110);
상기 미러 조절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가동하도록 배치되는 미러 조절 플런저(120);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미러 조절 고정 접점(140);
상기 미러 조절 플런저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며 상기 미러 조절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을 구비하고,
상기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은 상기 기판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U자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switch is a mirror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The mirror control switch (100)
A mirror control knob 110 mounted on the mirror switch housing such that the mirror switch housing is vertically press-opera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user;
A mirror control plunger (120) arranged to vertically move within the mirror switch housing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mirror control knob;
A mirror adjustment fixed contact (140) disposed on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mirror switch housing;
And a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130) which is pressurized and operated by the mirror control plunger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mirror control fixed contact,
Wherein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130) has a U-shaped structur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에는 상기 미러 조절 노브가 가압 조작된 상태에서 기준 배치 상태로 원상 복구되도록 상기 미러 조절 노브에 탄성력을 가하는 미러 조절 러버 패드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irror switch housing is mounted with a mirror adjusting rubber pad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irror adjusting knob so that the mirror adjusting knob is restored to the reference arrangement state when the mirror adjusting knob is pres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가동 접점(130)은:
상기 기판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는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적어도 일부가 가동되어 상기 미러 조절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 가능한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와,
상기 기판에 투영시 상기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의 적어도 일부는 교차 투영 면적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동 접점 장착부(131) 및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를 연결하는 가동 접점 연결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130 comprises:
A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which is fixedly mounted on the substrate,
A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at least partially movable to be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mirror adjusting fixed contact,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form an intersecting projection area when projected onto the substrate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ion part (133) for connecting the movable contact connection part (13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는 상기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는:
상기 미러 조절 고정 접점과 직접적으로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과,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의 외측으로 상기 기판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와 접촉 가능한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On the substrate, a mirror adjusting complier 170 for limiting the movable range of the mirror adjusting movable contact is provide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comprises:
A movable contact free end 1353 directly contacting or being released from the mirror adjusting fixed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step (1351) formed outside the movable contact free contact end (135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strate and in contact with the mirror adjustment complian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은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plurality of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ends (1351) are dispos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는 양단부가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irror adjustment compliant has a U-shape in which both ends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컴플라이언트(170)는:
상기 기판에 삽입 장착되는 컴플라이언트 바디(173)와,
양단이 상기 컴플라이언트 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과 접촉하여 상기 미러 조절 가동 접점의 가동을 제한하는 컴플라이언트 스톱퍼(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irror adjustment compliant 170 includes:
A compliant body 173 inserted into the substrate,
And a compliant stopper (171)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compliant body and contacting the free contact free end of the movable contact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mirror control movable contac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컴플라이언트 바디는 중앙에 바디 관통구를 구비하고 가압시 변형 가능한 컴플라이언트 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mpliant body is a compliant pin structure having a body through-hole at the center and being deformable when press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플런저(120)는 T자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irror control plunger (120) has a T-shap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조절 플런저(120)는:
일단측이 상기 미러 조절 노브의 하단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런저 샤프트(121)와,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타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 샤프트(121)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기 미러 조절 가동접점과 접촉 가능한 플런저 바디(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irror control plunger 120 comprises:
A plunger shaft 121 having one e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mirror control knob,
And a plunger body (123)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lunger shaft and perpendicular to the plunger shaft (121), the plunger body (123) being contactable with the mirror adjustable movable cont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 하우징에는 상기 플런저 샤프트의 수직 가동을 허용 안내하는 플런저 홀더(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irror switch housing is provided with a plunger holder (150) for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plunger shaf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스위치는 윈도우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switch is a window switch.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수직 가압 가압 조작되도록 상기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되는 윈도우 록 노브(110);
상기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록 고정 접점(140);
상기 윈도우 록 노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노브 돌기(115)에 의하여 가압되어 가동되며 상기 윈도우 록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을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은 상기 기판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U자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window lock switch 100 includes:
A window lock knob (110) mounted on the window switch housing so as to be vertically pressed and operated by a user;
A window lock stationary contact (140) disposed on a substrate disposed within the window switch housing;
And a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which is pressed by the knob protrusion 115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lock knob and is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window lock fixed contact,
Wherein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has a U-shaped structur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스위치 하우징에는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의 일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윈도우 록 러버 패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window switch housing is provided with a window lock rubber pad which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disposed in the window switch hous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록 가동 접점(130)은:
상기 기판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는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적어도 일부가 가동되어 상기 윈도우 록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 가능한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와,
상기 기판에 투영시 상기 가동 접점 장착부(131)와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의 적어도 일부는 교차 투영 면적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동 접점 장착부(131) 및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를 연결하는 가동 접점 연결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130 includes:
A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which is fixedly mounted on the substrate,
A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which is at least partially activated and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window lock fixed contact,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movable contact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form an intersecting projection area when projected onto the substrate And a movable contact connection part (133) for connecting the movable contact connection part (13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는 상기 윈도우 록 가동 접점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170)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접점 자유 단부(135)는:
상기 윈도우 록 고정 접점과 직접적으로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과,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의 외측으로 상기 기판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와 접촉 가능한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On the substrate, a window lock compliant 170 for limiting the movable range of the window lock movable contact is provided,
The movable contact free end (135) comprises:
A movable contact free end 1353 directly contacting or disengaging from the window lock fixed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step (1351) formed outside the movable contact free contact end (135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strate and in contact with the window lock complian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컴플라이언트단(135)과 상기 가동 접점 자유 접촉단(1353)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ovable contact free compliant term (135) and the free contact free end (1353) of the movable contact are integrally formed.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록 컴플라이언트는 양단부가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window lock compliant has a U-shape in which both ends are mounted on the boar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는:
상기 윈도우 록 노브의 위치를 탄성 지지하는 윈도우 록 노브 스프링(180)과,
상기 윈도우 록 노브의 위치를 사전 설정된 위치로 유지시키는 윈도우 록 캠부(6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window lock switch comprises:
A window lock knob spring 180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window lock knob,
And a window lock cam part (600)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window lock knob at a predetermined position.

KR1020160011295A 2016-01-29 2016-01-29 Mirror Switch for Vehicle Pending KR20170091200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295A KR20170091200A (en) 2016-01-29 2016-01-29 Mirror Switch for Vehicle
KR1020160132609A KR102726879B1 (en) 2016-01-29 2016-10-13 Switch for Vehicle
CN201621195665.3U CN207134279U (en) 2016-01-29 2016-10-28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295A KR20170091200A (en) 2016-01-29 2016-01-29 Mirror Switch for Vehic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609A Division KR102726879B1 (en) 2016-01-29 2016-10-13 Switch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00A true KR20170091200A (en) 2017-08-09

Family

ID=5965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295A Pending KR20170091200A (en) 2016-01-29 2016-01-29 Mirror Switch for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91200A (en)
CN (1) CN20713427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9A (en) 2017-10-13 2019-04-2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9A (en) 2017-10-13 2019-04-2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134279U (en) 2018-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813A (en) Electrical switch
JPH1186681A (en) Switchgear
KR101203688B1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KR20170090984A (en) Mirror Switch for Vehicle
KR20170091200A (en) Mirror Switch for Vehicle
US6262379B1 (en) Switch apparatus
KR102726889B1 (en) Mirror Switch for Vehicle
KR101602496B1 (en) Sliding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with the same
KR200460533Y1 (en) Slider switch unit
KR101110451B1 (en) Slider unit switch and power window switch module having the same
JP2004273199A (en) Switch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59979Y1 (en) Paddle shifting lever switching unit
KR102675893B1 (en) Push switch device and a switching unit with the same
KR101271844B1 (en) Vehicular multi mirror switching unit
KR101070028B1 (en) Sliding button switch unit for a vehicle
KR200431025Y1 (en) Seesaw switch device
JP2755283B2 (en) Switch device
KR101126484B1 (en)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KR20180096162A (en) Sunroof switch unit for vehicle
KR20110005116U (en) Window lock switch unit
KR101181636B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KR200471130Y1 (en) Window Lock Switch for Vehicle
KR101077442B1 (en)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side view mirrors of a vehicle
KR200469355Y1 (en) Door Lock Switch for Vehicle
KR100845257B1 (en) Seesaw switch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9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61013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