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569A - Supporter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upporter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5569A KR20180085569A KR1020170009283A KR20170009283A KR20180085569A KR 20180085569 A KR20180085569 A KR 20180085569A KR 1020170009283 A KR1020170009283 A KR 1020170009283A KR 20170009283 A KR20170009283 A KR 20170009283A KR 20180085569 A KR20180085569 A KR 201800855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portable terminal
- pair
- coupled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04N5/225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04N5/2253—
-
- H04N5/22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자신의 모습을 즉시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mmediately enlarging and confirming a state of itself captured by the portable terminal.
런닝이나 스트레칭시 또는 헬스용 기구 사용시, 운동 효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바른 자세로 운동할 것을 요한다.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는 거울을 보면서 자신의 자세를 교정하게 되는데, 거울이 비치되지 않는 곳에서 운동할 때, 혹은 거울 앞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어서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자신이 바른 자세로 운동하고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렵다.When running or stretching, or when using a fitness instrument, it is necessary to exercise in the correct posture in order to improve the exercise effect. As a result, it usually corrects his / her posture by looking at the mirror. When he / she is exercising in a place where the mirror is not provided, or when too many people are gathered in front of the mirror, It is difficult to make sure.
또한, 실내외 골프 연습장에서 연습자가 본인의 스윙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분석을 하고 싶을 때에는 고가의 스윙패턴 분석장비나 티칭프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the practitioner wants to check and analyze in real time whether the swing of the practitioner is correct in the outdoor golf driving range, it is inevitable to rely on expensive swing pattern analysis equipment or teaching pro.
이에 따라,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 이를 분석하여 자세를 교정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re are more and more people who want to photograph a person's own person by using a camera shooting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to correct the posture by analyzing it.
그런데, 이처럼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누군가 다른 사람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use the camera shooting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nother person should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또한,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적절한 지점에 별도로 거치해야 함에 따라, 주변에 적절한 거치 장소가 없는 야외에서는 촬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촬영 시작과 종료시, 그리고 촬영결과를 확인하고자 할 때마다 휴대용 단말기를 각각 조작해야 하므로, 운동 장소나 기구에서 자주 벗어나야 해서 운동의 연속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separately mounted at an appropriate point in order to take a picture of oneself, there is a problem in that shooting is not possible in an outdoor place where there is not a suitable place for hanging around.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operated each time the photographing starts and ends, and the photographing result is to be check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exercise since it must be frequently released from the exercise place or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즉석에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여 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older capable of photographing a user's appearance on the f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사체의 높이 또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older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subject or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신의 전방에 적절한 높이로 휴대용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직접적인 조작이 없이도 촬영 개시와 종료, 그리고 촬영 결과의 확인까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older capable of easily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at a proper height in front of itself and capable of starting and ending photographing and confirming a photographing result without directly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시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컴팩트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portable terminal holder that can be used while being used and folded and stored after us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제1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에 구비되는 렌즈와, 상기 렌즈의 하부에 구비되는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과 대향하도록 후면에 절개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후면에 결합되고, 전면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며, 내부에 제2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렌즈를 통해 상기 제2 공간부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로 반사하는 복수 개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first space formed therein, a len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front surface, a transparent window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ns, and a through-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supporting a portable terminal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first body such that the front display faces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second body has a second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ors reflecting the image of the subject incident on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lens to the camera lens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의 승강 및 상하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first body such that the first body can rotate up and down and up and dow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제1 몸체의 양측 상단에 일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의 하단에 다단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ans includes a pair of support bars, one of which is hinged to both upper ends of the first body, a pair of support bars that are elastically stretchable at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support bars,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바의 하단이 상단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pedestal to which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height adjusting bars are coupled to the upper en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는,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바의 하단이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과, 상기 한 쌍의 지지블록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includes a pair of support blocks,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height control bars being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ends, a rotation axis to which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pair of support blocks, And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supported on the gr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 하단부에 수납되며, 외부로 인출시 상기 받침부재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 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ing member, which is accommodated in a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upporting member when drawn ou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를 상기 제1 공간부에 수용하기 위해 저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to receive the pair of support members in the first spac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의 렌즈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상단 결합부와, 상기 상단 결합부의 후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하단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includes an upper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to face the lens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coupling portion And an upper coupling part bent at a lower end of the extended part a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결합부의 내부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하부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경과, 상기 제1 반사경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반사경에서 반사된 피사체의 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로 반사시키는 제2 반사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includes: a first reflector provid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and reflecting an image of an object incident on the inside of the upper engaging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 reflector installed on the first reflector and reflecting the image of the subjec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to a camera lens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몸체의 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하단 결합부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includes: a first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of an upper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to be coupled to a first engaging groove formed at an upper rea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elastic member coupl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or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body toward the first body,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의 렌즈가 광곽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와 상기 반사경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of the first body is an optical lens, and at least one convex lens is disposed between the lens and the mirro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의 투명창이 확대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first body may be a magnifying len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remot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Bluetooth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amera shoo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즉석에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여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and confirm its own appearance on the f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및 거치높이 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ounting and mounting h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자신의 전방에 적절한 높이로 휴대용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직접적인 조작이 없이도 한 자리에서 촬영 개시와 종료, 그리고 촬영 결과의 확인까지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portable terminal at a proper height in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without the direct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휴대성과 보관성이 우수하며,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접어서 컴팩트한 형태로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portability and storage, and can be spread and used when used, and can be folded and stored in a compact form after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수단이 내부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수단이 전개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in which a mounting means is hous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1; Fig.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in which a mounting means is deplo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수단이 내부에 수납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in which a mounting means is hous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Sectional view.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전면에 렌즈(210)와 투명창(220)이 구비되고 후면에 관통홀(230)이 절개 형성되는 제1 몸체(200)와, 제1 몸체(200)의 후면에 결합되는 잠망경 형태의 제2 몸체(300)를 포함하며, 제1 몸체(200)의 승강 및 상하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거치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여기서 제1 몸체(200)는 내부에 제1 공간부(201)가 형성되는 블록 형태이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직육면체 형태의 제1 몸체(2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몸체(200)의 규격 및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Here, the
제1 몸체(200)의 전면 상단부에는 렌즈(210)가 구비되며, 이 렌즈(210)를 통해 제1 몸체(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상이 제1 공간부(201)로 입사된다. 이때, 같은 거리에서 더 넓은 범위의 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1 몸체(200) 전면의 렌즈(210)는 광각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210)의 하부에는 투명창(220)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 투명창(22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 도 2 참조)의 전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몸체(200)의 후면에 투명창(220)과 대향하여 관통홀(230)이 절개 형성되며, 휴대용 단말기(10)는 전면 디스플레이가 관통홀(23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몸체(200)의 후방에 배치되나, 사용자는 제1 몸체(200) 후면의 관통홀(230)과 전면의 투명창(22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의 전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상을 제1 몸체(200)의 전방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
이때, 제1 몸체(200)의 투명창(220)을 통해 확대된 화상을 볼 수 있도록, 제1 몸체(200) 전면의 투명창(220)이 확대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200) 후면의 관통홀(230)에는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 방지를 위한 윈도우(231, 도 4 참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몸체(200) 전면의 투명창(220)을 통해 투영되는 화상의 확대를 위해 제1 몸체(200) 후면의 윈도우(231)가 확대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한편, 제1 몸체(200)의 후면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 몸체(300)의 상단 결합부(310)가 삽입되도록, 제1 몸체(200) 전면의 렌즈(210)와 대향하여 결합홀(240)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제1 몸체(200) 후면의 관통홀(230) 상단에는 후술하는 제2 몸체(300)의 연장부(320) 결합을 위한 제1 결합홈(250)이 형성되며, 제1 몸체(200) 후면의 관통홀(230) 하단에는 후술하는 제2 몸체(300)의 하단 결합부(330) 결합을 위한 제2 결합홈(260)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 몸체(200)의 저면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삽입홈(미도시)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거치수단(400)의 받침부재(433)를 제1 몸체(200) 내부의 제1 공간부(201)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제2 몸체(300)는 예컨대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을 따라 'ㄷ'자로 절곡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몸체(200)의 후면에 상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제1 몸체(2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10)를 제1 몸체(200) 방향으로 가압 지지한다. 이때, 제2 몸체(300)는 내부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301)에 복수 개의 반사경이 설치되어 잠망경 형태를 이루며, 제2 공간부(301)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반사경은, 제1 몸체(200) 전면 상단의 렌즈(210)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제1 몸체(200)의 후면에 배치된 휴대용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11)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제2 몸체(300)는, 제1 몸체(200)의 렌즈(210)와 대향하도록 제1 몸체(200) 후면 상단부의 결합홀(240)에 전단이 결합되는 상단 결합부(310)와, 상단 결합부(310)의 후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20)와, 연장부(32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제1 몸체(200)의 후면에 결합되는 하단 결합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2 몸체(300)의 연장부(320) 상단 내측에는 전술한 제1 몸체(200)의 제1 결합홈(250)에 대응 결합하도록 제1 결합돌기(321)가 돌출 형성되며, 하단 결합부(330)의 전면에는 제1 몸체(200)의 제2 결합홈(260)에 대응 결합하도록 제2 결합돌기(331)가 돌출 형성된다. A first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몸체(300)가 제1 몸체(200)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1 결합돌기(321) 또는 제2 결합돌기(331)에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 몸체(300)를 제1 몸체(200)로부터 이격시키고 제1 몸체(200)의 후면과 제2 몸체(300) 사이에 휴대용 단말기(10)를 끼워넣을 수 있으며, 제2 몸체(300)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를 제1 몸체(200) 방향으로 가압 지지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321)와 제2 결합돌기(331) 모두에 전술한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and
또한, 연장부(320)의 내측면에는 제1 결합돌기(321)의 하부에 통공(340)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통공(340)은 휴대용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2 반사경(360)으로부터 반사된 피사체의 상이 이 통공(34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11)로 입사된다. 사용자는 블루투스 리모콘(미도시)을 조작하여 휴대용 단말기(10)의 카메라 촬영 기능을 ON/OFF 할 수 있으며,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과 줌인, 줌아웃 등의 기능을 선택 조작할 수 있다.A through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20)의 내부 상단에 제1 반사경(350)의 하단이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1 반사경(350)은 제1 몸체(200)의 렌즈(210)와 제1 공간부(201) 및 상단 결합부(310)의 전단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단 결합부(310)의 내부로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연장부(320)의 하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lower end of the
제1 반사경(350)의 하부에는 통공(34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반사경(360)의 상단이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2 반사경(360)은 제1 반사경(350)을 거쳐 반사된 피사체의 상을 휴대용 단말기(10) 후면의 카메라 렌즈(11) 쪽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반사경(360)에 의해 반사된 피사체의 상은 통공(34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11)로 입사된다. The upper end of the
제1 몸체(200)의 렌즈(210)가 광각렌즈 등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경우, 광각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이 거꾸로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몸체(300)의 상단 결합부(310) 내부에는 상하 교정용 볼록렌즈(3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단 결합부(310) 내 볼록렌즈(370)의 설치 지점은 광곽렌즈와 볼록렌즈(370)의 촛점거리를 감안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단 결합부(310)의 전단에 볼록렌즈(370)가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여기서, 화상의 선명도와 확대도를 감안하여 제1 몸체(200)의 렌즈(210)와 제2 몸체(300)의 제1 반사경(350) 사이, 그리고 제1 반사경(350)과 제2 반사경(360) 사이에 복수 개의 렌즈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 반사경(350)과 제2 반사경(360) 및 렌즈는 끼움 결합 또는 접착 등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considering the sharpness and enlargement of the imag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수단이 전개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면 사시도이다.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in which a mounting means is deplo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400)은 제1 몸체(200)의 상하 방향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mounting mean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여기서 거치수단(400)은, 제1 몸체(200)의 양측에 일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바(410)와, 각각의 지지바(410)의 하단에 다단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바(420)를 포함한다.The mounting means 400 includes a pair of support bars 410 hinged to one side of each side of the
일 예로서, 제1 몸체(200)의 일측에 힌지축(270, 도 3 참조)이 돌출 형성되고, 제1 몸체(200)의 힌지축(270)이 지지바(410)의 내측에 형성되는 힌지홈(411, 도 3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지지바(41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축이 제1 몸체(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3)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제1 몸체(200)의 양측에 한 쌍의 지지바(410)가 각각 힌지 결합됨에 따라, 제1 몸체(200)는 지지바(410)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몸체(200)의 회전 각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카메라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몸체(200)가 한 쌍의 지지바(410)에 대하여 틸팅(tilting)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중 촬영 각도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힌지축이 힌지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그 마찰력에 의해 제1 몸체(200)의 회전 각도가 촬영중 계속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air of support bars 410 are hinged to both sides of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바(410)가 직육면체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지지바(410)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높이조절바(420)는 길이 방향으로 접철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형 단위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안테나식으로 다단 신축된다. 즉, 사용자는 높이조절바(420)의 전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에 적절한 제1 몸체(200)의 설치 높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적절한 높이에서 별도의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높이조절바(420)의 전개 길이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한 쌍의 높이조절바(420) 하단에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대(430)가 결합된다.A
여기서 받침대(430)는, 한 쌍의 높이조절바(420)의 하단이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431)과, 한 쌍의 지지블록(431)의 내측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432)과, 회전축(432)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433)를 포함한다.Here, the
지지블록(431)은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높이조절바(4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축(432)은 한 쌍의 지지블록(431)을 연결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한 쌍의 받침부재(433)는 회전축(432)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가 전후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예로서, 한 쌍의 받침부재(433)는 어느 하나의 받침부재(433) 내측에 나머지 하나의 받침부재(433)가 수용되도록 그 폭과 길이를 달리하여 'U'자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받침부재(433) 내측에 나머지 하나의 받침부재(433)가 배치되도록 겹쳐서 수직하게 세우면, 높이조절바(420)의 수축시 한 쌍의 받침부재(433)가 제1 몸체(200) 저면의 삽입홈을 통해 제1 공간부(201)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재(433)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받침부재(433)가 제1 몸체(200)의 제1 공간부(201)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제1 몸체(200) 전면의 투명창(22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의 전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쌍의 받침부재(433)는 회전축(432)에 대하여 틸팅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마찰력에 의해 회전각도가 계속 유지되게끔 하거나, 별도의 고정구(미도시)를 사용하여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한편, 지지블록(431)의 외측 하단부에는 보조 받침부재(434)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받침부재(434)는 지지블록(431)의 외부로 인출시 받침부재(433)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면에 지지되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가 좌우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휴대 또는 보관시에는 보조 받침부재(434)를 지지블록(431) 내부에 수납하여 휴대 또는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보조 받침부재(434)를 지지블록(431)으로부터 인출하여 지면에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보조 받침부재(434)가 지면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보조 받침부재(434)의 단부에는 걸림턱(434a)이 하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6 is a use state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사용 전 보관시 또는 휴대시, 받침대(430)는 제1 몸체(200)와 지지바(410)의 하단에 밀착되어 컴팩트한 형태를 이루며, 이때 높이조절바(420)는 지지바(410)의 내부에 수납되고, 받침부재(433)는 제1 몸체(200)의 제1 공간부(201)에 수납되며, 보조 받침부재(434)는 지지블록(431) 내부에 수납된다.The
사용시에는 제1 몸체(200)의 하부 방향으로 받침대(430)를 잡아당겨 내릴 수 있으며, 이때 높이조절바(420)가 다단으로 전개되어 길이가 늘어난다. 지면의 적절한 지점에 받침대(430)를 안착시킨 후, 한 쌍의 받침부재(43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보조 받침부재(434)를 지지블록(431)으로부터 인출하여 지면에 지지시키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설치가 완료된다.In use, the
이후, 한 쌍의 지지바(410)에 대하여 제1 몸체(200)를 적절한 각도로 상하 회전시켜 촬영 각도를 조절한 후 카메라 촬영을 실시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의 카메라 촬영은 별도의 블루투스 리모콘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원래의 촬영지점을 벗어나지 않고도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물을 제1 몸체(200) 전면의 투명창(22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카메라 촬영시 피사체의 상은 제1 몸체(200) 전면의 렌즈(210)로 입사되며, 필요에 따라 제1 공간부(201) 또는 제2 몸체(300)의 상단 결합부(310)에 설치되는 볼록렌즈(370)를 거쳐, 제1 반사경(350)에 의해 아래쪽으로 반사된다. 제1 반사경(350)에서 반사된 피사체의 상은 제1 반사경(3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반사경(360)에 의해 반사되어, 제2 몸체(300)의 연장부(320) 내측에 형성된 통공(34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의 후방 카메라 렌즈(11)로 입사된다.The image of the subject is incident on the
이후, 블루투스 리모콘 조작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상이 휴대용 단말기(10)의 전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이렇게 표시되는 화상은 제1 몸체(200) 후면의 관통홀(230)과 제1 몸체(200) 전면의 투명창(220)을 통해 전방의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200) 전면의 렌즈(210)를 광각렌즈로 구성하여 더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고, 제1 몸체(200) 전면의 투명창(220)을 확대렌즈로 구성함으로써 촬영된 화상을 확대하여 볼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An image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the operation of the Bluetooth remote controller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of the
사용 후에는, 보조 받침부재(434)를 지지블록(431) 내에 수납하는 한편, 한 쌍의 받침부재(433)가 서로 겹쳐지도록 수직하게 세우고 높이조절바(420)의 길이를 축소시킨다. 이때, 받침부재(433)가 제1 몸체(200)의 내부에 수납되고, 높이조절바(420)는 지지바(410)의 내부에 수납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체 크기가 줄어들어 컴팩트한 형태로 용이하게 휴대 또는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e auxiliary support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휴대용 단말기 11 : 카메라 렌즈
100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200 : 제1 몸체
210 : 렌즈 220 : 투명창
300 : 제2 몸체 310 : 상단 결합부
320 : 연장부 330 : 하단 결합부
350 : 제1 반사경 360 ; 제2 반사경
370 : 볼록렌즈 400 : 거치수단
410 : 지지바 420 : 높이조절바
430 : 받침대 431 : 지지블록
432 : 회전축 433 : 받침부재
434 : 보조 받침부재10: portable terminal 11: camera lens
100: portable terminal holder 200: first body
210: Lens 220: Transparent window
300: second body 310: upper coupling part
320: extension part 330: bottom joint part
350:
370: convex lens 400: mounting means
410: support bar 420: height adjustment bar
430: pedestal 431: support block
432: rotating shaft 433: receiving member
434: auxiliary supporting member
Claims (14)
상기 제1 몸체의 후면에 결합되고, 전면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며, 내부에 제2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렌즈를 통해 상기 제2 공간부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로 반사하는 복수 개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A first body having a first space formed therein, a len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 a transparent window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ns, and a through hole formed at a rear surface so as to face the transparent window; And
And a second bod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supporting a portable terminal disposed behind the first body such that the front display faces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second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ors reflecting an image of a subject incident on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lens to a camera lens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1 몸체의 승강 및 상하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first body such that the first body can be lifted and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제1 몸체의 양측 상단에 일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의 하단에 다단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2,
The mounting means includes:
A pair of support bars hing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body, and a pair of height adjusting bars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upport bars so as to be elastically stretchable in multiple stages, .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바의 하단이 상단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evat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pedestal to which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height adjusting bars are coupled to the upper ends.
상기 받침대는,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바의 하단이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과, 상기 한 쌍의 지지블록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4,
The pedestal includes a pair of support blocks each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bars, a rotation shaft to which the opposite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ir of support blocks, And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supported on the ground by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 하단부에 수납되며, 외부로 인출시 상기 받침부재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upporting member which is received in a lower end portion of one side of the support block a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at a right angle with the support member when the support block is drawn out to the outside.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를 상기 제1 공간부에 수용하기 위해 저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body further comprises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for receiving the pair of receiving members in the first space.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의 렌즈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상단 결합부와, 상기 상단 결합부의 후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하단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includes an upper engaging portion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so as to face the lens of the first body, an exten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engaging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a lower engaging portion bent and join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결합부의 내부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하부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경과, 상기 제1 반사경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반사경에서 반사된 피사체의 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로 반사시키는 제2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body may include a first reflector provided at an inner upper end of the extended portion and reflecting an image of an object incident into the upper end engaging portion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flecto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image of the subject to the camera lens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몸체의 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하단 결합부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body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extended por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engag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1 몸체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body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elastic member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or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body toward the first body, Terminal holder.
상기 제1 몸체의 렌즈가 광곽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와 상기 반사경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렌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s of the first body is an optical lens, and at least one convex lens is provided between the lens and the mirror.
상기 제1 몸체의 투명창이 확대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first body comprises an enlarged lens.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리모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luetooth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camera shoo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9283A KR20180085569A (en) | 2017-01-19 | 2017-01-19 | Supporter for mobi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9283A KR20180085569A (en) | 2017-01-19 | 2017-01-19 | Supporter for mobile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5569A true KR20180085569A (en) | 2018-07-27 |
Family
ID=6307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9283A Abandoned KR20180085569A (en) | 2017-01-19 | 2017-01-19 | Supporter for mobi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85569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62349A (en) * | 2019-10-30 | 2020-02-07 | 徐州众星显示科技有限公司 | Compatible display screen |
KR20200071486A (en) * | 2018-12-11 | 2020-06-19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Pillar-mounting self camera cradle module |
KR102348648B1 (en) * | 2020-11-30 | 2022-01-06 | 김철주 | Device for stan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2017
- 2017-01-19 KR KR1020170009283A patent/KR20180085569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1486A (en) * | 2018-12-11 | 2020-06-19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Pillar-mounting self camera cradle module |
CN110762349A (en) * | 2019-10-30 | 2020-02-07 | 徐州众星显示科技有限公司 | Compatible display screen |
KR102348648B1 (en) * | 2020-11-30 | 2022-01-06 | 김철주 | Device for stan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91785B1 (en) | Interchangeable media prompting assembly and method for prompting | |
JP6517717B2 (en) | Portable fold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 |
JP3139920U (en) |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photography function | |
KR200489040Y1 (en) | Virtual display device | |
CN113167994B (en) | Folding desk type electronic amplifier | |
US20150029352A1 (en) | Collapsible cell phone boom arm | |
KR101109583B1 (en) | Imaging device to open and close the holder | |
KR101840741B1 (en) | linked phone type selfie apparatus | |
KR102155958B1 (en) | Smart support device | |
KR20180085569A (en) | Supporter for mobile device | |
JP4371016B2 (en) | Electronics | |
JP2004080147A (en) | Portable terminal apparatus with camera | |
CN105301872A (en) | Camera reflector | |
KR200462189Y1 (en) | visual presenter with dual camera | |
EP1586942A1 (en) | Display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alternatively onto remote surface and a rear projection screen | |
JP4110268B2 (en) | camera | |
JP2004208176A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 |
JP2019522824A (en) | Fitting room with portrait photographic system and computer program | |
JP2006115485A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200484029Y1 (en) | The selfie pad for selfie smartphone | |
JP3077035U (en) | Stand with enlargement part for portable electric equipment having screen display part | |
KR20110006501U (en) | Mobile phone stand that supports the self-video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 |
US20060082682A1 (en) | Camera LCD screen viewing device | |
CN209000408U (en) | virtual display | |
JP3219103U (en) | Virtual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6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