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01U - Mobile phone stand that supports the self-video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stand that supports the self-video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6501U KR20110006501U KR2020090016667U KR20090016667U KR20110006501U KR 20110006501 U KR20110006501 U KR 20110006501U KR 2020090016667 U KR2020090016667 U KR 2020090016667U KR 20090016667 U KR20090016667 U KR 20090016667U KR 20110006501 U KR20110006501 U KR 2011000650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mirror
- video
- self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기술분야(A) Technical field
본 고안은 휴대폰의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수단 중 하나인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which is one of the auxiliary means to use the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more efficiently
(나)해결하고자 하는 과제(B) the problem to be solved;
휴대폰의 셀프동영상촬영 시에 화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자신의 모습을 보다 안정적으로 포착 할 수 있도록 보조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 방법How to configure the mobile phone holder to provide a supplementary means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screen and to capture yourself more stably when taking a self-video of the mobile phone
(다)과제의 해결수단(C) means of solving the task;
휴대폰거치대에 있어 휴대폰을 삽입하여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수납부의 외부 벽면에 거울을 부착하고 이 거울면을 휴대폰 카메라의 초점부분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거울을 보면서 보다 완성도가 높은 영상물을 제작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mobile phone holder, a mirror i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storage unit where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to stably hold the mobile phone, and the mirror surface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n the direction that matches the focal point of the mobile phone camera. It is to be able to produce high-quality video.
(라)효과(D) effect
휴대폰을 이용한 셀프동영상 촬영 시 보다 구도가 잘 잡힌 화면을 확보 할 수 있으며 흔들림이 없는 영상물을 얻을 수 있다.When taking a self-moving video using a mobile phone, it is possible to secure a more well-organized screen and to obtain a video without shaking.
휴대폰. 동영상. 카메라. 셀프. 거울. 마찰힌지. cellphone. video. camera. self. mirror. Friction hinge.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폰의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보조수단 중 하나인 휴대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부가기능중 동영상 촬영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radle, which is one of the auxiliary means for making more convenient use of the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video recording function among the additional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최근의 휴대폰은 통신기능 외에도 모바일게임, 뱅킹, 모바일비지니스 등 많은 기능을 구사하는 종합 모바일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이 같은 휴대폰의 많은 기능 중 사진 과 동영상을 촬영 할 수 있는 영상제작기능 역시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일반 디지털카메라와 캠코더의 화질에 크게 뒤지지 않는 높은 품질의 영상물을 얻을 수 있는 제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mobile phones are developing into a comprehensive mobile device that uses many functions such as mobile games, banking, and mobile business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functions. Among the many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the video production function that can take pictures and videos has also evolved dramaticall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products that can obtain high-quality video materials that are inferior to those of general digital cameras and camcorders. .
이와 같이 휴대가 간편한 휴대폰의 동영상 촬영기능은 일상 중에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그때그때 기록하여 기념물을 만들거나 각종 자료를 수집하는 등 기록매체로서 그 용도가 점점 확대 되고 있을 뿐 아니라 자기 자신의 표정을 다듬어 보다 매력 있고 친근한 표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자신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골프, 야구 등 자신의 스포츠 폼을 교정하고 숙련하고자 자신의 동작을 기록 할 때 대단히 편리하며 능률적이다This mobile phone video recording function records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everyday life at that time, making monuments or collecting various materials as recording media. It is very convenient and efficient when shooting videos of yourself to develop more attractive and friendly expressions, or recording your own movements to correct and train your sports forms such as golf and baseball.
본 고안은 이 같은 휴대폰의 영상제작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고안된 휴대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designed to use the video production function of such a mobile phone more efficiently.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동영상 기능 중 자신의 모습이나 동작을 촬영하는 셀프 촬영 시에 목표로 하는 대상의 촬영범위를 정확하게 조준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거치 한 다음 임의로 촬영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mobile phone holder that can be used to adjust the shooting angle after mounting the mobile phone in order to precisely aim the shooting range of the target object during self-shooting of the video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will be.
일반적으로 휴대폰으로 셀프촬영을 할 때 한 손으로 휴대폰을 파지 한 후 대략 짐작해서 자신의 모습을 조준 한 후 촬영하게 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당히 숙달되기 전에는 품질이 높은 영상물을 얻기 어렵다. 특히 셀프동영상 촬영의 경우에는 화면이 많이 흔들릴 뿐 아니라 초점이 맞지 않는 등 좋은 화면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In general, when taking a self-portrait with a mobile phon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high-quality video until the user is quite mastery because the user is required to hold the mobile phone with one hand and then roughly guess and aim himself. Especially in the case of self-video shooting, it is more difficult to secure a good screen such as not only shaking the screen but also out of focus.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흔들리지 않는 영상과 초점이 정확한 영상물을 제작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for improving the above problems so that the user can produce an image that is not shaken and the focus is accurate.
휴대폰을 수납하는 휴대폰 거치대의 수납부 외부 벽면에 거울을 부착 하고 이 수납부를 임의로 조절하여 거울면을 휴대폰카메라렌즈의 초점 방향과 일치 시킬 수 있도록 하면 사용자가 자기의 모습을 촬영하는 셀프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휴대폰을 휴대폰 거치대에 수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모드를 작동시킨 후 피사체의 위치에 자리하고 거울을 보면서 의도하는 표정을 연출하거나 동작을 구사하면 피사체의 정확한 구도가 잡힌 영상이 촬영되며 화면이 흔들리지 않는 고품질의 영상물을 얻을 수 있다.If you attach a mirror to the outer wall of the cell phone holder's housing that holds the mobile phone, and adjust the storage part arbitrarily so that the mirror surface can be matched to the focal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camera lens, the user wants to take a self-video When the user places the mobile phone in the mobile phone holder and activates the video recording mode, the user is placed at the subject's position and looks in the mirror to create the desired facial expression or ges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quality video that is not shaken.
본 고안은 이와 같이 휴대폰 카메라렌즈의 초점 방향과 거울이 비추는 방향이 일치 할 수 있도록 임의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거울을 휴대폰거치대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mirror on the mobile phone holder can be adjusted arbitrarily so that the focal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camera lens and the mirror reflected direction.
이와 같은 휴대폰거치대는 셀프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폰 카메라의 렌즈가 정확하게 자신의 모습을 조준 할 수 있도록 하며 흔들림이 없는 영상을 제작 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거울을 보면서 다양한 표정 등을 연출 할 수 있어 보다 완성도가 높은 영상물을 제작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uch mobile phone stand enables the user to easily aim the lens of the mobile phone camera accurately when taking a self-video, and to produce a video without shaking so that the user can produce various expressions while looking in the mirr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a more complete image.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는 핸드폰을 수납 할 수 있는 수납부(10)와 거치대를 안정되게 바닥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부(20)와 수납부(10)와 지지부(20)를 연결하여 수납부(10)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전후좌우로 수납부(10)를 회전 시킬 수 있게 하는 연결힌지부(30) 로 구성되고 수납부(10)의 외부 벽면에는 거울(40)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The mobile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상기한 구성으로 만들어진 휴대폰거치대는 셀프동영상 촬영 시에 휴대폰을 휴대폰거치대의 수납부(10)에 삽입하게 되면 통상 휴대폰카메라가 휴대폰 프레임의 수평면과 90도를 이루는 촬영각도를 가지므로 수납부(10)의 외벽 면에 부착된 거울 (40)면과 카메라렌즈가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게 되므로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모드를 작동한 뒤 피사체의 위치에 자리하고 다음 수납부(10)에 부착된 거울(40)을 조정하여 자기의 모습을 거울(40)에 비추게 되면 거울(40)에 비치는 모습 그대로 촬영된 영상을 얻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높은 품질의 셀프동영상을 제작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obile phone holder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inserted into the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닥과 접촉하는 지지부(20)는 상부(201)와 하부(202)가 결합된 형태이며 하부202)의 중앙에는 원형의 하우징 홈(221)이 형성되어 볼 형상의 샤프트(301)를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302)이 내장되고 이 하부(202)와 일체로 결합되어지는 상부(201)는 중앙에 하우징홈(221)에 대응하는 반원형 홈(211)이 개설되어지며 이 반원형 홈(211)의 상단 일부는 샤프트(301)가 수납부(10)와 연결하여 결합 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있으며 수납부(10) 외벽면에는 거울(40)이 부착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detail, the
이와 같은 구조는 하우징홈(221)에 스프링(302)을내장하고 상부(201)를 하부(202)와 일체로 결합하면 샤프트(301)에 연결된 수납부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방향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프링(302)의 탄성이 샤프트(301)를 상부의 반원형 홈(211)쪽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마찰토크로 인하여 휴대폰을 수납하는 수납부(10)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그 방향이 고정된다.Such a structure allows the
이와 같이 된 거치대는 촬영 시에 사용자가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수납부(10)를 조절하여 수납부(10)의 방향을 설정하게 되면 촬영하는 동안 그 방향을 고정 할 수 있게 되어 흔들리지 않는 화면을 확보 할 수 있으며 거울(40)을 보면서 보다 완성도가 높은 영상물을 제작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의 탄성은 휴대폰의 무게를 충분히 견디는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As such, when the user sets the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수납부(10)를 임의의 방향으로 조절 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은 기존에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설명한 방안 또한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이 외에도 다른 형태의 마찰힌지를 이용하여 수납부의 방향을 조절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적용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allowing the
본 고안의 요지는 상기와 같이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구성된 휴대폰거치대의 수납부(10)의 외측 일면에 거울(40)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attaching the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요지는 상기한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 카메라렌즈의 초점방향이 휴대폰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는 일자형 휴대폰에는 잘 적용되지만 그러나 휴대폰의 종류가 다종다양하고 카메라렌즈의 촬영각도가 휴대폰 후레임의 직각방향파 다른 경우가 있어 휴대폰을 거치대의 수납부에 수납했을 경우 카메라렌즈의 촬영각도가 거울(40)면과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보정 할 또 다른 수단이 필요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ell applied to a straight type mobile phone in which the focal direction of the camera lens is perpendicular to the mobile phone frame in carrying out the above invention. However, there are many types of mobile phones and the shooting angles of the camera len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obile frame. Orthogonal wave may be different, so when the mobile phone is stored in the holder of the cradle,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lens may be different from the
예를 들어 휴대폰카메라의 촬영각도가 휴대폰 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는 일자형 제품이 있는가 하면 도면4에 도시한바와 같이 개폐형 폴더를 가진 폴더형 휴대폰단말기(50)의 경우 촬영을 위하여 폴더를 개방하게 되면 카메라렌즈(501)가 내장된 덮개가 통상 프레임과 160도 내외의 경사각을 이루는 정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므로 자연히 수납부(10)의 외벽에 일체로 부착된 거울(10)면과 카메 라렌즈(501)의 촬영각도가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거울(40)면을 카메라렌즈(501)의 촬영방향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거울(40)에 비치는 장면이 그대로 카메라렌즈에 포착되도록 거울(40)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re is a straight product in which the shooting angle of the mobile phone camera is perpendicular to the frame of th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the folding
본 고안에서는 휴대폰거치대의 일면에 거울(40)을 부착하되 이 거울(40)을 따로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 하였는데 그 구조는 휴대폰거치대의 수납부(10)상단과 거울(40)의 일단이 마찰힌지(401)를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적용 할 수 있는 마찰힌지는 수납부 전체를 조절하는 수납부 연결힌지(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조절하여 방향이 이동된 상태에서 외부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그 위치가 고정되어 유지 될 수 있는 정도의 마찰력을 가진 것이면 되고 통상적으로 많은 종류가 있어 선택적으로 적용 할 수 있으므로 거울(40)면과 수납부(10)의 상단을 연결하는 마찰힌지(401)의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friction hinge that can be applied to this position can be fixed as long as the user does not apply external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is moved by adjusting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storage
이와 같이 된 휴대폰 거치대는 셀프촬영 시에 휴대폰 카메라렌즈가 프레임과 90도의 촬영각도를 갖는 1자형 휴대폰의 경우에는 거울(40)면이 수납부의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하고 카메라렌즈(501)의 초점이 수납부의 벽면과 어긋나게 되는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에는 거울(40)을 조절하여 카메라렌즈(501)가 내장된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의 평면과 거울(40)면이 평행이 되도록 조절함으로서 거울(40)에 비치는 모습이 카메라렌즈(501)의 초점과 일치하도록 조정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mobile phone holder is used in the case where the mobile phone camera lens has a shooting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frame when taking a self-photographing, while the
제1도는 본 고안 휴대폰거치대의 분해도.1 is an exploded view of the mobile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조립된 휴대폰거치대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mobile phone holder.
제3도는 폴더형 휴대폰거치대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mobile phone holder.
제4도는 폴더형 휴대폰을 삽입한 거치대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with a clamshell phone inserted.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6667U KR20110006501U (en) | 2009-12-22 | 2009-12-22 | Mobile phone stand that supports the self-video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6667U KR20110006501U (en) | 2009-12-22 | 2009-12-22 | Mobile phone stand that supports the self-video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501U true KR20110006501U (en) | 2011-06-29 |
Family
ID=4929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6667U Ceased KR20110006501U (en) | 2009-12-22 | 2009-12-22 | Mobile phone stand that supports the self-video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6501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1500B1 (en) * | 2014-10-10 | 2015-02-09 | 주식회사 팝폰 | Mobile phone cradle for possible self-shooting |
WO2016047948A1 (en) * | 2014-09-25 | 2016-03-31 | 최의승 | Length-adjustable folder-type vehicular cradle |
KR20190053061A (en) | 2017-11-09 | 2019-05-17 | 강영규 | Cell phone supporter set for vehicles |
-
2009
- 2009-12-22 KR KR2020090016667U patent/KR20110006501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47948A1 (en) * | 2014-09-25 | 2016-03-31 | 최의승 | Length-adjustable folder-type vehicular cradle |
KR101491500B1 (en) * | 2014-10-10 | 2015-02-09 | 주식회사 팝폰 | Mobile phone cradle for possible self-shooting |
WO2016056721A1 (en) * | 2014-10-10 | 2016-04-14 | 주식회사 팝폰 | Mobile phone holder enabling selfie to be taken |
KR20190053061A (en) | 2017-11-09 | 2019-05-17 | 강영규 | Cell phone supporter set for vehic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80807B2 (en) | Camera system with mirror arrangement for generating self-portrait panoramic pictures | |
KR100803504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dual camera | |
US20150029352A1 (en) | Collapsible cell phone boom arm | |
US10491785B1 (en) | Interchangeable media prompting assembly and method for prompting | |
JP6517717B2 (en) | Portable fold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 |
US20160044227A1 (en) |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 |
US20070010289A1 (en) | Detachable large display unit for cell phones | |
CN108024046B (en) | Cameras and Terminals | |
KR20130002118U (en) | Stand for photographing and reading business cards with mobile devices | |
CN107995406B (en) | Shooting device and terminal | |
KR20110006501U (en) | Mobile phone stand that supports the self-video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 |
KR200479601Y1 (en) | Mobile phone case for multipurpose | |
JP2010141485A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 |
JP3869813B2 (en) | Electronic imaging device | |
JP4110268B2 (en) | camera | |
JP5953794B2 (en) | Imaging device | |
JP6852760B2 (en) | Imaging device | |
WO2015062037A1 (en) | Panoramic lens of cellphone | |
US9936111B1 (en) | Articulating imag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s | |
CN222053102U (en) | AI Phone | |
US11910075B2 (en) | Imaging apparatus | |
JP2024115686A (en) | Imaging device | |
JP4292408B2 (en) | Camera phone | |
CN118784946A (en) | Camera equipment | |
TWM411763U (en) | Support structure and the outer shell has a suppor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12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524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