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82765A - 연료 압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압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765A
KR20180082765A KR1020170004036A KR20170004036A KR20180082765A KR 20180082765 A KR20180082765 A KR 20180082765A KR 1020170004036 A KR1020170004036 A KR 1020170004036A KR 20170004036 A KR20170004036 A KR 20170004036A KR 20180082765 A KR20180082765 A KR 20180082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ember
fuel
housing
valve seat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익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7000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765A/ko
Publication of KR20180082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6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02M37/0029Pressure regulator in the low pressure fue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사용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공급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되는 밸브시트;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에 안착 되어, 연료의 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폐하는 밸브부재;
상기 밸브부재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면서, 하우징을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획분리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밸브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료의 압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가압 또는 피가압 되어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유도하는 탄성스프링;
으로 구성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 주연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재에는 상하관통된 연료 이송로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방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를 상방 가압하여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의 연료 이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 유입된 후 상부 하우징의 상방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결합되면서 일측 개구된 구형상의 수용공간홈을 갖는 밸브시트본체와 상기 수용공간홈과 대응되도록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회동볼로 이루어져 밸브시트본체와 회동볼이 상호 피벗 결합 되며, 상기 회동볼에는 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의 하부와 접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밸브부재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와 밀찰된 회동볼이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밸브부재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와 밀찰된 회동볼이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 압력 조절장치 {FUEL PRESSUR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사용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차량 등의 연료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연료공급라인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연료 압력 조절장치(1)는, 크게 볼(20)과 밸브판(11)이 구비된 밸브부재(V), 밸브시트(10), 하우징(30), 다이어프램(40), 스프링(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료의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연료 압력 조절장치(1)를 경유하는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50)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V)의 밸브판(11)이 상기 밸브시트(10)를 폐쇄하는 위치로 가압 되어 있다.
그런데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일정 이상 증가하면, 연료의 압력을 받은 상기 다이어프램(40)이 상승하면서 스프링(50)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40)이 상승함에 따라 다이어프램(40)에 고정 결합 되어 있는 밸브부재(V)가 동시에 상승함으로써, 밸브시트(10)를 개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된 연료는 항상 일정 이상 압력일 경우에만, 상기 밸브시트(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다이어프램(40)의 유동이 지속적으로 불규칙하게 반복되다 보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밸브시트(10)와 상기 밸브부재(V) 사이의 기밀(氣密)이 불규칙하게 이루어져,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001] 제 10-1146109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불규칙한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공급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되는 밸브시트;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에 안착 되어, 연료의 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폐하는 밸브부재;
상기 밸브부재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면서, 하우징을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획분리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밸브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료의 압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가압 또는 피가압 되어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유도하는 탄성스프링;
으로 구성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 주연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재에는 상하관통된 연료 이송로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방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를 상방 가압하여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의 연료 이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 유입된 후 상부 하우징의 상방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결합되면서 일측 개구된 구형상의 수용공간홈을 갖는 밸브시트본체와 상기 수용공간홈과 대응되도록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회동볼로 이루어져 밸브시트본체와 회동볼이 상호 피벗 결합 되며, 상기 회동볼에는 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의 하부와 접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밸브부재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와 밀찰된 회동볼이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밸브부재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와 밀착된 회동볼이 밸브부재와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부재와 밸브시트의 기밀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도 3을 기준으로 탄성스프링(5)의 방향을 상방, 다이어프램(4)의 방향을 하방이라 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공급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 밸브시트(2), 밸브부재(3), 다이어프램(4), 탄성스프링(5)로 구성된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하우징(1)은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외형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 각 구성들을 내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형태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부하우징(11)은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11)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부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방배출구(111)가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1)의 측면에는 측방배출구(112)가 한 개소 이상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1)은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중심부에 상기 밸브시트(2)가 끼워져 지지 되도록 하는 결합부(121)가 상하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21)는 하부하우징(12)의 저면 중심부에서 상방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하우징(12)의 저면 주연부에는 외부로부터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22)가 상하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22)는 한개 소 이상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하우징(12)의 상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ㄷ'자 형상으로 휘어진 절곡부(124)가 형성된다.
한편, 하부하우징(12)의 하단부에는 하부하우징(12)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123)가 결합 된다.
그리고 받침부재(123)의 중심부에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결합부(121)와 대응되는 대응결합부(123a)가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대응결합부(123a)에는 하부하우징(12)의 결합부(121)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는 밸브시트(2)의 하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23) 저면 대응결합부(123a)의 주연부에는 가이드공(123b)이 형성되는데, 연료가 상기 가이드공(123b)을 지나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유입구(12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밸브시트(2)와 받침부재(123)의 사이에는 지지패킹이 결합 되어 받침부재(123)가 밸브시트(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밸브시트(2)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결합부(121)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하우징(12)에 고정결합되면서 상측 개구된 구형상의 수용공간홈(211)을 갖는 밸브시트본체(21)와;
상기 수용공간홈(211)에 회동가능하게 피벗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와 면 접촉하는 면부(221)가 형성된 회동볼(22);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동볼(22)의 일측은 상기 수용공간홈(211)에 배치되고, 면부(221)가 형성된 회동볼(22)의 타측은 수용공간홈(211)의 외부로 배치됨으로써, 회동볼(22)은 수용공간홈(211)에서 유동은 가능하되 수용공간홈(211)으로부터 이탈하지는 않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시트본체(21)의 중단부 외주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단턱부(212)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부(212)가 상기 하부하우징(12) 결합부(121)의 상단면에 접하도록 걸리면서 밸브시트(2)와 하부하우징(12)이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홈(211)은 밸브시트본체(21)에서 상방 개구 되어 형성되는데, 수용공간홈(211)의 저면에는 끼움홈(211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1a)에는 압축스프링(211b)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211b)이 수용공간홈(211)에 배치된 상기 회동볼(22)을 상방을 향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회동볼(22)의 면부(221)와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가 상호 면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밸브부재(3)는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에 안착 되어, 연료의 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밸브부재(3)는,
크게 밸브부재본체(31)와 중계부재(32)로 구성되는데,
밸브부재본체(31)는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에 안착 되고, 상기 중계부재(32)는 밸브부재본체(31)의 상부에 결합 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5)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상방 개구된 형상의 안착홈(321)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계부재(32)의 저면 중심부에는 연결공(322)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본체(31)의 상부가 결합 된다.
밸브부재본체(31)와 중계부재(32)의 결합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밸브부재본체(31)의 상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스토퍼부(3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토퍼부(311)의 하단부에 상기 중계부재(32) 연결공(322)의 가장자리가 걸림으로써, 밸브부재본체(31)와 중계부재(32)가 상호 결합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부재본체(31)의 중심부에는 상하 관통된 형상의 연료이송로(312)가 형성되고, 밸브부재본체(31)의 하부면에는 상기 연료이송로(312)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요홈(313)이 상방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요홈(313)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중공(中空)의 관통홀(314a)을 갖는 밀폐패킹(314)이 끼움 결합 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패킹(314)으로 인하여 밸브부재본체(31)와 회동볼(22)의 상호 실링성(Sealing)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결합요홈(313)은 그 정단면의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패킹(314)이 상기 밸브부재본체(31)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 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밀폐패킹(314)의 하부면에는 관통홀(314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폐패킹(314)과 일체로 형성되며 하방 돌출된 돌기부(314b)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패킹(314)의 돌기부(314b)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일정 이하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탄성스프링(5)의 압력에 의해 하방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회동볼(22)의 면부(221)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패킹(314)의 마찰력에 의해 밀폐패킹(314)과 상기 회동볼(22)의 면부(221) 사이에 상호 견고한 기밀(氣密)이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돌기부(314b)로 인하여, 상기 회동볼(22)과 밀폐패킹(314)은 상호 접촉하되 넓은 영역에 걸쳐 면(面) 접촉하는 것이 아닌, 밀폐패킹(314)의 관통홀(314a)의 가장자리를 따라 선(線) 접촉을 하며 탄성력을 가지고 기밀(氣密)을 유지하게 된다.
회동볼(22)과 밀폐패킹(314)이 넓은 영역에 걸쳐 상호 면 접촉을 하게 되면, 경우에 따라 연료의 점착(粘着) 등으로 인하여, 회동볼(22)과 밀폐패킹(314)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밀폐패킹(314)의 돌기부(314b)로 인하여, 회동볼(22)과 밀폐패킹(314)이 상호 개방 및 폐쇄 시, 원활한 탈부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료이송로(312)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테이퍼(taper)지며 이루어진다.
따라서 밸브본체(3)와 회동볼(22)이 상호 개방 시, 하부하우징(12)으로 부터 상부하우징(11)으로 유입되는 연료가 연료이송로(312)를 통과 시, 연료의 원활한 이송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다이어프램(4)은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薄膜)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3)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는데, 다이어프램(4)의 둘레 가장자리가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절곡부(124)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하우징(1)을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획분리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4)의 중심부에는 상기 밸브부재본체(31)의 중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중계부재(32)의 연결공(322)과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공(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중계부재(32)는 상기 다이어프램(4)의 상부에 배치된다.
탄성스프링(5)은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재(3)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료의 압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가압 또는 피가압 되어 상기 밸브부재(3)가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유도한다.
즉, 탄성스프링(5)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하우징(11) 내부의 상단면과 접하고 탄성스프링(5)의 하단부는 상기 중계부재(32)의 안착홈(321)과 접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연료의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22)를 통해 하부하우징(12)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부재(3)가 상기 밸브시트(2)를 폐쇄하고 있다.
즉, 상기 탄성스프링(5)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3)는 일정 압력으로 항상 하방을 향해 가압된 상태이며, 그와 동시에 상기 압축스프링(211b)에 의해 상기 회동볼(22)은 일정 압력으로 항상 상방을 향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료의 압력이 낮은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스프링(5)과 상기 압축스프링(211b)에 의해, 밸브부재(3)와 밸브시트(2)가 항상 상호 견고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일정 수준이상 상승하게 되면, 상기 다이어프램(4)이 연료의 압력을 받아 상방으로 가압 되고, 가압된 다이어프램(4)이 상기 밸브부재(3)를 상방으로 가압하며, 밸브부재(3)가 상기 탄성스프링(5)을 상방 가압함으로써, 결국 밸브부재(3)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밸브부재(3)가 상승하면 밸브부재(3)와 상기 밸브시트(2)가 상호 개방됨으로써, 하부하우징(12) 내부의 연료가 밸브부재(3)에 형성된 연료이송로(312)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는 상부하우징(11)에 형성된 상방배출구(111)와 측방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결국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내부에 일정 압력 이상의 연료가 유입될 경우에만 상기 밸브부재(3)와 밸브시트(2)가 상호 개방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구성에서는,
상기 하우징(1)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다이어프램(4)의 유동이 지속적으로 불규칙하게 반복되다 보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밸브시트(2)와 상기 밸브부재(3) 사이의 기밀(氣密)이 불규칙하게 이루어져,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의 압력(P)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3)가 유동할 경우, 밸브부재(3) 하부의 밀폐패킹(314)에 밀착된 회동볼(22)이 밸브부재(3)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유동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즉, 연료의 불규칙한 압력(P)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3)가 다양한 각도로 유동하더라도, 연료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어떠한 각도에서도 밸브부재(3)와 회동볼(22)이 상호 견고한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결국 밸브부재(3)가 불규칙하게 유동하더라도, 연료의 압력이 항상 일정한 압력 이상이 발생한 시점에서만 밸브부재(3)와 밸브시트(2)가 상호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하우징
11 ; 상부하우징
111 ; 상방배출구
112 ; 측방배출구
12 ; 하부하우징
121 ; 결합부
122 ; 유입구
123 ; 받침부재
123a ; 대응결합부
124 ; 절곡부
2 ; 밸브시트
21 ; 밸브시트본체
211 ; 수용공간홈
211a ; 끼움홈
211b ; 압축스프링
212 ; 단턱부
22 ; 회동볼
221 ; 면부
3 ; 밸브부재
31 ; 밸브부재본체
311 ; 스토퍼부
312 ; 연료 이송로
313 ; 결합요홈
314 ; 밀폐패킹
314a ; 관통홀
314b ; 돌기부
32 ; 중계부재
321 ; 안착홈
322 ; 연결공
4 ; 다이어프램
41 ; 관통공
5 ; 탄성스프링

Claims (7)

  1.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공급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성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
    상기 하부하우징(12)에 고정되는 밸브시트(2);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에 안착 되어, 연료의 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폐하는 밸브부재(3);
    상기 밸브부재(3)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1)을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획분리 하는 다이어프램(4);
    상기 밸브부재(3)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료의 압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가압 또는 피가압 되어 상기 밸브부재(3)가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유도하는 탄성스프링(5);
    으로 구성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저면 주연부에는 유입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재(3)에는 상하관통된 연료이송로(31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방배출구(111)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22)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3)를 상방 가압하여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3)의 연료이송로(312)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1)으로 유입된 후, 상부하우징(11)의 상방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2)는,
    상기 하부하우징(12)에 고정결합되면서 상측 개구된 구형상의 수용공간홈(211)을 갖는 밸브시트본체(21)와;
    상기 수용공간홈(211)에 회동가능하게 피벗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와 면 접촉하는 면부가 형성된 회동볼(22);
    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부재(3)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3)와 밀착된 회동볼(22)이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3)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22)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면에는 상기 연료이송로(312)의 둘레를 따라 상방 함몰 형성된 결합요홈(31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홈(313)에는 중공(中空)의 관통홀(314a)을 갖는 고무재질의 밀폐패킹(314)이 결합 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패킹(314)의 하부면에는 관통홀(314a)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 돌출된 돌기부(31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3)의 연료이송로(312)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측벽에는 측방배출구(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본체(21) 수용공간홈(211)의 저면에는 끼움홈(211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1a)에는 압축스프링(211b)이 배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11b)이 수용공간홈(211)에 배치된 상기 회동볼(22)을 상방을 향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회동볼(22)의 면부(221)와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가 상호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KR1020170004036A 2017-01-11 2017-01-11 연료 압력 조절장치 Ceased KR20180082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36A KR20180082765A (ko) 2017-01-11 2017-01-11 연료 압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36A KR20180082765A (ko) 2017-01-11 2017-01-11 연료 압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65A true KR20180082765A (ko) 2018-07-19

Family

ID=6305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036A Ceased KR20180082765A (ko) 2017-01-11 2017-01-11 연료 압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76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665A (ja) * 1994-06-30 1996-07-12 Siemens Automot Corp 燃料圧力調整器
KR100300740B1 (ko) * 1995-02-03 2002-07-03 오카메 히로무 압력조절밸브및이를이용한연료공급장치
JP2006258283A (ja) * 2005-02-18 2006-09-28 Denso Corp 流体制御弁、および電磁弁
KR100840871B1 (ko) * 2007-06-07 2008-06-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엘피지 직접 분사식 시스템용 가변 압력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9008168A (ja) * 2007-06-28 2009-01-15 Mitsuba Corp 圧力制御装置
KR101146109B1 (ko) 2010-06-24 2012-05-16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 압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665A (ja) * 1994-06-30 1996-07-12 Siemens Automot Corp 燃料圧力調整器
KR100300740B1 (ko) * 1995-02-03 2002-07-03 오카메 히로무 압력조절밸브및이를이용한연료공급장치
JP2006258283A (ja) * 2005-02-18 2006-09-28 Denso Corp 流体制御弁、および電磁弁
KR100840871B1 (ko) * 2007-06-07 2008-06-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엘피지 직접 분사식 시스템용 가변 압력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9008168A (ja) * 2007-06-28 2009-01-15 Mitsuba Corp 圧力制御装置
KR101146109B1 (ko) 2010-06-24 2012-05-16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 압력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9532B1 (en) Constant valve flow
US6508379B1 (en) Leak-free drinking cup
RU2009140687A (ru) Крышка-непроливайка для емкости с напитком
JP6041298B2 (ja) ボール弁
KR101873560B1 (ko) 압력조절 안전밸브
JPWO2008096646A1 (ja) 流体制御器
JP2016055893A (ja) 逆止弁付きキャップ
KR20180082765A (ko) 연료 압력 조절장치
JP7109591B2 (ja) 吐水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JP3587610B2 (ja) フロートバルブ装置
KR200494425Y1 (ko) 보조압력을 이용한 압력조절기
CN104913094B (zh) 节水装置
JP3116279U (ja) 自動止流式自由回転ノズル
JP2003246342A (ja) 圧力調整容器
JP6824534B2 (ja) リリーフ弁
US11713815B2 (en) Liquid control valve and adjusting rod and liquid stopper thereof
CN114704684B (zh) 微压设备保护用安全阀和微压设备
JP6920951B2 (ja) 吐出器
JP2021055783A (ja) バルブ装置及び流体供給ユニット
KR20100083502A (ko) 레귤레이터
JP2024039790A (ja) ダイヤフラム弁
JP2020166730A (ja) 付勢部材保持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減圧弁
WO2017194422A1 (en) Compressed gas regulator with integrated residual pressure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