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765A - Fuel pressure control apparatus - Google Patents
Fuel pressure control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2765A KR20180082765A KR1020170004036A KR20170004036A KR20180082765A KR 20180082765 A KR20180082765 A KR 20180082765A KR 1020170004036 A KR1020170004036 A KR 1020170004036A KR 20170004036 A KR20170004036 A KR 20170004036A KR 20180082765 A KR20180082765 A KR 201800827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member
- fuel
- housing
- valve seat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02M37/0029—Pressure regulator in the low pressure fuel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사용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공급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되는 밸브시트;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에 안착 되어, 연료의 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폐하는 밸브부재;
상기 밸브부재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면서, 하우징을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획분리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밸브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료의 압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가압 또는 피가압 되어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유도하는 탄성스프링;
으로 구성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 주연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재에는 상하관통된 연료 이송로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방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를 상방 가압하여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의 연료 이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 유입된 후 상부 하우징의 상방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결합되면서 일측 개구된 구형상의 수용공간홈을 갖는 밸브시트본체와 상기 수용공간홈과 대응되도록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회동볼로 이루어져 밸브시트본체와 회동볼이 상호 피벗 결합 되며, 상기 회동볼에는 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의 하부와 접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밸브부재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와 밀찰된 회동볼이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밸브부재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와 밀찰된 회동볼이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use in a vehicle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controlling a pressure of a discharged fuel, .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uel supply line while operat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uel,
A housing formed of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and having an outer shape;
A valve seat fixed to the lower housing;
A valve member which is seated on the valve seat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by the pressure of fuel;
A diaphragm that supports the valve member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divides the housing into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An elastic spring disposed on the valve member to urge the valv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by being biased or pressurized by an elastic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fuel;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comprising:
An upper inlet port is formed in the bottom periphery of the lower housing, a fuel feed path is formed in the valve member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n upper outlet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upwardly pressurizes the valve member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so that the fuel flows into the upper housing via the fuel feed path of the valve member and then flows outward through the upper outlet of the upper housing Lt; / RTI >
The valve seat includes:
A valve seat main body having a spherical receiving space groove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which is open at one side, and a rotating ball having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groove, the valve seat main body and the rotating ball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ball has a surface portion formed to abut the lower portion of the valve member,
The valve member is made to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alve member, so that the valve member can maintain airtightness with the rotating ball at any angl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member is made to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alve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valve member so that the valve member can maintain mutual airtightness with the rotating ball at any angle so that the fue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d fuel can always be controlled to be constant regardless of the pressure change of the fuel.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사용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use in a vehicle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controlling a pressure of a discharged fuel, .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차량 등의 연료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연료공급라인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fuel pressure regulator is installed in a fuel supply line of a vehicle or the like and is used to keep the pressure of the fuel supply line consta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일반적인 연료 압력 조절장치(1)는, 크게 볼(20)과 밸브판(11)이 구비된 밸브부재(V), 밸브시트(10), 하우징(30), 다이어프램(40), 스프링(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A typical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1 mainly comprises a valve member V with a
연료의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연료 압력 조절장치(1)를 경유하는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50)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V)의 밸브판(11)이 상기 밸브시트(10)를 폐쇄하는 위치로 가압 되어 있다.The valve plate (11) of the valve member (V) is urged by the spring (50) against the valve seat (11) in order to prevent the fuel from flowing through the fuel
그런데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일정 이상 증가하면, 연료의 압력을 받은 상기 다이어프램(40)이 상승하면서 스프링(50)을 가압한다.However, when the pressure of the fuel flowing into the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40)이 상승함에 따라 다이어프램(40)에 고정 결합 되어 있는 밸브부재(V)가 동시에 상승함으로써, 밸브시트(10)를 개방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the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된 연료는 항상 일정 이상 압력일 경우에만, 상기 밸브시트(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그런데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다이어프램(40)의 유동이 지속적으로 불규칙하게 반복되다 보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밸브시트(10)와 상기 밸브부재(V) 사이의 기밀(氣密)이 불규칙하게 이루어져,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However, since the pressure of the fuel flowing into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불규칙한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that can constantly control the pressure of discharged fuel irrespective of irregular pressure change of the fuel flowing into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공급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uel supply line while operat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uel,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A housing formed of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and having an outer shape;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되는 밸브시트;A valve seat fixed to the lower housing;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에 안착 되어, 연료의 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폐하는 밸브부재;A valve member which is seated on the valve seat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by the pressure of fuel;
상기 밸브부재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면서, 하우징을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획분리하는 다이어프램;A diaphragm that supports the valve member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divides the housing into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상기 밸브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료의 압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가압 또는 피가압 되어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유도하는 탄성스프링;An elastic spring disposed on the valve member to urge the valv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by being biased or pressurized by an elastic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fuel;
으로 구성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comprising: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 주연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재에는 상하관통된 연료 이송로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방배출구가 형성되어,An upper inlet port is formed in the bottom periphery of the lower housing, a fuel feed path is formed in the valve member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n upper outlet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를 상방 가압하여 밸브시트의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의 연료 이송로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 유입된 후 상부 하우징의 상방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upwardly pressurizes the valve member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so that the fuel flows into the upper housing via the fuel feed path of the valve member and then flows outward through the upper outlet of the upper housing Lt; / RTI >
상기 밸브시트는,The valve seat includes: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결합되면서 일측 개구된 구형상의 수용공간홈을 갖는 밸브시트본체와 상기 수용공간홈과 대응되도록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회동볼로 이루어져 밸브시트본체와 회동볼이 상호 피벗 결합 되며, 상기 회동볼에는 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의 하부와 접하도록 이루어져,A valve seat main body having a spherical receiving space groove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which is open at one side, and a rotating ball having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groove, the valve seat main body and the rotating ball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ball has a surface portion formed to abut the lower portion of the valve member,
상기 밸브부재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와 밀찰된 회동볼이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alve member is made to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alve member, so that the valve member can maintain airtightness with the rotating ball at any angle.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In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밸브부재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와 밀착된 회동볼이 밸브부재와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 변화에 상관없이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ivoting ball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valve member flows in the same manner as the valve member so that the valve member can maintain mutual airtightness with the pivoting ball at any ang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essure of the fuel to be discharged can be always constantly controlled irrespective of the pressure change of the incoming fuel.
도 1은 종래기술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부재와 밸브시트의 기밀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prior art.
2 is a structural view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hermetic state of a valve member and a valv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한편, 본 설명에서는 도 3을 기준으로 탄성스프링(5)의 방향을 상방, 다이어프램(4)의 방향을 하방이라 정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direction of the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In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연료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면서 연료공급라인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uel supply line while operat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uel,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and 3,
크게 하우징(1), 밸브시트(2), 밸브부재(3), 다이어프램(4), 탄성스프링(5)로 구성된다.
A valve seat 2, a valve member 3, a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하우징(1)은The housing (1) ,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and 3,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외형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 각 구성들을 내장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형태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housing 1 is formed in a container shape as shown in FIG. 1,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s required.
상부하우징(11)은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하방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11)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부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방배출구(111)가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1)의 측면에는 측방배출구(112)가 한 개소 이상 형성된다.
An
하부하우징(11)은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저면 중심부에 상기 밸브시트(2)가 끼워져 지지 되도록 하는 결합부(121)가 상하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21)는 하부하우징(12)의 저면 중심부에서 상방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하부하우징(12)의 저면 주연부에는 외부로부터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22)가 상하 관통 형성된다.An
이때 상기 유입구(122)는 한개 소 이상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t least one
또한 하부하우징(12)의 상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ㄷ'자 형상으로 휘어진 절곡부(124)가 형성된다.
A
한편, 하부하우징(12)의 하단부에는 하부하우징(12)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123)가 결합 된다.On the other hand, a receiving
그리고 받침부재(123)의 중심부에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결합부(121)와 대응되는 대응결합부(123a)가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대응결합부(123a)에는 하부하우징(12)의 결합부(121)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는 밸브시트(2)의 하단부가 끼워지게 된다.A corresponding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23) 저면 대응결합부(123a)의 주연부에는 가이드공(123b)이 형성되는데, 연료가 상기 가이드공(123b)을 지나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유입구(122)로 유입된다.A
이때 상기 밸브시트(2)와 받침부재(123)의 사이에는 지지패킹이 결합 되어 받침부재(123)가 밸브시트(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At this time, a support packing is coupled between the valve seat 2 and the
밸브시트(2)는,The valve seat (2)
상기 하부하우징(12)의 결합부(121)에 고정되는 것으로,And is fixed to the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상기 하부하우징(12)에 고정결합되면서 상측 개구된 구형상의 수용공간홈(211)을 갖는 밸브시트본체(21)와; A valve seat
상기 수용공간홈(211)에 회동가능하게 피벗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와 면 접촉하는 면부(221)가 형성된 회동볼(22);A pivoting
로 이루어진다.
.
따라서 상기 회동볼(22)의 일측은 상기 수용공간홈(211)에 배치되고, 면부(221)가 형성된 회동볼(22)의 타측은 수용공간홈(211)의 외부로 배치됨으로써, 회동볼(22)은 수용공간홈(211)에서 유동은 가능하되 수용공간홈(211)으로부터 이탈하지는 않도록 구현된다.
One side of the pivoting
그리고 상기 밸브시트본체(21)의 중단부 외주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단턱부(212)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부(212)가 상기 하부하우징(12) 결합부(121)의 상단면에 접하도록 걸리면서 밸브시트(2)와 하부하우징(12)이 결합 된다.A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홈(211)은 밸브시트본체(21)에서 상방 개구 되어 형성되는데, 수용공간홈(211)의 저면에는 끼움홈(211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1a)에는 압축스프링(211b)이 배치된다.The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211b)이 수용공간홈(211)에 배치된 상기 회동볼(22)을 상방을 향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Accordingly, the
따라서 상기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회동볼(22)의 면부(221)와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가 상호 면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Therefore, the
밸브부재(3)는The valve member 3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에 안착 되어, 연료의 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2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fuel.
밸브부재(3)는,The valve member (3)
크게 밸브부재본체(31)와 중계부재(32)로 구성되는데,A valve member
밸브부재본체(31)는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에 안착 되고, 상기 중계부재(32)는 밸브부재본체(31)의 상부에 결합 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5)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상방 개구된 형상의 안착홈(321)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valve member
이때 상기 중계부재(32)의 저면 중심부에는 연결공(322)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본체(31)의 상부가 결합 된다.
At this time, a
밸브부재본체(31)와 중계부재(32)의 결합을 자세히 살펴보면,When the valve member
상기 밸브부재본체(31)의 상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스토퍼부(3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토퍼부(311)의 하단부에 상기 중계부재(32) 연결공(322)의 가장자리가 걸림으로써, 밸브부재본체(31)와 중계부재(32)가 상호 결합 되는 것이다.
A
한편, 상기 밸브부재본체(31)의 중심부에는 상하 관통된 형상의 연료이송로(312)가 형성되고, 밸브부재본체(31)의 하부면에는 상기 연료이송로(312)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요홈(313)이 상방 함몰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결합요홈(313)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중공(中空)의 관통홀(314a)을 갖는 밀폐패킹(314)이 끼움 결합 되어 구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밀폐패킹(314)으로 인하여 밸브부재본체(31)와 회동볼(22)의 상호 실링성(Sealing)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sealability of the sealing
이때 상기 결합요홈(313)은 그 정단면의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패킹(314)이 상기 밸브부재본체(31)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 된다.(도 4 참조)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front end 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밀폐패킹(314)의 하부면에는 관통홀(314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폐패킹(314)과 일체로 형성되며 하방 돌출된 돌기부(314b)가 형성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acking 31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aling packing 314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상기 밀폐패킹(314)의 돌기부(314b)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일정 이하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탄성스프링(5)의 압력에 의해 하방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회동볼(22)의 면부(221)와 접하게 된다.The protruding
따라서 상기 밀폐패킹(314)의 마찰력에 의해 밀폐패킹(314)과 상기 회동볼(22)의 면부(221) 사이에 상호 견고한 기밀(氣密)이 유지되는 것이다.
Therefore, tight sealing is maintained between the sealing packing 314 and the
상기 돌기부(314b)로 인하여, 상기 회동볼(22)과 밀폐패킹(314)은 상호 접촉하되 넓은 영역에 걸쳐 면(面) 접촉하는 것이 아닌, 밀폐패킹(314)의 관통홀(314a)의 가장자리를 따라 선(線) 접촉을 하며 탄성력을 가지고 기밀(氣密)을 유지하게 된다.Due to the
회동볼(22)과 밀폐패킹(314)이 넓은 영역에 걸쳐 상호 면 접촉을 하게 되면, 경우에 따라 연료의 점착(粘着) 등으로 인하여, 회동볼(22)과 밀폐패킹(314)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If the
하지만 상기 밀폐패킹(314)의 돌기부(314b)로 인하여, 회동볼(22)과 밀폐패킹(314)이 상호 개방 및 폐쇄 시, 원활한 탈부착이 이루어진다.
However, due to the
한편, 상기 연료이송로(312)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테이퍼(taper)지며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밸브본체(3)와 회동볼(22)이 상호 개방 시, 하부하우징(12)으로 부터 상부하우징(11)으로 유입되는 연료가 연료이송로(312)를 통과 시, 연료의 원활한 이송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valve body 3 and the pivoting
다이어프램(4)은The diaphragm (4)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박막(薄膜)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재(3)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는데, 다이어프램(4)의 둘레 가장자리가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절곡부(124)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하우징(1)을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획분리 하게 된다.
The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4)의 중심부에는 상기 밸브부재본체(31)의 중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중계부재(32)의 연결공(322)과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공(41)이 형성된다.A through
따라서 상기 중계부재(32)는 상기 다이어프램(4)의 상부에 배치된다.
Therefore, the
탄성스프링(5)은The elastic spring (5)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상기 밸브부재(3)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료의 압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가압 또는 피가압 되어 상기 밸브부재(3)가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유도한다.The valve member 3 is disposed above the valve member 3 and is pressurized or pressurized by an elastic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fuel to guide the valve member 3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2.
즉, 탄성스프링(5)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하우징(11) 내부의 상단면과 접하고 탄성스프링(5)의 하단부는 상기 중계부재(32)의 안착홈(321)과 접하게 된다.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연료의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When the fuel pressure is low, as shown in Fig. 4,
상기 유입구(122)를 통해 하부하우징(12)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부재(3)가 상기 밸브시트(2)를 폐쇄하고 있다.The valve member 3 closes the valve seat 2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fuel flowing into the
즉, 상기 탄성스프링(5)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3)는 일정 압력으로 항상 하방을 향해 가압된 상태이며, 그와 동시에 상기 압축스프링(211b)에 의해 상기 회동볼(22)은 일정 압력으로 항상 상방을 향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That is, the valve member 3 is constantly pressed downward by the
따라서 연료의 압력이 낮은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스프링(5)과 상기 압축스프링(211b)에 의해, 밸브부재(3)와 밸브시트(2)가 항상 상호 견고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fuel pressure is low, the valve member 3 and the valve seat 2 can always maintain tight airtightness by the
그런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일정 수준이상 상승하게 되면, 상기 다이어프램(4)이 연료의 압력을 받아 상방으로 가압 되고, 가압된 다이어프램(4)이 상기 밸브부재(3)를 상방으로 가압하며, 밸브부재(3)가 상기 탄성스프링(5)을 상방 가압함으로써, 결국 밸브부재(3)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5, when the pressure of the fuel flowing into the
따라서 상기 밸브부재(3)가 상승하면 밸브부재(3)와 상기 밸브시트(2)가 상호 개방됨으로써, 하부하우징(12) 내부의 연료가 밸브부재(3)에 형성된 연료이송로(312)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된다.When the valve member 3 is lifted up, the valve member 3 and the valve seat 2 are mutually opened so that the fuel inside the
그리고 상부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는 상부하우징(11)에 형성된 상방배출구(111)와 측방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fuel introduced into the
결국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내부에 일정 압력 이상의 연료가 유입될 경우에만 상기 밸브부재(3)와 밸브시트(2)가 상호 개방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valve member 3 and the valve seat 2 are opened to open each other only when a fuel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flows into the
그런데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구성에서는,However, a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the general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상기 하우징(1)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다이어프램(4)의 유동이 지속적으로 불규칙하게 반복되다 보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밸브시트(2)와 상기 밸브부재(3) 사이의 기밀(氣密)이 불규칙하게 이루어져,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Since the pressure of the fuel flowing into the housing 1 is not constant, if the flow of the
하지만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6A and 6B,
연료의 압력(P)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3)가 유동할 경우, 밸브부재(3) 하부의 밀폐패킹(314)에 밀착된 회동볼(22)이 밸브부재(3)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유동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When the valve member 3 flows by the fuel pressure P, the pivoting
즉, 연료의 불규칙한 압력(P)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3)가 다양한 각도로 유동하더라도, 연료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어떠한 각도에서도 밸브부재(3)와 회동볼(22)이 상호 견고한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even if the valve member 3 flows at various angles due to the irregular pressure P of the fuel, when the pressure of the fuel is not more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valve member 3 and the pivoting
결국 밸브부재(3)가 불규칙하게 유동하더라도, 연료의 압력이 항상 일정한 압력 이상이 발생한 시점에서만 밸브부재(3)와 밸브시트(2)가 상호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Even if the valve member 3 is irregularly flowed, the valve member 3 and the valve seat 2 are mutually opene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is deteriorated only when the pressure of the fuel always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1 ; 하우징
11 ; 상부하우징
111 ; 상방배출구
112 ; 측방배출구
12 ; 하부하우징
121 ; 결합부
122 ; 유입구
123 ; 받침부재
123a ; 대응결합부
124 ; 절곡부
2 ; 밸브시트
21 ; 밸브시트본체
211 ; 수용공간홈
211a ; 끼움홈
211b ; 압축스프링
212 ; 단턱부
22 ; 회동볼
221 ; 면부
3 ; 밸브부재
31 ; 밸브부재본체
311 ; 스토퍼부
312 ; 연료 이송로
313 ; 결합요홈
314 ; 밀폐패킹
314a ; 관통홀
314b ; 돌기부
32 ; 중계부재
321 ; 안착홈
322 ; 연결공
4 ; 다이어프램
41 ; 관통공
5 ; 탄성스프링One ; housing
11; Upper housing
111; An upward outlet
112; Side outlet
12; Lower housing
121; Engaging portion
122; Inlet
123; Support member
123a;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24; Bent portion
2 ; Valve seat
21; Valve seat body
211; Accommodation space home
211a; Fitting groove
211b; Compression spring
212; Jaw
22; Pivoting ball
221; Face
3; Valve member
31; The valve-
311; Stopper portion
312; Fuel feed path
313; Coupling groove
314; Seal packing
314a; Through hole
314b; Protrusion
32; The relay member
321; Seat groove
322; Connecting ball
4 ; Diaphragm
41; Through-hole
5; Elastic spring
Claims (7)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성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
상기 하부하우징(12)에 고정되는 밸브시트(2);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에 안착 되어, 연료의 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폐하는 밸브부재(3);
상기 밸브부재(3)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1)을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획분리 하는 다이어프램(4);
상기 밸브부재(3)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료의 압력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가압 또는 피가압 되어 상기 밸브부재(3)가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유도하는 탄성스프링(5);
으로 구성된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저면 주연부에는 유입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재(3)에는 상하관통된 연료이송로(31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방배출구(111)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22)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3)를 상방 가압하여 밸브시트(2)의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연료가 상기 밸브부재(3)의 연료이송로(312)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1)으로 유입된 후, 상부하우징(11)의 상방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uel supply line while operat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uel,
A housing (1) constituted by an upper housing (11) and a lower housing (12) and forming an outer shape;
A valve seat (2) fixed to the lower housing (12);
A valve member 3 which is seated on the valve seat 2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2 by the pressure of the fuel;
A diaphragm 4 for supporting the valve member 3 and being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 and partitioning the housing 1 into an upper housing 11 and a lower housing 12;
An elastic spring 5 disposed on the valve member 3 and guiding the valve member 3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2 by an elastic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fuel, ;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comprising:
An inlet port 122 is formed in the bottom periphery of the lower housing 12 and a fuel feed path 312 is formed in the valve member 3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11, (111)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122 presses the valve member 3 upward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seat 2 so that the fuel flows through the fuel transfer path 312 of the valve member 3 And is configured to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housing (11) and then to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discharge port (111) of the upper housing (11).
상기 밸브시트(2)는,
상기 하부하우징(12)에 고정결합되면서 상측 개구된 구형상의 수용공간홈(211)을 갖는 밸브시트본체(21)와;
상기 수용공간홈(211)에 회동가능하게 피벗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와 면 접촉하는 면부가 형성된 회동볼(22);
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부재(3)의 유동에 따라 밸브부재(3)와 밀착된 회동볼(22)이 동일하게 유동함으로써, 밸브부재(3)가 어떠한 각도에서도 회동볼(22)과 상호 기밀(氣密)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seat (2)
A valve seat main body 21 having a spherical receiving space groove 211 which is upwardly open and fixed to the lower housing 12;
A pivoting ball 22 rotatably pivotally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groove 211 and having a surface portion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valve member 3 on an upper surface thereof;
Lt; / RTI >
The valve member 3 is caused to flow in the same manner as the valve member 3 due to the flow of the valve member 3, Of the fuel pressure regulating device.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면에는 상기 연료이송로(312)의 둘레를 따라 상방 함몰 형성된 결합요홈(31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홈(313)에는 중공(中空)의 관통홀(314a)을 갖는 고무재질의 밀폐패킹(314)이 결합 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coupling groove 313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member 3 along the periphery of the fuel transfer path 312 and a hollow through hole 314a is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313 And a sealing material (314)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 밀폐패킹(314)의 하부면에는 관통홀(314a)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 돌출된 돌기부(31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protrusion (314b) protruding downward along an edge of the through hole (314a)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acking (314).
상기 밸브부재(3)의 연료이송로(312)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ameter of the fuel transfer path (312) of the valve member (3) is increased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측벽에는 측방배출구(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ide discharge port (112)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upper housing (11).
상기 밸브시트본체(21) 수용공간홈(211)의 저면에는 끼움홈(211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1a)에는 압축스프링(211b)이 배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11b)이 수용공간홈(211)에 배치된 상기 회동볼(22)을 상방을 향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회동볼(22)의 면부(221)와 상기 밸브부재(3)의 하부가 상호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itting groove 211a is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valve seat body accommodation space groove 211 and a compression spring 211b is disposed in the fitting groove 211a, And is configured to press the rotating ball 22 disposed in the space groove 211 upward at a constant pressure,
Wherein the face portion (221) of the pivoting ball (2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alve member (3) are configured to maintain mutual airtightn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4036A KR20180082765A (en) | 2017-01-11 | 2017-01-11 | Fuel pressure contro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4036A KR20180082765A (en) | 2017-01-11 | 2017-01-11 | Fuel pressure control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2765A true KR20180082765A (en) | 2018-07-19 |
Family
ID=6305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4036A Ceased KR20180082765A (en) | 2017-01-11 | 2017-01-11 | Fuel pressure control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82765A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77665A (en) * | 1994-06-30 | 1996-07-12 | Siemens Automot Corp | Fuel pressure regulator |
KR100300740B1 (en) * | 1995-02-03 | 2002-07-03 | 오카메 히로무 |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fuel supply device using it |
JP2006258283A (en) * | 2005-02-18 | 2006-09-28 | Denso Corp | Fluid control valve and solenoid valve |
KR100840871B1 (en) * | 2007-06-07 | 2008-06-23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LPI direct injection system |
JP2009008168A (en) * | 2007-06-28 | 2009-01-15 | Mitsuba Corp | Pressure control device |
KR101146109B1 (en) | 2010-06-24 | 2012-05-16 | 주식회사 코아비스 | Fuel pressure controller |
-
2017
- 2017-01-11 KR KR1020170004036A patent/KR20180082765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77665A (en) * | 1994-06-30 | 1996-07-12 | Siemens Automot Corp | Fuel pressure regulator |
KR100300740B1 (en) * | 1995-02-03 | 2002-07-03 | 오카메 히로무 |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fuel supply device using it |
JP2006258283A (en) * | 2005-02-18 | 2006-09-28 | Denso Corp | Fluid control valve and solenoid valve |
KR100840871B1 (en) * | 2007-06-07 | 2008-06-23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LPI direct injection system |
JP2009008168A (en) * | 2007-06-28 | 2009-01-15 | Mitsuba Corp | Pressure control device |
KR101146109B1 (en) | 2010-06-24 | 2012-05-16 | 주식회사 코아비스 | Fuel pressure controll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69532B1 (en) | Constant valve flow | |
US6508379B1 (en) | Leak-free drinking cup | |
US7363938B1 (en) | Constant flow valve assembly | |
RU2009140687A (en) | NON-SPILL CAP FOR DRINK TAN | |
RU2541687C2 (en) | Pressure reducer | |
JP6041298B2 (en) | Ball valve | |
JP2008309255A (en) | Relief valve | |
JPWO2008096646A1 (en) | Fluid controller | |
KR101873560B1 (en) | Safety valve | |
JP2016055893A (en) | Cap with check valve | |
KR20180082765A (en) | Fuel pressure control apparatus | |
JP7109591B2 (en) | Discharge valve structure and humidifier provided with the same | |
JP3587610B2 (en) | Float valve device | |
KR200494425Y1 (en) | Pressure regulator using auxiliary pressure | |
CN104913094A (en) | Water saving device | |
JP3116279U (en) | Self-flowing free rotating nozzle | |
JP6824534B2 (en) | Relief valve | |
US11713815B2 (en) | Liquid control valve and adjusting rod and liquid stopper thereof | |
WO2024057597A1 (en) | Diaphragm valve | |
KR200290357Y1 (en) | Safety valve intergrate opposite pressure exhaust equipment | |
JP6920951B2 (en) | Discharger | |
JP2021055783A (en) | Valve device and fluid supply unit | |
KR20100083502A (en) | Regulator | |
JP2020166730A (en) | Biasing member cage and pressure reducing valve equipped with this | |
CN115013570A (en) | Pressure reducing valve with non-retur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