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65007A -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007A
KR20180065007A KR1020170183825A KR20170183825A KR20180065007A KR 20180065007 A KR20180065007 A KR 20180065007A KR 1020170183825 A KR1020170183825 A KR 1020170183825A KR 20170183825 A KR20170183825 A KR 20170183825A KR 20180065007 A KR20180065007 A KR 20180065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reactor
vinyl
waste plastic
waste vin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호준
Original Assignee
곽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호준 filed Critical 곽호준
Priority to KR102017018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007A/en
Publication of KR2018006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007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6/00Heat treatments such as Calcining; Fusing ; Pyrolysis
    • B01J6/008Pyrolysis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02E50/3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밀도에 따라 조건을 다르게 하여 열분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와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내장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하는 병렬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반응기를 갖되, 상기 복수의 반응기의 일측에는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에 따라 해당 반응기로 투입되는 투입구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반응기의 투입구의 일측에는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하는 레일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타단들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를 측정하는 상기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결과에 따라 열분해 시킬 반응기를 결정하여,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투입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ubject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to thermal decomposition treatment at different conditions depending on their density, wherein th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es a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density and weight of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s And a plurality of reactors arranged in a parallel structure for thermally decomposing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wherei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reactors is provided with a built- And further includes a charging port for charging the reactor.
One end of a rail for transferr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charging port of the plurality of reactors, and the other ends of the rails are connected to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reactor to be pyrolyzed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result and the input of the waste vinyl or the waste plastic.

Description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or plastic,

본 발명은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밀도에 따라 조건을 다르게 하여 열분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yrolyz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under different conditions depending on their density.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석유를 원료로 하여 생성된 화합물로서 재활용도가 낮고 대부분 쓰레기로 처분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들은 자연상태에서 분해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토양을 오염시키고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유화방법 및 장치가 연구되고 있으며 또한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is a compound made from petroleum as a raw material and has low recyclability and is mostly disposed of as waste. These wastes are decomposed in the natural state, and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pollute the soil and cause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Currently, various emulsification methods and devices have been studied and are being developed steadily as a method for recycl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57022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회수장치"가 있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there is Korean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557022 entitled "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recovery device ".

상기 종래 기술의 문헌 정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등을 잘게 잘라 칩형태로 만들어 열분해에 의하여 액체화한 후 크래킹(CRACKING)하면 액체와 기체로 조성된 휘발유, 디젤유, 가스 등으로 전환될 수 있다.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literature, when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are cut into chips, liquidized by pyrolysis, and then cracked, conversion into gasoline, diesel oil, gas, etc. .

이때, 상기 종래 기술의 문헌들의 경우, 열분해를 하기 위한 반응기가 하나만 구비되거나 하나의 제1반응기와 복수의 제2반응기를 직렬배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반응기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불필요한 중간물 이송장치를 더 형성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s, only one reactor for pyrolysis is provided, or one reactor and a plurality of second reactors are arranged in tandem, and an unnecessary intermediate for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actors There has been a problem of further forming a transfer device.

또한, 종래의 회수장치들은 밀도에 따라 분류되는 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경우, 각자 열분해 되는 정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한 번에 한 종류의 플라스틱만 열분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밀도를 가지는 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해야 하는 경우 한 번에 처리하지 못하고 여러 번 반복하여 공정해야 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고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in the conventional collecting apparatuses, it is possible to pyrolyze only one type of plastic at a time, even though the degree of the pyrolysis is different in the case of pyrolysis processing the plastic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nsity. Therefore, If pyrolysis treatment is required, it can not be treated at once and must be repeated several times, which is costly and ineffici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57022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570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밀도에 따라 나누어, 반응기에서 열분해되는 시간 및 회전속도와 열분해 공급의 양을 다르게 하여 최적의 열분해 공정처리를 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y divid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according to density, The purpose of the pyrolysis process is to process.

상기 처리장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와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내장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하는 병렬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반응기를 갖되, 상기 복수의 반응기의 일측에 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레일을 하나로 연결하는 이송수단을 통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밀도에 따라 열분해 처리 조건이 다르게 설정된 해당 반응기로 이송하여 투입함으로써, 밀도에 따른 열분해 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measurement unit having a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density and weight of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and a plurality of reactors arranged in a parallel structure for pyrolyzing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through the measurement unit The waste plastic or the waste plastic is transferred to a corresponding reactor having different pyrolysis process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density through transferring means for connecting the rails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reactors, So that pyrolysis treatment according to density can be perform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밀도에 따라 조건을 다르게 하여 열분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와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내장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하는 병렬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반응기를 갖되, 상기 복수의 반응기의 일측에는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에 따라 해당 반응기로 투입되는 투입구가 더 포함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yrolytically decompos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under different conditions depending on their density, And a plurality of reactors arranged in a parallel structure for thermally decomposing the waste vinyl or the waste plastic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reactor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reactors, Or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ste plastic i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depending on the density of the waste plastic.

또한, 상기 복수의 반응기의 투입구의 일측에는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하는 레일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타단들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를 측정하는 상기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결과에 따라 열분해 시킬 반응기를 결정하여,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투입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형성된다. One end of a rail for transferr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charging port of the plurality of reactors, and the other ends of the rails are connected to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reactor to be pyrolyzed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result and the input of the waste vinyl or the waste plastics, in addition to th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density of the waste plastic or the waste plastic .

이때,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각각의 레일의 타단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방향전환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는 방향전환모듈을 통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레일의 타단과 연결된 반응기로 이송할 것인지, 다른 반응기로 이송할 것인지의 이송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이송방향을 결정하는 방향전환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In this case, the convey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switching supply portion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conveying means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rail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wherein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portion switches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And the direction switching module for determining the conveying direc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e direction switching module determin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unit.

또한, 상기 이송수단에 배치된 방향전환 공급부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부는 개폐모듈을 통해 상기 게이트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다음 레일의 타단과 연결된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로 이송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The g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at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a lower por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portion disposed in the transfer means, wherein the gate portion opens or closes the gate portion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module, The opening / closing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transfer the sheet to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ail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병렬구조로 배치된 반응기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밀도값이 1.83 ~ 2.14(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A와, 상기 반응기A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도값이 1.52 ~ 1.82(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B와, 상기 반응기B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도값이 1.21 ~ 1.51(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C 및 상기 반응기C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도값이 0.9 ~ 1.20(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D로 이루어진다.The reactor arranged in the parallel structure includes a reactor A disposed nearest to the measuring section and thermally decompos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having a density value of 1.83 to 2.14 (g / cm 3) , A reactor B for pyrolyz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having a density value of 1.52 to 1.82 (g / cm3), a waste vinyl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actor B and having a density value of 1.21 to 1.51 (g / cm3) A reactor C for pyrolyzing waste plastic, and a reactor D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ctor C, for pyrolyz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having a density value of 0.9 to 1.20 (g / cm3).

이때,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열분해 시킬 반응기가 결정되되, 상기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반응기A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밀도값을 갖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이송수단에 설치된 방향전환 공급부에서 상기 반응기A와 연결된 레일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해당 반응기A로 투입되어 열분해된다.At this time,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and the density of the measured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to be treated in the reactor A is determined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means is conveyed in a direction in which a rail connected to the reactor A is installed in a direction switching supply portion provided in the conveying means and is put into the corresponding reactor A and pyrolyzed.

반면에, 상기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반응기B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밀도값을 갖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반응기A와 연결된 레일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방향전환 공급부에서,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된 게이트부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반응기B와 연결된 레일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방향전환 공급부로 이송되어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에 연결된 레일을 통해 상기 해당 반응기B로 투입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has a density value to be treated in the reactor B,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means and the reactor A And is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portion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portion and is transferred to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portion formed at the portion contacting the conveying means and the rail connected to the reactor B, And is introduced into the corresponding reactor B via a rail connected to the switching supply unit.

상기 복수의 반응기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실의 외부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상기 분해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과 촉매의 혼합물을 단계별로 이송시키면서 반응시키는 제1, 제2 교반수단 및 상기 반응실의 내부에서 분해반응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교반수단은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의 하단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반응실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혼합물이 하부로 낙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다단식으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reactors includes a reaction chamber in which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ction chamber and a driving force of a motor disposed outside the reaction chamber, And a plurality of heaters for supplying heat energy so that a decomposition reaction is smoothly performed inside the reaction chamb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gitating means comprise a first and a second agitating means, And a base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reaction cha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portion and having a space through which the mixture can drop downwardly, do.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교반부의 회전 속도나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상기 반응기에 머무르는 시간 또는 상기 반응기에 공급되는 열 공급의 양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반응기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에 따라 다르게 조건 처리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condition of at least one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gitator provided in the reactor, the time for the spent vinyl or the waste plastic to stay in the reactor, or the amount of heat supplied to the reactor, The condition is tre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nsity of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injected into the waste.

더불어, 상기 복수의 반응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모든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측정값이 반응기A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밀도값을 갖는 경우, 상기 반응기B 또는 반응기C 또는 반응기D 중 하나 이상의 반응기의 조건을 반응기A의 조건과 동일하게 조건 처리하여 열분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actors may further compris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in the reactor B or the reactor C or the reactor D It is possible to thermally decompose one or more of the conditions of the reactor under the same condition as that of the reactor A.

또한,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반응기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제2차 반응기가 더 연결된 형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레일이 연결된 투입구는 상기 반응기의 일측에 상기 반응기의 상단으로부터 1/3 지점 범위 내에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의 타측에 상기 반응기의 하단으로부터 1/3 지점 범위 내에 상기 열분해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제2차 반응기로 내보내는 출구; 가 더 형성되며, 상기 출구의 일측에는 상기 열분해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하는 레일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레일의 타단은 제2차 반응기의 일측에 상기 제2차 반응기 하단과 1/2 지점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투입구와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반응기에 의해 열분해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상기 제2차 반응기로 이송되어 열분해 처리된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condary reactor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actor, wherein the inlet port connected to the rails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actor within a range of one third from the top of the reactor An outlet through which the pyrolyzed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s discharged to the second reactor within a range of 1/3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ctor at the other side of the reactor; One end of the rail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let, and the other end of the rail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eactor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actor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pyrolyzed by the reactor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reactor and pyrolyzed. The second reactor is connected to a second inlet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irst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상기 제2차 반응기의 타측에 복수 개의 제2차 반응기가 더 추가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반응기의 투입구와 출구 및 레일은 상기 제2차 반응기 하단과 1/2 지점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When a plurality of second reactors are addition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actor, the inlet, the outlet and the rails of the plurality of reactors ar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actor and the 1/2 point .

더불어, 상기 반응기 또는 제2차 반응기 중 하나 이상의 하부의 일단에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발생되는 분비물을 걸러내어 외부로 내보내는 분비물 통로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반응기 또는 제2차 반응기의 내부에는 분비물을 제외한 상기 폐비닐과 폐플라스틱만 용해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secretory passage for filtering the secretion generated from the waste plastic or the waste plastic to one end of at least one of the reactor or the second reactor and for discharging the secretion to the outside is further provided, It is possible to dissolve only the waste vinyl and the waste plastics.

또한, 상기 처리장치에는 상기 반응기의 상부에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열분해 되는 경우 발생하는 수분 또는 산도가 혼합된 수증기를 흡착하는 흡착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흡착기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흡착된 수증기를 모으는 중화통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반응기의 부식을 방지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adsorber for adsorbing water vapor mixed with water or acid generated when the waste vinyl or the waste plastic is pyrolyz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dsorber, Further, a neutralization tank for collecting steam is provid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reactor.

더불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레일의 외부에는, 상기 레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레일을 감싸는 형태의 관이 더 형성되되, 상기 관은 상기 반응기 또는 제2차 반응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하는 폐열이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함으로써 원료의 예열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ipe for enclosing the rai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ail is furth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ail for transporting the waste plastic or the waste plastic, and the pip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reactor or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preheat the raw material by act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enerated heat is transferre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처리장치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밀도에 따라 나누어, 밀도에 따른 열분해의 처리 조건이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반응기에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각각 투입하여 열분해 처리가능하게 하되, 상기 복수의 반응기는 상기 반응기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된 각각의 레일의 타단을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반응기마다 밀도에 따라 일일이 투입하지 않아도 되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apparatus divides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through a measuring unit according to density, and injects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nto a plurality of reactors having different treatment conditions for pyrolysis according to density, Wherein the plurality of reactors are connected to a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s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rail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ctor, It is very easy to use.

또한, 상기 복수의 반응로의 열분해 처리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대부분이 특정 반응기에 의해 처리되어야만 하는 조건인 경우, 상기 나머지 반응기의 열분해 처리조건을 해당 반응기와 같은 조건으로 제어하여 단시간에 많은 양의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처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yrolysis treatment conditions of the plurality of reactors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yrolysis treatment conditions of the remaining reactor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of the corresponding reactors, So that a large amount of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can be pyrolyzed in a short tim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이송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에서 반응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에서 반응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of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means of a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reactor in a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of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of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reactor in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의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the relationship of the user and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by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compon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의 이송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에서 반응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의 도면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means of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reactor in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of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밀도에 따라 조건을 다르게 하여 열분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처리장치(100)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와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내장된 측정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하는 병렬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반응기(120)를 갖는다.1 to 3, the processing apparatus 100 capable of pyrolyz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with different conditions according to density has a built-in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density and weight of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And a plurality of reactors 120 arranged in a parallel structure for pyrolyzing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110.

이때, 상기 복수의 반응기(120)는 분배로 역할을 포함하는 반응기이며, 상기 반응기의 일측에는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에 따라 해당 반응기(120)로 투입되는 투입구(121)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반응기의 투입구(121)의 일측에는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하는 레일(130)의 일단이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reactors 120 serve as a distributor, and one side of the reactor further includes a charging port 121 through which the charged vinyl or waste plastic is charged to the corresponding reactor 120 depending on the density of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And one end of a rail 130 for transferr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an inlet 121 of the plurality of reactors.

반면에, 상기 레일의 타단들은 상기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를 측정하는 상기 측정부(110)와 상기 측정된 결과에 따라 열분해 시킬 반응기(120)를 결정하여,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투입을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더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s of the rails are connected to a transporting unit 140 for transport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10, and the measuring unit 110, which measures the density of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And a control unit 150 for determining the reactor 120 to be pyrolyzed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 and controlling the input of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이때,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반응기는 반응기제어모듈(151)에 의해 제어된다. At this time, the reactor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is controlled by the reactor control module 151.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할 반응기를 나누는 기준은,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값이다.The criterion for dividing the reactor for decompos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s the density value of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상기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나, 일 예로는, 바람을 사용하여 분류하는 것이다.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the density, but one example is classification using wind.

열분해 시키고자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균일한 사이즈를 가지는 칩형태로 짤라 바람에 날리는 경우, 가장 멀리 날아가는 것은 밀도가 낮은 저밀도일 것이고, 가장 가까운 곳에서 떨어지는 것은 밀도가 높은 고밀도일 것이다.If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to be pyrolyzed is blown out into a chip having a uniform size, it will be a low density with a low density and a dense high density with a density falling to the nearest.

상기 일 예와 같이 여러가지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선택하여 밀도를 측정하고 분류하여 열분해 하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measure and classify the density and pyrolyze by selecting one or more of various methods as in the above example.

또한, 상기 처리장치를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차에 의해서 분류하여 반응기를 결정한다고 하였지만, 밀도가 아닌 무게를 기준으로 열분해 처리를 해야할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양이 일정 무게 이상인 경우 반응기를 나누어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actor is determined by classifying the treatment apparatus by the density difference of the waste vinyl or the waste plastic. However, when the amount of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to be pyrolyzed on the basis of the weight, not the density,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and process.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하는 이송수단(140)에는 상기 이송수단(140)과 상기 각각의 레일(130)의 타단이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방향전환 공급부(141)를 더 포함한다. The conveying means 140 for conveying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further includes a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141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conveying means 140 and the other ends of the rails 130 abut each other.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141a)는 방향전환모듈(152)을 통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레일(130)의 타단과 연결된 반응기(120a)로 이송할 것인지, 다른 반응기(120b,120c,120d)로 이송할 것인지의 이송 방향을 결정한다.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141a controls whether the waste plastic or the waste plastic is transferred to the reactor 120a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ail 130 or the other reactors 120b, 120c, and 120d through the direction switching module 152, To be transported to the transporting direction.

이때, 상기 이송방향을 결정하는 방향전환모듈(152)은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switching module 152 for determining the transport direc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더불어, 상기 이송수단(140)에 배치된 방향전환 공급부(141)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부(142)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ate portions 142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portion 141 disposed at the conveying means 140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게이트부는 개폐모듈(153)을 통해 상기 게이트부(142)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다음 레일의 타단과 연결된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로 이송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The gate part opens or closes the gate part 142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module 153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port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to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next rail.

이때, 상기 게이트부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모듈(153)은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module 153 for determining whether the gate unit is opened or close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

상기 병렬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반응기(120)는 상기 측정부(110)로부터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밀도값이 1.83 ~ 2.14(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A(120a), 상기 반응기A(120a)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도값이 1.52 ~ 1.82(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B(120b), 상기 반응기B(120b)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도값이 1.21 ~ 1.51(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C(120c), 상기 반응기C(120c)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도값이 0.9 ~ 1.20(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D(120d)로 이루어진다. The plurality of reactors 120 arranged in the parallel structure are disposed closest to the measuring unit 110 and include a reactor A 120a for pyrolyz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having a density value of 1.83-2.14 g / A reactor B 120b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ctor A 120a and thermally decompos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having a density value of 1.52 to 1.82 g / cm3, a reactor B 120b disposed below the reactor B 120b, A reactor C 120c for pyrolyz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having a density value of 1.21 to 1.51 (g / cm3), a reactor C 120c disposed below the reactor C 120c and having a density of 0.9 to 1.20 g / Cm < 3 >) or a reactor D (120d) for thermally decompos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이때, 상기 밀도값이 2.14g/㎤ 이상인 경우에도 반응기A에서 열분해 공정이 가능하고, 밀도값이 0.9g/㎤ 이하인 경우에는 반응기D에서 열분해 공정이 가능하다.At this time, even if the density value is 2.14 g / cm 3 or more, the pyrolysis process is possible in the reactor A. If the density value is 0.9 g / cm 3 or less, the pyrolysis process in the reactor D is possible.

상기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열분해 시킬 반응기(120)가 결정되되, 상기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반응기A(120a)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밀도값을 갖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140)을 따라 이송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이송수단(140)에 설치된 방향전환 공급부(141a)에서 상기 반응기A(120a)와 연결된 레일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해당 반응기A(120a)로 투입되어 열분해된다.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10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to be pyrolyzed by the control unit 120. The measured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s transferred to the reactor A 120a, The waste plastic or the waste plastic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means 140 is discharged from the direction changing supply portion 141a installed in the conveying means 140 to the reactor A 120a Is f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ed rails are installed, and i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A (120a) to be pyrolyzed.

이때,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141)는 상기 반응기A(120a)와 연결된 레일의 방향으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보내야하므로, 상기 도 3에 도시된 A 화살표 방향(A)으로 전환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direction switching and supplying unit 141 sends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in the direction of the rail connected to the reactor A 120a,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141 is switched to the direction A in the direction of arrow A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상기 반응기A(120a)와 연결된 레일(130)의 이송부(131)의 상부에 올려져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반응기(120a)로 투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can be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part 131 of the rail 130 connected to the reactor A 120a and transferred along the rail 130 to the reactor 120a Do.

이때, 상기 레일(130)은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할 수 있는 종래에 알려진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 가능하며, 상기 레일의 이송부(131)는 생략되어 제작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ail 130 can use one of the known methods for transporting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and the transfer part 131 of the rail can be omitted.

일 예로, 상기 레일(130)은 물품의 이송을 위해 공장에서 사용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rails 130 may use conveyor belts used in factories for conveying articles.

반면에, 상기 측정기(110)에 의해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반응기B(120b)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밀도값을 갖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140)을 따라 이송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이송수단(140)과 상기 반응기A(120a)와 연결된 레일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방향전환 공급부(141a)에서,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141a)의 하부에 배치된 게이트부(142)의 방향으로 이송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by the measuring instrument 110 has a density value to be treated in the reactor B 120b,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means 140 The direction changing supply unit 141a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unit 142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141a in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141a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nveying unit 140 and the rail connected to the reactor A 120a are contacted, do.

이때,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141)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B 화살표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상기 게이트부(142)로 이송된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141 is switc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shown in FIG. 3, and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s transferred to the gate unit 142.

또한, 상기 이송수단의 게이트부(142)가 개방되어 이송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이송수단(140)과 상기 반응기B(120b)와 연결된 레일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방향전환 공급부(141b)로 이송되고,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141b)에 연결된 레일(131)을 통해 상기 해당 반응기B(120b)로 투입되어 열분해 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conveyed by the gate unit 142 of the conveying means is conveyed to a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141b formed at a portion contacting the conveying unit 140 and the rail connected to the reactor B 120b. And is introduced into the corresponding reactor B 120b through the rail 131 connected to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141b and pyrolyzed.

이때, 상기 게이트부(142)가 개방되는 방향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C 화살표 방향(C)으로 개방된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te portion 142 is opened is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C)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반응기(120)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반응실(122)과, 상기 반응실(12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실(122)의 외부에 설치된 모터(123)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상기 분해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과 촉매의 혼합물을 단계별로 이송시키면서 반응시키는 제1, 제2 교반수단(124,125) 및 상기 반응실(122)의 내부에서 분해반응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열분해를 위한 히터와 같은 장치가 포함한다.4, the plurality of reactors 120 includes a reaction chamber 122 having an outlet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motor 123 disposed inside the reaction chamber 122, The first and second agitating means 124 and 125 for supplying the decomposed waste plastic or the mixture of the waste plastics and the catalyst in a stepwise mann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a heater for one or more pyrolysis to supply heat energy so that the reaction proceeds smoothly.

더불어, 상기 제1, 제2 교반수단(124,125)은 상기 모터(123)의 샤프트(126)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교반하는 교반부(124a,125a)와, 상기 교반부의 하단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반응실(122)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혼합물이 하부로 낙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베이스부(124b,125b)를 포함하는 다단식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means 124 and 125 include stirring portions 124a and 125a fixed to the shaft 126 of the motor 123 and stirring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tirring portion 124a and 125a, And a base part (124b, 125b) fixed to the inside of the reaction chamber (122) and having a space in which the mixture can drop downward.

또한, 상기 반응기(120)를 통해 열분해 되는 경우 상기 열분해 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반응실(122)을 통해 이동되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투입되는 투입구(131)와 레일(130)을 감싸는 이송관(132)까지 전달되어 폐열에 의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상기 반응기로 투입되기 전에도 열분해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pyrolysis is performed through the reactor 120, heat generated through the pyrolysis unit is transferred through the reaction chamber 122, and the inlet 131 and the rail 130, through which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s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to the transfer pipe 132 to be thermally decomposed by waste heat before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상기 도면에 도시된 모터의 위치는 일 예로써 제한하거나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소정의 위치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된다. The position of the motor shown in the drawings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way of example, and the predetermined position at which the motor is disposed is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반응기를 사용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처리방법은 이미 종래에 공개된 기술이므로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processing method of pyrolytiz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using the reactor has been already disclosed in the prior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더불어, 상기 제어부(150)는 반응기제어모듈(151)을 통해 상기 반응기(120) 내부에 설치된 교반부(124a,125a)의 회전 속도나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상기 반응기(120)에 머무르는 시간 또는 상기 반응기(120)에 공급되는 열 공급의 양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반응기(120)를 투입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에 따라 다르게 조건 처리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agitators 124a and 125a installed in the reactor 120 through the reactor control module 151 and the time at which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stays in the reactor 120 Or the amount of heat supplied to the reactor 120, the reactor 120 is conditioned according to the density of the waste vinyl or the waste plastic.

또한, 상기 복수의 반응기(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모든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측정값이 반응기A(120a)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밀도값을 갖는 경우, 상기 반응기B(120b) 또는 반응기C(120c) 또는 반응기D(120d) 중 하나 이상의 반응기의 조건을 반응기A(120a)의 조건과 동일하게 조건 처리하여 열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measured values of all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have a density value to be processed in the reactor A 120a, the control unit 150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actors 120, It is possible to pyrolyze the conditions of one or more of the reactor B 120b or the reactor C 120c or the reactor D 120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of the reactor A 120a.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기(120)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제2차 반응기(120-1)가 더 연결된 형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레일(130)이 연결된 투입구(121)는 상기 반응기(120)의 일측에 상기 반응기의 상단으로부터 1/3 이하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120)의 타측에 상기 반응기의 하단으로부터 1/3 이상 지점에 상기 열분해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제2차 반응기(120-1)로 내보내는 출구(18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출구(180)의 일측에는 상기 열분해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하는 레일(130-1)의 일단이 연결된다.5, one or more secondary reactors 120-1 are furth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actor 120, and the inlet 121 connected to the rails 130 is connected to the reactor 120 The pyrolytically decomposed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ctor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at a position no more than 1/3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And one end of the rail 130-1 for transferring the pyrolyzed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let 180. [

또한, 상기 레일(130-1)의 타단은 제2차 반응기(120-1)의 일측에 상기 제2차 반응기(120-1) 하단과 1/2 지점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투입구(121-1)와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반응기(120)에 의해 열분해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상기 제2차 반응기(120-1)로 이송되어 열분해 처리된다.The other end of the rail 130-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actor 120-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a lower end of the second reactor 120-1 and a half of the second reactor 120-1.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pyrolyzed by the reactor 12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reactor 120-1 and pyrolyzed by being connected to the inlet 121-1.

또한, 상기 제2차 반응기(120-1)의 제2 투입구(121-1)와 반응기의 투입구(121), 상기 레일(130)은 도 1에 도시된 반응기(120)와 동일한 형태와 특성을 갖는 투입구(121)와 레일(130)이다. The second inlet 121-1 of the second reactor 120-1 and the inlet 121 of the reactor and the rail 130 have the same shape and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he reactor 120 shown in FIG. And a rail (130).

상기 제2차 반응기(120-1)의 타측에 복수 개의 제2차 반응기(120-2,120-3)가 더 추가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차 반응기의 투입구와 출구 및 레일은 상기 제2차 반응기(120-1) 하단과 1/2 지점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When a plurality of second reactors 120-2 and 120-3 are addition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actor 120-1, the inlet, the outlet and the rails of the plurality of second reactors are connected to the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reactor 120-1 and the 1/2 point.

이때, 상기 반응기(120) 또는 제2차 반응기(120-1,120-2,120-3) 중 하나 이상의 하부의 일단에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발생되는 분비물을 걸러내어 외부로 내보내는 분비물 통로(17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반응기(120) 또는 제2차 반응기(120-1,120-2,120-3)의 내부에는 분비물을 제외한 상기 폐비닐과 폐플라스틱만 용해된다.At this time, the secretory passage 170 for filtering out the secretion generated from the waste plastic or the waste plastic at one end of at least one of the reactor 120 or the secondary reactors 120-1, 120-2, In addition, only the waste vinyl and the waste plastic except the secretion are dissolved in the reactor 120 or the secondary reactors 120-1, 120-2, and 120-3.

이때, 상기 연결되어 구비되는 제2차 반응기(120-1)의 수는 제한하거나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결정된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second reactors 120-1 provided is not limited and is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처리장치(100)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 용량이 많아지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를 다수 개로 추가시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can be formed by adding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when the processing capacity of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is increased.

또한, 상기 처리장치(100)에 형성되는 반응기(120)의 상부에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열분해 되는 경우, 수분 또는 산도가 혼합된 수증기가 발생한다. In addition, when the waste vinyl or the waste plastic is thermally decom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120 formed in the treatment apparatus 100, water vapor mixed with moisture or acidity is generated.

열분해유는 그 원료가 순수하지 못한 관계로 염산 및 수지성 접착제인 폴리머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 중화를 완벽하게 하고 제거하여야 반응기의 부식을 일으키지 않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Since the raw materials of the thermal cracking oil are not pure, they contain hydrochloric acid and a polymer component such as a resin adhesive. Thus, the neutralization is completely removed and the reactor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causing corrosion of the reactor.

그러나 종래에 반응기 시스템에 상기 중화를 제거하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있다. However, a method of removing the neutralization in a reactor system has not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100)에는 열분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반응기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분 및 산도가 혼합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기 공기 및 수증기를 흡착하는 흡착기(200)가 더 구비된다.Accordingly, in th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sorber 200 for adsorbing the air and water vapor for discharging steam, which is formed by pyrolysis and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Respectively.

또한, 상기 흡착기(200)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흡착기(200)를 통해 흡착된 상기 공기 및 수증기를 모으는 중화통(210)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반응기(120) 또는 제2차 반응기(120-1)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neutralizer 21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dsorber 200 and collecting the air and the water vapor adsorbed through the adsorber 200 may be further provided to the reactor 120 or the second reactor 120 -1) can be prevented.

상기 반응기(120)는 300℃ 미만으로 열처리되기 때문에 염소, 수분, 산도, 상기 염소, 수분, 산도가 혼합된 수증기가 상기 반응기(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차 반응기(120-1,120-2,120-3)의 내부에는 300℃보다 높게 열처리가 되기 때문에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통해 기름을 얻어 원유(휘발유, 디젤유, 가스)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reactor 120 is heat-treat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300 ° C., water vapor mixed with chlorine, moisture, acidity, chlorine, moisture and acidity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120, -2,120-3) is heat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300 ° C., it is possible to obtain oil through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and reuse it as crude oil (gasoline, diesel oil, gas).

이에 따라, 상기 반응기(120)에 생성된 염소, 수분, 산도가 혼합된 공기는 상기 반응기의 일부에 형성된 배출구(160) 또는 흡착기(200)를 통해 빠져나와 상기 처리장치에 형성된 중화통에 저장된다.Accordingly, the air mixed with chlorine, moisture, and acidity generated in the reactor 12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 or the adsorber 200 formed in a part of the reactor and stored in the neutralization tank formed in the treatment apparatus .

또한, 상기 반응기(120)에 생성된 기름은 상기 처리장치에 형성된 기름탱크에 저장된다.In addition, the oil produced in the reactor 120 is stored in an oil tank formed in the treatment apparatus.

더불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레일(130)의 외부에는 상기 레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레일을 감싸는 형태의 이송관(132)이 더 형성되되, 상기 이송관(132)은 상기 반응기(120)에서 발생하는 폐열이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함으로써 원료의 예열에 사용하는 가능한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a conveying pipe 132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ail 130 for transferr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the conveying pipe 132 surrounding the rai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ail. The tube 132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te heat generated in the reactor 120 is moved, thereby enabling the tube 132 to be used for preheating the raw material.

상기 폐열을 사용하면, 상기 반응기 또는 제2차 반응기에서 원료가 열분해 되는데에 필요한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waste heat is used,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raw material in the reactor or the secondary reactor can be reduced.

이때, 상기 원료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뜻한다. At this time, the raw material means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또한, 상기 도 7에서는 상기 반응기(120)를 일 예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차 반응기(120-1,120-2,120-3)의 레일(130-1,130-2,130-3)에 형성된 이송관으로도 폐열이 이동하여 상기 폐열에 의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예열이 가능하다.Although the reactor 120 is illustrated in FIG. 7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transfer tube formed on the rails 130-1, 130-2, and 130-3 of the second reactors 120-1, 120-2, Waste heat is transferred, and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can be preheated by the waste heat.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형태의 처리장치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형태의 처리장치는 함께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형태의 처리장치가 단독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ty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th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may be formed together, whil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lely.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vident tha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처리장치 110 : 측정부
120 : 반응기 121 : 투입구
130 : 레일 131 : 이송부
132 : 이송관 140 : 이송수단
141 : 방향전환공급부 142 : 게이트부
150 : 제어부 151 : 반응기제어모듈
152 : 방향전환모듈 153 : 개폐모듈
160 : 혼합가스 배출구 170 : 분비물 배출구
180 : 출구 200 : 흡착기
210 : 중화통
100: processing device 110: measuring part
120: reactor 121: inlet
130: rail 131:
132: conveying pipe 140: conveying means
141: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142:
150: control unit 151: reactor control module
152: direction switching module 153: opening / closing module
160: Mixed gas outlet 170: Discharge outlet
180: outlet 200: adsorber
210:

Claims (12)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밀도에 따라 조건을 다르게 하여 열분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와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내장된 측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하는 병렬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반응기; 를 갖되,
상기 복수의 반응기의 일측에는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에 따라 해당 반응기로 투입되는 투입구; 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반응기의 투입구의 일측에는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하는 레일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타단들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를 측정하는 상기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결과에 따라 열분해 시킬 반응기를 결정하여,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투입을 제어하는 제어부; 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A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yrolyz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by changing the conditions depending on the density,
Th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measurement unit having a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density and weight of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Lt; / RTI >
A plurality of reactors arranged in parallel to thermally decompose the waste vinyl or the waste plastic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Lt; / RTI >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s injected into the reactor depending on the density of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Lt; / RTI >
One end of a rail for transferr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a charging port of the plurality of reactors,
The other ends of the rails,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Respectively,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reactor to be pyrolyzed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 and th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density of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and controlling the input of the waste plastic or the waste plastic; Wherein the second portion is formed to further include the secon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각각의 레일의 타단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방향전환 공급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는,
방향전환모듈을 통해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상기 레일의 타단과 연결된 반응기로 이송할 것인지, 다른 반응기로 이송할 것인지의 이송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이송방향을 결정하는 방향전환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ing means
A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conveying means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rail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ing:
The direction-
The directional switching module determines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to be transferred to the reac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ail or to another reactor,
Wherein the direction switching module for determining the transport direc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배치된 방향전환 공급부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부는,
개폐모듈을 통해 상기 게이트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다음 레일의 타단과 연결된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로 이송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veying means
A plurality of gat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a lower portion of a direction switching supply portion disposed in the conveying means; Further comprising:
The gate unit includes:
Closing the gate unit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module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port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to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next rail,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pening / closing is controlle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구조로 배치된 반응기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밀도값이 1.83 ~ 2.14(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A,
상기 반응기A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도값이 1.52 ~ 1.82(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B,
상기 반응기B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도값이 1.21 ~ 1.51(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C,
상기 반응기C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도값이 0.9 ~ 1.20(g/㎤)인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처리하는 반응기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ctor arranged in the parallel structure comprises:
A reactor A which is disposed closest to the measuring unit and pyrolytically decomposes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having a density value of 1.83 to 2.14 (g / cm3)
A reactor B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ctor A and thermally decompos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having a density value of 1.52 to 1.82 (g / cm3)
A reactor C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ctor B for pyrolyz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having a density value of 1.21 to 1.51 (g / cm3)
And a reactor D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ctor C for thermally decomposing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having a density value of 0.9 to 1.20 (g / cm 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열분해 시킬 반응기가 결정되되,
상기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반응기A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밀도값을 갖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이송수단에 설치된 방향전환 공급부에서 상기 반응기A와 연결된 레일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해당 반응기A로 투입되어 열분해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If the measured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has a density value that should be treated in reactor A,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means,
In a direction in which a rail connected to the reactor A is installed in a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conveying means,
And is capable of being injected into the corresponding reactor (A) and pyrolyz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반응기B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밀도값을 갖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송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반응기A와 연결된 레일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방향전환 공급부에서,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된 게이트부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has a density value to be treated in the reactor B,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means,
In a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nveying unit and the rail connected to the reactor 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portion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의 게이트부가 개방되어 이송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은,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반응기B와 연결된 레일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방향전환 공급부로 이송되고,
상기 방향전환 공급부에 연결된 레일을 통해 상기 해당 반응기B로 투입되어 열분해 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conveyed with the gate portion of the conveying means opened,
To a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nveying unit and the rail connected to the reactor 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capable of being introduced into the corresponding reactor (B) through a rail connected to the direction switching supply unit and pyrolyz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응기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실의 외부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상기 분해된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과 촉매의 혼합물을 단계별로 이송시키면서 반응시키는 제1, 제2 교반수단 및
상기 반응실의 내부에서 분해반응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교반수단은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의 하단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반응실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혼합물이 하부로 낙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다단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reactors comprises:
A reaction chamber having an outlet at the bottom,
The first and second agitating members being disposed inside the reaction chamber and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a motor provided outside the reaction chamber and reacting the decomposed waste plastic or a mixture of the waste plastics and the catalyst in a stepwise mann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Means and
And a plurality of heaters for supplying heat energy to the reaction chamber so that the decomposition reaction proceeds smoothl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means are fix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are agitated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stirrer and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reaction chamber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portion, And a base portion having a space that allows the waste plastic or waste plastic to be process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교반부의 회전 속도나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상기 반응기에 머무르는 시간 또는
상기 반응기에 공급되는 열 공급의 양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반응기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밀도에 따라 다르게 조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on speed of the agit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reactor
The time at which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stays in the reactor or
By varying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s of the amount of heat supplied to the reactor,
Wherein the reactor is subjected to different conditions depending on the density of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charged into the reac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응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모든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측정값이 반응기A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밀도값을 갖는 경우,
상기 반응기B 또는 반응기C 또는 반응기D 중 하나 이상의 반응기의 조건을 반응기A의 조건과 동일하게 조건 처리하여 열분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actors comprises:
If the measured values of all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measured by the measuring section have a density value which should be processed in the reactor A,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itions of at least one of the reactor (B), the reactor (C) or the reactor (D) can be pyrolyzed under the same condition as that of the reactor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에는,
상기 반응기의 상부에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이 열분해 되는 경우 발생하는 수분 또는 산도가 혼합된 수증기를 흡착하는 흡착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흡착기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흡착된 수증기를 모으는 중화통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반응기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adsorber for adsorbing water vapor mixed with moisture or acidity generated when the waste vinyl or the waste plastic is pyrolyz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And a neutralization tank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dsorber and collecting the adsorbed water vapo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re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레일의 외부에는,
상기 레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레일을 감싸는 형태의 관이 더 형성되되,
상기 관은 상기 반응기 또는 제2차 반응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하는 폐열이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함으로써 원료의 예열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outside of the rail for transporting the waste vinyl or waste plastics,
Further comprising a pipe for enclosing the rai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ail,
Wherein the tube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te heat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reactor and the second reactor acts, thereby enabling preheating of the raw material.
KR1020170183825A 2017-12-29 2017-12-29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 Withdrawn KR201800650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25A KR20180065007A (en) 2017-12-29 2017-12-29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25A KR20180065007A (en) 2017-12-29 2017-12-29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245A Division KR101832362B1 (en) 2016-12-06 2016-12-06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007A true KR20180065007A (en) 2018-06-15

Family

ID=6262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825A Withdrawn KR20180065007A (en) 2017-12-29 2017-12-29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00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22B1 (en) 2014-04-01 2015-10-02 김형준 Apparatus for recovering of waste vinyls or waste plastic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22B1 (en) 2014-04-01 2015-10-02 김형준 Apparatus for recovering of waste vinyls or waste plastic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362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
CN104163555B (en) A kind of microwave exposure wet sludge anhydration pyrolysis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and method
US8475726B2 (en) Reactor and apparatus for pyrolyzing waste, especially tyre
CN1732042A (en) Treatment of granular solids in an annular fluidized bed with microwaves
KR101118052B1 (en) Oil recycling device for high polymer waste materials
AU2020371331B2 (en) Heat treatment apparatus
US20160215221A1 (en) Dry distillation reactor and method for raw material of hydrocarbon with solid heat carrier
KR20160115143A (en) Sludge drying apparatus
CN105841159A (en) Garbage pyrolysis and catalytic splitting system
RU2524110C2 (en) Fast pyrolysis of biomass and hydrocarbon-bearing products and device to this end
CN203923096U (en) Organic materials carbonization decomposition vapourizing furnace
JP26484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ixed plastic waste
CN214767749U (en) Microwave thermal analysis device and oily solid waste treatment system
EP1022391B1 (en) Process for recycling tar and/or bitumen containing material which comprises asphaltic aggregate by thermal conversion in combination with the production of asphalt
CN109665688A (en) A kind of processing method of oily sludge
KR20180065007A (en)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vinyl and plastic
WO2023223932A1 (en) Continuous organic matter pyrolysis device and continuous organic matter pyrolysis method
US20070003459A1 (en) Catalytic reactor
CN103881738A (en) Organic material treatment system
EP3784756A1 (en) Method for thermic depolymerization of plastic material and device for its realization
JP202354838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waste plastic materials into useful products and solids compression units
KR101701989B1 (en) Development of renewable fuels manufacture and Gasification system using ship wastes
KR100768485B1 (en) Dry carb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untreated waste
RU61844U1 (en) COMPLEX FOR THE PROCESSING OF SOLID DOMESTIC WASTE
CN214991045U (en) Oily sludge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2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120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16524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