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821A -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6821A KR20180056821A KR1020160154621A KR20160154621A KR20180056821A KR 20180056821 A KR20180056821 A KR 20180056821A KR 1020160154621 A KR1020160154621 A KR 1020160154621A KR 20160154621 A KR20160154621 A KR 20160154621A KR 20180056821 A KR20180056821 A KR 201800568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syringe
- chemical liquid
- needle
- h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322 Co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1 Ringer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6 medic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4—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tal end, i.e. end closest to the tip of the needle cannul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앰플의 약액을 주사기로 충진할 때 유리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로 포집하며, 주사기의 약액을 외부로 배출할 때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 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결합허브의 내주연에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약액이 이동되는 약액이동공이 구비되는 허브지지관; 허브지지관의 상부에 구비되어 주사바늘을 통해 주사기 내부로 유입되는 약액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다공성필터; 및 허브지지관의 하부에 구비되며, 약액이 주사기 내부로 유입될 때 약액이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약액의 이동경로를 단속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주사기로 약액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밸브부재의 개폐본체에 작용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개폐슬릿이 개방되는 것을 막아주어 포집공간에 포집된 이물질 중 일부가 개폐슬릿을 통해 외부로 다시 배출되는 것을 원천차단함으로써, 주사기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사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앰플의 약액을 주사기로 충진할 때 유리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로 포집하며, 주사기의 약액을 외부로 배출할 때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 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감염환자에게 투여할 때 사용하는 것이어서 주사과정에서 2차 감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일회용 주사기가 사용된다. 1회용 주사기는 액상과 분말을 혼합하거나 또는 앰플로부터 약액을 주입해 사용된다. 앰플은 주로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앰플을 오픈할 경우에 유리 가루나 플라스틱 기타 불순물가루가 발생된다. 이에 약액을 오픈된 앰플로부터 주사기로 빨아들이면 이물질이 약액과 동시에 빨려지게 됨으로서 이러한 것을 걸러주는 기능이 없어 결국 인체에 주사할 경우에 부작용이 우려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247145호 "주사기용 안전필터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필터(20)가 결합된 주사기(1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주사기(10)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3) 내에 필터(20)를 설치하여 주사바늘(15)을 통해 약액을 실린더(11) 내로 빨아들일 때 유리가루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필터조립체(20)은 주사바늘(15)의 교체없이 그대로 환자에게 주사하게 될 경우 필터(20)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그대로 다시 환자에게 주입되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앰플의 약액을 주사기로 충진할 때 유리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로 포집한 후,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하는 과정에서 약액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밸브가 열려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 중 일부가 다시 환자에게 주입되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의료현장에서는 약액을 주사기로 흡입하여 충진시킬 때에는 필터를 장착한 주사바늘을 사용하고, 약액을 충진한 후에 환자에게 약액을 주입할 때에는 주사바늘을 새것으로 교체한 후 주사하였다. 환자에게 주사할 때마다 주사바늘을 교체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응급환자에게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회용 주사기는 하루에도 매우 많은 양을 사용하는데 한번 주사시에 주사바늘을 복수로 사용함에 따라 의료폐기물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처리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필터가 장착된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할 경우 넓은 공간을 갖는 주사기 실린더에 비해서 그 주사바늘 내부 필터의 필터링되는 면적이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필터부분에서 약액의 병목현상이 발생되면서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하기 위하여 피스톤을 가압하는데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므로 의료진에게는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약액을 안정적으로 주사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로 유리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면서 약액을 충진한 후,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할 때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 중 일부가 환자에게 주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여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사바늘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2차에 걸쳐서 필터링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포집공간 내부에 이물질을 포집하여 주사바늘을 새것으로 교체하지 않고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할 수 있게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에게 약액을 주입할 때 필터를 경유하지 않고 약액이 이동하므로 적은 힘으로 약액을 주입시킬 수 있게 하는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주사바늘을 주사기에 결합시키는 결합허브 내부에 삽입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허브의 내주연에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약액이 이동되는 약액이동공이 구비되는 허브지지관; 상기 허브지지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바늘을 통해 상기 주사기 내부로 유입되는 약액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다공성필터; 및 상기 허브지지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약액이 상기 주사기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약액이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상기 약액의 이동경로를 단속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필터는 상기 결합허브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밸브부재가 삽입되도록 개방형성된 원통형상의 필터레그와, 상기 필터레그의 상부를 폐쇄하며, 상기 필터레그와의 사이에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캡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지지관은 외주연이 상기 결합허부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주연이 상기 필터레그의 내주연과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밸브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밸브삽입공이 형성된 지지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필터레그의 상기 포집공간으로 삽입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약액의 이동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슬릿이 형성된 개폐본체와, 상기 개폐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약액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형성된 원통형상의 밸브레그와, 상기 밸브레그의 하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기 결합허브의 내경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약액의 이동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약액의 이동방향을 단속하는 밸브스커트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본체는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캡의 내면과는 이격되도록 상기 포집공간 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필터캡은 상면이 상기 주사기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밸브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경도가 1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필터레그의 외경은 상기 결합허브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레그와 상기 결합허브 사이에 약액이 이동되는 이동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필터레그의 내경은 상기 지지기둥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밸브레그의 외경은 상기 지지기둥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선단에 바늘결합관이 구비되며, 약액이 수용된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이동하며 약액이 상기 실린더로 주입되거나 상기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도록 압력을 형성하는 피스톤과, 상기 바늘결합관에 결합되는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필터조립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링거액이 수용되는 링거본체와, 상기 링거본체에 결합되는 링거줄과, 상기 링거줄의 단부에 결합되어 링거액을 배출하는 링거바늘과, 상기 링거바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필터조립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는 주사기로 약액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밸브부재의 개폐본체에 작용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개폐슬릿이 개방되는 것을 막아주어 포집공간에 포집된 이물질 중 일부가 개폐슬릿을 통해 외부로 다시 배출되는 것을 원천차단함으로써, 주사기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는 밸브부재에 의해 1차로 이물질을 걸러주고, 다공성필터에 의해 2차로 이물질을 걸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필터가 포집공간을 갖는 밀폐된 구조를 가져 이물질이 포집공간 내부에 포집되어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할 때 이물질이 약액을 재오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개의 주사바늘을 통해 약액의 흡입과 주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의료진의 번거로움과 주사바늘의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필터가 결합허브의 내벽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결합허브와 다공성필터 사이의 이동로를 통해 약액이 직접 이동되어 의료진이 적은 힘으로 약액을 주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필터가 구비된 주사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조립체가 주사기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통해 약액이 주사기로 주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통해 약액이 주사기로부터 주사바늘로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가 결합된 링거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필터조립체가 주사기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통해 약액이 주사기로 주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사기용 필터조립체를 통해 약액이 주사기로부터 주사바늘로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가 결합된 링거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조립체(100)가 주사기(20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조립체(100)는 주사기(200)의 주사바늘(230)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주사기(200)는 약액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실린더(210)와, 실린더(210)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약액이 유입되거나 배출될 압력을 형성하는 피스톤(220)과, 실린더(210)의 선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230)을 포함한다.
실린더(210)의 선단에는 주사바늘(230)이 결합되는 바늘결합관(211)이 일정길이 형성된다. 피스톤(220)은 실린더(210)의 상부로 이동하며 실린더(210) 내부에 부압을 형성하여 바늘본체(235)가 앰플(A)로부터 약액을 주입받도록 한다. 또한, 피스톤(220)은 실린더(2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실린더(210) 내부의 약액(F)이 주사바늘(230)을 통해 환자에게로 배출되도록 한다.
주사바늘(230)은 바늘본체(235)와, 바늘본체(235)를 지지하는 결합허브(231)와, 결합허브(231)에 연장형성되어 바늘결합관(211)에 결합되는 실린더결합관(2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100)는 결합허브(231)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필터조립체(100)는 주사바늘(230) 내부에 삽입된 채로 제조되거나, 의료진이 주사기(200)를 통해 환자에게 주사할 때 주사바늘(230)에 삽입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필터조립체(100)는 주사바늘(230) 내부에 삽입되어 앰플(A)로부터 약액(F)이 주사기(200) 내부로 유입될 때, 약액(F)에 포함된 이물질(W)을 걸러 포집하여 이물질(W)이 주사기(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또한, 필터조립체(100)는 주사기(200) 내부의 약액(F)이 환자에게 주사될 때 포집공간(135) 내부에 이물질(W)을 포집하여 약액(F)만 주사바늘(230)로 이동되도록 한다.
필터조립체(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230)의 결합허브(231)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허브지지관(110)과, 허브지지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약액(F)의 이동경로를 단속하는 밸브부재(120)와, 밸브부재(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물질(W)을 걸러주는 다공성필터(130)를 포함한다.
허브지지관(110)은 결합허브(231)의 내주연에 고정되어, 상부에 다공성필터(130)가 고정되고, 밸브부재(120)가 허브지지관(110) 내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허브지지관(110)은 실린더(210)로 유입된 약액(F)이 바늘본체(235)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약액(F)의 배출경로를 형성한다.
허브지지관(110)은 링형태로 외주연이 결합허브(231)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고정기둥(111)과, 고정기둥(111) 상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어 약액(F)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약액이동공(113)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기둥(111)의 직경은 결합허브(231)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고정기둥(111)이 결합허브(231)의 내주연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약액이동공(1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00)의 약액(F)을 환자에게 주입할 때 이동로(a)를 따라 이동된 약액(F)을 바늘본체(235)로 안내한다. 아울러 약액이동공(1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고정기둥(111)에서 등각을 가지도록 적어도 2개소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약액이동공(113)이 네 개가 등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약액이동공(113)의 개수는 가감될 수 있다.
한편, 고정기둥(111)의 중앙에는 지지기둥(115)이 돌출 형성되고, 지지기둥(115)의 중앙에는 밸브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는 밸브삽입공(117)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기둥(115)의 외주연은 다공성필터(130)의 필터레그(131)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지지기둥(115)의 외주연에 필터레그(131)의 내주연 하부가 고정된다. 그래서 다공성필터(130)가 허브지지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기둥(115)은 필터레그(13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필터레그(131)의 하부가 지지기둥(115)에 고정되며, 필터레그(131)의 하단이 고정기둥(111)의 상면과 밀착되거나, 고정기둥(111)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지지기둥(115)의 중앙에는 밸브삽입공(117)이 관통 형성된다. 밸브삽입공(117)에는 밸브부재(120)가 삽입된다. 이때 밸브삽입공(117)은 밸브부재(120)의 밸브레그(125)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밸브삽입공(117)에 밸브부재(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밸브스커트(123)의 상면 중 내측이 고정기둥(111)의 하면에 중앙측과 고정되어 밸브부재(120)가 허브지지관(110)에 고정된다.
밸브부재(120)는 허브지지관(110)에 삽입되어 약액(F)이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약액(F)의 이동방향을 단속한다. 밸브부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플(A)로부터 주사기(200)로 약액(F)을 공급할 때는 약액(F)이 다공성필터(130)를 경유하는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이동방향을 조절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00)로부터 약액(F)이 환자에게 주사될 때는 다공성필터(130)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로(a)를 따라 이동되도록 이동방향을 조절한다.
밸브부재(120)는 다공성필터(130)의 포집공간(135)으로 삽입되는 개폐본체(121)와, 개폐본체(121)의 외측에서 축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약액(F)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된 원통형상의 밸브레그(125)와, 밸브레그(125)의 하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밸브스커트(123)를 포함한다.
이때, 밸브부재(120)는 고무,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밸브부재(120)는 개폐본체(121)와, 밸브레그(125) 및 밸브스커트(123)가 사출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밸브부재(1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15 내지 50인 것을 사용한다. 밸브부재(120)의 경도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실리콘의 경도가 너무 무르기 때문에 밸브부재(120)의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하기 어려우며, 밸브부재(120)의 경도가 50 초과인 경우 경도가 너무 딱딱하여 약액(F)이 주사기(200) 측으로 이동될 때 개폐본체(121)의 가운데 영역에 형성된 개폐슬릿(121a)의 제대로 안 벌어져서 사용자가 주사기(200)로 약액(F)을 빨아들일 때 시간이 과도하게 소모되고, 힘도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개폐본체(121)는 상면이 타원형, 반구형, 삼각형, 다각형 등 상방향으로 돌출된 대칭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약액(F)이 주사기(200) 측으로 이동될 때 약액(F)의 압력이 가운데의 돌출된 부분으로 집중된다.
개폐본체(121)의 가운데 영역에는 개폐슬릿(121a)이 일방향 또는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약액(F)의 압력이 집중될 때 개폐슬릿(121a)은 압력에 의해 벌어지며 약액(F)이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개폐본체(121)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므로, 약액(F)이 바늘본체(235)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개폐본체(121)의 상부를 가압할 때는 압력이 분산되어 개폐슬릿(121a)이 벌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개폐본체(121)는 바늘본체(235)로부터 실린더(210)로 약액(F)이 공급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방향성을 갖는다.
그러나 약액(F)이 바늘본체(235)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중에 개폐본체(121)의 상부를 가압할 때 압력이 개폐본체(121)의 측면인 밸브레그(125)에도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개폐슬릿(121a)이 벌어지고, 벌어진 개폐슬릿(121a)으로 다공성필터(130)의 포집공간(135)에 포집된 이물질(W) 중 일부가 바 늘본체(236)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본체(121)는 주사기(200) 측을 향해 허브지지관(110)의 지지기둥(115)에 형성된 밸브삽입공(117)으로 삽입된다. 그 상태에서 지지기둥(115)의 내주연이 밸브레그(125)의 외주연을 지지해준다.
허브지지관(110)의 상부에는 다공성필터(130)가 위치하기 때문에, 개폐본체(121)는 밸브삽입공(117)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공성필터(130)의 포집공간(135)에 위치한다.
이때 개폐본체(121)는 지지기둥(115)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포집공간(135)의 내부에 위치하되, 다공성필터(130)의 필터갭(133)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해주도록 위치한다.
이렇게 되면 개폐본체(121)의 상부를 가압할 때, 개폐본체(121)의 상부와 허브지지관(110) 및 밸브부재(120) 즉 주사바늘(230)의 결합허브(231)의 전면적에 걸쳐서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기 때문에 개폐슬릿(121a)이 벌어지지 않게 되고, 개폐본체(121)는 바늘본체(235)로부터 실린더(210)로 약액(F)이 공급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약액(F)이 바늘본체(235)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중에 개폐본체(121)의 개폐슬릿(121a)이 벌어지는 것을 원천차단하게 된다.
즉, 약액(F)이 바늘본체(235)로부터 밸브부재(120)와 다공성필터(130)의 포집공간(135)을 통해 이물질(W)을 필터링하면서 주사기(200)로 유입된 후, 반대로 약액(F)을 주사기(200)로부터 바늘본체(235)로 배출할 때, 포집공간(135)에 포집된 이물질(W) 중 일부가 개폐본체(121)의 개폐슬릿(121a)으로 다시 배출되는 것을 원천차단한다. 그에 따라 다공성필터(130)의 포집공간(135)에 포집된 이물질(W) 중 일부가 환자에게 주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밸브스커트(123)는 밸브레그(125)의 하단 하부영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밸브스커트(123)의 직경은 결합허브(231)의 내경(r1, 도 5)에 대응되되, 허브지지관(110)의 직경보다는 작고, 다공성필터(13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즉, 밸브스커트(123)의 외측단부(123a)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허부(231)의 내벽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밸브스커트(123)는 중심영역에서 외측영역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밸브스커트(123)는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밸브스커트(123)는 약액(F)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수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이 작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플(A)로부터 주사기(200)로 약액(F)이 유입될 때는 약액(F)이 도면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의 이동방향에 의해 밸브스커트(123)는 외측단부(123a)가 결합허브(231)의 외벽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에 의해 밸브스커트(123)가 이동로(a)를 차폐하여 약액(F)이 이동로(a)를 통해 주사기(200)로 유입되지 못하고 밸브부재(120)를 통해서만 이동될 수 있다.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00)로부터 약액(F)이 바늘본체(235)로 배출될 때는 이동로(a)를 통해 이동되는 약액(F)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어 밸브스커트(123)의 외측단부(123a)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외측단부(123a)가 허브지지관(110)의 하부로 부터 이격되면서 약액이동공(113)이 개방된다. 따라서, 약액(F)이 다공성필터(130)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로(a)를 통해 바늘본체(235)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약액(F)이 바늘본체(235)로부터 밸브부재(120)를 통해 주사기(200)로 유입될 때, 개폐본체(121)의 개폐슬릿(121a)을 통해서만 이동될 수 있으므로 개폐슬릿(121a)의 크기보다 큰 이물질(W)은 개폐슬릿(121a)을 통과하지 못하고 밸브부재(120)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이에 이해 이물질(W)이 밸브부재(120)에서 1차로 필터링되게 된다.
다공성필터(130)는 밸브부재(120)를 경유한 약액(F)을 주사기(200)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약액(F)에 포함된 이물질(W)을 2차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이물질(W)을 포집한다.
다공성필터(130)는 허브지지관(110)의 상부에 위치된다. 다공성필터(130)는 판면에 약액(F)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복수개 형성된 다공성부재로 형성된다. 다공성필터(130)는 결합허브(231)의 길이방향을 향해 배치된 필터레그(131)와, 필터레그(131)의 상부를 덮는 필터캡(133)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필터레그(131)의 내부에는 이물질(W)이 포집되는 포집공간(135)이 형성된다. 포집공간(135)의 하부에 개폐본체(121)가 삽입된다.
필터레그(131)는 내주연이 허브지지관(110)의 지지기둥(115)의 외주연 하부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방식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식, 고주파 접착 방식 등이 사용된다.
필터레그(131)는 외경이 결합허브(231)의 내경(r1) 보다 작은 직경(r2)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결합허브(231)와 필터레그(131) 사이에 이동로(a)가 형성된다. 환자에게 약액(F)을 주사할 때, 주사기(200)의 약액(F)이 다공성필터(130)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로(a)를 통해 이동되게 되므로 의료진이 적은 힘으로 약액(F)을 주사할 수 있다.
필터캡(133)은 필터레그(131)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킨다. 이에 의해 포집공간(135)은 하부는 밸브부재(120)에 의해 차단되고 상부는 필터캡(133)에 의해 차단되는 밀폐구조를 갖는다. 포집공간(135)에 수용된 이물질(W)은 밀폐구조에 의해 포집공간(135) 내에 포집되어 약액(F)을 환자에게 주사할 때도 약액(F)을 오염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 약액(F)의 주사시에 새로운 주사바늘로 교체하던 과정 없이 하나의 주사바늘(230)로 약액(F)의 흡입과 주사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필터캡(133)의 상부는 약액의 유입과 배출시 흐름에 영향을 주시 않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평평한 형상, 각진, 납작한, 뾰족한, 삼각, 사각 및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조립체(100)가 구비된 주사기(200)의 약액 흡입과정과 약액 주사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사바늘(230)의 결합허브(231) 내부에 필터조립체(100)을 삽입한다. 의료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조립체(100)의 허브지지관(110)이 결합허브(231)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때, 주사기(200)의 제조 공정상에서 결합허브(231)상에 필터조립체(100)를 미리 조립할 수도 있다.
필터조립체(1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주사바늘(230)을 실린더(210)의 바늘결합관(211)에 결합한다.
약액(F)이 들어있는 앰플(A)을 오픈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본체(235)를 앰플(A)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주사기(200)의 피스톤(220)을 뒤로 당기면, 실린더(210)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면서 약액(F)이 바늘본체(235)를 통해 흡입된다.
바늘본체(235)를 따라 유입된 약액(F)은 허브지지관(110)으로 이동된다. 허브지지관(110)의 약액이동공(115)을 따라 이동된 약액(F) 중 결합허브(231)의 양측으로 이동된 약액(F)은 밸브스커트(123)를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밸브스커트(123)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외측단부(123a)가 허브지지관(110)의 고정기둥(111)과 접촉되며, 약액이동공(115)을 막아준다. 그에 따라 이동로(a)를 차폐한다.
약액(F)은 밸브스커트(123)에 의해 차폐된 이동로(a)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개폐본체(121)로 유입된다. 개폐본체(121)로 유입된 약액(F)은 개폐본체(121)의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가운데영역에 집중되고, 집중된 압력에 의해 개폐슬릿(121a)이 개방된다. 개방된 개폐슬릿(121a)을 통해 약액(F)이 다공성필터(130) 측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개폐슬릿(121a)의 크기보다 큰 이물질(W)은 1차로 걸러쳐 개폐본체(121) 내부로 잔류된다. 다공성필터(130)로 이동된 약액(F)은 다공성필터(130)를 경유하여 실린더(210) 측으로 이동되며 2차로 걸러진다. 이 때, 필터캡(133)에 의해 다공성필터(130)는 폐쇄된 형상을 띄므로 다공성필터(130)의 구멍보다 큰 이물질(W)은 포집공간(135) 내에 포집된다. 다공성필터(130)를 경유하여 2차에 걸쳐 이물질(W)이 걸려진 약액(F)은 실린더(210) 내부에 수용된다.
한편, 실린더(210)로 유입된 약액(F)을 환자에게 주사할 때는 피스톤(220)을 가압하여 약액(F)을 주사바늘(230)로 배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허브(231)로 유입된 약액(F)은 다공성필터(130)와 이동로(a)로 이동된다. 이 때, 필터레그(131)와 결합허브(231) 사이에 이격된 이동로(a)를 통해 약액(F)이 이동되면서 밸브스커트(123)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한다.
약액(F)의 이동압력에 의해 밸브스커트(123)의 외측단부(123a)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허브지지관(110)의 약액이동공(113)이 열리면서 이동로(a)가 개방되고 약액(F)은 바늘본체(235)로 이동된다.
약액(F)이 바늘본체(235)로 이동될 때, 이물질(W)은 포집공간(135) 내에 포집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물질(W)은 바늘본체(235)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로 새로운 주사바늘로 교체하지 않고 2차에 걸쳐 필터링된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액(F)을 주사바늘로(230)로 배출할 때, 압력이 다공성필터(130), 밸브부재(120) 및 허브지지관(110) 전체에 걸리고, 밸브부재(120)의 밸브레그(125)를 허브지지관(110)의 지지기둥(115)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밸브부재(120)의 개폐본체(121)에 형성된 개폐슬릿(121a)이 열려서 포집공간(135)에 포집된 이물질(W) 중 일부가 다시 바늘본체(235)로 이동되는 것을 원천 차단해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조립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00)에 결합되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조립체(30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링거조립체(300)는 링거액이 수용되는 링거본체(310)와, 링거본체(310)와 연결되는 링거줄(320)과, 링거줄(320)의 단부에 형성된 링거연결관(321)에 결합되어 링거액을 환자에게 주사하는 링거바늘(3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조립체(100)는 링거바늘결합부재(331) 내부에 삽입되어 링거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조립체는 주사바늘 내부에 삽입되어 앰플의 개방시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주사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아울러 주사기로 약액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밸브부재의 개폐본체에 작용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개폐슬릿이 개방되는 것을 막아주어 포집공간에 포집된 이물질 중 일부가 개폐슬릿을 통해 외부로 다시 배출되는 것을 원천차단함으로써, 주사기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필터조립체는 밸브부재에 의해 1차로 이물질을 걸러주고, 다공성필터에 의해 2차로 이물질을 걸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필터가 밀폐된 구조를 가져 이물질이 내부에 포집되어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할 때 이물질이 약액을 재오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개의 주사바늘을 통해 약액의 흡입과 주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의료진의 번거로움과 주사바늘의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필터가 결합허브의 내벽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결합허브와 다공성필터 사이의 이동로를 통해 약액이 직접 이동되어 의료진이 적은 힘으로 약액을 주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필터조립체
110 : 허브지지관
111 : 고정기둥 113 : 약액이동공
115 : 지지기둥 117 : 밸브삽입공
120 : 밸브부재
121 : 개폐본체 121a : 개폐슬릿 123 : 밸브스커트
123a : 외측단부 125 : 밸브레그
130 : 다공성필터
131 : 필터레그 133 : 필터캡 135 : 포집공간
200 : 주사기
210 : 실린더 211 : 바늘결합관
220 : 피스톤
230 : 주사바늘
231 : 결합허브 233 : 실린더결합관 235 : 바늘본체
300 : 링거조립체
310 : 링거본체
320 : 링거줄 321 : 링거연결관
330 : 링거바늘 331 : 링거바늘결합부재
110 : 허브지지관
111 : 고정기둥 113 : 약액이동공
115 : 지지기둥 117 : 밸브삽입공
120 : 밸브부재
121 : 개폐본체 121a : 개폐슬릿 123 : 밸브스커트
123a : 외측단부 125 : 밸브레그
130 : 다공성필터
131 : 필터레그 133 : 필터캡 135 : 포집공간
200 : 주사기
210 : 실린더 211 : 바늘결합관
220 : 피스톤
230 : 주사바늘
231 : 결합허브 233 : 실린더결합관 235 : 바늘본체
300 : 링거조립체
310 : 링거본체
320 : 링거줄 321 : 링거연결관
330 : 링거바늘 331 : 링거바늘결합부재
Claims (8)
- 주사바늘을 주사기에 결합시키는 결합허브 내부에 삽입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허브의 내주연에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약액이 이동되는 약액이동공이 구비되는 허브지지관;
상기 허브지지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사바늘을 통해 상기 주사기 내부로 유입되는 약액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다공성필터; 및
상기 허브지지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약액이 상기 주사기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약액이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상기 약액의 이동경로를 단속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필터는 상기 결합허브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밸브부재가 삽입되도록 개방형성된 원통형상의 필터레그와, 상기 필터레그의 상부를 폐쇄하며, 상기 필터레그와의 사이에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캡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지지관은 외주연이 상기 결합허부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주연이 상기 필터레그의 내주연과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밸브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밸브삽입공이 형성된 지지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필터레그의 상기 포집공간으로 삽입되며, 가운데 영역에 상기 약액의 이동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슬릿이 형성된 개폐본체와, 상기 개폐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약액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형성된 원통형상의 밸브레그와, 상기 밸브레그의 하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기 결합허브의 내경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약액의 이동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약액의 이동방향을 단속하는 밸브스커트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본체는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캡의 내면과는 이격되도록 상기 포집공간 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캡은 상면이 상기 주사기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경도가 1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레그의 외경은 상기 결합허브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레그와 상기 결합허브 사이에 약액이 이동되는 이동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레그의 내경은 상기 지지기둥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레그의 외경은 상기 지지기둥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 선단에 바늘결합관이 구비되며, 약액이 수용된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이동하며 약액이 상기 실린더로 주입되거나 상기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도록 압력을 형성하는 피스톤과, 상기 바늘결합관에 결합되는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필터조립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 링거액이 수용되는 링거본체와, 상기 링거본체에 결합되는 링거줄과, 상기 링거줄의 단부에 결합되어 링거액을 배출하는 링거바늘과, 상기 링거바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필터조립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621A KR20180056821A (ko) | 2016-11-20 | 2016-11-20 |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621A KR20180056821A (ko) | 2016-11-20 | 2016-11-20 |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6821A true KR20180056821A (ko) | 2018-05-30 |
Family
ID=6230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4621A Withdrawn KR20180056821A (ko) | 2016-11-20 | 2016-11-20 |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5682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3869B1 (ko) * | 2018-07-03 | 2019-04-17 | 유공유체산업(주)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
CN115154880A (zh) * | 2022-06-24 | 2022-10-11 | 济南国科医工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无回液水光针负压结构 |
-
2016
- 2016-11-20 KR KR1020160154621A patent/KR20180056821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3869B1 (ko) * | 2018-07-03 | 2019-04-17 | 유공유체산업(주)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필터 주사기 |
CN115154880A (zh) * | 2022-06-24 | 2022-10-11 | 济南国科医工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无回液水光针负压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721321B (zh) | 一种自动过滤注射器 | |
KR101354451B1 (ko) | 필터 주사기 | |
KR101335979B1 (ko) | 약액의 흡입 및 주입용 필터 허브 조립체 | |
KR101245378B1 (ko) | 필터 니들 | |
KR101222881B1 (ko) | 필터 니들 | |
KR101713835B1 (ko) | 필터 니들 | |
KR101753478B1 (ko)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 |
KR101481987B1 (ko)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 |
KR101690456B1 (ko) | 필터 주사기 | |
KR101513465B1 (ko) |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 필터 | |
CN103721322A (zh) | 一种过滤型注射器 | |
KR101364496B1 (ko)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 |
KR20160078299A (ko) |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 |
KR101247145B1 (ko) | 주사기용 안전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 |
KR101680211B1 (ko) | 주사기 내장용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안전 주사기. | |
KR101532413B1 (ko) |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 |
US10716902B2 (en) | Filtering syringe | |
CN103736174B (zh) | 一种双向过滤型注射器 | |
KR101396141B1 (ko)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 |
KR20180056821A (ko) |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 |
KR101691308B1 (ko) | 필터 주사기 | |
KR20160096405A (ko) | 약액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팁 | |
KR101993918B1 (ko) | 이물질 여과필터가 구비된 주사기 | |
KR101868055B1 (ko) | 약액의 안정적인 주입 및 약액의 잔존을 방지하기 위해 개선시킨 약액 주입용 여과기의 주입부구조 | |
KR101504484B1 (ko) |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