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5378B1 - 필터 니들 - Google Patents

필터 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378B1
KR101245378B1 KR1020110112458A KR20110112458A KR101245378B1 KR 101245378 B1 KR101245378 B1 KR 101245378B1 KR 1020110112458 A KR1020110112458 A KR 1020110112458A KR 20110112458 A KR20110112458 A KR 20110112458A KR 101245378 B1 KR101245378 B1 KR 10124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eedle
fixing member
chemical liquid
filt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배
Original Assignee
김근배
주식회사 쟈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11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378B1/ko
Application filed by 김근배, 주식회사 쟈마트 filed Critical 김근배
Priority to SG2013076062A priority patent/SG194174A1/en
Priority to CN201610807229.5A priority patent/CN106362253B/zh
Priority to PCT/KR2012/002632 priority patent/WO2012138177A2/ko
Priority to CN201280017314.1A priority patent/CN103492009B/zh
Priority to EP12767676.5A priority patent/EP2695629B1/en
Priority to CN201610807283.XA priority patent/CN106237444B/zh
Priority to US14/009,240 priority patent/US9265883B2/en
Priority to JP2014503605A priority patent/JP581705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378B1/ko
Priority to US14/498,614 priority patent/US931457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2Devices aiding filling of syringes in sit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ditional parts, e.g. clamping rings or collets
    • A61M5/345Adaptors positioned between needle hub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hydrophilic or hydrophobic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iquophilic, hydrophi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의 약액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구간에 필터를 내장하여 앰플로부터 약액충진시와 환자에게 약액투여시 투여되는 약액에 이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방지한 필터 니들에 관한 것으로, 주사바늘을 주사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에 필터구조체를 내장하고, 필터구조체의 구조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구분되도록 하면서 각각의 흡입구와 배출구가 체크밸브 구조로 일 방향으로만 개방되어지도록 하여 흡입경로와 배출경로를 구분토록 하며, 배출구에는 이물질의 배출방지를 위한 필터를 장착하여 필터에 의하여 걸러진 이물질이 주사기 내부에 잔류하면서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필터의 구조가 원형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밸브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장착하여 약액이 필터링 되는 단면적을 넓혀 약액의 배출시 필터링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피스톤에 가중되는 압력을 줄여 환자에게 약액주사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 니들{filter needle}
본 발명은 주사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필터 니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앰플의 약액을 충진할 경우에 이물질이 주사바늘에 남지 않도록 주사기 내부로 모두 흡입하면서도 약액을 주사할 경우에는 주사기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주사바늘의 교체 없이 주사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감염환자에게 투여할 때 사용하는 것이어서 주사과정에서 2차 감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일회용 주사기가 사용되고, 이러한 1회용의 주사기는 액상과 분말을 혼합하거나 또는 액상만을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액상은 주로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앰플에 담겨져 있으므로 앰플을 오픈할 경우에 유리 가루나 플라스틱 기타 불순물가루가 발생되고 따라서 액상을 주사기로 빨아들이면 이물질이 액상과 동시에 빨려지게 됨으로서 이러한 것을 걸러주는 기능이 없어 결국 인체에 주사할 경우에 동시에 주사되므로 많은 부작용이 우려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앰플은 보관 및 운송중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앰플병이 대부분 유리로 제조된 경우가 많고, 이러한 앰플은 일부를 깨뜨려서 투입구를 만들거나 고무로 막혀있는 마개에 주사바늘을 강제로 삽입하여 약액을 빨아들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미세한 유리가루 또는 고무조각이 약액에 섞여서 주사기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결국에는 이러한 이물질이 약액과 함께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고정부재 내에 필터를 설치하여 주사바늘을 통해 약물을 실린더 내로 빨아들일 때 유리가루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주사바늘의 교체없이 그대로 환자에게 주사하게 될 경우 필터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그대로 다시 환자에게 주입되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의료현장에서는 약액을 주사기로 흡입하여 충진시킬 때에는 필터를 장착한 주사바늘을 사용하고, 약액을 충진한 후에 환자에게 약액을 주입할 때에는 주사바늘을 새것으로 교체한 후 주사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에게 주사시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응급환자에게 신속히 대처할 수 없고, 또한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하루에도 매우 많은 양을 사용하는데 한번 주사시에 주사바늘을 복수로 사용함에 따라 의료폐기물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의료폐기물은 일반 폐기물과는 별도로 구분되어 처리토록 하는데, 이에 따른 처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가 장착된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할 경우 넓은 공간을 갖는 주사기 실린더에 비해서 그 주사바늘 내부 필터의 필터링되는 면적이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필터부분에서 약액의 병목현상이 발생되면서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하기 위하여 피스톤을 가압하는데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므로 의료진에게는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약액을 안정적으로 주사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터 니들의 간단한 구조개선으로 환자에게 약액을 주사할 때 이물질이 함께 주사되는 것을 필터를 통하여 완벽하게 걸러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약액을 충진과 주사과정에서 주사바늘의 교체없이 그대로 환자에게 주사함에도 불구하고 이물질이 약액과 함께 환자에게 재투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필터 니들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작이 가능토록 하고, 또한, 약액의 주사시 필터에 가중되는 압력을 분산시켜 약액을 필터링함으로써 피스톤의 가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주사바늘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에 필터구조체를 내장하고, 상기 필터구조체의 테두리 부분으로는 흡입구를 형성하면서 필터구조체의 중앙부분으로는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여 각 흡입구와 배출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체크밸브 구조에 의하여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하여 흡입경로와 배출경로를 구분토록 하면서 약액의 배출구측에는 이물질의 배출방지를 위한 필터를 장착함으로써 주사기에 약액을 충진할 경우에는 주사기 실린더 내부로 모든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필터구조체의 외측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약액을 주사할 경우에는 필터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어 걸러진 이물질이 주사기 내부에 잔류하면서 이물질이 약액과 함께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배출구 측에 장착되는 필터의 형태를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하여 약액이 맞닿아 걸러지도록 되는 필터의 단면적을 늘려 약액의 흡입 및 배출시에 압력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되면서 더욱 원활히 피스톤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액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라인이 구분되므로 약액 배출시 이물질이 함께 투여될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주사바늘을 교체할 필요없이 약액을 흡입한 후 바로 주사가 가능하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피스톤을 가압하여 주사할 수 있음으로 위급환자에게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주사기로 흡입한 약액에 미세한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하더라도 배출구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에 의하여 걸러져 실린더 내부에 잔류하므로 환자에게 약액을 주사시 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전혀 없으며, 보다 안전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a는 본 발명의 필터구조체의 저면사시도
도 1b는 고정부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 니들의 장착상태 부분확대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약액 흡입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약액 배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필터 니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도 5의 필터구조체의 저면사시도
도 6는 도 5의 필터 니들의 장착상태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필터 니들의 약액 흡입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는 도 5의 필터 니들의 약액 배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주사기의 필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주사기의 필터구조를 나타낸 장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0)와 피스톤(110)으로 이루어진 주사기 본체의 전단부에 필터 니들, 즉 주사바늘(2)과 그 주사바늘(2)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a)에 필터구조체(1)를 삽입하어 이루어진 것을 끼워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 주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필터구조체(1)와 고정부재(2a)의 조립구조상에 흡입구(1a)와 배출구(1b)가 형성되도록 하고, 각각의 흡입구(1a)와 배출구(1b)는 체크밸브 구조에 의하여 서로 역방향으로만 개방이 가능토록 하여 약액의 유입경로와 배출경로를 구분하면서 약액 주사시에 필터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한 것이다.
즉, 주사기는 약물이 충진되도록 내공간을 갖는 실린더(100)에 피스톤(110)이 내장되어 피스톤(11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주사기에 앰플을 끼운 상태에서 피스톤(110)을 후방으로 당기면 실린더(100)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후방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흡입구(1a)를 개방하여 앰플에 담겨져 있는 약액을 흡입하여 실린더 내부로 빨아들이게 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주사바늘(2)에 끼워져 있는 앰플을 제거한 후 전방으로 피스톤(110)을 밀어서 실린더(100)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키면 충진되어 있는 약액을 배출구(1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환자에게 주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구조체(1)는 원형본체(10)의 외측과 중앙부에 각각 흡입구(1a)와 배출구(1b)를 형성하여여 흡입경로와 배출경로가 구분되도록 하면서 배출구(1b)에는 필터(20)를 내장하면 약액의 충진시에 주사기 실린더(100)로 유입된 이물질이 약액의 배출시에는 필터(20)에 의하여 걸러지면서 주사바늘(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실린더 내부에 잔류토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구조체(1)의 구조와 고정부재(2a)와의 결합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본체(10)의 외경이 고정부재(2a)의 내경과 이격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고정부재(2a)의 내경에는 원형본체(10)의 외경에 맞닿도록 도 1b와 같이 돌출되게 두 개 이상의 복수의 기둥부(13)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기둥부(1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14)을 통하여 원형본체(10)의 외측 둘레에 흡입구(1a)를 형성하고, 원형본체(10)의 외경 하단에는 고정부재(2a)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테두리막(11)을 형성하여 테두리막(11)이 고정부재(2a)의 내경과 밀착되거나 떨어지면서 흡입구(1a)가 차단되거나 또는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기둥부(13)는 4개 또는 도 1b와 같이 6개로 형성함이 가장 바람한 것이지만, 이러한 기둥부(13)의 갯수는 약액의 흡입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설계상 다양한 갯수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원형본체(10)의 중앙부에는 상측방향, 즉 주사바늘(2)이 형성된 방향으로 반구형의 형태로 돌출되게 가림막(12)을 형성하고, 가림막(12)의 중앙에 절개선(12a)을 형성하여 가림막(12)의 내부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주사바늘(2)이 형성된 방향으로 절개선(12a)이 벌어짐되면서 약액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의 흡입시 피스톤(110)을 당겨서 주사기 실린더(100) 내측으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하면 흡입구(1a)에 위치되는 테두리막(11)이 고정부재(2a)의 내벽과 떨어지면서 그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이격공간(14)이 상하로 관통되면서 흡입구(1a)가 개방되는 것이고, 피스톤(110)을 계속적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앰플에 담겨져 있는 약액을 주사기 실린더(100)에 충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환자에게 주사기에 담겨진 약액을 투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피스톤(110)을 밀어서 도 4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방향으로 배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면 배출구(1b)에 위치되는 가림막(12)의 절개선(12a)이 주사바늘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고, 피스톤(110)을 계속적으로 밀게 되면 실린더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구(1a)가 일방향으로만 개방되어지는 원리는 테두리막(11)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고정부재(2a)의 내벽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실린더측으로 흡입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고정부재의 내벽과 떨어지면서 흡입구(1a)가 개방되어지지만 타측방향, 즉 주사바늘측으로 배출력이 발생될 경우에는 고정부재(2a)의 내벽에 걸려 더욱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는 것이고, 상기 배출구(1b)가 일방향으로만 개방되어지는 원리는 그 형태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된 방향으로만 절개선(12a)이 벌어짐이 가능토록 되면서 높은 압력에서 반대 방향 즉 실린더측으로는 벌어짐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피스톤의 전,후진 작동에 의하여 흡입시 또는 배출시에 발생하는 압력이 흡입구(1a)와 배출구(1b) 모두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흡입구(1a)와 배출구(1b)가 각각 다른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항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실린더의 내부방향으로 압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흡입구(1a)의 테두리막(11)이 벌어지면서 흡입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배출구(1b)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피스톤을 전방으로 밀어서 실린더(100)에서 주사바늘(2) 방향으로 압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배출구(1b)의 가림막(12)에 형성된 절개선(12a)이 벌어지면서 배출구(1b)가 개방됨과 동시에 흡입구(1a)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고정부재(2a)의 내벽에 형성된 기둥부(13)의 형태는 테두리막(11)의 상면으로부터 가림막(12)의 상단부 높이까지 형성하면 필터구조체(1)가 고정부재(2a)에 삽입된 상태에서 테두리막(11)이 역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면서도 테두리막(11)의 외주면이 균일한 압력으로 고정부재(2a)의 내벽에 밀착되어져 안정적으로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돌출되어진 기둥부(13)의 상단부가 가림막(12)의 상단부 높이까지 형성되므로 고정부재(2a)에 필터구조체(1)를 끼운 상태에서 가림막(12)이 직접 고정부재(2a)의 내벽에 맞닿지 않게 되어 가림막(12)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기둥부(13)는 내경에 걸림턱(13a)이 형성되어 필터구조체(1)를 고정부재(2a)에 끼울 경우 필터구조체(1)의 상면 테두리가 걸림턱(13a)에 의하여 걸려 고정되어 긴밀히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때 기둥부(13)의 상측은 경사면(13b)을 형성함으로써 약액이 주사기 실린더(100)로 흡입될 경우 약액을 중앙부로 모아 약액유입이 용이하도록 유도토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둥부(13)의 갯수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원형본체(10)의 외주면을 따라서 네 방향에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지만,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둥부(13)는 필터구조체(1)와 일체로 성형하여 필터구조체(1)를 고정부재(2a)에 삽입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필터구조체의 성형이 어렵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a)의 내경에 기둥부(13)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필터구조체(1)와 고정부재(2a)를 결합함으로써 흡입구(1a)와 배출구(1b)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원형본체(10)에 내장되는 필터(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지는 원통형막(21)을 형성하면서 그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차단막(22)으로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방된 부분을 주사기 니들 측으로 위치하도록 원형본체(10)에 끼우면 막힌 부분이 필터의 후방, 즉 주사기 실린더측으로 위치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주사기 실린더(100) 내부의 약액이 배출되어질 때 잔류하고 있는 이물질을 걸를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통형막(21)은 그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후방으로 연장하면 필터(20)가 필터구조체(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끼움 결합됨으로써 약액이 직접 맞닿아 흡수되어지는 필터의 단면적을 늘려 약액의 배출시 필터구조체(1)에 가중되는 압력을 분산시키면서 피스톤의 가압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원통형막(21)의 길이는 주사기 실린더(100)의 전단부에 직접 맞닿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2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진 필터틀(23)의 내경에 걸름망(2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그 필터(20)를 원형본체(10)의 내측에 인서트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필터틀(23)의 하단부는 원형본체(10)의 하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돌출되게 형성하면 필터틀(23)의 하단부가 주사기 실린더(100)의 전단부에 직접 맞닿게 되면서 실린더(100)의 전단부가 테두리막(11)에 직접 맞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테두리막(11)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필터틀(23)이 주사기 실린더(100)의 전단부에 직접 맞닿게 되면 약액의 충진을 위한 흡입구(1a)가 차단되므로 필터틀(23)에는 부분적으로 절개부(23a)를 형성함으로써 약액이 충진되는 흡입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사바늘의 교체없이 약액을 흡입한 주사바늘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약액을 환자에게 주사할 때 흡입구(1a)의 외측에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으므로 약액과 함께 주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는 필터(20)에 의하여 약액에 함유된 이물질이 배출되지 못하고 실린더 내부에 잔류하게 되면서 역시 환자에게 주입되는 약액에 이물질이 섞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순도가 높은 약액 만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필터구조체
2: 주사바늘 2a: 고정부재
10: 원통형 몸체 11: 테두리막
12: 가림막 12a: 절개선
13: 기둥부 14: 이격공간
20: 필터

Claims (5)

  1. 주사바늘(2)과 그 주사바늘(2)을 주사기 실린더(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a)로 이루어지고 그 고정부재(2a)에는 필터가 내장되어 약액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되는 필터 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 니들은 주사바늘(2)이 형성되는 고정부재(2a)에 필터구조체(1)가 내장되고, 필터구조체(1)는 원형본체(10)로 이루어지면서 그 외측과 중앙부에 각각 흡입구(1a)와 배출구(1b)가 형성되어 흡입경로와 배출경로가 구분토록 되며, 각각의 흡입구(1a)와 배출구(1b)는 체크밸브 구조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만 개방이 가능토록 되며, 상기 배출구(1b)측에는 필터구조체(1)에 필터(20)가 끼워져 약액의 배출시에는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실린더 내부에 잔류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니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구조체(1)는 원형본체(10)의 중앙부에 반구형의 형태로 돌출되면서 그 중앙부에 절개선(12a)을 갖는 가림막(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a)의 내경에는 돌출되게 복수의 기둥부(13)가 형성되어 필터구조체(1)의 외경이 기둥부(13)와 밀착되게 끼워지며, 상기 기둥부(13)의 사이의 이격공간(14)을 통하여 흡입구(1a)가 형성되면서 이격공간(14)의 하단부에 밀착되도록 원형본체의 하단에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테두리막(11)이 형성되어 테두리막(11)과 가림막(1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면서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니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3)는 내경에 걸림턱(13a)이 형성되어 필터구조체(1)의 상면이 걸림 고정토록 되고, 기둥부(13)의 상측은 경사면(13b)이 형성되어 약액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니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0)는 원통형막(21)의 일방향이 차단막(22)으로 막혀 형성되면서 원통형막(21)의 길이가 필터구조체(1)의 내입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필터구조체(1)로부터 돌출되게 끼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니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0)는 원형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진 필터틀(23)의 내경에 걸름망(24)이 형성되고, 그 필터틀(23)이 주사기 실린더(100)의 전단부에 맞닿게 되면서 필터틀(23)에는 부분적으로 절개부(23a)가 형성되어 약액의 흡입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니들.
KR1020110112458A 2011-04-08 2011-10-31 필터 니들 KR10124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458A KR101245378B1 (ko) 2011-10-31 2011-10-31 필터 니들
CN201610807229.5A CN106362253B (zh) 2011-04-08 2012-04-06 过滤针
PCT/KR2012/002632 WO2012138177A2 (ko) 2011-04-08 2012-04-06 필터 니들.
CN201280017314.1A CN103492009B (zh) 2011-04-08 2012-04-06 过滤针
SG2013076062A SG194174A1 (en) 2011-04-08 2012-04-06 Filter needle
EP12767676.5A EP2695629B1 (en) 2011-04-08 2012-04-06 Filter needle
CN201610807283.XA CN106237444B (zh) 2011-04-08 2012-04-06 过滤针
US14/009,240 US9265883B2 (en) 2011-04-08 2012-04-06 Filter needle
JP2014503605A JP5817050B2 (ja) 2011-04-08 2012-04-06 フィルターニードル
US14/498,614 US9314570B2 (en) 2011-04-08 2014-09-26 Filter nee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458A KR101245378B1 (ko) 2011-10-31 2011-10-31 필터 니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378B1 true KR101245378B1 (ko) 2013-03-25

Family

ID=4818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458A KR101245378B1 (ko) 2011-04-08 2011-10-31 필터 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378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936B1 (ko) * 2013-07-23 2014-02-11 주식회사 아이엠티코리아 커넥터형 여과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주사기 및 커넥터형 여과장치 제조방법
KR101466764B1 (ko) * 2014-04-22 2014-11-28 백우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200475695Y1 (ko) * 2013-11-01 2014-12-23 박효남 주입저항감을 저하시킨 필터가 내장된 스톱코크방식의 정맥주사용 멀티웨이 커넥터 장치
WO2015163615A1 (ko) * 2014-04-22 2015-10-29 백우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1572663B1 (ko) * 2015-05-20 2015-11-27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WO2016060467A3 (ko) * 2014-10-14 2016-06-09 메디칸(주)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
KR20160078299A (ko) 2016-03-31 2016-07-04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20160109622A (ko) *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쟈마트메디칼 주사기에 장착되는 필터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KR101684487B1 (ko) * 2016-01-07 2016-12-08 고종원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WO2017159923A1 (ko) 2015-11-30 2017-09-21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KR101817749B1 (ko) 2017-07-17 2018-01-11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
KR101830639B1 (ko) 2015-05-20 2018-02-21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
KR20180047297A (ko) 2016-10-31 2018-05-10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20190013182A (ko)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이물질 여과필터가 구비된 주사기
KR20190121092A (ko) * 2018-04-17 2019-10-25 이진숙 안전필터유닛을 갖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2037703B1 (ko) 2018-05-14 2019-10-29 주식회사 하나비전테크 링거수액 이물질 비전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30523A (ko) 2019-09-03 2019-11-22 주식회사 하나비전테크 링거수액 이물질 비전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9340B1 (ko) * 2019-02-22 2019-12-26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필터 주사기
EP3409310A4 (en) * 2016-01-27 2020-02-12 Ra, Yong-Kuk SYRINGE
KR20200106634A (ko) * 2019-03-05 2020-09-15 (주) 씨엠씨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624Y1 (ko) 2004-05-04 2004-07-30 김용범 일회용 주사기
KR20050108169A (ko) * 2004-05-11 2005-11-16 서유미 일회용 주사기의 필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981586B1 (ko) 2008-07-28 2010-09-10 강강구 주사기용 안전 필터 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624Y1 (ko) 2004-05-04 2004-07-30 김용범 일회용 주사기
KR20050108169A (ko) * 2004-05-11 2005-11-16 서유미 일회용 주사기의 필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981586B1 (ko) 2008-07-28 2010-09-10 강강구 주사기용 안전 필터 팁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936B1 (ko) * 2013-07-23 2014-02-11 주식회사 아이엠티코리아 커넥터형 여과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주사기 및 커넥터형 여과장치 제조방법
WO2015012432A1 (ko) * 2013-07-23 2015-01-29 주식회사 아이엠티코리아 커넥터형 여과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주사기 및 커넥터형 여과장치 제조방법
KR200475695Y1 (ko) * 2013-11-01 2014-12-23 박효남 주입저항감을 저하시킨 필터가 내장된 스톱코크방식의 정맥주사용 멀티웨이 커넥터 장치
WO2015064955A1 (ko) * 2013-11-01 2015-05-07 박효남 주입저항감을 저하시킨 필터가 내장된 스톱코크방식의 정맥주사용 멀티웨이 커넥터 장치
KR101466764B1 (ko) * 2014-04-22 2014-11-28 백우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WO2015163615A1 (ko) * 2014-04-22 2015-10-29 백우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WO2016060467A3 (ko) * 2014-10-14 2016-06-09 메디칸(주)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
KR102074515B1 (ko) 2015-03-12 2020-02-10 주식회사 쟈마트메디칼 주사기에 장착되는 필터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KR20160109622A (ko) *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쟈마트메디칼 주사기에 장착되는 필터수단이 구비된 커넥터.
KR101572663B1 (ko) * 2015-05-20 2015-11-27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WO2016186272A1 (ko) * 2015-05-20 2016-11-24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830639B1 (ko) 2015-05-20 2018-02-21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
WO2017159923A1 (ko) 2015-11-30 2017-09-21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KR101684487B1 (ko) * 2016-01-07 2016-12-08 고종원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EP3409310A4 (en) * 2016-01-27 2020-02-12 Ra, Yong-Kuk SYRINGE
KR20160078299A (ko) 2016-03-31 2016-07-04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102053405B1 (ko) 2016-10-31 2020-01-0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20180047297A (ko) 2016-10-31 2018-05-10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101817749B1 (ko) 2017-07-17 2018-01-11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
KR20190013182A (ko)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이물질 여과필터가 구비된 주사기
KR20190121092A (ko) * 2018-04-17 2019-10-25 이진숙 안전필터유닛을 갖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2136745B1 (ko) 2018-04-17 2020-07-23 주식회사 밴드골드 안전필터유닛을 갖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2037703B1 (ko) 2018-05-14 2019-10-29 주식회사 하나비전테크 링거수액 이물질 비전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9340B1 (ko) * 2019-02-22 2019-12-26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필터 주사기
KR20200106634A (ko) * 2019-03-05 2020-09-15 (주) 씨엠씨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KR102203624B1 (ko) * 2019-03-05 2021-01-19 (주) 씨엠씨 주사기용 필터 제조금형
KR20190130523A (ko) 2019-09-03 2019-11-22 주식회사 하나비전테크 링거수액 이물질 비전검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378B1 (ko) 필터 니들
KR101222881B1 (ko) 필터 니들
KR20120114746A (ko) 필터 니들
KR101354451B1 (ko) 필터 주사기
CN106362253B (zh) 过滤针
ES2656869T3 (es) Sistema para proporcionar un equipo para administración IV con ventilación cerrada para medicamento peligroso
KR101435898B1 (ko) 필터 니들 일체형 주사기
KR20140001800A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1513465B1 (ko)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 필터
KR101691218B1 (ko) 필터링과 주사가 동시에 가능한 일회용 주사기
KR20120114742A (ko) 필터니들
KR101532413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101364496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1396141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1600562B1 (ko) 스틱 인저리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형 주사기
KR101647738B1 (ko) 주사기용 필터 모듈
KR20160096405A (ko) 약액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팁
KR101504484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1419838B1 (ko) 주사기용 바늘 캡핑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KR101301932B1 (ko) 밸브가 구비된 필터주사기
JP7389131B2 (ja) 薬品混合装置、これを含む薬品混合キット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CN206102975U (zh) 安全型双向过滤配药注射针
CN105832546A (zh) 具有单向过滤功能的安全型配药注射针
KR20180056821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CN105919805A (zh) 具有双向过滤功能的配药注射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