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48785A -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785A
KR20180048785A KR1020187008475A KR20187008475A KR20180048785A KR 20180048785 A KR20180048785 A KR 20180048785A KR 1020187008475 A KR1020187008475 A KR 1020187008475A KR 20187008475 A KR20187008475 A KR 20187008475A KR 20180048785 A KR20180048785 A KR 2018004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rail
base portion
bracket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646B1 (ko
Inventor
노부히토 후나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6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4Latera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2Guideways; Guides with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66B11/0273Passive systems acting between car and supporting frame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승강로(1)의 내벽(1a)에 장착하는 브라켓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가이드 레일(4)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를 얻는다.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 내에서 열로 늘어놓여지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4) 중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저면에 맞닿는 레일 브라켓(5)과, 상기 레일 브라켓(5)과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하는 레일 클립(10)과, 상기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저면 및 상기 레일 브라켓(5)의 상단에 맞닿고, 상기 레일 클립(10)과 함께 상기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하는 마찰판(1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승강을 각각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승강 범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이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인 레일 클립, 레일 브라켓, 볼트, 너트 및 스프링 와셔에 의해서, 승강로 내벽에 장착된 빔(beam) 또는 벽측 브라켓에 고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또, 고층 건물에 마련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건물의 철골의 열수축,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감소에 의한 수축, 혹은 건물로의 공조기(空調機) 등의 설치에 의한 중량 증가 때문의 층간 변위 및 부동(不同) 침하 등이 발생하면, 가이드 레일이 만곡하거나 좌굴 변형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가이드 레일의 최하단과 승강로 저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여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고, 가이드 레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6-239559호 공보(제2 페이지, 제1 도)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6-255941호 공보(제5 페이지, 제2 도) 특허 문헌 3 : 일본실용신안공개 평3-72578호 공보(제6 페이지, 제5 도)
종래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에 있어서는, 가이드 레일 또는 레일 클립의 설계 오차가 생긴 경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와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지진 발생시 또는 강풍이 불었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구비하는 건물이 크게 흔들리면, 가이드 레일이 낙하할 우려가 있었다.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를 증가시키고 가이드 레일의 고정 개소를 증가시키면,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는, 승강로 내벽에 장착된 빔 또는 벽측 브라켓에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의 고정 개소를 증가시키는 경우, 승강로 내벽에 장착되는 빔 또는 벽측 브라켓의 수가 증가되는 등, 건물에서의 설치 코스트가 증가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로 내벽에 장착되는 빔 또는 벽측 브라켓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가이드 레일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를 얻는다.
본 발명에 관한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서 열(列)로 늘어놓여지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 중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의 저면에 맞닿는 레일 브라켓과, 상기 레일 브라켓과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를 끼워 지지하는 레일 클립과, 상기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의 저면 및 상기 레일 브라켓의 상단에 맞닿고, 상기 레일 클립과 함께 상기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를 끼워 지지하는 마찰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 내벽에 장착되는 빔 또는 벽측 브라켓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빔 장착 방법에 의한 가이드 레일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벽 장착 방법에 의한 가이드 레일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을 승강로에 고정하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이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의 평면 단면도이다. 승강로(1)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로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매달아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4)은,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각각 끼워 넣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의 승강 범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또, 가이드 레일(4)은, 각각 복수의 가이드 레일(4)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의 승강 범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열(列)로 늘어놓아 고정된다.
도 2는, 빔 장착 방법에 의한 가이드 레일(4)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빔 장착 방법에서, 각 가이드 레일(4)은, 레일 브라켓(5) 및 베이스 플레이트(6)를 매개로 하여 빔(7)에 고정된다. 레일 브라켓(5)은, 수평부(5a)와 수평부(5a)로부터 연속하여 마련되고, 연직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5b)에 의해 단면 형상이 L자형을 이루는 강재(鋼材)이다. 수직부(5b)는, 가이드 레일(4)에 맞닿는다. 베이스 플레이트(6)는, 레일 브라켓(5)의 수평부(5a)의 하면에 용접 고정되는 판재이다. 빔(7)은, 예를 들면 H형강이며, 플랜지부(7a)가 수평하게 되도록, 승강로(1)의 내벽(1a)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복수 마련된다. 각 빔(7)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7a)의 상면은, 베이스 플레이트(6)의 하면에 용접 고정된다.
가이드 레일(4) 사이에는 덧판(8)이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할 때에, 가이드 레일(4) 사이의 단차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도 3은, 벽 장착 방법에 의한 가이드 레일(4)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벽 장착 방법에서, 각 가이드 레일(4)은, 레일 브라켓(5) 및 벽측 브라켓(9)을 매개로 하여 승강로(1)의 내벽(1a)에 고정된다. 레일 브라켓(5)은, 빔 장착 방법에서 사용하는 레일 브라켓(5)과 동일하고, 수직부(5b)는, 가이드 레일(4)에 맞닿는다. 벽측 브라켓(9)은, 수평부(9a)와 수평부(9a)로부터 연속하여 마련되어 연직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부(9b)에 의해 단면 형상이 L자형을 이루는 강재이다. 수평부(9a)는, 레일 브라켓(5)의 수평부(5a)의 하면에 용접 고정된다. 수직부(9b)는, 승강로(1)의 내벽(1a)에 앵커(anchor)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벽 장착 방법에 있어서도, 빔 장착 방법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4) 사이에는 덧판(8)이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할 때에, 가이드 레일(4) 사이의 단차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를 설명한다. 이하, 빔 장착 방법을 예로 설명하지만, 벽 장착 방법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4는,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4) 및 가이드 레일(4)을 승강로(1)에 고정하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가이드 레일(4)은, 베이스부(4a)와, 베이스부(4a)의 중앙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4b)를 구비하며, 단면 형상이 T자형을 이루고 있다. 가이드 레일(4)은, 베이스부(4a)가 승강로(1)의 내벽(1a)측에, 슬라이딩부(4b)가 엘리베이터 칸(2) 또는 균형추(3)측에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4)은, 이하에서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에 의해 승강로(1) 내에 고정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레일 브라켓(5), 레일 클립(10), 볼트(11), 너트(12), 스프링 와셔(13)로 구성된다. 레일 브라켓(5)의 수직부(5b)는,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승강로(1)의 내벽(1a)측을 향하는 저면에 맞닿는다. 레일 클립(10)은,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맞닿는다. 볼트(11), 너트(12), 스프링 와셔(13)는, 가이드 레일(4)을 고정할 때에, 레일 클립(10)과 레일 브라켓(5)에 의해 베이스부(4a)의 폭방향의 단부를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레일 클립(10)과 레일 브라켓(5)을 체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레일 브라켓(5)의 수직부(5b) 및 레일 클립(10)은, 각각 볼트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고, 체결시에 볼트(11)는, 상기 볼트 구멍을 삽입 통과한다.
도 7은, 이 실시 형태에서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을 고정하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레일 브라켓(5), 레일 클립(10), 볼트(11), 너트(12), 스프링 와셔(13), 및 마찰판(14)으로 구성된다. 마찰판(14)은, 직사각형을 이루며, 장변 치수는,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폭 치수보다도 길다. 마찰판(14)은,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승강로(1)의 내벽(1a)측을 향하는 저면에 맞닿는다. 또, 마찰판(14)의 하단은, 레일 브라켓(5)의 수직부(5b)의 상단에 맞닿는다. 마찰판(14)은, 레일 클립(10)과 함께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폭방향의 단부를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볼트(11), 너트(12), 스프링 와셔(13)에 의해 레일 클립(10)과 체결된다. 마찰판(14) 및 레일 클립(10)은, 각각 볼트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으며, 체결시에 볼트(11)는, 상기 볼트 구멍을 삽입 통과한다. 여기서, 마찰판(14)과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하는 레일 클립(10)은, 레일 브라켓(5)과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하는 레일 클립(10)과 동일하다. 또, 레일 클립(10)과 마찰판(14)을 체결하는 볼트(11), 너트(12), 스프링 와셔(13)는, 레일 클립(10)과 레일 브라켓(5)을 체결하는 볼트(11), 너트(12), 스프링 와셔(13)와 각각 동일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에 의해 고정된 가이드 레일(4)에 연직 하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 가이드 레일(4)은, 레일 브라켓(5)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직부(5b)의 상단에 맞닿는 마찰판(14)과의 마찰력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가이드 레일(4)이 낙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마찰판(14)은, 레일 브라켓보다도 마찰 계수가 높은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마찰판(14)은, 레일 브라켓(5)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와 맞닿는 면에 요철을 마련하고, 수평 방향의 마찰 계수를 높이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4)과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와의 마찰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마찰판(14)은, 최하부의 가이드 레일(4)을 고정하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 뿐만 아니라, 모든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에 마련해도 좋고, 임의의 수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에 마련해도 좋다. 마찰판(14)의 설치 매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4)과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와의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마찰판(14)을, 최하부의 가이드 레일(4)을 고정하는 레일 브라켓(5)의 상부에서 수직부(5b)의 상단에 맞닿도록 마련함으로써 가이드 레일(4)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레일 브라켓(5)의 설치수를 늘리지 않고 가이드 레일(4)의 낙하를 막을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의 고정 장치(100)는, 마찰판(14)의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저면과 맞닿는 면의 마찰 계수가 레일 브라켓(5)의 상기 저면과 맞닿는 면보다도 높게 되어 있으므로, 레일 브라켓(5)의 설치수를 늘리지 않고 가이드 레일(4)의 낙하를 막을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레일 브라켓(5)의 설치수를 늘리지 않고, 가이드 레일(4)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로(1)의 내벽(1a)에 고정되는 빔(7) 또는 벽측 브라켓(9)의 설치수를 늘릴 필요가 없게 되어, 설치 코스트를 증가시키지 않고 가이드 레일(4)의 낙하를 막을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가이드 레일(4)을 승강로(1) 내에 고정할 때에 사용되는 레일 클립(10), 볼트(11), 너트(12), 및 스프링 와셔(13)와 동일 종류의 부품을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4)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의 종류 증가에 의한 제조 코스트 및 설치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 내에서 열로 늘어놓여지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4) 중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저면에 맞닿는 레일 브라켓(5)과, 레일 브라켓(5)과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하는 레일 클립(10)을 구비한다. 게다가,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저면 및 레일 브라켓(5)의 상단에 맞닿고, 레일 클립(10)과 함께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하는 마찰판(14)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승강로(1)의 내벽(1a)에 고정되는 빔(7) 또는 벽측 브라켓(9)의 설치수를 늘리지 않고 가이드 레일(4)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에 있어서는, 마찰판(14)은,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저면에 맞닿는 면의 마찰 계수가 레일 브라켓(5)의 상기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저면에 맞닿는 면보다도 높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가이드 레일(4)과의 마찰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에 있어서는, 마찰판(14)과 함께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하는 레일 클립(10)은, 레일 브라켓(5)과 함께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하는 레일 클립(10)과 동일 종류이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부품의 종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 및 설치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에 있어서는, 레일 브라켓(5)은, 복수의 가이드 레일(4) 각각의 베이스부(4a)의 저면에 맞닿는다. 또, 레일 클립(10)은, 레일 브라켓(5)과 함께 복수의 가이드 레일(4) 각각의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한다. 게다가, 마찰판(14)은,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 이외의 가이드 레일(4)에도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저면 및 상기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의 저면에 맞닿는 레일 브라켓(5)의 상단에 맞닿고, 레일 클립(10)과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4)의 베이스부(4a)를 끼워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는, 마찰판(14)의 설치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4)과의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의 마찰판(14)은, 기설의 가이드 레일(4)에 대해서도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경년에 따른 가이드 레일(4)과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와의 마찰력이 저하된 경우에, 필요한 수의 마찰판(14)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100)의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된다.
1 : 승강로 1a : 내벽
2 : 엘리베이터 칸 3 : 균형추
4 : 가이드 레일 4a : 베이스부
4b : 슬라이딩부 5 : 레일 브라켓
6 : 베이스 플레이트 7 : 빔
7a : 플랜지부 8 : 덧판
9 : 벽측 브라켓 10 : 레일 클립
11 : 볼트 12 : 너트
13 : 스프링 와셔 14 : 마찰판
100 :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서 열(列)로 늘어놓여지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 중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의 저면에 맞닿는 레일 브라켓과,
    상기 레일 브라켓과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를 끼워 지지하는 레일 클립과,
    상기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의 저면 및 상기 레일 브라켓의 상단에 맞닿고, 상기 레일 클립과 함께 상기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를 끼워 지지하는 마찰판을 구비하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의 저면에 맞닿는 면의 마찰 계수가 상기 레일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의 저면에 맞닿는 면보다도 높은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과 함께 상기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를 끼워 지지하는 상기 레일 클립은, 상기 레일 브라켓과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를 끼워 지지하는 상기 레일 클립과 동일 종류인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브라켓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 각각의 베이스부의 저면에 맞닿고,
    상기 레일 클립은, 상기 레일 브라켓과 함께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 각각의 베이스부를 끼워 지지하며,
    상기 마찰판은, 상기 최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이외의 가이드 레일에도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의 저면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의 저면에 맞닿는 상기 레일 브라켓의 상단에 맞닿고, 상기 레일 클립과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베이스부를 끼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KR1020187008475A 2015-09-11 2015-09-11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Active KR102213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5781 WO2017042945A1 (ja) 2015-09-11 2015-09-11 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785A true KR20180048785A (ko) 2018-05-10
KR102213646B1 KR102213646B1 (ko) 2021-02-08

Family

ID=5823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475A Active KR102213646B1 (ko) 2015-09-11 2015-09-11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82718B2 (ko)
JP (1) JP6452830B2 (ko)
KR (1) KR102213646B1 (ko)
CN (1) CN107949533B (ko)
DE (1) DE112015006895T5 (ko)
WO (1) WO2017042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2718B2 (en) * 2015-09-11 2021-01-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uide rail fixing device
JP2024136715A (ja) * 2023-03-24 2024-10-04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578A (ja) 1989-05-30 1991-03-27 Kansai Paint Co Ltd 缶内面用複層塗膜
JPH06239559A (ja) 1993-02-15 1994-08-3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用ガイドレールの取付装置
JPH06255941A (ja) 1993-03-02 1994-09-13 Toshiba Corp 昇降機レール取付け機構および昇降機レールの取付け方法
JP2001171941A (ja) * 1999-12-16 2001-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JP2002338168A (ja) * 2001-05-15 2002-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案内レ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708Y2 (ko) 1974-12-26 1980-05-17
JPS53114552A (en) * 1977-02-28 1978-10-06 Fujita Akiyama Machine for producing moulded artcles
JPS5838670U (ja) 1981-09-08 1983-03-1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レ−ル補強ブラケツト
US4577729A (en) * 1984-12-05 1986-03-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Guide rail clamping assembly
JPH0442300Y2 (ko) 1990-11-07 1992-10-06
JP2000118909A (ja) 1998-10-07 2000-04-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ガイドレールの補強装置
US6371249B1 (en) * 2000-06-02 2002-04-16 Otis Elevator Company Quick connector apparatus for elevator guide rail section
US6305615B1 (en) * 2000-08-16 2001-10-23 Otis Elevator Company Rail clip
EP1414730B1 (de) * 2001-07-30 2006-04-05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führungsschiene
JP2003335478A (ja) 2002-05-17 2003-11-25 Toshiba Elevator Co Ltd レール荷重受けブラケット装置
JP3961916B2 (ja) 2002-09-11 2007-08-2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ガイドレールの固定装置
EP1997768A1 (en) * 2006-03-22 2008-12-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upport device for elevator guide rail
JP5098368B2 (ja) 2007-03-06 2012-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レールクリップ
JP5350062B2 (ja) 2009-04-24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FI20090502A7 (fi) * 2009-12-22 2011-06-23 Kone Corp Hissi, johdekiinnike ja menetelmä
JP5781684B2 (ja) * 2012-03-09 2015-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取付装置
WO2013140673A1 (ja) 2012-03-19 2013-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
DE102015208288A1 (de) * 2015-05-05 2016-11-24 Thyssenkrupp Ag Lager zum Dämpfen von Schwingungen in Führungsschienen einer Aufzugsanlage
US10882718B2 (en) * 2015-09-11 2021-01-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uide rail fixing device
WO2017093777A1 (en) * 2015-11-30 2017-06-08 Otis Elevator Company Rail clip for elevator systems
AU2016372444B2 (en) * 2015-12-17 2019-09-19 Inventio Ag Fastening module for fastening elevator rails
ES2789749T3 (es) * 2015-12-17 2020-10-26 Inventio Ag Dispositivo de fijación para fijar carriles de ascensor
WO2017108495A1 (en) * 2015-12-22 2017-06-29 Inventio Ag Elevator guide rail attachment clip
WO2018177870A1 (de) * 2017-03-28 2018-10-04 Inventio Ag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einer aufzugsanlage in einem aufzugsschacht
EP3575259A1 (en) * 2018-05-29 2019-12-04 KONE Corporation Elevator guide rail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unting an elevator guide rail
EP3636576A1 (en) * 2018-10-11 2020-04-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uide rail support assembli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578A (ja) 1989-05-30 1991-03-27 Kansai Paint Co Ltd 缶内面用複層塗膜
JPH06239559A (ja) 1993-02-15 1994-08-3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用ガイドレールの取付装置
JPH06255941A (ja) 1993-03-02 1994-09-13 Toshiba Corp 昇降機レール取付け機構および昇降機レールの取付け方法
JP2001171941A (ja) * 1999-12-16 2001-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JP2002338168A (ja) * 2001-05-15 2002-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案内レ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51341A1 (en) 2018-09-06
DE112015006895T5 (de) 2018-05-24
KR102213646B1 (ko) 2021-02-08
CN107949533A (zh) 2018-04-20
US10882718B2 (en) 2021-01-05
CN107949533B (zh) 2022-03-25
JP6452830B2 (ja) 2019-01-16
JPWO2017042945A1 (ja) 2018-01-18
WO2017042945A1 (ja)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9281B1 (en) Track jack system
CN113795450A (zh) 电梯的层站地坎装置的安装结构以及安装方法
JP2016069100A (ja) 乗客コンベアの脱落抑制装置
JP5984661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20180048785A (ko)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
JP5554097B2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固定装置
JP6230717B2 (ja) エレベータの機器取付装置
JP2018052683A (ja) エレベータ
JP5898057B2 (ja) エレベーターの荷重支持ビーム保持装置
JP2017137154A (ja) エレベーター
JP4320534B2 (ja) 免震エレベータ装置及び免震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
KR20220159990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레일 비히클용의 유니버셜 콘솔 및 피트 어셈블리, 레일 시스템 및 레일 시스템의 정렬 방법
CN213013917U (zh) 一种轨道梁
JP7400958B2 (ja) エレベーターの防振装置
JP6716038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装置
JP5146076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6260681B1 (ja) エレベータの揚重用部材の取付構造
JP2018184276A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25070151A (ja) ガイドレールの高さ調整装置
CN117049315A (zh) 曳引机设置用支架和曳引机设置方法
JP2018184277A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設置方法
JP5900169B2 (ja) エレベーターの支持装置
KR100985331B1 (ko) 엘리베이터용 레일 고정 장치
CN117735366A (zh) 一种平台电梯幕墙固定结构及其牵引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9101003757

Request date: 201911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75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114

Effective date: 2020120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12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1114

Decision date: 20201201

Appeal identifier: 2019101003757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