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41829A -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829A
KR20180041829A KR1020160134030A KR20160134030A KR20180041829A KR 20180041829 A KR20180041829 A KR 20180041829A KR 1020160134030 A KR1020160134030 A KR 1020160134030A KR 20160134030 A KR20160134030 A KR 20160134030A KR 20180041829 A KR20180041829 A KR 2018004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am
cam
steering column
driving
latch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8002B1 (ko
Inventor
홍성종
이정남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0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0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incorporating devices for preventing ingress of the steering column into the passengers space in case of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측에 제1치부가 형성된 고정기어; 내측에 상기 제1치부에 맞물리는 제2치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복수의 종동캠돌기가 형성된 가동기어; 및 상기 종동캠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가동기어를 상기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구동캠돌기를 구비한 구동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와 상기 래치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기어와 가동기어가 치결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치걸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기어의 파손 및 마모를 감소시키고 기어들이 안정적으로 치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Latch assembly and steering column tilting device therewith}
본 발명은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치걸림(tooth on tooth) 현상을 방지하는 래치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여 안정적으로 스티어링 칼럼의 기울기를 고정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 산업에서,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용 조향장치에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고정되는 캠레버 조립체와, 캠레버 조립체와 결합하여 브라켓에 지지되는 스티어링 칼럼을 구비하여, 캠레버 조립체를 조작함에 따라 스티어링 칼럼이 브라켓에 가압고정된다.
하지만, 가압고정방식의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는 사고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에 작용하는 고정력보다 더 큰 충격하중이 작용하면 스티어링 칼럼이 위로 젖혀지는 현상(이하, '팝업(Pop-up)현상'이라 한다)이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이중 상해를 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칼럼에 작용하는 고정력을 증대시키도록 한 쌍의 기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에 관한 그 대표적인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는, 캠(30)과 마운팅 브라켓(10) 사이에 스티어링 칼럼(1)의 팝업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기어(60)와 고정기어(70)를 구비하고, 마운팅 브라켓(10)에서 돌출된 조절볼트(25)의 축방향으로 틸트 레버(35)가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80)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에 있어서, 가동기어(60)는, 조절볼트(25)가 끼워지는 조절볼트 끼움구멍을 중심으로 고정기어(70)에 형성된 치형과 치합되도록 중앙부에만 돌출되어 형성된 각각의 치형으로 이루어진 치형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의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는 가동기어(60)와 고정기어(70)를 구비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1)을 고정할 때에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여 스티어링 칼럼(1)의 팝업 현상이 방지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는 가동기어(60)와 고정기어(70)가 치합되는 과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기어의 치끝이 마주하는 치걸림(Tooth on Tooth)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치걸림 현상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의 변형 및 파손 또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의 조작불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개선된 형태의 치결합 방식을 통하여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의 오작동을 감소시키고, 스티어링 칼럼의 효율적인 고정 및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1095호 (2006. 07. 12.)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의 기울기를 고정하는 기어 구성의 치걸림 현상을 방지하는 래치 어셈블리와 상기 래치 어셈블리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측에 제1치부가 형성된 고정기어; 내측에 상기 제1치부에 맞물리는 제2치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복수의 종동캠돌기가 형성된 가동기어; 및 상기 종동캠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가동기어를 상기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구동캠돌기를 구비한 구동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캠은 록킹 동작시 상기 가동기어의 어느 일측이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고정기어에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캠돌기들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제1구동캠돌기와 제2구동캠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캠돌기 및 상기 제2구동캠돌기는 방사형으로 형성 및 배치되고, 상기 구동캠의 록킹 동작시 상기 제1구동캠돌기가 상기 제2구동캠돌기보다 먼저 상기 종동캠돌기에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캠돌기의 중심각은 상기 제1구동캠돌기의 중심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캠돌기들은 경사진 제1구동캠면을 구비한 제1구동캠돌기와, 경사진 각도가 상기 제1구동캠면보다 더 큰 제2구동캠면을 구비한 제2구동캠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동캠돌기들은 대응하는 위치의 구동캠돌기에 따라 각각 상기 제1구동캠면에 부합하도록 형성된 제1종동캠면과 상기 제2구동캠면에 부합하도록 형성된 제2종동캠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스티어링 칼럼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는 고정기어와 가동기어가 치결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치걸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기어의 파손 및 마모를 감소시키고 기어들이 안정적으로 치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래치 어셈블리를 구비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는 스티어링 칼럼의 기울기 조정시 오작동을 감소시키고, 스티어링 칼럼의 효율적인 고정 및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의 저면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서 래치 어셈블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래치 어셈블리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5는 브라켓과 래치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은 래치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가동기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구동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 및 도11은 일 예에 따른 가동기어 및 구동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다른 예에 따른 가동기어 및 구동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래치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록킹된 상태의 래치 어셈블리를 도13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5는 구동캠의 위치가 변경되어 록킹된 래치 어셈블리를 도13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의 저면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서 래치 어셈블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4는 래치 어셈블리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5는 브라켓과 래치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6 및 도7은 래치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A)는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10)에 의해 지지되는 스티어링 칼럼(1)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스티어링 칼럼(1)의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 어셈블리(100)를 구비한다.
이때, 래치 어셈블리(100)는 스티어링 칼럼(1)과 체결된 상태로 브라켓(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스티어링 칼럼(1)은 공지된 기술의 스티어링 칼럼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아니므로 자세한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2 및 도3에 도시된 스티어링 칼럼(1)은 가는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브라켓(10)의 일부는 본 발명 구성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부분 생략하도록 도시하였다.
먼저, 브라켓(10)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ㅠ"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수평 플레이트는 차체에 조립되어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A)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수직 플레이트는 스티어링 칼럼(1)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티어링 칼럼(1)은 브라켓(10)의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틸트 볼트(110)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여 래치 어셈블리(100)와의 결합을 통해 브라켓(10)에 지지된다.
아울러, 브라켓(10)의 수직 플레이트에는 래치 어셈블리(100)가 조립되는 지지홀(12)이 형성되고, 지지홀(12)은 스티어링 칼럼(1)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의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1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래치 어셈블리(100)는 틸트 볼트(110), 고정기어(120), 가동기어(130), 스프링(150), 구동캠(160) 및 레버(180)를 구비한다.
틸트 볼트(110)는 브라켓(10)의 지지홀(12)을 통과한 후 고정기어(120), 가동기어(130), 구동캠(160) 및 레버(18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단부에는 볼트 등으로 구현되는 고정부재(115)가 결합되어 고정기어(120), 가동기어(130), 구동캠(160) 및 레버(180)가 밀착된다.
이때, 스프링(150)은 고정기어(120)와 가동기어(130) 사이에 개재되어 록킹 해제 상태에서 가동기어(130)가 레버(18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동기어(130)에 탄성을 제공한다.
구동캠(160)은 레버(180)에 체결되어 레버(180)와 함께 회전하며, 레버(180)가 록킹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동기어(130)를 고정기어(120)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동기어(130)와 고정기어(120)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반대로 레버(180)가 록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동기어(130)에 대한 구동캠(160)의 압박은 해제되고, 가동기어(130)는 스프링(150)의 탄성에 의해 고정기어(120)로부터 이격된다.
브라켓(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기어(120)는 육면체 형상의 고정기어 바디(122)와, 고정기어 바디(102)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치부(129)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치부(129)는 고정기어 바디(12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고정기어 바디(122) 외측면의 좌측과 우측에 나란히 배열된다.
그리고, 고정기어 바디(122)의 내측에 돌출형성된 조립부(124)가 지지 홀(12)에 삽입되어 고정기어(120)가 브라켓(10)에 고정되고, 고정기어(120)의 중심부에는 틸트 볼트(110)가 관통하는 고정기어 장홀(126)이 구비된다.
아울러, 고정기어 바디(122)의 외측에는 고정기어 장홀(126)의 테두리를 따라 오목한 모양을 이루는 걸림부(128)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걸림부(128)에 스프링(150)의 일단이 접하여 지지된다.
도8은 가동기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8의 (a)는 가동기어(130)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의 (b)는 가동기어(130)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동기어(130)는 가동기어 바디(132)와, 가동기어 바디(132)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1치부(129)에 맞물리는 제2치부(138)와, 가동기어 바디(132)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종동캠돌기(14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가동기어 바디(132)는 고정기어 바디(122)와 맞물릴 때에 고정기어 바디(12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가동기어 바디(132)의 중앙에는 틸트 볼트(110)가 관통하는 가동기어 홀(134)이 형성된다.
가동기어 바디(132)의 내측에는 가동기어 홀(134)의 테두리를 따라 오목한 모양을 이루는 스프링 지지턱(136)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스프링 지지턱(136)에 스프링(150)의 타단이 접하여 지지된다.
제2치부(138)는 제1치부(129)와 마주하도록 가동기어 바디(132) 내측면의 좌측과 우측에 나란히 배열된다.
종동캠돌기(140)는 가동기어 바디(132)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돌출형성되는데, 종동캠돌기(140)는 가동기어 홀(134)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 및 배치된다.
아울러 각각의 종동캠돌기(140)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종동캠면(142,144)을 구비한다.
도9는 구동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9의 (a)는 구동캠(160)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9의 (b)구동캠(160)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동캠(160)은 구동캠 바디(162)를 구비하고, 구동캠 바디(162)의 중앙에는 틸트 볼트(110)가 관통하는 구동캠 홀(164)이 형성된다.
또한, 구동캠 바디(162)의 내측면에는 종동캠돌기(140)와 접촉하여 가동기어(130)를 고정기어(12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구동캠돌기(166,167)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구동캠돌기(166,167)들은 구동캠 홀(164)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 및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구동캠돌기(166,167)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구동캠면(168,170)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동캠돌기(166,167)는 록킹 해제 상태에서 종동캠돌기(140)들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수용되었다가 록킹 동작시 틸트 볼트(110)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대응되는 위치의 종동캠돌기(140)에 접하면서 가동기어(130)를 고정기어(120) 방향으로 밀어낸다.
구동캠 바디(162)의 외측에는 다각형 형태의 레버걸림부(172)가 돌출형성된다.
구동캠(160)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180)에는 레버홀(182)이 형성되는데, 이 레버홀(182)에 레버걸림부(172)가 삽입되어 구동캠(160)에 레버(180)가 체결되는 것이다.
도10 및 도11은 일 예에 따른 가동기어 및 구동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다른 예에 따른 가동기어 및 구동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3은 래치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14는 록킹된 상태의 래치 어셈블리를 도13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15는 구동캠의 위치가 변경되어 록킹된 래치 어셈블리를 도13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상술한 래치 어셈블리(100)는 구동캠(160)의 록킹 동작시 제1치부(129)와 제2치부(138)의 초기결합 과정에서 도14 또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기어(130)의 어느 일측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기어(120)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제2치부(138)가 제1치부(129)에 치결합되는 초기 동작에서 제2치부(138)가 기울어진 상태로 제2치부(138)의 일부분만이 먼저 제1치부(129)에 결합된 후 나머지 부분이 점진적으로 치결합됨으로써 치걸림(tooth on tooth)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10 내지 도15를 참고하여 이와 같은 래치 어셈블리(100)의 치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10 및 도11을 통해 일 예에 따른 가동기어(130) 및 구동캠(160)의 구조에 의해 가동기어(130)가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치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일 예에 따른 가동기어(130) 및 구동캠(160)의 구조에 있어서, 구동캠(160)에 형성되는 구동캠돌기(166,167)들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제1구동캠돌기(166)와 제2구동캠돌기(167)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제1구동캠돌기(166) 및 제2구동캠돌기(167)는 모두 방사형으로 형성 및 배치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제2구동캠돌기(167)의 중심각이 제1구동캠돌기(166)의 중심각보다 작게 형성되어 구동캠(160)의 록킹 동작시 제1구동캠돌기(166)가 제2구동캠돌기(167)보다 먼저 종동캠돌기(140)에 접하도록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가동기어(130)에 형성되는 종동캠돌기(140)와 종동캠면(142,144)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동캠돌기(140)는 가동기어 바디(132)의 외측면을 4개 구역으로 구획한 각 사분면 상에 하나씩 배치되고, 종동캠돌기(140)들은 모두 32.5°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제1구동캠돌기(166)와 제2구동캠돌기(167)는 각각 2개씩 구비되며, 동종의 구동캠돌기(166,167)들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때, 제1구동캠면(168)을 제외한 제1구동캠돌기(166)의 평면부분에 대한 중심각은 32.5°로 형성되고, 제2구동캠면(170)을 제외한 제2구동캠돌기(167)의 평면부분에 대한 중심각은 22.5°로 형성된다.
록킹 해제 상태에서는 종동캠돌기(140) 사이의 간격에 구동캠돌기(166,167)들이 수용되는데, 상기와 같이 제2구동캠돌기(167)의 중심각을 제1구동캠돌기(166)의 중심각보다 작게 형성하면, 도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만큼의 각도차이에 의해 제2종동캠면(144)과 제2구동캠면(17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반면, 종동캠돌기(140) 사이의 간격에 부합되도록 형성된 제1구동캠돌기(166)는 제1구동캠면(168)이 제1종동캠면(14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록킹 동작을 위해 구동캠(160)이 회전하면, 제1구동캠돌기(166)는 제2구동캠돌기(167)보다 먼저 종동캠돌기(140)를 밀어내게 되고, 제2구동캠돌기(167)는 레버(180)가 10°만큼 회전시킨 후에 대응하는 종동캠돌기(140)에 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14 또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기어(130)의 일측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기어(120)에 대해 초기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하, 도12를 참고하여 다른 예에 따른 가동기어(130) 및 구동캠(160)의 구조를 설명한다.
다른 예에 따른 가동기어(130) 및 구동캠(160)의 구조에 있어서, 구동캠돌기(166,167)들은 경사진 제1구동캠면(168)을 구비한 제1구동캠돌기(166)와, 경사진 각도가 제1구동캠면(168)보다 더 큰 제2구동캠면(170)을 구비한 제2구동캠돌기(167)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구동캠돌기(166)와 제2구동캠돌기(167)는 구동캠면(168,170)을 제외하고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구동캠돌기(166)와 제2구동캠돌기(167)는 각각 구비하는 구동캠면(168,170)의 기울기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1구동캠돌기(166)와 제2구동캠돌기(167)는 각각 2개씩 구비되며, 동종의 구동캠돌기(166,167)들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한편, 구동캠돌기(166,167)에 대응하는 종동캠돌기(140)들은 대응하는 위치의 구동캠돌기(166,167)에 따라서 각각 제1구동캠면(168)에 부합하도록 형성된 제1종동캠면(142)과, 제2구동캠면(170)에 부합하도록 형성된 제2종동캠면(144)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구동캠돌기(166,167)들은 록킹 해제 상태에서 각 구동캠면(168,170)이 대응하는 종동캠면(142,144)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록킹 동작을 위해 구동캠(160)이 회전하면, 구동캠(160)의 동일한 회동 각도에 대해 제1구동캠돌기(166)에 의해 밀려나는 종동캠돌기(140)의 이동거리(A)가 제2구동캠돌기(167)에 의해 밀려나는 종동캠돌기(140)의 이동거리(B)에 비해 짧아지게 된다.
다시 말해, 이종의 구동캠면(168,170)과 종동캠면(142,144)들의 경사각 차이에 의해 동일한 회전각도 범위에서 제1종동캠면(142)을 구비하는 종동캠돌기(140)와 제2종동캠면(144)을 구비하는 종동캠돌기(140)가 이동하는 거리에는 차이(A < B)가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구동캠(160)은 가동기어(130)의 일부분이 기울어지게 만들고, 도14 또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기어(130)는 일측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기어(120)에 대해 초기결합을 이루게 된다.
한편, 구동캠돌기(166,167)들 중 가동기어(130)가 고정기어(12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유도하는 구동캠돌기(166 또는 167)의 위치에 따라서 제2치부(138)가 제1치부(129)에 치합되는 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구동캠돌기(166)가 가동기어(130)를 기울어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 도13을 기준으로 제1구동캠돌기(166)를 가동기어(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하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치부(138)의 일단이 먼저 제1치부(129)에 치합되면서 점진적인 치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도13을 기준으로 제1구동캠돌기(166)를 가동기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하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치부(138) 중 어느 일측의 제2치부(138)가 먼저 제1치부(129)에 치결합된 후에 타측의 제2치부(138)가 치결합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100)는 가동기어(13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고정기어(120)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고정기어(120)와 가동기어(130)가 치결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치걸림 현상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기어의 파손 및 마모를 감소시키고 기어들이 안정적으로 치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래치 어셈블리(100)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A)는 스티어링 칼럼(1)의 기울기 조정시 오작동을 감소시키고, 스티어링 칼럼(1)의 효율적인 고정 및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1: 스티어링 칼럼 10: 브라켓
12: 지지홀 100: 래치 어셈블리
110: 틸트 볼트 115: 고정부재
120: 고정기어 122: 고정기어 바디
124: 조립부 126: 고정기어 장홀
128: 걸림부 129: 제1치부
130: 가동기어 132: 가동기어 바디
134: 가동기어 홀 136: 스프링 지지턱
138: 제2치부 140: 종동캠돌기
142: 제1종동캠면 144: 제2종동캠면
150: 스프링 160: 구동캠
162: 구동캠 바디 164: 구동캠 홀
166: 제1구동캠돌기 167: 제2구동캠돌기
168: 제1구동캠면 170: 제2구동캠면
172: 레버걸림부 180: 레버
182: 레버홀

Claims (8)

  1.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측에 제1치부가 형성된 고정기어;
    내측에 상기 제1치부에 맞물리는 제2치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복수의 종동캠돌기가 형성된 가동기어; 및
    상기 종동캠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가동기어를 상기 고정기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구동캠돌기를 구비한 구동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은 록킹 동작시 상기 가동기어의 어느 일측이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고정기어에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돌기들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제1구동캠돌기와 제2구동캠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캠돌기 및 상기 제2구동캠돌기는 방사형으로 형성 및 배치되고,
    상기 구동캠의 록킹 동작시 상기 제1구동캠돌기가 상기 제2구동캠돌기보다 먼저 상기 종동캠돌기에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캠돌기의 중심각은 상기 제1구동캠돌기의 중심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돌기들은
    경사진 제1구동캠면을 구비한 제1구동캠돌기와, 경사진 각도가 상기 제1구동캠면보다 더 큰 제2구동캠면을 구비한 제2구동캠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캠돌기들은
    대응하는 위치의 구동캠돌기에 따라서 각각 상기 제1구동캠면에 부합하도록 형성된 제1종동캠면과 상기 제2구동캠면에 부합하도록 형성된 제2종동캠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래치 어셈블리와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스티어링 칼럼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KR1020160134030A 2016-10-17 2016-10-17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Active KR10188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30A KR101888002B1 (ko) 2016-10-17 2016-10-17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30A KR101888002B1 (ko) 2016-10-17 2016-10-17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29A true KR20180041829A (ko) 2018-04-25
KR101888002B1 KR101888002B1 (ko) 2018-08-13

Family

ID=6208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030A Active KR101888002B1 (ko) 2016-10-17 2016-10-17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0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9822A (zh) * 2018-06-12 2018-11-30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组件的锁止装置、转向管柱组件以及车辆
CN111301511A (zh) * 2018-12-11 2020-06-19 富士机工株式会社 转向柱装置
KR102155263B1 (ko) * 2020-04-09 2020-09-11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181872B1 (ko) * 2020-07-13 2020-11-2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095A (ko) 2005-01-07 2006-07-12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20060081096A (ko) * 2005-01-07 2006-07-12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20060083637A (ko) * 2005-01-18 2006-07-21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JP4479346B2 (ja) * 2004-05-25 2010-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噛み合いロック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9346B2 (ja) * 2004-05-25 2010-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噛み合いロック機構
KR20060081095A (ko) 2005-01-07 2006-07-12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20060081096A (ko) * 2005-01-07 2006-07-12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20060083637A (ko) * 2005-01-18 2006-07-21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9822A (zh) * 2018-06-12 2018-11-30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组件的锁止装置、转向管柱组件以及车辆
CN111301511A (zh) * 2018-12-11 2020-06-19 富士机工株式会社 转向柱装置
CN111301511B (zh) * 2018-12-11 2022-06-24 富士机工株式会社 转向柱装置
KR102155263B1 (ko) * 2020-04-09 2020-09-11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WO2021206321A1 (ko) * 2020-04-09 2021-10-14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181872B1 (ko) * 2020-07-13 2020-11-2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002B1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002B1 (ko)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US9522693B2 (en) Steering device
US9168945B2 (en) Steering column comprising an improved depth-blocking mechanism
US9764757B2 (en) Steering column energy absorbing rake lock
JP635100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EP3000690B1 (en) Position adjusting-type steering device
JP4784086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20170232994A1 (en) Steering system
KR101585421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CN109795542B (zh) 转向装置
EP1584522A1 (en) Steering lock device for vehicle
US10654513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CN105555640A (zh) 转向装置
CN107110312A (zh) 凸轮装置以及转向盘的位置调节装置
CN109923023B (zh) 转向柱组件
US9517792B2 (en) Clearance compensator of yoke
KR20160050315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CN109253250B (zh) 用于车辆变速器的驻车锁定装置
CN106394648A (zh) 转向装置以及齿部件
KR20170117765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KR20160057631A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KR20170121792A (ko) 차량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장치
KR20150087972A (ko)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KR20170010134A (ko)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JP666144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