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701A - 디스크 브레이크의 고정 장치를 갖는 라이닝 유지 클립용 조립 공구,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의 고정 장치를 갖는 라이닝 유지 클립용 조립 공구,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1701A KR20180031701A KR1020187003869A KR20187003869A KR20180031701A KR 20180031701 A KR20180031701 A KR 20180031701A KR 1020187003869 A KR1020187003869 A KR 1020187003869A KR 20187003869 A KR20187003869 A KR 20187003869A KR 20180031701 A KR20180031701 A KR 201800317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ing
- brake
- section
- plate
- assembly to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43—Brake maintenance and assembly, tool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16D65/0978—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acting on one pad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16—Brake calipers
- F16D2055/002—Brake calipers assembled from a plurality of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7—Pins holding the brak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84—Assembly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고정 장치에 브레이크 유지 클립을 조립하고 그리고/또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고정 장치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유지 클립을 제거하기 위한 조립 공구(13)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 장치는 고정 요소(11)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요소는 관련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의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의 후방측 캐리어 플레이트(5a)에 고정 연결되고 적어도 2개의 스프링 아암(12)을 가지며, 상기 조립 공구(13)는 베이스, 스프레딩 장치, 및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상위 개념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고정 장치를 갖는 라이닝 유지 클립용 조립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 및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 예를 들어 상용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특히 공압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닝은 라이닝 유지 클립에 의해 소위 라이닝 샤프트에 유지된다. 따라서 라이닝 유지 클립이 차량에서 그 위치로부터 횡력에 의해 변위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특히 작동 중에 유지 클립의 변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도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하다.
이러한 추가적인 부품은 예를 들어 볼트 및 고정 핀, 스프링 요소 및 나사의 조합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라이닝을 삽입하고 라이닝 유지 클립을 조립한 후에, 정비사가 고정을 위한 부품의 장착을 잊을 수 있다. 따라서 라이닝의 고정은 불특정한 시간에만 이루어지므로, 오류는 필연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다. 라이닝 유지 클립은 사정에 따라서는 최악의 경우, 작동 중에 슬립이 발생하여 브레이크 라이닝의 고정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품 및 고정 장치에 대한 수많은 제안이 이루어졌다. 설명을 위한 예시는 DE 102005045877 B3호에 나타나며, 다른 예시는 DE 202008013446 U1호에 설명되어 있다.
단순화된 조립과 단순화된 분해 그리고 이에 따른 단축된 조립 및 유지 보수 시간에 대한 끊임없는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취급이 용이한 조립 및 분해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운반 중, 취급 중 그리고 작동 상태 중에 관련된 고정 요소로 라이닝 세트를 보호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공구는 고정 요소가 소성 변형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른 과제는 개선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디스크 브레이크용의 개선된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청구항 제1항의 주제를 통해 달성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는 청구항 제12항 및 제14항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디스크 브레이크의 고정 장치에 대해 라이닝 유지 클립을 조립 및/또는 분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공구가 제공되며, 고정 장치는 할당된 디스크 브레이크의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의 후방측 라이닝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된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고정 요소는 적어도 2개의 스프링 아암을 구비한다. 조립 공구는 베이스, 스프레딩(spreading) 장치 및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 장치 상에 대한 라이닝 유지 클립의 간단하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해진다. 조립 공구는 스프레딩 장치 및 가이드 장치가 장착된 베이스를 갖는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조립 공구가 고정 장치의 스프링 아암의 스프레딩 과정 중에 동시에 안내될 수 있어서, 간단하고 신속한 조립 및 해체가 이루어진다.
조립 및 분해 중에 공구는 고정 요소가 얼마나 멀리 스프레딩되어야 하는지 또는 스프레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한정된 거리를 포함한다. 공구가 없다면, 고정 요소는 조립 및 분해 중에 너무 멀리 스프레딩되어 소성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각각 경사부를 갖는 2개의 핑거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스프레딩 장치를 형성하는 기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유리하게는 콤팩트하게 형성된다. 추가적인 공구나 보조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다른 실시예는 가이드 장치가 각각 경사면을 갖는 2개의 핑거를 포함하고, 2개의 핑거는 2개의 핑거 플레이트 위의 기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하게는 스프레딩 장치에 의한 스프레딩 과정 중에 조립 공구는 이와 동시에 조립될 라이닝 유지 클립의 단부 상에서 가이드 장치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경사면에 의해, 동시에 조립 공구의 정확한 유지가 달성된다.
이를 위해 유리하게는, 경사면이 2개의 핑거 플레이트에 할당되어, 이를 통해 콤팩트하고 유리한 구조가 가능해진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 장치는 각 플레이트 섹션 상에 수평 가이드를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가이드가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 공구는 유지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유지 장치에 의해, 조립 공구의 기능성이 유리하게 확장된다. 따라서 조립 공구는 보호 위치에서 저장, 운송 및 선적을 위한 보호 요소로서, 브레이크 라이닝 상의 고정 장치의 고정 요소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레이크 라이닝과 그 위에 장착된 고정 요소와의 적재성이 상당히 단순화된다. 고정 요소의 손상 및 이로 인한 파손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또한 유지 장치는 각 하나의 리셉터클을 갖는 각 하나의 외부 종방향 벽 및 내부 종방향 벽을 포함한다. 조립 공구는 고정 요소의 스프링 아암 상에 보호 요소로서 간단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하나의 내부 종방향 벽 및 각 하나의 외부 종방향 벽은 기부 플레이트의 각각의 종방향 측면 상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각 하나의 내부 종방향 벽과 각 하나의 외부 종방향 벽 사이에 각 하나의 리셉터클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향상된 기능성과 동시에 조립 공구의 보강이 달성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각각 경사부를 갖는 2개의 플레이트 섹션이 장착되어 스프레딩 장치를 형성하는 크로스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유리하게는 콤팩트하고 간단하다.
가이드 장치가 각각 플레이트 섹션 상에 장착되는 가이드 섹션을 갖는 측벽을 각각 포함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조의 특별한 이점이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 공구는 고정 장치 상에 유리하게는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지 장치를 더 포함한다.
유지 장치가 가이드 섹션을 갖는 측벽을 가진 가이드 장치로 형성될 때, 다중 기능성의 특별한 이점이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유지 장치는 특히 조립 공구 상에서 제조가 용이하고 효과적인 기능성을 가능하게 하는 정지부 및 축방향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특히 상용 차량용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 인가 섹션 및 후방 섹션을 갖는 브레이크 캘리퍼, 특히 슬라이딩 캘리퍼, 라이닝 유지 스프링이 제공된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 -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은 브레이크 캘리퍼 상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라이닝 유지 클립에 의해 각각 바이어스 하에 지지되고,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 중 인가측 브레이크 라이닝이 인가 섹션에 할당되고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이 후방 섹션에 할당됨 - , 및 라이닝 유지 클립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고정 장치는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의 후방측 라이닝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고정 요소는 라이닝 유지 클립의 단부 섹션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스프링 아암을 구비한다. 고정 장치의 고정 요소는 전술한 대안적인 조립 공구가 제공된다.
조립 공구는 조립 공구로서 뿐만 아니라 보호 요소로서도 고정 장치 상에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없다. 특히 유리하게는 조립이 간단한데, 왜냐하면 제거하는 것이 아닌, 당기고 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차량, 특히 상용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 인가 섹션 및 후방 섹션을 갖는 브레이크 캘리퍼, 특히 슬라이딩 캘리퍼, 라이닝 유지 스프링이 제공된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 -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은 브레이크 캘리퍼 상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라이닝 유지 클립에 의해 각각 바이어스 하에 지지되고,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 중 인가측 브레이크 라이닝이 인가 섹션에 할당되고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이 후방 섹션에 할당됨 - , 및 라이닝 유지 클립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고정 장치는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의 후방측 라이닝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고정 요소는 라이닝 유지 클립의 단부 섹션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스프링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는 각각의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 상의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 관련 라이닝 유지 스프링, 라이닝 유지 클립, 고정 장치 및 적어도 전술한 하나의 조립 공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공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 및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추가적인 이점들이 설명된다.
도 1은 고정 장치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브레이크 디스크 축의 y-z 평면에서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고정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조립 공구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보호 위치에 있는 도 3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에 따른 고정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조립 공구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보호 위치에 있는 도 5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보호 위치에 있는 조립 공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조립/분해 상태에 있는 도 7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고정 장치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 및 도 7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보호 위치에 있는 도 9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3 실시예가 있는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공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브레이크 디스크 축의 y-z 평면에서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고정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조립 공구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보호 위치에 있는 도 3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에 따른 고정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조립 공구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보호 위치에 있는 도 5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보호 위치에 있는 조립 공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조립/분해 상태에 있는 도 7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고정 장치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 및 도 7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보호 위치에 있는 도 9에 따른 조립 공구의 제3 실시예가 있는 고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공구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상부", "하부", "우측", "좌측" 등과 같은 용어가 사용되며, 이는 도면에서의 방향과 관련된다. 도면에서 좌표 x, y, z는 추가적인 배향에 사용된다.
도 1은 라이닝 유지 클립(8)의 고정을 위한 고정 장치(10)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1), 예를 들어 공압 디스크 브레이크(1)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디스크 브레이크(1)는 예를 들어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할당되고, 여기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2), 브레이크 캘리퍼(3),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 브레이크 캐리어 및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4a, 5a) 상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4, 5)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라이닝(4, 5)은 소위 라이닝 샤프트에서 브레이크 캐리어에 수용되고, 후술될 라이닝 유지 클립(8)에 의해 유지된다.
브레이크 캘리퍼(3)는 여기서 슬라이딩 캘리퍼로 형성되고, 고정된 고정 브레이크 캐리어에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방식으로 유지되며, y 방향으로 양 단부에 연결 섹션(3c)을 통해 y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인가 섹션(3a) 및 후방 섹션(3b)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가 섹션(3a) 및 후방 섹션(3b)은 이들에 평행한 브레이크 디스크(2)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연결 섹션(3c)은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에 대해 y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인가 섹션(3a) 및 후방 섹션(3b)은 조립, 교체 및 유지 보수 작업 중 브레이크 라이닝(4, 5)에 접근하기 위해, 브레이크 라이닝(4, 5)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2) 위에서 연결 섹션(3c)과 함께 개구를 형성한다.
브레이크 캘리퍼(3)의 인가 섹션(3a)은 디스크 브레이크(1)의 인가 메커니즘을 수용한다. 인가 메커니즘은 디스크 브레이크(1)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면 압축 공기 실린더를 구비한 브레이크 회전 레버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인가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캘리퍼(3)의 인가 섹션(3a)이 배치되는 디스크 브레이크(1)의 측면을 이하에서는 인가 측면(Z)이라 칭한다. 브레이크 캘리퍼(3)의 후방 섹션(3b)이 배치되는 디스크 브레이크(1)의 다른 측면을 이하에서 반응 측면이라고도 칭하는 후방 측면(R)으로 지칭한다. 이러한 용어 "인가 측면"과 "후방 측면" 및 기타 이와 관련된 명칭은 일반적인 것이며 보다 양호한 배향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인가 측면(Z) 상에 위치하는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4a)를 갖는 브레이크 라이닝(4)은 인가측 브레이크 라이닝(4)으로 지칭되고, 이에 대향하는 것은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를 구비하는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5)으로 언급된다.
인가측 브레이크 라이닝(4)은 제동 과정 중에 인가 메커니즘에 의해 y 방향의 인가력이 작용한다.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5)은 브레이크 캘리퍼(3)의 후방 섹션(3b)에 수용되고, 슬라이딩 캘리퍼로 설계된 브레이크 캘리퍼(3)를 구비하는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1)의 경우 후방 섹션(3b)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포함하지 않는다.
브레이크 라이닝(4, 5)은 각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4a, 5a)의 상부 측에, 라이닝 유지 클립(8)과 상호 작용하는 라이닝 유지 스프링(6, 7)이 각각 제공된다. 라이닝 유지 클립(8)은 인가 섹션(3a), 후방 섹션(3b) 및 연결 섹션(3c)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2) 위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y 방향으로 연장하고, 내장된 브레이크 라이닝(4, 5)을 통해, 라이닝 유지 스프링(6, 7)의 상부 측에 가압되어 브레이크 라이닝(4, 5)을 브레이크 캐리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인가측 단부 섹션(8a)를 갖는 라이닝 유지 클립(8)은 브레이크 캘리퍼(3)의 인가 섹션(3a)의 베어링 섹션(9)에 수용되고,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반대측 단부 섹션(8b)은 브레이크 캘리퍼(3)의 후방 섹션(3b)의 유지 섹션(9a)에 연결된다.
라이닝 유지 클립(8)은 베어링 섹션(9) 및 유지 섹션(9a)에 연결되고, 고정 장치(10)를 구비하여, 예를 들어 발생된 횡력을 통해, 한편으로는 설치 위치에서 변위될 수 없고, 다른 한편으로는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고정 장치(10)는 여기서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5)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후술될 고정 요소(11)를 포함한다.
도면 부호(100)는 각각의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4a, 5a) 상의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4, 5), 관련 라이닝 유지 스프링(6, 7), 라이닝 유지 클립(8) 및 고정 장치(10)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를 나타낸다.
도 2는 브레이크 디스크 축(2a)의 y-z 평면에서 고정 장치(1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고정 장치(10)는 고정 요소(11)를 포함하며, 고정 요소에는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의 상부 가장자리 둘레의 케이싱 형태의 몸체(11a)가 배치된다. 몸체(11a)의 섹션(11b)은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의 개구(5b)를 통해 연장되어, 그 단부 섹션이 개구(5b)를 통해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의 후방 측면(5c)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몸체(11a)의 외부 섹션, 즉 연결부(11c)에서 단부면 플레이트(11'a)와 고정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용접된다.
몸체(11a) 및 단부면 플레이트(11'a)는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의 상부 가장자리 영역을 둘러싸고, 여기서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의 가장자리 상에 배치된 라이닝 유지 스프링(7)이 둘러싸여 있다. 이는 도면 부호(7)에 의해 표시되고, 다른 도면 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고정 요소(11)의 단부면 플레이트(11'a) 상에는 탭 섹션(12a)을 갖는 스프링 아암(12)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도 2에는 이에 대향하는 탭 섹션(12a) 중 단지 하나만이 도시되고, 다른 하나는 도 1 및 도 3과 관련하여 쉽게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2개의 탭 섹션(12a)에 적용된다.
각각의 탭 섹션(12a)의 각 자유 단부에는 각각 90°로 구부러진 탭(12b)이 형성된다. 이러한 탭(12b)은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을 향해 각각 구부러져, 도 2의 y-z 단면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는 도 1 및 도 3으로부터도 또한 명백하다.
탭 섹션(12a)은 y-z 평면으로 연장되고, 양의 y 방향으로 연장하며,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단부 섹션(8b)의 섹션 상에 인접한다. 탭(12b)은 x-z 평면에 놓이고, 단부 섹션(8b)의 에지를 둘러싼다.
탭 섹션(12a)은 상부 종방향 에지(12f) 및 이에 평행한 하부 종방향 에지(12g)를 포함한다. 탭(12b)에는 또한 둥글게 형성될 수 있는 경사부(12c)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탭(12b)은 z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면 에지(12d)를 포함한다. 2개의 탭(12b)의 단부면 에지(12d)는 다른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거울 대칭이다.
라이닝 유지 클립(8)의 조립 중에, 고정 요소(11)의 스프링 아암(12)은 조립 공구(13, 18)에 의해 x-y 평면에서 서로 멀어지게 이동되는데, 즉 일정한 거리로 스프레딩되므로, 스프링 요소가 소성 변형되지 않거나 또는 스프링 아암(12)이 소성 변형되지 않게 되어, 라이닝 유지 클립(8)은 브레이크 캘리퍼(3)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아암(12)은 조립 공구(13, 18)에 의해 스프레딩된 위치에서 바이어스되어 유지된다. 라이닝 유지 클립(8)이 그 최종 위치에서 삽입된 후에, 조립 공구(13, 18)는 다시 제거된다. 여기서 스프링 아암(12)은 원래의 위치로 다시 되돌아간다. 스프링 아암(12)은 이제 부하가 해제되고, 작동 중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온도 작용에 의한) 스프링 아암의 설정이 회피될 수 있다. 라이닝 유지 클립의 단부 섹션(8b)의 에지를 감싸는 탭(12b)을 갖는 탭 섹션(12a)은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의 방향으로, 즉 y 방향으로의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변위를 방지한다. 따라서 라이닝 유지 클립은 고정된다.
분해를 위해 스프링 아암(12)은 둘러싸는 탭(12b)이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단부 섹션(8b)을 해제할 때까지 조립 공구(13, 18)에 의해 다시 새롭게 스프레딩된다. 스프링 아암(12)은 라이닝 유지 클립(8)이 분해 중에 충분히 멀리 변위될 때까지 인장된 위치에 유지되어야 한다.
스프링 아암(12)은 각각의 조립 공구(13, 18)에 의해 스프레딩된다. 여기서 탭(12b)의 단부면 에지(12d)는 각각의 조립 공구(13, 18)와 접촉하여 상호 작용한다. 추가적으로 조립 공구(13, 18)는 적절한 방식으로 안내된다.
조립 공구(13, 18)는 또한 보호 위치에서 보호 요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조립 공구(13, 18)는 베이스, 스프레딩 장치, 가이드 장치 및 유지 장치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스프레딩 장치, 가이드 장치 및 유지 장치의 캐리어 역할을 한다. 스프레딩 장치는 스프링 아암의 스프레딩을 위해 사용되며, 가이드 장치는 조립/분해 중에 조립 공구에 대한 가이드를 형성한다. 유지 장치에 의해 조립 공구는 보호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조립 공구(13, 18)의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를 위해 도 3은 도 2에 따른 고정 요소(11)와 상호 작용하는 조립 공구(13)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보호 위치에 있는 도 3에 따른 조립 공구(13)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100)의 예시적인 브레이크 라이닝(5)의 후방 플레이트(5a)는 고정 장치(10)와 함께 도시된다. 고정 요소(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 상에 고정된다.
조립 공구(13)는 2개의 기능을 갖는다. 제1 기능은 조립 공구(13)가 보호 위치에서 고정 요소(11)의 스프링 아암(12) 상에 배치되어 보호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 위치에서 조립 공구(13)는 고정 요소(11)의 스프링 아암(12)의 고정된 유지를 형성하고, 예를 들어 포장, 운송, 언팩킹 및 보관 중에 한편으로는 구부러짐으로부터 보호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보호 기능에 의해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5)의 양호한 적재성이 가능해진다.
제2 기능은 조립 공구(13)가 고정 장치(10) 및 라이닝 유지 클립(8)에 대한 조립 및 분해를 위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조립을 위한 조립 공구(13)의 사용을 위해, 조립 공구는 보호 위치(도 4)로부터 제거되고,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된다.
조립 공구(13)는 기부 플레이트(13a), 2개의 외부 종방향 벽(13c) 및 그 사이의 리셉터클(13d)을 각각 갖는 2개의 내부 종방향 벽(13b), 2개의 핑거 플레이트(14) 및 2개의 핑거(15)를 포함한다.
기부 플레이트(13a)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여기서 x-y 평면에 놓인다. 기부 플레이트(13a)는 베이스를 형성한다.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 플레이트(13a)의 종방향 측에서, 외부 종방향 벽(13c)을 갖는 내부 종방향 벽(13b)이 각각 형성된다. 내부 종방향 벽(13b) 및 외부 종방향 벽(13c)은 y-z 평면에서 기부 플레이트(13a)에 직각이고, z 방향으로 기부 플레이트(13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기부 플레이트(13a)의 다른 표면은 외부면(13g)을 형성한다(도 4 참조).
내부 종방향 벽(13b)과 외부 종방향 벽(13c)은 서로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그 하부 종방향 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각각의 리셉터클(13d)은 내부 종방향 벽(13b)과 외부 종방향 벽(13c) 사이에 형성된다. 리셉터클(13d)은 상부쪽으로 개방되고 이 개구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갖는다.
내부 종방향 벽(13b) 및 외부 종방향 벽(13c)은 리셉터클(13d)과 함께 유지 장치를 형성한다.
각 내부 종방향 벽(13b)은 각각의 단부에서 탭 형상의 포스트(13e, 13f)와 연결되고, 탭 형상의 포스트(13e, 13f)와 함께 U자형 벽을 형성한다. 포스트(13e, 13f)는 기부 플레이트(13a)의 횡방향 측면에서 종방향 측면에 대해 직각으로 각각 형성되고, 여기서 횡방향 측면의 길이의 약 1/4에 해당하는 폭으로 각각 x 방향으로 연장된다. z 방향으로의 포스트의 높이는 z 방향으로의 내부 종방향 벽(13b) 및 외부 종방향 벽(13c)의 높이에 대응한다. 이러한 높이는 z 방향으로 적어도 고정 요소(11)의 탭 섹션(12a)의 치수와 같은 크기의 치수를 포함한다.
포스트(13e)의 하부 단부 사이에는 기부 플레이트(13a)의 횡방향 측면의 자유 단부면 에지(16)가 연장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포스트(13f)의 하부 단부 사이에는 기부 플레이트(13a)의 다른 횡방향 측면의 자유 단부면 에지(17)가 배치된다.
기부 플레이트(13a)는 y 방향으로 각각의 포스트(13f)의 하부 단부에서 핑거 플레이트(14)를 형성한 상태로 각각 연장된다. x 방향으로의 핑거 플레이트(14)의 폭은 포스트(13f)의 폭에 대응한다. y 방향으로의 핑거 플레이트(14)의 길이는 y 방향으로의 기부 플레이트(13a)의 길이의 대략 1/3에 대응한다. 핑거 플레이트(14)의 두께는 기부 플레이트(13a)의 두께에 대응한다. 이들의 측면 외부 에지에서 핑거 플레이트(14)는 각각 경사부(14a)를 포함한다. 각 경사부(14a)는 핑거 플레이트(14)의 각각의 자유 단부로부터 기부 플레이트(13a) 상에 장착된 다른 단부까지 연장된다.
경사부(14a)를 갖는 핑거 플레이트(14)는 스프레딩 장치를 형성한다.
포스트(13f)의 외부 측면에는 그 높이의 약 1/3에 각각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핑거(15)가 형성된다. 각각의 핑거(15)는 정방형 단면을 가지며, 그 각각의 자유 단부에 경사면(15)을 갖는다. 경사면(15a)은 핑거 플레이트(14)에 할당된다. 각 핑거(15)는 관련 핑거 플레이트(14)와 평행하게 y 방향으로 연장되고, y 방향으로 이 핑거 플레이트(14)의 동일한 길이를 포함한다.
경사면(15a)을 갖는 핑거(15)는 가이드 장치를 형성한다.
포스트(13e, 13f)는 보강을 위해 사용되며, 포스트(13f)는 가이드 장치의 핑거(15)를 위한 캐리어를 형성한다.
도 3에서 조립 공구(13)는 조립 위치에 도시된다. 여기서 내부 종방향 벽(13b) 및 외부 종방향 벽(13c)은 위로 향한다. 핑거 플레이트(14)의 좁은 자유 단부는 핑거(15)가 탭(12b)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고정 요소(11)의 스프링 아암(12)의 탭(12b) 사이에 장착된다. 여기서 조립 공구(13)는 약간 기울어져 있고, 즉 기부 플레이트(13a)의 평면이 고정 요소(11)의 z-y 평면에 대해 각도를 이룬다. 이를 위해,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단부 섹션(8b)의 상부면 상의 핑거(15)의 경사면(15a)은 조립 공구(13)의 가이드로서 작용하고, 조립 공구(13)가 유지되어야 하는 각도를 사전 설정한다. 탭(12b)의 단부면 에지(12d)는 핑거 플레이트(14)의 자유 단부에서 경사부(14a)의 시작 부분과 각각 접촉한다.
고정 요소(11) 상에서 y 방향으로 조립 공구(13)가 이동하면, 핑거 플레이트(14)의 경사부(14a)는 이와 접촉하는 단부면 에지(12d) 및 이에 따라 탭(12b)을 고정 요소(11)의 스프링 아암(12)과 서로에 대해 멀어지도록 가압하여, 도 2에 따른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단부 섹션(8b)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조립 공구(13)를 당기면 스프링 아암(12)을 다시 원래 위치로 탄성 복귀시키며,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단부 섹션(8b)의 에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러싸인다.
도 1과 관련하여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분해 중에, 핑거(15)는 라이닝 유지 클립(8b)을 위로부터 둘러싼다. 핑거 플레이트(14)는 라이닝 유지 클립(8b)을 아래로부터 둘러싼다. 경사부(14a)는 고정 요소를 일정한 범위까지 개방한다[이를 위해 도 4, 래칭면(13h) 참조]. 그 후, 라이닝 유지 클립(8)이 공구로 제거된다.
도 4에서는 조립 공구(13)의 보호 위치가 도시된다. 여기서 조립 공구(13)는 고정 요소(11)의 스프링 아암(12) 상에 장착되어, 스프링 아암(12)의 각각의 탭 섹션(12a)이 내부 종방향 벽(13b)과 외부 종방향 벽(13c) 사이에서 각각의 리셉터클(13d)에 수용되고, 그 상부 종방향 에지(12f)가 리셉터클(13d)의 바닥에 인접한다. 각 리셉터클(13d)의 바닥은 내부 종방향 벽(13b)과 외부 종방향 벽(13c) 사이의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다. 리셉터클(13d)의 개구 상의 경사부는 각 리셉터클(13d) 내로 탭 섹션(12a)이 간소화된 방식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작용한다.
탭(12b)은 조립 공구(13)의 보호 위치에서 그 내부 측면이 포스트(13f)의 외부 측면과 접촉한다.
보호 위치에서, 핑거 플레이트(14)와 핑거(15)가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의 후방 측면(5c)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조립 공구(13)가 배치된다. 여기서 기부 플레이트(13a)는 그 외부면(13g)이 위쪽을 향하여 위치되는데, 즉 고정 요소(11)의 스프링 아암(12)과 스프링 아암(12) 사이의 사이 공간이 조립 공구(13)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어 보호된다.
라이닝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가압되는 경우, 힘이 핑거(15)를 통해 흡수될 수 있고, 포스트를 통해 몸체(11a)로 직접 도입될 수 있으고, 몸체(11a)는 다시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에 접하게 된다.
도 5는 조립 중에 도 2에 따른 고정 요소(11)와 상호 작용하는 조립 공구(18)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보호 위치에 있는 도 5에 따른 조립 공구(18)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조립 공구(18)의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전술한 2가지 기능인 조립 공구(13)의 제1 실시예의 보호 장치 및 조립 공구의 기능을 포함한다.
조립 공구(18)는 제1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되며, 크로스 부재(18a)와, 각 가이드 섹션(19a, 19c 및 19f)을 갖는 각각 직각으로 형성된 측벽(19)을 갖는 2개의 스트립 형상의 플레이트 섹션(18b)을 포함한다.
크로스 부재(18a)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로드로서 형성된다. 중앙에는 그 하부에 긴 리세스(18d)를 포함한다. 그 단부에 스트립 형상의 플레이트 섹션(18d)이 각각 장착된다. 각각의 플레이트 섹션(18d)은 y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서 x-y 평면에서 연장되고, 크로스 부재(18a) 상에 장착된 단부에서 각각 외부 측면에 경사부(18c)가 제공된다. 경사부(18c)는 각각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크로스 부재(18a) 상의 플레이트 섹션(18d)의 각 연결 단부로 연장된다. 여기서 크로스 부재(18a)의 각 단부에는 각각의 단부로부터 각각의 연결 단부의 시작부까지 거리(18e)가 제공된다.
이러한 조립 공구(18)에서, 크로스 부재(18)는 베이스를 형성한다.
플레이트 섹션(18b)의 각각의 외부 종방향 측면에는 z 방향으로 플레이트 섹션(18b)으로부터 수직으로 위쪽으로 돌출하는 측벽(19)이 각각 장착된다. 각각의 측벽(19)은 각각의 단부의 단부면 에지(19)가 크로스 부재(18)의 접촉면(20)으로부터 경사부(18c)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장착된다. 즉, 각 측벽(19)은 플레이트 섹션(18b)의 직선 외부 에지 상에 장착된다. 여기서 측벽(19)의 내부 측면과 플레이트 섹션(18b)의 직선 외부 에지 사이의 연결부는 측벽(19)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절반 길이만큼 연장된다.
각 측벽(19)의 상부 에지에는 2개의 가이드 섹션(19a, 19c)이 배치된다. 이에 평행하게, 각각의 측벽(19)의 하부 에지 상에 추가의 가이드 섹션(19f)이 형성된다. 가이드 섹션(19a, 19c 및 19f)은 x-y 평면에 측벽(19)에 수직으로 위치되고, 가이드 섹션(19a 및 19c)은 가이드 섹션(19f)의 x-y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공통 x-y 평면에서 연장된다. 가이드 섹션(19a)은 각각의 단부면 에지(19d)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경사부(19b)를 각각 포함한다. 가이드 섹션(19c)은 측벽(19)의 자유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가이드 섹션(19a)으로부터 y 방향으로 이격된다. 하부 가이드 섹션(19f)은 상부 가이드 섹션(19a, 19c) 사이의 대략 중앙에 y 방향으로 위치한다.
가이드 섹션(19a, 19b 및 19f)을 갖는 측벽(19)은 여기에서 가이드 장치를 형성한다. 동시에, 가이드 섹션(19a, 19b 및 19f)은 또한 유지 장치를 형성한다.
또한 여기서 스프레딩 장치는 플레이트 섹션(18b)을 갖는 측벽(19) 및 경사부(18c)에 의해 형성된다.
조립 중에, 스프링 아암(12) 사이에 측벽(19)을 갖는 조립 공구(18)는 탭(12b)의 단부면 에지(12d)가 측벽(19)의 외부면과 접촉하고 서로로부터 멀리 가압되도록 삽입된다. 경사부(18c)는 정의된 저항부[도 5의 래칭면(19g) 참조]까지 고정 요소를 개방한다. 조립 공구(18)의 측벽(19)은 가이드 섹션(19a, 19c, 19f)을 통해 고정 요소(11)의 스프링 아암(12)의 탭 섹션(12a) 상에서 안내된다. 라이닝 유지 클립(8)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공구(18)는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단부 섹션(8b)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그 삽입된 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다. 스프링 아암(12) 사이에의 조립 공구(18)의 이러한 삽입된 위치에서, 스프링 아암(12)은 그 원래 위치로 다시 탄성 복귀될 수 있다. 이는 스프링 아암(12)의 탭(12b)이 측벽(19)의 단부면 에지(19d) 후방에서 관련 플레이트 섹션(18b)의 각 경사부(18c) 내로 결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능해진다. 따라서 크로스 부재(18a)의 접촉면(20)이 탭(12b)에 접촉한다(도 6).
따라서, 조립 공구(18)의 이러한 삽입된 위치가 또한 도 6에 도시된 보호 위치이다. 측벽(19) 및 플레이트 섹션(18b)은 운송 중, 취급 중 그리고 작동 상태에서 스프링 아암이 구부러지는 것을 보호한다. 가압에 대항하여 크로스 부재(18a)가 보호하게 되는데, 상기 크로스 부재는 힘을 단부면 에지(19e)를 통해 단부면 플레이트(11a) 및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로 유입한다. 즉, 브레이크 라이닝(5) 상에서 조립 공구의 보호 위치는 라이닝 유지 클립(8)의 조립 중에 조립 공구(18)의 당김에 의해 조립 위치로 변경된다. 라이닝 유지 클립(8)은 삽입된다. 그 다음, 조립 공구(18)는 이전에 보호 위치였던 원래 위치로 다시 가압된다. 라이닝 유지 클립(8)은 이제 고정되는데, 즉 고정 장치(10)로 고정된다.
따라서, 조립 공구(18)는 스프링 아암(12)을 스프레딩시킬 수 있을 만큼만 초기에 보호 위치로부터 당겨질 필요가 있다. 이는 당길 때 탭(12b)의 단부면 에지(12d)가 플레이트 섹션(18b)의 각 경사부(18c)와 접촉하고 그 후 외측으로 가압되며 또한 측벽(19) 상에서 스프레딩되어 유지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다음 라이닝 유지 클립(8)은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삽입된다. 조립 공구(18)는 다시 그 원래 위치, 즉 보호 위치로 가압된다. 따라서, 고정 요소(11) 상에 항상 유지될 수 있고, 분실 위험이 없이 유지될 수 있다.
조립 공구(13, 18)는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폰 베스펠(DuPont Vespel)을 사용하여 최대 500 ℃까지의 사용이 달성될 수 있다. 물론, 금속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의 조합도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립 공구(13)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그리고 조립 공구(18)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조립 공구(18)가 라이닝 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고온에 노출되고, 이는 사용되는 재료의 선택을 제한한다.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100)는 각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4a, 5a) 상의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4, 5), 관련된 라이닝 유지 스프링(6, 7), 라이닝 유지 클립(8), 고정 장치(10) 및 적어도 하나의 조립 공구(13, 18)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100)는 특히 상용 차량용 디스크 캘리퍼를 갖는 모든 디스크 브레이크(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보호 위치에 있는 조립 공구(18')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조립/분해 상태에 있는 조립 공구(18')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고정 장치(11) 및 조립/분해 공구로서의 조립 공구(18')의 제3 실시예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1)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보호 위치에 있는 도 9에 따른 조립/분해 공구로서의 조립 공구(18')의 제3 실시예를 갖는 고정 장치(11)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따른 조립 및 분해 공구(18)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조립 및 분해 공구는 클립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공구(18)는 금속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구(18)는 대칭으로 구성된다.
조립 공구(18')의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양 단부에 각 플레이트 세션(18'b)이 형성되는 크로스 부재(18'a)를 포함한다.
크로스 부재(18'a)의 전방에는, 그 단부에 각각 후방으로(음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 섹션(23)이 제공된 다른 크로스 부재(18''a)가 장착된다.
제2 크로스 부재(18''a)의 중간에는 홈(21)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전방 측면 상에서 탭(22)이 위쪽으로 구부러져 장착된다.
탭(22)은 예를 들어 드라이버와 같은 보조 공구로 분해를 용이하게 한다.
분해를 위해, 조립 공구(18')의 홈(21) 내로 도시되지 않은 보조 공구가 삽입될 수 있다. 보조 공구로서 예를 들어 드라이버, 특히 일자 드라이버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의 날은 탭(22)과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단부 섹션(8b)의 에지 사이의 홈(21)에 삽입되고, 조립 공구(18')는 레버 이동에 의해 y 방향으로(도 7 참조) 해제된다.
정지부(23a)는 운송 중, 취급 중 및 작동 상태에서 고정 요소(11)를 구부러짐에 대해 보호한다.
추가의 정지부(23b)는 운송 중, 취급 중 및 작동 상태에서 고정 요소(11)를 스프레딩에 대해 보호한다.
축방향 정지부(23c)는 조립/분해 중에 고정 요소(11)의 각각의 탭 섹션(12a)의 가이드 슬롯(26a) 상에서 정지한다.
시작 경사부(24)는 조립/분해 중에 정의된 초기 저항을 제공한다. 또한, 시작 경사부(24)는 작동 상태에서의 의도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한다.
고정 요소(11)가 분해를 위해 스프레딩되도록, 각 플레이트 섹션(18'b)이 크로스 섹션(18'a)으로 전환되는 전환부의 외부 에지 상에 개구 경사부(25)가 제공된다.
정의된 거리를 두고 고정 요소(11)를 스프레딩하기 위해 플레이트 섹션(18'b)의 대향하는 2개의 외부 측면 상에 섹션(26)이 제공된다.
조립 공구(18')의 플레이트 섹션(18'b) 상의 수평 가이드(27)가 고정 요소(11)의 각 탭 섹션(12a)에서 가이드 슬롯(26a)에 의해 각각 수평으로 안내된다(도 10 참조).
축방향 가이드(28)가 이러한 탭의 경사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 공구(18')는 기울어지거나 또는 트위스팅되지 않는다.
또한, 플레이트 섹션(18'b)의 각각의 후방 단부 상에, 가압 시 힘을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5a)로 안내하도록 정지부(29)가 각각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수정 가능하다.
1 : 디스크 브레이크 2 : 브레이크 디스크
2a :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 3 : 브레이크 캘리퍼
3a : 인가 섹션 3b : 반응 섹션
3c : 연결 섹션 4, 5 : 브레이크 라이닝
4a, 5a :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 5b : 개구
5c : 후방 측면 6, 7 : 라이닝 유지 스프링
8 : 라이닝 유지 클립 8a, 8b : 단부 섹션
9 : 베어링 섹션 9a : 유지 섹션
10 : 고정 장치 11 : 고정 요소
11a : 몸체 11'a : 단부면 플레이트
11b : 섹션 11c : 연결부
12 : 스프링 아암 12a : 탭 섹션
12b : 탭 12c : 경사부
12d : 단부면 에지 12e : 내부 측면
12f, 12g : 종방향 에지 13 : 조립 공구
13a : 기부 플레이트 13b : 내부 종방향 벽
13c : 외부 종방향 벽 13d : 리셉터클
13e, 13f : 포스트 13g : 외부면
13h : 래칭 표면 14 : 핑거 플레이트
14a : 경사부 15 : 핑거
15a : 경사부 16, 17 : 횡방향 에지
18, 18' : 조립 공구 18a, 18'a, 18''a : 크로스 부재
18b, 18'b : 플레이트 섹션 18c : 경사부
18d 리세스 : 18e 거리 19 : 측벽
19a, 19c, 19f : 가이드 플레이트 19b : 경사부
19d, 19e : 단부면 에지 19g : 래칭면
20 : 접촉면 R : 후방 측면
Z : 인가 측면 x, y, z : 좌표
21 : 홈 22 : 탭
23a, 23b, 23c : 정지부 24 : 시작 경사부
25 : 개구 경사부 26 : 섹션
26a : 가이드 슬롯 27 : 수평 가이드
28 : 축방향 가이드 29 : 정지부
2a :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 3 : 브레이크 캘리퍼
3a : 인가 섹션 3b : 반응 섹션
3c : 연결 섹션 4, 5 : 브레이크 라이닝
4a, 5a :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 5b : 개구
5c : 후방 측면 6, 7 : 라이닝 유지 스프링
8 : 라이닝 유지 클립 8a, 8b : 단부 섹션
9 : 베어링 섹션 9a : 유지 섹션
10 : 고정 장치 11 : 고정 요소
11a : 몸체 11'a : 단부면 플레이트
11b : 섹션 11c : 연결부
12 : 스프링 아암 12a : 탭 섹션
12b : 탭 12c : 경사부
12d : 단부면 에지 12e : 내부 측면
12f, 12g : 종방향 에지 13 : 조립 공구
13a : 기부 플레이트 13b : 내부 종방향 벽
13c : 외부 종방향 벽 13d : 리셉터클
13e, 13f : 포스트 13g : 외부면
13h : 래칭 표면 14 : 핑거 플레이트
14a : 경사부 15 : 핑거
15a : 경사부 16, 17 : 횡방향 에지
18, 18' : 조립 공구 18a, 18'a, 18''a : 크로스 부재
18b, 18'b : 플레이트 섹션 18c : 경사부
18d 리세스 : 18e 거리 19 : 측벽
19a, 19c, 19f : 가이드 플레이트 19b : 경사부
19d, 19e : 단부면 에지 19g : 래칭면
20 : 접촉면 R : 후방 측면
Z : 인가 측면 x, y, z : 좌표
21 : 홈 22 : 탭
23a, 23b, 23c : 정지부 24 : 시작 경사부
25 : 개구 경사부 26 : 섹션
26a : 가이드 슬롯 27 : 수평 가이드
28 : 축방향 가이드 29 : 정지부
Claims (17)
- 디스크 브레이크(1)의 고정 장치(10)에 대해 라이닝 유지 클립(8)을 조립 및/또는 분해하기 위한 조립 공구(13, 18, 18')로서, 상기 고정 장치(10)는 할당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의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5)의 후방측 라이닝 캐리어 플레이트(5a)에 고정 연결된 고정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는 적어도 2개의 스프링 아암(12)을 구비하는, 상기 조립 공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 공구(13, 18)는 베이스, 스프레딩 장치 및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각각 경사부(14a)를 갖는 2개의 핑거 플레이트(14)가 장착되어 상기 스프레딩 장치를 형성하는 기부 플레이트(1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3).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각각 경사면(15a)을 갖는 2개의 핑거(15)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핑거(15)는 상기 2개의 핑거 플레이트(14) 위의 상기 기부 플레이트(13a)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3).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5a)은 상기 2개의 핑거 플레이트(14)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3).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공구(13, 18)는 유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3).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각각 하나의 리셉터클(13d)을 갖는 하나의 외부 종방향 벽(13c) 및 하나의 내부 종방향 벽(1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3).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내부 종방향 벽(13b) 및 하나의 외부 종방향 벽(13c)은 각각 상기 기부 플레이트(13a)의 각각의 종방향 측면 상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내부 종방향 벽(13b)과 하나의 외부 종방향 벽(13c) 사이에 상기 하나의 리셉터클(13d)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각각 경사부(18c, 25)를 갖는 2개의 플레이트 섹션(18b, 18'b)이 장착되어 상기 스프레딩 장치를 형성하는 크로스 부재(18a, 18'a, 18"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8, 18').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각각 플레이트 섹션(18b) 상에 장착되는 가이드 섹션(19a, 19c, 19f)을 갖는 측벽(19)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8).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각각의 플레이트 섹션(18'b) 상에 수평 가이드(27)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8').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공구(18, 18')는 유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8).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가이드 섹션(19a, 19c, 19f)을 지닌 상기 측벽(19)을 갖는 상기 가이드 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8).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정지부(23c) 및 축방향 가이드(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공구(18'). - 차량, 특히 상용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1)로서,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2), 인가 섹션(3a) 및 후방 섹션(3b)을 갖는 브레이크 캘리퍼(3), 특히 슬라이딩 캘리퍼, 라이닝 유지 스프링(6, 7)이 제공된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4a, 5a)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4, 5) -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은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3) 상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라이닝 유지 클립(8)에 의해 각각 바이어스 하에 지지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 중 인가측 브레이크 라이닝(4)이 상기 인가 섹션(3a)에 할당되고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5)이 상기 후방 섹션(3b)에 할당됨 - , 및 상기 라이닝 유지 클립(8)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10)는 상기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5)의 상기 후방측 라이닝 캐리어 플레이트(5a)에 고정 연결되는 고정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단부 섹션(8b)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스프링 아암(12)을 구비하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10)의 상기 고정 요소(11)에는 조립 공구(18, 1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공구(18, 18')는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 차량, 특히 상용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1)를 위한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100)로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는 브레이크 디스크 회전축(2a)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2), 인가 섹션(3a) 및 후방 섹션(3b)을 갖는 브레이크 캘리퍼(3), 특히 슬라이딩 캘리퍼, 라이닝 유지 스프링(6, 7)이 제공된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4a, 5a)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4, 5) -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은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3) 상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라이닝 유지 클립(8)에 의해 각각 바이어스 하에 지지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 중 인가측 브레이크 라이닝(4)이 상기 인가 섹션(3a)에 할당되고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5)이 상기 후방 섹션(3b)에 할당됨 - , 및 상기 라이닝 유지 클립(8)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10)는 상기 후방측 브레이크 라이닝(5)의 상기 후방측 라이닝 캐리어 플레이트(5a)에 고정 연결되는 고정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라이닝 유지 클립(8)의 단부 섹션(8b)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스프링 아암(12)을 구비하는,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100)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100)는 상기 각각의 라이닝 후방 플레이트(4a, 5a) 상의 상기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4, 5), 상기 관련 라이닝 유지 스프링(6, 7), 상기 라이닝 유지 클립(8), 상기 고정 장치(10) 및 적어도 하나의 조립 공구(13, 18, 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공구(13, 18, 18')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 공구(13, 18,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5111847.5 | 2015-07-22 | ||
DE102015111847.5A DE102015111847A1 (de) | 2015-07-22 | 2015-07-22 | Montagewerkzeug für Belaghaltebügel mit Sicherungsvorrichtung einer Scheibenbremse, Scheibenbremse und Bremsbelagsatz |
PCT/EP2016/066851 WO2017013001A1 (de) | 2015-07-22 | 2016-07-15 | Montagewerkzeug für belaghaltebügel mit sicherungsvorrichtung einer scheibenbremse, scheibenbremse und bremsbelagsatz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1701A true KR20180031701A (ko) | 2018-03-28 |
Family
ID=5641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3869A Withdrawn KR20180031701A (ko) | 2015-07-22 | 2016-07-15 | 디스크 브레이크의 고정 장치를 갖는 라이닝 유지 클립용 조립 공구,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142744A1 (ko) |
EP (1) | EP3325837B1 (ko) |
JP (1) | JP6592115B2 (ko) |
KR (1) | KR20180031701A (ko) |
CN (1) | CN107850142B (ko) |
AU (1) | AU2016296198A1 (ko) |
BR (1) | BR112018000086A2 (ko) |
CA (1) | CA2992160A1 (ko) |
DE (1) | DE102015111847A1 (ko) |
HK (1) | HK1247265B (ko) |
MX (1) | MX2018000761A (ko) |
RU (1) | RU2683905C1 (ko) |
WO (1) | WO2017013001A1 (ko) |
ZA (1) | ZA20180104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5118838B4 (de) * | 2015-11-03 | 2024-10-10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Scheibenbremse mit Belaghaltebügel und Sicherungsvorrichtung, und Bremsbelagsatz |
WO2018222389A1 (en) * | 2017-06-01 | 2018-12-06 | Hendrickson Usa, L.L.C. | Brake component positioning assembly |
CN109229013B (zh) * | 2018-09-30 | 2024-02-09 | 江苏海德莱特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高位制动灯及其装配工艺 |
CN114303017B (zh) * | 2019-09-02 | 2024-06-25 | 沃尔沃卡车集团 | 制动片保持器装置 |
US12228183B2 (en) * | 2021-08-16 | 2025-02-18 | ZF Active Safety US Inc. | Nested brake clip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734599A (en) * | 1952-08-07 | 1955-08-03 | Trianco Ltd | Improvements relating to overhead conveyors |
CH561822A5 (ko) | 1971-07-30 | 1975-05-15 | Vagneux Traverses Beton | |
CH571934A5 (ko) * | 1973-08-04 | 1976-01-30 | Fischer Max | |
AU531103B2 (en) | 1978-05-08 | 1983-08-11 | Pandrol Australia Pty Ltd | Forming rail clips |
DE2925275A1 (de) * | 1979-06-22 | 1981-01-08 | Perrot Bremse Gmbh Deutsche | Scheibenbremse |
GB8815947D0 (en) | 1988-07-05 | 1988-08-10 | Bowthorpe Hellermann Ltd | Forming branch-off enclosures |
SU1666829A2 (ru) * | 1989-07-19 | 1991-07-30 |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и автомоторный институт |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
US5743361A (en) * | 1995-06-06 | 1998-04-28 | Itt Automotive, Inc. | Light weight brake shoe apparatus with removable friction pad |
US6019022A (en) * | 1998-03-18 | 2000-02-01 | Snap-On Tools Company | Multi-purpose screwdriver |
DE19812717A1 (de) | 1998-03-24 | 1999-09-30 | Itt Mfg Enterprises Inc | Montagewerkzeug für eine Federanordnung einer Scheibenbremse |
FR2800140B1 (fr) * | 1999-10-26 | 2002-01-11 | Bosch Gmbh Robert | Ressort de guidage d'elements de friction et frein a disque comportant au moins un tel ressort |
DE10302332B3 (de) * | 2003-01-22 | 2004-03-25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
US7438161B2 (en) * | 2004-09-17 | 2008-10-21 | Performance Friction Corporation | Quick release removable bridge caliper |
DE102005045877B3 (de) | 2005-09-26 | 2007-02-15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
DE102005049057B4 (de) * | 2005-10-13 | 2015-06-25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
DE102006002306B4 (de) | 2006-01-18 | 2015-08-13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
DE102006039298B3 (de) * | 2006-08-22 | 2008-04-10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
DE202006016722U1 (de) * | 2006-11-02 | 2007-01-11 | Klann-Spezial-Werkzeugbau-Gmbh | Spannzange zum Spannen eines Sicherungsringes |
CN100451374C (zh) * | 2007-07-30 | 2009-01-14 | 武汉元丰汽车零部件有限公司 | 基于螺旋传动的浮动钳液压盘式集成制动器 |
JP4170382B1 (ja) * | 2008-01-15 | 2008-10-22 | 和夫 福本 | クリップ着脱工具 |
DE202008013446U1 (de) | 2008-10-09 | 2009-04-09 | Haldex Brake Products Ab | Scheibenbremse sowie Haltebügel und Sperrvorrichtung für Belaghaltefedern hierfür |
US7926392B2 (en) * | 2008-10-29 | 2011-04-19 | Zinstar Innovations, Inc. | Automatic slack adjuster tool |
CN201744972U (zh) | 2010-02-09 | 2011-02-16 | 旭邦工业有限公司 | 具有夹扣功能的医疗管路接头的分离器 |
DE102010043898A1 (de) * | 2010-06-02 | 2011-12-08 |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 Festsattelbremse und Bremsbelag für eine Festsattelbremse |
SE536555C2 (sv) * | 2012-06-20 | 2014-02-18 | Scania Cv Ab | Anordning för montering och demontering av bromsok samt förfarande för montering och demontering av ett sådant bromsok |
DE102012108667A1 (de) | 2012-09-17 | 2014-03-20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Anordnung eines Belaghaltebügels am Bremssattel einer Scheibenbremse sowie Bremsbelag |
DE102013013687A1 (de) * | 2013-08-16 | 2015-02-19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Bremsbelag einer Scheibenbremse und eine Scheibenbremse |
DE102014107227B4 (de) * | 2014-03-14 | 2016-02-04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Scheibenbremse mit Belaghaltebügel und Sicherungsvorrichtung, und Bremsbelagsatz |
WO2016022632A1 (en) * | 2014-08-08 | 2016-02-11 | Robert Bosch Gmbh | Brake pad kit including an absorbent fabric article |
DE102015118838B4 (de) * | 2015-11-03 | 2024-10-10 |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 Scheibenbremse mit Belaghaltebügel und Sicherungsvorrichtung, und Bremsbelagsatz |
-
2015
- 2015-07-22 DE DE102015111847.5A patent/DE102015111847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6
- 2016-07-15 RU RU2018102323A patent/RU2683905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6-07-15 KR KR1020187003869A patent/KR2018003170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6-07-15 CN CN201680042876.XA patent/CN10785014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7-15 CA CA2992160A patent/CA299216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07-15 HK HK18106584.9A patent/HK124726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6-07-15 BR BR112018000086-8A patent/BR112018000086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7-15 EP EP16738808.1A patent/EP3325837B1/de not_active Revoked
- 2016-07-15 MX MX2018000761A patent/MX2018000761A/es unknown
- 2016-07-15 WO PCT/EP2016/066851 patent/WO2017013001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7-15 JP JP2017567373A patent/JP659211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7-15 AU AU2016296198A patent/AU201629619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
- 2018-01-18 US US15/874,530 patent/US2018014274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2-15 ZA ZA2018/01040A patent/ZA201801040B/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ZA201801040B (en) | 2018-12-19 |
WO2017013001A1 (de) | 2017-01-26 |
CN107850142A (zh) | 2018-03-27 |
RU2683905C1 (ru) | 2019-04-02 |
JP6592115B2 (ja) | 2019-10-16 |
CN107850142B (zh) | 2019-08-13 |
AU2016296198A1 (en) | 2018-02-01 |
EP3325837B1 (de) | 2019-12-04 |
CA2992160A1 (en) | 2017-01-26 |
US20180142744A1 (en) | 2018-05-24 |
DE102015111847A1 (de) | 2017-01-26 |
JP2018521277A (ja) | 2018-08-02 |
EP3325837A1 (de) | 2018-05-30 |
BR112018000086A2 (pt) | 2018-08-28 |
HK1247265B (zh) | 2020-05-08 |
MX2018000761A (es) | 2018-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31701A (ko) | 디스크 브레이크의 고정 장치를 갖는 라이닝 유지 클립용 조립 공구,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라이닝 세트 | |
CN106340730B (zh) | 推入夹式保持器、推入夹组件和电连接器元件 | |
JP6508603B2 (ja) | センサブラケット | |
CN109311148B (zh) | 工具保存装置 | |
KR101247841B1 (ko) | 단자 장치 | |
US11015668B2 (en) | Pad clip, assembly of pad clip and return spring, and floating type disc brake | |
KR20130063544A (ko) | 부착 메커니즘 | |
KR20150056836A (ko) |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에서의 패드 유지 클립의 배치 및 브레이크 패드 | |
US20180252280A1 (en) | Disk Brake Having a Pad-Retaining Clip and a Securing Device, and Brake Pad Set | |
JP2019516928A (ja) | 商用車用のディスクブレーキ、ブレーキパッドおよびブレーキパッドセット | |
HK1247265A1 (en) | Brake pad set, disk brake and fitting tool thereof | |
CN108541176A (zh) | 用于固定电子装置的托架和用于固定电子装置的机构 | |
JP5175385B2 (ja) | 90°の角度をなす2つのアームを有するケーシングにより形成される電気接続部品 | |
US20080264739A1 (en) | Disc Brake, in Particular for a Commercial Vehicle and Retaining Bracket for Fixing the Brake Linings of a Disc Brake | |
KR100988786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JP4760686B2 (ja) | ロック構造 | |
JP6055044B1 (ja) | ワイパー組み立て体 | |
JP2016528456A (ja) |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ブレーキパッドおよびディスクブレーキ | |
JP5796000B2 (ja) | クレードル | |
JP2000108855A (ja) | ケーブル直角引きパーキングブレーキ | |
JP4103086B2 (ja) | 空気調和機の電線接続装置 | |
JP7620067B2 (ja) | 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用のベース部材及び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用の取付部材 | |
JP6164551B2 (ja) | 保持具、及び雑音電流吸収具 | |
JP2010105573A (ja) | サイドロック装置 | |
JP2000108856A (ja) | ケーブル直角引きパーキングブレー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2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