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26228A -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 Google Patents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228A
KR20180026228A KR1020160113328A KR20160113328A KR20180026228A KR 20180026228 A KR20180026228 A KR 20180026228A KR 1020160113328 A KR1020160113328 A KR 1020160113328A KR 20160113328 A KR20160113328 A KR 20160113328A KR 20180026228 A KR20180026228 A KR 20180026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ing
flange
flushing
coupler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천섭
윤재경
이부근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성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성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성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6011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228A/ko
Publication of KR2018002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22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in pipes or hoses
    • F16L55/105Closing devices introduced radially into the pipe or ho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을 위해 배관 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탈부착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는 배관 플랜지를 구비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관과, 커플러 플랜지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배관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을 위해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커플러와,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배관 내부 관로를 막기 위한 차단블럭과, 타측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배관의 내부 관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중공블럭을 구비하며, 배관 플랜지와 커플러 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작업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standard piece for pressure test and flushing in the pipe line}
본 개시는 선박, 해양플랜트 및 육상플랜트에 유체를 이송하도록 설치되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을 위해 배관 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표준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라인의 형성 후에는 배관의 압력을 테스트하는 작업이나 배관을 유체의 속도와 충격으로 청소하는 플러싱(flushing) 작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작업이나 플러싱 작업시 배관 내에는 높은 압력이 형성되고, 이처럼 형성되는 높은 압력으로 인해 밸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 테스트나 플러싱 작업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밸브를 배관 라인으로부터 탈거한 후 밸브를 대신하는 테스트 피스(Test Piece) 또는 블라인드 플랜지(Blind Flange)를 제작한 후 설치하여 압력 테스트 작업과 플러싱 작업을 완료한 다음 탈거 해두었던 밸브를 배관 라인에 재설치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압력 테스트 작업이나 플러싱 작업을 위해 배관 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를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해 탈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작업자가 밸브를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근골격계 질환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 라인으로부터 밸브를 탈부착하는 과정 중에 밸브의 플랜지면이 손상을 입어 플랜지면을 재가공 즉, 세레이션(serration) 가공해야 함으로써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브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테스트 피스(Test Piece) 또는 블라인드 플랜지(Blind Flange)는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시마다 제작하여 사용한 다음 버려지기 때문에 제작시 발생되는 비용이 증가되고, 자재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0291호(2015.01.02)
본 개시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을 위해 배관 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탈부착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를 대신하여 일회용으로 사용되던 테스트 피스 또는 블라인드 플랜지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테스트 피스 또는 블라인드 플랜지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을 위해 배관 라인으로부터 밸브를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밸브의 플랜지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의한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는 배관 플랜지를 구비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관과, 커플러 플랜지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배관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을 위해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커플러와,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배관 내부 관로를 막기 위한 차단블럭과, 타측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배관의 내부 관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중공블럭을 구비하며, 배관 플랜지와 커플러 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작업모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블럭과 중공블럭은 연결바를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바의 양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차단블럭과 중공블럭은 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배관 플랜지와 커플러 플랜지에 장착홀이 형성되고, 장착홀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며, 작업모듈의 조립시에, 차단블럭 또는 중공블럭이 고정부재의 외주면 상에 지지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을 위해 배관 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탈부착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를 대신하여 일회용으로 사용되던 테스트 피스 또는 블라인드 플랜지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테스트 피스 또는 블라인드 플랜지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을 위해 배관 라인으로부터 밸브를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밸브의 플랜지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 모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가 배관 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100)는 선박, 해양플랜트 및 육상플랜트에 각종 배관 및 밸브를 구비하는 배관 라인의 구성시 밸브를 대신하여 설치되어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시 밸브가 배관 라인에 형성된 높은 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시 작업자가 무거운 밸브를 반복적으로 배관 라인으로부터 착탈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 모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가 배관 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100)는 제1 및 제2 배관(110, 120), 커플러(130), 작업모듈(140)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배관(110, 120)은 배관 라인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단부에는 배관 플랜지(112, 122)가 구비되고, 배관 플랜지(112, 122)에는 장착홀(112a, 122a)가 형성된다.
커플러(130)는 제1 및 제2 배관(110, 120)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을 위해 제1 및 제2 배관(110, 120)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를 대신해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부에는 커플러 플랜지(132)가 구비되고, 커플러 플랜지(132)에는 배관 플랜지(112, 122)에 형성된 장착홀(112a, 122a)과 대응되는 장착홀(132a)이 형성된다.
이때, 커플러(130)는 제1 및 제2 배관(110, 120)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와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된다.
작업모듈(140)은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을 하기 위해 제1 배관(110)에 구비된 배관 플랜지(112)와 커플러 플랜지(132) 사이에 결합된다.
이러한, 작업모듈(140)은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배관(110)의 내부 관로를 막기 위한 차단블럭(142)과, 타측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배관(110, 120)의 내부 관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중공블럭(144)을 구비한다.
여기서, 차단블럭(142)과 중공블럭(144)은 연결바(146)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바(14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차단블럭(142)과 중공블럭(146)이 연결바(14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에 연결바(146)의 양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는 연결바(146)의 양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산이 외주면에 구비된 결합돌기(146a) 또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구비된 결합홈(146b)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바(146)의 양단부에 수나사산이 외주면에 구비된 결합돌기(146a)가 형성된 경우에는 차단블럭(142)과 중공블럭(146)에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홈(142a, 144a)이 형성되고, 이와 반대로 연결바(146)의 양단부에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구비된 결합홈(146b)이 형성된 경우에는 차단블럭(142) 중공블럭(144)에는 수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돌기(142b, 144b)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단블럭(142)과 중공블럭(144)을 결합부에 억지끼움 결합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차단블럭(142) 또는 중공블럭(144)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관(110)의 배관 플랜지(112)와 커플러 플랜지(132) 사이에 설치될 때, 제1 배관(110)의 배관 플랜지(112)와 커플러 플랜지(132)에 형성된 장착홀(112a, 132a)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외주면 상에 지지된다.
이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또는 플러싱 작업에 따라 배관 플랜지(112)와 커플러 플랜지(132) 사이에 결합되는 차단블럭(142) 또는 중공블럭(144)을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관 플랜지(112)와 커플러 플랜지(132)를 사분면(四分面)으로 분할하여 볼 때, 배관 플랜지(112)와 커플러 플랜지(132)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배관 플랜지(112)와 커플러 플랜지(132)의 제1 사분면과 제2 사분면에 형성된 장착홀(112a, 132a) 결합된 고정부재는 완전히 풀고, 제3 사분면과 제4 사분면에 형성된 장착홀(112a, 132a)에 결합된 고정부재는 느슨하게 풀은 다음 차단블럭(142) 또는 중공블럭(144)을 제1 사분면과 제2 사분면의 상측방향으로 빼낸 후 사용하고자 하는 블럭을 삽입한 다음 고정부재를 이용해 배관 플랜지(112)와 커플러 플랜지(132)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두 개의 부재를 상호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B)와 너트(N)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에 의하면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을 위해 배관 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탈부착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밸브를 대신하여 일회용으로 사용되던 테스트 피스 또는 블라인드 플랜지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테스트 피스 또는 블라인드 플랜지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 작업을 위해 배관 라인으로부터 밸브를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밸브의 플랜지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1 배관
120; 제2 배관
112, 122; 배관 플랜지
130; 커플러
132; 커플러 플랜지
140; 작업모듈
142; 차단블럭
144; 중공블럭
146; 연결바

Claims (4)

  1. 배관 플랜지를 구비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배관;
    커플러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관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커플러; 및,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배관 내부 관로를 막기 위한 차단블럭과,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관의 내부 관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중공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배관 플랜지와 상기 커플러 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작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럭과 상기 중공블럭은 연결바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양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블럭과 상기 중공블럭은 상기 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 플랜지와 상기 커플러 플랜지에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작업모듈의 조립시에,
    상기 차단블럭 또는 상기 중공블럭이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KR1020160113328A 2016-09-02 2016-09-02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Ceased KR20180026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28A KR20180026228A (ko) 2016-09-02 2016-09-02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28A KR20180026228A (ko) 2016-09-02 2016-09-02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228A true KR20180026228A (ko) 2018-03-12

Family

ID=6172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328A Ceased KR20180026228A (ko) 2016-09-02 2016-09-02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2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5126A (zh) * 2019-05-15 2019-08-30 无锡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封闭空间的清淤装置及清淤方法
KR20240153048A (ko) 2023-04-14 2024-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더미 스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5126A (zh) * 2019-05-15 2019-08-30 无锡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封闭空间的清淤装置及清淤方法
CN110185126B (zh) * 2019-05-15 2024-05-31 华昕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封闭空间的清淤装置及清淤方法
KR20240153048A (ko) 2023-04-14 2024-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더미 스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8876B2 (en) Plumb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system and method
JP5290953B2 (ja) 半手動式又は完全自動式多結合システム及びその取付方法
JP4190502B2 (ja) 管接続構造
CA2916044A1 (en) Joint for high-pressure pipes and joint structure
KR20180026228A (ko) 배관 라인의 압력 테스트 및 플러싱용 표준피스
US11415258B2 (en) Pipeline plug
JP2015034605A (ja) 管継手
JP2010096305A (ja) 管継手構造
JP2015025525A (ja) 管体の接続構造
JP4981783B2 (ja) 管継手構造用の流体管
JP4542364B2 (ja) 管接続構造及び挿口管部への管内作業機の取付け方法
US20070018451A1 (en) Safety device for threadedly engaged portions of a quick-coupling
KR200396420Y1 (ko)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US20180216769A1 (en) Hose coupler for transferring fluids from a machine
KR20130008167A (ko) 파형관 연결구조
JP5998003B2 (ja) 分岐管接続装置
KR100818607B1 (ko) 밸브의 설치구조
KR101582312B1 (ko) 배관 이음 밸브
JP6077151B2 (ja) 管接続装置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JP5892572B2 (ja) 管接続装置
KR20160000042U (ko) 더미 파이프
TW201937085A (zh) 蝶形閥的配管用定心機構
IT201900002131A1 (it) Assieme di raccordo ad innesto rapido e corpo di un elemento circuitale e relativo circuito pneumatico.
KR101190838B1 (ko) 분리형 압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