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839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2839A KR20180022839A KR1020187002140A KR20187002140A KR20180022839A KR 20180022839 A KR20180022839 A KR 20180022839A KR 1020187002140 A KR1020187002140 A KR 1020187002140A KR 20187002140 A KR20187002140 A KR 20187002140A KR 20180022839 A KR20180022839 A KR 201800228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 sheet
- belt
- main body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3 superabsorbent polymers (SA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2013/4908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having breakable lateral stitches or pa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흡수성 본체; 및 상기 횡 방향에 따른 벨트부 및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한쌍의 다리 개더부를 포함하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며, 허리 개구부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가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상기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가 상기 횡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합부는 각각,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 상기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bsorbent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heet member including a belt por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air of leg gath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waist opening and the pair of leg openings are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are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rein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re each incli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utward from the waist opening side toward the respective leg opening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body and each of the sheet members are joined at the first joint and the second joint, respectively,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portion is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reg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than the first reg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종래의 팬츠형 1회용 기저귀로서는, 특허문헌 1에 앞 개구부, 가랑이부 및 배측 개구부에 걸쳐 형성된 흡수성 본체, 및 이 흡수성 본체와 접합부에서 연결된 한쌍의 벨트부를 포함하는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pants-type disposable diaper,
이와 같은 팬츠형 1회용 기저귀는 내의처럼 보여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Such pants-type disposable diapers are required to be seen as underwear.
그러나, 이러한 1회용 기저귀에서는, 배측 전체 면 및 등측 후면의 눈에 띄는 부분에 한쌍의 접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에 따라 양측의 2군데에서 접합부가 형성되는 통상의 기저귀에 비해 체결부의 수가 증가한다. 이들 접합부는 접합으로 인해 강성이 증가하고,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고, 기저귀 위에 착용한 의복을 통해 돌출된 접합부의 형태가 보일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is disposable diaper, a pair of joint portions are formed at the conspicuous portion of the entire back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back side,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fastening portions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diaper in which joint portions are formed at two places on both sides. These joints have increased rigidity due to joints, give a wearer a sense of incongruity, and have a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joint protruding through the garment worn on the diaper can be se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의 목적은 접합부가 눈에 덜 띄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joint is less noticeable.
상기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양태는,The mai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흡수성 본체; 및An absorbent body along said longitudinal direction; And
상기 횡 방향에 따른 벨트부 및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한쌍의 다리 개더부를 포함하는 시트 부재A sheet member including a belt por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air of leg gath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를 포함하며,/ RTI >
허리 개구부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A waist opening and a pair of leg openings are formed,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가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상기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Wherein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r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extend from the waist opening side toward the respective leg open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at least the absorbent main body and each of the sheet mem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e first joint and the second joint,
상기 벨트부가 상기 횡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In a state in which the belt portion is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제1 접합부는 각각,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 상기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다.And each of the first joints is a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region where each of the sheet members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than the absorbent main bod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접합부에 있어서, 시트 부재가 흡수성 본체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접합부가 눈에 덜 띄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joint portion, the sheet member includes a reg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absorbent main body, thereby providing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joint portion is less conspicuous.
도 1은, 기저귀(1)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는 길이 방향에 따라 신장된 상태의 기저귀(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조 공정의 도중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의 기저귀(1)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기저귀(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부분 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부분 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벨트부(30)를 횡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의 제1 접합부(WL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7의 C-C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D-D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부이다. 도 8C는 도 7의 E-E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D는 도 7의 F-F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2A is a plan view showing the
3A is a flat develop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rtion b in Fig. 2. Fig.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rtion a in Fig. 1.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of the
8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8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8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8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FF line of Fig.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질 것이다.At least the following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는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흡수성 본체; 및 상기 횡 방향에 따른 벨트부 및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한쌍의 다리 개더부를 포함하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며, 허리 개구부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가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상기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가 상기 횡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합부는 각각,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 상기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한다.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longitudinal,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bsorbent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heet member including a belt por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air of leg gath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waist opening and the pair of leg openings are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are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rein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re each incli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utward from the waist opening side toward the respective leg opening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body and each of the sheet members are joined at the first joint and the second joint, respectively,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portion is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reg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than the region on the other side.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1 접합부는 각각, 시트 부재 각각이 흡수성 본체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접합부가 눈에 덜 띄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each of the first joints includes a region where each of the sheet members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absorbent main body, so that the joint can provide an absorptive article that is less conspicuous.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2 접합부는 각각, 시트 부재 각각이 흡수성 본체보다 일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s includes a region where each of the sheet members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absorbent main body.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2 접합부는 각각, 시트 부재 각각이 흡수성 본체보다 일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일방측 뿐 아니라 타방측에서 보아도 접합부가 눈에 덜 띄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each of the second joints includes a region in which each of the sheet members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absorbent main body, thereby providing an absorbent article with less conspicuous joints on the one side as well as on the other side .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 및 벨트부는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서 각각 접합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는 횡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벨트부는 횡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absorbent article, the absorbent body and the belt portion are respectively joined at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nd the absorbent main body does not include the elastic member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belt portion includes the elastic member along the lateral direction desirable.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흡수성 본체 및 벨트 부재는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서 각각 접합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는 횡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벨트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는 횡 방향(벨트부측)을 따라 끌어당기는 힘이 가해져서,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가 눈에 덜 띄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the absorbent body and the belt member are respectively bonded at the first joint and the second joint, and the absorbent main body does not include the elastic member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belt portion includes the elastic member. As a result,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the belt portion side), so that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can be made less conspicuous.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벨트부 및 다리 개더부(gather portion)는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서 각각 접합되어 있고, 다리 개더부는 종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elt portion and the gathered portion of the leg are joined at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leg gathers include elastic me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벨트부 및 다리 개더부는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서 각각 접합되어 있고, 레그 개더부에도 종 방향을 따라 탄성 부재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벨트부 및 다리 개더부 양쪽에 탄성 부재가 제공됨으로써,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의 기립(rising)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are respectively joined at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are also provided with elastic me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us, by providing elastic members on both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the rising angle of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can be changed.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 시트 부재 각각이 흡수성 본체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제1 접합부 각각과 제1 접합부 각각에 인접하는 시트 부재 각각이 형성하는 각도가 45° 미만인 영역이 제공되고, 제2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 시트 부재 각각이 흡수성 본체보다 일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제2 접합부 각각과 제2 접합부 각각에 인접하는 시트 부재 각각이 형성하는 각도가 45° 미만인 영역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absorbent article, in each of the first joining portions, an angle formed by each of the first joining portions and each of the sheet members adjacent to the first joining portions is 45 deg. In an area where each of the sheet members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sheet member adjacent to each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 and the second joining portion forms an angle of 45 deg. In the region where each of the sheet members is located on one side than the absorbent main body in each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s, ≪ / RTI > is preferably provid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각각의 제1 접합부 및 각각의 시트 부재가 형성하는 각도, 및 각각의 제2 접합부 및 각각의 시트 부재가 형성하는 각도를 각각 45° 미만으로 설정한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보다 눈에 덜 띄게 만들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the angle formed by each first joint and each sheet member, and the angle formed by each second joint and each sheet member are set to less than 45 degrees, respectively, 1 joint and the second joint can be made less noticeable.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 벨트부 각각과 다리 개더부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제1 접합부 각각과 제1 접합부 각각에 인접하는 벨트부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45° 이상인 영역이 제공되고, 제2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 벨트부 각각과 다리 개더부 각각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제2 접합부 각각과 제2 접합부 각각에 인접하는 벨트부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45° 이상인 영역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absorbent article, an angle formed by each of the first joint portions and the belt portions adjacent to the first joint portions, respectively, in the portion located between each of the belt portions and each of the leg gathers in each of the first joint portions Is formed by each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s and the belt portions adjacent to the second joining portions in a portion located between each of the belt portions and each of the leg gathers in each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s It is preferable that an area where the angle is 45 DEG or more is provid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 있어서, 벨트부와 다리 개더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접합부와 벨트부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각도가 45° 이상으로 설정된 영역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착용자는 벨트부와 다리 개더부 사이의 경계를 인식하기 쉬워져서, 기저귀를 착용시에 흡수성 물품을 들어올리는 지지 부분으로서 경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벨트부 및 다리 개더부가 접합되어 있는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서, 접합부의 박리와 같은 불안을 경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at each of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in th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each angle formed b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and the belt portion is 45 degrees An area set above is provided. As a result, the wearer can easily recognize the boundary between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so that the boundary can be used as a supporting portion for lifting the absorbent article when the diaper is worn. Further,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to which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are joined, can be visually recognized, so that anxiety such as peeling of the joint portion can be reduced.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이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고,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은 각각 종 방향에 있어서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흡수성 본체 및 시트 부재 각각이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 각각에서 중첩되어 있으며, 제1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흡수성 본체 및 시트 부재 각각이 제1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고, 제2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흡수성 본체 및 시트 부재 각각이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제1 접합부 각각의 선단은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absorbent article, the first overlapping region and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ar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overlapping region and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least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sheet member are overlapped in the first overlapping area and the second overlapping area, respectively, and in each of the first overlapping areas, at least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sheet member Wherein at least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sheet member are bonded to each other at each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s in each of the first overlapping regions and the tip of each of the first joining portions is joined to the tip of each of the first overlapping regions, As shown in Fig.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각각의 제1 접합부의 선단과 각각의 제1 중첩 영역의 선단을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제1 접합부를 보다 작게 할 수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내의 같은 인상이 손상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since the tip of each first joint portion and the tip of each first overlap region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the respective first joint portions can be made smaller, and the same impression of the in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is damaged .
본 실시형태In this embodiment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팬츠형 1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도 지칭함)를 설명한다.A pants-type disposable diaper 1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도 1은 기저귀(1)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기저귀(1)는 흡수성 본체(10),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포함하며, 착용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팬츠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기저귀(1)는 도 1의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한다. 또한, 기저귀(1)의 종 방향의 상측에 허리 개구부(HB)가 형성되고, 횡 방향의 양측에는 한쌍의 다리 개구부(HL)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1)의 전후 방향의 앞측은 기저귀(1)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측을 덮는 부분이고, 전후 방향의 이의 뒤측은 착용자의 등측을 덮는 부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도 2A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조 공정의 도중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기저귀(1)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X-X선은 횡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이다,2A is a plan view showing the
기저귀(1)는 제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 상태이다. 기저귀(1)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나중에 설명한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으로서 "길이 방향", "횡 방향" 및 "두께 방향"을 포함한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의 길이 방향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방향이다. 이 길이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종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이다. 그러나, 팬츠형 상태에서의 종 방향은 기술적으로 평면 상태에서의 길이 방향과는 약간 의미가 상이하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팬츠형 상태에서의 종 방향", "평면 상태에서의 길이 방향" 등과 같이, 양 방향을 구별하여 취급한다. 도 2A에서, 기저귀(1)를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즉, 평면 상태)란, 나중에 설명하는 실고무(다리 개더 탄성 부재)(23) 및 벨트 탄성 부재(실고무)(33)에 의한 수축력에 대항하여 기저귀(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에,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주름 및 개더가 시인되지 않는 정도로 기저귀(1)를 신장시킨 상태를 지칭한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형상은 실고무(23)와 같은 각종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발현되지 않은 때에 평탄하게 신장된 기저귀(1)의 형상과 동일하다. 또한, 기저귀(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는, 흡수성 본체(10)만을 평면 상태로 한 때의 형상을 기준 상태로 했을 때에, 흡수성 본체(10)의 형상이 기준 상태에 일치하도록, 탄성 부재(33)로 인한 수축력에 대항하여 기저귀(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라고도 말할 수 있다.The
하기 설명에서는, 흡수성 본체(10)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 착용자의 배측에 닿는 측을 길이 방향의 앞측(배측)으로 지칭하고, 착용자의 등측에 닿는 측을 길이 방향의 뒤측(등측)으로 지칭한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의 횡 방향은 도 1의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횡 방향 및 두께 방향과 동일한 개념이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의 두게 방향은 길이 방향 및 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으로 지칭하고, 반대측을 "비피부측"으로 지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absorbent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10)의 횡 방향 양측에는 한쌍의 다리 개더부(20)가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의 일부 및 다리 개구부(20)와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중첩하도록, 한쌍의 벨트부(30)가 배치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에 있어서, 다리 개더부(20) 각각 및 벨트부(30) 각각이 하나의 시트 부재인 사이드 시트(4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 부재(40)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접음선(FL)에 있어서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각각의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in the
다리 개더부(20)의 각각에는, 횡 방향 외측 단부(20eo)(접음선(FL))에 있어서 다리 개더부(20)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다리 개더 절단부(25)가 제공된다. 유사하게, 벨트부(30) 각각에는, 횡 방향 외측 단부(30eo)(접음선(FL))에 있어서 벨트부(30)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벨트 절단부(35)가 제공된다. 이러한 다리 개더 절단부(25) 및 벨트 절단부(35)에 의해 각각의 다리 개구부(HL)가 형성된다.Each of the leg gathers 20 is provided with a leg gath cut
벨트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앞측 단부(10ef)로부터 각각의 다리 개구부(HL)를 향해 경사진 한쌍의 제1 접합부(WL1)에 의해, 흡수성 본체(10)(엄밀히 말하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탑 시트(13)) 및 다리 개더부(20)에 접합되어 있다. 유사하게, 벨트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뒤측 단부(10er)로부터 각각의 다리 개구부(HL)를 향해 경사진 한쌍의 제2 접합부(WL2)에 의해,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에 접합되어 있다.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이러한 평면 상태의 기저귀(1)의 한쌍의 벨트부(30, 30)에 있어서 횡 방향의 내측 단부(30ei, 30ei)를 횡 방향을 따라 열면서, 흡수성 본체(10)를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 부근에서 둘로 접음으로써, 기저귀(1)는 팬츠형 기저귀(1)로서 착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앞측 단부(10ef) 및 뒤측 단부(10er) 및 한쌍의 벨트부(30)의 내측 단부(30ei)에 의해 허리 개구부(HB)가 형성된다(도 1 참조).The absorbent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의 부재(도 3A 참조)가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따라 절단되고, 길이 방향의 부재의 단부가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V형으로 가늘어지는 식으로 형성된 시트형 부재이다.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체(11), 흡수체(11)를 피부측으로부터 덮도록 제공된 탑 시트(13)(피부측 시트에 상당), 및 흡수체(11)를 비피부측으로부터 덮도록 제공된 백 시트(15)(비피부측 시트에 상당)를 포함한다. 이들 부재(13, 11, 15) 각각은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재에,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도 2B 및 도 3B 참조). 접착제의 도포 패턴으로서는, Ω 패턴, 스파이럴 패턴, 스트라이프 패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나중에 설명되는 다른 접착제에도 적용된다.As shown in Fig. 2A, the absorbent
흡수체(11)는 소정의 액체 흡수성 소재가 소정 형상(예컨대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모래 시계 형상)으로 성형되어 형성된 흡수성 코어, 및 흡수성 코어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흡수체(11)는 기저귀(1)의 착용시에 뇨와 같은 배설액을 흡수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액체 흡수성 소재로서는 액체 흡수성 섬유(예컨대 펄프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와 같은 액체 흡수성 입상물이 예시된다. 코어 랩 시트로서는, 티슈 페이퍼 또는 부직포의 시트와 같은 액투과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11)의 형상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모래 시계 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탑 시트(13)는 에어스루 부직포와 같은 액 투과성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그의 평면 사이즈는 흡수체(11)의 길이 방향의 양측 및 흡수체(11)의 횡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사이즈이다. 그러나, 탑 시트(1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흡수성을 갖는 유연한 시트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백 시트(1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누 시트(15f) 및 외장 시트(15n)의 2장의 시트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함께 중첩하여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방누 시트(15f)는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등으로 제조된 액 불투과성 시트 부재이며, 백 시트(15)의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배치된다. 외장 시트(15n)는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시트 부재이며, 백 시트(15)의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배치되며, 흡수성 본체(10)의 외장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그러나, 백 시트(15)는 일정한 방누성을 갖는 한, 상기 언급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백 시트(15)도, 시트가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 및 흡수체의 횡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평면 사이즈를 갖는 시트이다. 탑 시트(13) 및 백 시트(15)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대략 V형을 갖는 각각의 양단부가 대략 일치하도록, 두께 방향으로 함께 중첩하고 접합하여, 이에 의해 시트(15)와 시트(15) 사이에 흡수체가 유지된다.The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개더부(20)는, 흡수성 본체(10)의 횡방향 양측에 접합된, 길이 방향으로 긴 시트 부재이며,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형성할 때에 다리 개구부(HL)를 따라 수축하여 주름형 다리 개더를 형성한다. 다리 개더부(20) 각각은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를 두께 방향으로 2장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는 다리 개더부(20)의 횡 방향의 내측 단부가 흡수성 본체(10)의 탑 시트(13)와 백 시트(15) 사이에 각각 낀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된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leg gathers 20 are longitudinally elongated sheet members joined to both lateral sides of the absorbent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0)는 다리 개더부(20)의 횡 방향 양측에 제공된, 길이 방향으로 긴 시트 부재이며,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제조할 때에 허리 벨트를 형성한다(도 1 참조). 벨트부(30) 각각은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제1 시트(31) 및 제2 시트(2)를 두께 방향으로 2장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다리 개더부(20) 및 각각의 벨트부(30)는 하나의 부재인 시트 부재(40)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다리 개더부(20)의 제1 시트(21) 및 벨트부(30)의 제1 시트(31)는 제1 시트(41)로서 구성되고, 다리 개더부(20)의 제2 시트(22) 및 벨트부(30)의 제2 시트(32)도 제2 시트 부재(42)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40)에서, 접음선(FL)보다도 횡 방향 내측에 배치된 부분이 레그 개더부(20)가 되고, 접음선(FL)보다도 횡 방향 외측에 배치된 부분이 벨트부(30)가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pective leg gathers 20 and the
상기 접음선(FL)에 걸쳐 연장되도록, 다리 개구부(HL) 각각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 개구부(HL)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 개더부(20)의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를 절단하여 형성된 다리 개더 절단부(25), 및 벨트부(30)의 제1 시트(31) 및 제2 시트(32)를 절단하여 형성된 벨트 절단부(3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Each leg opening HL is formed so as to extend over the folding line FL. The leg opening HL includes a leg gath cut
또한, 다리 개더부(20)의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 사이에 실고무 등으로 제조된 다리 개더 탄성 부재(실고무)(23)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고,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3A에 있어서, 다리 개더 절단부(25)의 횡방향 내측 단부(즉, 다리 개구부(HL)의 횡 방향 내측 단부)보다 더 내측의 위치에 2줄의 실고무(2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실고무(23)에 의해, 각각의 다리 개더부(20)에 길이 방향의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제조시에, 다리 개구부(HL)를 따라 다리 개더부(20)가 수축하여, 주름형 다리 개더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다리 주위의 핏트성(fitting property)을 향상시킬 수 있다.A leg gathers elastic member (thread rubber) 23 made of a thread rubber or the like is disposed between the
유사하게, 벨트부(30)의 제1 시트(31)와 제2 시트(32) 사이에 실고무 등으로 제조된 벨트 탄성 부재(실고무)(33)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고,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3A에 있어서는, 벨트 절단부(35)의 횡 방향 외측 단부(즉, 다리 개구부(HL)의 횡 방향 외측 단부)보다 더 외측의 영역에 복수의 실고무(33)가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실고무(33)에 의해, 각각의 벨트부(30)에 길이 방향의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제조할 때에, 각각의 벨트부(30)의 거의 전체 영역에 걸쳐 허리 개구부(HB)에 따른 수축력이 발현되어, 기저귀(1) 착용시에 허리 부분의 미끄러져 떨어짐이 억제된다.Similarly, a belt elastic member (yarn rubber) 33 made of an elastic rubber or the like is disposed between the
또한, 제1 시트(41(21, 31))와 제2 시트 부재(42(22, 32))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탄성 시트(43)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시트(43)는 도 3A의 사선부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다리 개구부(HL)의 횡 방향의 폭보다 넓은 띠형 탄성 시트 부재이다. 탄성 시트(43)는 또한 각각 다리 개구부(HL)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시트(41, 42)에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리 개구부(HL)의 주연부(peripheral edge portion)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탄성 시트(43)에 의해 보강된다(도 1의 도티드 패턴 부분). 또한, 평면형의 탄성 시트(43)에 의해 발현된 수축력으로 인해, 다리 개구부(HL)의 주연부에 있어서의 핏트성이 더 향상된다. 다리 개구부(HL)의 주연부에 탄성 시트(43)가 제공되지 않고 실고무(23)와 같은 실고무만이 거기에 제공된다고 하면, 실고무 사이에 주름이 형성되기 쉬워져, 기저귀(1)의 착용시에 다리 개구부(HL)가 헐렁해질 수 있고, 실고무의 자국이 착용자의 피부에 남을 수도 있다. 반대로, 다리 개구부(HL)의 주연부에 평면형의 탄성 시트(43)가 배치될 때, 핏트성이 향상될 수 있다. 기저귀(1)는 통상 부직포와 같은 색이 옅은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복수의 부재가 접합된 제1 접합부(WL1)의 색조가 진해진다. 그러나, 탄성 시트(43)가 배치되면, 부재수가 증가하여, 제1 접합부(WL1)의 색조가 눈에 덜 띌 수 있다.Between the first sheet 41 (21, 31) and the second sheet member 42 (22, 32), it is preferable that an
이러한 탄성 시트(43)의 예로서,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와 같은 대략 탄성을 나타내는 엘라스토머 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같은 대략 비탄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에 대하여, 소위 기어 연신 가공(gear drawing treatment)을 실시하여 신축성을 발현한 부직포를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As an example of such an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0)의 횡방향 외측 단부 영역에는, 제1 벨트 단부 접음선(FLb1) 및 제2 벨트 단부 접음선(FLb2)에서 횡 방향의 내측으로 2회 접고,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이 접힌 상태로 접음부(FLB)를 고정시켜, 접음부(FLB)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제2 벨트 단부 접음선(FLb2) 각각은 도 2A에 있어서 벨트부(30) 각각의 횡 방향 내측 내측 단부(30ei)가 되는 부분, 및허리 개구부(HB)가 되는 부분이다. 허리 개구부(HB)를 이러한 단부 접음 구조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 착용자의 허리 상의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다리 개구부(HL)의 탄성 시트(43)와 유사하게, 복수 부재가 중첩된 접음부(FLB)에 의해 허리 개구부(HB)는 제1 접합부(WL1)의 색조를 눈에 덜 띄게 할 수가 있어, 내의 같은 인상이 손상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횡 방향 단부 영역은 반드시 상술한 바의 접음 구조를 갖지 않아도 된다.3B,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uter end region of the
<기저귀(1)의 제조>≪ Preparation of
다음으로,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4는 기저귀(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Next,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이 예에서, 기저귀(1)는 재료로서 사용되는 기재 시트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이 기재 시트에 대하여 소정의 가공(S101∼S105)을 실시하는 식으로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시트 부재의 반송 방향을 "MD 방향"으로 지칭하고, MD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CD 방향"으로 지칭한다. MD 방향은 도 2A의 길이 방향(종 방향)에 따른 방향이고, CD 방향은 도 2A의 횡 방향에 따른 방향이다.In this example, the
본 실시형태에서 기저귀(1)의 기재 시트가 되는 시트 부재는,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 및 사이드 연속 시트(40A)로 구성된다.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는, 복수의 흡수성 본체(10)가 길이 방향(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시트 부재이다. 즉,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는, 복수의 흡수체(11)가 MD 방향으로 연장되는 탑 시트(13)의 연속 시트와 백 시트(15)의 연속 시트의 두께 방향 사이에 끼인 상태의 시트 부재이다. 유사하게, 사이드 연속 시트(40A)는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형성하는 시트 부재(40)가 길이 방향(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시트 부재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eet member to be the base sheet of the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의 CD 방향(횡 방향) 양측에 사이드 연속 시트(40A)가 접합된 상태의 기재 시트가 MD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S101).First, as shown in Fig. 4, the base sheet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다음으로, 반송되는 기재 시트에 대하여, 각각 흡수체(11)의 CD 방향(횡 방향) 양측에서 접음선(FL)에 걸쳐 연장되는 위치에 다리 개구부(HL)인 다리 개더 절단부(25) 및 벨트 절단부(35)를 형성한다(S102). 상기 절단부는 커터 롤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도 4의 S102의 공정에서 나타낸 상태는, 도 3A의 전개 상태의 기저귀(1)에 상당하는 상태이다.Next, a leg gath cut
다음으로, 사이드 연속 시트(40A) 중 벨트부(30)에 상당하는 부분을 각각의 접음선(FL)에서 CD 방향(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일부, 다리 개더부 및 벨트부(30)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S103).Next, a portion of the side
다음으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형성하여, 벨트부(30),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를 접합한다(S104).Next,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WL2 are formed by ultrasonic welding to bond the
다음으로, 기재 시트의 커팅이 행해진다(S105). 구체적으로는, MD 방향으로 연속하는 기재 시트로부터 기저귀(1) 각각을 분리하고,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따라 장방형의 네 코너를 절단한다. 이 때, 용착 영역(WU)(후술) 상의 기재 시트를 절단하여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2 접합부의 선단(WLp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착 영역(WU) 상의 기재 시트를 절단함으로써,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2 접합부의 선단(WLp2)으로부터 박리될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Next, the substrate sheet is cut (S105). Specifically, each of the
결과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평면 상태의 기저귀(1)가 형성된다.As a result, the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 First bonding portion WL1 and second bonding portion WL2 >
하기에서,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WL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한쌍의 제1 접합부(WL1)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앞측에, 중심선 X-X에 대하여 대칭으로 제공되고, 한쌍의 제2 접합부(WL2)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뒤측에, 중심선 X-X에 대하여 대칭으로 제공되어 있다.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는 각각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유사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 제1 접합부(WL1)에 대해 설명한다.A pair of first joining portions WL1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XX on the front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joining portions WL2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XX . Since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WL2 have similar configuration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WL1)는 흡수성 본체(10)의 횡 방향 중앙 부근의 길이 방향 앞측 단부(10ef)로부터 다리 개구부(HL)를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제1 접합부(WL1)는 흡수성 본체(10)와 벨트부(30)를 접합하고, 다리 개더부(20)와 벨트부(30)를 접합하는 부분이다. 이 때, 제1 접합부(WL1) 중 횡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접합부(WL1) 중 횡 방향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은 서로 대략 평행하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abutment WL1 has a shape inclined from the longitudinal front end 10ef near the transverse center of the absorbent
제1 접합부(WL1)의 종 방향의 길이는 허리 개구부(HB)로부터 제1 접합부(WL1)의 하단까지의 길이이며, 벨트부(30)의 횡 방향의 단부의 길이는 허리 개구부(HB)로부터 벨트부(30)의 외측 단부인 벨트부 횡단부(belt portion side end part, 30es) 각각의 하단까지의 길이이다. 이 때, 제1 접합부(WL1)의 종 방향의 길이는 벨트부 횡단부(30es)의 종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즉, 종 방향에 있어서 제1 접합부(WL1)의 하단은 벨트부 횡단부(30es)의 하단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벨트부(30)가 실고무(33)에 의해 횡 방향을 따라 신장하여도, 제1 접합부(WL1)의 하측에는 횡 방향으로 신장도 신축도 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제1 접합부(WL1)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is a length from the waist opening HB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and the length of the end portion of the
또한, 제1 접합부(WL1)의 하단이 다리 개구부(HL)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시트 부재(40)에 의해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 접합부(WL1)의 하단을, 다리 개구부(HL)로부터 소정 거리만큼(예컨대 약 2∼10 mm) 떨어지도록 상측에 형성하면,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가 연결된 부분이 형성된다. 도 2에 있어서의 횡 방향 외측 단부(20eo)는 도 1에 도시된 팬츠형으로 형성된 상태로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에 의해, 비교적 강성이 높은 제1 접합부(WL1)의 하단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 개구부(20) 및 벨트부(30)를 접합하고 있는 제1 접합부(WL1)에는, 하나의 시트 부재(40)에 접합 처리를 실시하고 있어서,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접합부의 박리를 경감시킬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is spaced apart from the leg opening H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embodiment, the leg gathers 20 and the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부분 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rtion b in Fig. 2.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WL1) 각각에는, 초음파 접합에 의해 접합된 복수의 용착 영역(WU)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접합부(WL1)의 접합에 초음파 접합을 이용하지만, 열 용착과 같은 용착에 의해 또는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의 이용에 의해 접합을 실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 each of the first bonding portions WL1, a plurality of welded regions WU joined by ultrasonic bonding are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ultrasonic bonding is used for bonding the first bonding portions WL1, but bonding can be performed by welding such as thermal bonding or by using an adhesive such as a hot melt adhesive.
기저귀(1)는 통상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므로, 부드럽고 촉감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용착 영역(WU)을 각각의 제1 접합부(WL1)의 전체 영역에 갭 없이 형성하면, 제1 접합부(WL1)가 딱딱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삼각형의 복수의 용착 영역(WU)을 형성하여, 각각의 제1 접합부(WL1)의 영역 내에서 접합된 부분 및 접합되지 않은 부분을 제공하여, 제1 접합부(WL1)의 경화를 경감하고 있다.Since the
이 때, 제1 접합부의 선단(WLp1)(후술하는 제1 중첩 영역(LA1))과 평행하게 복수의 용착 영역(WU)을 순서대로 배열하여 용착 영역(WU)의 열을 형성하고, 이 용착 영역(WU)을 제1 접합부의 선단(WLp1)과 평행하게 복수 열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배열된 열이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측의 열이고,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배열된 열이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측 열이다. 예컨대, 기저귀(1) 착용시 등에 제1 접합부(WL1)에 대하여 과잉의 힘이 가해져서,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측의 용착 영역(WU)의 열 R1이 박리된 경우에도,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측의 용착 영역(WU)의 열 R2의 접합이 유지된다. 이것이 제1 접합부(WL1)가 완전히 박리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welding areas WU are arranged in order in parallel with the front end WLp1 (first overlap area LA1 described later) of the first welding part to form a row of welding areas WU,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plurality of rows of the regions WU in parallel with the tip WLp1 of the first junction. The row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1 in Fig. 5 is the row on the base end WLb1 side of the first joint, and the row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2 is the row on the tip WLp1 side of the first joint. For example, whe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at the time of wearing the
또한, 제1 접합부(WL1)의 선단(WLp1)에, 용착 영역(WU) 및 실고무(33)가 중첩되는 부분, 및 용착 영역(WU) 및 실고무(33)가 중첩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착 영역(WU)과 중첩되는 실고무(33)를 제1 탄성 부재(33a)로서 지칭하고, 용착 영역(WU)과 중첩되지 않는 실고무(33)를 제2 탄성 부재(33b)로서 지칭하면,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중 제1 탄성 부재(33a)가 제공된 부분에서는, 흡수성 본체(10) 및 시트 부재(40) 뿐 아니라, 제1 탄성 부재(33a)가 중첩되고, 이에 따라 그 위로부터 초음파 접합을 실시하면, 제1 탄성 부재(33a)로 인해 접합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에, 용착 영역(WU)과 중첩되지 않는 제2 탄성 부재(33b)를 제공하고, 인접하는 용착 영역(WU)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탄성 부재(33b)를 제공함으로써, 제1 접합부(WL1)의 접합 강도의 저하가 경감될 수 있다.A portion where the weld region WU and the
또한, 인접하는 실고무 사이의 간격(L33)이 인접하는 용착 영역(WU) 사이의 간격(Lwu)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인접하는 실고무(33) 사이의 간격(L33)은 실고무(33)의 중심으로부터 인접하는 실고무(33)의 중심까지의 거리(이하, "피치"라고도 지칭함)이고, 인접하는 용착 영역(WU) 사이의 간격(Lwu)은 용착 영역(WU)의 중력의 중심으로부터 인접하는 용착 영역(WU)의 중력의 중심까지의 거리이다. 각각의 실고무(33)는, 실고무(33)가 제공된 부분에서 횡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탄성력을 갖기는 하지만, 실고무(33)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피치보다 용착 영역(WU)의 피치를 작게 하므로, 제1 접합부(WL1)의 접합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L33 between the adjacent yarn rubbers is smaller than the interval Lwu between adjacent weld zones WU. The distance L33 between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부분 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rtion a in Fig. 1. Fig.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으로부터 제1 접합부의 선단(WLp1)까지의 거리를 L로 정의시, 허리 개구부(HB)에 가까울수록 L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1, L2, L3의 순으로 허리 개구부(HB)에 가까운 경우에는, L1<L2<L3으로 한정된다. 각각의 제1 접합부(WL1)는 허리 개구부(HB)측의 제1 접합부(WL1)의 상부의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으로부터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을 향해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접합부(WL1)를 눈에 덜 띄게 하고, 또한 기저귀(1)의 착용시에 제1 접합부(WL1)가 착용자의 배에 닿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When the distance from the base end WLb1 of the first joint portion to the front end WLp1 of the first joint portion is defined as L,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length L shorter toward the waist opening HB. As shown in Fig. 6, when L1, L2, and L3 are close to the waist opening HB in this order, L1 <L2 <L3. Each of the first bonding portions WL1 is formed by cutting from the front end WLp1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on the waist opening portion HB toward the base end WLb1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As a result, the first joint portion WL1 can be made less visible, and the discomfort felt by the wearer when the first joint portion WL1 touches the wearer's abdomen when the
도 7은 벨트부(30)를 횡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의 제1 접합부(WL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벨트부(30)를 횡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를, 착용자가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 벨트부(30)를 횡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라고 지칭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상태는, 벨트부(30)의 각각의 실고무(30)가 횡 방향으로 주름 및 개더가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 신장한 상태로부터, 벨트부(30)의 각각의 실고무(30)가 48∼78% 수축된 상태(바람직하게는 63% 수축된 상태)를 지칭한다.Fig. 7 is a view showing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of the
도 8A는 도 7의 C-C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D-D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부이다. 도 8C는 도 7의 E-E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D는 도 7의 F-F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A는 제1 접합부(WL1) 중 흡수성 본체(10) 및 벨트부(30)의 접음부(FLB)를 접합한 부분의 단면도이고, 제1 벨트 단부 접음선(FLb1)보다 상측을 나타낸다. 도 8B는 제1 접합부(WL1) 중 접음부(FLB)보다 하측의 벨트부(30) 및 흡수성 본체(10)를 접합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8D는 각각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접합한 부분이다.8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8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8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in Fig. FIG. 8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joint WL1 where the absorbent
도 8A, 8B, 8C 및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0)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40)(31, 32)가 흡수성 본체(10)와 중첩된 부분이 제1 중첩 영역(LA1)이고, 이 제1 중첩 영역(LA1)에 용착 영역(WU)이 형성되어 제1 접합부(WL1)를 형성한다. 이 때,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중첩 영역(LA1)의 선단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조 공정(S104)에 있어서 제1 중첩 영역(LA1) 내에 제1 접합부(WL1)를 형성함으로써, 그리고 S105에 있어서 제1 중첩 영역(LA1) 및 제1 접합부(WL1)가 중첩되어 있는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중첩 영역(LA1)의 선단을 동일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8A, 8B, 8C, and 8D, the sheet member 40 (31, 32) constituting the
이러한 식으로, 제1 접합부(WLp1)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고, 접합부가 배측의 앞면에 제공되는 팬츠형 기저귀(1)의 내의 같은 인상이 손상되는 것을 경감할 수도 있다. 한편, 벨트부(30)를 횡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의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중첩 영역(LA1)의 선단을 동일한 위치에 형성한 상태는, 도 1의 통상의 팬츠형 기저귀(1)에 대해서도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중첩 영역(LA1)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상태이다.In this way, the first abutment portion WLp1 can be made smaller, and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impression of the same impression in the pants-
또한,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WL1) 중 흡수성 본체(10) 및 벨트부(30)가 접합된 부분에서는, 흡수성 본체(10)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시트 부재(40)가 흡수성 본체(10)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접합부(WL1)는 벨트부(30)측으로 경사져 있고,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이 벨트부(30)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8A and 8B, in the portion of the first joint WL1 where the absorbent
이에 따라, 비교적 강성이 높은 각각의 제1 접합부(WL1)가, 착용자가 느끼고 있던 울퉁불퉁함과 같은 위화감을 경감시키고, 기저귀 위에 착용한 의복으로부터 돌출된 제1 접합부(WL1)가 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경감시킬 수 있어서, 제1 접합부(WL1)를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다.Thus, the first joints WL1 each having a relatively high rigidity reduce the sense of discomfort such as the ruggedness felt by the wearer,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joint WL1 protruding from the garment worn on the diaper can be seen So that the first joint portion WL1 can be made less conspicuous.
이 때, 흡수성 본체(10)가 횡 방향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벨트부(30)가 실고무와 같은 벨트 탄성 부재(33)를 포함함으로써(도 7), 벨트부(30)를 향해 경사진 제1 접합부(WL1)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접합부(WL1)에는 횡 방향에 따른(벨트부(30)측을 향한) 끌어당기는 힘이 가해지므로, 제1 접합부(WL1)가 벨트부측을 향해 경사져서, 제1 접합부(WL1)를 더욱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absorbent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31)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θ로 하면, 도 8A의 접음부(FLB)에 있어서의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1은 45°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도 8B의 접음부(FLB)보다 하측의 벨트부(30) 및 흡수성 본체(10)를 접합한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2는 45°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접합부(WL1)를 더욱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다.When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and the
또한, 도 8C의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접합한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3, 및 도 8D의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접합한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4는, 각각 θ1 및 θ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θ3이 45° 이상이고, θ4가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ngle? 3 formed by the first joint portion WL1 and the
또한,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WL1) 중, 다리 개더부(20)의 종 방향에 따른 실고무(23) 및 벨트부(30)의 횡 방향에 따른 실고무(33)가 교차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θ3이 거의 수직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종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갖는 실고무(23) 및 횡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갖는 실고무(33)의 작용으로부터 유도된다.8C, the yarn rubbers 2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gathers 20 and the yarn rubbers 33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또한, 도 7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에 있어서, 제1 접합부(WL1)에 의해 접합된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에는 실고무(23, 33)가 제공되지 않지만, 다리 개더부(20)의 실고무(23)가 벨트부(30)의 실고무(33)에 비해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에 더 까깝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1 접합부(WL1)는 실고무(23)의 끌어당기는 힘의 영향을 받지 않고, θ4가 θ3보다 커진다.7,
이에 따라, 벨트부(30)의 실고무(33) 뿐 아니라, 다리 개더부(20)의 실고무(23)도 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제1 접합부(WL1)에 의해 내의 같은 인상을 느끼면서, 기저귀(1)의 착용자는 제1 접합부(WL1)의 경사의 차이로 인해 제1 접합부(WL1)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합부의 박리와 같은 불안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 사이의 경계가 용이하게 인식되어, 기저귀의 착용시에 기저귀(1)를 들어올리는 지지 부분으로서 경계부를 이용할 수 있다.As a result, not only the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기에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변경 및 개량이 이루어질 있으며, 본 발명에는 이의 등가물도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컨대, 이하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interpret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It is needless to say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will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quivalents thereof are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following modifications are possibl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영역(WU)을 각각 삼각형으로 형성하였지만,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용착 영역(WU)은 각각 원 및 사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2 접합부의 선단(WLp2)과 평행한 복수의 막대형 용착 용역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weld zones WU are each formed into a triangl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welding areas WU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d a square, respectively, and provide a plurality of rod-shaped welding services parallel to the front end WLp1 of the first joint and the front end WLp2 of the second joint can do.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앞측에 제1 접합부(WL1)를 형성하고, 뒤측에 제2 접합부(WL2)를 형성하였지만, 반드시 뒤측에 제2 접합부(WL2)를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종종 눈에 띄는 앞측에 적어도 제1 접합부(WL1)를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에게 내의처럼 보이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뒤측에 제2 접합부(WL2)를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앞측 뿐 아니라 뒤측에도 내의처럼 보이는 인상을 줄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WL2 is formed on the rear side, but the second bonding portion WL2 is not necessarily formed on the back side. Often, by providing at least the first abutment WL1 on the prominent front side, it is possible to give the wearer a look that looks like underwear.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econd joint WL2 on the rear side, it is possible to give the wearer the impression that looks like an underwear on the front side as well as on the rear side.
1: 기저귀(흡수성 물품, 1회용 기저귀), 10: 흡수성 본체, 10A: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 10ef: 길이 방향 앞측 단부, 10er: 길이 방향 뒤측 단부, 11: 흡수체, 13: 탑 시트, 15: 백 시트, 15f: 방누 시트, 15n: 외장 시트, 20: 다리 개더부, 20A: 다리 개더 연속 시트, 20eo: 횡 방향 외측 단부, 21: 제1 시트, 22: 제2 시트, 23: 다리 개더 탄성 부재(실고무), 25: 다리 개더 절단부, 30: 벨트부, 30es: 벨트부 횡단부, 30A: 벨트 연속 시트, 30ei: 횡 방향 내측 단부, 30eo: 횡 방향 외측 단부, 31: 제1 시트, 32: 제2 시트, 33: 벨트 탄성 부재(실고무), 33a: 제1 탄성 부재, 33b: 제2 탄성 부재, 35: 벨트 절단부, 40: 시트 부재, 40A: 사이드 연속 시트, 41: 제1 시트, 42: 제2 시트, 43: 탄성 시트, HB: 허리 개구부, HL: 다리 개구부, CL: 중앙 위치, FL: 접음선, FLB: 접음부, FLb1: 제1 벨트 단부 접음선, FLb2: 제2 벨트 단부 접음선, Lwu: 간격, L33: 간격, LA1: 제1 중첩 영역, WL1: 제1 접합부, WL2: 제2 접합부, WLp1: 제1 접합부의 선단, WLb1: 제1 접합부의 기단, WLp2: 제2 접합부의 선단, WLb2: 제2 접합부의 기단, WU: 용착 영역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and a disposable dia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bsorbent article and disposable diaper, comprising: a diaper (absorbent article, disposable diaper) A leg sheet gathering continuous sheet, 20eo: a transverse direction outer end portion, 21: a first sheet, 22: a second sheet, 23: a leg gathers elastic member, (30), wherein the first sheet (32) and the second sheet (32)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heet (32) A
Claims (7)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흡수성 본체; 및
상기 횡 방향에 따른 벨트부 및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한쌍의 다리 개더부를 포함하는 시트 부재
를 포함하며,
허리 개구부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가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상기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가 상기 횡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합부는 각각,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 상기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An absorbent body along said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heet member including a belt por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air of leg gath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RTI >
A waist opening and a pair of leg openings are formed,
Wherein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r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extend from the waist opening side toward the respective leg open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at least the absorbent main body and each of the sheet mem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e first joint and the second joint,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portion is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each of the first joints includes a region where each of the sheet members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than the absorbent main body.
상기 제2 접합부는 각각,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each of the second joints includes a region where each of the sheet members is located on the one side of the absorbent main body.
상기 흡수성 본체 및 상기 벨트부는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에서 각각 접합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횡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벨트부는 상기 횡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belt portion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The absorbent main body does not include an elastic member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belt por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벨트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는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에서 각각 접합되어 있고,
상기 다리 개더부는 상기 종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The method of claim 3,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Wherein the leg gathers comprise elastic me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 상기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 접합부 각각과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에 인접하는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형성하는 각도가 45° 미만인 영역이 제공되고,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2 접합부 각각과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 인접하는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형성하는 각도가 45° 미만인 영역이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In each of the first joining portions, an angle formed by each of the first joining portions and each of the sheet members adjacent to the first joining portions is 45 ° is provided,
In each of the second joints, an angle formed by each of the sheet members adjacent to each of the second joint portions and the second joint portions is 45 Deg.] Is provided.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 각각과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접합부 각각과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에 인접하는 상기 벨트부 각각이 형성하는 각도가 45° 이상인 영역이 제공되며,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 각각과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접합부 각각과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 인접하는 상기 벨트부 각각이 형성하는 각도가 45° 이상인 영역이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In each of the first joints, an angle formed by each of the first joint portions and each of the belt portions adjacent to each of the first joint portions is An area of greater than 45 degrees is provided,
In each of the second joints, an angle formed by each of the second joint portions and each of the belt portions adjacent to each of the second joint portions is Wherein an area of 45 DEG or more is provided.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이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은 각각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상기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서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의 선단은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first overlapping region and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ar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overlapping region and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egs At least the absorbent main body and each of the sheet members are overlapped in each of the first overlapping area and the second overlapping area,
In each of the first overlapping regions, at least the absorbent main body and each of the sheet members are bonded at each of the first joining portions,
At least the absorbent main body and each of the sheet mem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at each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s in each of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s,
And the tips of the first joints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as the tips of the first overlap reg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29851 | 2015-06-29 | ||
JP2015129851A JP6560915B2 (en) | 2015-06-29 | 2015-06-29 | Absorbent articles |
PCT/JP2016/055423 WO2017002391A1 (en) | 2015-06-29 | 2016-02-24 | Absorbent art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2839A true KR20180022839A (en) | 2018-03-06 |
Family
ID=5760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2140A Withdrawn KR20180022839A (en) | 2015-06-29 | 2016-02-24 | Absorbent articl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560915B2 (en) |
KR (1) | KR20180022839A (en) |
CN (1) | CN107708632B (en) |
TW (1) | TWI705803B (en) |
WO (1) | WO201700239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62372A (en) * | 2018-03-20 | 2019-09-2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Pant-typ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12716700B (en) * | 2021-01-25 | 2024-11-26 | 广东川田卫生用品有限公司 | Pants-type absorbent product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817Y2 (en) * | 1990-02-17 | 1994-02-23 | 邦男 鎌田 | Excretion treatment supplies |
US5204997A (en) * | 1990-05-24 | 1993-04-27 | Uni-Charm Corporation | Disposable garments of pants type |
JP3033833B2 (en) * | 1990-05-24 | 2000-04-1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
JPH0910261A (en) * | 1995-06-29 | 1997-01-14 | Zuiko:Kk | Disposable wearing article and manufacture therefor |
IT1308186B1 (en) * | 1999-02-12 | 2001-12-07 | Davide Viola | DISPOSABLE PAN OF THE PANT TYPE AND EQUIPMENT EMETHODY FOR ITS MANUFACTURE. |
KR100818719B1 (en) * | 2000-07-19 | 2008-04-07 | 다이오 페이퍼 컨버팅 가부시키가이샤 | Attachment method of disposable paper diaper and elastic member of the disposable paper diaper |
JP4044452B2 (en) * | 2003-02-06 | 2008-02-06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Disposable belt diapers |
JP4477622B2 (en) * | 2006-12-28 | 2010-06-09 | 大王製紙株式会社 | Pants-shaped diapers |
CN202960950U (en) * | 2012-08-31 | 2013-06-05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Absorptive article |
JP2015129850A (en) * | 2014-01-07 | 2015-07-16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Liquid crystal display |
-
2015
- 2015-06-29 JP JP2015129851A patent/JP656091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2-24 CN CN201680038568.XA patent/CN107708632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2-24 KR KR1020187002140A patent/KR20180022839A/en not_active Withdrawn
- 2016-02-24 WO PCT/JP2016/055423 patent/WO201700239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5-05 TW TW105113993A patent/TWI705803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708632A (en) | 2018-02-16 |
TWI705803B (en) | 2020-10-01 |
WO2017002391A1 (en) | 2017-01-05 |
TW201707666A (en) | 2017-03-01 |
CN107708632B (en) | 2020-10-16 |
JP6560915B2 (en) | 2019-08-14 |
JP2017012282A (en) | 2017-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57829B2 (en) | Disposable wearing items | |
JP5225637B2 (en) | Disposable pants-type body fluid absorbent wearing article | |
KR20130094327A (en) | Absorbent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product | |
JP6495765B2 (en) | Disposable diapers | |
JP6297438B2 (en) | Disposable wear | |
KR20180021819A (en) | Absorbent article | |
KR102538035B1 (en) | panty-type disposable diapers | |
KR20180022839A (en) | Absorbent article | |
KR101844207B1 (en) | Absorbent article | |
WO2016104012A1 (en) | Disposable diaper | |
KR101844208B1 (en) | Absorbent article | |
CN107106351A (en) | Disposable diaper having a disposable diaper | |
JP6351544B2 (en) | Absorbent articles | |
TWI702946B (en) | Absorbent articles | |
JP4079520B2 (en) | Disposable paper diapers | |
JP6573589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s | |
JP6427482B2 (en) | Disposable diapers | |
KR102483846B1 (en) | Disposable diaper | |
JP6429741B2 (en) | Disposable pants-type diap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1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