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208B1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4208B1 KR101844208B1 KR1020177036028A KR20177036028A KR101844208B1 KR 101844208 B1 KR101844208 B1 KR 101844208B1 KR 1020177036028 A KR1020177036028 A KR 1020177036028A KR 20177036028 A KR20177036028 A KR 20177036028A KR 101844208 B1 KR101844208 B1 KR 101844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
- belt
- longitudinal
- width
- gath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을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시킨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10); 상기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다리 개더부(20); 및 두께 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10) 및 상기 다리 개더부(20)와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벨트부(30)를 포함한다. 다리 둘레 개구부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앞쪽 벨트 절결부(35f)의 가로 방향 폭과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25f)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는, 다리 둘레 개구부의 길이 방향 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뒤쪽 벨트 및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35r, 25r)의 가로 방향 폭들의 합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다.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es: an absorbent body (10); an absorbent core (10); A leg gathers 20 disposed on both lateral sides of the absorbent main body 10; And a belt portion (30) arranged to partially overlap the absorbent main body (10) and the leg gathers (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um of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belt cutout portion 35f and the width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front leg gathered cutout portion 25f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 end of the leg-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width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belt and the rear leg gathersection 35r, 25r at a position spaced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 from the longitudinal rear end of the peripheral open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종래, 소변과 같은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 및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접합되어, 전후 허리 영역을 연결하는 허리 벨트를 포함하고, 허리 둘레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본체 및 허리 벨트를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허리 벨트의 일부를 절결하여 다리 둘레 개구부를 형성하고,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접합부에 의해서 흡수성 본체와 허리 벨트를 접합하도록 구성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known a pant-typ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body absorbing excretion such as urine, and a waist belt join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to connect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nd having a waist- The article is known. For example,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는, 길이 방향(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다리 둘레 개구의 절결이 제공되어 있다. 즉, 다리 둘레 개구 각각이 흡수성 물품의 중앙에 위치하고, 복부측과 등측에서 (앞뒤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인간의 신체는 복부측과 등측에서 형상이 다르다. 따라서, 실제로 언더팬츠의 형태로 형성된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착용하면, 흡수성 물품이 신체의 형상에 맞지 않아 양호한 피트성을 얻기가 어려웠다. 예컨대, 복부측(앞쪽)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가 좁아 다리 동작을 방해하고, 반면에 등측(뒤쪽)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가 넓어 착용자의 둔부를 충분히 덮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In the pants-type absorbent article disclosed in
본 발명은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문제를 검토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다리 둘레 개구부 부근에서 피트성이 양호한 팬츠형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nts-like diaper having good fitability in the vicinity of the leg-openings.
상기 개시된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 다리 개더부; 및 벨트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개더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일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제공되어 있는 절결부에 의해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상기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향하여 가로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접합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각각에 제공된 상기 절결부는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벨트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벨트 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에 제공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뒤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advantages i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Leg gathers; And a belt portion,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the leg gathers are disposed on both lateral sides of the absorbent main body, And a pair of leg-hole openings are provided by a cutout portion provided in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respectively, and the belt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g- Wherein the cutout portions provided on each of the belt portions are joined to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leg gathers at joining portions inclined transversely outwardly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eg- The front belt cutout at the front and the rear at the center position Wherein the cutouts provided in each of the leg gathers include a front leg gathers cutout located forward and a rear leg gathers cutter located rearward relative to the longitudinally centered position, The sum of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belt cutout and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leg gathered notch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width of the front leg cutout in each of the leg-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and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leg cutout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ngitudinal rear end to the lengthwise inward si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를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 둘레 개구부 부근에서 피트성이 양호한 팬츠형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ull-on diaper having a good fit property in the vicinity of the leg-openings.
도 1은 기저귀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조 공정 도중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평면 전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기저귀(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착용된 상태의 종래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B는 착용된 상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A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2)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C-C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기저귀(2)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aper.
2A is a plan view showing the
3A is a plan view developed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leg-hole opening HL.
6A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ull-on disposable diaper in a worn state. 6B is a side view showing the
7A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적어도 이하의 사항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 다리 개더부; 및 벨트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개더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일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제공되어 있는 절결부에 의해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상기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향하여 가로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접합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각각에 제공된 상기 절결부는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벨트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벨트 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에 제공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뒤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큰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body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Leg gathers; And a belt portion,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the leg gathers are disposed on both lateral sides of the absorbent main body, And a pair of leg-hole openings are formed by the cutout portions provided in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respectively, Wherein the cutout portions provided on each of the belt portions are joined to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leg gathers at joining portions inclined transversely outwardly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eg- The front belt cutout at the front and the rear at the center position Wherein the cutouts provided in each of the leg gathers include a front leg gathers cutout located forward and a rear leg gathers cutter located rearward relative to the longitudinally centered position, The sum of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belt cutout and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leg gathered notch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width of the front leg cutout in each of the leg-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sum of a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and a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ear leg cutout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rear e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다리 둘레 개구부가, 착용자의 복부측(앞쪽)에서 더 넓고, 착용자의 등측(뒤쪽)에서 더 좁다. 따라서, 팬츠형 기저귀를 착용할 때 착용자는 다리를 앞쪽으로 움직이기 쉽게 되어,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로 보행과 같은 동작을 하기 쉽게 된다. 한편, 벨트부 및 다리 개더부의 폭이 등측에서 더 넓기 때문에, 착용자의 둔부가 벨트부 등에 의해서 넓게 덮이기 쉽게 된다. 이것은, 다리 둘레 개구부에서의 양호한 피트성을 가능하게 한다. 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the leg-openings are wider at the abdomen side (front side) of the wearer and narrower at the back side (back side) of the wearer. Therefore, when wearing the pants-type diaper, the wearer can easily move the legs forward, so that it is easy to perform an operation like walking while wearing the diape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widths of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are wider on the back side, the buttocks of the wearer can be easily covered by the belt portion or the like. This enables good fitability in the leg-openings.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 각각의 다리 개더부 및 각각의 벨트부는 하나의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each leg gathers and each belt portion are formed by using one member.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각각의 벨트부와 각각의 다리 개더부의 사이에 접합부 등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 벨트부와 다리 개더부 사이의 경계부에 응력이 집중된 경우라도 찢어짐의 기점이 쉽게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리 둘레 개구부에서 기저귀의 인열이 억제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no abutment portion or the like is provided between each belt portion and each leg gathers portion. Therefore, even when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belt part and the leg gathers at the time of wearing the diaper, the origin of tearing is not easily formed. Therefore, the tearing of the diaper can be suppressed at the leg-openings.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상기 길이 방향 전단과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상기 길이 방향 후단의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가장 좁은 폭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each of the leg gathers includes a portion having the narrowest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each of the leg-openings and the longitudinal rear end of each of the leg- desirable.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기저귀 착용시에, 착용자의 서혜부에 닿게 되는 영역 부근에서 각각의 다리 개더부의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다리 개더부와 착용자의 서혜부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이것은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저귀 착용시의 불편함을 경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when the diaper is worn, the width of each leg gathers is narrowed in the vicinity of the area of the wearer's crotch,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leg gathers and the inguinal part of the wearer is minimized. This not only improves fitability but also reduces the inconvenience of wearing diapers.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상기 길이 방향 전단과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상기 길이 방향 후단 사이의 위치에, 가로 방향으로 가장 좁은 폭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elt portion includes a portion having the narrowest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posi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and the longitudinal rear end of each of the leg- .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기저귀 착용시에, 착용자의 관골(골반) 부근 부분과 닿게 되는 영역에서 벨트부 각각의 폭이 좁아진다. 이 영역은, 기저귀를 위쪽으로 끌어올릴 때 착용자가 벨트부를 쥐고서 잡아당기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 벨트부의 폭을 좁게 하면, 벨트부를 쥐고서 기저귀를 착용할 수 있게 되어, 기저귀 착용시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when the diaper is worn, the width of each of the belt portions is narrowed in a region where the portion of the wearer's belt touches the vicinity of the pelvis. This area is where the wearer grips and pulls the belt portion when lifting the diaper upward. Therefore, if the width of the belt portion is narrowed in this region, the diaper can be worn by grasping the belt portion, so that the fit performance at the time of wearing the diaper can be improv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이,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the lateral width of the front leg gathers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smaller than a longitudinal width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ront belt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언더팬츠형으로 형성된 기저귀를 착용하는 동작에 있어서, 착용자가 벨트부를 가로 방향으로 잡아당겨 다리 둘레 개구부에 다리를 넣을 때, 발가락이 다리 개더부에 걸리기 어렵게 되어 기저귀(1)를 쉽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저귀의 착용 후에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 형상을 따라서 다리 둘레 개구부가 쉽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다리의 움직임의 방해가 억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속옷, 예컨대 속바지 및 브리프와 같은 슬림한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when the wearer wears the underpants-shaped diaper, when the wearer pushes the belt part laterally to insert the legs into the leg-openings, the toes are less likely to be caught by the leg gathers, Can be easily worn. Further, after the diaper is worn, the leg-openings can be easily formed along the wearer's perimeter of the legs, so that the interference of the legs can be suppressed, and a slim appearance such as underwear such as underpants and briefs Can be realiz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연부에, 신축성을 갖는 탄성 시트 부재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such an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elastic sheet members having stretchability are arranged on the peripheral edge of the leg-hole opening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respectively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탄성 시트 부재에 의해서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연부가 둘러싸이고, 이 부분에 있어서 벨트부 및 다리 개더부의 시트(부직포)의 이 부분이 보강된다. 이것은, 다리 둘레 개구부에서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기저귀의 인열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the periphery of the leg-hole opening is surrounded by the elastic sheet member, and this portion of the seat (nonwoven fabric) of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is reinforced at this portion. This can increase the strength at the opening around the legs and suppress the tearing of the diaper.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 각각 상기 다리 개더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 시트 부재는 각각,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가로 방향 폭이,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후단에서의 가로 방향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each of the elastic sheet members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leg gathers may have a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position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a longitudinal width of each of the leg- Is narrower than the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착용자의 서혜부와 닿게 되는 영역인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 부근 영역에 있어서 이러한 탄성 시트 부재의 폭이 더 좁다. 따라서, 상기 영역에 작용하는 수축력이 쉽게 분산되지 않음으로써, 피트성이 향상된다. 또한, 착용자의 둔부를 덮는 영역인 길이 방향 후단부 부근 영역에 있어서는 탄성 시트 부재의 폭이 더 넓다. 따라서, 상기 영역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신장력이 작용하기 쉽다. 이것은, 착용자의 피부에의 조임력을 분산시킬 수 있음으로써, 과도한 조임에 의한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the width of the elastic sheet member is narrower in a region in the vicinity of the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which is an area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in portion of the wearer. Therefore, the shrinking force acting on the region is not easily dispersed, whereby the fit property is improved. Further, the width of the elastic sheet member is wider in the region near the longitudinal rear end which is a region covering the wearer's buttocks. Therefore, in this region, stretching force is likely to act in a wide range. This can disperse the tightening force on the skin of the wearer, thereby minimizing the discomfort caused by excessive tightening.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다리 개더부에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에 대한 가로 방향 내측의 영역에, 사상(string) 탄성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그 적어도 하나가 상기 탄성 시트 부재 각각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단부와 사상 탄성 부재 사이의 가로 방향 거리가, 적어도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에서의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단부와 사상 탄성 부재 사이의 상기 가로 방향 거리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at least one of the elastic members is overlapped with each of the elastic sheet members in a state in which the string elastic members ar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ransversely inner area of each of the leg-girth openings in the leg gathers Wherein a lateral distance between an end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at a longitudinally central position of each of the leg-openings and a dead-end elastic member is at least equal to the leg-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each end of the opening and the elastomeric member.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착용자의 서혜부와 닿는 되는 위치인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단부와 사상 탄성 부재 사이의 거리가 더 작다. 이것은, 다리 둘레 개구부(HL)와 착용자의 서혜부 사이에 간극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배설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 부근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단부와 사상 탄성 부재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진다. 이것은, 다리 개더 탄성 부재에 의해 야기되는 주름 및 걸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어,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의 외관을 슬림해 보이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bsorbent article,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each leg-hole opening and the thread-like elastic member is smaller at the longitudinally central position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which is a position where the leg- This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leg-hole opening HL and the ingrown portion of the wearer, thereby minimizing leakage of the excretion to the outside. Further, in the vicinity of the longitudinal front ends of the respective leg-hole openings,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leg-openings and the dead-end elastic member becomes larger. This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wrinkles and tightness caused by the elastic members of the legs and the legs, thereby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diaper worn slim.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 길이 방향으로 앞쪽에서 제1 접합부가 상기 상기 길이 방향과 형성하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가, 길이 방향 뒤쪽에서 제2 접합부가 상기 길이 방향과 형성하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the smaller angle of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join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o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smaller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join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arger one is preferable.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기저귀를 언더팬츠형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와 벨트부가 형성하는 각도는, 앞쪽(복부측)에서 더 크고, 뒤쪽(등측)에서 더 작기 쉽다. 그 결과, 흡수성 본체의 뒤쪽이 착용자의 둔부의 위쪽으로 끌어올려지기 쉽다. 이것은 기저귀와 착용자의 둔부의 사이에 간극 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외관상, 둔부가 슬림해 보이기 때문에, 착용자가 기저귀 착용에 대한 저항감을 덜 갖게 된다. 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the angle formed by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belt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formed in an underpants type is larger at the front side (abdomen side) and smaller at the back side (back side). As a result, the back of the absorbent main body tends to be pulled up above the wearer's buttocks. This suppresses formation of a gap between the diaper and the wearer's buttocks. In addition, since the buttocks appear slim in appearance, the wearer has less resistance to wearing the diaper.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와 상기 각각의 다리 둘레 개구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gap be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joints and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기저귀에 형성되는 접합부와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연부가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연부에 찢어짐의 기점이 쉽게 형성되지 않아, 기저귀의 인열이 쉽게 억제된다. 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since the joining portion formed on the diaper and the peripheral edge of the leg-hole opening portion do not intersect with each other, the base of the tearing can not easily b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leg-hole opening portion.
=== 제1 실시형태 ====== First Embodiment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의 기본 구성> <Basic structure of the pull-on type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도 일컬음)를 개시하기로 한다. As an example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pull-on disposable diaper 1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도 1은 기저귀(1)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기저귀(1)는 흡수성 본체(10),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포함하고, 착용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언더팬츠의 형상을 가진다. 이 기저귀(1)는 도 1의 팬츠형 상태에서 상호 직교하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진다. 그리고, 기저귀(1)의 세로 방향으로 상측에는 허리 둘레 개구부(HB)가 형성되고, 가로 방향으로 양측에는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HL)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1)의 앞쪽은 기저귀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부측을 덮고, 뒤쪽은 착용자의 등측을 덮는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도 2A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조 공정 도중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의 전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전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2A is a plan view showing the
기저귀(1)는, 제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평면 상태이다. 기저귀(1)의 제조 공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추후 설명될 것이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는, 상호 직교하는 3 방향으로서 "길이 방향," "가로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진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의 길이 방향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이 길이 방향은, 도 1의 언더팬츠형 상태에서 세로 방향에 대응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언더팬츠형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과 평면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은 의미상 약간 다르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이들 두 방향은 예컨대 "언더팬츠형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 및 "평면 상태에서의 길이 방향"과 같이 구분된다. 도 2A에서 기저귀(1)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시킨 상태(즉 평면 상태)는, 후술하는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 및 벨트 탄성 부재(33)에 의해 작용되는 수축력에 대항하여 기저귀(1)가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주름 및 개더를 실질적으로 시인할 수 없을 정도까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기저귀(1)의 형상은,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와 같은 각종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발현되지 않은 경우의 평탄하게 신장된 기저귀(1)의 형상과 동일하다. The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으로 앞쪽(복부측)은 흡수성 본체(10)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착용자의 복부측에 대응하는 쪽을 가리키고, 길이 방향으로 뒤쪽(등측)은 착용자의 등측에 대응하는 쪽을 가리킨다. 평면 상태에서 기저귀(1)의 가로 방향은, 도 1의 언더팬츠형 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가로 방향 및 두께 방향과 동일한 개념이다. 평면 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두께 방향은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쪽을 "피부측"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을 "비피부측"이라고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ront side (abdomen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icates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abdomen side of the wearer in the state where the absorbent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측에는 한 쌍의 다리 개더부(20)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흡수성 본체(10)의 일부 및 각각의 다리 개더부(20)와 중첩되게 한 쌍의 벨트부(3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서, 다리 개더부(20) 각각 및 벨트부(30) 각각은 하나의 시트 부재인 사이드 시트(40)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음선(FL)에서 상기 사이드 시트(40)를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in the
다리 개더부(20)에는, 가로 방향 외측 단부(20eo)(접음선(FL))에서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얻어지는 다리 개더 절결부(25)가 제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벨트부(30)에는, 가로 방향 외측 단부(30eo)(접음선(FL))에서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얻어지는 벨트 절결부(35)가 제공되어 있다. 다리 둘레 개구부(HL)는 다리 개더 절결부(25) 및 벨트 절결부(35)에 의해 형성된다. The
벨트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전단부(10ef)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향하여 경사진 한 쌍의 제1 접합부(WL1)에 의해서 흡수성 본체(10)(엄밀히 말하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제공되는 톱 시트(13)) 및 다리 개더부(20)에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벨트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후단부(10er)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향하여 경사진 한 쌍의 제2 접합부(WL2)에 의해서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에 접합되어 있다.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에서, 접합은 열 용착 또는 초음파 용착과 같은 공지된 용착 수단에 의해서 실시되지만,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을 실시할 수 있다. The
각각의 제1 접합부(WL1)가 길이 방향과 형성하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를 경사 각도(θ1)라고 하고 각각의 제2 접합부(WL2)가 길이 방향과 형성하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를 경사 각도(θ2)라고 하면, 경사 각도(θ1)가, 제2 접합부(WL2)가 길이 방향과 형성하는 경사 각도(θ2)보다 크도록 접합부가 형성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접합부의 경사 각도(θ1, θ2)를 이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기저귀(1)를 언더팬츠형으로 형성했을 때 기저귀(1)를 속바지 및 브리프와 같은 속옷의 형상에 더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착용시의 피트성을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The smaller angle of the angle formed by each first joint portion WL1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이러한 평면 상태의 기저귀(1)를, 한 쌍의 벨트부(30, 30)의 가로 방향 내측 단부(30ei, 30ei)를 가로 방향 양측으로 개방하면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 부근에서 둘로 접음으로써, 평면 기저귀(1)가 팬츠형 기저귀(1)로서 착용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때,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전단부(10ef), 길이 방향 후단부(10er) 및 한 쌍의 벨트부(30)의 내측 단부(30ei)를 이용하여 허리 둘레 개구부(HB)가 형성된다(도 1 참조). The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 부재(도 3A 참조)를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그 단부가 각각 평면으로 보아 실질적으로 V자형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시트형 부재이다.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체(11), 흡수체(11)를 피부측으로부터 덮도록 제공되는 톱 시트(13)(피부측 시트에 상응), 및 흡수체(11)를 비피부측으로부터 덮도록 제공되는 백 시트(15)(비피부측 시트에 상응)를 포함한다. 이들 각 부재(13, 11, 15)는 핫멜트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두께 방향으로 이것에 인접하는 부재에 접합된다(도 2B 및 도 3B 참조). 이러한 접착제의 도포 패턴은 예컨대 Ω형 패턴, 스파이럴 패턴, 및 스트라이프 패턴이고, 이것은 후술하는 다른 접착제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As shown in Fig. 2A, the absorbent
흡수체(11)는, 소정의 액체 흡수성 재료를 소정 형상(예컨대, 평면으로 보아 대체로 모래시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흡수성 코어, 및 이 흡수성 코어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를 포함하고, 기저귀(1)의 착용시에 소변과 같은 배설액을 흡수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액체 흡수성 재료는, 예컨대, 펄프 섬유와 같은 액체 흡수성 섬유 또는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와 같은 액체 흡수성 입자이다. 코어 랩 시트로서는 티슈 페이퍼 및 부직포와 같은 액투과성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흡수체(11)의 형상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평면으로 보아 대체로 모래시계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일 수 있다. The
톱 시트(13)는 액투과성 유연 시트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와 같은 시트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톱 시트(13) 흡수체(11)의 길이 방향 양측 및 가로 방향 양측을 넘어 연장되는 그러한 평면 사이즈를 갖는다. The
백 시트(15)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샘 방지 시트(15f) 및 외장 시트(15n)의 2장의 시트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겹치고 접합하여 형성된다. 샘 방지 시트(15f)는,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등으로 제조되는 액불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며, 백 시트(15)의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배치된다. 외장 시트(15n)는 부직포 등으로 제조되는 시트 부재이며, 백 시트(15)의 두께 방향으로 비피부측에 배치되고, 흡수성 본체(10)의 외장을 구성한다. 그러나, 백 시트(15)는, 소정의 샘 방지 특성을 갖고 있는 한,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백 시트(15)도,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측 및 가로 방향 양측을 넘어 연장되는 그러한 평면 사이즈를 갖는 시트이다. 또한, 톱 시트(13) 및 백 시트(15)는 그 길이 방향 양단부의 대략 V자형이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고 접합되며, 이로써 시트(13, 15) 사이에 흡수체가 유지된다. The
다리 개더부(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측에 각각 접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시트 부재이다. 기저귀(1)가 언더팬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다리 개더부(20)는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따라서 수축하여 다리 개더를 형성한다. 다리 개더부(20)는 각각, 부직포 등으로 제조되는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가 두께 방향으로 2층으로 놓이도록 형성된다.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는, 다리 개더부(20)의 가로 방향 내측 단부가 흡수성 본체(10)의 톱 시트(13)와 백 시트(15)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The leg gathers 20 are longitudinally elongated sheet members joined to both lateral sides of the absorbent
벨트부(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리 개더부(20)의 가로 방향 양측에 제공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시트 부재이다. 기저귀(1)가 언더팬츠형으로 형성될 때, 벨트부(30)가 허리 벨트를 형성한다(도 1 참조). 벨트부(30)는 각각, 부직포 등으로 제조되는 제1 시트(31) 및 제2 시트(32)가 두께 방향으로 2층으로 놓이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개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다리 개더부(20) 및 각각의 벨트부(30)는 하나의 부재인 사이드 시트(40)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즉, 다리 개더부(20)의 제1 시트(21) 및 벨트부(30)의 제1 시트(31)는 하나의 시트 부재(41)로 구성되고, 다리 개더부(20)의 제2 시트(22) 및 벨트부(30)의 제2 시트(32)도 하나의 시트 부재(42)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사이드 시트(40)에서 접음선(FL)에 대하여 가로 방향 내측의 부분은 다리 개더부(20)에 상응하고, 접음선(FL)의 가로 방향 외측의 부분은 벨트부(30)에 상응한다. As disclos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leg gathers 20 and each
상기 접음선(FL)에 걸치는 식으로 다리 둘레 개구부(HL)가 각각 형성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HL)는 각각,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다리 개더부(20)의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를 절결함으로써 얻어지는 다리 개더 절결부(25) 및 벨트부(30)의 제1 시트(31) 및 제2 시트(32)를 절결함으로써 얻어지는 벨트 절결부(35)로 구성된다. 다리 개더 절결부(25) 및 벨트 절결부(35)는, 접음선(FL)에 대하여 대칭이 아닌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형상은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And the leg-hole opening HL is formed by hanging over the folding line FL.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HL includes a leg gathered
또한, 실고무 등으로 제조된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다리 개더부(20) 각각의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의 사이에 배치되고,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도 3A에는, 다리 개더 절결부(25)의 가로 방향 내측 단부(즉, 각각의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가로 방향 내측 단부)에 대하여 더 내측의 위치에 2개의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는 다리 개더부(20)에 길이 방향 신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저귀(1)가 언더팬츠형으로 형성될 때, 다리 개더부(20)가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따라서 수축하여, 다리 개더를 형성한다. 이것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서 피트성을 향상시킨다. The leg
마찬가지로, 실고무 등으로 제조된 벨트 탄성 부재(33)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벨트부(30) 각각의 제1 시트(31)와 제2 시트(32) 사이에 배치되고,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도 3A에는, 각 벨트 절결부(35)의 가로 방향 외측 단부(즉, 각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가로 방향 외측 단부)에 대하여 더 외측의 영역에 복수의 벨트 탄성 부재(33)가 가로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벨트 탄성 부재(33)는 벨트부(30)에 길이 방향 신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저귀(1)가 언더팬츠형으로 형성될 때, 벨트부(30)의 거의 전역에 걸쳐 허리 둘레 개구부(HB)를 따라서 수축력이 발현되어, 기저귀(1)가 착용된 동안 이것이 허리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이 억제된다. Likewise, a belt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 및 벨트 탄성 부재(33)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두께 방향으로 위에서 보았을 때,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 및 벨트 탄성 부재(33)는, 가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그러한 위치 관계를 가진다. 이로써, 탄성 부재(32, 33)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언더팬츠형으로 형성된 기저귀(1)의 다리 둘레 개구부(HL) 주위에 평면으로 피트되기 쉽게 된다. The leg gathers
또한,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신축 시트(43)가 각각 시트 부재(41)(21, 31)와 시트 부재(42)(22, 32)의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신축 시트(43)는, 도 3A의 사선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가로 방향 폭보다 넓은 폭의 띠형 탄성 시트 부재이고, 다리 둘레 개구부(HL)와 동일한 형상의 개구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시트 부재(41, 42)에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각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주연부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신축 시트(43)에 의해서 보강된다. 또한, 평면형의 신축 시트(43)에 의해서 발현되는 수축력에 의해서,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주연부에서의 피트성이 향상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주연부에 신축 시트(43)가 제공되어 있지 않고,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와 같은 실고무만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 실고무들 사이에 주름이 형성되기 쉽다. 이것은 기저귀(1) 착용시에 다리 둘레 개구부(HL)에서 처짐을 야기하기 쉽거나 또는 쉽게 실고무의 흔적을 피부에 남길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주연부에 평면형의 신축 시트(43)를 배치하는 것은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이러한 신축 시트(43)는, 예컨대,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와 같이 실질적인 탄성을 보이는 엘라스토머 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같이 실질적인 비탄성을 보이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에 대하여 소위 기어 연신 가공이 실시되도록 신축성이 발현되는 부직포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Such a
또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부(30)의 가로 방향 외측 단부 영역은, 제1 벨트 단부 접음선(FLb1) 및 제2 벨트 단부 접음선(FLb2)에서 가로 방향 내측으로 2회 되접히고, 이러한 접힌 상태에서 핫멜트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즉, 제2 벨트 단부 접음선(FLb2)은 도 2A에서 벨트부(30)의 가로 방향 내측 단부(30ei)가 되는 부분이고, 또한 허리 둘레 개구부(HB)가 되는 부분이다. 허리 둘레 개구부(HB)를 이러한 단부 접음 구조로서 구성함으로써,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서의 응력을 경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로 방향 단부 영역은 반드시 상기 개시한 것과 같은 그러한 접음 구조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3B, the transverse direction outer end region of the
<기저귀(1)의 제조>≪ Preparation of
이어서,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4는 기저귀(1)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Next,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이 예에서, 기저귀(1)는, 재료로서 사용되는 기재 시트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상기 기재 시트에 대하여 소정의 공정(S101 내지 S105)을 실시하여 제조된다. 이하, 시트 부재의 반송 방향을 "MD 방향"이라 하고, M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CD 방향"이라 한다. MD 방향은 도 2A에서 길이 방향(세로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고, CD 방향은 도 2A에서 가로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In this example, the
제1 실시형태에서, 기저귀(1)의 기재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는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 및 사이드 연속 시트(40A)이다.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는, 복수의 흡수성 본체(10)가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된 시트 부재이다. 즉,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는, 두께 방향으로 MD 방향으로 연장하는 톱 시트(13)의 연속 시트와 백 시트(15)의 연속 시트의 사이에 복수의 흡수체(11)가 끼워진 상태로 형성된 시트 부재이다. 마찬가지로, 사이드 연속 시트(40A)는 각각, 다리 개더부(20)와 벨트부(30)를 형성하는 사이드 시트(40)가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된 시트 부재이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heet member constituting the base sheet of the
우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이드 연속 시트(40A)가 CD 방향(가로 방향) 양측에서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에 접합된 상태의 기재 시트가 MD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S101). First, as shown in Fig. 4, the base sheet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이어서, 반송되는 기재 시트에 대하여, 흡수체(11)의 CD 방향(가로 방향) 양측에서 각각 접음선(FL)에 걸친 위치에,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구성하는 다리 개더 절결부(25) 및 벨트 절결부(35)를 형성한다(S102). 이들 절결부는, 도시되지 않은 커터롤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도 4에서 S102 공정을 이용하는 도시된 상태는, 기저귀(1)가 도 3A의 전개 상태에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Next, a leg gathers cut-out
이어서, 사이드 연속 시트(40A)에서 벨트부(30)에 해당하는 각 부분을 접음선(FL)에서 CD 방향(가로 방향) 내측으로 되접어, 흡수성 본체(10)의 일부 및 각 다리 개더부가 벨트부(30)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한다(S103). Subsequently, eac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이어서, 초음파 융착 또는 열 융착과 같은 접합법에 의해서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형성함으로써, 벨트부(30)를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에 접합한다(S104).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는, 상기 개시한 것과 같이 경사 각도(θ1, θ2)가 소정의 조건(θ1>θ2)을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Subsequently, the first joint portion WL1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WL2 are formed by a bonding method such as ultrasonic fusion bonding or heat fusion bonding to bond the
이어서, 기재 시트를 컷팅한다(S105). 구체적으로, MD 방향으로 연속되는 기재 시트로부터 기저귀(1)를 개체마다 잘라낸다. 또한,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따라서 각각 장방형의 네 코너를 잘라낸다. 이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평면 상태의 기저귀(1)가 형성된다. Subsequently, the substrate sheet is cut (S105). Specifically, the
<기저귀(1)의 피트성> ≪ Fit property of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는, 착용시에 착용자가 양호한 피트성을 느낄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구성을 갖는다. 특히,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기저귀에 비하여 착용자의 다리 둘레부에서 피트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기저귀(1)의 피트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도 5는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저귀(1)가 도 3A에서와 같이 평면 상태로 전개된 상태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형상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설명을 위해서,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영역들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즉,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를 CLhl로 하고,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길이 방향 전단에서의 위치를 HLef로 하며, 길이 방향 후단에서의 위치를 HLer로 한다. 또한,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형성하는 다리 개더 절결부(25)에서,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에 대하여 앞쪽의 영역을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25f)라 하고,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에 대하여 뒤쪽의 영역을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25r)라 한다. 마찬가지로,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형성하는 벨트 절결부(35)에서,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에 대하여 앞쪽의 영역을 앞쪽 벨트 절결부(35f)라 하고,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에 대하여 뒤쪽의 영역을 뒤쪽 벨트 절결부(35r)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hl)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앞쪽에 위치한다.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leg-hole opening HL.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shape of the leg-hole opening portion HL in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서, 길이 방향 앞쪽 영역의 개구 면적이 길이 방향 뒤쪽 영역의 개구 면적보다 크도록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길이 방향 앞쪽 영역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부의 가로 방향 폭은, 길이 방향 앞쪽 영역에 반대되는 길이 방향 뒤쪽 영역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가로 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크다. 도 5에서, 길이 방향 앞쪽 영역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가로 방향 폭(WHLf)은,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길이 방향 전단(HLef)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거리 h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25f)의 가로 방향 폭(W25f)과 앞쪽 벨트 절결부(35f)의 가로 방향 폭(W35f)의 합계치로 나타내어진다.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 뒤쪽 영역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가로 방향 폭(WHLr)은,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길이 방향 후단(HLer)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거리 h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의,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25r)의 가로 방향 폭(W25r)과 뒤쪽 벨트 절결부(35r)의 가로 방향 폭(W35r)의 합계치로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기저귀(1)에서, 다리 둘레 개구부(HL)는 (W25f+W35f)≥(W25r+W35r)가 만족되도록 형성된다. In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저귀(1)를 언더팬츠형으로 형성한 경우에,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크기는, 착용자의 복부측(앞쪽)에서 더 크고, 착용자의 등측(뒤쪽)에서 더 작다. 다리 둘레 개구부(HL)가 복부측에서 더 넓기 때문에, 기저귀(1) 착용시에 착용자는 다리를 앞쪽으로 움직이기 쉽고, 기저귀(1)를 착용한 채로 보행 등과 같은 동작을 하기 쉽다. 한편, 등측에서 다리 둘레 개구부(HL)가 더 좁은 것은, 그 만큼 벨트부(30) 및 다리 개더부(20)의 폭을 증가시킨다. 이로써, 기저귀(1) 착용시에 착용자의 둔부가 벨트부(30) 등에 의해서 넓게 덮이게 된다. 이에 따라,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등측(둔부측)에서의 피트성이 양호하게 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형성하는 다리 개더 절결부(25)는,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전단(HLef)과 후단(HLer) 사이의 영역에서 가로 방향으로 최대 폭을 가진다. 도 5에서, 다리 개더 절결부(25)는 전단(HLef)과 후단(HLer)의 사이에서 가로 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완만한 커브를 그리고,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 부근에서 최대인 가로 방향 폭(W20)을 가진다. 따라서, 다리 개더부(20)의 가로 방향 폭(W20)은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 부근에서 최소이다. 기저귀(1) 착용시에 착용자의 서혜부는 중앙 위치(CLhl) 부근인 이 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다리 개더부(20)의 가로 방향 폭이 상기 중앙 위치(CLhl) 부근에서 감소함으로써, 다리 개더부(20)와 착용자의 서혜부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이것은 기저귀 착용시의 불편함을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피트성을 향상시킨다. The
마찬가지로,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형성하는 벨트 절결부(35)도, 길이 방향 전단(HLef)과 후단(HLer) 사이의 영역에서 가로 방향으로 최대 폭을 가진다. 도 5에서, 벨트 절결부(35)는 전단(HLef)과 후단(HLer) 사이에서 가로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완만한 커브를 그리고,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 부근에서 가로 방향으로 최대 폭을 가진다. 따라서, 벨트부(30)의 가로 방향 폭(W30)은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 부근에서 최소이다. 이 중앙 위치(CLhl)는, 기저귀(1) 착용시에 착용자의 관골(골반) 부근 영역과 접촉하게 되며, 기저귀(1)를 위로 끌어올릴 때, 착용자가 벨트부(30)를 쥐고서 잡아당기는 영역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 위치(CLhl) 부근에서 벨트부(30)의 가로 방향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착용자가 상기 벨트부(30)를 단단히 쥐고서 기저귀(1)를 착용할 수 있게 되어, 기저귀 착용시의 피트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부(30)가 가늘게 보이기 때문에, 기저귀(1)의 외관이 보다 속옷의 외관에 가까와진다. 이것은, "기저귀"를 착용하는 것에 대한 착용자의 망설임 및/또는 저항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Likewise, the
또한,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25f)의 가로 방향 폭(W25f)은 앞쪽 벨트 절결부(35f)의 가로 방향 폭(W35f)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W25f>W35f). 이 경우,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25f)가 크게 절결된다. 따라서, 언더팬츠형으로 형성된 기저귀(1)를 장착하는 동작 동안 착용자가 다리 둘레 개구부(HL)에 다리를 넣을 때에, 발가락이 다리 개더부(25)에 덜 쉽게 걸린다. 따라서, 원활하게 기저귀(1)를 착용하기 쉽게 된다. 또한, 기저귀(1) 착용 후의 다리 둘레 형상을 따라서 다리 둘레 개구부(HL)가 쉽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다리의 움직임이 쉽게 방해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속바지 및 브리프와 같은 속옷의 외관과 같은 슬림한 외관이 실현될 수 있다. The lateral width W25f of the
이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는 한편, 벨트부와 다리 개더부 사이에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는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그 구조로 인하여 다리 개더부와 벨트부 사이의 경계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더 쉽다. 그리고,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 상기 경계부에 과도한 응력이 작용하면, 기저귀가 부직포 등으로부터 인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경우, 다리 개더부(20)와 벨트부(30) 사이의 경계부는,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길이 방향 전단(HLef) 및 후단(HLer)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기 더 쉽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isposable diaper of the type in which the leg-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belt part and the leg gathers, the stress is more likely to be concentr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leg gathers and the belt part due to the structure. When excessive stress acts on the boundary portion when the diaper is worn, the diaper can be torn from the nonwoven fabric or the like. In the case of the
그러나, 기저귀(1)에서, 각각의 다리 개더부(20) 및 각각의 벨트부(30)는 동일한 하나의 시트 부재(사이드 시트(40))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그 사이의 경계부(HLef, HLer)에 접합부 등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부분에 응력이 집중될지라도, 찢어짐의 기점이 쉽게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저귀(1)를 착용할 때 다리 둘레 개구부(HL)가 찢어지는 문제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둘러싸도록 신축 시트(43)가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 신축 시트(43)에 의해서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주연부가 보강된다. 이에 따라, 다리 개더부(20)와 벨트부(30) 사이의 경계부(HLef, HLer)의 강도가 증대되어 인열이 억제된다. However, in the
이러한 신축 시트(43)에는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의 개구가 제공되기 때문에, 신축 시트(43)의 가로 방향 폭은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도 5에서, 다리 개더부(20)와 중첩되는 영역에서의 신축 시트(43)의 가로 방향 폭을 비교하면,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에 있어서의 폭(W43c)이 가장 작고, 길이 방향 후단(HLer)에서의 폭(W43r)이 가장 크다. 기저귀(1) 착용시에 착용자의 서혜부와 닿는 되는 영역인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 부근의 영역에서 신축 시트(43)의 폭이 감소되기 때문에, 서혜부의 영역에 작용하는 수축력이 쉽게 분산되지 않는다. 이것은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착용자의 둔부를 덮는 영역에 해당하는 후단(HLer)에서는 신축 시트(43)의 폭이 증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둔부 영역에서 수축력이 넓은 범위에 작용하기 쉽다. 이것이 둔부에서의 착용자의 피부에 발휘되는 조임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과도한 조임에 의해 야기되는 불쾌감이 최소화된다. Since the
또한, 기저귀(1)의 각 다리 개더부(20)에, 각 다리 둘레 개구부(HL)(다리 개더 절결부(25))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신축 시트(43)와 공존하도록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CLhl)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단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까지의 거리(W23c)는, 적어도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길이 방향 전단(HLef)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단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까지의 거리(W23f)보다 작다. 착용자의 서혜부와 닿게 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중앙 위치(CLhl) 부근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단부와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 사이의 거리(W23c)(가로 방향의 간격)가 가능한 한 많이 감소된다. 이것이 다리 둘레 개구부(HL)와 착용자의 서혜부 사이에서 간극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배설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쉽게 억제된다. 한편,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길이 방향 전단(HLef) 부근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단부와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 사이의 거리(W23f)가 증가된다. 이것은 다리 개더 탄성 부재(들)(23)에 의해 야기되는 주름 및 처짐의 형성을 저감하기 쉬우므로, 기저귀(1) 착용시의 외관이 보기 좋게 된다. In the region where each leg-hole opening HL (leg gathersection 25) is formed in each leg gathers 20 of the
또한, 기저귀(1)에서는, 기저귀 착용시의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서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를 벨트부에 접합하는 접합부(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의 경사 각도를 조정한다. 도 6A는 착용된 상태에서 종래의 팬츠형 기저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착용된 상태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In the
종래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기저귀의 앞쪽(복부측)에 형성되는 접합부(본 실시형태의 제1 접합부(WL1)에 상응) 및 뒤쪽(등측)에 형성되는 접합부(본 실시형태의 제2 접합부(WL2)에 상응)는 통상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각각의 앞쪽 접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각각의 뒤쪽 접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와 동일하도록 접합부들이 형성된다. 이 경우, 언더팬츠의 형태에서 흡수성 본체가 벨트부와 형성하는 각도는 앞뒤에서 서로 동일하다. 그 결과,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저귀 착용시에 뒤쪽(등측)에서 흡수성 본체가 아래쪽으로 늘어지기 쉽게 되어, 기저귀 본체와 착용자의 둔부 사이에 간극이 쉽게 생길 수 있었다. 또한, 둔부 측에서의 외관이 헐렁해 보이므로, 착용자가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음을 인식하기 쉬워, 불편을 줄 수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pants-type disposable diaper, a joi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joint portion WL1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med on the front side (abdomen side) of the diaper and a joi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joint portion WL1 of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e word line WL2) is usually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joints are formed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front joint is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rear joint. In this case, the angles formed by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belt portion in the form of underpants are equal to each other at the front and back.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A, when the diaper is worn, the absorbent main body tends to sag downwardly from the back (back side), so that a gap can easily be formed between the diaper main body and the wearer's buttocks. In addition, since the outer appearance on the buttocks side appears loose, it is easy for the wearer to recognize that he wears a "diaper"
이에 대하여, 기저귀(1)에서는, 각 제1 접합부(WL1)의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θ1)가 각 제2 접합부(WL2)의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θ2)보다 크도록 조정된다(θ1>θ2). 이 경우, 언더팬츠의 형태에서 흡수성 본체와 벨트부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앞쪽에서 더 크고, 뒤쪽에서 더 작게 되기 쉽다. 그 결과,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저귀 착용시에 뒤쪽(등측)에서 흡수성 본체가 착용자 둔부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기저귀와 착용자의 둔부 사이에 간극이 덜 형성됨으로써, 피트성이 향상된다. 또한, 외관상 속바지 및 브리프와 같은 속옷을 착용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둔부가 슬림하게 보인다. 이것은 "기저귀"를 착용하는 것에 대한 착용자의 저항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또한,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저귀(1)에서는,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의 각 단부가 다리 둘레 개구부(HL)과 교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접합부(WL1, WL2) 각각과 다리 둘레 개구부(HL) 각각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제공된다. 제1 접합부(WL1)(제2 접합부(WL2))가 다리 둘레 개구부(HL)와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기저귀(1) 착용시에 이러한 교차부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다리 둘레 개구부(HL)를 쉽게 찢을 수 있는 찢어짐의 기점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HL)가 접합부와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찢어짐의 기점이 쉽게 형성되지 않아, 다리 둘레 개구부(HL)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3A, in the
=== 제2 실시형태 === ===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다리 개더부(20) 및 각각의 벨트부(30)가 별개의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2)(이하, 기저귀(2)라고도 일컬음)가 개시된다. 도 7A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2)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C-C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In the second embodiment, a pants-type disposable diaper 2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diaper 2) in which each leg gathers 20 and
기저귀(2)에서, 그 제조 방법은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제조 방법과 다르지만, 기저귀(2)의 구성은 기저귀(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즉, 흡수성 본체(10),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에서의 부품들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이하, 기저귀(1)와 다른 점들을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기저귀(2)에서,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리 개더부(20)의 가로 방향 외측 단부(20eo) 및 벨트부(30)의 가로 방향 외측 단부(30eo)를 접합하기 위해 벨트 가로 방향 접합부(WL30)가 형성되어 있다. 벨트 접합부(WL30)는 핫멜트 접착제 등을 이용한 접착으로 형성되지만, 벨트 가로 방향 접합부(WL30)는 용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기저귀(2)에서, 다리 개더부(20)에 제공되는 다리 개더 탄성 부재(24)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분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어 배치된다. 그러나, 다리 개더 탄성 부재(24)는, 기저귀(1)의 다리 개더 탄성 부재(23)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세로 방향)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도 8은 기저귀(2)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기저귀(2)를 제조할 때, 재료로서 사용되는 기재 시트를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그 기재 시트에 대하여 소정의 공정(S201 내지 S204)을 실시한다. 이들 공정 중에서, S204 내지 S205는 제1 실시형태의 S104 내지 S105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제2 실시형태에서 기저귀(2)의 기재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는,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 다리 개더 연속 시트(20A), 및 벨트 연속 시트(30A)이다. 다리 개더 연속 시트(20A)는 각각 다리 개더부(20)가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시트 부재이다. 벨트 연속 시트(30A)는 각각 벨트부(30)가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시트 부재이다. The sheet member constituting the base sheet of the
기저귀(2)를 제조할 때, 우선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의 CD 방향(가로 방향) 양측에 다리 개더 연속 시트(20A)를 접합하여 얻어지는 시트 부재 및 벨트 연속 시트(30A)를 함께 MD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벨트 연속 시트(30A)를 위쪽에서 다리 개더 연속 시트(20A)와 겹치게 놓고 접합한다(S201). 다리 개더 연속 시트(20A)와 벨트 연속 시트(30A)는, 상기 개시한 것과 같이, 양 시트의 가로 방향 단부를 핫멜트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함으로써 접합부(WL30)를 형성하도록 접합된다. The sheet member and the
이어서, 개구부(HL)를 구성하는 다리 개더 절결부(25) 및 벨트 절결부(35)를 형성한다(S202). 이들 절결부는 커터롤 등을 이용하여 위아래 방향으로부터 형성된다. 접합부(WL30)는 S202 공정에서 절결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 S201 공정의 전단계에서 미리 다리 개더 연속 시트(20A) 및 벨트 연속 시트(30A)에 절결부를 형성하고, 그 후 이들 두 시트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Next, a
이어서 S203 공정에서 도 4의 S104와 마찬가지로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형성하고, S204 공정에서 도 4의 S105와 마찬가지로 기재를 컷팅한다. 이에 따라, 기저귀(2)가 제조된다. Subsequently, in the S203 step, the first bonding portion WL1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WL2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S104 in Fig. 4, and the substrate is cut in the same manner as S105 in Fig. 4 in the S204 step. Thus, the
완성된 기저귀(2)는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와 대략 같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기저귀(2)에 형성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HL)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부측(앞쪽)에서 더 넓고 등측(뒤쪽)에서 더 좁다. 이에 따라, 다리 둘레 개구부(HL) 부근에서 기저귀(2)의 피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 기타 === === Other ===
상기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제한으로서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물론, 본 발명은 그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가지로 변경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그 등가물을 포함한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or improv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its equivalents.
상기 개시된 실시형태들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HL)의 주연부에 배치되는 신축 시트(43)가, 다리 개더부(20) 및/또는 벨트부(30)를 구성하는 두 시트 부재(예컨대 시트 부재(41, 42)) 사이에 각각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신축 시트(43)가 제공되는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리 개더부(20) 및/또는 벨트부(30)의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제공되거나 또는 비피부측에 제공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1: 기저귀(흡수성 물품, 일회용 기저귀), 2: 기저귀(흡수성 물품, 일회용 기저귀), 10: 흡수성 본체, 10A: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 10ef: 길이 방향 전단부, 10er: 길이 방향 후단부, 11: 흡수체, 13: 톱 시트, 15: 백 시트, 15f: 샘 방지 시트, 15n: 외장 시트, 20: 다리 개더부, 20A: 다리 개더 연속 시트, 20ei: 가로 방향 내측 단부, 20eo: 가로 방향 외측 단부, 21: 제1 시트, 22: 제2 시트, 23: 다리 개더 탄성 부재, 24: 다리 개더 탄성 부재, 25: 다리 개더 절결부, 25f: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 25r: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 30: 벨트부, 30A: 벨트 연속 시트, 30ei: 가로 방향 내측 단부, 30eo: 가로 방향 외측 단부, 31: 제1 시트, 32: 제2 시트, 33: 벨트 탄성 부재, 35: 벨트 절결부, 35f: 앞쪽 벨트 절결부, 35r: 뒤쪽 벨트 절결부, 40: 사이드 시트, 40A: 사이드 연속 시트, 41: 시트 부재, 42: 시트 부재, 43: 신축 시트, HB: 허리 둘레 개구부, HL: 다리 둘레 개구부, CL: 중앙 위치, CLhl: 중앙 위치(다리 둘레 개구부(HL)), FL: 접음선, FLb1: 제1 벨트 단부 접음선, FLb2: 제2 벨트 단부 접음선, W20: 가로 방향 폭(다리 개더부(20)), W25f, W25r: 가로 방향 폭(다리 개더 절결부(25)), W30: 가로 방향 폭(벨트부(30)), W35f, W35r: 가로 방향 폭(벨트 절결부(35)), W43c, W43r: 가로 방향 폭(신축 시트(43)), WL1: 제1 접합부, WL2: 제2 접합부 WL30: 벨트 가로 방향 접합부, θ1: 경사 각도(앞쪽), θ2: 경사 각도(뒤쪽)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and a disposable dia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bsorbent article and a disposable diaper,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흡수성 본체; 다리 개더부; 및 벨트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개더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일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제공되어 있는 절결부에 의해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향하여 가로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접합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각각에 제공된 절결부는,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벨트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벨트 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에 제공된 절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상기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뒤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크고,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이,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상기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보다 큰 흡수성 물품.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lateral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Absorbent body; Leg gathers; An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belt portion,
In the state that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The leg gather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bsorbent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the bel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a part of the absorbent main body and each of the leg gather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air of leg-hole openings are formed by the notches provided in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Wherein the belt portion is joined to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leg gathers at joining portions inclined outwar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eg-
The cutout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belt portions includes a front belt cutout portion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and a rear belt cutout portion positioned at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each of the leg-
The cutout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leg gathers includes a front leg gathersection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rear leg gathersector at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ly centered position,
The sum of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belt cutout and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leg gathers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each of the leg-
The width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and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leg cutout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rear end of each of the leg- ,
Wherein a widthwise width of the front leg gathered notch at a position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ner side from a longitudinal front end of each of the leg-
And the width of the front-side belt cut-out portion is larger than the widthwise width of the front-side belt cut-away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ward.
신축성을 갖는 탄성 시트 부재들이 각각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연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lastic sheet members having elasticity are arranged on the periphery of the leg-hole opening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sheet members ar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흡수성 본체; 다리 개더부; 및 벨트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개더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일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제공되어 있는 절결부에 의해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향하여 가로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접합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각각에 제공된 절결부는,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벨트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벨트 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에 제공된 절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상기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뒤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크고,
신축성을 갖는 탄성 시트 부재들이 각각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연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탄성 시트 부재들 각각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가로 방향 폭이,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후단에서의 가로 방향 폭보다 작고, 상기 탄성 시트 부재들은 각각 상기 다리 개더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lateral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Absorbent body; Leg gathers; An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belt portion,
In the state that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The leg gather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bsorbent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the bel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a part of the absorbent main body and each of the leg gather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air of leg-hole openings are formed by the notches provided in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Wherein the belt portion is joined to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leg gathers at joining portions inclined outwar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eg-
The cutout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belt portions includes a front belt cutout portion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and a rear belt cutout portion positioned at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each of the leg-
The cutout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leg gathers includes a front leg gathersection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rear leg gathersector at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ly centered position,
The sum of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belt cutout and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leg gathers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each of the leg-
The width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and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leg cutout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rear end of each of the leg- ,
The elastic sheet members having elasticity are arranged on the periphery of the leg-hole opening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respectively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elastic sheet members has a lateral width at a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smaller than a lateral width at a longitudinal rear end of each of the leg-openings, 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is dispos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absorbent article.
흡수성 본체; 다리 개더부; 및 벨트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개더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일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제공되어 있는 절결부에 의해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향하여 가로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접합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각각에 제공된 절결부는,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벨트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벨트 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에 제공된 절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상기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뒤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크고,
신축성을 갖는 탄성 시트 부재들이 각각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연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 개더부에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가로 방향 내측의 영역에, 사상(string) 탄성 부재들이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이 탄성 시트 부재 각각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단부와 사상 탄성 부재 사이의 가로 방향 거리가,
적어도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에서의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단부와 사상 탄성 부재 사이의 가로 방향 거리보다 작은 흡수성 물품.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lateral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Absorbent body; Leg gathers; An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belt portion,
In the state that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The leg gather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bsorbent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the bel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a part of the absorbent main body and each of the leg gather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air of leg-hole openings are formed by the notches provided in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Wherein the belt portion is joined to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leg gathers at joining portions inclined outwar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eg-
The cutout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belt portions includes a front belt cutout portion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and a rear belt cutout portion positioned at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each of the leg-
The cutout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leg gathers includes a front leg gathersection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rear leg gathersector at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ly centered position,
The sum of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belt cutout and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leg gathers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each of the leg-
The width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and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leg cutout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rear end of each of the leg- ,
The elastic sheet members having elasticity are arranged on the periphery of the leg-hole opening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respectively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elastic members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f the elastic sheet members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members ar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region of the leg gathers in the transversely inner side of each of the leg-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end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at the longitudinally central position of each of the leg-
Is smaller than a lateral distance between an end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at the fron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leg-hole openings and the dead-end elastic member.
흡수성 본체; 다리 개더부; 및 벨트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개더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일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제공되어 있는 절결부에 의해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는,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향하여 가로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접합부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 및 상기 다리 개더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 각각에 제공된 절결부는,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벨트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벨트 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에 제공된 절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한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 및 뒤쪽에 위치한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앞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앞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 각각의 길이 방향 후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상기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뒤쪽 벨트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과 상기 뒤쪽 다리 개더 절결부의 가로 방향 폭의 합계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크고,
길이 방향으로 앞쪽에서 제1 접합부와 상기 길이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가,
길이 방향으로 뒤쪽에서 제2 접합부와 상기 길이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보다 큰 흡수성 물품.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lateral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Absorbent body; Leg gathers; An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belt portion,
In the state that the absorbent article is stret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The leg gather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bsorbent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the bel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a part of the absorbent main body and each of the leg gather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air of leg-hole openings are formed by the notches provided in the belt portion and the leg gathers,
Wherein the belt portion is joined to the absorbent main body and the leg gathers at joining portions inclined outwar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eg-
The cutout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belt portions includes a front belt cutout portion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and a rear belt cutout portion positioned at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each of the leg-
The cutout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leg gathers includes a front leg gathersection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rear leg gathersector at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ly centered position,
The sum of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belt cutout and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leg gathers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each of the leg-
The width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um of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belt cutout portion and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leg cutout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rear end of each of the leg- ,
Wherein an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maller one of an angle formed by the first joint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an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ngle formed by the second joint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angle at the smaller s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10315 | 2015-05-29 | ||
JP2015110315A JP6226909B2 (en) | 2015-05-29 | 2015-05-29 | Absorbent articles |
PCT/JP2016/061661 WO2016194480A1 (en) | 2015-05-29 | 2016-04-11 | Absorbent art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866A KR20180002866A (en) | 2018-01-08 |
KR101844208B1 true KR101844208B1 (en) | 2018-03-30 |
Family
ID=5744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360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4208B1 (en) | 2015-05-29 | 2016-04-11 | Absorbent articl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226909B2 (en) |
KR (1) | KR101844208B1 (en) |
CN (1) | CN107613930B (en) |
WO (1) | WO201619448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95674B1 (en) * | 2021-06-07 | 2023-07-05 | Unicharm Corporation |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96429B2 (en) | 1992-10-27 | 1999-05-31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Disposable diaper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85005254A1 (en) * | 1984-05-16 | 1985-12-05 | Boussac Saint Freres B.S.F. | Pants with elastic bel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KR100240245B1 (en) * | 1992-10-27 | 2000-01-15 | 린다 디. 로러 | Disposable diaper with fully elasticized waist opening |
JPH0910261A (en) * | 1995-06-29 | 1997-01-14 | Zuiko:Kk | Disposable wearing article and manufacture therefor |
JP2945336B2 (en) * | 1996-02-26 | 1999-09-06 | 白十字株式会社 | Disposable diapers |
US6616647B1 (en) * | 2000-06-27 | 2003-09-09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achine direction manufactured pant |
JP3916878B2 (en) * | 2001-04-12 | 2007-05-2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Disposable pants-type diapers |
JP5754947B2 (en) * | 2011-01-07 | 2015-07-2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Disposable diapers |
-
2015
- 2015-05-29 JP JP2015110315A patent/JP6226909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04-11 KR KR1020177036028A patent/KR10184420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4-11 CN CN201680031033.XA patent/CN107613930B/en active Active
- 2016-04-11 WO PCT/JP2016/061661 patent/WO201619448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96429B2 (en) | 1992-10-27 | 1999-05-31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Disposable diap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94480A1 (en) | 2016-12-08 |
JP6226909B2 (en) | 2017-11-08 |
CN107613930A (en) | 2018-01-19 |
CN107613930B (en) | 2019-01-22 |
KR20180002866A (en) | 2018-01-08 |
JP2016220940A (en) | 2016-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932295B (en) | Incontinence pant | |
US8956338B2 (en) | Wearing article with waist belt member | |
KR101593736B1 (en) | Disposable wearing article | |
KR101527629B1 (en) | Disposable diaper | |
JP2009061052A (en) | Disposable pants-type body fluid absorbent wearing article | |
EA037713B1 (en) |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pull-up type absorbent article | |
WO2016208255A1 (en) | Absorbent article | |
US20110066125A1 (en) | Disposable pants-type diaper | |
WO2014087970A1 (en) | Absorbent article | |
EA037538B1 (en) | Pull-up type absorbent article | |
US11389342B2 (en) | Pull-on absorbent article with pair of belt sections | |
KR101844207B1 (en) | Absorbent article | |
CN107735063B (en) | Absorbent article | |
JP6035381B1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KR20180000064U (en) | Underpants-type absorbent article | |
KR101844208B1 (en) | Absorbent article | |
WO2017183257A1 (en) | Underpants-typ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nderpants-type absorbent article | |
WO2017002391A1 (en) | Absorbent article | |
JP6351544B2 (en) | Absorbent articles | |
JP6220819B2 (en) | Absorbent articles | |
KR101837366B1 (en) | Absorbent article | |
CN116940319A (en) | Underpants-shaped disposable diaper | |
WO2017002448A1 (en) | Disposable pants-type diaper | |
KR20170099943A (en) | Disposable dia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2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