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3170U -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 Google Patents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70U
KR20180003170U KR2020170002160U KR20170002160U KR20180003170U KR 20180003170 U KR20180003170 U KR 20180003170U KR 2020170002160 U KR2020170002160 U KR 2020170002160U KR 20170002160 U KR20170002160 U KR 20170002160U KR 20180003170 U KR20180003170 U KR 201800031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block
current
voltag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선화
박종웅
시태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70002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170U/ko
Publication of KR20180003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70U/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은,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에 전력설비를 계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작업 단자대와, 플러그가 작업 단자대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플러그의 삽입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대기 단자대와, 플러그가 작업 단자대와 대기 단자대 중 어느 하나에도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활선 상태 여부에 따라 경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Switchboard for protecting worker error}
본 고안은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보호배전반은 전력설비에 대한 점검을 위해 전력설비를 계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연결할 수 있다.
전력설비와 계통간의 분리/연결은 전력설비에 대한 보호를 위해 사선 상태에서 진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력설비와 계통간의 분리/연결을 진행하는 작업자는 실수에 의해 활선 상태에서 전력설비를 계통으로부터 분리/연결하여 전력설비의 오부동작 및 고장을 유발하고 전력설비의 수명을 단축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659945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전력설비와 계통의 분리/연결 과정과 활선 상태여부 출력을 서로 연동하여 작업자에게 활선 상태여부를 효과적으로 알림으로써 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보호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은,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에 전력설비를 계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작업 단자대; 상기 플러그가 상기 작업 단자대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플러그의 삽입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대기 단자대; 및 상기 플러그가 상기 작업 단자대와 상기 대기 단자대 중 어느 하나에도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활선 상태 여부에 따라 경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배전반은, 일단이 상기 플러그에 연결된 연결 부재의 타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기 단자대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전력설비의 단로기와 상기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단로기와 상기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은, 전력설비와 계통의 분리/연결 과정과 활선 상태여부 출력을 서로 연동하여 작업자에게 활선 상태여부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실수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전력설비의 오부동작 발생 및 고장이 예방되고 전력설비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에 포함된 전압 작업 단자대의 전기적인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에 포함된 전류 작업 단자대의 전기적인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에 포함된 대기 단자대의 전기적인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의 단자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플러그가 삽입된 후의 단자대를 예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은, 작업 단자대(100), 대기 단자대(200), 출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단자대(100)는 플러그(P1, P2)가 삽입된 경우에 전력설비를 계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단자대(100)는 전압 작업 단자대(110)와 전류 작업 단자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 단자대(200)는 플러그(P1, P2)가 작업 단자대(10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플러그(P1, P2)의 삽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단자대(200)는 전압 대기 단자대(210)와 전류 대기 단자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선 상태일 경우, 전압 플러그(P1)는 전압 대기 단자대(210)에 삽입된 상태로 제공되고, 전류 플러그(P2)는 전류 대기 단자대(210)에 삽입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전력설비의 상태를 사선 상태로 변경한 이후에 전압 대기 단자대(210)에 삽입된 전압 플러그(P1)를 뽑아서 전압 작업 단자대(110)에 삽입하고 전류 대기 단자대(220)에 삽입된 전압 플러그(P2)를 뽑아서 전류 작업 단자대(120)에 삽입할 수 있다.
만약 활선 상태일 때 상기 작업자가 전압 플러그(P1)를 전압 작업 단자대(110)에 삽입하거나 전류 플러그(P2)를 전류 작업 단자대(120)에 삽입할 경우, 전력설비의 오부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력설비의 수명단축 또는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
출력부(300)는 플러그(P1, P2)가 작업 단자대(100)와 대기 단자대(200) 중 어느 하나에도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활선 상태 여부에 따라 경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부(300)는 활선 상태일 때 작업자가 전압 플러그(P1)를 전압 대기 단자대(210)에서 뽑거나 전류 플러그(P2)를 전류 대기 단자대(220)에서 뽑을 경우에 경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보 정보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시각적 정보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청각적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자는 전압 플러그(P1)를 전압 작업 단자대(110)에 삽입하거나 전류 플러그(P2)를 전류 작업 단자대(120)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경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는 상기 경보 정보가 출력됨을 인지하고 사선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은 전력설비와 계통의 분리/연결 과정과 활선 상태여부 출력을 서로 연동하여 작업자에게 활선 상태여부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은, 작업자의 실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설비의 오부동작 발생 및 고장을 예방하고 전력설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은 일단이 플러그(P1, P2)에 연결된 연결 부재의 타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전압 플러그(P1)가 소정의 영역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고정부(410)와, 전류 플러그(P2)가 소정의 영역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고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플러그(P1, P2)의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복수의 플러그가 전압 작업 단자대(110)와 전압 대기 단자대(210)에 모두 삽입되거나 복수의 플러그가 전류 작업 단자대(120)와 전류 대기 단자대(220)에 모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출력부(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설비의 오부동작 발생 및 고장은 더욱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전력설비의 수명은 더욱 연장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에 포함된 전압 작업 단자대의 전기적인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b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에 포함된 전류 작업 단자대의 전기적인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전압 작업 단자대(110)와 전류 작업 단자대(120) 각각은, 플러그의 삽입 여부에 따라 전류차동계전기(87Ry)와 선로(10)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플러그의 삽입 여부에 따라 거리계전기(21Ry)와 선로(10)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전류차동계전기(87Ry)와 거리계전기(21Ry)는 시험을 위해 시험 전압 및/또는 시험 전류를 전달받아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시험 전압은 변성기(79PT)를 통해 전류차동계전기(87Ry)와 거리계전기(21Ry)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시험 전류는 변류기(87CT)를 통해 전류차동계전기(87Ry)와 거리계전기(21Ry)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시험 전압 및/또는 시험 전류는 전류차동계전기(87Ry)와 거리계전기(21Ry)의 오부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전압 작업 단자대(110) 및 전류 작업 단자대(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단로기(DS1, DS2, DS3)와 차단기(CB)는 활선 상태에서 사선 상태로 변경될 때 전기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전압 작업 단자대(110)와 선로(10)의 사이에는 전환개폐기(43PDA)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배전반에 포함된 대기 단자대의 전기적인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압 대기 단자대(210)와 전류 대기 단자대(220)는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에 전력설비의 제1 및 제2 단로기(510, 520)와 출력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제1 및 제2 단로기(510, 520)와 출력부(300)를 전기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로기(510, 520)는 활선 상태에서 사선 상태로 변경될 때 전기적으로 개방되므로, 전압 대기 단자대(210)와 전류 대기 단자대(220)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고 활선 상태일 때 출력부(300)에 활선 상태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300)는 경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a는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의 단자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플러그가 삽입된 후의 단자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의 단자대의 주접점과 보조접점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으며, 플러그가 삽입된 후의 단자대의 주접점과 보조접점 각각은 전기적으로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작업 단자대
110: 전압 작업 단자대
120: 전류 작업 단자대
200: 대기 단자대
210: 전압 대기 단자대
220: 전류 대기 단자대
300: 출력부
410: 제1 고정부
420: 제2 고정부
510: 제1 단로기
520: 제2 단로기

Claims (3)

  1.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에 전력설비를 계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작업 단자대;
    상기 플러그가 상기 작업 단자대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플러그의 삽입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대기 단자대; 및
    상기 플러그가 상기 작업 단자대와 상기 대기 단자대 중 어느 하나에도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활선 상태 여부에 따라 경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 를 포함하는 보호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플러그에 연결된 연결 부재의 타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보호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단자대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전력설비의 단로기와 상기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단로기와 상기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된 보호배전반.
KR2020170002160U 2017-04-28 2017-04-28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Withdrawn KR201800031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60U KR20180003170U (ko) 2017-04-28 2017-04-28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60U KR20180003170U (ko) 2017-04-28 2017-04-28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70U true KR20180003170U (ko) 2018-11-07

Family

ID=6432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160U Withdrawn KR20180003170U (ko) 2017-04-28 2017-04-28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17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724A (ko) 2019-10-10 2021-04-20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보호배전반의 43ca 상태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01733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945B1 (ko) 2016-01-25 2016-09-26 양석진 결상보호 및 활선표시기능을 구비한 일체형 테스트 터미널 유닛과 그를 사용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945B1 (ko) 2016-01-25 2016-09-26 양석진 결상보호 및 활선표시기능을 구비한 일체형 테스트 터미널 유닛과 그를 사용한 배전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724A (ko) 2019-10-10 2021-04-20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보호배전반의 43ca 상태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01733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8378A (ko) * 2020-06-30 2022-08-25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8379A (ko) * 2020-06-30 2022-08-25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8377A (ko) * 2020-06-30 2022-08-25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8376A (ko) * 2020-06-30 2022-08-25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8979A (ko) * 2020-06-30 2022-08-26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8978A (ko) * 2020-06-30 2022-08-26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8980A (ko) * 2020-06-30 2022-08-26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8982A (ko) * 2020-06-30 2022-08-26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8981A (ko) * 2020-06-30 2022-08-26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KR20220119337A (ko) * 2020-06-30 2022-08-29 한국전력공사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4783B2 (en) Compact fused disconnect switch
US8670221B2 (en) Terminal block for surge protection having integral disconnect
US10027108B2 (en) Surge reduction filter
JP6688804B2 (ja) Dc回路遮断器及び断路器
CN105448617A (zh) 低压断路器
US20110089961A1 (en) Interface test device and method
RU2741317C2 (ru) Разъединитель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180003170U (ko) 작업자 실수 방지를 위한 보호배전반
US9379537B2 (en) Power system including a circuit providing smart zone selective interlocking communication
US20140320299A1 (en) Protection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unit including the same
KR200441145Y1 (ko) 차단기의 아크런너와 고정단자의 결합구조
US7187090B2 (en) Mobile high voltage network
KR101768606B1 (ko) 신호용 접속단자 서지보호기
CN104081600A (zh) 过电压防护放电器
KR101297120B1 (ko) 모니터링 회로가 자동적으로 연장되는 모듈
KR101434793B1 (ko) 파워 엔지니어링 장비를 위한 테스트 장치 및 파워 엔지니어링 장비를 위한 테스트 장치 제조를 위한 방법
CN101017737B (zh) 在有爆炸危险的环境中断开负载电流回路的电气设备
KR101580592B1 (ko) 무정전 점검 및 교체 가능한 차단기
KR0129943Y1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용 변류기의 2차측 보호형 단자 구조
US11171430B2 (en) Ice test system and methods
JP2008017674A (ja) テストプラグ
KR20180033007A (ko) 전력 계통의 보호 장치
KR20170111212A (ko) 계전기
JP2024011299A (ja) 直流回路
CN118675946A (zh) 设备模块、串接组装设备和接触弹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42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