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03070A - 컵 운반용구 - Google Patents

컵 운반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70A
KR20180003070A KR1020160082414A KR20160082414A KR20180003070A KR 20180003070 A KR20180003070 A KR 20180003070A KR 1020160082414 A KR1020160082414 A KR 1020160082414A KR 20160082414 A KR20160082414 A KR 20160082414A KR 20180003070 A KR20180003070 A KR 20180003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ain body
present
hole
beve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욱
Original Assignee
권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욱 filed Critical 권태욱
Priority to KR1020160082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070A/ko
Publication of KR2018000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7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운반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가 담긴 다수개의 컵을 동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컵 운반용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 운반용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되, 컵이 안착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 운반용구{A cup conveyance bag with the beverage}
본 발명은 컵 운반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가 담긴 다수개의 컵을 동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컵 운반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등을 담기 위한 컵은 우리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생활용품 중의 하나로 사용목적에 따라 금속, 플라스틱, 종이 등의 재질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컵 중에서 플라스틱이나 종이로 제조되는 컵은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특징이 있어 일회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특히 종이로 제작된 종이컵은 음료 자판기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음료 자판기는 우리의 생화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고 편리하게 바로 마실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자판기는 커피 자판기이다.
즉, 커피 자판기는 통상 동전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넣으면 하나씩 추출되는 종이컵에 소정량의 커피가 자동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
이러한, 커피 자판기는 원두 또는 인스턴트 커피로서 커피가 포함하고 있는 각종 성분이 뜨거운 물에 더 잘 용해되어 차 또는 커피의 색향미를 최대한으로 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뜨거운 커피가 대분이다.
그런데, 이러한 자판기에 사용되는 종이컵은 사용자가 커피가 담긴 종이컵을 한손으로 파지하여 운반하기에 적당한 크기이지만, 여러개의 컵을 운반하는데에는 제한을 받게 되어 쟁반과 같은 형태의 판지를 이용하여 운반하고 있으나, 이는 운반중 종이컵 내에 뜨거운 커피를 쏟아서 손을 델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패스트푸드점 등과 같은 간이 음식점 등에서도 콜라, 사이다, 주스, 커피 등의 여러 가지 음료수를 판매하고, 이러한 음료수는 테이크 아웃을 많이 하게 된다.
현재 음료가 담긴 컵을 포장하여 가져가기 위한 테이크 아웃용 캐리어는 판지를 재단한 후 컵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나, 종래의 테이크 아웃용 캐리어는 판지를 재단한 후 사용자가 직접 접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테이크 아웃용 캐리어의 제작이 어렵고, 접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테이크 아웃 캐리어에 음료가 담긴 컵을 거치시켜 운반하는 과정에서 캐리어의 흔들림 등에 의해 컵에 담긴 내용물이 컵의 외부로 흘러넘치는 경우에는 캐리어의 재질 특성상 내용물이 종이로 이루어진 캐리어에 스며들게 됨으로써, 컵을 운반할 수 있는 캐리어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685호 "음료가 담긴 컵 운반용 봉지"가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봉지의 내측에 컵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납부가 형성되어 이 수납부에 음료가 담긴 컵이 수납되고, 상부에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음료가 뜨거운 커피 등이 담긴 경우에는 뜨거운 음료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손잡이구멍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이 수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뜨거운 음료가 담긴 컵이 수납부에 안착됨으로써, 컵과 봉지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컵의 뜨거운 열이 그대로 봉지로 전달되어 손잡이구멍을 이용하여 파지한 사람의 손으로 전달되게 되어 파지하는데 상당히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68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074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0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컵이 수납되는 안착공이 형성된 받침판을 봉지 형상의 본체 내측에 수납시키되, 본체에는 받침판의 안착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컵이 이 관통공을 통하여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안착됨으로써, 내용물이 담긴 다수개의 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체에 수납하여 다수개의 컵을 운반할 때 받침판에 형성된 안착공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으로 수납하여 운반할 때 본체와 뜨거운 컵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받침판에 의해 방지되어 컵의 뜨거운 열이 손잡이공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컵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받침판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에 수납하여 운반함으로써, 운반 중에 컵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체는 비닐의 재질을 이용하여 봉지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판과 분리하고 본체는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컵 운반용구의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받침판의 안착공에 안착된 컵의 하부가 본체의 관통공을 통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안착시킴으로써, 컵의 무게 중심이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운반시 컵의 흔들림 및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 운반용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되, 컵이 안착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 컵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는 비닐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은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판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부에 손잡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컵이 수납되는 안착공이 형성된 받침판을 봉지 형상의 본체 내측에 수납시키되, 본체에는 받침판의 안착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컵이 이 관통공을 통하여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안착됨으로써, 내용물이 담긴 다수개의 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에 수납하여 다수개의 컵을 운반할 때 받침판에 형성된 안착공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으로 수납하여 운반할 때 본체와 뜨거운 컵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받침판에 의해 방지되어 컵의 뜨거운 열이 손잡이공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컵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판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에 수납하여 운반함으로써, 운반 중에 컵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는 비닐의 재질을 이용하여 봉지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판과 분리하고 본체는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컵 운반용구의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판의 안착공에 안착된 컵의 하부가 본체의 관통공을 통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안착시킴으로써, 컵의 무게 중심이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운반시 컵의 흔들림 및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단면도.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본체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받침판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본체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받침판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100)는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112)이 형성된 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납되되, 음료가 담긴 컵(102)이 안착 고정되는 받침판(2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비닐지로 제작되되, 상부 양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손잡이공(11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16)이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110)는 양측 및 하부에는 평면으로 접을 수 있고, 컵이 수용되면 받침판(210)에 의해 평면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절첩선(1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은 본체(110)을 절첩선(118)을 이용하여 접었을 때 하부에 형성되게 되며, 받침판(210)을 수납공간(112)에 수납시키게 되면 본체(110)의 바닥부가 평평해지면서 하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가 위치되게 된다.
즉,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은 본체(110)의 하단부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2열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절첩선(118)을 이용하여 접어서 보관을 하고,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10)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판재를 사각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작하고, 이 사각 형상으로 제작된 받침판(210)이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음료가 담긴 컵(102)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공(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210)에 형성된 안착공(212)은 길이 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부에 배치되게 2열로 다수개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210)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로 보관을 하고, 사용시에는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시켜 본체(110)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110)의 관통공(116)과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이 서로 일치되어 연통되도록 수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210)을 본체(110)의 내측면 바닥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음료가 담긴 컵(102)을 안착공(212)에 안착시키게 되면 컵(102)은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 고정됨과 동시에 컵(102)의 하부가 본체(11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안착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100)는 본체(110)와 받침판(210)이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10)는 접혀진 상태에서 보관을 하게 되는데, 컵(102)을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10)를 펼친 상태에서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 받침판(210)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210)을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시킬 때 받침판(210)에 의해 본체(110)의 하부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6)은 받침판(210)에 의해 평평하게 형성된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받침판(210)의 안착공(212)과 서로 연통되게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음료가 담긴 컵(102)을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시키게 되면 컵(102)은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됨과 동시에 본체(11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음료가 담긴 컵(102)이 안착되어 본체(11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컵(102)의 하부가 하단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뜨거운 내용물이 담긴 컵(102) 인 경우, 본체(11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받침판(210)과 받침판(210) 상부의 본체(110) 공간부에 의해 차단하게 되어 사용자는 안전하게 본체(110)의 손잡이공(114)을 이용하여 파지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된 컵(102)의 무게 중심이 본체(11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본체(110)의 내측에 안착된 받침판(210)이 운반 중 비틀어는 등 받침판(210)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되고, 컵(102)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컵(102)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10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10)로부터 받침판(210)을 분리하고, 본체(110)는 절첩선(118)을 이용하여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컵 운반용구(100)의 부피가 작아 보관공간을 적게 차지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 받침판(21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음료가 담긴 컵(102)을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시키게 되면 컵(102)의 무게에 의해 받침판(210)이 본체(110)의 내측에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안전하게 음료가 담긴 컵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은 본체(110)의 하단 중앙부에 1열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10)은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에 대응되게 중앙부에 1열로 다수개의 안착공(2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접었을 때 관통공(116)은 하단부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받침판(210)을 수납하기 위하여 본체(110)를 펼칠 경우에는 본체(110)의 바닥면이 평평해지면서 관통공(116)이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하단 중앙부에 1개의 관통공(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수납공간(112) 바닥면에 안착되는 받침판(210)에는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에 대응되게 중앙부에 안착공(2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접었을 때 관통공(116)은 하단부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받침판(210)을 수납하기 위하여 본체(110)를 펼칠 경우에는 본체(110)의 바닥면이 평평해지면서 관통공(116)이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컵 운반용구 102 : 컵
110 : 본체 112 : 수납공간
114 : 손잡이공 116 : 관통공
118 : 절첩선 210 : 받침판
212 : 안착공

Claims (6)

  1. 컵 운반용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되, 컵이 안착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 컵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비닐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판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에 손잡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
KR1020160082414A 2016-06-30 2016-06-30 컵 운반용구 Ceased KR20180003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414A KR20180003070A (ko) 2016-06-30 2016-06-30 컵 운반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414A KR20180003070A (ko) 2016-06-30 2016-06-30 컵 운반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70A true KR20180003070A (ko) 2018-01-09

Family

ID=6100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414A Ceased KR20180003070A (ko) 2016-06-30 2016-06-30 컵 운반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0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707A (ko) * 2020-01-17 2021-07-28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모드 간섭계에 내장된 게르마늄 포토디텍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5798A2 (en) * 2006-12-20 2008-06-25 Portabrands Limited Bag
US20090230083A1 (en) * 2008-03-13 2009-09-17 Blue Shoe Innovations, Llc Beverage and food carrier and dispensing systems therefor
JP2014189314A (ja) * 2013-03-27 2014-10-06 Morofuji:Kk 折り畳み包装体
CN204548886U (zh) * 2015-03-25 2015-08-12 东莞市石龙联兴实业有限公司 一种饮料打包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5798A2 (en) * 2006-12-20 2008-06-25 Portabrands Limited Bag
US20090230083A1 (en) * 2008-03-13 2009-09-17 Blue Shoe Innovations, Llc Beverage and food carrier and dispensing systems therefor
JP2014189314A (ja) * 2013-03-27 2014-10-06 Morofuji:Kk 折り畳み包装体
CN204548886U (zh) * 2015-03-25 2015-08-12 东莞市石龙联兴实业有限公司 一种饮料打包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707A (ko) * 2020-01-17 2021-07-28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 모드 간섭계에 내장된 게르마늄 포토디텍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8008A (en) Container holding socket for molded tray
US6036020A (en) Dinner tray
US20210137294A1 (en) Attachable Beverage Niche Cooperates for a System to manage Food and Drink
TWI620693B (zh) 用於外賣杯的環保紙杯提
KR20180003070A (ko) 컵 운반용구
KR200471304Y1 (ko) 음식물 포장 캐리어
KR102657740B1 (ko)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KR200493525Y1 (ko) 골프카트용 보온보냉가방 및 이 가방을 구비한 가방세트
US2583951A (en) Cup, saucer, and cream jug
JP7521086B1 (ja) 袋入り即席麺
KR200305808Y1 (ko) 운반이 편리한 음식물 수용 상자
KR102098830B1 (ko) 컵 홀더를 구비한 캐리어
JP3229461U (ja) 二種飲料用紙パック容器
JP3227726U (ja) 二種飲料用容器
KR200322230Y1 (ko) 컵홀더
GB2338402A (en) Tray for cups and used tea-bag container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CN208761277U (zh) 一种咖啡外带包装组合
KR20230052640A (ko)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GB2261594A (en) A drinking vessel provided with a lid
KR200260338Y1 (ko) 이동용 음식물 수용 종이상자
JPH06227585A (ja) 複合容器
CN207973009U (zh) 整合的移动式饮品盒
JP6145740B1 (ja) アウトドア用食器
JP3102075U (ja) カップ麺の蓋押え兼箸置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