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21A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Google Patents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1721A KR20180001721A KR1020160080462A KR20160080462A KR20180001721A KR 20180001721 A KR20180001721 A KR 20180001721A KR 1020160080462 A KR1020160080462 A KR 1020160080462A KR 20160080462 A KR20160080462 A KR 20160080462A KR 20180001721 A KR20180001721 A KR 201800017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plate
- reinforced
- web
- shap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수평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까지 폭방향 중앙부가 절개된 형상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판과 측면판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져 상부판과 상부판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압축개방 U형 플랜지와, 압축개방 U형 플랜지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부판의 길이방향 양측의 결합구와 결합구의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와, 압축개방 U형 플랜지의 하부판과 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중앙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중앙부 부재와;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 및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중앙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웨브와, 하부판 및 하부판의 폭방향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판과 측판의 상단부에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져 폭방향 양측에서 마주보도록 하부판이 하부 플랜지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확장 측판과, 확장 측판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를 폐합하도록 구성되는 마감판으로 이루어져, 중앙부 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 웨브의 단부가 웨브의 일측 단부와 접하도록 웨브가 하부판의 결합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단부 UH형 보강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의 중앙부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부 UH형 보강블럭 확장 측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부 UH형 보강블럭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에 전단 연결재가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전단 연결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10 : 중앙부 부재
11 : 압축개방 U형 플랜지
111 : 하부판
112 : 측면판
113 : 상부판
114 : 개구부
117 : 전단 연결재
118 : 인장균열 방지근
12 : 하부 플랜지
13 : 웨브
20 : UH형 보강블럭
21 : 상부 플랜지
22 : 하부 플랜지
23 : 웨브
24 : 확장 측판
25 : 마감판
Claims (9)
- 수평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까지 폭방향 중앙부가 절개된 형상의 결합구(111a)가 형성되는 하부판(111)과 하부판(11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판(112)과 측면판(112)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상부판(113)으로 이루어져 상부판(113)과 상부판(113)의 사이에 개구부(114)가 형성되는 압축개방 U형 플랜지(11)와, 압축개방 U형 플랜지(11)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부판(111)의 길이방향 양측의 결합구(111a)와 결합구(111a)의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12)와, 압축개방 U형 플랜지(11)의 하부판(111)과 하부 플랜지(12)의 폭방향 중앙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웨브(13)로 이루어지는 중앙부 부재(10)와;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21)와, 상부 플랜지(21)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22) 및 상부 플랜지(21)와 하부 플랜지(22)의 폭방향 중앙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웨브(23)와, 하부판(241) 및 하부판(241)의 폭방향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판(242)과 측판(242)의 상단부에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243)으로 이루어져 폭방향 양측에서 마주보도록 하부판(241)이 하부 플랜지(22)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확장 측판(24)과, 확장 측판(24)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를 폐합하도록 구성되는 마감판(25)으로 이루어져, 중앙부 부재(10)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 웨브(23)의 단부가 웨브(13)의 일측 단부와 접하도록 웨브(23)가 하부판(111)의 결합구(111a)에 끼워져 결합되는 단부 UH형 보강블럭(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부 UH형 보강블럭(20)의 하부 플랜지(22)가 중앙부 부재(10)의 하부 플랜지(12)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단부 UH형 보강블럭(20)이 중앙부 부재(10)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하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부 UH형 보강블럭(20)의 상부 플랜지(21)가 중앙부 부재(10)의 상부판(113)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단부 UH형 보강블럭(20)이 중앙부 부재(10)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확장 측판(24)의 상부판(243)의 상단부와 상부 플랜지(21)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전단 연결재(2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부 UH형 보강블럭(20)의 상부 플랜지(21)는 개구부(114)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단부 UH형 보강블럭(20)의 상부 플랜지(21)가 압축개방 U형 플랜지(11)의 상부판(113)과 동일 레벨에서 상부판(113)과 상부판(113)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압축개방 U형 플랜지(11)의 상부판(113)의 상부에는 다수의 전단 연결재(1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청구항 6에 있어서,
전단 연결재(117)는 압축개방 U형 플랜지(11)의 상부판(113)과 상부판(113)을 폭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압축개방 U형 플랜지(11)의 하부판(11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인장균열 방지근(1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청구항 8에 있어서,
인장균열 방지근(118)은 래티스 철근으로 형성되며, 인장균열 방지근(118)의 상단부에서 일정거리 하부까지 노출되도록 압축개방 U형 플랜지(11)의 내부에 일정 높이까지 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형성되는 1차 충전재(119)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0462A KR101948812B1 (ko) | 2016-06-27 | 2016-06-27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0462A KR101948812B1 (ko) | 2016-06-27 | 2016-06-27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721A true KR20180001721A (ko) | 2018-01-05 |
KR101948812B1 KR101948812B1 (ko) | 2019-02-18 |
Family
ID=6100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0462A Active KR101948812B1 (ko) | 2016-06-27 | 2016-06-27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881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2986A (ko) * | 2018-12-13 | 2020-06-23 | (주)지승씨앤아이 | 단부확장 돌출플랜지와 받침 콘크리트 블럭을 갖는 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
KR102471965B1 (ko) * | 2022-01-11 | 2022-11-29 |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 최적설계를 위한 변단면 철골보 및 이의 설치방법 |
KR20220163008A (ko) * | 2021-06-02 | 2022-12-09 | (주)지승씨앤아이 | 확장전이블록을 이용하여 단부를 확대강성구조로 형성한 하이브리드 복합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급속시공방법 |
KR20230123387A (ko) * | 2022-02-16 | 2023-08-23 | 김민성 | 안전 플랫판을 갖는 압축 플랜지 보강체가 구성된 h형 단면의 강재보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2687A (ko) * | 2009-09-23 | 2011-03-30 |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
KR101372643B1 (ko) * | 2013-08-07 | 2014-03-11 | 장민우 | 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 |
KR101406583B1 (ko) * | 2013-12-26 | 2014-06-19 |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 H형 단면보가 결합된 유자형 합성보 |
KR101414801B1 (ko) | 2013-11-08 | 2014-07-04 | 주식회사 한국교량개발연구소 | 합성거더 |
KR101533576B1 (ko) * | 2014-06-19 | 2015-07-06 | (주)엔아이스틸 |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
-
2016
- 2016-06-27 KR KR1020160080462A patent/KR10194881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2687A (ko) * | 2009-09-23 | 2011-03-30 |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
KR101372643B1 (ko) * | 2013-08-07 | 2014-03-11 | 장민우 | 무거푸집 합성보 및 이의 제조공법 |
KR101414801B1 (ko) | 2013-11-08 | 2014-07-04 | 주식회사 한국교량개발연구소 | 합성거더 |
KR101406583B1 (ko) * | 2013-12-26 | 2014-06-19 |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 H형 단면보가 결합된 유자형 합성보 |
KR101533576B1 (ko) * | 2014-06-19 | 2015-07-06 | (주)엔아이스틸 |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2986A (ko) * | 2018-12-13 | 2020-06-23 | (주)지승씨앤아이 | 단부확장 돌출플랜지와 받침 콘크리트 블럭을 갖는 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
KR20220163008A (ko) * | 2021-06-02 | 2022-12-09 | (주)지승씨앤아이 | 확장전이블록을 이용하여 단부를 확대강성구조로 형성한 하이브리드 복합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급속시공방법 |
KR102471965B1 (ko) * | 2022-01-11 | 2022-11-29 |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 최적설계를 위한 변단면 철골보 및 이의 설치방법 |
KR20230123387A (ko) * | 2022-02-16 | 2023-08-23 | 김민성 | 안전 플랫판을 갖는 압축 플랜지 보강체가 구성된 h형 단면의 강재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8812B1 (ko) | 2019-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7327B1 (ko) |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 |
KR101295740B1 (ko) |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 |
KR101880490B1 (ko) |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 |
KR101880492B1 (ko) | 단부 h형강이 구성된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 |
KR102056406B1 (ko) | 역삼각래티스형 압축부를 강화한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1948812B1 (ko)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
JP2010101094A (ja) | 橋脚とコンクリート桁の剛結合構造 | |
KR101533576B1 (ko) |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 |
KR101222320B1 (ko) |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2054709B1 (ko) | 보도확장로 | |
KR101951095B1 (ko) | 학교 건축물 창호 개구부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 | |
KR101747104B1 (ko) | 장스팬 층고절감형 u형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483362B1 (ko) |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101482979B1 (ko) | 내부 전단 연결부가 형성된 덮개를 구비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 |
KR101557226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20190012766A (ko) | 탑u형 래티스 합성보 | |
KR101162179B1 (ko) | 전단연결재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 | |
KR101160763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738244B1 (ko) | 트러스보강 조립보 | |
JP5627972B2 (ja) | スリット構造 | |
KR101249600B1 (ko) | 고정부재를 이용해 데크플레이트가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된 합성보 | |
KR102314546B1 (ko) |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 |
KR101191545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KR101482977B1 (ko) |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101908700B1 (ko) | 압축개방 u형 플랜지와 단부 h접합블럭으로 구성된 복합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2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