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977B1 -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Google Patents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2977B1 KR101482977B1 KR1020130084407A KR20130084407A KR101482977B1 KR 101482977 B1 KR101482977 B1 KR 101482977B1 KR 1020130084407 A KR1020130084407 A KR 1020130084407A KR 20130084407 A KR20130084407 A KR 20130084407A KR 101482977 B1 KR101482977 B1 KR 101482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ortion
- steel
- vertical
- side unit
- vertical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0—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metal beams or girders, e.g. with steel lattice gir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3—U- or C-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지지부와, 수직 지지부의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엇갈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의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져 모서리가 각각 직각인 Z형상 단면을 가지며, 하부 지지부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2개의 수직편과 수직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편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닛을, 측면 유닛과 측면 유닛의 결합부가 각각 맞닿도록 결합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한 강재보와; 강재보의 내부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강재보의 중앙부에서는 수직 지지부의 중앙부 상부측에서, 강재보의 양단부에서는 수직 지지부의 중앙부 하부측에서, 강재보의 마주보는 수직 지지부를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의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가 적용된 구조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강재보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강재보의 내부 돌출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재보에 전단연결재가 구성된 실시 예의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강재보에 간격유지부재가 구성된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상기 도 6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10 : 강재보
10a : 측면 유닛
11 : 수직 지지부
12 : 상부 지지부
13 : 하부 지지부
14 : 결합부
20 : 간격유지부재
30 : 전단 연결재
31 : 웨브
32 : 플랜지
34 : 전단 연결공
50 : 콘크리트
131 : 돌출부
131a : 수직편
131b : 수평편
Claims (6)
-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지지부(11)와, 수직 지지부(11)의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엇갈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12) 및 하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3)의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14)로 이루어져 모서리가 각각 직각인 Z형상 단면을 가지며, 하부 지지부(13)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2개의 수직편(131a)과 수직편(131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편(131b)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31)가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닛(10a)을, 측면 유닛(10a)과 측면 유닛(10a)의 결합부(14)(14)가 각각 맞닿도록 결합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한 강재보(10)와;
강재보(10)의 내부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50);를 포함하며,
강재보(10)의 중앙부에서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 상부측에서, 강재보(10)의 양단부에서는 수직 지지부(11)의 중앙부 하부측에서, 강재보(10)의 마주보는 수직 지지부(11)(11)를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의 간격유지부재(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 유닛(10a)의 하부 지지부(13)는 돌출부(131)를 형성하는 수직편(131a)과 수평편(131b)이 접하는 부분이 분절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측면 유닛(10a)의 돌출부(131)는 2개의 수직편(131a)이 전부 또는 1개가 선택적으로 하부 지지부(13)와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단부가 측면 유닛(10a)과 측면 유닛(10a)의 결합부(14)(14)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단부가 측면 유닛(10a)의 상부 지지부(12) 보다 높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31)와 웨브(31)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플랜지(32)로 형성되어 단면이 T형상의 전단 연결재(3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청구항 4에 있어서,
전단 연결재(30)의 웨브(31)와 플랜지(32)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단 연결공(34)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407A KR101482977B1 (ko) | 2013-07-17 | 2013-07-17 |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407A KR101482977B1 (ko) | 2013-07-17 | 2013-07-17 |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2977B1 true KR101482977B1 (ko) | 2015-01-16 |
Family
ID=5259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4407A Active KR101482977B1 (ko) | 2013-07-17 | 2013-07-17 |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297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5827B1 (ko) * | 2017-09-28 | 2018-03-07 |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 철근콘크리트 스틸 합성 박스보 |
KR102245168B1 (ko) * | 2019-12-23 | 2021-04-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용접없이 단면구성이 가능한 강판성형 비탈형 보 거푸집 |
CN113062201A (zh) * | 2021-02-22 | 2021-07-02 | 浙江大学 | 一种压型钢板装配式组合箱型桥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398B1 (ko) * | 2004-10-06 | 2006-06-26 | 이창남 | 병목형 상부 플랜지 tsc보 |
KR20080109958A (ko) * | 2007-06-14 | 2008-12-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
-
2013
- 2013-07-17 KR KR1020130084407A patent/KR10148297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398B1 (ko) * | 2004-10-06 | 2006-06-26 | 이창남 | 병목형 상부 플랜지 tsc보 |
KR20080109958A (ko) * | 2007-06-14 | 2008-12-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5827B1 (ko) * | 2017-09-28 | 2018-03-07 |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 철근콘크리트 스틸 합성 박스보 |
KR102245168B1 (ko) * | 2019-12-23 | 2021-04-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용접없이 단면구성이 가능한 강판성형 비탈형 보 거푸집 |
CN113062201A (zh) * | 2021-02-22 | 2021-07-02 | 浙江大学 | 一种压型钢板装配式组合箱型桥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4803B1 (ko) |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880490B1 (ko) |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 |
WO2010047096A1 (ja) | 橋脚とコンクリート桁の剛結合構造 | |
KR101880492B1 (ko) | 단부 h형강이 구성된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 |
KR101880494B1 (ko) |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29194B1 (ko) | 유자형 합성보 및 덮개부재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 |
KR101482979B1 (ko) | 내부 전단 연결부가 형성된 덮개를 구비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 |
KR101557226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101483362B1 (ko) |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101222320B1 (ko) |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482977B1 (ko) |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101948812B1 (ko)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
KR101560908B1 (ko) | 개방형 강구조체의 접합부 | |
KR20190012766A (ko) | 탑u형 래티스 합성보 | |
KR101738244B1 (ko) | 트러스보강 조립보 | |
KR20150088049A (ko) |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 |
KR101904115B1 (ko) |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 |
WO2013145726A1 (ja) | 床材及びこの床材を組み合わせた路面の床構造 | |
KR101415695B1 (ko) | 합성보를 이용한 클린룸 골조 | |
JP5774979B2 (ja) | 柱構造体 | |
KR102621651B1 (ko) | 복수의 수평 다이아프램 플레이트로 수직강재를 구속시킨 조립강재 기둥 | |
KR101591808B1 (ko) |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 |
KR101548215B1 (ko) | 보춤이 높은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 |
KR101904118B1 (ko) |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 |
JP7156885B2 (ja) | 腰壁パネルの固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