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37A -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1037A KR20180001037A KR1020160079565A KR20160079565A KR20180001037A KR 20180001037 A KR20180001037 A KR 20180001037A KR 1020160079565 A KR1020160079565 A KR 1020160079565A KR 20160079565 A KR20160079565 A KR 20160079565A KR 20180001037 A KR20180001037 A KR 201800010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yarn
- moisture
- breathable waterproof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20003009 polyurethane dispersio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QQVIHTHCMHWDBS-UHFFFAOYSA-L iso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QQVIHTHCMHWDBS-UHFFFAOY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495 poly(sodium 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NNMHYFLPFNGQFZ-UHFFFAOYSA-M sodium polyacrylate Chemical compound [Na+].[O-]C(=O)C=C NNMHYFLPFNGQFZ-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520 smar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MHLLURERBWHNL-UHFFFAOYSA-M Sod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 VMHLLURERBWHN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86 disperse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281 sod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QUXFUBNSYCQAL-UHFFFAOYSA-N 1-(2,3-difluoro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C(=O)C1=CC=CC(F)=C1F PQUXFUBNSYCQ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34 Spand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6 hybrid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6 polyurethan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3 s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2 sod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7670 sodium acr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9 spand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10—Polyurethanes polyurea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의 영향으로 편물조직이 헐거워짐에 따라 공기 유입량이 증가하여 자율적으로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는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5-Sodium Sulfodimethyl Isophthalate를 혼성중합하여 방사된 개질 폴리에스터 원사의 둘레방향으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감아서 커버링시킨 투습방수 원사를 제조하고, 상기 투습방수 원사로 경편조직을 이루는 투습방수 원단을 편직하는 제1 단계와, 폴리우레탄 용액에 흡수성 고분자를 분산시켜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에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직된 부직포를 함침하여 수분흡수 원단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투습방수 원단의 일면과 상기 수분흡수 원단의 일면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가 점상 도포되고, 105℃ 내지 110℃에서 상기 투습방수 원단 및 상기 수분흡수 원단을 합지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의 영향으로 편물조직이 헐거워짐에 따라 공기 유입량이 증가하여 자율적으로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는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소재는 센서기능을 갖는 인텔리전트 재료와 유사한 개념으로 외부 환경변화에 따라 반응할 수 있는 소재를 의미하며, 환경에 적응하는 생명체의 특성을 모방한 스마트 소재는 생물체처럼 환경에 반응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급격한 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스마트 소재를 활용한 스마트 시트는 크게 수동형과 능동형으로 나눌 수 있고, 이중 후자는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반응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Actuator)로 구성되어 있다. 생체의 생리학적인 변화를 전기, 자기, 광학적인 신호로 감지 또는 모니터링 하는 센서가 얇은 고분자 시트, 종이, 섬유소재 또는 특수소재 시트 위에 어레이 칩 형태로 내장 또는 착설되어 있으며, 감지된 생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생체신호 감응형 액추에이터가 동일한 시트에 내장 또는 착설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한편, 조깅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널리 알려지면서, 사용하기에 편안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기능성 신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기능성 신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운동선수용 신발로 인식되어 왔던 기능성 신발이 일상생활에서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패션 스타일로서의 위치로 자리매김하면서 그 시장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렇듯 기능성 신발의 편안하고 쾌적한 착용감을 위해 사용되는 원단과 관련된 다수의 특허 기술들 중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450626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부드러운 감촉을 위하여 원단표면에 요철문양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요철문양이 변형되거나 풀어지지 않게 고착시키는 공정을 별도로 거쳐야 하므로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생하는 습기량에 상관없이 미세다공의 크기는 고정되어 습기를 비가역적으로 제어하므로 신속한 습기제거가 어려워 쾌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단표면에 요철문양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요철문양을 고착시키는 공정을 축소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발생하는 수분량에 따라 신속히 수분을 제어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은, 5-Sodium Sulfodimethyl Isophthalate를 혼성중합하여 방사된 개질 폴리에스터 원사의 둘레방향으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감아서 커버링시킨 투습방수 원사를 제조하고, 상기 투습방수 원사로 경편조직을 이루는 투습방수 원단을 편직하는 제1 단계와, 폴리우레탄 용액에 흡수성 고분자를 분산시켜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에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직된 부직포를 함침하여 수분흡수 원단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투습방수 원단의 일면과 상기 수분흡수 원단의 일면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가 점상 도포되고, 105℃ 내지 110℃에서 상기 투습방수 원단 및 상기 수분흡수 원단을 합지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은, 상기 폴리우레탄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흡수성 고분자 0.4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며, 점도가 10,000CPS 내지 15,000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액상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수분흡수 원단의 평량은 130gsm 내지 140gsm이고, 두께는 0.35mm 내지 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투습방수 원단 및 상기 수분흡수 원단을 합지하여 제조된 신발원단은 투습도 6,000g/㎠/24hr 이상이고, 내수압 600mmH2O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은, 개질 폴리에스터 원사를 중심으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커버링시켜 요철문양을 형성하므로 원단표면에 요철문양을 형성 및 고착시키는 공정을 생략하여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은, 수분이 접촉되면 길이가 늘어났다가 복원되는 개질 폴리에스터 원사를 이용하므로 수분량에 따라 공기유입량을 가역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발과 접촉하는 신발의 안창 및 중창에 적용하여 땀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갑피에 적용하여 우수한 통기성 및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 원단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 원단의 표면을 측정한 SEM 측정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 원단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 원단의 표면을 측정한 SEM 측정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에 따라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단계(S110)에서는 5-Sodium Sulfodimethyl Isophthalate를 혼성중합하여 방사된 개질 폴리에스터(polyester) 원사의 둘레방향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원사를 감아서 커버링시킨 투습방수 원사를 제조하고, 투습방수 원사로 경편조직을 이루는 투습방수 원단을 편직한다.
여기서, 폴리에스터는 혼방 교직성이 우수하여 타 섬유와 혼방하여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폴리에스터의 혼방은 혼방된 각각 섬유들의 특징을 그대로 살리면서 단점을 없애므로 기능이 우수한 섬유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터의 제조 공정 중에 제3성분을 첨가하여 다른 성질의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렇게 제조된 폴리에스터를 개질 폴리에스터라 일컬으며 염색성, 유연성, 친수성 등의 기능이 우수한 직물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폴리에스터 원사는 주위의 습도가 높아지거나 수분이 접촉되면 길이가 늘어났다가 다시 복원되는 특성이 있다. 즉 폴리에스터 원사를 신발의 내피원단으로 사용할 시 신발 내에서 발생하는 수분으로 인해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편물조직이 느슨해져 공기유입량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에스터 원사는 주위 습도가 높아지면 수분을 흡수하여 길이가 늘어나고, 습도가 낮아지면 다시 원래 길이로 돌아가는 가역적 수축현상을 나타내므로 발생하는 수분량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개질 폴리에스터 원사에 소수성인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커버링하는 것은, 원사의 강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수분을 감지하는 개질 폴리에스터 원사 측으로 수분이 빠르게 전이되는 것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는 부드러운 감촉 및 시각적인 장식효과를 제공하고, 종래의 원단 표면에 요철문양을 형성시키고 고착시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습방수 원단의 조직은 직물과 환편물의 중간 정도인 경편조직으로 편직하여 신축성을 부여하고, 경편조직으로 인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발생하는 수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이때, 투습방수 원단의 조직은 이중(Two-way)조직으로 교편되며, 패턴형상이 풀 패턴(full pattern), 메쉬(mesh), 사각 또는 육각 패턴으로 교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투습방수 원단의 편직 시 정경 공정에서 스판덱스(spandex,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의 일반명) 정경기가 아닌 일반 섬유용 정경기를 사용하여 투습방수 원사가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때 길이방향으로 충분한 신장을 주어 편직 후 충분히 축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정경 공정은 직물을 짜는 공정 중 하나이며, 소정 올 수의 경사를 길이 및 장력을 균일하게 일정한 너비가 되도록 배열하여 권취하는 작업을 말한다.
다음으로, 제2 단계(S120)에서는 폴리우레탄 용액에 흡수성 고분자를 분산시켜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을 제조하고,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에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직된 부직포를 함침하여 수분흡수 원단을 제조한다. 여기서 부직포는 니들펀칭되며,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직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나 투습방수 원단 측으로 수분이 전이되는 것을 극대화하기 위해 폴리에스터로 제직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은, 폴리우레탄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흡수성 고분자 0.4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한다. 흡수성 고분자가 0.4 중량부 미만이면 수분 흡수가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수분 흡수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고, 흡수성 고분자가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중량부 범위 내의 흡수성 고분자를 사용한다.
상기한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의 점도는 10,000CPS 내지 15,000CPS 이다. 점도가 10,000CPS 미만일 경우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이 묽어지므로 부직포에 지나치게 함침되어 부직포의 물리적 특성을 저하하는 우려가 있고, 점도가 15,000CPS 초과할 경우 부직포에 함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에 포함되는 흡수성 고분자는 액상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사용한다.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아크릴산나트륨의 중합체로서 친수성 및 흡습성이 큰 특성이 있고, 점성이 커서 첨가량이 적어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제조된 수분흡수 원단의 평량(1㎡당 원단의 중량)은 130gsm(grams per meter) 내지 140gsm이고, 두께는 0.35mm 내지 0.50mm이다. 이는 수분흡수 원단이 후술할 투습방수 원단과 합지되어 신발 내피 원단으로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할 시에 부담을 느끼지 않게 경량화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제3 단계(S130)에서는 투습방수 원단의 일면과 수분흡수 원단의 일면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가 점상 도포되고, 105℃ 내지 110℃에서 투습방수 원단 및 수분흡수 원단을 합지한다.
구체적으로, 투습방수 원단 및 수분흡수 원단을 합지하여 제조된 신발원단은 투습도 6,000g/㎠/24hr 이상이고, 내수압 600mmH2O이상이다. 여기서, 신발원단의 투습도가 6,000g/㎠/24hr 미만이고, 내수압이 600mmH2O 미만일 경우 효율적인 수분배출이 어려워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여기서, 다수의 원단을 합포하기 위한 방법으로 액상 접착제를 원단에 도포한 후 합포하는 전면합포와 원단 사이에 접착용 스펀지를 넣어 열을 가한 후 합포하는 스펀지합포 방법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원단의 기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분말의 열가소성 수지 접착제를 롤러(roller)에 점상 형태로 묻혀 이를 원단에 프린트한 후, 열을 가해 접착하는 방법인 도트 라미네이팅(dot laminating) 방법으로 합지한다. 이때, 분말의 열가소성 수지 접착제는 우수한 유연성과 내마모성을 가지고, 열에 의해 용융되어 접착 후 다시 고화되는 100% 고형분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신발원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이때, 도 2의 A는 수분흡수 원단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투습방수 원단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발 원단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신발 원단을 염색할 시에 사용되는 염료는 타르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온 분산성, 균염성 및 세탁, 물, 땀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고견뢰형 분산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산제는 분산염료와의 상용성이 높은 것을 사용해야 하는데, 분산염료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분산제로써 타몰계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H 조절제로서 CH3COONa(초산나트륨), 물 및 CH3COOH(초산)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이 담긴 욕조에 타몰계 분산제 및 pH 조절제를 투입하고 50℃까지 온도를 높인 후, 분산염료를 투입하되 견뢰도 및 균염성을 감안하여 담색 염료는 120℃, 중농색 염료는 130℃에서 염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 원단을 가공할 시 적합한 가공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온도에 따른 원단 수축률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은, 3 바아(Bar) 트리코트 경편기, 수분감응형 원사 및 110 데니아의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이용하여 투습방수 원사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기의 표 1의 조건에 따라 경편 조직의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였다.
구분 | 조직 | COMPOSITION | 비율 |
M1 | (10 11 12 11)×2 (23 22 21 22)×2 | P.75/36 SD R/W | 15 |
M2 | (23 22 21 22)×2 (10 11 12 11)×2 | P.75/36 SD R/W | 15 |
M3 | 10 23 45 32 | P.20/1 SD R/W | 30 |
M4 | 11 23 11 10 | HEF+PP 110D | 20 |
M5 | 22 44 22 00 | HEF+PP 110D | 20 |
구체적으로, 투습방수 원사 및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각 9,000본 씩 빔에 권취하고, 밀도 8,700개/cm, 중량 300g/m, 편직속도 450rpm의 조건으로 경편 조직의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3.5 데니아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니들펀칭 부직포를 마련하고, 폴리우레탄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흡수성 고분자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을 제조한 후, 라인스피드 1.5m/min, 텐타 온도 170℃의 조건으로 수분흡수 원단을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녹는점 95~105℃, 밀도 1.09g/cm3의 분말형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투습방수 원단과 수분흡수 원단의 사이에 점상 도포하여 105~115℃ 조건으로 합지하였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모든 과정을 동일하게 하였으나, 스트라이프 패턴( stripe pattern)의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가공 온도에 따른 원단 수축률은 하기의 표 2와 같다.
NO |
온도(℃) | 가로×세로 | 평균 수축률(%) | |
가로 | 세로 | |||
1 | - | 10cm×10cm | - | - |
2 | 100 | 7.5cm×9.0cm | 35 | 11 |
3 | 110 | 7.3cm×8.6cm | 37 | 16 |
4 | 120 | 7.0cm×8.5cm | 43 | 18 |
5 | 130 | 6.8cm×8.4cm | 47 | 19 |
6 | 150 | 6.2cm×7.9cm | 62 | 27 |
7 | 170 | 용융됨 | - | - |
Polyester 원사는 보통 180℃ 내지 210℃의 열 고정 온도에서 치수 안정화가 진행되지만,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투습방수 원사는 170℃의 고온에서 용융되고 130℃ 이상의 온도에서 원단 수축률이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130℃ 이하의 저온에서 마무리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원단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후속 공정에서의 수축현상을 최소화하고 치수 안정화를 진행하기 위해 100℃에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 원단을 100℃에서 신발 제조시 용도에 맞게 가공하여 안창, 중창 및 갑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창 적용하여 사용자의 발로 하여금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고, 수분 발생량에 따라 통기성이 자율적으로 조절되므로 땀 배출이 효과적이며, 갑피에 적용하여 원단 표면의 요철 문양으로 하여금 장식효과 및 우수한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 5-Sodium Sulfodimethyl Isophthalate를 혼성중합하여 방사된 개질 폴리에스터 원사의 둘레방향으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감아서 커버링시킨 투습방수 원사를 제조하고, 상기 투습방수 원사로 경편조직을 이루는 투습방수 원단을 편직하는 제1 단계;
폴리우레탄 용액에 흡수성 고분자를 분산시켜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에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직된 부직포를 함침하여 수분흡수 원단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투습방수 원단의 일면과 상기 수분흡수 원단의 일면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가 점상 도포되고, 105℃ 내지 110℃에서 상기 투습방수 원단 및 상기 수분흡수 원단을 합지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용액은,
상기 폴리우레탄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흡수성 고분자 0.4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며, 점도가 10,000CPS 내지 15,000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흡수성 고분자는 액상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수분흡수 원단의 평량은 130gsm 내지 140gsm이고, 두께는 0.35mm 내지 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투습방수 원단 및 상기 수분흡수 원단을 합지하여 제조된 신발원단은 투습도 6,000g/㎠/24hr 이상이고, 내수압 600mmH2O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9565A KR20180001037A (ko) | 2016-06-24 | 2016-06-24 |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9565A KR20180001037A (ko) | 2016-06-24 | 2016-06-24 |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037A true KR20180001037A (ko) | 2018-01-04 |
Family
ID=6099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9565A Abandoned KR20180001037A (ko) | 2016-06-24 | 2016-06-24 |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103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900010734A1 (it) | 2019-07-02 | 2021-01-02 | Termofort S R L | Sistema costruttivo per l’edilizia |
-
2016
- 2016-06-24 KR KR1020160079565A patent/KR20180001037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900010734A1 (it) | 2019-07-02 | 2021-01-02 | Termofort S R L | Sistema costruttivo per l’edilizia |
EP3760813A1 (en) | 2019-07-02 | 2021-01-06 | Termofort S.r.L. | Spacer element for formwor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921221B1 (en) | Textile fabric | |
US9833968B2 (en) | Stitched multi-layer fabric | |
KR101603126B1 (ko) | 적층체 포백 | |
CN110431001B (zh) | 使用连续垫料形成的纤维结合工程化材料 | |
US20130196109A1 (en) | Insulated Composite Fabric | |
US20040116022A1 (en) | Durable waterproof composite sheet material | |
US20080057809A1 (en) | Temperature and mois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 |
US20050003728A1 (en) | Anti-microbial fiber and fibrous products | |
PL229536B1 (pl) | Taśma uszczelniająca i produkt tekstylny, w którym się ją wykorzystuje | |
US9091018B2 (en) | Method of forming a stitched multi-layer fabric | |
CN108026674A (zh) | 多层结构圆形针织物 | |
WO2006090808A1 (ja) | 吸水により立体的に構造変化する複合布帛材料および繊維製品 | |
JP2015533688A (ja) | 断熱複合布 | |
JP5442074B2 (ja) | 複合ファブリック | |
KR102064101B1 (ko) |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04718B1 (ko) | 투습방수성 아웃도어용 니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
EP1486190A1 (en) | Body fluid absorbing product, and diaper | |
US12329241B2 (en) | Waterproof and moisture-permeable shoe upp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 |
KR102194249B1 (ko) | 복합 원단 및 그 제조방법과 응용 | |
KR20180001037A (ko) | 수분전이 특성이 우수한 신발원단 제조방법 | |
JP3246911U (ja) | 複合ポーラーフリース生地および同生地を含む衣類 | |
KR101569812B1 (ko) |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16215441A (ja) | 積層体布帛 | |
US9028944B2 (en) | Stitched multi-layer fabric | |
US20210094257A1 (en) | Fabric for fusion bonding and multilayer body comprising said fabric for fusion bon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