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460A - Casing device - Google Patents
Cas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42460A KR20170142460A KR1020160075959A KR20160075959A KR20170142460A KR 20170142460 A KR20170142460 A KR 20170142460A KR 1020160075959 A KR1020160075959 A KR 1020160075959A KR 20160075959 A KR20160075959 A KR 20160075959A KR 20170142460 A KR20170142460 A KR 201701424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device
- magnetic
- magnetic coupling
- mobile terminal
- seg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1100149380 Bombyx mori SGF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9
- 101100060862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COG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101100079124 Arabidopsis thaliana NAC079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08000001826 Marfan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08000031903 Marfan syndrome type 1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101100371648 Caenorhabditis elegans usp-1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100031509 Fibrill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1000846893 Homo sapiens Fibrill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1001021281 Homo sapiens Protein HEXIM1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1000693265 Homo sapiens Sphingosine 1-phosphate recepto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1000712669 Homo sapiens TGF-beta receptor type-2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08000004436 Marfan syndrome type 2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102100025750 Sphingosine 1-phosphate receptor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2100033455 TGF-beta receptor type-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1150090882 tg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37 Lysophosphatidic Acid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642 Lysophosphatidic Acid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6329 Ciliogenesis and planar polarity effector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000855378 Homo sapiens Ciliogenesis and planar polarity effector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84653 Homo sapiens Large subunit GTPase 1 homolog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7113 Large subunit GTPase 1 homolog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7677 Protein SPT2 homolog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100365575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SFG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케이싱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케이싱 디바이스는, 적어도 일부가 구를 수 있는 바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를 안착한 상태에서 경우에 따라 전후로 구를 수 있다. 크래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크래들은, 이동 단말기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를 거치하고, 케이싱 디바이스에 자기력을 제공하여 케이싱 디바이스의 자세를 고정 및/또는 조절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케이싱 디바이스에 안착한 상태에서 크래들에 거치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 casing device is disclosed. The ca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case at least a part of which can be provided, and can be folded back and forth in a stat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seated. The cradle is initiated.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and / or adjust the posture of the casing device by mounting a casing device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and providing magnetic force to the casing device. A mobile terminal is disclose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cradle in a state where it is seated on the casing device, and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ereby facilitating camera shooting of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동 단말기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가 크래들에 거치되면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다른 자세를 가지는 케이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ing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ing device having a different posture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asing device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cradle.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면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거치대가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안착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는 케이스가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을 손쉽게 하기 위한 구성이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A configuration for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sidered. A cradle for charging the battery while holding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sidered. A cas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can be moved while it is seated can be considered. A configuration for facilitating camera us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동 단말기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가 크래들에 거치되면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다른 자세를 가지는 케이싱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ing device having a different attitu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asing device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cradl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차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단차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 변에 연결되되 상기 일변에서 상기 단차와 오버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를 향해 볼록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바텀; 및 상기 바텀의 일 측에 장착되며, 외부 자속(exterior magnetic flux)에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하면 상기 바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자기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stepped plate; A bottom adjacent to the step,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verlapping the step on the side,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ide being convex to the outside, and supporting the plate; And a magnetic coupling part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bottom when magnetic coupling to an external magnetic flux is provided.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는, 상기 바텀에 연결되되, 상기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a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bottom and forming a space with the plate.
상기 바텀의 외측면은, 상기 바텀의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disposed in the extended direction of the bottom.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선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may have a line segment shape.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외부를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may have a concave shape toward the outside.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차에 안착되면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의 무게중심은,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제1 세그먼트가 수평한 장소에 마주하며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연직 상방(vertical upward)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sing devic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ated in the step, is positioned in a vertical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segment, with the fir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facing a horizontal position and supporting the casing device ). ≪ / RTI >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제1 프런트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제1 세그먼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세그먼트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무게중심은, 상기 제1 프런트 세그먼트 또는 제2 세그먼트가 수평한 장소에 마주하며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런트 세그먼트 또는 제2 세그먼트의 연직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Wherein a first front segment and a second segment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first segment with the first segmen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front segment or the second segment is horizontal And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first front segment or the second segment in a state of facing the place and supporting the casing device.
상기 자기결합부는, 상기 단차에서 멀리 위치하는 제1 자기결합부; 및 상기 단차에 인접한 제2 자기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magnetic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agnetic coupling portion located away from the step; And a second magnetic coupling portion adjacent to the stepped portion.
상기 자기결합부는, 상기 제1 자기결합부와 상기 제2 자기결합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자기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ic coup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magnetic coupl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coupling unit and the second magnetic coupling unit.
상기 바텀의 외측면은, 상기 바텀의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차에 안착되면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의 무게중심과 상기 제3 자기결합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에서 제1 세그먼트가 수평한 장소에 마주하며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연직 상방(vertical upward)에 위치할 수 있다.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s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ttom,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ated in the step,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sing device and the third magnetic coupling part The first segment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upward of the first segment in a state where the first segment faces the horizontal position and supports the casing device.
상기 자기결합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 변과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자기결합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gnetic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ic coupling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one side of the plate.
상기 복수 개의 자기결합 피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 변의 중앙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중앙 자기결합 피스; 및 상기 중앙 자기결합 피스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좌측 자기결합 피스와 우측 자기결합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agnetically coupling pieces includes a central magnetic coupling piece disposed adjacent to a center side of the one side of the plate; And a left magnetic coupling piece and a right magnetic coupling piece disposed with the central magnetic coupling piec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자기결합부는, 상기 단차에 인접할수록 두꺼운 단면을 가질 수 있다. The magnetic coupling portion may have a thicker cross-s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step.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안착하는 케이싱 디바이스의 자세를 다르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casing device for seating the mobile termina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케이싱 디바이스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를 크래들에 거치하여 카메라 촬영시 이동 단말기가 피사체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트래킹 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mounted on a casing device can be mounted on a cradle, and a mobile terminal can be tracked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a subject when a camera is photograph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무선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가 실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싱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케이싱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9는, 도 4의 케이싱 디바이스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여러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 케이싱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기가 장착되고 바텀 케이스의 외측면이 굽어진 형상을 포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 케이싱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의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 케이싱 디바이스에 마그넷이 포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4의 케이싱 디바이스를 B-B'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크래들(4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 크래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28은, 크래들에 대한 케이싱 디바이스의 배치 및 자세에 관한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이동 단말기를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 작동 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2는 도 31의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3은, 도 31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4 내지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ca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asing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asing device of Fig. 3. Fig.
5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asing device of FIG. 4 taken along line A-A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sing device of Fig. 9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case includes a bent shape.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geometrical shape of the casing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of Fig. 10;
Fig. 12 is a view showing a magnet device included in the casing device of Fig. 10;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ing device of Fig. 4 taken along line B-B '.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of Fig. 14. Fig.
Figs. 16 to 28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arrangement and posture of the casing device relative to the cradle. Fig.
FIG. 2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0 is a conceptu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9.
31 is a flowchart related to a method of operating a ca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flowchart of a step of executing the Raleigh poly mode of FIG.
Fig. 33 is a flowchart of the step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in Fig. 31. Fig.
34 to 37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using a ca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coordinate system)은 직교좌표계로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는 XYZ 좌표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XYZ 좌표계는 왼손방향(left handed direction)이다. 즉 왼손으로 X축에서 Y축으로 감았을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Z축이 된다.The coordinate system used herein is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s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For example, the coordinate system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XYZ coordinate system. In this specification, the XYZ coordinate system is the left handed dire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left hand is wound from the X axis to the Y axis,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thumb becomes the Z axis.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가 실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할 수 있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a ca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이동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전면 카메라(121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면을 항하며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전시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21a)는, 전면을 향하며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21a)에서 획득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파일(file)로 저장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21a)에서 획득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21a)에서 획득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다른 단말기 또는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The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전면에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안착한 상태에서 일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일정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크래들(400)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크래들(400)로부터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로부터 받는 힘은, 예를 들어 자기력(magnetic forc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로부터 받는 자기력(magnetic force)은,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움직이는 구동력(driving force)이 될 수 있다.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을 바라볼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부터 비스듬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에 대해서 회전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51)도 회전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회전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향하는 방향도 회전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크래들(400)에 구비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The
도 3은, 도 2의 케이싱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외부에서 인식되도록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이동 단말기(1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asing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The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151)가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감싸지되 디스플레이부(151)와 오버랩되는 구성은 투명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151)가 외부에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도 4는, 도 3의 케이싱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플레이트(310), 탑 플레이트(330), 리어 플레이트(340), 바텀(350), 그리고 안착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asing device of Fig. 3. Fig. 4, the
플레이트(310)는, 단차(STP)를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의 단차(STP)는, 제1 단차(STP1)와 제2 단차(STP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의 단차(STP)는,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10)의 제1 단차(STP1)에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10)의 제1 단차(STP1)와 제2 단차(STP2) 사이에 이동 단말기를 위치시킬 수 있다. The
플레이트(310)는, 제1 엣지(EDG1)와 제2 엣지(EDG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엣지(EDG1)와 제2 엣지(EDG2)는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1 엣지(EDG1)는, 제1 단차(STP1)에 인접한 플레이트(310)의 일 변일 수 있다. 제2 엣지(EDG2)는, 제2 단차(STP2)에 인접한 플레이트(310)의 다른 변일 수 있다. The
제1 엣지(EDG1)와 제2 엣지(EDG2)는,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제1 엣지(EDG1)와 제2 엣지(EDG2)는, 플레이트(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의 길이 방향은, 가로 방향일 수 있다. The first edge EDG1 and the second edge EDG2 may b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first edge EDG1 and the second edge EDG2 may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플레이트(310)는, 전면을 향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는, 이동 단말기(10)가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되면, 이동 단말기(10)의 후면을 향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단차(SPT)가 향하는 방향을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방이라 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방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음(negative)의 X축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The
리어 플레이트(340)는, 후면을 향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340)가 향하는 방향은 플레이트(310)가 향하는 방향과 정반대의 방향이 아닐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340)가 향하는 방향은 플레이트(310)가 향하는 방향과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340)는, 플레이트(310)와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34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340)는, 플레이트(310)에 이격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340)와 플레이트(310)는,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탑 플레이트(330)는, 플레이트(310)와 리어 플레이트(340)를 연결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330)는, 플레이트(310)의 제2 엣지(EDG2)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330)는, 리어 플레이트(340)의 일 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33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0)에 거치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상부(upper part)를 형성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33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바텀(350)은, 플레이트(310)와 리어 플레이트(340)를 연결할 수 있다. 바텀(350)은, 제1 단차(STP1)에 인접할 수 있다. 바텀(350)은, 플레이트(310)의 제1 엣지(EDG1)에서 제1 단차(STP1)와 오버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텀(350)은, 리어 플레이트(340)의 일 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텀(350)은, 탑 플레이트(330)와 이격될 수 있다. 바텀(350)은, 탑 플레이트(330)를 마주할 수 있다. 바텀(350)의 연장된 방향의 두께는, 탑 플레이트(330)의 연장된 방향의 두께에 비하여 두꺼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일 단에서 타 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거나 얇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사용자의 휴대감을 향상할 수 있다. The bottom 350 may connect the
안착부(305)는, 플레이트(310)와 리어 플레이트(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305)는, 플레이트(310)와 리어 플레이트(3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30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305)는, 제1 단차(STP1)와 제2 단차(SPT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5)는, 이동 단말기(10)가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안착부(305)는 이동 단말기(1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5 내지 9는, 도 4의 케이싱 디바이스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여러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5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asing device of FIG. 4 taken along line A-A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도 5는, 도 4의 케이싱 디바이스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무선충전부(wireless charging unit)와 케이싱 배터리(3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I/0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ing device of FIG. 4 taken along line A-A '; The
무선충전부(307)는, 케이싱 디바이스(3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무선충전부(307)는, 리어 플레이트(34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무선충전부(307)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가변 자기장에 반응하여 전력(electric power)을 형성시킬 수 있다. 무선충전부(307)는, 'I/O 단자'를 통해 전력(electric power)을 이동 단말기(10)로 제공될 수 있다. 무선충전부(307)는, 케이싱 배터리(302)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충전부(307)는, 이동 단말기(10)에 전력을 제공하고 이동 단말기(10)의 충전이 완료되면 케이싱 배터리(302)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케이싱 배터리(302)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싱 배터리(302)는, 'I/O 단자'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전력(electric power)을 제공할 수 잇다. 케이싱 배터리(302)는, 무선충전부(307)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플레이트(310)의 외측면은 평면(plane)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의 외측면은, 단차(STP)에 이동 단말기(10)가 안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를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의 외측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의 외측면은 전체적으로 평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310) 외측면의 일 라인(line)에서 연장된 가상의 라인(virtual line)인 수직선(VL)을 고려할 수 있다. 수직선(VL)은 플레이트(310)에서 바텀(350)을 향할 수 있다. 수직선(VL)이 바텀(350)의 외측면에 만나는 가상의 점(virtual point)인 수직점(VP)을 고려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자기결합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기장(magnetic field)에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외부 자속(magnetic flux)에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에 제공되는 자기장은, 무선충전부(307)에 제공되는 자기장과 다를 수 있다. The
자기결합부(36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바텀(35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바텀(35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바텀(36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바텀(35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수직선(VL)을 통과할 수 있다. The
자기결합부(36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자기력(magnetic force)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결합부(360)는, 철(iro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결합부(360)는, STS400계열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자기력을 제공받아 바텀(350)의 적어도 일부에 자기력을 전달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자기력을 제공받아 바텀(35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가 자기력을 제공받으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attitude)가 변경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가 자기력을 제공받으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가 자기력을 제공받으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10)의 자세 및/또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The
바텀(350)의 연장된 방향의 폭(BW)은, 탑 플레이트(330)의 연장된 방향의 폭(TW)에 비하여 클 수 있다. 바텀(350)의 연장된 방향은, 바텀(350)이 플레이트(310)와 리어 플레이트(340)을 연결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330)의 연장된 방향은, 탑 플레이트(330)가 플레이트(310)와 리어 플레이트(340)를 연결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바텀(350)의 연장된 방향의 폭(BW)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바텀(350)의 디멘전(dimension)일 수 있다. 탑 플레이트(330)의 연장된 방향의 폭(TW)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탑 플레이트(330)의 디멘전(dimension)일 수 있다. The width BW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ttom 350 can be larger than the width TW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바텀(350)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하부(lower part)에 위치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33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상부(upper part)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3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에 거치되는 경우, 크래들(400)에 접할 수 있다. 바텀(350)이 크래들(400)에 접하는 자세인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유지에 유리할 수 있다. The bottom 350 may be located at a lower part of the
바텀(350)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round) 형상일 수 있다. 바텀(350)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굽어진(bent)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350) 외측면은 라운드(rou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텀(350)의 외측면은, 바텀(350)이 외부 구조물에 접하는 면일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350 may have a round shape.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350 may be b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350 may have a round shape.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350 may be a surface where the bottom 35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tructure.
도 6은, 전면을 향할수록 두꺼워지는 자기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되는 이동 단말기(10)는, 케이싱 디바이스(10)의 전면을 향해 디스플레이부(151)가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전시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전면에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전면에 보이도록 하기 위한 자세(attitude)를 가질 수 있다. 6 is a view showing a casing device including a magnetic coupling portion which becomes thicker toward the front side.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후면이 크래들(400)을 향한 상태에서 바텀(350)을 밑으로 하여 세워지는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바텀(350)을 밑으로 하여 세워지는 과정에서, 자기결합부(360)의 영역 중 전면을 향하는 영역에 자기력이 집중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The
자기결합부(36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결합부(3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향할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결합부(360)는, 제1 단차(STP1)에 인접할수록 두꺼운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결합부(360)는, 플레이트(310)로부터 바텀(350)의 외측면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얇아지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후면측 단부 두께(TH2)를 가질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전면측 단부 두께(TH1)를 가질 수 있다. 전면측 단부 두께(TH1)는, 후면측 단부 두께(TH2)에 비하여 두꺼울 수 있다. The
자기결합부(360)가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받는 자기력은, 자기결합부(36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가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받는 자기력은, 자기결합부(360)의 두께와 양의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을 가질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가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받는 자기력은, 자기결합부(360)가 두꺼울수록 커질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가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받는 자기력은, 외부 자기장이 미치는 자기결합부(360)의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의 전면측 단부 두께(TH1)가 자기결합부(360)의 후면측 단부 두께(TH2)에 비하여 두꺼움으로써, 동일한 조건의 외부 자기장이 자기결합부(360)에 가해지면, 자기결합부(360)의 전면에 미치는 자기력의 세기가 자기결합부(360)의 후면에 미치는 자기력의 세기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자기결합부 전면측 단부 두께(TH1)가 후면측 단부 두께(TH2)에 비하여 두꺼움으로써,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 유지 또는/및 조정이 유리할 수 있다. The magnetic force received by the
도 7은, 자기결합부(360)가 제1 자기결합부와 제2 자기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casing device in which the
자기결합부(36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결합부(360)는 제1 자기결합부(361)와 제2 자기결합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자기결합부(361, 362)는, 외부 자기장(electric field)에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할 수 있다. The
제1 자기결합부(361)는, 수직점(VP)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자기결합부(362)는, 수직점(VP)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자기결합부(362)는, 수직선(VL)을 사이에 두고 제1 자기결합부(361)와 인접할 수 있다.The first
제1 자기결합부(361)는, 바텀(3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기결합부(361)는, 제2 자기결합부(362)에 비하여 제1 단차(STP1)에서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제1 자기결합부(361)는, 바텀(350)의 후면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자기결합부(361)는, 제2 자기결합부(362)에 비하여, 바텀(350)의 후면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외부 자기장에 주로(dominantly) 반응할 수 있다. The first
제1 자기결합부(361)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후면 방향 회전 또는/및 이동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자기결합부(361)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후면 방향 롤링(rolling)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자기결합부(361)는, 바텀(350)의 후면 방향 롤링(rolling)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자기결합부(361)가 바텀(350)의 후면 방향으로 자기결합을 형성하면, 바텀(350)은 후면 방향으로 롤링(rolling)할 수 있다. The first
제2 자기결합부(362)는, 바텀(3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기결합부(362)는, 제1 단차(STP1)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자기결합부(362)는, 바텀(350)의 전면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자기결합부(362)는, 제1 자기결합부(361)에 비하여, 바텀(350)의 전면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외부 자기장에 주로(dominantly) 반응할 수 있다. The second
제2 자기결합부(362)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 방향 회전 또는/및 이동에 이용될 수 있다. 제2 자기결합부(362)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 방향 롤링(rolling)에 이용될 수 있다. 제2 자기결합부(362)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 방향 롤링(rolling)에 이용될 수 있다. 제2 자기결합부(362)가 바텀(350)의 전면 방향으로 자기결합을 형성하면, 바텀(350)은 전면 방향으로 롤링(rolling)할 수 있다.The second
제1,2 자기결합부(361, 362)에 의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회전은, 축(axis)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자기결합부(361, 362)에 의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회전은, 바텀(350)의 롤링(rolling)을 수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바텀(350)이 롤링(rolling)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전체적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바텀(350)이 롤링(rolling)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스윙(swing)하는 모습을 가질 수 있다. 바텀(350)이 롤링(rolling)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을 수반할 수 있다. The rotation of the
도 8은, 도 7 케이싱 디바이스에 마그넷이 포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마그넷(magnet)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제1 마그넷(365)과 제2 마그넷(366)을 포함할 수 있다. Fig. 8 is a view showing a magnet device included in the casing device of Fig. 7; The
제1 마그넷(365)과 제2 마그넷(366)은, 외부 자기장이 없어도 자기장(magnetic field)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65)과 제2 마그넷(366)은, 외부 자속이 없어도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65)과 제2 마그넷(366)은, 외부 자기장에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65)과 제2 마그넷(366)은, 외부 자성체(magnetic material)에 자기결합할 수 있다.The
제1 마그넷(365)은, 제1 자기결합부(361)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넷(365)은, 제1 자기결합부(361)에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65)이 제1 자기결합부(361)에 자기장을 제공하면, 제1 자기결합부(361)는 제1 마그넷(365)으로부터 제공된 자기장을 증폭시킬 수 있다. 제1 자기결합부(361)에서 형성된 자기장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 유지, 후면 방향 회전, 후면 방향 이동, 그리고 롤링(rolling) 중 적어도 하나에 이용될 수 있다. The
제2 마그넷(366)은, 제2 자기결합부(362)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마그넷(366)은, 제2 자기결합부(361)에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제2 마그넷(366)이 제2 자기결합부(362)에 자기장을 제공하면, 제2 자기결합부(362)는, 제2 마그넷(366)으로부터 제공된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자기결합부(362)에 형성된 자기장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 유지, 전면 방향 회전, 전면 방향 이동, 그리고 롤링(rolling) 중 적어도 하나에 이용될 수 있다. The
도 9는, 도 7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제3 자기결합부가 포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결합부(360)는, 제1 내지 제3 자기결합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magnetic coupling part is included in the
제3 자기결합부(363)는, 바텀(3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부(363)는, 제1 자기결합부(361)와 제2 자기결합부(36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부(363)는, 수직점(VP)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부(363)는, 수직선(VL)과 만날 수 있다. The third
제3 자기결합부(363)는, 외부 자기장과 자기결합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부(363)는, 바텀(350)의 중앙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외부 자기장에 주로(dominantly) 반응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부(363)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 유지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자기결합부(363)는,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서 있는 자세를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부(363)에서 형성된 자기장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 유지, 전면 또는/및 후면 방향 회전, 전면 또는/및 후면 방향 이동, 그리고 롤링(rolling) 중 적어도 하나에 이용될 수 있다. The third
도 10은, 도 9 케이싱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기가 장착되고 바텀 케이스의 외측면이 굽어진 형상을 포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sing device of Fig. 9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case includes a bent shap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이동 단말기(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일 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에 안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이동 단말기(10)가 안착된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무게중심(COM)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가 안착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중심(COM)은, 이동 단말기(1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의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중심과 다를 수 있다. 무게중심(COM)에서 바텀(350)의 외측면에 무게 방향으로 연장한 중심선(CL)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선(CL)은 가상의(virtual)의 라인(line)일 수 있다. 중심선(CL)은, 바텀(350) 외측면과 만날 수 있다. 중심선(CL)과 바텀(350)의 외측면이 만나, 중심점(CP)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점(CP)은, 수직점(VP)에 인접할 수 있다.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350)은 굽어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350) 외측면의 단면은, 선분 형상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세그먼트(segment)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는, 연결될 수 있다. 세그먼트(segment)는,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350) 외측면 단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를 포함할 수 있다. 양 세그먼트(segment)가 인접하는 경우, 양 세그먼트가 만나는 점에 인접한 부분은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양 세그먼트가 만나는 점에 인접한 부분이 라운드 처리되면, 바텀(350)의 롤링(rolling)이 스무스(smooth)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bottom 350 may include a curved shape. The cross-s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350 may include segment segments. A plurality of segments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segments may be connected. Segments can be sequentially connected.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350 may include first through seventh segments SG1-7 connected sequentially, as shown in Fig. When both segments are adjacent, the portion adjacent to the point where both segments meet may have a round shape. I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point where both segments meet is rounded, the rolling of the bottom 350 can be smooth.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 중 적어도 하나는, 선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 중 적어도 하나는, 바텀(35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segments SG1-7 may have a line segment shap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segments SG1 to SG7 may have a depressed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bottom 350.
제1 세그먼트(SG1)는, 바텀(350) 외측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G1)는, 수직선(VL)과 만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G1)는 수직점(VP)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G1)는, 중심점(CP)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G1)는, '수평한 장소'에서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세그먼트(SG1)는, '수평한 장소'에서 서 있는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support)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한 장소(horizontal place)'는, 실질적으로 또는 전반적으로 수평 (horizontal)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한 장소(horizontal plac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수평한 장소(horizontal place)'는, 예를 들어 도 1 및 2에 도시된 크래들(400)의 상면일 수 있다. '수평한 장소(horizontal place)'는, 중심선(CL)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또는 '수평한 장소(horizontal place)'는, 중력 방향(gravitational direction)'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G1)는, '수평한 장소'와 나란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G1)는, 중심선(CL)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The first segment SG1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350. [ The first segment SG1 may meet the vertical line VL. The first segment SG1 may include a vertical point VP. The first segment SG1 may include a center point CP. The first segment SG1 can maintain the stable position of the
이동 단말기(10)가 안착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중심(COM)은, 제1 세그먼트(SG1)가 '수평한 장소'에 마주하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제1 세그먼트(SG1)의 연직 상방(vertical upward)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부(363)는, 제1 세그먼트(SG1)가 '수평한 장소'에 마주하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제1 세그먼트(SG1)의 연직 상방(vertical upward)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enter of gravity COM of the
제2 내지 제7 세그먼트(SG2-7)는, 제1 세그먼트(SG1)의 단부에서 순차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7 세그먼트(SG2-7)는, 제1 세그먼트(SG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세그먼트(SG2)는, 제1 세그먼트(SG1)의 후면 방향 단부(LSG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 중 적어도 하나는, 바텀(350)이 바텀(350)의 후면에서 롤링(rolling)하는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바텀(350)의 후면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to seventh segments SG2-7 may be sequenti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egment SG1. The second to seventh segments SG2-7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egment SG1. The second segment SG2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backward end LSG1 of the first segment SG1.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seventh segments SG1-7 may support the
바텀(350)의 외측면 단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세그먼트(SGF)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세그먼트(SGF)는, 제1 세그먼트의 전면 방향 단부(RSG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세그먼트(SGF)의 적어도 일부는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세그먼트(SGF)의 적어도 일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세그먼트(SGF)와 제1 세그먼트(SG1) 중 적어도 하나는, 바텀(350)이 전면에서 롤링(rolling)하는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수 있다. 프런트 세그먼트(SGF)와 제1 세그먼트(SG1)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바텀(350)의 전면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outer cross-section of the bottom 350 may include a front segment SGF, as shown in Fig. The front segment SGF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RSG1 of the first seg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egment (SGF) may comprise a straight line.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egment SGF may comprise a curve as shown in Fig. At least one of the front segment SGF and the first segment SG1 can support the
도 11은, 도 10 케이싱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의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의 각도(angle) 관계가 도 11에 나타난다.Fig. 11 is a view showing the geometrical shape of the casing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of Fig. 10; The angle relationship of the first to seventh segments SG1-7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 중 인접한 양 세그먼트는,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6 각도(AG1-6)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그먼트(SG1)와 제2 세그먼트(SG2)는, 제1 각도(AG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세그먼트(SG3)와 제4 세그먼트(SG4)는, 제3 각도(AG3)를 형성할 수 있다. 제7 세그먼트(SG7)와 리어 플레이트(340)의 외측면은, 제7 각도(AG7)를 형성할 수 있다. Both adjacent segments out of the first to seventh segments SG1-7 can form the first to sixth angles AG1-6 sequentially. For example, the first segment SG1 and the second segment SG2 can form the first angle AG1. For example, the third segment SG3 and the fourth segment SG4 can form the third angle AG3. The seventh segment SG7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제1 내지 제7 각도(AG1-7)는, 바텀(350)의 외관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각도(AG1-7)는,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후면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수평한 장소'에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후면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는, 리어 플레이트(340)가 '수평한 장소'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7 각도(AG1-7)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합은,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중 적어도 하나가 '수평한 장소'에 컨택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자세를 가지는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수평한 장소'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중 적어도 하나가 '수평한 장소'에 컨택한다는 것은,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중 적어도 하나가 '수평한 장소'에 마주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first to seventh angles AG1 to AG7 can form a part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bottom 350. The first to seventh angles AG1 to 7 can form the posture of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수평한 장소'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는, 리어 플레이트(340)가 '수평한 장소'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로 추산될 수 있다. The angle formed by the
예를 들어 리어 플레이트(340)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한 장소'에 대향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자세를 가지는 경우, 리어 플레이트(340)가 '수평한 장소'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는 '0(zero)'일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340)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한 장소'에 대향하는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누워 있는 자세를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t least a part of the
예를 들어 제7 세그먼트(SG7)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한 장소'에 대향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자세를 가지는 경우, 리어 플레이트(340)가 '수평한 장소'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는 '180도 - 제7 각도(AG7)'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t least a part of the seventh segment SG7 faces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예를 들어 제6 세그먼트(SG6)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한 장소'에 대향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자세를 가지는 경우, 리어 플레이트(340)가 '수평한 장소'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는 '360도 - 제6 각도(AG6) - 제7 각도(AG)'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t least a part of the sixth segment SG6 faces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제8 각도(AG8)는, 리어 플레이트(340) 외측면과 플레이트(310) 외측면이 형성하는 각도(angle)일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340) 외측면이 플레이트(310) 외측면과 나란한 경우, 제8 각도(AG8)가 '0(zero)'일 수 있다. The eighth angle AG8 may be an angl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리어 플레이트(340) 외측면의 연장선(341)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340) 외측면의 연장선(341)은 가상의 선(virtual line)일 수 있다. 플레이트(310) 외측면의 연장선(311)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10) 외측면의 연장선(311)은 가상의 선(virtual line)일 수 있다. 제8 각도(AG8)가 '0(zero)'보다 큰 경우, 제8 각도(AG8)는, 리어 플레이트(340) 외측면의 연장선(341)과 플레이트(310) 외측면의 연장선(311)이 만나서 형성하는 각도(angle)를 의미할 수 있다. An extension line 341 of the outer surface of the
제8 각도(AG8)는, 케이싱 디바이스(300) 후면 측의 형상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8 각도(AG8)는, 케이싱 디바이스(300) 후면에 대한 이동 단말기(10) 전면이 형성하는 각도에 관련될 수 있다. 제8 각도(AG8)는,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수평한 장소'에 누워있는 자세를 가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10)가 '수평한 장소'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에 관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수평한 장소'에 누워있는 자세를 가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바텀(350)에 인접한 부분이 들려진 상태로 '수평한 장소'에 대하여 제8 각도(AG8)를 형성할 수 있다. The eighth angle AG8 can form a part of the shape of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제1 내지 제8 각도(AG1-8)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합은,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후면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가 '수평한 장소'에 대해 가지는 자세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세그먼트(SG6)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한 장소'에 건택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자세를 가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탑 플레이트(330)에 인접한 부분이 들려진 상태로 '수평한 장소'에 대해 '180도 - 제7 각도(AG7) - 제8 각도(AG8)'를 형성할 수 있다. '180도 - 제7 각도(AG7) - 제8 각도(AG8)'가 '0(zero)'인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수평한 장소'에 나란할 수 있다. '180도 - 제7 각도(AG7) - 제8 각도(AG8)'가 음(negative)인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바텀(350)에 인접한 부분이 들려진 상태일 수 있다.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combinations of the first to eighth angles AG1 to AG8 may be set such that when the
예를 들어 제6 세그먼트(SG6)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한 장소'에 건택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자세를 가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탑 플레이트(330)에 인접한 부분이 들려진 상태로 '수평한 장소'에 대해 '360도 - 제6 각도(AG6) - 제7 각도(AG7) - 제8 각도(AG8)'를 형성할 수 있다. '360도 - 제6 각도(AG6) - 제7 각도(AG7) - 제8 각도(AG8)'가 '0(zero)'인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수평한 장소'에 나란할 수 있다. '360도 - 제6 각도(AG6) - 제7 각도(AG7) - 제8 각도(AG8)'가 음(negative)인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바텀(350)에 인접한 부분이 들려진 상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t least a part of the sixth segment SG6 is picked up in a 'horizontal place' so that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바텀(350)이 롤링함으로써, 변환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바텀(350)이 롤링함으로써,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자세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세그먼트(SG6)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한 장소'에 대향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가지는 자세를 제1 자세라 하고, 제7 세그먼트(SG7)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한 장소'에 대향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제2 자세라 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10)는 바텀(350)에 인접한 부분이 들려진 상태에서 '수평한 장소'에 대해 '360도 - 제6 각도(AG6) - 제7 각도(AG7) - 제8 각도(AG8)'와 '180도 - 제7 각도(AG7) - 제8 각도(AG8)' 사이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The
도 12는, 도 10 케이싱 디바이스에 마그넷이 포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제1 내지 제3 마그넷(365, 366, 36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마그넷(365, 366, 367)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마그넷(365, 366, 367)은,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65)은, 제1 자기결합부(361)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마그넷(366)은, 제2 자기결합부(362)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마그넷(367)은, 제3 자기결합부(363)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부(363)는 제3 마그넷(367)으로부터 제공된 자기장을 증폭시킬 수 있다. Fig. 12 is a view showing a magnet device included in the casing device of Fig. 10; As shown in Fig. 12, the
도 13은, 도 4의 케이싱 디바이스를 B-B'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B-B'는, 제3 자기결합부(363)를 자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자기결합부(363)는, 복수 개의 서로 이격된 자기결합 피스(magnetic coupling pie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자기결합부(363)는, 제3 자기결합 중앙 피스(363a), 제3 자기결합 좌측 피스(363b), 그리고 제3 자기결합 우측 피스(363c)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ing device of Fig. 4 taken along line B-B '. Fig. B-B 'can cut the third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자기결합부(361, 362)는, 복수 개의 이격된 자기결합 피스(magnetic coupling piece)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기결합부(361)는, 제1 자기결합 중앙 피스(361a), 제1 자기결합 좌측 피스(361b), 그리고 제1 자기결합 우측 피스(361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자기결합부(362)는, 제2 자기결합 중앙 피스(362a), 제2 자기결합 좌측 피스(362b), 그리고 제2 자기결합 우측 피스(362c)를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중앙 자기결합 피스는, 제1 자기결합 중앙 피스(361a), 제2 자기결합 중앙 피스(362a), 그리고 제3 자기결합 중앙 피스(363a)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자기결합 피스는, 제1 자기결합 좌측 피스(361b), 제2 자기결합 좌측 피스(362b), 그리고 제3 자기결합 좌측 피스(363b)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자기결합 피스는, 제1 자기결합 우측 피스(361c), 제2 자기결합 우측 피스(362c), 그리고 제3 자기결합 우측 피스(363c)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magnetic coupling piece may include a first magnetic coupling center piece 361a, a second magnetic coupling center piece 362a, and a third magnetic
중앙 자기결합 피스(360a)는, 상기 1 엣지의 중앙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자기결합 피스(360b)와 우측 자기결합 피스(360c)는, 중앙 자기결합 피스(360a)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자기결합 피스(360b), 중앙 자기결합 피스(360a), 그리고 우측 자기결합피스(360c)는, 제1 엣지(EDG1)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enter
복수 개의 이격된 자기결합 피스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길이 방향은, 탑 플레이트(330)에서 바텀(350)을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길이 방향은, 바텀(350)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길이 방향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10)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을 나란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paced magnetic coupling piece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제3 자기결합부(363)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지며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3 자기결합부(363)가 복수 개의 자기결합 피스로 구성되는 경우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기력이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지점(point)을 중심으로 미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지점(point)은, 자기결합 피스가 위치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 중앙 피스(363a), 제3 자기결합 좌측 피스(363b), 그리고 제3 자기결합 우측 피스(363c)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정렬(alignment)에 용이할 수 있다.When the third
제3 자기결합 중앙 피스(363a)는, 제3 자기결합 좌측 피스(363b)와 제3 자기결합 우측 피스(363c)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자기결합 좌측 피스(363b)와 제3 자기결합 우측 피스(363c)는, 제3 자기결합 중앙 피스(363a)를 사이에 둔 자기결합 피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자기결합 좌측 피스(363b)와 제3 자기결합 우측 피스(363c)를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좌측(left)'과 '우측(right)'의 의미는,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The third magnetic
도 14는, 도 1의 크래들(4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400)은, 크래들 상판(410), 클래들 바디(420), 그리고 회전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 14 is a view showing the
크래들 바디(420)는, 크래들(4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크래들 상판(410)은, 크래들 바디(42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크래들 상판(410)은, 크래들 바디(4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크래들 상판(410)은, 크래들(400)의 상면(上面)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크래들 상판(410)은,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거치되는 공간 또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크래들 상판(410)은,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거치되는 '수평한 장소'일 수 있다. The
회전유닛(430)은, 크래들 바디(420)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유닛(430)의 적어도 일부(430)는, 크래들 상판(41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유닛(430)은, 크래들 바디(420)의 밑면을 기준으로 크래들 상판(410)에 비하여 높을 수 있다. The
회전유닛(430)은, 크래들 바디(42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유닛(430)은, 크래들 상판(41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유닛(430)은,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거치되는 공간 또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회전유닛(430)의 상면(上面)은,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거치되는 '수평한 장소'일 수 있다. The
도 15는, 도 14 크래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400)은, 크래들 상판(410), 크래들 바디(420), 회전유닛(430), 크래들 PCB(405), 무선전력 제공부(440), 그리고 자기제공부(407)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of Fig. 14. Fig. 15, the
크래들 상판(410)은, 크래들 바디(42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크래들 상판(410)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plane)일 수 있다. 크래들 상판(410)은, 구멍 형상의 크래들 상판 개구부(411)을 일 측에 형성할 수 있다. 회전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크래들 상판 개구부(411)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radle
회전유닛(430)은, 회전유닛 상판(431), 회전유닛 바디(433), 회전유닛 구동부(435), 그리고 회전유닛 지지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회전유닛 상판(431)은, 회전유닛(4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유닛 상판(431)은, 회전유닛 바디(433)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유닛 상판(431)은, 원(circl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유닛 상판(431)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plane)일 수 있다. 회전유닛 상판(431)은,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거치되는 '수평한 장소'일 수 있다. 회전유닛 상판(431)은, 크래들 상판(410)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회전유닛 상판(431)은, 크래들 상판(4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유닛 상판(431)의 회전시 회전유닛 상판(431)의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의 방향은, 회전유닛 상판(431)이 형성하는 평면에 수직일 수 있다.The rotating unit
회전유닛 바디(433)는, 회전유닛 상판(431)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유닛 바디(433)는, 회전유닛 구동부(435)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유닛 바디(433)는, 회전유닛 구동부(435)로부터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회전유닛 바디(435)는, 자기제공부(407)의 일부가 배치되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회전유닛 구동부(435)는, 회전유닛 바디(433)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유닛 구동부(435)는, 회전유닛 바디(433)와 회전유닛 상판(431)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유닛 구동부(435)는, 회전유닛 상판(43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유닛 구동부(435)는, 회전유닛 바디(433)를 통해 회전유닛 상판(43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유닛 구동부(435)는, 회전유닛 지지부(437)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유닛 구동부(435)는, 회전유닛 지지부(437)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유닛 구동부(435)는, 전기 모터(electric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ng
회전유닛 지지부(437)는, 회전유닛 구동부(437)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유닛 지지부(437)는, 크래들 바디(420)의 일 측에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다. The rotation
크래들 PCB(405)는, 크래들 바디(42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크래들 PCB(405)는, 회로기판일 수 있다. 크래들 PCB(405)는, 플렉시블한 회로기판일 수 있다. 크래들 PCB(405)는, 이동 단말기(10)와 통신할 수 있는 크래들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 PCB(405)는, 자기제공부(407), 회전유닛(430), 그리고 무선전력 제공부(440)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크래들 PCB(405)는,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The
무선전력 제공부(440)는, 크래들 바디(42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제공부(440)는, 크래들 상판(41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제공부(44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무선전력 제공부(440)는, 이동 단말기(10) 또는 케이싱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제공부(440)가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식은, 패러데이 법칙을 근거로 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제공부(440)는,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제공부 코일(411)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제공부 코일(411)은, 가변 자기장(variable magnetic field)을 형성할 수 있다. The
자기제공부(407)는, 크래들 바디(42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자기제공부(407)는, 외부에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자기제공부(407)는, 크래들 상판(410) 측에 거치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와 자속(magnetic flux)을 제공할 수 있다. 자기제공부(407)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와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할 수 있다. 자기제공부(407)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자기력(magnetic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The
자기제공부(407)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제공부(407)는, 중앙 자기제공부(450), 좌측 자기제공부(460), 그리고 우측 자기제공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좌측 자기제공부(460)와 우측 자기제공부(4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자기제공부(460)와 우측 자기제공부(470)를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좌측(left)'과 '우측(right)'의 의미는,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좌측 자기제공부(460), 중앙 자기제공부(450), 그리고 우측 자기제공부(470)는, 일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The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회전유닛 바디(433)에 형성된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크래들 상판(4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회전유닛 상판(43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회전유닛 구동부(435)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회전유닛 상판(431)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회전유닛 구동부(435)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회전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The central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그리고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는,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와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 그리고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가 배열된 방향은, 좌측 자기제공부(460), 중앙 자기제공부(450), 그리고 우측 자기제공부(470)가 배열된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에서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를 향하는 방향은, 크래들(400)의 후면일 수 있다.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에서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를 향하는 방향은, 크래들(400)의 전면일 수 있다. 도 15에서 크래들(400)의 후면은, 양의(positive)의 X축 방향일 수 있다. The central
좌측 자기제공부(46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자기제공부(460)는, 제1 좌측 자기제공부(461), 제2 좌측 자기제공부(462), 그리고 제3 좌측 자기제공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좌측 자기제공부(463)는, 제1 좌측 자기제공부(461)와 제2 좌측 자기제공부(4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좌측 자기제공부(462)에서 제1 좌측 자기제공부(461)를 향하는 방향은, 크래들(400)의 후면일 수 있다. 제1 좌측 자기제공부(461), 제3 좌측 자기제공부(463), 그리고 제2 좌측 자기제공부(462)가 배열된 방향은, 좌측 자기제공부(460), 중앙 자기제공부(450), 그리고 우측 자기제공부(470)가 배열된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The left
우측 자기제공부(46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자기제공부(470)는, 제1 우측 자기제공부(471), 제2 우측 자기제공부(472), 그리고 제3 우측 자기제공부(4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우측 자기제공부(473)는, 제1 우측 자기제공부(471)와 제2 우측 자기제공부(4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우측 자기제공부(472)에서 제1 우측 자기제공부(471)를 향하는 방향은, 크래들(400)의 후면일 수 있다. 제1 우측 자기제공부(471), 제3 우측 자기제공부(473), 그리고 제2 우측 자기제공부(472)가 배열된 방향은, 좌측 자기제공부(460), 중앙 자기제공부(450), 그리고 우측 자기제공부(470)가 배열된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The right
도 16 내지 28은, 크래들에 대한 케이싱 디바이스의 배치 및 자세에 관한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s. 16 to 28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arrangement and posture of the casing device relative to the cradle. Fig.
도 16은,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 위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0) 위에 거치될 수 있다. 크래들(400) 위에 거치된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초기에 클래들(400) 위에서 무질서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자기제공부(407)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일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좌표계는, 크래들(400)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16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 상판(431)은, 회전유닛 상판(431)의 일 지점에 가상의(virtual) 회전유닛 상판 기준점(431RFP)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유닛 상판 기준점(431RFP)은, 예를 들어 회전유닛 상판(431)의 중심이 될 수 있다. 회전유닛 상판 기준점(431RFP)은, 회전유닛 상판(431)에 거치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배치 상태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회전유닛 상판 기준점(431RFP)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그리고 위쪽으로 배치된 상태이다. 도 16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조정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회전유닛 상판(431)에 대하여 특정 위치에 오도록 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 the rotating unit
도 17은, 도 16을 C-C'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 케이싱 디바이스와 자기제공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300)와 중앙 자기제공부(450)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좌표계는, 크래들(400)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6 taken along line C-C '.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sing device and the magnetism-providing portion in Fig. 16; 17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자기제공부(45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결합부(360)는, 중앙 자기제공부(45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자기제공부(45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면, 자기제공부(450)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 유지 및/또는 롤링을 하는데 곤란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의 적어도 일부가 자기제공부(45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The
자기결합부(360)에 제공되는 자기력(magnetic force)의 크기는, 자기결합부(360)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자기결합부(360)와 자기제공부(407) 사이 거리에 음의 상관관계(negative correlation)을 가질 수 있다.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provided to the
자기결합부(360)는,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그리고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 중에서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와 가장 인접할 수 있다.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그리고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가 동일한 세기의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하면, 자기결합부(360)는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로부터 가장 큰 자기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그리고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는, 각각 전자석(electromagnet)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electromagnet)은, 코일과 철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철심(iron core)은, 강자성체(ferromagnetic matter)를 의미할 수 있다. The first central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는, 전류(electric current)가 입력되는 제1입력코일단자(451a), 제1 입력코일단자(451a)에서 제공된 전류가 출력되는 출력코일단자(451b), 그리고 제1 입력코일단자(451a)에서 입력된 전류에 의해 감싸지는 형상의 제1 철심(45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코일단자(451b)에 전류가 입력되면,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의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극성(polarity)은 바뀔 수 있다. The first central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는, 전류(electric current)가 입력되는 제2입력코일단자(452a), 제2 입력코일단자(452a)에서 제공된 전류가 출력되는 출력코일단자(452b), 그리고 제2 입력코일단자(452a)에서 입력된 전류에 의해 감싸지는 형상의 제2 철심(45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력코일단자(452b)에 전류가 입력되면,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의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극성(polarity)은 바뀔 수 있다.The second central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는, 전류(electric current)가 입력되는 제3입력코일단자(453a), 제3 입력코일단자(453a)에서 제공된 전류가 출력되는 출력코일단자(453b), 그리고 제3 입력코일단자(453a)에서 입력된 전류에 의해 감싸지는 형상의 제3 철심(45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출력코일단자(453b)에 전류가 입력되면,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의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극성(polarity)은 바뀔 수 있다.The third
바텀(350)의 외측면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와 프런트 세그먼트(SGF)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세그먼트(SGF)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와 제2 프런트 세그먼트(SGF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는, 제1 세그먼트(SG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는, 제1 세그먼트(SG1)에서 플레이트(310)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는, 선분 형상일 수 있다.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는, 바텀(35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는, 제1 세그먼트(SG1)과 제2 프런트 세그먼트(SGF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세그먼트(SGF2)는,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350 may include the first to seventh segments SG1-7 and the front segment SGF, as shown in Fig. The front segment SGF may include a first front segment SGF1 and a second front segment SGF2, as shown in Fig.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segment SG1.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first segment SG1 toward the
도 18은, 도 16의 케이싱 디바이스를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자기제공부(407)가 작동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자기력을 제공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도 16에 도시된 배치에서 도 18에 도시된 배치로 변경될 수 있다.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ing device of Fig. 16 is moved. 17 operates to provide magnetic force to the
도 17에 도시된 자기제공부(407)는, 중앙 자기제공부(450)일 수 있다. 중앙 자기제공부(450)는,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그리고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그리고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 중에서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에 인접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주로(dominantly)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에 자기결합할 수 있다. 17 may be the center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는, 제1 자기결합부(361), 제2 자기결합부(362), 그리고 제3 자기결합부(363) 중에서 제1 자기결합부(361)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는 주로 제1 자기결합부(361)에 자기결합할 수 있다. The first central
제1 내지 제7 세그먼트(SG1-7)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자기결합부(361)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세그먼트(SG6)는, 제1 자기결합부(361)에 인접할 수 있다. 제6 세그먼트(SG6)는, 크래들(400)의 상면(上面)에 대향할 수 있다. 제6 세그먼트(SG6)는, 회전유닛 상판(431)에 컨택(contact)하거나 대향할 수 있다. 제6 세그먼트(SG6)는, 제1 자기결합부(361)와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에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랩되는 방향은, 중력 방향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segments SG1-7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제6 세그먼트(SG6)는,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수 있다. 작용점(POA)은, 회전유닛 상판(431)에 대향하는 제6 세그먼트(SG6)의 지점 중에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기울어진 방향인 후면에 가장 인접한 지점일 수 있다. The sixth segment SG6 can support the
제6 세그먼트(SG6)가 회전유닛 상판(431)에 대향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자세를 유지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크래들(400)의 상면(上面) 또는 회전유닛 상판(431)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의 상면(上面) 또는 회전유닛 상판(431)에 대하여 기울어지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torque)가 발생한다. 자기결합부(360)와 자기제공부(407)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결합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에 대응되는 힘을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와 이동 단말기(10)의 무게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When the sixth segment SG6 is opposed to the rotating unit
무게중심 거리(DSTC)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중심(COM)에서 작용점(POA)까지의 선분을 의미할 수 있다. 무게중심 거리(DSTC)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중심(COM)에서 작용점(POA)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무게중심 각도(AGC)는, 무게중심 거리(DSTC)와 크래들(400) 상면(上面) 사이에 형성된 각도(angle)를 의미할 수 있다. The center-of-gravity distance DSTC may refer to a line segment from the center of gravity COM of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와 양의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질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가 작을수록,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자기력이 작아질 수 있다.The torque due to the weight of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는, 무게중심 거리(DSTC)와 양의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질 수 있다. 무게중심 거리(DSTC)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중심(COM)이 바텀(350)에 가까울수록, 작아질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중심(COM)이 바텀(350)에 가까울수록,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자기력이 작아질 수 있다. The torque due to the weight of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는, 무게중심 각도(AGC)에 코사인 함수(cosine function)을 취한 값과 양의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질 수 있다. The torque due to the weight of the
도 20은, 도 19 자기제공부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서, 자기제공부(407)에서 형성되는 자기장(magnetic field)의 세기는, 크래들(400)의 상면(上面)의 지점 중에서 자기제공부(407)에 인접한 지점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크래들(400)의 상면(上面)의 지점 중에서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에 인접한 지점에서 측정된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Fig. 20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of a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magnetically assisted magnetic recording system of Fig. 19; Fig. 20,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제1 자기장 세기(MFS1)는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1 좌측 자기제공부(461), 제1 우측 자기제공부(471)에서 형성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자기장 세기(MFS2)는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제2 좌측 자기제공부(462), 제2 우측 자기제공부(472)에서 형성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자기장 세기(MFS3)는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 제3 좌측 자기제공부(463), 제3 우측 자기제공부(473)에서 형성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제1 자기제공부(451)에 중첩하여 크래들(400)의 상면(上面)에 대향하여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1 자기장 세기(MFS1)이 제2 및 제3 자기장 세기(MFS2,3)에 비하여 클 수 있다. The first magnetic field intensity MFS1 may mea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first central
도 20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자기장 세기(MFS1-3)는,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후면 측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가 도 17의 상태에서 도 19의 상태로 변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3 자기장 세기(MFS1-3)는 최적을 위해 조절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gnetic field strengths MFS1-3 shown in Fig. 20 may be for maintaining the
도 21은 도 19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전면을 향해 롤링하여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전면을 향해 롤링(rolling)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바텀(350)은 전면을 향해 롤링(rolling)할 수 있다. 바텀(350)이 전면을 향해 롤링함에 따라, 제6 세그먼트(SG6)에 비하여 전면 방향에 위치한 제4 세그먼트(SG4)가 크래들(400) 상면에 대향할 수 있다. 제4 세그먼트(SG4)가 크래들(400) 상면에 대향함에 따라,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크래들(400) 상면에 대한 각도는, 도 19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크래들(400) 상면에 대한 각도에 비하여 클 수 있다.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바텀(350)이 전면을 향해 롤링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 상면에 대해 후면으로 기울어진 정도는 감소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 상면에 대해 후면으로 기울어진 정도가 달라짐에 따라,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torque)가 달라질 수 있다. When the bottom 350 is rolled toward the front, the extent to which the
도 21에 도시된 무게중심 거리(DSTC)는, 도 19에 도시된 무게중심 거리(DSTC)에 비하여 많은 차이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무게중심 거리(DSTC)는 도 19에 도시된 무게중심 거리(DSTC)에 비하여 클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무게중심 거리(DSTC)와 도 19에 도시된 무게중심 거리(DSTC)의 차이는 무시할 수준으로 볼 수 있다. The center-of-gravity distance DSTC shown in Fig. 21 may not be much different from the center-of-gravity distance DSTC shown in Fig. The center-of-gravity distance DSTC shown in FIG. 21 may be larger than the center-of-gravity distance DSTC shown in FI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of-gravity distance (DSTC) shown in FIG. 21 and the center-of-weight distance (DSTC) shown in FIG. 19 can be regarded as negligible.
도 21에 도시된 무게중심 각도(AGC)는, 도 19에 도시된 무게중심 작도(AGC)에 비하여 클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무게중심 각도(AGC)에 코사인 함수를 취한 값은, 도 19에 도시된 무게중심 각도(AGC)에 코사인 함수를 취한 값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The center-of-gravity angle (AGC) shown in Fig. 21 may be larger than the center-of-gravity construction (AGC) shown in Fig. The value obtained by taking the cosine function for the center-of-gravity angle (AGC) shown in Fig. 21 may be smaller than the value obtained by taking the cosine function for the center-of-gravity angle (AGC) shown in Fig.
도 21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는, 도 19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자기력은, 도 19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자기력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The torque due to the weight of the
도 22는 도 21 자기제공부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바텀(350)이 전면을 향해 롤링하도록 전면에 위치하는 자기제공부(407)의 자속(magnetic flux)이 클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및 제3 자기장 세기(MFS2,3)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자기장 세기(MFS1)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자기장 세기(MFS2,3)는, 제1 자기장 세기(MFS1)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즉 바텀(35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2 자기제공부의 자기장 세기 및 제3 자기제공부의 자기장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바텀(350)을 전면으로 롤링할 수 있다. FIG. 22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of a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magnetic supplier of FIG. 21; FIG. It may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magnetic flux of the
여기서 제1 자기제공부는,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1 좌측 자기제공부(461), 제1 우측 자기제공부(47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자기제공부는,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제2 좌측 자기제공부(462), 제2 우측 자기제공부(47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자기제공부는,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 제3 좌측 자기제공부(463), 제3 우측 자기제공부(473)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magnetic provision unit may include a first central
도 23은 도 21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전면을 향해 롤링하여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전면을 향해 롤링할 수 있다. 바텀(350)이 전면을 향해 롤링함에 따라, 제4 세그먼트(SG4)에 비하여 전면 방향에 위치한 제1 세그먼트(SG1)가 크래들(400) 상면에 대향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801)은, 이동 단말기(10)를 정면으로 응시할 수 있다.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23에 도시된 자기제공부(407)는, 중앙 자기제공부(450)일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제1 중앙 자기제공부(451), 제2 중앙 자기제공부(452), 그리고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 중에서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에 인접할 수 있다. 자기결합부(360)는, 주로(dominantly)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에 자기결합할 수 있다.23 may be the central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는, 제1 자기결합부(361), 제2 자기결합부(362), 그리고 제3 자기결합부(363) 중에서 제3 자기결합부(361)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는 주로 제3 자기결합부(363)에 자기결합할 수 있다.The third central
제1 세그먼트(SG1)는, 회전유닛 상판(431)에 컨택(contact) 또는 대향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G6)는, 제3 자기결합부(363)와 제3 중앙 자기제공부(453)에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랩되는 방향은, 중력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segment SG1 can be contacted or opposed to the rotating unit
무게중심(COM)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그먼트(SG1)의 연직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1 세그먼트(SG1)와 만날 수 있다. 중심점(CP)은, 제1 세그먼트(SG1)의 일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중심점(CP)이 제1 세그먼트(SG1)에 위치함에 따라,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torque)는 '0(zero)'이 될 수 있다. The center of gravity COM may be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first segment SG1, as shown in Fig. The center line CL can meet with the first segment SG1. The center point CP may be formed at one point of the first segment SG1. As the center point CP is located in the first segment SG1, the torque due to the weight of the
다시 말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는 안정적(stable)일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가 안정적이다'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미소한 외란(small disturbance)이 형성되어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흔들리더라도 마찰에 의해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흔들리는 정도가 점차 감소함을 의미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안정도(stability)'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가 안정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osture of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안정도(stability)는, 제1 세그먼트(SG1)의 양 단 사이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G1)의 양 단 사이의 거리는, 제1 세그먼트(SG1)에 인접한 양 세그먼트의 길이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그먼트(SG1)의 양 단 사이의 거리는, 제2 세그먼트(SG2)의 양 단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그먼트(SG1)의 양 단 사이의 거리는, 제1 프런트 세그먼트(SFG1)의 양 단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The stability of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안정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자기제공부(407)에서 제공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도 21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자기제공부(407)에서 제공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When the
도 24는, 도 23 자기제공부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기제공부(407)에서 형성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전체적으로 도 22에 도시된 자기제공부(407)에서 형성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제3 자기결합부(363)에 인접한 제3 자기제공부에서 형성하는 자기력은, 제1 및 제2 자기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자기력에 비하여 클 수 있다. Fig. 24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magnetism-imparting portion of Fig. 23; As shown in FIG. 24,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도 25는, 도 23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전면을 향해 롤링하여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텀(350)이 전면을 향해 롤링함에 따라, 제1 세그먼트(SG1)에 비하여 전면 방향에 위치한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가 크래들(400) 상면에 컨택 또는 대향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801)은, 이동 단말기(10)를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응시할 수 있다. 2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무게중심(COM)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 보다 전면을 향해 위치할 수 있다. 작용점(POA)은,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의 전면 방향 단부 지점일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전면 방향으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torque)가 발생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자기력이 필요할 수 있다. The center of gravity COM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as shown in Fig. The point of action POA may be the front end end point of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A torque may be generated due to the weight of the
무게중심(COM)이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중심선(CL)이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와 만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중심점(CP)은,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의 일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중심점(CP)이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에 위치함에 따라,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torque)는 '0(zero)'이 될 수 있다. 즉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는 안정적(stable)일 수 있다.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center of gravity COM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A case where the center line CL meets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can be considered. The center point CP may be formed at one point of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As the center point CP is located in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the torque due to the weight of the
무게중심(COM)이 제1 세그먼트(SG1)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하면,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가 크래들(400) 상면에 마주하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때 중심점(CP)이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 상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center of gravity COM is located closer to the first segment SG1,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가 크래들(400) 상면에 마주하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때 중심점(CP)이 제1 세그먼트(SG1) 상에 위치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를 후면 방향으로 받게 되어 후면 방향으로 롤링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제1 세그먼트(SG1)가 크래들(400) 상면에 마주하는 자세를 기준으로 안정될 수 있다.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무게중심(COM)이 제1 세그먼트(SG1)에 보다 근접하면, 제1 프런트 세그먼트(SGF1)가 크래들(400) 상면에 마주하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때 중심점(CP)이 제1 세그먼트(SG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When the center of gravity COM is closer to the first segment SG1 the first front segment SGF1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26은, 도 25 자기제공부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자기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자기력은, 제1 자기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자기력에 비하여 클 수 있다. Fig. 26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magnetically-supplied portion of Fig. 25; As shown in Fig. 26, the magnetic force provided by the second magnetic carrier can be larger than the magnetic force provided by the first magnetic carrier.
제2 자기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자기력이 크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전면을 향해 당기는 힘이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후면을 향해 당기는 힘에 비하여 크도록 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전면을 향해 롤링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orce for pulling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도 25에 도시된 자세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자기장 세기(MFS2)를 감소시킬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자기장 세기(MFS2)를 감소시키고 제1 자기장 세기(MFS1)을 증가시켜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도 25에 도시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 may be a need to reduce the second magnetic field strength MFS2 while the
도 27은 도 23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후면을 향해 롤링하여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후면을 향해 롤링할 수 있다. 바텀(350)이 후면을 향해 롤링하면, 제1 세그먼트(SG1)에 비하여 후면 방향에 위치한 제2 세그먼트(SG2)가 크래들(400) 상면에 마주하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801)은, 이동 단말기(10)를 위로 경사진 방향으로 응시할 수 있다. Fig. 2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무게중심(COM)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그먼트(SG2)보다 후면을 향해 위치할 수 있다. 작용점(POA)은, 제2 세그먼트(SG2)의 후면 방향 단부 지점일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후면 방향으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torque)가 발생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자기력이 필요할 수 있다. The center of gravity COM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econd segment SG2, as shown in Fig. The point of action POA may be a rearward end point of the second segment SG2. A torque may be generated due to the weight of the
무게중심(COM)이 제2 세그먼트(SG2)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2 세그먼트(SG2)와 만날 수 있다. 중심점(CP)은, 제2 세그먼트(SG2)의 일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중심점(CP)이 제2 세그먼트(SG2) 상에 위치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는 안정적일 수 있다. The case where the center of gravity COM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second segment SG2 can be considered. The center line CL can meet with the second segment SG2. The center point CP may be formed at one point of the second segment SG2. If the center point CP is located on the second segment SG2, the attitude of the
무게중심(COM)이 제1 세그먼트(SG2)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하면, 제2 세그먼트(SG2)가 크래들(400) 상면에 마주하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때 중심점(CP)이 제2 세그먼트(SG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When the center of gravity COM is located closer to the first segment SG2 the second segment SG2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제2 세그먼트(SG2)가 크래들(400) 상면에 마주하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때 중심점(CP)이 제1 세그먼트(SG1) 상에 위치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무게로 인한 토크를 후면 방향으로 받게 되어 전면 방향으로 롤링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제1 세그먼트(SG1)가 크래들(400) 상면에 마주하는 자세를 기준으로 안정될 수 있다.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center segment CP is located on the first segment SG1 when the second segment SG2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무게중심(COM)이 제1 세그먼트(SG1)에 보다 근접하면, 제2 세그먼트(SGF1)가 크래들(400) 상면에 마주하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지지할 때 중심점(CP)이 제1 세그먼트(SG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When the center of gravity COM is closer to the first segment SG1, the second segment SGF1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25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더 고려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도 23에 도시된 자세에서 전면을 향해 롤링하여 도 25에 도시된 자세를 가지고, 도 25에 도시된 자세에서 후면을 향해 롤링하여 도 23에 도시된 자세를 가지며, 도 23에 도시된 자세에서 후면을 향해 롤링하여 도 27에 도시된 자세를 가지고, 다시 도 23에 도시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user) 또는 관측자(observer)는,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도 23에 도시된 자세에서 전후로 스윙(swing) 또는 롤링(rolling)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25, the
도 28은, 도 27 자기제공부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자기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자기력은, 제2 자기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자기력에 비하여 클 수 있다. Fig. 28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of a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magnetic support of Fig. 27; Fig. As shown in Fig. 28, the magnetic force provided by the first magnetic carrier can be larger than the magnetic force provided by the second magnetic carrier.
제1 자기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자기력이 크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후면을 향해 당기는 힘이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전면을 향해 당기는 힘에 비하여 크도록 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후면을 향해 롤링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orce of pulling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도 27에 도시된 자세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자기장 세기(MFS1)를 감소시킬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자기장 세기(MFS1)를 감소시키고 제2 자기장 세기(MFS2)를 증가시켜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도 27에 도시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It may be necessary to reduce the first magnetic field strength MFS1 while the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이동 단말기를 바라본 개념도이다.FIG. 2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0 is a conceptu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9.
이동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9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도 30을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 the disclosed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body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referring to the
이동 단말기(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는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런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런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In some cases, electronic components may also be mounted o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when the
이동 단말기(1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가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이동 단말기(1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런트 케이스(101) 사이,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동 단말기(1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121a), 제1 조작유닛(123a),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이어폰잭(13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마이크로폰(122), 이어폰잭(130) 및 인터페이스부(160)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30, a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These configurations may be excluded or replaced as needed, or placed on different planes. For example,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may be a metal wire .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inside the display.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29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런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The window 151a of the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제1 (123a)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조작유닛(123a)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유닛(123a)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123a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s an example of the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제1 조작유닛(123a)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figure, the
한편, 이동 단말기(1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antenna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For exampl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see FIG. 1)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Alternatively,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 for supplying power to the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이동 단말기(1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The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 작동 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 작동 방법(S10)은,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10)의 제어부(180)에 의해 의할 수 있다. 31 is a flowchart related to a method of operating a ca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asing device (S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케이싱 디바이스 작동 방법(S10)은, 제어부(180)에 의해 크래들 거치 모드인지 판별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크래들 거치 모드'는, 이동 단말기(10)가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되어 크래들(400)에 거치되어 작동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The casing device operation method S10 may include a step S1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casing device is in the cradle mounting mode by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이동 단말기(10)가 안착될 때, 케이싱 디바이스(300)와 이동 단말기(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부(160)에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와 이동 단말기(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파로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가 크래들 거치 모드임을 알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와 이동 단말기(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전파로 연결되지 않으면, 사용자(user)는 이동 단말기(10)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여 크래들 거치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크래들 거치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가 크래들 거치 모드임을 알 수 있다. When the
케이싱 디바이스 작동 방법(S10)은, 제어부(180)에 의해 카메라 트래킹 모드인지 판별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트래킹 모드'는, 이동 단말기(10)의 카메라(121)가 특정 타겟(target)을 추적하며 이미지 또는 영상을 획득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casing device operation method S10 may include a step S2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de is the camera tracking mode by the
케이싱 디바이스 작동 방법(S10)은, 제어부(180)에 의해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롤리 폴리 모드'는,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 상면에서 기본 자세를 가지되, 이동 단말기(10)의 상태에 변화가 감지되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전후로 롤링(rolling)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casing device operating method (S10) may include a step (S300) of executing the Raleigh poly mode by the control unit (180). The 'rolled poly mode' is a mode in which the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는, 배터리(191)의 충전 완료, 메시지의 수신, 메신저의 수신, 이메일의 수신, 다운로드의 완료, 전화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e change of the
이동 단말기(10)의 상태가 변화될 때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전후로 롤링하면, 사용자(user)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움직임을 보고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이동 단말기(10) 상태 변화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롤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이동 단말기(10)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비하여 이동 단말기(10)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 앞뒤로 롤링하는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이동 단말기(10)가 이메일을 수신한 경우에 비하여 다운로드를 완료한 경우에 앞뒤로 롤링하는 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The
케이싱 디바이스 작동 방법(S10)은, 제어부(180)에 의해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user)가 이동 단말기(10)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여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특정 타겟을 트래킹(tracking)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asing device operation method (S10) may include a step (S400)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by the control unit (180). When the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to the
특정 타겟은, 예를 들어 사용자(user)일 수 있다. 사용자가 영상 통화를 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시키고 카메라 트래킹 모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크래들(400) 앞에서 일정 범위 움직이더라도 이동 단말기(10)의 카메라는 사용자를 트래킹(tracking)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또는/및 방향을 조정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A particular target may be, for example, a user. A case where a user makes a video call can be considered. The user can place the
도 32는 도 31의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의 플로우차트이다.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32 is a flowchart of a step of executing the Raleigh poly mode of FIG. The step (S300) of executing the Raleigh poly mode may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이동 단말기(10)가 배터리 충전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모드'는, 이동 단말기(10)가 케이싱 디바이스(30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배터리(191)를 충전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크래들(4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step S300 of executing the Raleigh poly mode may include a step S3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설정된 기준 자세에 위치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가 배터리 충전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설정된 기준 자세에 위치시킬 수 있다. Step S300 of executing the rolly poly mode may include step S320 of placing the
제어부(180)는, 크래들(400)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크래들(400)에 장착된 자기제공부(407)가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자기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자기력을 제공받아 설정된 기준 자세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설정된 기준 자세는,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자세와 같다. The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330)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는, 전술한 바와 같다. The step S300 of executing the Raleigh poly mode may include a step S330 of determining whether the state of the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케이싱 디바이스(330)를 설정된 기준 자세를 중심으로 스윙(swing)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면, 크래들(400)의 자기제공부(407)를 제어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설정된 기준 자세를 중심으로 스윙 또는 롤링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tep S300 of executing the rolly poly mode may include swinging the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롤리 폴리 모드 종료 입력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가 없음을 감지하면 이 단계(S35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롤리 폴리 모드 종료 입력을 감지하면,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를 종료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롤리 폴리 모드 종료 입력을 감지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를 수행할 수 있다. Step S300 of executing the rolly poly mode may include step S350 of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he rolly poly mode end input is made. The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배터리 충전 정도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에 위치시키는 단계(S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가 배터리 충전 모드인 경우,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배터리 충전 정도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에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91)는 이동 단말기(10)의 배터리(191)를 의미할 수 있다. The step S300 of executing the rolly poly mode may include the step (S360) of placing the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의 배터리(191) 충전 정도가 10퍼센트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도 19에 도시된 자세로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의 배터리(191) 충전 정도가 40 퍼센트 이상 55퍼센트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도 21에 도시된 자세로 위치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egree of filling of the battery 191 of the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배터리의 충전 정도에 대응하는 자세에 위치시킨 이후에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는, 전술한 바와 같다.Step S300 of executing the Raleigh poly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state of the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배터리의 충전 정도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를 중심으로 스윙(swing)하는 단계(S3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면, 배터리의 충전 정도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를 중심으로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스윙 또는 롤링할 수 있다. The step S300 of executing the rolly poly mode may include swinging the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는, 롤리 폴리 모드 종료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 이 단계(S39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롤리 폴리 모드 종료 입력을 감지하면, 롤리 폴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300)를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롤리 폴리 모드 종료 입력을 감지하지 않으면,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배터리 충전 정도에 대응하는 기준 자세에 위치시키는 단계(S360)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tep (S300) of executing the rolly poly mode may include a step (S390) of judging whether the rolly poly mode is input or not. The
도 33은, 도 31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의 플로우차트이다.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는, 카메라(121)로부터 획득한 영상에서 안면(face)을 인식하는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가 획득한 영상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다. Fig. 33 is a flowchart of the step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in Fig. 31. Fig. Step S400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may include step S410 of recognizing a face from the image acquired from the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는, 인식된 안면을 타겟으로 설정하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식된 안면(face)을 타겟(target)으로 설정할 수 있다. 타겟(target)은, 카메라(121)가 트래킹(tracking)할 대상일 수 있다. The step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S400) may include setting the recognized face to the target (S420). The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 기준 위치 기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 기준 위치가 기설정되어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기준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이 위치하여야 하는 위치(또는 지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기준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심일 수 있다.The step S400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set the target reference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151 (S430). The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 기준 위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타겟 기준 위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타겟 기준 위치가 기설정되지 않은 경우, 이 단계(S440)를 수행할 수 있다.Step S400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may include acquiring a target reference position input on the display unit 151 (S440). The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을 타겟 기준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크래들(400)의 자기제공부(407)를 제어함으로써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변화시킴으로써 타겟을 타겟 기준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안면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에 오도록 할 수 있다. Step S400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may include positioning the target at the target reference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151 (S450). The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타겟의 타겟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S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tep (S400)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may include acquir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arget of the target (S460) on the display unit. The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는, 카메라 트래킹 모드 종료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 트래킹 모드 종료 입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 트래킹 모드 종료 입력을 인식하면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를 종료할 수 있다.The step (S400)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may include a step (S47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mera tracking mode is input. The
카메라 트래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400)는, 타겟의 현재 위치와 타겟 기준 위치의 차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의 현재 위치와 타겟 기준 위치의 차이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의 현재 위치가 타겟 기준 위치와 차이가 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타겟의 타겟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S46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의 현재 위치가 타겟 기준 위치와 차이가 나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을 타겟 기준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S450)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tep of executing the camera tracking mode (S400)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arget is different from the target reference position (S480). The
도 34 내지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디바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 상면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34 to 37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using a ca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4 shows a state in which the
이동 단말기(10)의 카메라(121a)는, 피사체(OBJ)의 영상을 획득한다. 피사체(OBJ)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사용자(user)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피사체(OBJ)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The
제어부(180)는, 크래들(400)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크래들(400)의 자기제공부(407)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가 변경되면, 피사체(OBJ)의 디스플레이부(151)에서의 위치 또는/및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The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된 피사체(OBJ)를 트래킹(tracking)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트래킹(tracking)할 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타겟(TGT)은, 제어부에 의해 트래킹할 대상일 수 있다. 타겟(TGT)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나타난 피사체(OBJ)는 타겟(TGT)이 될 수 있다. The
제어부(180)는, 타겟프레임(TGF)을 설정할 수 있다. 타겟프레임(TGF)은, 타겟(TGT)에 대응될 수 있다. 타겟프레임(TGF)은, 제어부(180)에 의해 인식되는 타겟(TGT)일 수 있다. 타겟프레임(TGF)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타겟프레임(TGF)은, 예를 들어 도 34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타겟(TGT)의 위치는, 타겟프레임(TGF)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타겟(TGT)의 위치는, 타겟프레임(TGF)의 일 지점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TGT)의 위치는, 타겟프레임(TGF)의 정중앙일 수 있다. 타겟(TGT)의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TGT)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피사체(OBJ)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사체(OBJ1)일 수 있다. 제1 피사체(OBJ1)는, 피사체(OBJ)와 실체는 동일하나 위치에 따라 달리 이름 붙인 피사체(OBJ)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4에서 제1 피사체(OBJ1)는 현재 피사체(OBJ)를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subject OBJ may be the first subject OBJ1 as shown in Fig. The first subject OBJ1 may mean a subject OBJ which is the same as the subject OBJ but is otherwise named according to its position. In Fig. 34, the first object OBJ1 indicates the current object OBJ and can be displayed as a solid line.
제1 타겟(TGT1)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나타난 제1 피사체(OBJ1)일 수 있다. 제1 타겟프레임(TGF1)은, 제어부(180)에 의해 인식되는 제1 타겟(TGT1)일 수 있다. 도 34에서 제1 타겟(TGT1)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target TGT1 may be the first subject OBJ1 displayed on the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 기준 위치가 고려될 수 있다. 타겟 기준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TGT)이 위치하여야 하는 위치(또는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기준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정중앙일 수 있다. 도 34에서 제1 타겟(TGT1)은, 타겟 기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A target reference position may be considered on the
제1 피사체(OBJ1)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사체(OBJ1)는 위치를 변경하여 제2 피사체(OBJ2)가 될 수 있다. 제2 피사체(OBJ2)는 제1 피사체(OBJ1)와 동일한 실체를 가지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제2 피사체(OBJ2)는, 도 34에서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4에서 카메라(121a)는, 피사체(OBJ1)의 위치 변경을 반영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The first subject OBJ1 can change its position. For example, the first subject OBJ1 may be a second subject OBJ2 by changing its position. The second object OBJ2 has the same substance as the first object OBJ1 but may be positioned differently. The second subject OBJ2 may be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In Fig. 34, the
도 35는, 도 34 피사체가 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에서 이동 단말기(10)는, 제2 피사체(OBJ2)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제2 피사체(OBJ2)의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제2 타겟(TGT2)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제2 타겟(TGT2)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제1 타겟(TGT1)의 위치에서 왼쪽 아래로 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Fig. 3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ject is changed in position. Fig. In Fig. 35, the
제2 타겟프레임(TGF2)은, 제어부(180)에 의해 인식되는 제2 타겟(TGT2)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타겟(TGT2)이 타겟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음을 판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를 안착한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나타난 제2 타겟(TGT2)의 위치를 타겟 기준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The second target frame TGF2 may be a second target TGT2 recognized by the
제어부(180)는, 제2 타겟(TGT2)이 타겟 기준 위치에서 벗어난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겟(TGT2)은 타겟 기준 위치에서 왼쪽 방향 및 아래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The
도 36은, 도 34 및 35의 케이싱 디바이스의 자세를 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크래들(400)과 통신하여 크래들(400)이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제공하는 자기력을 조절할 수 있다.Fig. 3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ttitude of the casing device shown in Figs. 34 and 35 is adjusted. The
제어부(180)는, 제2 타겟(TGT2)이 타겟 기준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격된 정도에 대응하여 도 3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디바이스(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타겟(TGT2)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제어부(180)는, 제2 타겟(TGT2)이 타겟 기준 위치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격된 정도에 대응하여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크래들(400)에 대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크래들(400)에 대한 경사를 크게 하면, 제2 타겟(TGT2)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도 37은, 도 35에서 케이싱 디바이스의 변경된 자세가 반영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변경하여, 제2 타겟(TGT2)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타겟 기준 위치에 오도록 할 수 있다. Fig. 3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nged attitude of the casing device is reflected in Fig. 35. Fig. The
도 37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도 35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비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도 35에 도시된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비하여 크래들(400)에 대해 큰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타겟(TGT2)은, 타겟 기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도 34 내지 37을 연속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 도 34에서, 피사체(OBJ)는 제1 피사체(OBJ1)로서 위치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제1 피사체(OBJ1)의 영상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시할 수 있다. 제1 타겟(TGT1)은,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시된 제1 피사체(OBJ1)의 영상일 수 있다. 제1 타겟(TGT1)은, 타겟 기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34 to 37 can be continuously considered. In Fig. 34, the subject OBJ can be positioned as the first subject OBJ1. The
피사체(OBJ)가 위치를 옮겨 제2 피사체(OBJ2)로서 위치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제2 피사체(OBJ2)의 영상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시할 수 있다. 제2 타겟(TGT2)은,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시된 제2 피사체(OBJ2)의 영상일 수 있다. 제2 타겟(TGT2)은, 타겟 기준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타겟(TGT2)과 타겟 기준 위치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크래들(400)과 통신하여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크래들(400)에 대한 경사와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크래들 바디(420)에 대한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가 자세를 변경하면, 제2 타겟(TGT2)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2 타겟(TGT2)은 타겟 기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ubject OBJ can be positioned as the second subject OBJ2 by moving its position. The
피사체(OBJ)는 사용자(user)일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방송을 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시키고 크래들(40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모바일 방송(mobile broadcasting)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휴대(carrying)하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는, 크래들(400) 앞에서 모바일 방송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방송 도중에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케이싱 디바이스(300)는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크래들(40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영상인 타겟(TGT)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위치에 오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나타나는 영상은, 모바일 방송의 시청자가 보는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모바일 방송의 시청자가 사용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특정 위치에 오도록 할 수 있다. The subject OBJ may be a user. A case where a user performs mobile broadcasting can be considered. The user can perform mobile broadcasting while the
사용자가 영상 통화를 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케이싱 디바이스(300)에 안착시키고 크래들(40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케이싱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변경하여, 사용자와 통화하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의 모습을 놓치지 않고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 case where a user makes a video call can be considered. The user can make a video call while placing th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이동 단말기
121: 카메라
151: 디스플레이부
300: 케이싱 디바이스
310: 플레이트
330: 탑 플레이트
340: 리어 플레이트
350: 바텀
400: 크래들
405: 크래들 PCB
407: 자기제공부
410: 크래들 상판
420: 크래들 바디
430: 회전유닛10: mobile terminal 121: camera
151: Display unit 300: Casing device
310: Plate 330: Top plate
340: rear plate 350: bottom
400: Cradle 405: Cradle PCB
407: Self-drilling 410: Cradle top plate
420: cradle body 430: rotating unit
Claims (13)
상기 단차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 변에 연결되되 상기 일변에서 상기 단차와 오버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를 향해 볼록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바텀; 및
상기 바텀의 일 측에 장착되며, 외부 자속(exterior magnetic flux)에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하면 상기 바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자기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casing device).A stepped plate;
A bottom adjacent to the step,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verlapping the step on the side,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ide being convex to the outside, and supporting the plate; And
And a magnetic coupling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bottom when magnetic coupling to an external magnetic flux is provided,
A casing device.
상기 바텀에 연결되되, 상기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ar plate connected to the bottom, the rear plate forming a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plate,
Casing device.
상기 바텀의 외측면은, 상기 바텀의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bottom comprises a plurality of segments disposed in an extended direction of the bottom,
Casing device.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선분 형상을 가지는,
케이싱 디바이스.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has a segment shape,
Casing device.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외부를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케이싱 디바이스.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has a concave shape toward the outside,
Casing device.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차에 안착되면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의 무게중심은,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제1 세그먼트가 수평한 장소에 마주하며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연직 상방(vertical upward)에 위치하는,
케이싱 디바이스.The method of claim 3,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sing devic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ated in the step, is positioned in a vertical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segment, with the fir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facing a horizontal position and supporting the casing device ),
Casing device.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제1 프런트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제1 세그먼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세그먼트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무게중심은, 상기 제1 프런트 세그먼트 또는 제2 세그먼트가 수평한 장소에 마주하며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런트 세그먼트 또는 제2 세그먼트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케이싱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first front segment and a second segment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first segment with the first segment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first front segment or the second segmen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ront segment or the second segment faces the horizontal position and supports the casing device,
Casing device.
상기 자기결합부는,
상기 단차에서 멀리 위치하는 제1 자기결합부; 및
상기 단차에 인접한 제2 자기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coupl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magnetic coupler located far from the step; And
And a second magnetic coupling adjacent to the step,
Casing device.
상기 자기결합부는,
상기 제1 자기결합부와 상기 제2 자기결합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자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agnetic coupling portion comprises:
And a third magnetic coup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ic coupling portion.
Casing device.
상기 바텀의 외측면은, 상기 바텀의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차에 안착되면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의 무게중심과 상기 제3 자기결합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에서 제1 세그먼트가 수평한 장소에 마주하며 상기 케이싱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연직 상방(vertical upward)에 위치하는,
케이싱 디바이스.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s disposed in an extended direction of the bottom,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ated in the stepped por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sing device and the third magnetic coupling portion are arranged such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gment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faces the horizontal position and supports the casing device, Which is located at a vertical upward position,
Casing device.
상기 자기결합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 변과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자기결합 피스를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ic coupling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one side of the plate,
Casing device.
상기 복수 개의 자기결합 피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 변의 중앙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중앙 자기결합 피스; 및
상기 중앙 자기결합 피스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좌측 자기결합 피스와 우측 자기결합 피스를 포함하는,
케이싱 디바이스.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lurality of magnetically coupling pieces ar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 central magnetically coupling piece disposed adjacent the central side of said one side of said plate; And
And a left magnetic coupling piece and a right magnetic coupling piece disposed with the central magnetic coupling piece interposed therebetween,
Casing device.
상기 자기결합부는,
상기 단차에 인접할수록 두꺼운 단면을 가지는,
케이싱 디바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coupling portion comprises:
And having a thicker section adjacent to the step,
Cas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5959A KR20170142460A (en) | 2016-06-17 | 2016-06-17 | Cas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5959A KR20170142460A (en) | 2016-06-17 | 2016-06-17 | Cas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42460A true KR20170142460A (en) | 2017-12-28 |
Family
ID=6093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5959A Withdrawn KR20170142460A (en) | 2016-06-17 | 2016-06-17 | Cas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42460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509182A (en) * | 2017-12-29 | 2021-03-18 | フランシスカ ジョーンズ,マリア | Display device |
KR20220052791A (en) * | 2020-10-21 | 2022-04-28 | 서정수 | The Smart phone posture control or the transport unit |
KR20220156339A (en) * | 2021-05-18 | 2022-11-25 | 주식회사 쓰리아이 | Image matching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immersive contents in indoor space |
KR20220156338A (en) * | 2021-05-18 | 2022-11-25 | 주식회사 쓰리아이 | Terminal control device for creating realistic contents of indoor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6746603A (en) * | 2023-08-22 | 2023-09-15 | 德州万老泰食品有限公司 | Vegetable precooling device |
-
2016
- 2016-06-17 KR KR1020160075959A patent/KR20170142460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509182A (en) * | 2017-12-29 | 2021-03-18 | フランシスカ ジョーンズ,マリア | Display device |
KR20220052791A (en) * | 2020-10-21 | 2022-04-28 | 서정수 | The Smart phone posture control or the transport unit |
KR20220156339A (en) * | 2021-05-18 | 2022-11-25 | 주식회사 쓰리아이 | Image matching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immersive contents in indoor space |
KR20220156338A (en) * | 2021-05-18 | 2022-11-25 | 주식회사 쓰리아이 | Terminal control device for creating realistic contents of indoor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30025845A (en) * | 2021-05-18 | 2023-02-23 | 주식회사 쓰리아이 |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
CN116746603A (en) * | 2023-08-22 | 2023-09-15 | 德州万老泰食品有限公司 | Vegetable precool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2008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9690330B2 (en) | Mobile terminal | |
KR102206242B1 (en) | Mobile terminal | |
KR20200104315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142460A (en) | Casing device | |
KR101759950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80136776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50124710A (en) |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 |
KR20160003499A (en) | Proximity illumination sensor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17013827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008372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50125374A (en) | Mobile terminal | |
KR102152168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90037738A (en) | Mobile terminal | |
KR20160116559A (en) | Mobile terminal | |
KR20160016412A (en) | Mobile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s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
KR20160047180A (en) | Mobile terminal | |
KR101651470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170111969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11355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17204A (en) |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85553A (en) | Swivel conta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 |
KR20200055728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22143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25020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