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11969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969A
KR20170111969A KR1020160038344A KR20160038344A KR20170111969A KR 20170111969 A KR20170111969 A KR 20170111969A KR 1020160038344 A KR1020160038344 A KR 1020160038344A KR 20160038344 A KR20160038344 A KR 20160038344A KR 20170111969 A KR20170111969 A KR 20170111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mobile terminal
magnet
coupling
fo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우진
김성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969A/en
Publication of KR20170111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969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04M2001/02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위치하고, 시스템을 실장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상기 시스템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상기 바디의 후면에 연결되는 백커버; 및 상기 바디와 상기 백커버의 일측에 피봇(pivot)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연결부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되, 상기 바디의 후면에 접하며 슬라이딩하는 백커버 슬라이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의 교환이 용이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is starte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A bod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nd having a system mounted thereon; A battery that provides power to the system inside the body; A back cover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a connection part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back cover, wherein the back cover has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of the connection part, And a back cover sliding portion.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replace the battery.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울어지며 슬라이딩하는 백커버를 구비하여 배터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able and sliding back cover to easily replace a battery.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터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battery can be easily replaced.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위치하고, 시스템을 실장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스템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상기 바디 후면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백커버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백커버; 및 연결부 본체, 상기 연결부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에 피봇 연결된 제1 피봇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 본체로부터 상기 제1 피봇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백커버의 일측에 피봇 연결된 제2 피봇부를 구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comprising: a display; A bod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nd having a system mounted thereon; A battery positioned inside the body to provide power to the system; A back cover having a back cover sliding portion that slid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the back cover opening / closing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a second pivot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main body, a first pivot portion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pivot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main body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ivot portion and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ck co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피봇 운동에 의해, 일측은 상기 바디 후면으로부터 다른 거리를 가지되 타측은 상기 바디의 후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바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vot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allows the back cover to have a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while the other surface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

또한 상기 제1 피봇부는, 상기 제2 피봇부에 비하여, 상기 바디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할 수 있다.The first pivot portion may be adjacent to the display in a direction toward the display from the rear of the body as compared to the second pivot portion.

또한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회전 방향은, 상기 백커버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회전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may be the same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ck cover.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include a guide portion positioned at a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guiding the back cover slide portion.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백커버에 힘을 제공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unit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providing a force to the back cover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back cover slide unit.

또한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딩하는 이동구간은,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에 상기 바디 후면을 닫는 방향의 힘이 제공되는 열림억제구간과,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에 상기 바디 후면을 여는 방향의 힘이 제공되는 닫힘억제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section in which the back cover sliding section slides may include an opening preventing section in which the back cover slide section is provided with a force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rear of the body, and a force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rear of the body to the back cover sliding section And a closure suppression period.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에 자력(magnetic force)을 제공하는 결합부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에 인접하여 상기 결합부 마그넷과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하는 백커버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coupling magne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providing a magnetic force to the back cover slide portion. The back cover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magnet, And a back cover magnet that magnetically couples with the magnet.

또한 상기 결합부 마그넷은, 상기 백커버가 상기 바디 후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백커버 마그넷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결합부 마그넷과, 상기 제1 결합부 마그넷에 비하여 상기 제1 피봇부에 인접한 제2 결합부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agnet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magnet located adjacent to the back cover magnet with the back cover closed, and a second coupling magnet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coupling magnet relative to the first coupling magnet. 2 coupling sub-magnet.

또한 상기 연결부 본체는, 상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모듈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main body may include a module seating part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module connected to the system is seated.

또한 상기 모듈은, 상기 모듈 안착부에 탈부착되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에 필요한 전파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과, 무선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과,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심카드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dule seating por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required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Card module.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연결부 본체에 상기 백커버의 내측면을 향하는 힘을 제공하는 백커버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back cover coupling member for providing a force towar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ck cover to the connection unit main body.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에 전자기적 접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The back cover may be at least partially formed of meta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antenna to provide electromagnetic grounding to the antenna.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터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ttery can be easily replac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메탈 백커버인 경우에도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battery can be replaced even in the case of the metal back cover.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백커버가 열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백커버 개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14는,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결합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back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in an opened state in Fig. 1;
FIG. 3 is a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shown in FIG.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opening / closing of the back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8 to 14 ar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oupling portion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는 직교좌표계로서 카테시안 좌표계인 XYZ 좌표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XYZ 좌표계는, 왼손방향(left handed)일 수 있다. 즉 왼손으로 양의 X축에서 양의 Y축으로 감싸면 왼손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양의 Z축 방향일 수 있다. The coordinate system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XYZ coordinate system which is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s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The XYZ coordinate system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left handed. In other words, if the left hand encircles the positive X axis and the positive Y axis, the direction pointed by the left hand thumb may be the positive Z axis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디(200)와 백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250)가 향하는 방향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은, 도 1에서 가려져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바디(200)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body 200 and a back cover 250.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ck cover 250 faces may be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not be shown in Fig.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display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200.

바디(200)는, 디스플레이(display)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디(200)는, 시스템(system)을 실장할 수 있다. 시스템(system)은, 회로기판(circuit board)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시스템(system)은, PCB(printed circuit board)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시스템(system)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디(200)는, 내측에 배터리(battery)를 안착시킬 수 있다. The body 200 may be locat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The body 200 can mount a system. The system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ircuit board. Or a system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a system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The body 200 can seat a battery inside.

배터리(battery)는, 시스템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는, 바디(200)의 내부에 안착할 수 있다. 배터리는, 바디(20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바디(200)의 일 공간에 안착되는 배터리는, 다른 배터리와 교환 가능할 수 있다. A battery can provide power to the system. The battery can be seated inside the body (200). The battery can go into and out of the inside of the body (200). The battery that is seated in one space of the body 200 may be exchangeable with another battery.

백커버(250)는, 바디(2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250)는, 바디(2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백커버(250)는, 이동 단말기(100) 후면의 적어도 일부을 형성할 수 있다. 백커버(250)는, 바디(200)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open/close)할 수 있다.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면, 배터리가 위치하는 공간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면, 배터리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back cover 250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The back cover 25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The back cover 250 may form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back cover 250 may open / close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When the back cover 250 opens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the space where the battery is locate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ack cover 250 opens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the battery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명세서에서, '백커버(250)가 열리다'는,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다'의 의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백커버(250)가 닫히다'는,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을 닫다'의 의미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back cover 250 is open' may mean 'the back cover 250 opens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In this specification, 'the back cover 250 is closed' may mean 'the back cover 250 closes the rear face of the body 200'.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백커버가 열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백커버(250)는, 백커버 슬라이딩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0)는, 가이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교환 가능할 수 있다. Fig. 2 is a view showing the back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in an opened state in Fig. 1; The back cover 250 may include a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The body 200 may include a guide portion 21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battery 191. The battery 191 may be exchangeable.

백커버(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의 후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면서 열릴 수 있다. 백커버(250)의 일측은, 바디(200)의 후면에 접할 수 있다. 백커버(250)의 일측은, 바디(200)의 후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백커버(250)는, 연결부(300, 도 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2, the back cover 250 can be opened while being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As shown in FIG. One side of the back cover 2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One side of the back cover 2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of the body 200. The back cover 250 can b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ortion 300 (Fig. 3).

백커버 슬라이딩부(251)는, 도 2의 'A' 영역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백커버(25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 형상일 수 있다. 백커버 슬라이딩부(251)는, 백커버(250)의 외부(exterior)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 형상일 수 있다. 백커버 슬라이딩부(251)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백커버 슬라이딩부(251)는, 가이드부(210)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may be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ack cover 250, as shown in the area 'A' in FIG.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may be in the form of a projection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exterior of the back cover 250.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s 251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can slide along the guide portion 210. [

가이드부(210)는, 도 2의 'B'영역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백커버(250)와의 경계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백커버(250)와의 경계선에 나란한 방향의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백커버 슬라이딩부(251)의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홈(groove)의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백커버 슬라이딩부(251)의 슬라이딩(sliding)을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가이드부(201)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guide part 21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interface with the back cover 250, as shown in the area 'B' of FIG. The guide portion 210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with the back cover 250. The guide portion 2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The guide portion 210 may be in the shape of a groove. The guide portion 210 guides the sliding of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The guide portions 201 may be provided in plural.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연결부(300), 백커버 결합부재(600), 그리고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FIG. 3 is a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300, a back cover coupling member 600, and a module 500.

연결부(300)는, 바디(200)와 백커버(25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바디(200)와 피봇(pivot)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바디(200)의 일측에 대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백커버(250)와 피봇(pivot)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백커버(250)의 일측에 대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300)의 회전에 의해, 백커버(250)는 바디(200) 후면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300 can connect the body 200 and the back cover 250.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body 200. The connection part 30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body 200. The connection portion 300 may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ck cover 250. The connection portion 30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back cover 250. The back cover 250 can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by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00.

백커버 결합부재(600)는, 연결부(300)에 백커버(250)의 내측면을 향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백커버 결합부재(600)는, 연결부(300)와 백커버(250) 내측면 사이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백커버 결합부재(600)는, 자력(magnetic force)을 이용할 수 있다. 백커버 결합부재(6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백커버 결합부재(600)는, 연결부(3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 결합부재(600)는, 백커버(25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engaging member 600 can provide a force to the connecting portion 300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The back cover engaging member 600 can provide a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3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The back cover coupling member 600 can use a magnetic force. The back cover engaging member 600 may be provided in plural. The back cover engaging member 600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The back cover engaging member 600 may be located inside the back cover 250. [

모듈(500)은, 연결부(300)의 일측에 안착될 수 있다. 모듈(500)은,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무선 충전 모듈, 그리고 심카드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근거리 안테나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에 필요한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은, 무선(wireless)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심카드 모듈은,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odule 500 may be se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300. The module 500 may be at least one of a short rang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SIM card module. The short-range antenna module can transmit and receive radio waves requir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an wirelessly charge the battery. The SIM card module can sto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연결부(300), 모듈(500), 그리고 백커버 결합부재(600)의 분해사시도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the module 500, and the back cover coupling member 600. As shown in FIG.

연결부(300)는, 연결부 본체(310), 제1 피봇부(320), 그리고 제2 피봇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 본체(310)는, 마그넷 안착부(313)와 모듈 안착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 결합부재(600)는, 연결부측 결합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안착부(315)는, 모듈(500)을 안착시킬 수 있다. 마그넷 안착부(313)는, 연결부측 결합부재(610)를 안착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300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body 310, a first pivot part 320, and a second pivot part 330. The connecting body 310 may include a magnet seating portion 313 and a module seating portion 315. The back cover engaging member 600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side engaging member 610. The module seating portion 315 can seat the module 500. [ The magnet seating portion 313 can seat the coupling portion side coupling member 610. [

연결부 본체(310)는, 패널(panel)의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 본체(310)는, 굽어진(bent)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 본체(310)는, 굽어진 패널의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 본체(310)는, 단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 본체(3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ody 310 may be in the form of a panel. The connecting body 310 may be bent. The connection body 310 may be in the form of a curved panel. The connection body 310 may be provided in a single opening. The connecting body 310 may be provided in plural.

연결부 본체(310)는, 제1 연결부 패널(310a)와 제2 연결부 패널(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 패널(310a)은, 패널(panel)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결부 패널(310a)은, 백커버(250)가 닫힌 상태에서, 백커버(250)와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제1 연결부 패널(310a)은, 모듈 안착부(315)와 마그넷 안착부(313)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연결부 패널(310a)은, 제2 피봇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main body 3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nel 310a and a second connection panel 310b. The first connection panel 310a may be in the form of a panel. The first connection panel 310a may be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back cover 250 when the back cover 250 is closed. The first connection panel 310a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module seating portion 315 and the magnet seating portion 313 are formed. The first connection panel 310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제2 연결부 패널(310b)은, 제1 연결부 패널(310a)의 일 측에서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된 패널(panel)의 형상일 수 있다. 제2 연결부 패널(310b)은, 제 1 피봇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nel 310b may be in the shape of an extended panel forming an inclination at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nel 310a. The second connection panel panel 310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ivot portion 320.

제1 피봇부(320)는, 연결부 본체(3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피봇부(320)는, 연결부 본체(3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피봇부(320)는, 바디(200)의 일측에 피봇(pivot) 연결될 수 있다. 제1 피봇부(320)는, 연결부 본체(310)에 바디(200)에 대한 회전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pivot part 32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body 310. The first pivot portion 320 may extend from the connection body 310. The first pivot portion 320 may be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200. The first pivot portion 320 may provide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body 310 with respect to the body 200.

제2 피봇부(330)는, 연결부 본체(3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피봇부(330)는, 연결부 본체(310)로부터 제1 피봇부(320)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피봇부(330)는, 백커버(250)의 일측에 피봇(pivot) 연결될 수 있다. 제2 피봇부(330)는, 백커버(250)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백커버(250)의 내측은,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을 닫은 상태에서, 바디(200) 후면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2 피봇부(330)는, 연결부 본체(310)에 백커버(250)에 대한 회전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body 310.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may exten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body 310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ivot portion 320.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may be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ck cover 250.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250. The inner side of the back cover 250 may be a surface facing the rear side of the body 200 in a state where the back cover 250 is closed at the rear side of the body 200.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may provide rotational movement for the back cover 250 to the connection body 310.

연결부측 결합부재(610)는, 마그넷(magnet)일 수 있다. 연결부측 결합부재(610)는,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측 결합부재(610)는, 마그넷 안착부(313)에 안착될 수 있다. 연결부측 결합부재(610)는, 제1 연결부측 결합부재(610a)와 제2 연결부측 결합부재(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측 결합부재(610a)와 제2 연결부측 결합부재(610b)는, 모듈(50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side coupling member 610 may be a magnet. The coupling portion side coupling member 610 can form a magnetic flux. The coupling portion side engaging member 610 can be seated on the magnet seating portion 313. The coupling portion side coupling member 61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side coupling member 610a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side coupling member 610b.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side engagement member 610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side engagement member 610b may be positioned with the module 500 therebetween.

도 5 내지 7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백커버 개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도 1 이동 단말기(100)를 A-A'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백커버(250)의 슬라이딩 이동을 나타내기 위해 예외적으로 가이드부(210)를 표시할 수 있다.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opening / closing of the back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to 7 illustrate the guide unit 210 in an exceptional manner to illustrat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ack cover 250.

도 5는, 도 1 이동 단말기(100)를 A-A'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을 닫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을 닫은 상태에서, 제1 피봇부(320)와 제2 피봇부(330)의 높이 차이는 'DL'로 표시될 수 있다. 제1,2 피봇부(320,330)의 높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2 피봇부(320,330)의 높이는, 디스플레이로부터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ck cover 250 has closed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first pivot portion 320 and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can be expressed as 'DL' in a state that the back cover 250 is cl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200. [ The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 portions 320 and 330 may be a heigh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 portions 320 and 330 may mean the height from the display.

백커버(250)는, 사용자의 손가락(UF)이 제1 피봇부(320)의 반대측에서 제1 피봇부(320)를 향해 백커버(250)를 밀면, 개방될 수 있다. 제1 피봇부(320)와 제2 피봇부(330)의 높이 차이인 DL은, 백커버(25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L은, 사용자의 손가락(UF)에 의한 힘이, 연결부(300)의 돌림힘(torque)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250 can be opened when the user's finger UF pushes the back cover 250 toward the first pivot portion 320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ivot portion 320. [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first pivot portion 320 and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allows the back cover 250 to rotate easily. The DL can enable the force by the user's finger UF to be converted into the torqu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

도 6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백커버(250)에 힘이 가해져 열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백커버(250)가 열리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b)는, 도 6의 (a)의 가이드부(210)를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orce is applied to the back cover 250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6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cover 250 is opened. 6 (b) is a view showing the guide portion 210 of FIG. 6 (a).

백커버(250)는, 슬라이딩(sliding) 운동을 할 수 있다. 백커버 슬라이딩부(251)는, 가이드부(210)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다. 백커버 슬라이딩부(251)가 슬라이딩 운동함으로써, 백커버(250)의 일측은 바디(200)의 일측에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250 can perform a sliding movement.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can slide along the guide portion 210. [ One side of the back cover 250 can maintain a certain distance to one side of the body 200 by sliding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백커버(250)는, 회전(rotation) 운동을 할 수 있다. 백커버(250)는, 연결부(300)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백커버(250)는, 제2 피봇부(330)에 대하여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제2 피봇부(330)는 제1 피봇부(320)에 대하여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백커버(250)는, 두 개의 단순 회전(simple rotation) 운동이 복합되어 형성되는 복합 회전(complex rotation) 운동을 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250 can perform a rotation movement. The back cover 25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ortion 300. The back cover 250 is capable of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The second pivot portion 330 is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first pivot portion 320. In other words, the back cover 250 can perform a complex rotation movement in which two simple rotation motions are combined.

가이드부(210)는, 굽어진(ben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210a)와 제2 가이드부(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10)는, 디스플레이(151, 도 15)와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10)는, 바디(200) 후면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10b)는 제1 가이드부(210a)와 제1 피봇부(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210 may have a bent shape. The guide part 210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210a and a second guide part 210b as shown in FIG. 6 (b). The second guide unit 210 may b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econd guide portion 210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splay 151 (FIG. 15). The second guide portion 210 may be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The second guide portion 210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210a and the first pivot portion 320. [

제1 가이드부(210a)는, 제2 가이드부(210b)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0a)는, 제2 가이드부(210b)와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0a)는, 제2 가이드부(210b)로부터 디스플레이(151, 도 15)를 항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0a)는, 제2 가이드부(210b)로부터 이동 단말기의 엣지(edge)를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The first guide portion 210a may extend from the second guide portion 210b. The first guide portion 210a can form an inclination with the second guide portion 210b. The first guide portion 210a can be inclined from the second guide portion 210b toward the display 151 (Fig. 15). The first guide portion 210a may be inclined from the second guide portion 210b toward an edge of the mobile terminal.

제1 가이드부(210a)의 단부와 제2 가이드부(210b)의 높이 차이는 'DG'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여기서 높이는, 디스플레이(151, 도15)로부터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DG는, 백커버(250)가 닫힌 상태에서, 백커버(250)가 용이하게 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G는, 백커버(250)가 닫힌 상태에서, 백커버(250)에 작용되는 힘을 연결부 본체(310)에 대하여 돌림힘(torque)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G는, 백커버(250)가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guide part 210a and the second guide part 210b may be expressed as 'DG'. Here, the height may mean the heigh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where the height may mean the height from the display 151 (FIG. 15). The DG can easily open the back cover 250 when the back cover 250 is closed. The DG can convert the force acting on the back cover 250 into torqu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body 310 in a state where the back cover 250 is closed. DG can keep the back cover 250 in a stably closed state.

도 7은, 도 5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백커버(25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cover 250 is open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연결부(300)의 회전 이동을 살펴볼 수 있다. 도 6의 (a)와 도 7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300)가 회전하는 방향은, 도 6과 7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300 can be observed. Fig. 6 (a) and Fig. 7 can be compared.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300 is rotated may be based on Figs. 6 and 7.

연결부(300)는, 백커버(250)가 열리는 과정에서, 바디(200)에 대하여 시계 방향(clockwise direction)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백커버(250)가 열리는 과정에서, 백커버(25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300)는, 백커버(250)가 열리는 과정에서, 바디(200)와 백커버(250)에 대하여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art 300 may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200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back cover 250. The connecting portion 300 can rotate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ack cover 250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back cover 250. [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part 300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of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200 and the back cover 250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back cover 250.

연결부(300)는, 백커버(250)가 닫히는 과정에서, 바디(20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counter-clockwise direction)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백커버(250)가 열리는 과정에서, 백커버(25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300)는, 백커버(250)가 닫히는 과정에서, 바디(200)와 백커버(250)에 대하여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200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back cover 250. The connecting portion 300 can be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ck cover 250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back cover 250.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part 300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of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200 and the back cover 250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back cover 250.

도 8 내지 14는,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결합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8 to 14 ar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oupling portion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도 8은, 도 1 이동 단말기(100)를 B-B'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서 연결부(30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결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결합부 마그넷(4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 마그넷(410)은, 제1 결합부 마그넷(411)과 제2 결합부 마그넷(413)을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250)는 백커버 마그넷(260)을 포함할 수 있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taken along line B-B 'in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nection unit 300 may be displayed in FIG.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400. The coupling part 40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magnet 410. The coupling magnet 41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magnet 411 and a second coupling magnet 413. The back cover 250 may include a back cover magnet 260.

결합부(400)는, 바디(2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백커버 슬라이딩부(251)의 이동 방향으로 백커버(250)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백커버(250)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백커버(250)의 위치 상태(status of location)의 변화를 억제하는 힘을 백커버(2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 400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200. The engaging portion 400 may provide a force to the back cover 250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The engaging portion 400 can maintain the state of the back cover 250. The engaging portion 400 can provide the back cover 250 with a force that suppresses a change in the status of location of the back cover 250. [

결합부 마그넷(410)은, 바디(2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 마그넷(410)은,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 마그넷(410)은, 백커버(250)와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할 수 있다. The coupling sub magnet 410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200. The coupling sub magnet 410 may form a magnetic flux. The coupling magnet (410) can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back cover (250).

제1 결합부 마그넷(411)은,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을 닫은 상태에서 백커버 마그넷(26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결합부 마그넷(413)은, 제1 결합부 마그넷(411)에 비하여 제1 피봇부(32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2 결합부 마그넷(411, 413)은, 백커버 마그넷(260)에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magnet 411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back cover magnet 260 with the back cover 250 cl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gnet 413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pivot portion 320 relative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magnet 411.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agnets 411 and 413 can provide magnetic force to the back cover magnet 260.

백커버 마그넷(260)은,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을 닫은 상태에서, X1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의 위치는, 백커버(250)의 위치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백커버(250)는, 백커버 마그넷(260)이 X1에 위치하면, X1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백커버 슬라이딩부(251)의 슬라이딩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극성 배치(orientation of magnetic polarity)를 가질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결합부 마그넷(410)과 상이한 극성으로 마주할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제1 결합부 마그넷(411)과 상이한 극성으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결합부 마그넷(411)의 극성 배치는, 제2 결합부(411)의 극성 배치와 동일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be positioned at X1 with the back cover 250 closed on the rear face of the body 200. [ The position of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be viewed as the position of the back cover 250. [ In other words, the back cover 250 can be seen to be located at X1 when the back cover magnet 260 is located at X1. The back cover magnet 260 may have an orientation of magnetic polarity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face the coupling magnet 410 with a different polarity.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face the first coupling magnet 411 with a different polarity. The polarity arrangement of the first coupling magnet 411 may be the same as the polarity arrangement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1.

결합부 마그넷(410)은, 백커버 마그넷(260)에 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결합부 마그넷(411)은, 백커버 마그넷(260)에 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결합부 마그넷(411)은, 백커버 마그넷(260)이 X1에 위치하면, 백커버(250)의 열림을 억제하는 힘을 백커버(2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coupling sub magnet 410 can provide attraction to the back cover magnet 260. The first coupling magnet 411 can provide attraction to the back cover magnet 260. The first coupling magnet 411 can provide the back cover 250 with a force for restricting the opening of the back cover 250 when the back cover magnet 260 is located at X1.

도 9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백커버(25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X2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백커버(250)는,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X2에 위치할 수 있다.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cover 250 is opened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be seen to be located at X2 with the back cover 250 opening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 In other words, the back cover 250 can be located at X2 with the back cover 250 opening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

제2 결합부 마그넷(413)은, 백커버 마그넷(260)에 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결합부 마그넷(413)은, 백커버 마그넷(260)으로부터 백커버(250)가 닫히지 않도록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결합부 마그넷(413)은, 백커버 마그넷(260)이 X2에 위치하면, 백커버(250)의 닫힘을 억제하는 힘을 백커버(2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magnet (413) can provide attraction force to the back cover magnet (260).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gnet 413 can be provided with a force to prevent the back cover 250 from being closed from the back cover magnet 260. The second coupling magnet 413 can provide the back cover 250 with a force for restricting the closing of the back cover 250 when the back cover magnet 260 is located at X2.

도 10 내지 13은, 도 8 및 9와 다른 실시예의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부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백커버(250)가 닫힌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s. 10 to 13 are views showing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embodiments of Figs. 8 and 9 and other embodiments. Fig. 10 can show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the back cover 250 closed.

제1 결합부 마그넷(411)은, 백커버(250)가 바디(200) 후면을 닫은 상태에서, 백커버 마그넷(260)에 비하여 제1 피봇부(32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부 마그넷(411)과 제2 결합부 마그넷(413) 사이의 거리는, 도 8 및 9에 도시된 제1 결합부 마그넷(411)과 제2 결합부 마그넷(413)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짧을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magnet 411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pivot portion 320 relative to the back cover magnet 260 when the back cover 250 is cl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magnet 41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gnet 413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magnet 41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gnet 413 shown in Figs. It can be short.

백커버 마그넷(260)은, 백커버(250)가 닫힌 상태에서, X1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250)는, 백커버(250)가 닫힌 상태에서, X1에 위치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be positioned at X1 with the back cover 250 closed. The back cover 250 may be located at X1 with the back cover 250 closed.

도 11은, 도 10의 일점쇄선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결합부(400)와 백커버 마그넷(260)의 극성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the one-dot chain line area in 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polarity arrangement of the coupling portion 400 and the back cover magnet 260. Fig.

백커버 마그넷(260)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커버 슬라이딩부(251)의 슬라이딩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극성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바디(20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의 극성 배치를 가질 수 있다. The back cover magnet 260 may have a polar arrangem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as shown in Fig. 11 (a). The back cover magnet 260 may have a polarity arrangement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face to the rear face of the body 200. [

백커버 마그넷(260)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커버 슬라이딩부(251)의 슬라이딩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한 극성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디스플레이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극성 배치를 가질 수 있다. The back cover magnet 260 may have a polar arrangement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as shown in Fig. 11 (b). The back cover magnet 260 may have a polar arrangement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splay.

백커버 마그넷(260)은, 제1 결합부 마그넷(411)과 동일한 극성으로 마주할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백커버(250)가 닫힌 상태에서, X1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X1의 위치에서, 제1 결합부 마그넷(411)으로부터 척력(repulsive force)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X1의 위치에서, 제1 결합부 마그넷(411)으로부터 열림을 억제하는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face the first coupling magnet 411 with the same polarity.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be positioned at X1 with the back cover 250 closed. The back cover magnet 260 may be provided with a repulsive force from the first coupling magnet 411 at the position of X1.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be provided with a force for restricting the opening from the first coupling magnet 411 at the position of X1.

도 12는, 도 10의 이동 단말기에서 백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백커버(250)는, 백커버(250)가 개방된 상태에서, X2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제1,2 결합부 마그넷(411, 413)으로부터 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cover is opened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 The back cover 250 may be located at X2 with the back cover 250 open.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be provided with a repulsive force fro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agnets 411 and 413.

도 13은, 도 12의 일점쇄선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결합부(400)와 백커버 마그넷(260)의 극성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3 is a diagram showing the one-dot chain line area in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polarity arrangement of the coupling portion 400 and the back cover magnet 260. As shown in Fig.

백커버 마그넷(260)은, X2의 위치에서, 제2 결합부 마그넷(413)으로부터 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백커버 마그넷(260)은, X2의 위치에서, 제1, 2 결합부 마그넷(411, 413)으로부터 백커버(250)의 닫힘을 억제하는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be given a repulsive force from the second coupling magnet 413 at the position of X2. The back cover magnet 260 can be provided with a force for restricting the closing of the back cover 250 fro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agnets 411 and 413 at the position of X2.

백커버(250)는, X2의 위치에서, 백커버(250)의 닫힘을 억제하는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user)는, 백커버(250)를 개방한 이후에, 용이하게 배터리(191)를 교환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250 can be provided with a force for restricting the closing of the back cover 250 at the position of X2. The user can easily exchange the battery 191 after opening the back cover 250. [

도 14는, 도 10 내지 13의 이동 단말기에서 백커버의 위치에 따라 백커버에 제공되는 힘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백커버(250)가 제공받는 힘(force)은, 양(positive)의 힘일 수 있다. 백커버(250)가 제공받는 힘(force)은, 음(negative)의 힘일 수 있다. Fig. 14 is a graph showing a force provided to the back cov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ck cover in the mobile terminal of Figs. 10 to 13. Fig. The force provided by the back cover 250 may be a positive force. The force provided by the back cover 250 may be a negative force.

백커버(250)는, X1의 위치에서, 제1 피봇부(3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백커버(250)는, X1의 위치에서, 백커버(250)의 열림이 억제되는 방향의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백커버(250)는, X1의 위치에서, 양(positive)의 힘 f1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back cover 250 may be provided with a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pivot portion 320 at the position of X1. The back cover 250 can be provided with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back cover 250 is suppressed at the position of X1. The back cover 250 can be provided with a positive force f1 at the position of X1.

백커버(250)는, X2의 위치에서, 제1 피봇부(320)로 향하는 방향의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백커버(250)는, X2의 위치에서, 백커버(250)의 닫힘이 억제되는 방향의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백커버(250)는, X2의 위치에서, 음(negative)의 힘 f2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back cover 250 may be provided with a for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pivot portion 320 at the position of X2. The back cover 250 can be provided with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osing of the back cover 250 is suppressed at the position of X2. The back cover 250 may be provided with a negative force f2 at the position of X2.

백커버(250)는, X1과 X2 사이의 일 위치인 Xc에서, 백커버 슬라이딩부(251)의 이동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백커버(250)가 이동함에 따라, 백커버(250)는 Xc에서 백커버(250)의 이동 방향으로의 힘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250 may not be provided with a forc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ck cover sliding portion 251 at a position Xc that is a position between X1 and X2. As the back cover 250 moves, the back cover 250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forc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ck cover 250 at Xc.

백커버(250)는, X1과 X2의 구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백커버(250)는, 이동구간(X1과 X2 사이의 구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백커버(250)의 이동구간은, 열림억제구간(ORA)과 닫힘억제구간(CR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ck cover 250 can move in the section between X1 and X2. The back cover 250 can move in the movement section (a section between X1 and X2).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back cover 250 may include an opening inhibition interval ORA and a closing inhibition interval CRA.

열림억제구간은(ORA), 백커버 슬라이드부(251)에 바디(200) 후면을 닫는 방향의 힘이 제공되는 구간일 수 있다. 열림억제구간(ORA)은, 백커버(250)의 열림이 억제되는 방향의 힘이 백커버(250)에 제공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림억제구간(OR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1에서 Xc까지의 구간일 수 있다. 열림억제구간(ORA)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opening inhibition interval (ORA) may be a section in which the back cover slide portion 251 is provided with a forc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The opening inhibition section ORA may be a section in which the back cover 250 is provided with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back cover 250 is suppressed. For example, the open inhibition interval (ORA) may be a section from X1 to Xc, as shown in Fig. The open inhibition interval (ORA) may be provided in plural.

닫힘억제구간(CRA)은, 백커버 슬라이드부(251)에 바디(200) 후면을 여는 방향의 힘이 제공되는 구간일 수 있다. 닫힘억제구간(CRA)은, 백커버(250)의 닫힘이 억제되는 방향의 힘이 백커버(250)에 제공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닫힘억제구간(CR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c에서 X2까지의 구간일 수 있다. 닫힘억제구간(CRA)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닫힘억제구간(CRA)은, 적어도 하나의 열림억제구간(ORA)에 비하여, 제1 피봇부(320)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봇부(320)는, 도 14에서, X3에 위치할 수 있다. 닫힘억제구간(CRA)은, 열림억제구간(ORA)에 비하여, X3에 인접할 수 있다. The closure suppression section CRA may be a section in which the back cover slide section 251 is provided with a force in a direction to open the rear face of the body 200. [ The closure suppression section CRA may be a section in which the back cover 250 is provided with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losing of the back cover 250 is suppressed. For example, the closure inhibition interval (CRA) may be a section from Xc to X2, as shown in Fig. The closure suppression period (CRA) may be provided in plural. The at least one closure inhibition interval (CRA)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pivot portion (320) as compared to at least one opening inhibition interval (ORA). For example, the first pivot portion 320 may be located at X3 in Fig. The closure inhibition interval (CRA) may be adjacent to X3 as compared to the opening inhibition interval (ORA).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나타낸다.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5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100. [ Lt; RTI ID = 0.0 > wireless < / RTI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icrophone 226,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151)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한 의미로 고려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a haptic tip module 153, and a light output unit 154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refer to the display 151. The display unit 15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The display 151 may be consider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display 151.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is connected to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a part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e.g., telephone call receiving function, message receiving function, and call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191)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191)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191)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191 and the battery 191 may be an embedded battery or a battery 191 of a replaceable typ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151: 디스플레이부
191: 배터리 200: 바디
250: 백커버 300: 연결부
400: 결합부 500: 모듈
100: mobile terminal 151:
191: Battery 200: Body
250: back cover 300:
400: coupling part 500: module

Claims (13)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위치하고, 시스템을 실장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시스템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상기 바디 후면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백커버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백커버; 및
연결부 본체, 상기 연결부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에 피봇 연결된 제1 피봇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 본체로부터 상기 제1 피봇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백커버의 일측에 피봇 연결된 제2 피봇부를 구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display;
A bod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nd having a system mounted thereon;
A battery positioned inside the body to provide power to the system;
A back cover having a back cover sliding portion that slid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the back cover opening / closing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A first pivot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main body and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pivot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main body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ivot portion and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ck cover Including one connection,
A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피봇 운동에 의해, 일측은 상기 바디 후면으로부터 다른 거리를 가지되 타측은 상기 바디의 후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바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 cover includes:
Wherein the pivot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with respect to the body causes the other side to have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rear side of the body while the other side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ar side of the body,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봇부는,
상기 제2 피봇부에 비하여, 상기 바디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ivot portion includes:
A second pivot portion adjacent the display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body toward the display,
Mobile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회전 방향은,
상기 백커버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is a direction
And a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ck cover,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nd a guide portion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guiding the back cover slide portion,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백커버에 힘을 제공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provides a force to the back cover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back cover slide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딩하는 이동구간은,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에 상기 바디 후면을 닫는 방향의 힘이 제공되는 열림억제구간과,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에 상기 바디 후면을 여는 방향의 힘이 제공되는 닫힘억제구간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ving section, in which the back cover slide section slides,
Wherein the back cover sl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pening inhibition period in which a force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is provided,
And a closing suppression section provided on the back cover slide section to provide a force in a direction to ope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Mobile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에 자력(magnetic force)을 제공하는 결합부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 슬라이드부에 인접하여 상기 결합부 마그넷과 자기결합(magnetic coupling)하는 백커버 마그넷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upling portion
And a coupling magne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providing a magnetic force to the slide of the back cover,
The back cover includes:
And a back cover magnet adjacent to the back cover slide portion and magnetically coupling with the coupling magnet.
Mobile termina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마그넷은,
상기 백커버가 상기 바디 후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백커버 마그넷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결합부 마그넷과,
상기 제1 결합부 마그넷에 비하여 상기 제1 피봇부에 인접한 제2 결합부 마그넷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upling magnet includes:
A first coupling magnet located adjacent to the back cover magnet with the back cover closed,
And a second coupling magnet adjacent said first pivoting portion relative to said first coupling portion magnet.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본체는,
상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모듈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 안착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body includes:
And a module seating portion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a module connected to the system is seated,
Mobile termina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모듈 안착부에 탈부착되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에 필요한 전파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과,
무선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과,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심카드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이동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dule comprises:
A module mounting part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dule mounting part,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required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At least one of the SIM card modules stor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본체에 상기 백커버의 내측면을 향하는 힘을 제공하는 백커버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back cover engaging member for providing a force to the connecting portion body towar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back cover,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에 전자기적 접지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The back cover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made of metal, and connected to the antenna to provide electromagnetic ground to the antenna,
Mobile terminal.
KR1020160038344A 2016-03-30 2016-03-30 Mobile terminal Withdrawn KR201701119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344A KR20170111969A (en) 2016-03-30 2016-03-30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344A KR20170111969A (en) 2016-03-30 2016-03-30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969A true KR20170111969A (en) 2017-10-12

Family

ID=6014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344A Withdrawn KR20170111969A (en) 2016-03-30 2016-03-30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96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60A1 (en)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O2022014759A1 (en)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60A1 (en)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O2022014759A1 (en)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11327535B2 (en) 2020-07-17 2022-05-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5819B2 (en) Mobile terminal
US10061358B2 (en) Mobile terminal
KR102468709B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key module
US9690330B2 (en) Mobile terminal
EP3089430A1 (en) Mobile terminal
US9609099B2 (en) Mobile terminal
KR20160003499A (en) Proximity illumination sensor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50124710A (en)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KR20150125374A (en) Mobile terminal
KR20160139424A (en) Mobile terminal
KR20170079637A (en) Mobile terminal
KR101731375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28018A (en) Mobile terminal
KR20170111969A (en) Mobile terminal
KR102150630B1 (en) Mobile terminal
KR20170104837A (en) Mobile terminal
KR102166834B1 (en) Mobile terminal
KR20170111972A (en) Mobile terminal
KR20170136315A (en) Mobile terminal
KR20170017081A (en) Mobile terminal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1562592B1 (en) Mobile terminal
KR101587178B1 (en) Mobile terminal
EP441150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riving element
KR101727513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22143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