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816A -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6816A KR20170136816A KR1020160068824A KR20160068824A KR20170136816A KR 20170136816 A KR20170136816 A KR 20170136816A KR 1020160068824 A KR1020160068824 A KR 1020160068824A KR 20160068824 A KR20160068824 A KR 20160068824A KR 20170136816 A KR20170136816 A KR 201701368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ower
- breaker
- control
- standby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 Y02B70/3275—
-
- Y02B70/3283—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차단부의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 제어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300: 차단기 단자대 400: 시스템 차단부
410: 전등 차단부 420: 콘센트 차단부
430: 대기 전력 제어부 440: 시스템 단자부
500: 차단 제어부 510: 과부하 감지부
520: 전류 감지부 530: 가스 스위치 관리부
540: 보일러 관리부 550: 통신부
560: 사용자 입력부 570: 통합 제어기
Claims (8)
- 다수의 분리 공간으로 분할된 건물 영역에 위치하는 부하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공급하기 위한 메인 차단기;
상기 메인 차단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의 분리 공간의 부하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분배 차단기;
상기 분배 차단기에 각기 접속된 다수의 차단기 단자대;
각 분리 공간의 차단기 단자대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 및
상기 다수의 시스템 차단부를 각기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차단부는 사용자 또는 차단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수의 전등 부하 각각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전등 차단부와, 사용자 또는 차단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다수의 콘센트에 접속된 기타 부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콘센트 차단부와, 다수의 콘센트에 접속된 기타 부하의 대기 전력을 제어하는 다수의 대기 전력 제어부와, 전등 차단부와 콘센트 차단부에 접속된 시스템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 차단부 및 콘센트 차단부는 수동 제어와 자동 제어가 모두 가능한 형태의 두 라인 단락 가능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제어부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부와, 과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와,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관리 신호를 제공받는 통신부와,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과부하 감지부, 전류 감지부, 사용자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은 신호 및 별도의 대기 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시스템 차단부, 메인 차단기 및 분배 차단기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제어부는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가스 스위치를 관리하는 가스 스위치 관리부와, 보일러 구동을 제어하는 보일러 관리부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수동 모드일 경우 차단 제어부의 감지 및 통신 동작을 최소화하는 전원 관리부와, 알람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 또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 모드일 경우에는 과부하 감지부 및 전류 감지부의 동작을 오프 시켜 사용자가 직접 모든 차단기와 시스템 차단부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 모드일 경우에는 대기 전력 제어를 위한 부분을 제외한 동작을 활성화 시키고, 대기 전력 모드일 경우에는 대기 전력 제어를 위한 부분을 포함한 모든 부분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 청구항 1에 따른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 모드, 자동 모드 및 대기 전력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가 대기 전력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과부하 감지 및 과전류 감지를 실시하고, 대기 전력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과부하 및 과전류 및 대기 전력 발생시에는 차단기를 제어하거나, 시스템 차단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과부하 및 과전류를 감지하고, 과부하 및 과전류 발생시 차단기 및 시스템 차단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차단기 및 시스템 차단부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의 차단은 부하에 접속되는 2개의 라인 모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8824A KR20170136816A (ko) | 2016-06-02 | 2016-06-02 |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8824A KR20170136816A (ko) | 2016-06-02 | 2016-06-02 |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6816A true KR20170136816A (ko) | 2017-12-12 |
Family
ID=6094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8824A Ceased KR20170136816A (ko) | 2016-06-02 | 2016-06-02 |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3681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05793A1 (ko) * | 2018-11-20 | 2020-05-28 | 김은태 | 다용도 스마트 분전반 장치 및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
KR20200059138A (ko) * | 2019-09-02 | 2020-05-28 | 김은태 | 다용도 스마트 분전반 장치 및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
-
2016
- 2016-06-02 KR KR1020160068824A patent/KR20170136816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05793A1 (ko) * | 2018-11-20 | 2020-05-28 | 김은태 | 다용도 스마트 분전반 장치 및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
US11962148B2 (en) | 2018-11-20 | 2024-04-16 | EunTae KIM | Multipurpose smart switchboard device an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20200059138A (ko) * | 2019-09-02 | 2020-05-28 | 김은태 | 다용도 스마트 분전반 장치 및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067137A1 (en) |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managing electricity. | |
JP2011055643A (ja) | 電力供給システム | |
US9935495B2 (en) | Automatic transfer switch | |
US20090027219A1 (en) | Dimming system powered by two current sources and having an operation indicator module | |
KR101622677B1 (ko) | 화재 또는 정전 시에 비상등 전원 공급장치 | |
KR20180054246A (ko) | IoT 기반의 실시간 원격감시가 가능한 과부하를 포함하는 아크겸용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장치 | |
KR100789915B1 (ko) | 멀티 탭에서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의 방법 | |
KR101057982B1 (ko) |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 |
KR20170136816A (ko) | 중앙 집중식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 |
CN105655095A (zh) | 一种风冷控制装置 | |
KR100977039B1 (ko) | 상용전원 우선절체 동작 시 노 딜레이를 갖는 전원자동절체장치 | |
KR101163165B1 (ko) | 간이형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 |
CN205725135U (zh) | 三相智能双电源无缝自动切换装置 | |
CN103699034B (zh) | 一种集中管理触摸节电开关控制系统 | |
KR20120137125A (ko) | 통합 분전반을 기반으로 하는 대기전력 통합차단 제어 시스템 | |
KR101061676B1 (ko) | 대기전력 차단 및 그 차단 해제시스템 및 그 방법 | |
CN205692655U (zh) | 一种风冷控制装置 | |
KR20160028893A (ko) |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 |
CN204406171U (zh) | 电源智能控制器 | |
KR102727516B1 (ko) | 선버스트 차트 표시 기반의 콘센트 장치 | |
KR100600439B1 (ko) | 자동전원차단장치 | |
US9653918B2 (en) | Autonomous thermal event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a network vault | |
KR101200192B1 (ko) | 절전형 멀티탭 및 상기 멀티탭의 운용방법 | |
CN109889105B (zh) | 电动机监控系统及方法 | |
KR20110068309A (ko) |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콘센트 및 전기기기의 전원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