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073A -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4073A KR20170134073A KR1020160065797A KR20160065797A KR20170134073A KR 20170134073 A KR20170134073 A KR 20170134073A KR 1020160065797 A KR1020160065797 A KR 1020160065797A KR 20160065797 A KR20160065797 A KR 20160065797A KR 20170134073 A KR20170134073 A KR 201701340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bazole
- light emitting
- organic light
- derivative
- hole transpor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 H01L51/0059—
-
- H01L51/0072—
-
- H01L51/50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화학식 4의 화합물)의 IR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에 대하여 UV-vis 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에 대하여 실온과 저온(77K)에서 실시한 광 발광(PL) 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에 대하여 순환전압전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의 J-V-L 및 L-효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발광소자의 EL 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 내지 8에 기재된 7a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7b는 본 발명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7c는 본 발명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분 | T g /T d (℃) |
UV λmax (nm) |
PL λmax (nm) |
HOMO (eV) |
LUMO (eV) |
T1 (eV) |
Eg (eV) |
화학식 1 | 90/400 | 279,351 | 470 | -5.16 | -2.22 | 2.40 | 2.94 |
화학식 2 | 86/380 | 388,316 | 435 | -5.47 | -2.19 | 2.42 | 2.95 |
화학식 3 | 120/200 | 304,353 | 454 | -5.06 | -2.05 | 2.35 | 3.01 |
화학식 4 | 126/504 | - | - | -5.04 | -1.99 | 2.36 | 3.05 |
Claims (8)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바졸 유도체는 9-헥실-3,6-디아이오도-9H-카바졸(9-hexyl-3,6-diiodo-9H-carbazole), 3,6-디브로모-9H-카바졸(3,6-dibromo-9H-carbazole), 페닐 카바졸 유도체, 다이페닐카바졸 유도체 및 나프틸 카바졸 유도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정공수송물질용 카바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프탈렌 유도체는 4-(N-(나프탈렌-1-일)-N-(나프탈렌-3-일)아미노)페닐보론산(4-(N-(naphthalen-1-yl)-N-(naphthalen-3-yl)amino)phenylboronic acid), N-페닐나프탈렌-1-아민(N-phenylnaphthalen-1-amine), N-페닐나프탈렌-2-아민(N-phenylnaphthalen-2-amine), 페닐나프탈렌 및 바이페닐 나프탈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정공수송물질용 카바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즈키 커플링 반응은 촉매 하에서 90~120℃에서 20~40시간 동안 반응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정공수송물질용 카바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크왈드-하트위그 커플링 반응은 촉매 하에서 90~120℃에서 20~40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정공수송물질용 카바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Pd, Cu 및 Sn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정공수송물질용 카바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797A KR20170134073A (ko) | 2016-05-27 | 2016-05-27 |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797A KR20170134073A (ko) | 2016-05-27 | 2016-05-27 |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4073A true KR20170134073A (ko) | 2017-12-06 |
Family
ID=6092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5797A Ceased KR20170134073A (ko) | 2016-05-27 | 2016-05-27 |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34073A (ko) |
-
2016
- 2016-05-27 KR KR1020160065797A patent/KR20170134073A/ko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1645B1 (ko) | 신규한 유기화합물, 및 상기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용 재료 및 유기전계발광 소자 | |
KR101600127B1 (ko) |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유기 전기발광 소자 | |
KR101738607B1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101599563B1 (ko) | 전기활성 재료 | |
KR101707799B1 (ko)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
KR101817808B1 (ko) | 전기활성 재료 | |
KR101582707B1 (ko) | 전기활성 재료 | |
KR101790854B1 (ko) | 발광 응용을 위한 중수소화된 화합물 | |
Lee et al. | 2, 5‐Functionalized spiro‐bisiloles as highly efficient yellow‐light emitters in electroluminescent devices | |
KR101914338B1 (ko) | 신규한 유기화합물, 및 상기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용 재료 및 유기전계발광 소자 | |
AU2003249016A1 (en) | Charge transport compositions comprising fluorinated phenanthroline derivatives | |
CN101153036A (zh) | 有机发光化合物以及含有它的有机发光器件 | |
KR101631507B1 (ko) |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20170106502A (ko) | 모노아민 화합물, 전하 수송 재료, 전하 수송막용 조성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유기 el 표시 장치 및 유기 el 조명 | |
JP2011093825A (ja) | 2,2−ジフェニルアダマンチル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 |
US20230010535A1 (en) | Electroactive compounds | |
JP5377836B2 (ja) | ジアリールエテン系誘導体、これを使用して製造された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該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方法 | |
Lee et al. | Highly efficient soluble materials for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
JP7504535B2 (ja) | 新規な化合物、それを含む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802348B1 (ko) |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20190090211A (ko) |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 |
EP3677602B1 (en) | Polymer,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ing same | |
JP2011168544A (ja) | ピロール系化合物、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 |
KR20170134073A (ko) | 유기발광소자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 |
KR101798143B1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정공수송물질용 실론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