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964A - Top cap and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p cap and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3964A KR20170133964A KR1020160065484A KR20160065484A KR20170133964A KR 20170133964 A KR20170133964 A KR 20170133964A KR 1020160065484 A KR1020160065484 A KR 1020160065484A KR 20160065484 A KR20160065484 A KR 20160065484A KR 20170133964 A KR20170133964 A KR 201701339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discharge
- top cap
- discharge hole
- discharge holes
- ga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 H01M2/1247—
-
- H01M2/046—
-
- H01M2/123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탑 캡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 방출이 용이한 탑 캡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cap and a cap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 cap for easily discharging gas and a cap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차 전지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각형 이차전지 및 원형 이차전지로 분리된다.Generally,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unlike a primary battery which can not be charged. Such a secondary battery is widely used in high-tech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hone, a notebook computer, and a camcorder. The secondary battery is separated into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 prismatic secondary battery, and a circular secondary battery.
원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전해액,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캔, 및 상기 캔의 개구부에 실장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캔의 개구부에 구비되면서 양극 단자를 형성하는 탑 캡,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류차단부재, 상기 전류차단부재와 상기 탑 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캔 내부에서 가스 발생 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안전밴트, 및 상기 캔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한다.The circular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lyte, 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nd a cap assembly mounted on the opening of the can, wherein the cap assembly includes a cap A cap, a current block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 safety ven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urrent blocking member and the top cap to block current flow when generating gas in the can, Gasket.
이와 같은 원형 이차전지는 충방전시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의 상호 반응으로 가스가 발생하는데, 이 가스는 안전밴트와 탑 캡에 형성된 가스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such a circular secondary battery, gas is generated due to mutual reaction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this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afety vent and the gas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top cap.
그러나 원형 이차전지는 탑 캡에 형성된 가스 배출홀이 너무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캔 내부의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상기 캔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폭발 또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circular secondary battery has a problem that the gas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top cap is too small and the gas inside the can can not be discharged quickly and smoothly. Accordingly, due to the pressure of gas remaining in the can, Lt; / RTI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 캡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홀의 크기를 크게 확보하여 상기 캔 내부의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시키며, 특히 상기 가스 배출홀을 2개로 제한하여 탑캡의 강도 약화를 방지하는 탑 캡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s discharge apparatus, A top cap for preventing the strength of the top cap from being weakened by limiting the number of holes to two, and a cap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top ca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 배출홀의 외주면에 보강리브를 형성하며, 이 보강리브를 통해 가스 배출홀의 외주면 강도를 증대시켜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캔 내부의 가스를 항상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s discharge apparatus and a gas discharge apparatus which can form a reinforcing rib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gas discharge hole and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gas discharge hole through the reinforcing rib to prevent deformation, To provide a cap assembly for a batte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는 캔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양극단자가 형성되는 탑 캡을 포함하며, 상기 탑 캡은 상기 캔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부로 융기되고 양극단자를 형성하는 단자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단자부를 연결하고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 형성되며, 상기 2개 가스 배출홀 크기의 합은 상기 연결부의 전체 크기의 1/2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p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the cap assembly including a top cap coupled to an opening of a can and having a bipolar terminal formed therein, A termina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forming a bipolar terminal,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to form a gas discharge hole, wherein the gas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The sum of the two gas discharge hole sizes may be at least one-half of the total size of the connection.
상기 2개 가스 배출홀 크기의 합은 상기 연결부의 전체 크기의 2/3 이상일 수 있다.The sum of the two gas discharge hole sizes may be two thirds or more of the total size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가 형성되되, 상기 2개의 가스 배출홀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Two gas discharge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two gas discharge holes may have different sizes.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가 형성되되, 상기 2개의 가스 배출홀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wo gas discharge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two gas discharge holes may have the same size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t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단자부의 두께는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상기 단자부의 두께는 0.6mm~0.7mm로 마련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portion may be set to 0.6 mm to 0.7 mm.
상기 탑 캡의 두께는 0.6mm~0.7mm일로 마련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top cap may be 0.6 mm to 0.7 mm.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가스 배출홀이 변형되지 않게 지지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b that supports the gas discharge hole without being deformed.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가스 배출홀의 주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가스 배출홀이 눌려서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may be formed along the main surface of the gas discharge hole to support the gas discharge hole so that the gas discharge hole is not pressed and deformed.
상기 보강리브는 원형의 단면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 캡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부로 융기되고 양극단자를 형성하는 단자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단자부를 연결하고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 형성되며, 상기 2개 가스 배출홀 크기의 합은 상기 연결부의 전체 크기의 1/2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p cap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n opening of a can receiving an electrode assembly; a terminal portion protruded upward from the coupling portion to form a bipolar terminal; The gas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um of the sizes of the two gas discharge holes may be at least one-half of the total size of th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탑 캡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홀을 상기 연결부 크기의 1/2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캔 내부의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스 배출홀을 2개로 제한하여 형성함으로써 탑캡의 강도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op cap is formed to be at least 1/2 of the size of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gas in the can can be quickly and smoothly discharged. In particular, by forming the gas discharge holes by limiting the number of the gas discharge holes to tw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ength of the top cap from becoming weak.
둘째: 본 발명은 탑 캡에 형성되는 2개의 가스 배출홀을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하되, 큰 가스 배출홀은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탑 캡 부분에 형성하고 작은 가스 배출홀은 가스가 적게 발생하는 탑 캡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캔 내부에 발생하는 가스를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gas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top cap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wherein a large gas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a top cap where a large amount of gas is generated and a small gas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 top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can can be discharged more quickly and smoothly by forming the cap in the cap portion.
셋째: 본 발명은 탑 캡에 형성되는 2개의 가스 배출홀을 동일한 크기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탑 캡 전체의 강도를 균일화하여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캔 내부의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wo gas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top cap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nd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strength of the entirety of the top cap is uniformized to prevent deformation, have.
넷째: 본 발명의 탑 캡은 결합부, 단자부 및 상기 결합부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전극단자를 형성하는 상기 단자부는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 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탑 캡이 눌려서 변형되는 문제를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Fourthly, the top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a terminal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wherein the terminal portion forming the electrode terminal is thicker tha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prevent the problem of being deformed by being pushed.
다섯째: 본 발명은 탑 캡에 형성된 가스 배출홀의 주면에 보강리브를 포함함으로써 탑 캡이 눌려서 변형되더라도 가스 배출홀의 변형은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캔 내부에 발생하는 가스를 항상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Fif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gas discharge hole even if the top cap is pressed and deformed by including the reinforcing rib on the main surface of the gas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top cap,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의 탑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 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리브가 형성된 탑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표시된 B-B선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p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p cap of a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op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p cap having a reinforcing rib form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In the embodiment 따른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 전해액(미도시), 전극조립체(10)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캔(20), 캔(20)의 개구부에 실장되는 캡 조립체(100)를 포함한다.1,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전극조립체(10)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의 전극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며, 복수의 분리막은 제1 분리막 및 제2 분리막이다.The
즉,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기본단위체, 또는 상기 기본단위체가 적어도 2개 이상 적층되는 구조로 마련된다.That is, the
캔(20)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극조립체(10)와 전해액이 수용된다.The
캡 조립체(100)는 캔(20)의 개구부에 실장되면서 개구부를 밀폐한다. The
즉, 캡 조립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캔(20)의 개구부에 구비되고 가스 배출홀이 형성된 탑 캡(110), 탑 캡(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안전밴트(120), 안전밴트(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CID(130), 및 탑 캡(110), 안전밴트(120) 및 CID(130)의 주면을 감싸고 캔(20)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가스켓(140)을 포함한다.1 and 2,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차전지는 전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방전을 실시하는데, 이때 전극조립체(10)와 전해액의 상호 반응에 의해 캔(20)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고, 이 캔(20) 내부에 발생한 가스는 안전 밴트(120)와 탑 캡(110)의 가스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order to improve battery performance, a secondary battery having such a structure performs charging and discharging. At this time, gas is generated in the
그러나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100)는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이 발생할 경우 탑 캡(110)의 가스 배출홀의 크기가 감소하면서 캔(20) 내부에 발생한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캔(20) 내부의 압력이 점차 상승할 경우 폭발 또는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100)는 탑 캡(100)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홀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확보함으로써 상기 가스 배출홀의 크기가 감소하더라도 캔(20) 내부에 발생한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이차전지의 폭발 또는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본 발명의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In the embodiment 따른 캡 조립체] ≪ / RTI >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100)는 캔(20)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양극단자가 형성되는 탑 캡(110)을 포함하되, 탑 캡(110)은 캔(2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11), 결합부(111)로부터 상부로 융기되고 양극단자를 형성하는 단자부(112), 및 결합부(111)와 단자부(112)를 연결하고 가스 배출홀(113a)이 형성되는 연결부(113)를 포함한다.That is, the
여기서 가스 배출홀(113a)은 가스의 신속한 배출과 함께 탑 캡(1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연결부(113)에 2개가 형성된다. 즉, 가스 배출홀(113a)이 1개일 경우 탑 캡(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 배출량이 적고 특히 가스 배출홀의 크기가 감소할 경우 가스의 신속한 배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가스 배출(113a)이 3개 이상일 경우 탑 캡(110)을 통해 가스는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지만 탑 캡(110)의 강도가 약화되면서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쉽게 탑 캡(110)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Here, two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 캡(110)은 연결부(113)에 2개의 가스 배출홀(113a)을 형성함으로써 캔(20) 내부의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탑 캡(110)의 강도 약화를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한편, 2개 가스 배출홀(113) 크기의 합은 연결부(113)의 전체 크기의 1/2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가스 배출홀(113)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하여 가스의 신속하고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um of the sizes of the two
특히, 가스 발생량이 큰 대용량의 이차전지일 경우 2개의 가스 배출홀(113a) 크기의 합은 연결부(113)의 전체 크기의 2/3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탑 캡(110)의 크기가 증대됨에 따라 강도도 그만큼 증대되기 때문에 가스 배출홀(113a)의 크기를 더욱 크게 확보하여 캔(20) 내부의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arge-capacity secondary battery having a large gas generation amount, the sum of the sizes of the two
한편, 2개의 가스 배출홀(113a)은 이차전지의 크기, 형상 및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하거나 또는 같은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two
첫번째로, 2개의 가스 배출홀(113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2개의 가스 배출홀(113a) 중 어느 하나의 가스 배출홀(113a)은 크게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가스 배출홀(113a)은 어느 하나의 가스 배출홀(113a) 보다 작게 형성한다.First, the two
이에, 캔(20)에 캡 조립체(100)를 결합할 시 캔(20) 내부의 가스 발생량이 많은 쪽에 큰 가스 배출홀(113a)이 위치하도록 조절하고, 캔(20) 내부의 가스 발생량이 작은 쪽에 작은 가스 배출홀(113a)이 위치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캔(20) 내부에 발생하는 가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두번째로, 2개의 가스 배출홀(113a)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서로 같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2개의 가스 배출홀(113a)은 연결부(113)에 서로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Second, the two
즉, 2개의 가스 배출홀(113a)은 연결부(113)에 동일한 크기로 상호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연결부(113) 전체의 강도를 균일할 수 있고, 이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탑 캡(110)이 눌려져서 변형되는 문제를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w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100)는 탑 캡(110)에 가스 배출홀(113a)를 2개 형성하되, 2개의 가스 배출홀(113a)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확보함으로써 캔(20) 내부의 가스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100)는 탑 캡(110)의 단자부(112)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단자부(112)가 전후좌우로 찌그러짐과 동시에 함몰되면서 가스 배출홀(113a)이 전부 또는 일부가 막힐 수 있으며, 이에 캔(2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Th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100)는 탑 캡(110)의 단자부(112) 두께를 증대시켜서 강도를 향상시키며, 이에 외부의 충격이 단자부(112)를 타격하더라도 단자부(11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가스 배출홀(113a)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캔(20) 내부의 가스를 항상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즉, 도 3을 참조하면, 단자부(112)의 두께(α)는 결합부(111)의 두께(β)와 연결부(113)의 두께(γ) 보다 크고, 결합부(111)의 두께(β)와 연결부(113)의 두께(γ)는 같게 형성한다.3, the thickness? Of the
일례로, 단자부(112)의 두께는 0.6mm~0.7mm로 마련되고, 결합부(112) 및 연결부(113)의 두께는 0.3mm으로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이에, 단자부(112)의 지지력을 통해 외부의 충격을 대부분 흡수함으로써 결합부(111) 및 연결부(113)의 변형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external force is substantially absorbed through the supporting force of the
한편, 단자부(112)의 두께를 증대함과 동시에 결합부(112) 및 연결부(113)의 두께도 증대하여 탑 캡(1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탑 캡(110) 전체의 두께는 0.6mm~0.7mm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탑 캡(110) 전체의 강도를 증대시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탑 캡(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100)는 탑 캡(110)의 단자부(112)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단자부(11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가스 배출홀(113a)의 막힘을 방지하여 캔(20)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항상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100)는 탑 캡(110)의 단자부(112)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단자부(112)의 변형은 방지할 수 있지만 연결부(113)가 좌굴될 수 있으며, 이에 가스 배출홀(113a)이 눌려지면서 가스 배출홀(113a)의 크기가 감소하여 캔(20)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폭발 또는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100)는 탑 캡(110)의 연결부(113)가 좌굴되더라도 가스 배출홀(113a)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하며, 이에 캔(20)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가스 배출홀(113a)이 변형되지 않게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일례로, 보강리브(114)는 가스 배출홀(113a)의 주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가스 배출홀(113a)이 눌려서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즉, 보강리브(114)는 탑 캡(110)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가스 배출홀(113a)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시키며, 이에 캔(20)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inforcing
여기서 보강리브(114)는 원형의 단면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작의 용이성과 보강리브(114)에 전달되는 충격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가스 배출홀(113a)의 변형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100)는 보강 리브(114)를 더 포함함으로써 캔(20)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In the embodiment 따른 탑 캡] Top cap]
전술한 캡 조립체에서 탑 캡만 별도로 제품화가 가능하며, 이에 제작의 용이성과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ap assembly, only the top cap can be separately manufactured, thereby improving ease of fabrication and compatibility.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 캡(11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캔(2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11), 결합부(111)로부터 상부로 융기되고 양극단자를 형성하는 단자부(112), 및 결합부(111)와 단자부(112)를 연결하고 가스 배출홀(113a)이 형성되는 연결부(113)를 포함한다.1 and 2, a
여기서 가스 배출홀(113a)은 연결부(113)에 2개 형성되며, 2개 가스 배출홀(113a) 크기의 합은 연결부(113)의 전체 크기의 1/2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Here, two
또한, 단자부(112)의 두께는 결합부(111) 및 연결부(113)의 두께 보다 크게 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또한, 연결부(113)에는 가스 배출홀(113a)이 변형되지 않게 지지하는 보강리브(1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 캡(110)은 가스 배출홀(113a)의 크기 및 강도를 높일 수 있고, 특히 탑 캡(110)의 강도를 높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변형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various embodiment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캡 조립체
110: 탑 캡
111: 결합부
112: 단자부
113: 연결부
114: 보강리브
120: 안전밴트
130: CID100: cap assembly
110: Top cap
111:
112: terminal portion
113:
114: reinforcing rib
120: Safety vans
130: CID
Claims (15)
상기 탑 캡은 상기 캔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부로 융기되고 양극단자를 형성하는 단자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단자부를 연결하고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 형성되며,
상기 2개 가스 배출홀 크기의 합은 상기 연결부의 전체 크기의 1/2 이상인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And a top cap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can and having a bipolar terminal,
Wherein the top cap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can, a terminal portion protruded upward from the coupling portion to form a bipolar terminal,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Wherein two gas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sum of the two gas discharge hole sizes is at least one-half of the total size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2개 가스 배출홀 크기의 합은 상기 연결부의 전체 크기의 2/3 이상인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m of the two gas discharge hole sizes is at least two-thirds of the total size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가 형성되되, 상기 2개의 가스 배출홀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gas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two gas discharge holes have different sizes.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가 형성되되, 상기 2개의 가스 배출홀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gas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two gas discharge holes have the same size and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단자부의 두께는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Claim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terminal portion i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상기 단자부의 두께는 0.6mm~0.7mm로 마련되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portion is 0.6 mm to 0.7 mm.
상기 탑 캡은 두께가 0.6mm~0.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p cap has a thickness of 0.6 mm to 0.7 mm.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가스 배출홀이 변형되지 않게 지지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되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that supports the gas discharging hole without being deformed.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가스 배출홀의 주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가스 배출홀이 눌려서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inforcing rib is formed along a main surface of the gas discharge hole to support the gas discharge hole so that the gas discharge hole is not deformed.
상기 보강리브는 원형의 단면형태를 가지는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inforcing rib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 형성되며,
상기 2개 가스 배출홀 크기의 합은 상기 연결부의 전체 크기의 1/2 이상인 탑 캡.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and forming a gas discharge hol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can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 terminal portion is raised up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wo gas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sum of the two gas vent hole sizes is at least one-half the overall size of the connection.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가 형성되되, 상기 2개의 가스 배출홀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탑 캡.The method of claim 11,
Two gas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two gas discharge holes have different sizes.
상기 가스 배출홀은 상기 연결부에 2개가 형성되되, 상기 2개의 가스 배출홀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탑 캡.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wo gas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two gas discharge holes have the same size and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단자부의 두께는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되는 탑 캡.Claim 11
Wherein a thickness of the terminal portion i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가스 배출홀이 변형되지 않게 지지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되는 탑 캡.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that supports the gas discharge hole without being de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484A KR102119704B1 (en) | 2016-05-27 | 2016-05-27 | Top cap and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484A KR102119704B1 (en) | 2016-05-27 | 2016-05-27 | Top cap and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3964A true KR20170133964A (en) | 2017-12-06 |
KR102119704B1 KR102119704B1 (en) | 2020-06-08 |
Family
ID=6092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5484A Active KR102119704B1 (en) | 2016-05-27 | 2016-05-27 | Top cap and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970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906B1 (en) * | 2021-03-25 | 2021-11-04 | 주식회사 유로셀 | Cylindrical seconcary battery |
SE2251549A1 (en) * | 2022-12-22 | 2024-06-23 | Northvolt Ab | A ventilated terminal part for a cylindrical secondary cell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87776A (en) * | 2001-12-17 | 2003-07-04 | Sanyo Electric Co Ltd | Battery |
KR100947962B1 (en) * | 2008-03-17 | 2010-03-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
KR100958649B1 (en) | 2002-12-27 | 2010-05-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unit, a winding method thereof,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JP2013246908A (en) * | 2012-05-24 | 2013-12-09 | Hitachi Ltd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KR101502162B1 (en) * | 2008-04-18 | 2015-03-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
2016
- 2016-05-27 KR KR1020160065484A patent/KR10211970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87776A (en) * | 2001-12-17 | 2003-07-04 | Sanyo Electric Co Ltd | Battery |
KR100958649B1 (en) | 2002-12-27 | 2010-05-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unit, a winding method thereof,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KR100947962B1 (en) * | 2008-03-17 | 2010-03-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
KR101502162B1 (en) * | 2008-04-18 | 2015-03-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JP2013246908A (en) * | 2012-05-24 | 2013-12-09 | Hitachi Ltd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906B1 (en) * | 2021-03-25 | 2021-11-04 | 주식회사 유로셀 | Cylindrical seconcary battery |
SE2251549A1 (en) * | 2022-12-22 | 2024-06-23 | Northvolt Ab | A ventilated terminal part for a cylindrical secondary cel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9704B1 (en) | 2020-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40360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191659B1 (en) | Battery module | |
KR101683209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20240097291A1 (en) | Cylindric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KR102029406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EP2207225A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10065277A (en) | Secondary battery | |
EP3614451B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090029148A (en) | Battery pack | |
JP2011504645A (en) | Secondary battery pack that provides excellent productivity and structural stability | |
CN106941136A (en) | Cap assemblies and the secondary cell including the cap assemblies | |
JP2011134709A (en) | Battery pack | |
US20200212416A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80027266A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704162B1 (en) | Improved pouch battery overcharging safety | |
KR102264700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JP2009094045A (en) |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 |
KR20130115594A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170133964A (en) | Top cap and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KR102155706B1 (en) | Cap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 |
KR102522701B1 (en) | The Secondary Battery | |
KR102232532B1 (en)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short protrusion | |
KR20210049327A (en) | Busbar Having Anticorrosion Member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335696B1 (en) | The Current Interrupt Device And The Cap Assembly | |
KR102217442B1 (en) |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5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