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27266A - Rechargeable battery - Google Patents

Rechargeable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266A
KR20180027266A KR1020160114636A KR20160114636A KR20180027266A KR 20180027266 A KR20180027266 A KR 20180027266A KR 1020160114636 A KR1020160114636 A KR 1020160114636A KR 20160114636 A KR20160114636 A KR 20160114636A KR 20180027266 A KR20180027266 A KR 2018002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ode
cap plate
spinning
gas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6448B1 (en
Inventor
백윤기
김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448B1/en
Priority to PCT/KR2017/009661 priority patent/WO2018048160A1/en
Publication of KR2018002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44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0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2/041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며 연결되는 캡플레이트, 상기 캡플레이트에 형성된 단자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와 상기 캡플레이트 상면에서 돌출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스피닝터미널을 가지는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과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는 가스켓이 개재되고, 상기 가스켓과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는 제1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A first electrode terminal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having a first spinning terminal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ap plate through the terminal ho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wherein a gaske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and the cap plate, and a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gasket and the cap plate.

Description

이차전지{RECHARGEABLE BATTERY}[0002] RECHARGEABLE BATTERY [0003]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거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which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which can not be charged. BACKGROUND ART [0002] A secondary battery is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motor for driv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s, and camcorders, and hybrid vehicles.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구비한다. 전극조립체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며, 케이스에는 단자 또는 리드탭이 구비된 캡조립체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거나 공급받는다. 케이스는 금속판 또는 파우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the case to perform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 cap assembly having a terminal or a lead tab is connected to the case to supply or supply current. The case may be made of a metal plate or a pouch.

복수개의 이차전지는 버스바 등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팩을 이룰 수 있으며, 대용량이 필요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자동차의 주행시 또는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되면, 배터리팩에 충격하중이 전달되고, 복수개의 이차전지 중 일부가 연결이 끊어져 전기적으로 이탈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bar or the like to form a battery pack, and may be used in a hybrid vehicle or the like requiring a large capacity. An impact load is transmitted to the battery pack when the vehicle is running or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the battery pack, and a part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is disconnected and electrically disconnected.

최근 배터리팩에 설치되는 이차전지의 캡조립체 공정 변경과 부품 삭제가 이루어지면서, 반복 하중에 의해 전극단자가 회전하게 되어 전극단자와 버스바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가 많이 발생된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 cap assembly process of a secondary battery installed in a battery pack has been changed and parts have been removed, and electrode terminals are rotated due to cyclic loading, resulting in a problem of break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and the bus bar.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극단자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preventing rotation of an electrod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며 연결되는 캡플레이트, 상기 캡플레이트에 형성된 단자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와 상기 캡플레이트 상면에서 돌출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스피닝터미널을 가지는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과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는 가스켓이 개재되고, 상기 가스켓과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는 제1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A first electrode terminal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having a first spinning terminal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ap plate through the terminal ho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wherein a gaske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and the cap plate, and a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gasket and the cap plate.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과 상기 가스켓 사이에는 제2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and the gasket.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상기 단자홀 외측에서 상기 단자홀을 감싸는 우묵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홈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p plate may have a recessed groove portion surrounding the terminal hole from outside the terminal hole. The gasket may protrude toward the groove portion and may include an insert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은, 상기 가스켓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끼움부에 형성된 삽입부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pinning terminal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gasket, and the protrusion may be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에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first spinning terminal,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2 전극단자는, 상기 캡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터미널부 및 상기 캡플레이트에서 상기 터미널부와 반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n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ap pl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erminal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전극연결부는, 상기 캡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cap plate.

상기 제1 전극단자는,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과 재질이 다르게 형성되는 제2 스피팅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erminal may include a second spitting terminal that is seated o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and is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spinning terminal.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을 상기 캡플레이트 상면과 절연시키는 탑인슐레이터 및 상기 돌출부를 상기 캡플레이트로부터 절연시키고, 상기 단자홀에 끼워져 상기 캡플레이트 하면으로 이어져, 상기 캡플레이트 하면과 상기 제1 전극의 제1 집전부를 절연시키는 실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gasket comprises a top insulator for insulating the first spinning terminal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a protrusion for inserting the protrusion from the cap plat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to be 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a seal gasket for insulating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ortion of the electrode.

상기 탑인슐레이터와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제1 접착층 보다 두꺼운 제3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A third adhesive layer thicker than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top insulator and the cap plate.

상기 돌출부와 상기 단자홀 사이에는 제4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A fourth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terminal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외부 충격이나 반복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전극단자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버스바와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lectrode terminal from rotating when an external impact or a cyclic load is applied. Thu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us bar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ut of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2 실시예에 따른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3 실시예에 따른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4 실시예에 따른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5 실시예에 따른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cut along the line II-II in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 to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복수개가 서로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구동력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이차전지의 각각의 전극단자는 버스바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차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or in series to be used as a driving power source for a hybrid vehicle or the like. At this time, each of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can be connected to the bus. Hereinafter, the secondary batte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이차전지(100)는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조립체(10), 전극조립체(10)와 전해액을 내장하는 케이스(20), 케이스(20)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플레이트(35), 캡플레이트(35)에 설치되는 제1 전극단자(31) 및 제2 전극단자(32)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secondary battery 10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 current, a case 20 containing an electrode assembly 10 and an electrolyte, A first electrode terminal 31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32 provided on the cap plate 35 and the cap plate 35. The cap plate 35 may be formed of a metal,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 및 세퍼레이터(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의 양면에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을 배치하고, 제1 전극(11), 세퍼레이터(13) 및 제2 전극(12)을 젤리롤 상태로 귄취하여 전극조립체(10)를 형성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 a second electrode 12, and a separator 13.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are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separator 13, which is an insulator, and the first electrode 11, the separator 13, It is possible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10 by winding in a roll state.

제1 전극(11)은 일례로, 음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1)은 금속 박판의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 및 상기 집전체에 연결되는 제1 전극탭(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12)은 일례로, 양극일 수 있다. 제2 전극(12)은 제1 전극(11)과 마찬가지로 코팅부와 제2 전극탭(1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for example, a cathode. The first electrode 11 may include a coating portion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on a current collector of a thin metal plate and a first electrode tab 11a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The second electrode 12 may be, for example, an anode. The second electrode 12 may include a coating portion and a second electrode tab 12a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lectrode 11.

이하에서는 제1 전극(11)은 음극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 전극(12)은 양극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전극(11)의 집전체는 구리 박판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12)의 집전체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first electrode 11 will be described a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2 is an anode.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formed of a copper thin plate, and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second electrode 12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thin plate.

제1 전극탭(11a)과 제2 전극탭(12a)은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의 집전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이 권취되었을 때, 전극조립체(10)의 중앙에서 인출되도록 집전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탭(11a)은 제1 전극(11)의 권취 시작부분에서 연결되고, 제2 전극탭(12a)은 제2 전극(12)에서 제1 전극(11)과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극탭(11a)과 제2 전극탭(12a)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tab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s of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respectively. When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are wound, they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so as to be drawn out from the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tab 11a is connected at the beginning of winding of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a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11 at the second electrode 12 Can be connected.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tabs 11a and second electrode tabs 12a may be formed.

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10)와 전해액을 수용하며,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20)는 직육면체의 일측에 개구를 형성하며 전극조립체(10)는 케이스(20)의 외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The case 20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 example, the case 20 forms an opening on one sid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20.

캡플레이트(35)는 케이스(20)의 개구에 설치되어 케이스(20)를 밀폐한다. 예를 들면, 케이스(20)와 캡플레이트(35)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용접될 수 있다. The cap plate (35) is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case (20) to seal the case (20). For example, the case 20 and the cap plate 35 may be made of aluminum and welded to each other.

캡플레이트(35)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단자(31)가 연결되는 단자홀(35b) 및 벤트홀(24)을 구비할 수 있다. 벤트홀(37)은 이차전지(100)의 충전 및 방전으로 발생되는 내부 가스 및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벤트플레이트(37a)로 밀폐된다. 이차전지(100)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에 이르면, 벤트플레이트(37a)가 절개되어 벤트홀(37)을 개방한다. 벤트플레이트(37a)는 절개를 유도하는 노치(37b)를 가진다.The cap plate 35 may have one or more openings. For example, a terminal hole 35b and a vent hole 24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is connected. The vent hole 37 is sealed with a vent plate 37a to discharge internal gas and internal pressure generated by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reaches the preset pressure, the vent plate 37a is opened to open the vent hole 37. [ The vent plate 37a has a notch 37b for guiding the incision.

제1 전극단자(31)는 캡플레이트(35) 상면에 돌출되는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제1 스피닝터미널에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단자(3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31b)는 단자홀(35b)에 삽입되어 캡플레이트(35)를 관통하여 전극조립체(10)의 제1 전극탭(11a)과 제1 리드탭(41)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may include a first spinning terminal 31a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35 and a protrusion 31b extending from the first spinning terminal.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projecting portion 31b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35b and passes through the cap plate 35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tab 11a and the first lead tab 4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제1 스피닝터미널(31a)은 캡플레이트(35) 상면에 위치하게 되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b)는 제1 리드탭(41)과 스피닝 공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닝 장치의 펀치에 제1 전극단자(31)를 연결하여, 캡플레이트(35)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우며 회전시키면서 캡플레이트(35)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펀치는 제1 전극단자(31)가 펀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펀치 표면에 플라즈마 또는 티타늄 등의 코팅이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35 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protrusion 31b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ead tab 41 through a spinning proces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may be connected to the punch of the spinning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ap plate 35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p plate 35 and rotated.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from being attached to the punch, a coating such as plasma or titanium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unch.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돌출부(3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11)은 음극일 경우, 집전체가 구리 박판으로 되므로 제1 스피닝터미널(31a)와 돌출부(31b)도 각각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protrusion 31b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formed of a single metal.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de 11 is a cathode, since the current collector is a thin copper plate,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protrusion 31b may be formed of copper.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단자(31)에는 버스바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피닝터미널(31a) 상부에는 버스바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버스바와 재질이 동일한 제2 스피팅터미널(31c)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스바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므로 제2 스피팅터미널(31c)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bus ba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Accordingly, o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 second spitting terminal 31c having the same material as the bus bar may be connected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us bar. For example, since the bus bar is generally made of aluminum, the second spitting terminal 31c may be formed of aluminum.

제1 리드탭(41)은 제1 전극단자(31)의 돌출부(31b)와 제1 전극탭(11a)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전극(11)의 집전체가 구리 박판으로 형성되므로 제1 리드탭(41)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lead tab 41 electrically connects the protrusion 31b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and the first electrode tab 11a. Since the collector of the first electrode 11 is formed of a copper thin plate, the first lead tab 41 may be formed of copper.

돌출부(31b)는 제1 스피닝터미널(31a)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되며, 단자홀(35b)을 관통하여 제1 리드탭(41)에 삽입되고, 스피닝 공정을 통해 제1 리드탭(41)과 연결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31b is integrally formed and extended under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inserted into the first lead tab 41 through the terminal hole 35b so that the first lead tab 41 Lt; / RTI >

가스켓(50)은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캡플레이트(35) 사이에 개재된다. 가스켓(50)은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캡플레이트(35)를 절연시킨다. 제1 스피닝터미널(31a)은 가스켓(50)을 개재한 상태로 캡플레이트(35)의 외측에 설치된다. A gasket (5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cap plate (35). The gasket 50 insulates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cap plate 35 from each other.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is installed outside the cap plate 35 with the gasket 50 interposed therebetween.

가스켓(50)은 제1 전극단자(31)의 돌출부(31b)와 캡플레이트(35)의 단자홀(35b)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돌출부(31b)과 캡플레이트(35) 사이를 실링하고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가스켓(50)은 제1 리드탭(41)과 캡플레이트(35)의 내면 사이에 더 연장 설치되어, 제1 리드탭(41)과 캡플레이트(35) 사이를 더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The gasket 50 is provid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31b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hole 35b of the cap plate 35 to seal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31b and the cap plate 35, . ≪ / RTI > The gasket 50 may be further extended between the first lead tab 4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plate 35 to further electrically insulate the first lead tab 41 from the cap plate 35.

제2 전극단자(32)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터미널부(32a) 및 터미널부(32a)와 반대방향을 돌출되는 전극연결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연결부(32b)는 전극조립체(10)의 제2 전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미널부(32a)에는 버스바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12)은 캡플레이트(35) 및 케이스(20)에 대전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2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32a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n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32b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erminal portion 32a. For example,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32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2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 A bus bar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32a. In other words, the second electrode 12 can be charged to the cap plate 35 and the case 20.

터미널부(32a)는 제1 전극단자(31)의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연결부(32b)는 제2 전극탭(12a)과 제2 리드탭(42)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portion 32a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like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32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ab 12a through the second lead tab 42 and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터미널부(32a) 및 전극연결부(32b)는 캡플레이트(35)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캡플레이트(35)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전극단자(32)의 터미널부(32a)는 버스바와 연결될 경우, 반복하중에 의해서도 터미널부(32a)의 회전이 없으므로, 버스바와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The terminal portion 32a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32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p plate 35 by pressing the cap plate 35 with a press. As a result, when the terminal portion 32a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32 is connected to the bus bar, the terminal portion 32a is not rotated by the repeated load,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us bar can be maintained more stably.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1 실시예에 따른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를 참고하면, 제1 전극단자(31)는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제1 스피닝터미널(31a) 하부로 연장되는 돌출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may include a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a protrusion 31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돌출부(31b)는 제1 전극(11)과 제1 리드탭(41)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돌출부(31b)와 제1 리드탭(41)은 스피닝 공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돌출부(31b)는 제1 리드탭(41)에 삽입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31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 through the first lead tab 41. The protrusion 31b and the first lead tab 41 may be connected through a spinning process. As another example, the protrusion 31b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lead tab 41. [

가스켓(50)은 제1 전극단자(31)와 캡플레이트(3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캡플레이트(35)와 맞닿는 제1 스피닝터미널(31a) 면에 가스켓(5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1b)를 따라 캡플레이트(35) 내측면으로 가스켓(50)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전극단자(31)는 캡플레이트(35)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The gasket 5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and the cap plate 35. That is, the gasket 50 may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that abuts the cap plate 35. [ Further, the gasket 50 can be extended to the inner side of the cap plate 35 along the projection 31b.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can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35.

가스켓(50)과 캡플레이트(35) 사이에는 제1 접착층(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제1 스피닝터미널(31a)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가스켓(50) 사이에는 제2 접착층(62)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층(61) 및 제2 접착층(62)은 아크릴 접착제 또는 실리콘계 접착제 일 수 있다.A first adhesive layer 61 may be formed between the gasket 50 and the cap plate 35.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from rotating due to the repetitive load. A second adhesive layer 62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gasket 50. 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layer 61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62 may be an acrylic adhesive or a silicone adhesiv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캡플레이트(35)에 추가적인 구조 없이도 제1 스피닝터미널(31a)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단자(31)의 토크에 대한 저항력 증대, 제1 전극단자의 반복 토크에 대한 내구성 증대, 버스바의 들뜸 방지 및 가스켓의 압축이 유지되도록 결합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의 스피닝 공정시 고정 역할을 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from rotating without additional structure in the cap plate 35. [ Furth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torque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to increase the durability against the repetitive torque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to prevent lifting of the bus bar, . Further, it can serve as a fixing function in the spinning process of the projecting portion.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2 실시예에 따른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를 참고하여,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며 이하에서는 공통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will be described, and a common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캡플레이트(35)에는 단자홀(35b) 주위로 우묵한 홈부(35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부(35a)는 가운데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운데가 둥그스름하게 형성되며 움푹 패여 있을 수 있다. The cap plate 35 may have a recessed groove 35a formed around the terminal hole 35b. For example, the groove portion 35a may be formed with a flat cent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center may be rounded and dented.

가스켓(50)은 홈부(35a)에 끼워지는 끼움부(50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50)의 끼움부(50a)는 캡플레이트(35)에 형성된 홈부(35a)에 끼워져 캡플레이트(35)와 보다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끼움부(50a)에는 삽입부(50b)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50b)는 끼움부(50a) 중앙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gasket 50 may have a fitting portion 50a to be fitted in the groove portion 35a. The fitting portion 50a of the gasket 50 is fitted in the groove portion 35a formed in the cap plate 35 and can be connected more firmly to the cap plate 35. [ An insertion portion 50b may be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50a. For example, one of the insertion portions 50b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tting portion 50a, or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50b may be formed.

제1 스피닝터미널(31a)에는 가스켓(50)의 삽입부(50b)에 삽입되는 돌기부(31d)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31d)는 삽입부(50b)의 개수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50b)와 돌기부(31d)의 개수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가스켓(50)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may include a protrusion 31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50b of the gasket 50. [ The protrusions 31d may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insertion portions 50b and the number of the insertion portions 50b and the protrusions 31d may be plural. Thereby,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gasket 50 can be connected more stably.

제1 접착층(61)은 캡플레이트(35) 홈부(35a)와 가스켓(50)의 끼움부(50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층(62)은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가스켓(50) 사이에 형성되며, 삽입부(50b)와 돌기부(31d) 사이에 형성되어 둘 사이를 보다 강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스피닝터미널(31a)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layer 61 may be formed between the groove portion 35a of the cap plate 35 and the fitting portion 50a of the gasket 50. [ The second adhesive layer 6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gasket 50 and is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50b and the protruding portion 31d so as to connect the two more strongly. Thus,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3 실시예에 따른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6을 참고하면, 가스켓(50)은 탑인슐레이터(54)와 실가스켓(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gasket 50 may be composed of a top insulator 54 and a seal gasket 52.

탑인슐레이터(54)는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캡플레이트(35) 사이에 위치하며 캡플레이트(35) 상면과 제1 스피닝터미널(31a)을 절연시킬 수 있다. 실가스켓(52)은 캡플레이트(35)의 단자홀(35b)에 끼워지고, 캡플레이트(35)의 하면으로 이어져, 캡플레이트(35) 하면과 제1 리드탭(41)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실가스켓(52)은 돌출부(31b)를 캡플레이트(35)와 절연시키고, 돌출부(31b)와 단자홀(35b)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The top insulator 54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cap plate 35 and can insulate the top surface of the cap plate 35 from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The seal gasket 52 is fitted in the terminal hole 35b of the cap plate 35 and exte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35 to allow insula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35 and the first lead tab 41 have. The seal gasket 52 can insulate the protrusion 31b from the cap plate 35 and seal between the protrusion 31b and the terminal hole 35b.

실가스켓(52)은 캡플레이트(35) 상면으로부터 탑인슐레이터(54)의 두께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1 접착층(61)은 탑인슐레이터(54)와 캡플레이트(35)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접착층(62)은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탑인슐레이터(5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단자(31)를 캡플레이트(35)에 연결할 때 조립 공정은 향상될 수 있다. The seal gasket 52 can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35 by the thickness of the top insulator 54. [ The first adhesive layer 61 may be formed between the top insulator 54 and the cap plate 35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62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top insulator 54. [ In this case,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is connected to the cap plate 35, the assembling process can be improved.

또한, 제1 전극단자(31)에 강한 충격하중이 가해져 제1 전극단자(31)가 회전하게 되면서 탑인슐레이터(54)에 손상이 발생되어도, 제1 전극단자(31) 내측에 위치한 실가스켓(52)은 단자홀(35b)과 돌출부(31b) 사이를 실링하고 있으므로, 전해액의 누액 등을 방지할 수 있다. Even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is subjected to a strong impact load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rotates and the top insulator 54 is damaged, the seal gasket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52 are sealed between the terminal hole 35b and the protruding portion 31b, leakage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be prevented.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7을 참고하면, 제1 전극단자(31)의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캡플레이트(35) 사이에는 제3 접착층(63)이 형성되고, 제1 전극단자(31)의 돌출부(31b)와 캡플레이트(35) 사이에는 제4 접착층(64)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7, a third adhesive layer 6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and the cap plate 35 and the protrusion 31b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And the cap plate 35. The fourth adhesive layer 64 may be formed on the cap plate 35, as shown in FIG. Hereinafter, a common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centering on the features of this embodiment.

제3 접착층(63)은 캡플레이트(35)와 제1 스피닝터미널(31a) 사이를 절연할 수 있도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접착층(63)은 제1 접착층(61)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캡플레이트(35)에는 단자홀(35b) 주위로 홈부(3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홈부(35a)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제1 스피닝터미널(31a)에 형성된 돌기부(31d)와 연결될 수 있다. The third adhesive layer 63 may be formed to be thick enough to insulate the cap plate 35 from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Therefore, the third adhesive layer 63 can be formed thicker than the first adhesive layer 61. [ A groove portion 35a may be formed in the cap plate 35 around the terminal hole 35b and the groove portion 35a may have a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to be connected to the protrusion 31d formed i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

돌출부(31b)와 단자홀(35b) 사이에는 제4 접착층(6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접착층(63)과 제4 접착층(64)은 아크릴계 접착제 또는 실리콘계 접착제 일 수 있다. A fourth adhesive layer 64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31b and the terminal hole 35b. For example, the third adhesive layer 63 and the fourth adhesive layer 64 may be an acrylic adhesive or a silicone adhesive.

제4 접착층(64)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전극단자(31)는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단자(31)는 반복하중에 의해 회전하게 될 경우에도, 제4 접착층(64)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는 제1 전극단자(31)는 반복하중에 의한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By forming the fourth adhesive layer 64,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can elastically flow. That is, even wh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is rotated by the cyclic loading, it ca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generated by the fourth adhesive layer 64.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which can elastically flow, can be increased by repeated loads.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제1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 부분의 제5 실시예에 따른연결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FIG.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cap plate portion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8을 참고하면, 단자홀(35b)과 돌출부(31b) 사이에 제4 접착층(64)이 형성되고,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캡플레이트(35) 사이에는 가스켓(50)이 개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8, a fourth adhesive layer 64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hole 35b and the protrusion 31b, and a gasket 5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and the cap plate 35 . Hereinafter, a common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centering on the features of this embodiment.

제1 스피닝터미널(31a)에는 제4 접착층(64)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도록 돌출부(31b)주위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접착층(64)을 통해 제1 전극단자(31)의 탄성적인 유동을 기대할 수 있고, 단자홀(35b)과 돌출부(31b)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may be formed with a groove around the protrusion 31b so that the fourth adhesive layer 64 may be formed longer. The elastic flow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can be expected through the fourth adhesive layer 64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rminal hole 35b and the protruding portion 31b can be sealed.

캡플레이트(35)에는 홈부(35a)가 형성되고 홈부(35a)에는 가스켓(50)의 끼움부(50a)가 연결된다. 이때,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홈부(35a)는 요철구조로 형성되고, 끼움부(50a)는 요철구조에 대응되어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닝터미널(31a)의 돌기부(31d)도 끼움부(50a)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 스피닝터미널(31a)과 가스켓(50) 및 캡플레이트(35)는 서로 강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강한 충격하중이 제1 전극단자(31)에 전달 될 경우, 제1 전극단자(31)가 이차전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전극단자(31)에 연결되는 버스바와 제1 전극단자(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groove portion 35a is formed in the cap plate 35 and a fitting portion 50a of the gasket 50 is connected to the groove portion 35a.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mutual coupling force, the groove portion 35a is formed in a concave-convex structure, and the fitting portion 50a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corresponding to the concavo-convex structure. Also, the protrusion 31d of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can be connected to the fitting portion 50a. Through this structure, the first spinning terminal 31a, the gasket 50, and the cap plate 35 can be strong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when a strong impact loa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battery 100, The bus bar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3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technology field will understand easily.

100: 이차전지 10: 전극조립체
11: 제1 전극 12: 제2 전극
13: 세퍼레이터 11a: 제1 전극탭
12a: 제2 전극탭 20: 케이스
30: 캡조립체 31: 제1 전극단자
31a: 제1 스피닝터미널 31b: 돌출부
31c: 제2 스피닝터미널 31d: 돌기부
32: 제2 전극단자 32a: 터미널부
32b: 전극연결부 35: 캡플레이트
35a: 홈부 35b: 단자홀
36: 전해액홀 36a: 뚜껑
37: 벤트홀 37a: 벤트플레이트
37b: 노치 41: 제1 리드탭
42: 제2 리드탭 50: 가스켓
52: 실가스켓 54: 탑인슐레이터
50a: 끼움부 50b: 삽입부
61: 제1 접착층 62: 제2 접착층
63: 제3 접착층 64: 제4 접착층
100: secondary battery 10: electrode assembly
11: first electrode 12: second electrode
13: separator 11a: first electrode tab
12a: second electrode tab 20: case
30: cap assembly 31: first electrode terminal
31a: first spinning terminal 31b:
31c: second spinning terminal 31d: protrusion
32: second electrode terminal 32a: terminal portion
32b: electrode connection part 35: cap plate
35a: groove portion 35b: terminal hole
36: electrolyte hole 36a: cap
37: vent hole 37a: vent plate
37b: notch 41: first lead tab
42: second lead tab 50: gasket
52: Thread gasket 54: Top insulator
50a: fitting portion 50b:
61: first adhesive layer 62: second adhesive layer
63: third adhesive layer 64: fourth adhesive layer

Claims (11)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며 연결되는 캡플레이트;
상기 캡플레이트에 형성된 단자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와 상기 캡플레이트 상면에서 돌출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스피닝터미널을 가지는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과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는 가스켓이 개재되고, 상기 가스켓과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는 제1 접착층이 형성된 이차전지.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cas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sealingly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case;
A first electrode terminal having a protrus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hrough a terminal hole formed in the cap plate, and a first spinning terminal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 gaske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and the cap plate, and a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gasket and the cap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과 상기 가스켓 사이에는 제2 접착층이 형성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and the gas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에는 상기 단자홀 외측에서 상기 단자홀을 감싸는 우묵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홈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 plate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portion surrounding the terminal hole from outside the terminal hole,
Wherein the gasket protrudes toward the groove portion and includes a fitting portion that is fitted in the groove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은,
상기 가스켓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끼움부에 형성된 삽입부에 끼워져 연결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comprises:
And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gasket,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에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 연결되는 이차전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first spinning terminal,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단자는,
상기 캡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터미널부; 및
상기 캡플레이트에서 상기 터미널부와 반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연결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 termina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nd an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ap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erminal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전극연결부는, 상기 캡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cap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단자는,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과 재질이 다르게 형성되는 제2 스피팅터미널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spitting terminal that is seated on the first spinning terminal and is formed in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pinn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1 스피닝터미널을 상기 캡플레이트 상면과 절연시키는 탑인슐레이터; 및
상기 돌출부를 상기 캡플레이트로부터 절연시키고, 상기 단자홀에 끼워져 상기 캡플레이트 하면으로 이어져, 상기 캡플레이트 하면과 상기 제1 전극의 제1 집전부를 절연시키는 실가스켓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sket
A top insulator for insulating the first spinning terminal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And a seal gasket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a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to insul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from the first current collector of the first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인슐레이터와 상기 캡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제1 접착층 보다 두꺼운 제3 접착층이 형성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adhesive layer thicker than 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top insulator and the cap pla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단자홀 사이에는 제4 접착층이 형성되는 이차전지.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fourth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terminal hole.
KR1020160114636A 2016-09-06 2016-09-06 Rechargeable battery Active KR102306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636A KR102306448B1 (en) 2016-09-06 2016-09-06 Rechargeable battery
PCT/KR2017/009661 WO2018048160A1 (en) 2016-09-06 2017-09-04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636A KR102306448B1 (en) 2016-09-06 2016-09-06 Rechargeable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66A true KR20180027266A (en) 2018-03-14
KR102306448B1 KR102306448B1 (en) 2021-09-28

Family

ID=6156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636A Active KR102306448B1 (en) 2016-09-06 2016-09-06 Rechargeable batte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6448B1 (en)
WO (1) WO2018048160A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624A (en) * 2020-05-18 2021-04-15 닝더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Battery and electricity consumption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KR102242274B1 (en) * 2020-07-27 2021-04-20 주식회사 유로셀 Prismatic cell having current collector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52330B1 (en) * 2020-07-27 2021-05-14 주식회사 유로셀 Method for manufacturing prismatic cell having busbar connecting structure
WO2021182835A1 (en) * 2020-03-11 2021-09-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KR20210114863A (en) *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KR102613036B1 (en) * 2023-07-20 2023-12-12 (주)연호상사 Battery module
EP4086995A4 (en) * 2020-02-12 2024-04-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24158151A1 (en) * 2023-01-25 2024-08-02 주식회사 파인엠텍 Cap plat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i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p plate assembly
WO2025084709A1 (en) * 2023-10-16 2025-04-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07249B2 (en) * 2020-09-02 2024-06-27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分▼有限公司 End cover assembly, battery cell, battery, power consuming device and liquid injection method
CN219717049U (en) * 2023-02-23 2023-09-19 蜂巢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Top cap subassembly and have its batte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098A (en) * 1999-08-07 2001-03-05 김순택 Prismatic type sealed battery
KR20030032561A (en) * 2001-10-18 2003-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smatic type battery
KR101084056B1 (en) * 2010-07-21 2011-11-16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KR20140078812A (en) * 2012-12-18 2014-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Cap Assembly Improved Sealability and Battery Cell Employed with The Same
KR20150101864A (en) * 2014-02-27 2015-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098A (en) * 1999-08-07 2001-03-05 김순택 Prismatic type sealed battery
KR20030032561A (en) * 2001-10-18 2003-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smatic type battery
KR101084056B1 (en) * 2010-07-21 2011-11-16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KR20140078812A (en) * 2012-12-18 2014-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Cap Assembly Improved Sealability and Battery Cell Employed with The Same
KR20150101864A (en) * 2014-02-27 2015-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6995A4 (en) * 2020-02-12 2024-04-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21182835A1 (en) * 2020-03-11 2021-09-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KR20210114863A (en) *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CN115210942A (en) * 2020-03-11 2022-10-18 株式会社Lg新能源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KR20210041624A (en) * 2020-05-18 2021-04-15 닝더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Battery and electricity consumption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JP2022537225A (en) * 2020-05-18 2022-08-25 寧徳新能源科技有限公司 Batteries and electrical devices comprising said batteries
KR102242274B1 (en) * 2020-07-27 2021-04-20 주식회사 유로셀 Prismatic cell having current collector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52330B1 (en) * 2020-07-27 2021-05-14 주식회사 유로셀 Method for manufacturing prismatic cell having busbar connecting structure
WO2024158151A1 (en) * 2023-01-25 2024-08-02 주식회사 파인엠텍 Cap plat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i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p plate assembly
KR102613036B1 (en) * 2023-07-20 2023-12-12 (주)연호상사 Battery module
WO2025018495A1 (en) * 2023-07-20 2025-01-23 (주)연호상사 Battery module
WO2025084709A1 (en) * 2023-10-16 2025-04-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448B1 (en) 2021-09-28
WO2018048160A1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448B1 (en) Rechargeable battery
US8802276B2 (en) Secondary battery
KR101015834B1 (en) Battery module
US10587010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KR101191658B1 (en) Rechargeable battery
US8916287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629053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CN105280874B (en) Secondary battery
EP2509149B1 (en) Secondary battery
KR101265202B1 (en) Secondary battery
EP3128571B1 (en) Secondary battery
KR102253021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and battery module
US20110244281A1 (en) Rechargeable battery
CN109428043B (en) Secondary battery
KR20170009132A (en)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US8852795B2 (en) Secondary battery
KR102264700B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40124247A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761907B1 (en) Secondary Battery
US20230223643A1 (en) Secondary battery
EP4195341A1 (en) Secondary battery
KR20160123853A (en) Rechargeable battery
US20240128617A1 (en) Power storage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5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5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5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