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32135A -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그리고 혈액 채취 용기 - Google Patents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그리고 혈액 채취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135A
KR20170132135A KR1020177023450A KR20177023450A KR20170132135A KR 20170132135 A KR20170132135 A KR 20170132135A KR 1020177023450 A KR1020177023450 A KR 1020177023450A KR 20177023450 A KR20177023450 A KR 20177023450A KR 20170132135 A KR20170132135 A KR 2017013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um
composition
plasma separation
silica
plasm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470B1 (ko
Inventor
류스케 오카모토
가나 하야시
구니야 고마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4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n inorganic particle, e.g. ceramic particles, silica particles, ferrite or synsor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01L3/50215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using a float to separate ph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2Partitioning bloo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E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제조 시의 멸균 공정이나 장기 보존을 거쳐도, 안정된 혈액 분리 성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과, 미분말 실리카와,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다.
Figure pct00007

(식 (1) 중, R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 알킬기임)

Description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그리고 혈액 채취 용기
본 발명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그리고 해당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혈액 채취 용기에 관한 것이다.
임상 검사에 있어서, 혈액 샘플을 수용하기 위해 혈액 채취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채혈에 있어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한 혈액 채취 용기를 사용한 경우, 해당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비중차를 이용하여 전혈로부터 혈청 성분 혹은 혈장 성분을 원심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혈액 채취 용기는 환자에 대한 세균 감염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ISO 및 JIS의 규격에 의해 내부가 멸균 상태일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자선이나 γ선 등에 의한 멸균이 행해지는데, 그때, 분리용 조성물의 물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채취 용기는 병원 내에 있어서 사용될 때까지의 동안, 장기에 걸쳐 보존되는 경우도 많아, 그때에도 장기 보존에 의한 분리용 조성물의 물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물성 변화가 발생한 경우, 소정의 원심 분리를 행해도, 비중차를 이용하여 전혈로부터 혈청 성분 혹은 혈장 성분을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알려져 있다. 이 현상은, 원심 분리기가 소형이거나, 구식이거나 하여, 원하는 원심력을 부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더 현저한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장기에 걸쳐 보존되는 조건 하에 있어서도, 물성 변화에 의한 혈액 분리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혈액 채취 용기용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아크릴계 수지를 기재로 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상기 과제를 받아,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첨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4-340465호 공보 WO2011/105151 A1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분리용 조성물은 장기 보존 시에 상 분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원심 분리에 의한 분리제의 조각이나 유적이 발생하여, 충분한 격벽을 형성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분리용 조성물은, 내부의 멸균을 목적으로 하여 γ선을 조사하면, 원심 분리 시의 격벽 두께가 감소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분리용 조성물은 많은 성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실생산 시의 제조 조건 설정이 복잡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시의 멸균 공정이나 장기 보존을 거쳐도, 안정된 혈액 분리 성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그리고 해당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혈액 채취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과, 미분말 실리카와,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계 화합물을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과, 미분말 실리카와,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식 (1) 중, R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 알킬기임)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와, 석유 수지 및 트리멜리트산계 가소제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미분말 실리카가 친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친수성 실리카의 함유량이 1.40 내지 2.00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0.10 내지 0.35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친수성 실리카에 추가하여, 소수성 실리카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소수성 실리카와 상기 친수성 실리카의 합산 함유량이 1.40 내지 2.50중량%가 되는 범위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이 1.038 내지 1.0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 채취 용기를 장기 보존하였을 때 발생하는 상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전성의 경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γ선 멸균을 행하였을 때의 항복값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혈액 채취 용기는 안정된 혈액 분리 성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것 외에, 원심 분리를 행하였을 때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조각에 의한 유적의 발생이나, 유적의 발생에 의한 프로브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비교하여 적은 원재료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조건의 컨트롤이 용이하고 안정된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과, 미분말 실리카와,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2
(식 (1) 중, R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 알킬기임)
그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제조 시의 멸균 공정이나 장기 보존을 거쳐도, 안정된 혈액 분리 성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1, R2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함유한다.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나, 석유 수지 및 트리멜리트산계 가소제의 혼합물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병용해도 된다.
아크릴 수지의 구성 단량체는, 일반적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부틸 등의 단량체 성분을 랜덤 혹은 블록 공중합한 것이 사용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지 점도의 온도 의존성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스티렌이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온이란, 일본 약국방에 기초하여, 20±5℃를 나타낸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는,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원료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원료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이외의 단량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즉,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는, 1종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와, 그 이외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함유량은, 50 내지 100중량%가 바람직하고, 60 내지 10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70 내지 10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함유량을 50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혈액 분리제용 중합체의 비중, 틱소트로피성 및 유동성의 밸런스를 한층 더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의 경우에는, 이들 밸런스를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1 내지 20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기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폴리알킬렌글리콜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디알킬아미노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벤질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녹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이소보닐에스테르 또는 (메트)아크릴산알콕시실릴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의 구성 원료로서는, 1종의 상기 단량체 또는 2종 이상의 상기 단량체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2종의 상이한 분자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함유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를 원하는 비중 및 점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라디칼 공중합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계 비닐 단량체, 비닐에스테르류, 비닐에테르류, 비닐피롤리돈 또는 (메트)알릴에테르류를 들 수 있다. 방향족계 비닐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p-메틸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o-메톡시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또는 브로모스티렌을 들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디알킬아미드 또는 아세트산비닐을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방향족계 비닐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계 비닐 단량체는, 비중이 크고, 또한 높은 소수성을 가지므로, 혈액 분리제의 혈액 분리능을 확보하면서, 약물의 흡착을 한층 더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진 공중합체에서는,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와 비교하여, 방사선에 의한 멸균 처리 시에 분자량이 증대되기 어렵고, 점도가 높아지기 어렵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를 얻기 위한 단량체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상기 방향족계 비닐 단량체의 함유량은, 1중량% 이상 50중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5 내지 30중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20중량%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방향족계 비닐 단량체의 함유량이 1중량% 미만에서는, 방향족계 비닐 단량체를 사용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방향족계 비닐 단량체의 함유량이 50중량% 이상이 되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적당한 유동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는, 통상의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라디칼 중합법으로서는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분산 중합법 또는 리빙 라디칼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3000 내지 5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4000 내지 300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혈액 분리제의 유동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형성되는 격벽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미만인 경우에는, 격벽의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는 혈청 혹은 혈장 중에 부유물이 발생하여, 검사값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정밀한 분석 기기를 오염시키거나 할 우려가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을 초과하면, 원심 분리 시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혈병과 혈청 혹은 혈구 성분과 혈장의 사이에 격벽을 확실하게 형성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석유 수지 및 트리멜리트산계 가소제의 혼합물은, 일반적인 석유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시클로펜타디엔계 올리고머의 중합체와 가소제를, 원하는 점도가 되도록 가열 용융 혼합한 것 등이 예시된다.
상기 시클로펜타디엔계 올리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디엔계 단량체의 중합체,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시클로펜타디엔의 알킬 치환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량체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클로펜타디엔계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어 ESCOREZ5380, ESCOREZ5300, ESCOREZ5320, ESCOREZ5340, ESCOREZ5400, ESCOREZ ECR251(모두 엑손 모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종의 시클로펜타디엔계의 상기 단량체와, 스티렌, 메틸스티렌, 인덴 및 메틸인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SCOREZ(등록 상표) ECR227E, ESCOREZ ECR235E, ESCOREZ ECR231C, ESCOREZ5690, ESCOREZ5600(모두 엑손 모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소제로서는, 방향족 에스테르 화합물인 프탈산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또는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는, 프탈산에스테르와 동일하게 방향족 에스테르 화합물에 속하며, 트리멜리트산의 에스테르 또는 피로멜리트산의 에스테르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또는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멜리트산 또는 피로멜리트산의 알킬에스테르, 구체적으로는 트리멜리트산트리n-옥틸, 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옥틸, 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데실 또는 피로멜리트산테트라이소옥틸 등을 들 수 있다.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와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는, 단독으로도, 혼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트리멜리트산 또는 피로멜리트산의 알킬에스테르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DIC사제 모노사이저(등록 상표) W-700(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옥틸), 모노사이저 W-750(트리멜리트산트리n-옥틸), 모노사이저 W-7010(피로멜리트산테트라이소옥틸)이나, 신니혼 리카사제 산소사이저(등록 상표) TOTM(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옥틸) 또는 산소사이저 TITM(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데실) 등을 들 수 있다.
혈병(비중 1.08)과 혈청(비중 1.03) 혹은 혈구 성분(비중 1.08)과 혈장(비중 1.03)의 중간층에, 저온 하, 또는 원심력이 낮은 경우에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는 격벽을 형성하기 위해,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25℃에 있어서의 비중은 1.038 내지 1.04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상기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의 25℃에 있어서의 비중은 1.030 내지 1.04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 내지 1.034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중이 1.030 미만에서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 미분말 실리카를 대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원심 분리에 의한 무기 분말과 혈액 분리제용 중합체의 분리, 혹은 장기간의 저장 중에 혈액 분리제가 흡습된다. 이 때문에, 무기 분말 간의 수소 결합력이 증대되어, 혈액 분리제의 유동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혈병과 혈청 혹은 혈구 성분과 혈장의 중간층에 격벽을 형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비중이 1.040보다 큰 경우에는, 혈액 분리제용 중합체의 틱소화에 필요한 미분말 실리카를 첨가함으로써 혈액 분리제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지고, 혈병과 혈청 혹은 혈구 성분과 혈장의 중간층에 격벽을 형성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10 내지 200Paㆍs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Paㆍs이다. 점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혈액 분리제의 유동성이 높여지고, 격벽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점도가 10Paㆍs 미만인 경우에는, 격벽의 강도가 불충분해지거나, 혈청 혹은 혈장 중에 부유물이 발생하여, 검사값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정밀한 분석 기기를 오염시키거나 할 우려가 있다. 상기 점도가 200Paㆍs를 초과하면, 원심 분리 시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혈병과 혈청 혹은 혈구 성분과 혈장의 사이에 격벽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미분말 실리카>
본 발명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미분말 실리카를 함유한다. 미분말 실리카로서는, 천연 실리카 및 합성 실리카가 있으며, 이산화규소를 주체로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기상법에 의한 합성 실리카가, 품질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성 실리카로서는 친수성 실리카와 소수성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친수성 실리카는, 입자 표면의 수산기끼리 수소 결합함으로써,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함과 함께, 비중을 조정하는 작용을 갖는다. 한편, 소수성 실리카는, 입자 표면의 수산기가 메틸실란 등의 소수성기로 치환되어 있기 때문에 수소 결합하지 않고, 단순히 비중을 조정하는 작용만을 갖는다. 상기 친수성 실리카만으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과 틱소트로피성의 양쪽을 모두 적합한 범위로 유지할 수 없을 때에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틱소트로피성과, 비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적합하게 조정하기 위해, 친수성 실리카와 소수성 실리카가 적절히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친수성 실리카와 소수성 실리카의 합산 함유량(친수성 실리카의 함유량과 소수성 실리카의 함유량의 총합)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과 틱소트로피성을 적합한 범위로 하기 위해, 1.40 내지 2.50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2.15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혈청 및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틱소트로피성이 적합한 범위가 되도록 친수성 실리카의 함유량을 정하며, 그 함유량으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이 적합한 범위를 하회하는 경우에, 부족한 함유량에 상당하는 소수성 실리카를 더 함유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틱소트로피성의 평가는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평가 시에는, 후술하는 흐름성의 평가가 적합하다.
또한, 친수성 실리카의 함유량은, 1.40 내지 2.00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1.85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미분말 실리카 중, 친수성 실리카로서는, 예를 들어 에어로실(등록 상표) 90G, 130, 200, 300 등의 에어로실 시리즈(닛폰 에어로실사제), 레올로실(등록 상표) QS-10, QS-20, QS-30 등의 레올로실 시리즈(도쿠야마사제), WACKER HDK S13, N20, T30 등의 WACKER HDK 시리즈(아사히가세이 와커 실리콘사제) 등의 기상법 친수성 실리카가 입수 가능하고, 사용하기 쉽다.
또한, 소수성 실리카로서는, 예를 들어 에어로실 R972, R974, R805, R812 등의 에어로실 시리즈(닛폰 에어로실사제), 레올로실 MT-10, DM-30S, HM-30S, KS-20S, PM-20 등의 레올로실 시리즈(도쿠야마사제), WACKER HDK H15, H18, H30 등의 WACKER HDK 시리즈(아사히가세이 와커 실리콘사제) 등의 기상법 소수성 실리카가 입수하기 쉽고 사용하기 쉽다. 또한, 소수성 실리카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을 조정하기 위해 함유되므로, 비중이 높고 혈액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분이며, 균일하게 혼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라면, 특히 소수성 실리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알루미나, 유리 미분말, 탈크, 카올린, 벤토나이트, 티타니아, 지르코늄 등을 사용해도 된다.
<아미드계 화합물>
본 발명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아미드계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미드계 화합물은, 하기 식 (1)을 충족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특히 R3이 메틸기인 경우, 최대한의 효과를 발휘한다. R1, R2에 적용되는 직쇄상 혹은 분지상 알킬기로서는, 탄소수가 1 내지 8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또는 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 (1) 중, R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 알킬기임)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아미드계 화합물은, 수지 조성물 중에 미분말 실리카를 균질하게 분산시켜, 미분말 실리카 입자 표면의 수산기끼리 형성되는 수소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그 결과,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틱소트로피성의 경시 변화를 억제하여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미드계 화합물은,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어도, 지나치게 많아도,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틱소트로피성이 안정화되지 않는다. 그 결과, 충분한 혈액 분리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미드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전체의 0.10 내지 0.3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0중량%의 범위에서 첨가된다.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아미드 화합물은, WO2008/102615A1 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5-4788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쿠아미드(등록 상표, 이데미츠 고산사제) M100, B100을 들 수 있다.
<기타 성분>
상기 이외에도, 본 발명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혈액 채취 용기용의 분리용 조성물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각종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과, 미분말 실리카와, 아미드계 화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하면 된다. 혼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네터리 믹서, 볼 밀, 디스퍼 등의 공지된 혼련기가 사용된다.
<혈액 채취 용기에 대한 적용>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바닥이 있는 관상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의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프로피온산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키틴 등의 변성 천연 수지; 소다석회 유리, 인규산 유리, 붕규산 유리 등의 규산염, 석영 유리 등의 유리나, 이들을 조합한 것, 혹은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등의 공지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혈액 부착 방지나 혈액 응고 촉진 등의 목적에 따라, 혈액 응고 촉진제 등의 공지된 약제를 관벽에 부착시킬 수 있다.
혈액 채취 용기의 내압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마개, 혹은 알루미늄 시일 등의 밀폐 부재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가 진공 배기된, 소위 진공 채혈관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진공 채혈관인 경우, 채혈자의 기술차에 구애되지 않고 일정량의 혈액 채취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감염 방지의 관점에서, 채혈관의 내부는 JIS 혹은 ISO에 기재된 기준에 준하여 멸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1, 참고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2)
실시예 1 내지 21, 참고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2에 있어서 사용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원료 조성에 대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21, 참고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2에 있어서 사용한, 혈액 채취 용기의 성능 평가에 대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21, 참고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2에 있어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배합 성분으로서 사용한 화합물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과 아크릴산부틸을 아조계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용액법에 의해 라디칼 중합시켜 중합체를 얻었다. 상기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0,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74Paㆍs, 25℃에 있어서의 비중은 1.031이었다.
<석유 수지>
엑손 모빌사제, 상품명 「ESCOREZ5380」 및 「ESCOREZ5400」을 사용하였다.
<가소제>
DIC사제, 상품명 「모노사이저 W-700(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옥틸)」을 사용하였다.
<미분말 실리카>
친수성 실리카로서, 닛폰 에어로실사제, 상품명 「200CF」, 소수성 실리카로서, 닛폰 에어로실사제, 상품명 「R974」를 사용하였다.
<아미드계 화합물>
이데미츠 고산사제, 상품명 「에쿠아미드 M100(3-메톡시-N,N-디메틸프로판아미드)」을 사용하였다.
<겔화제>
신니혼 리카사제, 상품명 「겔올 D(디벤질리덴소르비톨)」와 BASF사제, N-메틸피롤리돈을 1:4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균일한 용액으로 하여 사용하였다.
산요 가세이 고교사제, 상품명 「뉴폴 PE-71(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및 니치유사제, 상품명 「프레미놀 S3011(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상기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으로, 500mL의 혼련 용기에 전량이 100g이 되도록 칭량하고, 플라네터리 믹서를 사용하여 실온 진공 하에서 12분간 혼련하여,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11 및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석유 수지 및 가소제를 사용하였지만, 다른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는 모두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를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1, 2에 있어서는 아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석유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양자를 120℃로 가열한 유리 용기에서 용융 혼합하고 나서 사용하였다. 제작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1.0mL를, 내경 16mm, 길이 100mm의 바닥이 있는 PET관의 저부에 충전하고, 혈액 채취 용기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혈액 채취 용기를 사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점도>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0.5mL의, 전단 속도 1.0초-1, 25℃에 있어서의 점도를, E형 점도계(도키 산교사제, 품번 「TVE-3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중>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1방울을, 비중을 0.002의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조정한 25℃의 식염수 중에 순차적으로 적하하고, 식염수 중에 있어서의 부침에 의해 비중을 측정하였다.
<흐름>
혈액 채취 용기의 개구단을 45°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지하여, 55℃로 보온한 오븐 내에 24시간 방치하고,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 바닥이 있는 PET관의 내벽을 따라 하방으로 흐른 거리를, 버니어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격벽 두께>
혈액 채취 용기에, 25℃ 비중이 1.065인 식염수 2.5mL를 충전하고, 15℃ 수욕 중에서 30분간 냉각한 후, 15℃로 유지한 원심 분리기에서 1700G, 5분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고, 상기 식염수 상에 형성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의한 격벽의 두께를 버니어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1에 나타내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점도」, 「흐름」, 「격벽 두께」의 각 평가 항목에 있어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참고예 1, 2, 5는 「흐름」의 평가 항목에 있어서 분리용 조성물의 흐름이 약간 발생하였다. 그 때문에, 경시 변화에 의해 틱소트로피성을 장기에 걸쳐 유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참고예 3, 4는 「격벽 두께」의 평가 항목에 있어서, 원심 분리 시의 격벽 두께가 약간 불충분하였다. 그 때문에, 혈청 또는 혈장을 분리할 때 충분한 강도를 가진 격벽을 형성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비교예 1, 2는, 실시예 1 내지 21, 참고예 1 내지 5와 비교하여, 「흐름」 「격벽 두께」의 평가 항목이 양쪽 모두 대폭 악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경시 변화에 의해 틱소트로피성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없다. 또한, 혈청 또는 혈장을 분리할 때 충분한 강도를 가진 격벽을 형성할 수 없다.

Claims (9)

  1.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과, 미분말 실리카와,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Figure pct00006

    (식 (1) 중, R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혹은 분지상 알킬기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와, 석유 수지 및 트리멜리트산계 가소제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말 실리카가 친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실리카의 함유량이 1.40 내지 2.00중량%의 범위인,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0.10 내지 0.35중량%의 범위인,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실리카에 추가하여, 소수성 실리카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실리카와 친수성 실리카의 합산 함유량이 1.40 내지 2.50중량%의 범위인,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이 1.038 내지 1.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혈액 채취 용기.
KR1020177023450A 2015-03-31 2016-03-31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그리고 혈액 채취 용기 Active KR102346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3883 2015-03-31
JPJP-P-2015-073883 2015-03-31
PCT/JP2016/060658 WO2016159236A1 (ja) 2015-03-31 2016-03-31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並びに血液採取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135A true KR20170132135A (ko) 2017-12-01
KR102346470B1 KR102346470B1 (ko) 2021-12-31

Family

ID=5700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450A Active KR102346470B1 (ko) 2015-03-31 2016-03-31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그리고 혈액 채취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17602B2 (ko)
EP (1) EP3279654B1 (ko)
JP (1) JP6172832B2 (ko)
KR (1) KR102346470B1 (ko)
CN (1) CN107209169B (ko)
WO (1) WO2016159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1613A1 (ja) * 2017-12-27 2019-07-04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血液採取容器、及び血清または血漿の分離方法
DE102018102989C5 (de) 2018-02-09 2024-10-10 Polytec Pt Gmbh Akkumulator-Anordnung mit einem thermischen Kontakt- und Füllmaterial
EP3918992A4 (en) * 2019-02-01 2022-10-19 Sekisui Medical Co., Ltd. AGING PREVENTING AGENT AND BLOOD COLLECTION CONTAINERS
US20220226752A1 (en) * 2019-05-20 2022-07-21 Sekisui Medical Co., Ltd. Composition for mononuclear cell-containing plasma separation and blood sampling container
CN117413181A (zh) 2021-05-28 2024-01-16 积水医疗株式会社 血液采集容器、血浆的分离方法、细胞外游离核酸的分离方法和细胞外囊泡的分离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0465A (ja) 1991-05-16 1992-11-26 Nippon Paint Co Ltd 血清分離用シーラント
WO2008102615A1 (ja) * 2007-02-20 2008-08-28 Idemitsu Kosan Co., Ltd. β-アルコキシプロピオンアミド類の製造方法
WO2011105253A1 (ja) * 2010-02-26 2011-09-01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液分離剤及び血液採取容器
WO2011105151A1 (ja) 2010-02-26 2011-09-01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検査用容器
JP2012508578A (ja) * 2008-11-14 2012-04-12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収集チューブ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50026371A (ko) * 2013-09-02 2015-03-11 케이에스케미칼 주식회사 틱소트로픽이 큰 혈액 분리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232B2 (ja) * 1991-06-25 1996-11-06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血液分離剤
AU707697B2 (en) 1995-08-28 1999-07-15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erum or Plasma Separating Compositions
US6447881B1 (en) * 1997-12-26 2002-09-10 Catalysts & Chemicals Industries Co., Ltd. Recording sheet having ink-receiving layer
WO2003097237A2 (en) * 2002-05-13 2003-11-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rotease inhibitor sample collection system
US7810721B2 (en) 2005-08-04 2010-10-12 Transaction Network Services, Inc. Systems and method for vending machine settlement
US7775962B2 (en) 2005-08-10 2010-08-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entrifuge with polymerizing energy source
US7673758B2 (en) 2005-08-10 2010-03-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llection tubes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7674388B2 (en) 2005-08-10 2010-03-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hotopolymer serum separator
US9248447B2 (en) 2005-08-10 2016-02-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olymers for use in centrifugal separation of liquids
WO2007139018A1 (ja) 2006-05-25 2007-12-06 Sekisui Chemical Co., Ltd.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検査用容器
CN201454557U (zh) 2009-07-31 2010-05-12 成都瑞琦科技实业有限责任公司 血清和血细胞分离管
KR101278909B1 (ko) 2010-11-15 2013-06-26 우성식 혈청분리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채혈관
JP5808684B2 (ja) * 2012-02-01 2015-1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水性インク組成物及び画像形成方法
JP5748014B1 (ja) * 2014-03-26 2015-07-1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0465A (ja) 1991-05-16 1992-11-26 Nippon Paint Co Ltd 血清分離用シーラント
WO2008102615A1 (ja) * 2007-02-20 2008-08-28 Idemitsu Kosan Co., Ltd. β-アルコキシプロピオンアミド類の製造方法
JP2012508578A (ja) * 2008-11-14 2012-04-12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収集チューブ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1105253A1 (ja) * 2010-02-26 2011-09-01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液分離剤及び血液採取容器
WO2011105151A1 (ja) 2010-02-26 2011-09-01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検査用容器
KR20150026371A (ko) * 2013-09-02 2015-03-11 케이에스케미칼 주식회사 틱소트로픽이 큰 혈액 분리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9169B (zh) 2020-04-10
JP6172832B2 (ja) 2017-08-02
EP3279654A1 (en) 2018-02-07
EP3279654B1 (en) 2020-12-23
EP3279654A4 (en) 2018-10-24
CN107209169A (zh) 2017-09-26
KR102346470B1 (ko) 2021-12-31
US20180092806A1 (en) 2018-04-05
WO2016159236A1 (ja) 2016-10-06
US10617602B2 (en) 2020-04-14
JPWO2016159236A1 (ja)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470B1 (ko)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그리고 혈액 채취 용기
JP6901194B1 (ja) 血液採取容器及び血漿の分離方法
JP5373075B2 (ja) 血液分離剤及び血液採取容器
JP6595743B1 (ja)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血液採取容器、及び血清または血漿の分離方法
WO2021182575A1 (ja) 白血球濃縮分離デバイス、血液採取容器及び白血球の分離方法
AU649828B2 (en) Serum and plasma separating compositions and blood testing containers
JP4510893B2 (ja) 血液分離剤用重合体及び血液分離剤組成物
JP7513343B2 (ja) 単核球含有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採取容器
JP7309108B2 (ja) 血液分離用組成物、血液採取容器及び白血球の分離方法
KR101980555B1 (ko)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KR101569178B1 (ko) 틱소트로픽이 큰 혈액 분리용 조성물
WO2024204675A1 (ja) 血液採取容器及び血漿の分離方法
KR20230059693A (ko)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CN120112793A (zh) 血液采集容器及单核细胞的分离方法
JP2002365282A (ja)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